KR0110476Y1 - 엘이디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0476Y1
KR0110476Y1 KR2019940028956U KR19940028956U KR0110476Y1 KR 0110476 Y1 KR0110476 Y1 KR 0110476Y1 KR 2019940028956 U KR2019940028956 U KR 2019940028956U KR 19940028956 U KR19940028956 U KR 19940028956U KR 0110476 Y1 KR0110476 Y1 KR 0110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ead
substrate
hold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565U (ko
Inventor
전영규
Original Assignee
김회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회수
Priority to KR2019940028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0476Y1/ko
Publication of KR960019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0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0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판으로 부터 린드가 90°절곡되게 설치되는 엘이디(LED)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엘이디의 높이 및 간격을 조정하기 곤란한 부위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LED(1)가 고정되는 기판(3)에 고정공(3a)을 형성하고 LED(1)의 위치를 결정하는 홀더(7)에는 상기 기판(3)의 고정공(3b)에 끼워지는 고정돌기(7a)를 형성함과 동시에 홀더(7)의 내부에 LED(1)가 지지되는 안착부(7b)와, 리드(1a)가 삽입되는 리드안내홈(7c)에 끼운상태에서 고정돌기(7a)를 고정공(3b)에 끼우고 리드(1a)를 기판(3)에 납땜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엘이디의 고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종래장치의 작업순서를 나타낸 공정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홀더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장치의 작업순서를 나타낸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LED 1a : 리드
3 : 기판 3b : 고정공
3c : 가이드공 7 : 홀더
7a : 고정돌기 7b : 안착부
7c : 리드안내홈 7d : 가이드돌기
7e : 라운딩부
본 고안의 기판으로 부터 리드가 90°절곡되게 설치되는 엘이디(LED)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 엘이디의 높이 및 간격을 조정하기 곤란한 부위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등과 같은 자동화기기에서는 논리연산, 순서조작, 타이머 및 카운터, 산술연산 등의 제어동작을 행하고 제어순서를 기억하는 메모리의 내용에 따라 입출력을 통해 기계화공정을 제어하는 과정을 기기의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기판상에 빛을 발광하는 여러개의 엘이디(이하LED라 함)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기판의 회로구성에 의해 LED가 발광하여 기기의 동작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게 되므로 작업자가 기기의 운전상태를 쉽게 식별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측면도이고 제2도는 제1 도의 평면도로써, LED(1)에서 발광되는 빛에 의해 커버(2)에 표시된 숫자 또는 기호(2a)가 외부로 표출되도록 LED(1)가 고정되는 기판(3)을 본체(4)에 수직으로 내장할 경우에는 상기 기판(3)에 고정되는 LED(1)의 리드(1a)를 90°절곡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상에 먼저 부품(5)의 리드(5a)를 삽입하여 납땜한 다음 LED(1)의 각 리드(1a)에 절연튜브(6)를 끼운후 리드(1a)를 기판(3)의 삽입공(3a)에 삽입한다.
그후 리드(1a)가 삽입된 LED(1)를 (다)와 같이 커버(2)에 표시된 숫자 또는 기호(2a)측을 향하도록 90°절곡하여 LED의 높이 및 간격을 적당히 조절한 다음 기판의 저면에서 리드를 납땜하므로써 LED(1)의 고정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기기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LED(1)가 발광하여 숫자 또는 기호(2a)를 밝혀주게 되므로 작업자가 기기의 동작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LED 고정장치는 LED(1)와 기판(3)과의 거리조정을 육안으로하여 LED의 리드(1a)를 손으로 구부렸기 때문에 구부러진 LED의 높이 및 간격이 일정치 않았고, 이에따라 커버에 표시된 숫자 및 기호와 LED의 간격이 멀은 경우 어느 부위의 LED가 점등되었는지를 정확히 식별할 수 없게 되었음은 물론 부품의 리드를 납땜한 다음 후공정으로 LED를 기판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LED의 리드가 기판으로 부터 90°절곡되게 고정되는 구조에서 LED의 높이 및 간격이 정확하게 하므로써 LED의 고정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기기의 동작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LED가 고정되는 기판에 고정공을 형성하고 LED의 위치를 결정하는 홀더에는 상기 기판의 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홀더의 내부에 LED가 지지되는 안착부와, 리드가 삽입되는 리드안내홈을 형성하여 LED를 안착부에 안착하고 리드는 리드안내홈에 끼운상태에서 고정돌기를 고정공에 끼우고 리드를 기판에 납땜하여서 된 엘이디의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4도 내지 제7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측면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평면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홀더의 정면도 및 측면도로써, 본 고안은 LED(1)가 고정되는 기판(3)에 고정공(3b)이 형성되어 있고 LED(1)의 위치를 결정하는 홀더(7)의 일측면에는 제6도와 같이 상기 기판(3)의 고정공(3b)에 끼워지는 고정돌기(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7)의 내부에는 LED(1)가 지지되는 안착부(7b)와, 리드(1a)가 삽입되는 리드안내홈(7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7a)가 형성된 홀더(7)의 다른 일측면에는 상기 홀더(7)의 안착부(7b)에 안착되는 LED(1)가 기판(3)과 수직하게 위치될 때 하방을 향하도록 가이드돌기(7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7a)와 가이드돌기(7d)사이에는 라운딩부(7e)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3)에는 상기 가이드돌기(7d)가 삽입되는 가이드공(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7a)와 가이드돌기(7d)사이에 라운딩부(7e)를 형성하는 이유는 가이드돌기(7d)를 가이드공(3c)에 삽입한 상태에서 홀더(7)의 안착부(7b)에 LED(1)가 안착되도록 리드(1a)를 리드안내홈(7c)에 넣은 다음 LED를 기판(3)과 수평이 되도록 홀더(7)를 회전시킬 때 상기 라운딩부(7e)가 기판(3)의 표면과 접속된 상태로 안정되게 이동하여 홀더(7)에 형성된 고정돌기(7a)가 기판(3)의 고정공(3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7도는 본 고안장치의 작업순서를 나타낸 공정도로써, 먼저 (가)와 같이 홀더(7)에 형성된 안착부(7b)가 상부를 향하도록 가이드돌기(7d)를 기판(3)에 형성된 가이드공(3c)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7)에 형성된 안착부(7b)에 LED(1)가 안착되도록 리드(1a)를 리드안내홈(7c)에 삽입하면 (나)와 같이 상기 LED(1)의 리드(1a)가 기판(3)에 형성된 리드삽입공(3a)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LED(1)가 안착부(7b)에 안착된다.
이와같이 LED(1)가 홀더(7)의 안착부(7b)에 안착되게 리드(1a)를 리드안내홈(7c)에 삽입하고 난 후 홀더(7)를 (다)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홀더(7)에 형성된 라운딩부(7e)가 기판(3)의 표면과 접속된 상태로 회동됨과 동시에 홀더(7)의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7a)가 기판(3)에 형성된 고정공(3b)에 끼워져 홀더(7)가 기판(3)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7)의 방향을 90°방향 전환함에 따라 리드안내홈(7c)내에 삽입된 각 리드(1a)는 상호 접속되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90°절곡되어 (다)와 같이 된다.
상기 홀더(7)의 안착부(7b)에 LED(1)가 안착되고 고정돌기(7a)가 기판(3)의 고정공(3b)에 고정되고 나면 기판(3)의 저면에서 삽입공(3a)에 삽입된 리드(1a)를 납땜하므로써 LED(1)의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기판(3)에 LED(1)를 고정시키고 난 후 기판을 본체(4)에 고정하면 홀더(7)에 내장된 LED(1)의 높이 및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장치는 별도의 홀더내에 LED를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를 기판에서 회동시켜 리드를 절곡하게 되므로 LED의 높이 및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됨은 물론 부품의 리드납땜작업시 LED의 리드를 한꺼번에 납땜작업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LED(1)가 고정되는 기판(3)에 고정공(3a)을 형성하고 LED(1)의 위치를 결정하는 홀더(7)에는 상기 기판(3)의 고정공(3b)에 끼워지는 고정돌기(7a)를 형성함과 동시에 홀더(7)의 내부에 LED(1)가 지지되는 안착부(7b)와, 리드(1a)가 삽입되는 리드안내홈(7c)을 형성하여 LED(1)를 안착부(7b)에 안착하고 리드(1a)는 리드안내홈(7c)에 끼운상태에서 고정돌기(7a)를 고정공(3b)에 끼우고 리드(1a)를 기판(3)에 납땜하여서 된 엘이디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7)의 저면에 가이드돌기(7d)와 라운딩부(7e)를 형성하고 기판(3)에는 상기 가이드돌기(7d)가 삽입되는 가이드공(7c)을 형성하여서 된 엘이디의 고정장치.
KR2019940028956U 1994-11-01 1994-11-01 엘이디의 고정장치 KR0110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956U KR0110476Y1 (ko) 1994-11-01 1994-11-01 엘이디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956U KR0110476Y1 (ko) 1994-11-01 1994-11-01 엘이디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565U KR960019565U (ko) 1996-06-19
KR0110476Y1 true KR0110476Y1 (ko) 1998-04-14

Family

ID=1939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956U KR0110476Y1 (ko) 1994-11-01 1994-11-01 엘이디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04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814A (ko) * 1998-12-19 2000-07-05 전주범 전자제품용 발광 다이오드 고정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814A (ko) * 1998-12-19 2000-07-05 전주범 전자제품용 발광 다이오드 고정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565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8266A (ja) 回路部品の固定具および固定方法
JP7291383B2 (ja) Led照明装置
KR0110476Y1 (ko) 엘이디의 고정장치
FI70342C (fi) Enhaollare foer en ljuskaella i en tryckknappsstroemstaella re
WO1994019809A1 (en) Circuit component stand-off mount
US6048082A (en) Direct-mounting electric lamp unit
KR100630459B1 (ko) 드릴비트 링 조정장치 및 드릴비트 링 조정방법
JP7026382B2 (ja) Led照明装置
KR200426244Y1 (ko) 커넥터 전선 삽입용 지그
JPH098182A (ja) 電子部品用スペーサ、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部品
JP2003178611A (ja) 灯具組立装置
JP2503495Y2 (ja) 部品実装治具
KR102383030B1 (ko) 반도체 패키지용 케이블 재단 포인트 설정방법
EP2910850A1 (en) Supporting device for LEDs, particularly for LED modules
KR100274041B1 (ko) 도전볼 탑재장치
JPS6234461Y2 (ko)
JPH06224569A (ja) 発光ダイオードの取付装置
JP2001122328A (ja) 半導体装置用キャリアテープ
JPS5820943Y2 (ja) 検出コイルの取り付け装置
JP2004349371A (ja) 電子部品ホルダー
JPH06201770A (ja) 半導体装置の測定用プローブボード
KR102091754B1 (ko) 부품 실장기용 기판 지지 장치
JP3056033U (ja) ボールグリッドアレイ集積回路チップに用いるソケットとコンタクト
KR970006981Y1 (ko) 디바이스의 고정장치
KR970006518Y1 (ko) 패키지 테스트용 프로브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