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09678Y1 - 자동차용 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09678Y1
KR0109678Y1 KR2019940031256U KR19940031256U KR0109678Y1 KR 0109678 Y1 KR0109678 Y1 KR 0109678Y1 KR 2019940031256 U KR2019940031256 U KR 2019940031256U KR 19940031256 U KR19940031256 U KR 19940031256U KR 0109678 Y1 KR0109678 Y1 KR 0109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andle
remote control
car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838U (ko
Inventor
이상대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40031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09678Y1/ko
Publication of KR960017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09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09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키의 손잡이 부분과 키 삽입부분을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한 개의 키 삽입부를 이용해서 리모콘 기능이 부가된 손잡이 또는 보통의 손잡이에 선택적으로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 삽입부나 손잡이의 손상에 따라 비손상부위도 모두 교환하여야 하는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키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용 키의 손잡이 부분과 키 삽입부분이 서로 분리·결합될 수 있는 자동차용 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키 실린더에 삽입되는 키 삽입부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부와 손잡이를 체결수단에 의해서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비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키겸용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비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키
제1도는 종래 자동차용 키를 보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키 삽입부21 : 손잡이
30 : 체결수단31 : 결합봉
32 : 결합구멍33 : 테이퍼 구멍
34 : 테이퍼 핀
본 고안은 자동차용 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키의 손잡이 부분과 키 삽입부분을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한 개의 키 삽입부를 이용해서 리모콘 기능이 부가된 손잡이 또는 보통의 손잡이에 선택적으로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 삽입부나 손잡이의 손상에 따라 비손상부위도 모두 교환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키는 첨부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키 실린더(도시않됨)에 삽입되는 키 삽입부(10)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납작한 형태로 된 손잡이(11)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키는 사용도중에 키 삽입부(10)는 키 실린더(도시않됨)와의 잦은 접촉에 의해 마모되어 교환할 필요가 생기는 데 손잡이 (11)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부득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손잡이(11)도 함께 폐기 처분하여야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자원재활용의 측면에서도 역행되는 구조를 하고 있었다.
또한, 고급차량의 경우 손잡이(11) 내부에 리모콘 장치를 설치하여 차내에서 사용가능한 소형적외선리모콘 또는 차밖의 근거리에서 사용가능한 전파 무선조정장치를 겸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리모콘 기능이 부가된 손잡이(11)는 고가제품이어서 키 삽입부(10)가 마모되어 못쓰게 되었을 경우라도 폐기처분하지 못하고, 키의 기능은 상실한 체로 소지하고, 리모콘 기능이 부가되지 않는 키를 새로이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리모콘 기능이 부가된 새로운 키를 구입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 리모컨 기능이 없는 보통의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리모콘 기능이 부가된 키를 구매할 때 키 삽입부(10)를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용 키의 손잡이 부분과 키 삽입부분이 서로 분리·결합될 수 있는 자동차용 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키 실린더에 삽입되는 키 삽입부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부와 손잡이를 체결수단에 의해서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자동차용 키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키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삽입부(20)와 손잡이(21)를 체결수단(30)에 의해서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상기 체결수단(30)은 상기 키 삽입부(20)와 손잡이(21)의 연결부위에 각각 결합봉(31)과 결합구멍(32)을 형성하고, 이 결합봉(31)과 결합구멍(32)에는 서로 일치하는 테이퍼 구멍(33)을 관통형성하여 테이퍼 핀(34)이 이 테이퍼 구멍(33)에 끼워지거나 이탈됨으로써 상기 키 삽입부(20)의 결합봉(31)이 상기 손잡이(21)의 결합구멍(32)에 끼워져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결합봉(31)은 도시예에서와 같이 환봉형상으로 구성하였으며, 선단은 결합위치결정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모따기 가공하였다.
또한, 상기 결합구멍(32)도 상기 결합봉(31)과 같이 원형으로 되어 있고 바닥면(32a)을 가지고 있는 구멍형태로 형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는 리모콘 기능이 부가된 리모콘 키 손잡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삽입부(20)는 손잡이(21)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이들을 결합하여야 할 경우 키 삽입부(20)에 마련된 결합봉(31)을 손잡이(21)에 형성된 결합구멍(32)에 진입시킨 다음 서로에 형성된 테이퍼 구멍(33)을 일치시키고, 테이퍼 핀(34)을 이 테이퍼 구멍(33)에 압입시키게 되면, 키 삽입부(20)는 길이방향으로 빠질 수도 없고, 회전도 안되는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서로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테이퍼구멍(33)의 일측에 노출된 테이퍼 핀(34)의 작은 선단측에 송곳 등의 가느다란 공구를 대고 망치를 이용해서 축방향으로 강하게 내리치게 되면, 테이퍼 핀(34)이 테이퍼구멍(33)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키 삽입부(20)와 손잡이(21)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서로 이탈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제2도에 도시된 리모콘 키 손잡이(22)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첫 번째에 기술된 키 삽입부(20)와 이 리모콘 키 손잡이(22)를 처음과 같이 결합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키 삽입부가 마모되어 못쓰게 되더라도 키 삽입부만을 분리하여 폐기하고, 새로운 키 삽입부를 만들어서 손잡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될 경우 비손상부위(손잡이)도 같이 폐기처분하여야 되는 비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더욱이 리모콘 기능이 부가되지 않은 손잡이에서 리모콘 기능이 부가된 손잡이로 교환할 경우 삽입부를 새로 제작할 필요없이 분리·결합하는 과정만 거치면, 키겸용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비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키 실린더에 삽입되는 키 삽입부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부(20)와 손잡이(21)를 체결수단(30)에 의해서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0)은 상기 키 삽입부(20)와 손잡이(21)의 연결부위에 각각 결합봉(31)과 결합구멍(32)을 형성하고, 이 결합봉(31)과 결합구멍(32)에는 서로 일치하는 테이퍼 구멍(33)을 관통형성하여 테이퍼 핀(34)이 이 테이퍼구멍(33)에 끼워지거나 이탈됨으로써 상기 키 삽입부(20)의 결합봉(31)이 상기 손잡이(21)의 결합구멍(32)에 끼워져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키.
KR2019940031256U 1994-11-25 1994-11-25 자동차용 키 KR0109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256U KR0109678Y1 (ko) 1994-11-25 1994-11-25 자동차용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256U KR0109678Y1 (ko) 1994-11-25 1994-11-25 자동차용 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838U KR960017838U (ko) 1996-06-19
KR0109678Y1 true KR0109678Y1 (ko) 1997-12-13

Family

ID=1939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256U KR0109678Y1 (ko) 1994-11-25 1994-11-25 자동차용 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096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838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0586A (en) Tool handle
US4847950A (en) Self retained axle pin assembly for shear application
EP0983890A3 (en) Door locking assembly for a vehicle
WO2002047198A3 (en) Replacable antenna arrangement integrated within the bodywork part of a vehicle
US3587260A (en) Two-piece key
KR0109678Y1 (ko) 자동차용 키
USD472434S1 (en) Contoured socket head for a key
KR20090125653A (ko) 자동차 키
JPH0748417Y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構造
KR200185249Y1 (ko) 이너트림 장착용 클립 어셈블리
KR200302310Y1 (ko) 비상용 카드키
CA2266285A1 (en) Hitchball securing device
DE19842372A1 (de) Flachschlüss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TE91167T1 (de) Verstaerkter plastikschluesselschaft.
KR100372677B1 (ko) 자동차의 쇄기형 도어트림 결합장치
KR200157021Y1 (ko) 카오디오용 릴리이스 버튼의 스프링 고정구조
KR0126805Y1 (ko) 보조 핸들이 내장된 핸들
KR0113505Y1 (ko) 차량용 도어랫치의 언로킹레버와 도어로드의 체결구조물
FI92625C (fi) Ovenpainike tai vastaava
JPS6219102U (ko)
JP2002216928A (ja) ロック解除用補助具
KR20000014795U (ko) 전자렌지의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KR100568819B1 (ko) 차량용 시프트레버 어셈블리
KR960007805Y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카아단 조인트구조
EP0886201A1 (en) Knob for the gear shift lever of auto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