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09255Y1 -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 Google Patents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09255Y1
KR0109255Y1 KR2019920028345U KR920028345U KR0109255Y1 KR 0109255 Y1 KR0109255 Y1 KR 0109255Y1 KR 2019920028345 U KR2019920028345 U KR 2019920028345U KR 920028345 U KR920028345 U KR 920028345U KR 0109255 Y1 KR0109255 Y1 KR 0109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malfunction
multivibrator
pulse
contr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28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395U (ko
Inventor
조민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20028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09255Y1/ko
Publication of KR9400183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3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09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09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정펄스폭을 가진 리모콘 신호만을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적으로 간편하게 구현가능한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오동작 대책 회로는, 소정의 리모콘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리모콘 데이타의 펄스 주기(T1)와 현재 펄스열의 최초상승모서리와 다음 펄스열의 최초 상승모서리간의 시간간격(T3)을 검출하여, 원하는 리모콘 데이타를 판단하고, 원하는 리모콘 데이타가 아닌 경우, 오동작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오동작 판단수단(10)과, 상기 오동작판단수단(10)으로부터 상기 오동작 판단수단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입력되는 리모콘 데이타를 차단하는 스위치부(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의 상세회로도.
제2도(a)(b)(c)(d)(e)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동작 판단부 20 : 스위치부
3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12,13 : 멀티바이브레이터
Trl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펄스폭을 가진 리모콘 신호만을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적으로 간편하게 구현가능한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및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등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간편하고, 원격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리모콘, 즉, 원격조정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모콘은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키패드를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특정 키가 조작되는 경우, 일련의 데이타 펄스를 발생한다. 일련의 데이타 펄스는 텔레비젼 또는 VCR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되어 사용자의 명령으로 해석되며, 해석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특정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전형적으로, 전술하는 일련의 데이타 펄스는 리모콘의 제작회사에 따라 다양한 펄스폭을 가지게 되며, 서로 대응하는 텔레비젼 또는 VCR의 사전 프로그램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즉, 특정 제조업체에 따른 특정 펄스폭을 갖는 데이타 펄스열에만 정확하게 응답하기 위해 종래의 텔레비젼 또는 VCR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펄스주기 또는 펄스폭을 판단하기 위한 복잡한 소프트웨어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종래의 텔레비젼 또는 VCR은 다른 제조업체에서 제조된 리모콘에서 발생하는 다른 펄스폭을 가진 데이타 펄스열에 응답하여, 종종 오동작을 하게 된다. 비록,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방지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 상당히 복잡한 루틴을 수행함으로 텔레비젼이나, VCR등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처리능력에 커다란 부담을 주게 되며, 더 많은 기억용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가격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편하게, 손쉽게 구현 가능한 하드웨어 수단에 의해 제조회사가 다른 리모콘 데이타를 정확하게 차단할 수 있는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의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펄스열을 포함하는 리모콘 데이타를 수신하고, 이를 해석하여 원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를 포함하는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는, 상기 리모콘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펄스의 주기와 현재 펄스열의 최초상승 모서리와 다음 펄스열의 최초 상승 모서리간의 시간간격을 검출하므로서 상기 리모콘 데이타가 원하는 리모콘 데이타인지를 판단하고, 원하는 리모콘 데이타가 아닌 경우, 오동작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오동작 판단 수단과, 상기 오동작 판단수단으로부터 상기 오동작 판단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리모콘 데이타를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동작 판단수단이 상기 리모콘 데이타를 입력하며, 상기 펄스주기와 동일한 시정수를 갖는 제 1 멀티바이브레이터 수단과, 상기 멀티 바이브레이터 수단의 반전출력에 결합되며, 상기 시간간격에서 상기 펄스열의 간격을 감산한 시간간격보다 작은 시정수를 가진 제 2 멀티바이브레이터 수단과,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 수단의 반전출력에 결합되며, 상기 리모콘 데이타의 최초 펄스열의 시간 간격동안 상기 오동작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제 3 멀티바이브레이터 수단을 포함하며, 오동작 판단수단의 출력이 상기 제 2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과 상기 제 3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반전출력과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는 3개의 멀티바이브레이터(11)(12) 및 (13)를 포함하는 오동작 판단부(10)와 스위칭부(20)를 포함한다.
오동작 판단부(10)는 리모콘으로 부터의 일련의 데이타 펄스를 입력하여, 기 설정된 펄스폭을 가진 원하는 리모콘의 신호인가를 판단하고, 입력데이타 펄스가 기 설정된 펄스폭을 갖지 않은 경우, 오동작 판단신호를 발생한다. 오동작 판단부(10) 전술한 바와 같이, 3개의 멀티바이브레이터(11)(12) 및 (13)을 포함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1)(12) 및 (13)는 각각 2개의 입력(A1,B1)(A2,B2) 및 (A3,B3)를 포함하며, 2개의 출력(Q1,Q2),(Q2,Q2) 및 (Q3,Q3)를 포함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1)(12) 및 (13)는 또한 각각 제어단(CK1),(CK2),(CK3)를 포함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시정수는 캐패시터(C1) 및 저항(R1)에 의해 결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약 3.5 내지 3.7ms이다.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시정수는 캐패시터(C2)와 저항 (R2)에 의해 결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약 75 내지 80ms이다. 멀티바이브레이터(13)의 시정수는 캐패시터(C3) 및 저항 (R3)에 의해 결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약 220ms이상이다.
리모콘으로부터의 데이타는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입력(A1)에 결합되며, 멀티바이브레이터의 타입력(B1) 및 제어단(CK1)에서는 전원(B+)결합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출력(1)은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입력(A2)에 결합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타입력(B2) 및 제어단(CK2)에는 전원(B+)가 결합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Q2)는 다이오드(D1)을 통해 스위치부(20)에 결합되며 출력(Q2)는 멀티바이브레이터(13)의 입력(B3)에 결합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3)의 입력(A3)는 접지에 결합되며, 제어단(CK3)는 전원(B+)가 결합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3)의 출력(3)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스위치부(20)에 결합된다.
스위치부(20)는 트랜지스터(Tri)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Trㅣ)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3)을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리모콘 입력단에 결합되며, 그의 에미터는 접지에 결합되고, 그의 베이스는 저항(R4),(R5)를 통해 다이오드(D1),(D2)에 공통으로 결합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따른 오동작 대책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로서, 제2도(a)는 본 고안에서 이용하는 정확한 리모콘 데이타의 포멧을 도시한다. 제2도(a)에 따르면, 리모콘 데이타는 다수의 펄스열을 포함하며, 각 펄스의 주기(T1)는 약 1.778ms이고, 펄스열의 간격(T2)의 약 25ms이다. 또한 펄스열의 최초 펄스의 상승모서리와 다음 펄스열의 상승 모서리간의 간격(T3)은 약 110ms이다.
제2도(b)는 제2도(a)의 리모콘 데이타가 입력되는 경우의 오동작 대책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로서,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출력(1)은 리모콘 데이타의 펄스열중 최초의 펄스 상승모서리에서 H에서 L로 전환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시정수가 3.5 내지 37ms이고, 펄스열의 펄스 주기(T1)가 1.778ms이므로,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출력이 L에서 H로 전환되는 시점은 점(S1)이다. 점(S1)에서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Q2)은 L에서 H로 전환되며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시정수가 75 내지 80ms이므로 H에서 L로 전환된다.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은 점(S3)에서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출력이 L에서 H로 전환되는 순간 동일하게 L에서 H로 전환된다. 그 결과, 점(S2)와 점(S3)간의 간격은 30내지 35ms가 된다.
따라서, 다이오드(D1) 및 (D2)를 통한 멀티바이브레이터(12) 및 (13)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Trl)는 점(S1)과 점(S2)사이의 간격에서 도통되어 리모콘 데이타를 접지로 바이패스 시키며, 점(S2)와 점(S3)사이의 간격에서 차단되어 리모콘 데이타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점(S1)이전 시간 간격동안 트랜지스터(Trl)를 멀티바이브레이터(13)의 출력에 의해 도통시키는 것은 하나의 펄스열을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최초의 펄스열이 무조건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도(c)는 헤드펄스를 가진 펄스열을 포함하는 리모콘 데이타가 입력되는 경우의 오동작 대책회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헤드펄스는 4 내지 5ms의 펄스간격을 가지는 것으로,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출력(Q1)은 점(S4)에서와 같이 상승모서리를 갖게 되며, 이때문에 점(S4)에서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Q2)은 L에서 H로 전환되고, 트랜지스터( Trl)이 도통되어 리모콘 데이타가 접지로 바이패스 된다.
제2도(d)는 헤드 펄스가 없고 펄스의 주기가 3.7ms이상인 펄스를 가진 펄스열을 포함하는 리모콘 데이타 입력시 오동작 대책회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입력 펄스열의 펄스 주기가 3.7ms이상이므로 점(S5) 및 (S6)에서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출력(Q2)은 L에서 H로 전환되고,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Q2)는 점(S5)로부터 H를 유지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l)이 점(S5)로 부터 도통되어, 리모콘 데이타가 접지로 바이패스된다. 제2도(e)는 헤드 펄스가 없고 펄스의 주기가 3.7ms 이상인 펄스를 가지며, 각 펄스열의 최초 펄스의 상승 모서리간의 시간간격이 75ms 이하인 펄스열을 포함하는 리모콘 데이타 입력시 오동작 대책회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입력펄스열의 펄스 주기가 3.7ms 이하이므로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출력(Q1)은 점(S7) 및 점(S8)에서 L에서 H로 전환되며,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Q2)은 점(S7)에서 L 에서 H 로 전화되어 계속 H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Trl)이 점(S7)에서 도통되어 리모콘 신호를 접지로 바이패스하게 되지만, 첫번째 펄스열 또는 멀티바이브레이터(13)이 점(S7)이전 구간동안 H를 유지하기 때문에 접지로 바이패스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설명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리모콘 오동작회로로는 간단한 하드웨어적인 수단을 제공하므로서 입력되는 리모콘 데이타의 펄스주기 및 현재 펄스열의 최초 상승모서리와 다음 펄스열의 최초 상승모서리간의 시간 간격을 검출하여 원하는 리모콘 데이타가 아닌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의 리모콘 데이타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므로서 오동작을 방지하는 등의 커다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의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펄스열을 포함하는 리모콘 데이타를 수신하고, 이를 해석하여 원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를 포함하는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펄스의 주기(T1)와 현재 펄스열의 최초 상승모서리와 다음 펄스열의 최초 상승모서리간의 시간간격(T3)을 검출하므로서 상기 리모콘 데이타가 원하는 리모콘 데이타인지를 판단하고, 원하는 리모콘 데이타가 아닌 경우, 오동작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오동작판단수단(10)과, 상기 오동작판단수단(10)으로 부터의 상기 오동작 판단신호를 제공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입력되는 리모콘 데이타를 차단하는 스위치부(20)를 포함하는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동작 판단수단(10)이, 상기 리모콘 데이타를 입력하며, 상기 펄스주기(T1)와 동일한 시정수를 갖는 제 1 멀티바이브레이터수단(11)과,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수단(11)의 반전출력(Q1)에 결합되며, 상기 시간간격에서 상기 펄스열의 간격(T2)를 감산한 시간간격보다 작은 시정수를 가진 제 2 멀티바이브레이터수단(12)과,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수단(12)의 반전출력(Q2)에 결합되며, 상기 리모콘 데이타의 최초 펄스열의 시간간격동안 상기 오동작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제 3 멀티바이브레이터(13)를 포함하며, 오동작판단수단(10)의 출력이 상기 제 2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Q2)와 상기 제 3 멀티바이브레이터(13)의 반전출력(3)의 결합인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KR2019920028345U 1992-12-31 1992-12-31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KR0109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8345U KR0109255Y1 (ko) 1992-12-31 1992-12-31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8345U KR0109255Y1 (ko) 1992-12-31 1992-12-31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395U KR940018395U (ko) 1994-07-30
KR0109255Y1 true KR0109255Y1 (ko) 1998-12-15

Family

ID=1934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28345U KR0109255Y1 (ko) 1992-12-31 1992-12-31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09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28B1 (ko) * 2005-10-14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컴의 신호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28B1 (ko) * 2005-10-14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컴의 신호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395U (ko) 199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4840A (en) Dual limit solenoid driver control circuit
US4583189A (en) Microprocessor-based scan-mode keying circuit
KR0109255Y1 (ko) 리모콘 오동작 대책회로
US6937160B2 (en) Sensor arrangement for application to at least one data item
KR100190790B1 (ko) 펄스검출용회로및이회로를포함하는비디오레코더
CA2057802C (en) Key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GB2229875A (en) Switching circuits
JPH05297992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入力回路
JP3765134B2 (ja) 瞬時停電検出装置
JP2745977B2 (ja) 信号入力回路
JPH07102275B2 (ja) 洗濯機の運転制御装置
KR960009888B1 (ko) 예약녹화시 테이프 잔량에 따른 레코우더 스피드 변환회로 및 방법
KR940002753Y1 (ko) 녹화제어회로
WO1988004095A1 (en) Control system for use with video cassette recorders
JP2000029545A (ja) 直流電圧パワ―パック
KR0151474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입력 라인 자동 선택 장치
KR890003588Y1 (ko)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의 타이머모드 절환회로
KR940000875Y1 (ko) 인버터의 목표주파수 도달회로
KR930000755Y1 (ko) Viss 신호검출 오동작 방지회로
KR950001174B1 (ko) 입력신호 자동절환회로
KR910001575Y1 (ko) 표시점을 사용한 온-스크린 인디케이터 회로
KR860003524Y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리세트 회로
KR850000854B1 (ko)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JPH05322939A (ja) 電圧検出回路
JPS59184410A (ja) 操作部のスイツチ投入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