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54B1 -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54B1
KR850000854B1 KR1019830003143A KR830003143A KR850000854B1 KR 850000854 B1 KR850000854 B1 KR 850000854B1 KR 1019830003143 A KR1019830003143 A KR 1019830003143A KR 830003143 A KR830003143 A KR 830003143A KR 850000854 B1 KR850000854 B1 KR 85000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alarm
signal
monit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586A (ko
Inventor
허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3000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854B1/ko
Publication of KR85000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도.
제2도는, 제3도는 본 발명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외선 감지센서 2,3 : 여파회로
4 : 출몰검지부 5 : D형 플립플롭
6 : 경보장치 구동부 7 : 경보부
8 : 모니터장치 구동제어부
OP1~OP4: 차동증폭기 a~g : 각회로의 신호선
J,KRS,S,Q : D형 플립플롭(5)의 단자
NAND1~NAND3: 낸드 게이트 NO,R1NOR2: 노아게이트
TA1:트라이액 SW1: 초인종 스위치
SW2: 외부확인용 스위치 B : 버저
T1,T2: 트라이액(TA1)의 단자 VC : 비데오 카메라
MO : 모니터W1,W2,W'1W2: 전원선
LED1: 발광표시등
본 발명은 방문객의 왕래상태를 검지하여 이를 버저와 표시등으로써 경보하고 모니터로 확인할 수 있는 경보및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광전소자를 이용한 경보장치는 방문객의 출현시에 일정시간 또는 연속적으로 경보음 발생장치의 경보수단을 동작 시키므로 이러한 장치로써는 경보의 대상이 일시적으로 지나쳐가는 대상인지 방문객인지 확실하게 판별해낼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경보장치가 가지는 제결점을 개선한 것으로 적외선 감지센서와 증폭기및 논리회로를 경보장치와 모니터장치에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므로써 사용자의 임의적인 선택이나 방문객의 통사적인 호출수단에 따라서 방문객의 출현상태를 경보하고 방문객의 모습을 즉시 확인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적외선 감지센서(1)와 차동증폭기(OP1)(OP2)(OP3)(OP4) 및 여파회로(2)(3)로써 방문객의 출몰상태를 검지해서 이에 대응되는 전형적인 신호파형을 출력하는 출몰검지부(4)와 각 출력단(b)(c)을 D형 플립플롭(5)의 셋트단자(RS)에 연결하고, 경보장치 구동부(6)에는 D형 플립플롭(5)의 출력단자(Q)와 방문객용 초인종 수위치(SW1)를 연결하여 경보부(7)의 발광표시등(LED1)과 버저(B)가 구동되도록하며 경보장치 구동부(6)의 일부신호와 외부확인용 스위치(SW2)를 모니터장치 구동제어부(8)에 연결해서 비데오 카메라(VC) 및 모니터(MO)를 자동 도는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TA1은 트라이액, NAND1-NAND3은 낸드게이트, NOR1NOR2는 노아게이트, T1,T2는 트라이액(TA1)의 단자, B+는 동적전원을 나타낸다.
제1도는 상기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로써, 해당감시장소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적외선 감지센서(1)는 제2도의 (2-1)의 기간동안의 방문객출현시 제2도의(2-2-A)와 같은 부(-)특성의 신호를 발생하고, 방문객이 사라지게 되면 제2도의(2-2-B)과 같은 정(+) 특성의 신호를 발생하는 특징적인 동적을 실시한다.
우선 방문객이 출현하여 적외선 감지센서91)에서 부(-) 특성의 신호가 발생되면 이 신호는 출몰검지부(4)의 차동증폭기(OP1)(OP3)에 가해지는데 차동증폭기(OP1)의 부(-)의 단자에 입력된 신호는 위상이 반전되어 정(+)의 파형으로써 여파회로(2)에 가해져서 정형화되고, 차동증폭기(OP2)에 의해서 다시 증폭되어 제2도의(2-3)과 같은 형태의 신호로 D형 플립플롭(5)의 셋트단자(S)에 입력된다.
한편, 차동증폭기(OP3)에 입력되는 부(-)특성의 신호는 그 입력단이 정(+)의 단자이므로 차동증폭기(OP4)의 출력측에는 아무런 신호도 발생하지 않게되어 D형 플립플롭(5)의 리셋트단자(RS)에는 동적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D형 플립플롭(5)에로의 신호인가에 따라 D형 플립플롭(5)의 출력단자(Q)에서는 적외선 감지센서(1)의 부(-)특성 신호에 대하여 제2도의 (2-5)와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는 적외선 감지 센서(1)에서의 정(+) 특성 신호발생시까지 로우레벨 상태로 유지된다.
제2도의 (2-5)와 같은 출력단자(Q)의 신호는 낸드게이트(NAND1)를 통과하며(2-6)과 같은 신호로 바뀌고 이러한 신호파형은 노아게이트(NOR1)에서 로우레벨로 반전된후 낸드게이트(NAND2)에 의해 다시 하이레벨로 변환된다. 여기에서 초인종 스위치(SW1)가 방문객에 의해서 온(ON) 상태로 되면 이러한 신호도 낸드 게이트(NAND2)에서 하이레벨로 나타나게 된다.
제3도의(3-1) 및 (3-2)는 적외선 감지센서(1)의 부(-) 특성신호의 변환 신호파형과 방문객용의 초인종 스위치(SW1)에 의해서 발생되는 신호를 각각 표시하는 것으로 이들은 노아게이트(NOR1)에서 조합되어 낸드 게이트(NAND2)에서 제3도의 (3-4)와 같은 신호 파형으로 나타난다.
이와같은 경보장치 구동부(6)의 논리회로 동작에 따라서 하이레벨로 출력되는 신호는 경보부(7)의 트랜지스터(TR1)에 가해지어 트랜지스터(TR1)를 턴-온(TURN-ON)상태로 만든다. 트랜지스터(TR1)가 턴-온(TURN-ON)됨에 동작전원(B+)이 버저(B)와 발광표시등(LED1)에 가해지어 이들을 동작시키므로 사용자는 경보음과 경보광에 의해서 방문객의 출현을 인식하게 된다.
경보장치 구동부(6)중 낸드게이트(ANND1)의 신호일부는 모니터장치 구동제어부(8)의 노아게이트(NOR2)에 가해지어 낸드게이트(NAND3)의 출력단에 제3도의 (3-5)와 같은 하이레벨의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외부확인용 스위치(SW2)가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온(ON)되었을 때에도 낸드게이트(NAND3)의 출력단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발생한다.
이러한 제3도의(3-5)와 같은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R2)는 턴-온(TURN-ON) 상태가 되어 동적전원(B+)은 저항(R17)을 거쳐서 트라이액(TA1)의 게이트에 가해진다. 이로써 트라이액(TA1)의 단자(TA1)(T2) 간은 도통상태가 되므로 교류전원이 전원선(W1)(W2)(W'1)(W2)을 통해서 비데오 카메라(VC)와 모니터(MO)에 가해지어 모니터 장치를 동적상태로 만들게 되고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방문객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방문객이 적외선 감지센서(1)의 감지부분에서 사라져가면 즉, 감시장소에서 사라지게 되면 적의선 감지센서(1)에서는 제2도의(2-2-B)와 같은 정(+) 특성의 신호가 발생되어 차동증폭기(OP3)의 정(+)의 입력단자에 가해진다. 이 신호는 여파회로(3)와 차동증폭기(OP4)를 거친후 제2도의(2-4)와 같은 하이레벨의 신호로 D형 플립플롭(5)의 리셋트단자(RS)에 가해지므로 출력단자(Q)에서는 제2도의(2-5)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하이레벨의 파형이 출력된다.
따라서 낸드 게이트(NAND1)의 출력단은 로우레벨로 바뀌고 낸드 게이트(NAND2)의 출력단도 로우레벨로 바꾸게 되어 버저(B)와 발광표시등(LED1)의 작동이 중지된다.
한편, 노아게이트(NOR2)에 입력되는 신호도 로우레벨로 바뀌므로 사용자의 임의적인 조작에 의하는 외부확인용 스위치(SW2)가 온(ON)상태로 되지 않는 한 트라이액(TA1)이 비동작상태로 되어모니터(MO) 및 비데오 카메라(VC)는 자동적으로 비동작 상태가 된다.
제3도의 (3-5)는 상기한 여러조건에 따라서 바뀌어지는 낸드게이트(NAND3)출력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t1의 기간에는 버저(B)와 발광표시등(LED) 및 모니터(MO), 비데오 카메라(VC)가 동작 상태로되고, t2의 기간에는 초인종 스위치(SW1)가 방문객에 의해서 온(ON) 상태로 되어 버저(B)와 발광표시등(LED1)만의 경보를 발히게 되며 이 기간에는 모니터(MO)와 비데오 카메라(VC)가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t3의 기간은 방문객이 사라지거나 초인종 스위치(SW1)가 오프(OFF) 상태로 되는 기간이므로 버저(B)와 발광표시등(LED1) 및 모니터(MO), 비데오 카메라(VC)는 모두 비동작상태로 된다. t4의 기간은 사용자의 임의적인 선택에 의해서 외부확인용 스위치(SW2)가 온(ON) 상태로 되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써 이때에는 모니터(MO)와 비데오 카메라(VC)등의 모니터장치만이 동적상태로 되고 경보부(7)는 비동작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적외선 감지센서(1) 및 기타 논리회로, 경보장치, 모니터장치등을 유기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경보장치가 호출장치처럼 인터폰을 통해서 번거롭게 방문객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청각, 시각적으로 방문객의 내왕을 정확히 인식하고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뿐 아니라, 필요시에는 외부확인용 스위치(SW2)로써 감시장소의 상태를 임의적으로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인종 스위치(SW1)를 부가설치 하므로써 일반적인 호출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적외선 감지센서(1)와 차동증폭기(OP1)(OP2)(OP3)(OP4) 및 여파회로(2)(3)로써 방문객의 출몰상태를 검지해서 이에 대응되는 정형적인 신호 파형을 출력하는 출몰검지부(4)의 각 출력단(b)(c)을 D형 플립플롭(5)의 셋트단자(S)및 리셋트단자(RS)에 연결하고, 경보장치 구동부(6)에는 D형 플립플롭(5)의 출력단자(Q)와 방문객용 초인종 스위치(SW1)을 연결하여 경보부(7)의 발광표시등(LED1)과 버저(B)가 구동되도록하며 경보장치 구동부(6)의 일부신호와 외부확인용 스위치(SW2)를 모니터장치 구동제어부(8)에 연결해서 비데오 카메라(VC)및 모니터(MO)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KR1019830003143A 1983-07-09 1983-07-09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KR85000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143A KR850000854B1 (ko) 1983-07-09 1983-07-09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143A KR850000854B1 (ko) 1983-07-09 1983-07-09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586A KR850001586A (ko) 1985-03-30
KR850000854B1 true KR850000854B1 (ko) 1985-06-17

Family

ID=1922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143A KR850000854B1 (ko) 1983-07-09 1983-07-09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8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586A (ko) 198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5634A (en) Alternating current switching device
GB1446037A (en) Circuit integrity checking means for audio signal circuit
US4544893A (en) Battery voltage detector
KR850000854B1 (ko) 방문객 경보 및 확인장치
ATE146007T1 (de) Impulsdetektionsschaltung und videorekorder mit dieser schaltung
ATE166197T1 (de) Integrierte teilnehmerleitungsschnittstellenschaltung mit langsamem polaritätsumschalter
JPS5523551A (en) Control unit diagnostic equipment
JPH0535497Y2 (ko)
JP2970077B2 (ja) 通電装置の故障診断回路
JPH0317351Y2 (ko)
JPS64756B2 (ko)
JP3296122B2 (ja) 短絡内容検出方法
JP2802012B2 (ja) 防災監視装置
RU1837340C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адресным шлейфом пожар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JPS6347994Y2 (ko)
JPS6029040Y2 (ja) 警報設備の受信回路
JPS59147292U (ja) アナログ警報装置
JPS60198698A (ja) インタ−ホン装置
ES8603077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dispositivos de control remoto y verificacion
JPH0591562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S6314563B2 (ko)
JPS59183569A (ja) 親子式多局インタ−ホン等の異常検出回路
JPH0546149U (ja) 電話機器の可視可聴着信表示回路
JPS59151381U (ja) 無極性回路
JPH04295998A (ja) 自己診断機能付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