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753Y1 - 녹화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녹화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753Y1
KR940002753Y1 KR2019890002642U KR890002642U KR940002753Y1 KR 940002753 Y1 KR940002753 Y1 KR 940002753Y1 KR 2019890002642 U KR2019890002642 U KR 2019890002642U KR 890002642 U KR890002642 U KR 890002642U KR 940002753 Y1 KR940002753 Y1 KR 940002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eld effect
signal
input terminal
effec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697U (ko
Inventor
강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02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753Y1/ko
Publication of KR9000176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6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7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녹화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녹화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동작흐름도.
제 3 도는 제 1 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동기신호검파부 2 : 수평동기신호분리부
3 : 수평동기신호증폭부 4 : 녹화제어부
5 : 마이콤 6 : 키이펑션부
MM1-MM3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CP1,CP2 : 비교기
AND1,AND2 : 엔드게이트 B1,B2: 버퍼
FF1 : 플립플롭 FET1-FET3 :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녹화재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화된 비디오테이프에 무신호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녹화시에 영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을때 녹화를 일시정지 시키는 녹화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녹화시 영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비디오테이프에 부신호부분이 생기게 되어 녹화 완료후에 재생할때 이 무신호부분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므로 그 무신호부분을 없애려면 녹화시에는 키이를 조작하여 녹화를 일시정지 시켜야 하고, 녹화완료후에는 그 무신호부분에 다른 화면을 삽입해야 하는데, 불편할뿐더러 무신호부분만을 정확히 없애기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해 영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녹화기능이 일시정지되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녹화회로도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신호 입력단자(V1)로 인가되는 영상신호 중 수평동기신호가 수평동기신호 검출, 분리, 증폭부(1),(2),(3)에서 검출, 분리, 증폭되고, 키이 펑션부(6)의 조작에 의해 모드가 설정되어 각 모드의 기능이 마이콤(5)에 의해 제어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신호 증폭부(3)의 출력단자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의 출력단자를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를 통해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게이트에 접속함과 아울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MM3)의 입력단자에 공통접속하며,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드레인을 접지 캐패시터(C1)를 통해 저항(R2,R3)으로 기준전압(Vref1)이 설정되는 비교기(C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의 출력단자를 반전용 트랜지스터(Q1) 및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를 통한 후 전원단자(Vcc)가 파워스위치(SW1)를 통해 클리어단자(C)에 접속되는 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J)에 접속하는 한편, 입력단자(K)에는 인버터(NG1)를 통해 접속하고, 그의 출력단자(Q)를 상기 마이콤(5)의 입력단자(P2)에 접속하며,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MM3)의 출력단자를 앤드게이트(AND1),(AND2)의 일측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해 이들의 타측입력단자에 상기 마이콤(5)의출력단자(P1)를 공통접속하고, 그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단자를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에 접속하는 동시에 버퍼(B1)를 통해서는 버퍼(B2)를 통하는 상기 앤드게이트(AND2)의 출력단자와 접속해 그 접속점을 저항(R7) 및 접지캐패시터(C2)를 통하여, 저항(R8),(R9)으로 기준전압(Vref2)이 설정되는 비교기(C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의 출력단자를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의 게이트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를 동작흐름도인 제 2 도와 파형도인 제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워스위치(SW1)를 단락시키고, 키이펑션부(6)를 조작하여 녹화모드를 설정시켜 높으면 파워스위치(SW1)를 통해 제 3a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고전위신호가 플립플롭(FF1)의 글리어단자(C)에 인가되어 그 플립플롭(FF1)이 클리어되며, 마이콤(5)의 출력단자(P1)로부터 앤드게이트(AND1,AND2)의 일측 입력단자에 제 3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전위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영상신호입력단자(Vi)로 영상신호가 인가되면 제 3b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수평동기신호가 수평동기신호 검파, 분리, 증폭부(1),(2),(3)에 의해 검파, 분리, 증폭되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인가되면, 이는 수평동기신호의 상승에지에서 트리거되는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펄스발생시간을 수평동기신호의 1필드(Field)로 설정하여 제 3d 도에 나타낸 출력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출력신호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에 인가되는데, 상승에지에서 그를 트리거시켜 제 3e 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펄스가 앤드게이트(AND1)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 그 앤드게이트(AND1)로부터 제 3f 도에 도시한 바처럼 고전위신호가 출력되어 버퍼(B1) 및, 저항(R7), 캐패시터(C2)의 적분회로를 통해서는 저항(R8,R9)으로 기준전압(Vref2)이 설정되는 비교기(C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됨과 아울러,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따라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가 온되고, 이를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출력신호가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이를 온시키며, 이에 따라 그의 드레인으로부터 저전위신호가 출력되어 캐패시터(C1)를 통해 저항(R2,R3)으로 기준전압(Vref1)이 설정되는 비교기(C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단자로부터 고전위신호가 출력될 때 제 3g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패시터(C1)가 순간적으로 방전되었다가 충전되고, 이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어 기준전압(Vref1)과 비교된다.
또, 비교기(CP1)의 출력신호는 트랜지스터(Q1)에 의해 반전된 뒤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을 통해 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J) 및 인버터(NG1)로 반전되어 입력단자(K)에 인가된다.
즉, 비교기(C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1)은,이고, 이때 비교기(CP1) 의 비반전 입력단자의 전압이 기준전압(Vref1) 보다 낮으면 비교기(CP)1는 저전위신호를 출력하고 기준 전압(VreF1)보다 높으면 비교기(CP1)는 고전위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저전위신호가 입력됨으로인해 그 비교기(CP1)로부터 저전위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킴에 따라 이의 콜렉터로부터 고전위신호가 출력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은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가 저전위에서 캐패시터(C1)가 재충전되어 기준전압(Vref1)이 되는 기간동안은 고전위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만일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상기 기준전압(Vref1) 보다 높을때 비교기(CP1)로부터 고전위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킴에 따라 이의 콜렉터로부터 저전위신호가 출력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부터 제 3h 도에 도시한 파형의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앤드게이트(AND1)로부터 출력된 고전위펄스는 버퍼(B1), 저항(R7), 캐패시터(C2)의 적분회로를 통해 비교기(C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어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2),과 비교되는데, 이때 비교기(C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캐패시터(C2)의 충전전압이고, 이 캐패시터(C2)는 앤드게이트(AND1)의 고전위출력신호에 의해 제 4i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되어 비교기(CP2)로부터 제 4i 도에 도시한 파형의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비교기(CP2)의 고전위출력신호가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순간 그가 온되고, 이 순간에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부터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있으므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를 통해 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J) 에는 고전위신호로, 인버터(NG1)에 의해 반전되어 입력단자(K)에는 저전위신호로 인가되어 이의 출력단자(Q) 로부터 마이콤(5)의 입력단자(P2)에 고전위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이때 마이콤(5)은 녹화기능이 수행되도록 출력단자(P3)로 제 3l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신호를 출력한다.
그 후 영상신호 입력단자(Vi)로 영상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수평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에 저전위신호가 인가되어 이로부터 저전위신호가 출력되고,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 출력신호의 하강에지에서 트리거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3)가 트리거되어 제 3j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출력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3)의 고전위펄스에 의해 앤드게이트(AND2)로부터 상기 펄스구간동안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신호는 다시 캐패시터(C2)를 충전시키게 되어 캐패시터(C2)는 제 3h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되었다가 방전된다.
그리고, 이때 캐패시터(C2)의 충전전압은 비교기(CP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기준전압(Vref2)과 비교되므로 이 비교기(CP2)로부터 제 3h 도에 도시한 파형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 고전위신호에 의해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가 온되며, 앤드게이트(AND1)로부터 출력된 저전위신호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FET2)가 오프되어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드레인으로부터 고전위신호가 캐패시터(C1)를 통해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 비교기(CP1)로부터 고전위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로 반전된 후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를 통해 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J)에는 저전위신호로, 입력단자(K)에는 인버터(NG1)로 다시 반전되어 고전위신호로 인가된다.
따라서, 플립플롭(FF1) 의 출력단자(FF1)로부터 저전위신호가 출력되어 마이콤(5)의 입력단자(P2)에 인가되고, 이에따라 마이콤(5)은 출력단자(P3)로 저전위신호를 출력하여 녹화기능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영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녹화기능을 정지시킴으로써 비디오 테이프에 무신호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영상신호입력단자(Vi)로 인가되는 영상신호중 수평동기신호가 수평동기신호 검출, 분리, 증폭부(1),(2),(3)에서 검출, 분리, 증폭되고, 키이펑션부(6)의 키이조작에 의해 모드가 설정되어 각 모드의 기능이 마이콤(5)에 의해 제어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 신호증폭부(3)의 출력단자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의 출력단자를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를 통해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게이트에 접속하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MM3)를 각각 통해서는 일측입력단자에 상기 마이콤(5)의 출력단자(P1)가 공통접속되는 앤드게이트(AND1),(AND2)의 타측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드레인을 접지캐패시터(C1)를 통해 저항(R2,R3)으로 기준전압이 설정되는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의 출력단자를 반전용 트랜지스터(Q1) 및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를 통한후 전원단자(Vcc)가 파워스위치(SW1)를 통해 클리어단자(C)에 접속되는 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J)에 접속하는 한편, 그 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K)에는 인버터(NG1)를 통해 접속하며, 그의 출력단자(Q)를 상기 마이콤(5)의 입력단자(P2)에 접속하고, 상기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단자를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에 접속하는 동시에 버퍼(B1)를 통해 상기 앤드게이트(AND2)의 출력측과 접속해 그 접속점을 저항(R7) 및 접지캐패시터(C2)를 통하여 저항(R8,R9)으로 기준전압(Vref)이 설정되는 비교기(C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의 출력단자를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의 게이트에 접속하여 녹화시 영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녹화기능이 일시정지되게 제어하여 녹화된 비디오테이프에 무신호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제어회로.
KR2019890002642U 1989-03-08 1989-03-08 녹화제어회로 KR940002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642U KR940002753Y1 (ko) 1989-03-08 1989-03-08 녹화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642U KR940002753Y1 (ko) 1989-03-08 1989-03-08 녹화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697U KR900017697U (ko) 1990-10-05
KR940002753Y1 true KR940002753Y1 (ko) 1994-04-23

Family

ID=1928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642U KR940002753Y1 (ko) 1989-03-08 1989-03-08 녹화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7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348B1 (ko) * 2002-06-10 2005-03-16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타이머 기능 및 녹음 기능을 포함한 휴대용 보관장치
KR20060059627A (ko) *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씨앤케이 전자투약 알림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348B1 (ko) * 2002-06-10 2005-03-16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타이머 기능 및 녹음 기능을 포함한 휴대용 보관장치
KR20060059627A (ko) *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씨앤케이 전자투약 알림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697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351993A (en) Disc file agc circuit
JPS622783A (ja) Agc回路
KR940002753Y1 (ko) 녹화제어회로
US4390847A (en) Muting device
JP2872882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パワーオンリセット方法及び回路及び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910005746B1 (ko) 스테이션 검출회로
US5889421A (en) Device for detecting the locking of a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KR920008562Y1 (ko) Vcr의 오디오 뮤팅회로
KR880000583Y1 (ko) 자동녹화대기장치
KR910004442Y1 (ko) 브이티알의 무신호 입력시 일시정지 모우드수행회로
KR840001336Y1 (ko) 비데오 카메라의 녹화상태 제어용 트리거회로
KR930005604Y1 (ko) Vcr용 오녹화 방지 장치
JP2778105B2 (ja) クランプ回路
KR890005751Y1 (ko) 영상 신호 출력 제어회로
KR910007634Y1 (ko) 돌비 잡음제거 테이프 판별 및 제어회로
KR890003754B1 (ko) 신호 무입력시 자동 정지회로
JP3282419B2 (ja) 信号検出装置
KR890003588Y1 (ko)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의 타이머모드 절환회로
KR900006735B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기록오프회로
KR900010113Y1 (ko) 오소거 방지를 위한 이중 안전회로
KR920005104Y1 (ko) 음향기기의 테이프 소거방지회로
KR880004219Y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기능선택 자동제어 회로
JPS5947909B2 (ja) 同期分離装置
JPH0417510B2 (ko)
KR900007853Y1 (ko) 영상신호 검출응답시간 단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