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583Y1 - 자동녹화대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녹화대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583Y1
KR880000583Y1 KR2019850009668U KR850009668U KR880000583Y1 KR 880000583 Y1 KR880000583 Y1 KR 880000583Y1 KR 2019850009668 U KR2019850009668 U KR 2019850009668U KR 850009668 U KR850009668 U KR 850009668U KR 880000583 Y1 KR880000583 Y1 KR 880000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terminal
output
gat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9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895U (ko
Inventor
민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09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583Y1/ko
Publication of KR870002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5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2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recorded information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녹화대기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자동녹화대기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앤드게이트 2 : 재생신호 유무 판별기
3 : 인버터 5 : 펄스발생기
6,7 : 다이오드 8,9 : 티 플립플롭
10 : 시간지연기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의 무녹화 부분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녹화가능 상테로 대기할 수 있게 한 자동녹화 대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 녹화하고자 할 경우 그 테이프의 대략적인 위치를 선정하여 녹화하였다. 즉 일부분이 녹화된 테이프에 녹화하고자 할 경우 그 테이프의 녹화 끝 부분을 모니터의 화면을 보면서 직접 찾아 정지키이를 누르고, 이후 녹화 모우드로 전환시켜 무녹화 부분에 녹화하게 되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 테이프 주행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감각적으로 녹화 끝 부분을 정확히 찾아 그 녹화 끝 부분에 이어서 녹화하기란 켤코 쉬운일이 아니며, 설사 녹화 끝 부분을 정확히 찾아 그 녹화 끝 부분에 녹화할 수 있다하더라도 이는 몇 번의 반복동작을 수행한 후에만 좋은 편집이 이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부분이 녹화된 테이프에 녹화하고자 할 경우에 그 녹화된 끝부분이 자동으로 검출되어 녹화가능 상태로 대기하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레이키신호 입력단자(P1)와 녹화키대기신호 입력단자(P2)를 앤드케이트(1)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를 앤드게이트(4)의 일측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재생신호 유무 판별기(2)의 출력측을 인버터(3)를 통하여 상기 앤드게이트(4)의 타측입력단자에 접속하며, 포츠키 신호 입력단자(P3)에 접속된 펄스발생기(5)의 출력측과 상기 앤드게이트(4)의 출려단자를 다이오드(6),(7)를 각각 통하여 티플립플롭(8)의 입력단자에 공통접속한 후 그의 출력단자를 플레이 정지신호 출력단자(SQ)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앤드게이트(4)의 출력단자를 티 플립플롭(9) 및 시간 지연기(10)를 통하여 녹화대기신호 출력단자(RQ)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에서 재생신호 유무 판별기(2)는 비디오 테이프에서 재생샌호가 있을때에는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재생신호가 없을때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레이키를 눌러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를 재생 모우드로 하면 플레이키신호 입력단자(P1)에 제2(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 신호가 입력되어 앤드게이트(1)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또한 녹화키를 누르면 녹화키 대기 신호 입력단자(P2)에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 신호가 입력되어 앤드게이트(1)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단자에 제3(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4)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이때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신호 유무를 재생신호 유무 판별기(2)에서 판별하여 제3(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신호가 있으면 고전위 신호를 출력하다가 재생신호가 없게될 때 저전위 신호를 출력하게되고, 이 재생신호 유무 판별기(2)의 출력신호는 인버터(3)에서 제3(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전되어 앤드게이트(4)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 앤드게이트(4)의 출력단자에는 재생신호 유무 판별기(2)에서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신호가 없는 것을 감지하여 저전위 신호를 출력하게 될때 제3(f)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고전위 신호는 다이오드(7)를 통하여 티 플립플롭(8)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단자에는 제3(g)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플레이 정지신호 출력단자(SQ)에 인가되고, 이에따라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는 플레이 정지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앤드게이트(4)에서 출력된 고전위신호는 티 플립플롭(9)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단자에는 제3(h)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신호는 시간지연기(10)에서 제3(i)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시간(T) 지연되어 녹화대기신호 출력단자(RQ)로 출력되므로 플레이 정지상태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는 녹화대기 상태로 되고, 이에따라 플레이키신호 입력단자(P1)와 녹화키신호 입력단자(P2)에 저전위신호가 인가되어 앤드게이트(1), (4)의 출력단자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즈키를 눌러 포즈키신호 입력단자(P3)에 고전위 신호가 입력되면 그 고전위 신호는 펄스발생기(5)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측에는 제3(j)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이 펄스신호는 다이오드(6)를 통하여 티 플릴플롭(8)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므로 그의 출력신호는 제3(g)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전위 신호로 반전되어 플레이정지신호 출력단자(SQ)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는 녹화대기상태에서 녹화상태로 되어 녹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일부분이 녹화된 테이프에 녹화하고자 할 경우에 그 녹화된 끝부분이 자동으로 검출되어 녹화대기 상태로 되므로 사용하기에 대단히 편리할 뿐아니라 파인(Fine) 편집기능을 사용한 것처럼 깨끗한 화면의 연속녹화를 수행할 수 있고, 무녹화 부분으로 인한 비디오 테이프의 손실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플레이키, 녹화키신호 입력단자(P1), (P2)에 입력단자가 접속된 앤드게이트(1)의 출력단자를 앤드게이트(4)의 일측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재생신호 유무판별기(2)의 출력측을 인버터(3)를 통하여 그의 타측입력단자에 접속하고, 포즈키신호입력단자(P3)에 접속된 펄스발생기(5)의 출력측과 상기 앤드게이트(4)의 출력단자를 티 플립플롭(8)의 입력단자에 공통접속한 후 그의 출력단자를 플레이정지신호 입력단자(SQ)에 접속하며, 상기 앤드게이트(4)의 출력단자를 티플립플롭(9) 및 시간지연기(10)를 통해 녹화대기신호 출력단자(RQ)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자동녹화 대기장치.
KR2019850009668U 1985-07-27 1985-07-27 자동녹화대기장치 KR880000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668U KR880000583Y1 (ko) 1985-07-27 1985-07-27 자동녹화대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668U KR880000583Y1 (ko) 1985-07-27 1985-07-27 자동녹화대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895U KR870002895U (ko) 1987-03-19
KR880000583Y1 true KR880000583Y1 (ko) 1988-03-14

Family

ID=1924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9668U KR880000583Y1 (ko) 1985-07-27 1985-07-27 자동녹화대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5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198B1 (ko) * 1999-05-31 2002-02-01 이종훈 전주 설치용 프라스틱근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198B1 (ko) * 1999-05-31 2002-02-01 이종훈 전주 설치용 프라스틱근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895U (ko) 198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744374A (en) Electrophotographic camera
JPS57186877A (en) Magnetic recording method
KR880000583Y1 (ko) 자동녹화대기장치
KR870003491A (ko) 동기기록회로
JPS5764325A (en) Automatic tracking device of video tape recorder
KR870003693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간신호기록 및 검출장치
JPS5733407A (en) 3-head type magnetic sound recorder and reproducer
JPS645276A (en) Video telephone system
KR850002938Y1 (ko) 비데오 테이프의 비녹화부분 재생시 조속 주행회로
JPS5953750B2 (ja) 磁気録画再生装置
KR840001390Y1 (ko) 버스정류장 자동안내 방송장치
JPS57117146A (en) Detection circuit for non-recording section
KR900008902Y1 (ko) 더블 데크 vtr을 이용한 오디오 편집회로
KR890004697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용 음향신호 녹음/재생장치
KR870000985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녹화 조정장치
KR870001189Y1 (ko) Vtr 화면 탐색시 녹화 위치 자동검출회로
KR910004616B1 (ko) 영상녹화 재생기의 일정기간 무신호 녹화회로
JPS6435530U (ko)
KR900006735B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기록오프회로
GB1001655A (en) Improved system for editing recorded material
JPS645178A (en) Magnetic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920005118Y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녹화편집제어회로
KR900010118Y1 (ko) Vcr의 무신호시 큐모드 자동절환회로
JPS59174773U (ja) Vtr再生信号送出装置
JPS54126512A (en) Reprodu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