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956A - 리시버/디코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리시버/디코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956A
KR20040027956A KR10-2004-7002527A KR20047002527A KR20040027956A KR 20040027956 A KR20040027956 A KR 20040027956A KR 20047002527 A KR20047002527 A KR 20047002527A KR 20040027956 A KR20040027956 A KR 20040027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er
receiver
data
identifi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스와 레크롬
파트리스 르뜨흐네
미셀 멜라드
Original Assignee
까날+ 테크날러지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1402202A external-priority patent/EP1286262A1/en
Application filed by 까날+ 테크날러지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까날+ 테크날러지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4002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3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for forcing some client operations, e.g.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텔레비전 환경에서 리비서/디코더에 관한 방법 및 장치는 리시버/디코더에서 물리적 및 다른 장치를 나타내는 논리 장치(논리 디멀티플렉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그 기능을 지원하도록 요구될 때 리시버/디코더에 의한 장치의 인스턴스 생성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레코딩할 때 다중 디멀티플렉서/리멀티플렉서의 사용; 제어워드 동작의 관리를 위한 제어워드 장치; 2 이상의 튜너의 사용을 포함한다. (리시버/디코더와 셋탑 박스 등의)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앙한 요소도 기술된다.

Description

리시버/디코더에 관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ER/DECOD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시버/디코더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지원 장치 사이의 인스턴스 통신 및/또는 제어, 및/또는 리시버/디코더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에 접근하는 보안 프로세스의 성능을 지원할 수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은 시청자에게 아날로그 형태가 아닌 디지털 형태로 텔레비전 채널을 전송한다. 디지털 채널은 전송단에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되고, 수신단에서 리시버/디코더를 이용하여 디코딩된다. 양방향성을 허용하기 위해, 텔레비전 채널을 전달하는 동일 매체를 통해, 또는 전화 링크 등의 다른 매체를 통해 업링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음성, 소프트웨어 및 쌍방향 데이터 등의 다른 형태의 데이터가 방송될 수 있거나, 방송된다. 본 상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은, 예를 들어 모든 위성, 지상파, 케이블 및 다른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상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리시버/디코더"는 일부 다른 수단에 의해 방송 또는 전송될 수 있는 인코딩된 또는 인코딩되지 않은 신호, 예를 들어 텔레비전 및/또는 라디오 신호, 바람직하게는 MPEG 형태로 수신하는 리시버를 의미한다. 또한, 본 용어는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리시버/디코더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셋탑 박스"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리시버와 결합하여 기능하는 디코더 등과 같이,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리시버와 통합된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이러한 디코더는 웹 브라우져, 영상 레코더 또는 텔레비전 등의 추가 기능을 포함한다.
본 용어 MPEG은 국제 표준 협회 작업 그룹 "동영상 전문가 그룹(Motion Picture Expert Group)"에 의해 개발된 데이터 전송 표준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지털 텔레비전용으로 개발되고 문서 ISO 13818-1, ISO 13818-2, ISO 13818-3 및 ISO 13818-4에 기술된 MPEG-2에 관한 것이며, 그것만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특허 출원의 문맥에서, 본 용어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MPEG 포맷의 모든 변형, 수정, 또는 개발을 포함한다.
리시버/디코더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상이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는 수신될 때 재생되거나, 나중에 재생하기 위해 레코딩될 수 있다. 또한, 리시버/디코더로 입력되는 신호는 특히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의 방송의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된 채널 또는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해 지불할 수 있고, 스크램블링이 인가되지 않은 접근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따라서, 리시버/디코더는 디스크램블링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고, 관련 형태의 장비는 때때로 통합된 리시버/디코더(IRD)가 호출된다.
공지된 디지털 리시버/디코더는 연관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컴퓨터 형태 구조에 효과적으로 기초한다. 예를 들면, 공지된 형태의 리시버/디코더에서는 다음이 제공된다.
·사용자 상호 작용을 위한, 그리고 리시버/디코더의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리시버/디코더 사용시에 기능을 실행, 예를 들어 입력되는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스크램블링하며, LED 디스플레이, 클록 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해 머신 자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하드웨이 및 소프트웨어 장치
·애플리케이션이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그러나 장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개발될 수 있는 인터프리터 등의 미들웨어
이들 3가지 측면은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장비의 운영체제에 의해 지원된다.
컴퓨팅 기술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세스에 이용될 수 있게 하는 기능 호출 및 서비스 세트를 포함한다. 각 기능 또는 서비스는 기능 또는 서비스의 사용시에 제공되어야 하고 반환될 값을 지정하는 세트 포맷을 갖고, API는 이들을 설정한다. API와 함께 리시버/디코더에 상기에서 언급된 미들웨어 층을 삽입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이 이식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들은 상이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플랫폼을 갖고 상이한 리시버/디코더에 재사용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과 미들웨어가 동일한 API에 따르는 한, 이것은 명백하게 이점으로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이한 소스로부터 현존하는 리시버/디코더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공지된 리시버/디코더에서 개발되고 있는 하나의 추가 특징은 때때로 장치 층으로서 단순히 참조되는 장치 층 인터페이스(DLI)이다. 이것은 호환을 위한 추가 단계이다. 리시버/디코더에서의 장치는 즉시 시작 및 정지될 수 있어야 하고,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장지 드라이버가 공지된 방법으로 제공되도록 소프트웨어와 상호 작용해야 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분리된 장치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포함하고, 통합된 드라이버를 가질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고, 운영체제로부터의 명령을 전환하는 시스템, 또는 특정 장치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인터럽트 등의 통신에 응답한다. 이러한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DLI는 미들웨어와 장치 드라이버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단 이것이 행해지면, 미들웨어는 장치가 DLI에 따르는 어떤 리시버/디코더로 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리시버/디코더는 본 출원인의 명칭으로 국제특허출원번호 WO 99/40719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기술된 시스템에서, 리시버/디코더의 각 기능은 DLI에서의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DLI는 장치의 소프트웨어 표시를 유지하고, 리시버/디코더 사용시에 장치와의 상호작용을 검사하는 장치 관리자를 제공한다. 장치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될 때,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명령 시퀀스 등의 프로그램과 장치 사이에서 전달된다. 장치 관리자는 장치로의 접근이 필요하고, 그 프로그램에 의해 관련 장치로의 접근 동안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추가되는 클라이언트 번호를 프로그램에 할당할 때, 각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로서 선언함으로써 이러한 라우팅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개선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리시버/디코더내에서 또는 리시버/디코더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리시버/디코더, 방송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이용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시버/디코더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지원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찾는다.
도 1은 위성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케이블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전파 중계소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전체 시스템도.
도 4는 리시버/디코더의 개략적 구조도.
도 5는 리시버/디코더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상부 절반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5의 하부 절반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5의 하부 절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복합 장치 식별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3가지 형태의 논리 디멀티플렉서와 이들의 지원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a 내지 12c는 하드웨어 디멀티플렉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관련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흐름도.
도 14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레코딩하는 일실시예의 설비를 설명하는 타임 라인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서비스를 디멀티플렉싱 및 디스크램블링할 때 일실시예에 의해 수행되는 조건부 접근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도.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는 리시버/디코더용 논리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리시버/디코더의 장치 층 인터페이서에 적합한 이러한 논리 장치는 잠재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증가된 이식성으로 인해 리시버/디코더의 특정 하드웨어 해결책으로 리시버/디코더의 소프트웨어의 의존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것은 요청되는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리시버/디코더의 용이한 업그레이드를 조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논리 장치는 상기 논리 장치를 추가 장치에 연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논리 장치가 논리 장치에 의해 제공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 하드웨어 장치에 의존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리시버/디코더의 소프트웨어의 안정성을 유리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수단은 논리 장치를 복수의 추가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리시버/디코더의 호환성을 증가시키는 이점을 제공하고, 하드웨어의 효율적인 사용을 조성할 수 있다. 추가로, 추상화의 추가 층은 소프웨어의 보다 용이한 프로그래밍 및 유지, 그리고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리시버/디코더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보다 용이한 프로그래밍을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수단은 논리 장치를 소프트웨어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된 추상화 층은 소프트웨어의 보다 용이한 프로그래밍 및 유지를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논리 장치는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논리 장치는 다수의 하드웨어 동작을 인캡슐화하고, 리시버/디코더에서 구동될 애플리케이션이 보다 용이하게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규정(provision)을 가져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논리 장치는 상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기능성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논리 디멀리플렉서는 비트스트림의 재생을 지원하는 디멀티플렉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디멀리플렉싱 및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되고, 다른 동작은 금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논리 장치는 비트스트림의 레코딩을 지원하는 디멀티플렉서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필터링 및 리멀티플렉싱(remultiplexing)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되고, 다른 동작은 금지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제한은 추가적인 안정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서는 리시버/디코더를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지원되는 기능을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명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 위한을 위한 상기 및 각 기능 설명에 관한 값을 로딩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기능 설명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필드 세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이는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설명된 기능을 함께 특징지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의 유용성은 그 프로세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서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유용성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서의 상기 값의 유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프로세스, 및 각 기능은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의해 지원되고,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장치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 설명; 상기 장치 설명에 관한 장치-상세 데이터를 로딩하는 수단; 리시버/디코더에서 상기 기능 설명에 의해 설명된 기능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존재를 검출하는 수단; 및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되기 위한 장치 식별자 부분으로서 그 기능 설명을 위한 기능 식별자를 로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지원되는 기능은 디멀티플렉싱 기능을 포함한다. 이 경우, 값을 로딩하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다중화된 신호의 입력 소스를 위한 식별자 세트를 포함하는 다중 값을 로딩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존재를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리시버/디코더에서 복수의 장치 각각의 존재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이것은 기능 설명에 의해 설명된 기능을 함께 지원하고, 장치 식별자 부분으로서 그 기능 설명을 위한 기능 식별자를 로딩하는 수단은 상기 복수의 장치 각각에 관한 장치 식별자 부분으로서 동일한 기능 식별자를 로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검출된 장치에 따라 기능 설명을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기능 설명을 포함하고, 기능 식발자를 로딩하는 수단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기능 설명 각각을 위한 기능을 로딩하여,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공통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공통 기간에 걸쳐 적어도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스하는 하나의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관리하는 제어 신호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공통 기간에 걸쳐 레코딩하기 위해 적어도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리멀티플렉싱하는 하나 이상의 리멀티플렉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관리하는 제어 신호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리시버/디코더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지원되는 기능을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명을 생성 및/또는 접근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또는 각 기능 설명에 관한 값을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딩 단계는 리시버/디코더의 최초 초기화에서 수행된다.
다른 측면에서, 리시버/디코더를 조작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장치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식별기는 상기 기능과 연관된 부분 및 상기 장치와 연관된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리시버/디코더를 위한 디바이스를 설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것은 소프트웨어의 증가된 이식성, 및 프로그래머에 대한 요구 및 프로그램 크기에 대한 관점에서의 증가된 효율성, 개선된 신뢰성 및 제품의 유지로 인해, 리시버/디코더의 특정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는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스턴스화 수단(instantiating means)은 일반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과, 인스턴스-상세 정보를 인스턴스화될 장치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의 추상화는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소프트웨어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것은 유리하게 보다 작은 컴파일된 사이즈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스턴스화 수단은 장치(일반 정보를 포함하고, 이는 차례로 장치 형태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의 현존하는 인스턴스를 복사한 후, (예를 들어, 인스턴스 번호를 포함하는)정보 상세를 생성되는 인스턴스에 분배한다. 그리고, 상기 장치 형태 식별기 및 인스턴스 번호는 넘버는 장치에 대해 유일한 식별자를 함께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스턴스화 수단은 장치를 정적으로 인스턴스화한다. 부팅 또는 재부팅시에 인스턴스 생성(instantiation)인 정적 설명을 이용하는 것은 동적설명을 이용하는 것보다 보다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스턴스화된 장치(instantiated device)는 기능성을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추상화의 추가 레벨은 보다 용이한 시스템 유지와, 용이한 코드의 프로그래밍 및 유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스턴스화된 장치는 기능성을 복수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은 리소스(예를 들어, 리시버/디코더의 하드웨어)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가져온다.
바람직하게는, 인스턴스화된 장치는 비동기 통신이 가능하며, 이는 보다 유연한 동작 및 보다 안정된 소프트웨어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인스턴스화될 새로운 형태의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 정보는 리시버/디코더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 있고, 그것은 현존하는 장치의 새로운 버전 또는 새로운 형태의 장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은 소프트웨어의 호환성 및 용이한 유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하드웨어 환경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검출된 물리적 디바이스에 근거하여 인스턴스화된 장치를 맞춤제작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가 컴파일 시에 구동되는 환경의 세부사항을 알 필요가 없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스턴스화된 장치는 상기와 같은 논리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리시버/디코더를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설명과, 상기 장치 설명에 관한 장치-상세 데이터를 로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상세 데이터를 로딩하는 수단은 하나 이상의 장치 설명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값을 로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값은 리시버/디코터의 사용시에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설명의 하나 이상의 개별 복사에 관한 장치-상세 데이터를 로딩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상세 데이터는 장치 식별자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장치-상세 데이터로서 각 장치 인스턴스에 로딩된 값을 포함하는데, 이는 장치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로서 동일한 장치 설명의 또 다른 복사에 로딩된 어떤 값과는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리시버/디코더에서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장치를 인스턴스화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상이한 장치는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로딩된 적어도 하나의 값을 갖는 각 장치 설명은 장치 인스턴스를 제공하며, 장치 식별자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장치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 인스턴스에 공통된다.
예를 들면, 장치-상세 데이터는 상기 설명에 관련되는 장치에 의해 지원된 절차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값은 상기 설명에 관련되는 장치로의 인가된 입력을 위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설명에 관련되는 상기 장치는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장치 설명의 복사 회수를 사전설정 최대값으로 제한하는 제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장치의 리소스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지원된 기능을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명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또는 각 기능 설명에 관한 값을 로딩하는 수단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기능을 제공하는 리시버/디코더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그 장치에 유용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식별자로부터 장치에 대한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장치와의 통신에 관한 상기 선택된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기능을 제공하는 리시버/디코더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징치 각각과의 통신에 관한 상이한 개별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개별 식별자는 공통 부분을 공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를 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측면은 증가된 호환성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멀티플렉서 수단은 적어도 3, 5, 10 또는 20개의 서비스를 동시에 디멀티플렉싱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멀티플렉서 동작 수단은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개별 논리 디멀티플렉서를 디멀티플렉싱될 각 서비스에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리시버/디코더에서의 디멀티플렉싱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공통 기간에 걸쳐 적어도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 하나의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관리하는 제어 신호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신호 관리 수단은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 상기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함께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 1계열 장치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 상기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함께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 2계열 장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계열 장치는 계열 장치 전체에 대한 적어도 공통부를 갖는 식별자가 각각 할당되고, 개별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 상기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제어하는데 각 계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조정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동안 상기 제 1 계열에 대한 상기 공통부는 상기 제 2 계열에 대한 상기 공통부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레코딩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2개의 데이터 스트림 각각을 리멀티플렉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멀티플렉싱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장치는 리시버/디코더에서 제공되고, 제 63항 내지 6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개별 채널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입력과, 상기 제 2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제 1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서로 관련시키는 상관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디스크램블링 동작을 관리하는 제어워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된다. 이것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관리될 디스크램블링 동작으로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의 측면은 증가된 보안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인스턴스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한 사용의 인스턴스에 관해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단은 동일 기간에 걸쳐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에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각 식별자는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개별 인스턴스에 관해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인스턴스는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개별 접근 조건에 의존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는 개별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로의 복호키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상기 장치는 복호키의 분배를 수신하는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로의 복호키의 공급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은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각 개별 인스턴스에 할당된 상기 식별자의 사용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복호키는 멀티플렉싱된 정보 신호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디멀티플렉싱 기능을 지원하는 계열 장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접근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 계열에 있는 동일 장치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각 인스턴스는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인스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식별자에 관련되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제어에서 인터페이스 사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인스턴스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 인스턴스에 관해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제 1 인스턴스에 제 1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제 2 인스턴스에 제 2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 1 및 제 2 인스턴스를 구별하는 제 1 및 제 2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스턴스 사용은 공통 기간에 걸쳐 발생된다.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상기 제 1 및 제 2 인스턴스 사용은 디스크램블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개별 접근 조건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제 1 서비스를 레코딩하는 수단; 제 2 서비스를 동시에 레코딩하는 수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별 시간에 상기 제 1 서비스 및 제 2 서비스를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사용자에게 증가된 호환성과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공통 기간에 걸쳐 2 이상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레코딩하는 레코딩 수단을 포함하는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프로그램 신호를 레코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공통 기간에 걸쳐 2 이상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제 1 채널상에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 및 제 2 채널상에서 그 서비스에 관련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것은 조건부 접근을 수신하도록 요청된 대역을 감소시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 수신 수단이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조건부 접근 데이터가 방송되는 채널이 변경될 수 있는 채널로부터 조근부 접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건부 접근 데이터의 채널 호핑을 허용하여, 보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방송 센터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 센터는 제 1 채널 상에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차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방송하는 수단; 및 제 2 채널 상에서 상기 서비스에 관련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방송하는 조건부 접근 데이터 방송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센터는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 방송 수단이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가 방송되는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조건부 접근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조건부 접근 시스템은 제 1 채널 상에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차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방송하는 서비스 데이터 방송 수단; 제 2 채널 상에서 상기 서비스에 관련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방송하는 조건부 접근 데이터 방송 수단;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비스 데이터 수신 수단; 및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수신하는 조건부 접근 데이터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채널에 걸쳐 상기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수신 및/또는 디코딩하는데 사용하는 동안, 상기 장치는 개별 채널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입력과, 상기 제 2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제 1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서로 상관시키는 상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입력에서 상기 신호로 수신되는 채널 식별자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제 2 입력에 연결하기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수단; 및 상기 제 2 입력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채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채널을선택하는 채널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개별 채널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제 1 입력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는 적어도 기본 컨텐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입력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는 상기 컨텐트 데이터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정보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멀티플렉싱된 신호 전송 스트림에 관련된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방송 시스템은 제 1 멀티플렉싱된 신호 전송 스트림에서의 제 1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수단; 제 2 멀티플렉싱된 신호 전송 스트림에서의 제 2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수단; 및 상기 관련된 신호를 상호 관련시키는데 사용하는 상관 신호를 전송하는 상관 신호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상관 신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스트림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캐리어 주파수를 식별하기 위한 캐리어 주파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관 신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스트림중 하나에 있는 슬롯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 식별자를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들중 어느 하나를 실행,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 특징들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 매체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들중 어느 하나를 실행,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 특징들중 어느 하나를이용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장치 특징들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신호; 이러한 신홀르 전송하는 방법;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중 어느 하나를 실행,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장치 특징들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를 갖는 컴퓨터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및/또는 장치로 확장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의 모든 특징은 어떤 적합한 조합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방법 측면은 장치 측면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더욱이, 하드웨어로 구현된 특징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특징에 대한 모든 참조는 적절히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단순히 예시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시스템 전체구성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500)의 전체구성이 도 1에 도시된다.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500)은 방송 센터(1000), 리시버/디코더(2000), 리시버/디코더의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구조(3000), 대화식 시스템(4000), 및 조건부 접근 시스템(5000)을 포함한다.
시스템(500)은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공지된 MPEG-2 압축 시스템을 사용하는 가장 종래의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50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센터(1000)에서의 MPEG-2 압축기(1010)는 디지털 신호 스트림(전형적으로 영상 신호 스트림)을 수신한다. 압축기(1010)는 링키지(1020)에 의해 멀티플렉서 및 스크램블러(1030)에 연결된다.
멀티플렉서(1030)는 복수의 추가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전송 스트림을 조합하며, 링키지(1022)를 통해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방송 센터의 송신기(510)로 전송하고, 여기서 링크(1022)는 물론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송신기 (510)는 업링크(514)를 통해 전자기적 신호를 위성 트랜스폰더(520)를 향하여 전송하고, 여기서 전자기적 신호는 전자적으로 처리되어, 최종 사용자에 의해 소유 또는 대여된 접시 형태의 지상 리시버(512)로 개념적인 다운링크(516)를 통해 방송된다. 다른 전송 채널, 예를 들어 지상 방송, 케이블 전송, 통합 위성/케이블 링크, 전화 네트워크 등도 물론 가능하다.
리시버(512)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소유 또는 대여되고, 최종 사용자의 텔레비전 세트(10000)에 연결된 통합 리시버/디코더(2000)로 전송된다. 리시버/디코더(2000)는 압축된 MPEG-2 신호를 텔레비전 세트(10000)용 텔레비전 신호로 디코딩한다. 별도의 리시버/디코더가 도 1에 도시되었지만, 리시버/디코더는 통합 디지털 텔레비전의 일부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리시버/디코더"는 셋탑 박스 등의 별도의 리시버/디코더와, 통합된 리시버/디코더를 갖는 텔레비전을 포함한다.
리시버/디코더(2000)에서, 시청각 및 다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하드디스크(2100)가 제공된다. 이것은 리시버/디코더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의 향상된 레코딩 및 재생을 허용할 수 있으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 등의 대량의 다른 데이터를 리시버/디코더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리시버/디코더에서의 컨텐트 관리 및 보호 시스템(CMPS)(도시하지 않음; 2300)은 하드디스크(2100)(또는 다른 저장 장치) 데이터의 레코딩과 재생을 안전하고 유연하게 제어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다중채널 시스템에서, 멀티플렉서(1030)는 다수의 병렬 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조정하며, 해당되는 채널수에 따라 정보를 방송하기 위해 송신기(510)과 상호 작용한다. 시청각 정보 외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종류의 디지털 데이터는 전송된 디지털 음성 및 영상 정보와 인터레이싱된 일부 또는 모든 채널에 도입될 수 있다.
대화식 시스템(4000)은 멀티플렉서(103)와 리시버/디코더(2000)에 연결되며, 방송센터에 부분적으로, 그리고 리시버/디코더에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이것은 최종 사용자가 백 채널(570)을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백 채널은 일번 전화 교환망(PSTN) 채널(예를 들면, 모뎀 백 채널(modemmed back channel)) 또는 OOB(Out of Band) 채널일 수 있다.
멀티플렉서(1030) 및 리시버/디코더(2000)에 연결되고, 방송 센터에 부분적으로, 그리고 리시버/디코더에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조건부 접근 시스템(5000)은 최종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방송 공급자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상업적 제공(즉, 방송공급자에 의해 판매되는 하나 또는 몇 가지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련된 메시지를 복호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는 리시버/디코더(2000)에 삽입될 수 있다. 리시버/디코더(2000)와 스마트카드를 사용하여, 최종 사용자는 가입 모드 또는 유료 시청 모드로 상업적 제공을 구입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대화식 시스템(4000)에 의해 사용되는 백 채널(570)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프로그램은 멀티플렉서(1030)에서 스크램블링되고, 정해진 전송에 적용되는 조건 및 암호키는 접근 제어 시스템(5000)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크램블링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유료 TV 시스템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스크램블링된 데이터는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제어워드와 함께 전송되고, 제어워드 자체는 소위 이용키에 의해 암호화되고, 암호화된 형태로 전송된다.
그리고, 스크램블링된 데이터와 암호화된 제어워드는 암호화된 제어워드를 복호한 후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해 리시버/디코더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이용키와 등가물에 접근하는 리시버/디코더(2000)에 의해 수신된다. 지불한 가입자는, 예를 들어 암호화된 제어워드를 복호하는데 필요한 이용키를 방송 월간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을 수신할 것이다.
도 2는 압축된 디지털 신호용 방송 매체로서 케이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504)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본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위성 트랜스폰더와 송수신국은 케이블 네트워크(550)로 대체된다. 더욱이, 본 특정 실시예에서는 리시버/디코더(2000)와 대화식 시스템(4000)과 조건부 접근시스템(5000) 사이의 모뎀 백 채널이 제거되고, 각각 케이블 네트워크(550)와 조건부 접근 시스템(5000)과 대화식 시스템(4000)사이의 링키지(554, 556)로 대체된다. 따라서, 리시버/디코더(2000)는 케이블 모뎀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케이블 네트워크(550)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통신하여, 방송 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케이블 네트워크(550)는 전용 연결, 인터넷, 로컬 케이블 분배 네트워크, 무선 연결 또는 상기의 어떤 조합 등의 어떤 형태의 광역 통신망(WAN)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동축 혼합(HFC) 네트워크가 사용된다. 리시버/디코더(2000)와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다양한 수단의 통신이 호환될 수 있다.
조건부 접근 시스템
도 3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조건부 접근 시스템(5000)은 가입자 인가 시스템(SAS)(5200)을 포함한다. SAS(5200)는 링크(1044)에 의한 TCP-IP 링크 또는 다른 형태의 링크일 수 있는 링크(1044)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가입자 관리 시스템(SMS)(1100)에 연결되며, 하나의 SMS는 각 방송 공급자용이다. 선택적으로,하나의 SMS는 두 개의 상업적인 오퍼레이터 사이에서 공유되거나, 하나의 오퍼레이터가 두개의 SMS를 사용할 수 있다.
"마더" 스마트카드를 사용하는 암호화 유닛(5100)의 형태의 제 1 암호화 유닛은 링키지(1042)에 의해 SAS에 연결된다. 마더 스마트카드(5112)를 사용하는 암호화 유닛(5102) 형태의 제 2 암호화 유닛은 링키지(1040)에 의해 멀티플렉서(1030)에 연결된다. 리시버/디코더(2000)는 "도터" 스마트카드(5500)를 수용한다. 리시버/디코더는 통신 서버(1200)와 모뎀 백 채널(570)을 통해 SAS(5200)에 직접 연결된다. SAS는 요구시에 다른 것들 중에서 가입 권한을 도터 스마트카드로 전송한다.
댜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또는 케이블 연결이 PSTN(570)과 통신 서버(1200)를 보완 또는 대체한다.
스마트카드는 하나 이상의 상업적인 오퍼레이터로부터의 기밀 정보를 포함한다. "마더" 스마트카드는 상이한 종류의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도터" 스마트카드는 정당한 권한을 갖고 있으면 메시지를 복호화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센터에서 디지털 영상 신호는 MPEG-2 압축기(1010)를 사용하여 우선 압축(또는, 비트율 감소)된다. 그리고, 압축된 신호는 멀티플렉서 및 스크램블러(1030)로 전송되어, 다른 압축된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된다.
스크램블러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멀티플렉서(1030)에서의 MPEG-2 스트림에 포함된 제어워드를 생성한다. 제어워드는 내부적으로 생성되어,최종 사용자의 통합 리시버/디코더(200)가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로그램이 상업화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접근 기준이 MPEG-2 스트림에 추가된다. 프로그램은 다수의 "가입" 모드중 하나 및/또는 다수의 "유료 시청"(PPV) 모드중 하나 또는 이벤트로 상업화될 수 있다. 가입 모드에서, 최종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상업적 제공, 즉 "부케"에 가입함으로써, 이들 부케내의 모든 채널을 시청하는 권한을 얻게 된다. 유료 시청 모드에서, 최종 사용자는 원하는 이벤트를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이 제공된다.
제어워드와 접근 기준 모두는 ECM을 설정하는데 사용되고; 이것은 하나의 스크램블링된 프로그램에 관해 전송된 전송된 메시지이며, 이 메시지는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워드와 방송프로그램의 접근 기준을 포함한다. 접근 기준과 제어워드는 링키지(1040)를 통해 제 2 암호화 유닛(5102)으로 전송된다. 이 유닛에서, ECM이 생성 및 암호화되어, 멀티플렉서 및 스크램블러(1030)로 전송된다.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방송 공급자에 의해 방송된 각 서비스는 다수의 별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영상 구성요소, 음성 구성요소, 설명자막 구성요소 등을 포함한다. 이들 서비스 구성요소 각각은 후속 방송을 위해 개별적으로 스크램블링되고 암호화된다. 각 스크램블링된 서비스 구성요소에 관해, 별개의 ECM이 요구된다.
멀티플렉서(1030)는 SAS(5200)으로부터의 암호화된 EMM, 제 2 암호화 유닛(5102)으로부터의 암호화된 ECM, 및 압축기(1010)로부터의 압축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멀티플렉서(1030)는 프로그램을 스크램블링하고, 스크램블링된 프로그램, 암호화된 EMM 및 암호화된 ECM을 전기 신호로서 방송 시스템(600)으로 전송하며, 여기서 방송 시스템(600)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성 시스템, 또는 다른 방송 시스템일 수 있다. 리시버/디코더(2000)는 신호를 디멀티플렉싱하여, 암호화된 EMM과 암호화된 ECM을 갖는 스트램블링된 프로그램을 얻는다.
리시버/디코더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MPEG-2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한다. 프로그램이 스크램블링되어 있으면, 리시버/디코더(2000)는 MPEG-2 스트림으로부터 해당 ECM을 추출하고, ECM을 최종 사용자의 "도터" 스마트카드(5500)로 전송한다. 이것은 리시버/디코더(2000)의 하우징에 삽입된다. 도터 스마트카드 (5500)는 최종 사용자가 ECM을 복호화하여, 프로그램에 접근하는 권한을 갖는지 어떤지를 제어한다. 그렇지 않으면, 네거티브 상태가 리시버/디코더(2000)로 전송되어, 프로그램이 디스크램블링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최종 사용자가 권한을 갖는다면, ECM이 복호화되어, 제어워드가 추출된다. 그리고, 디코더(2000)는 이러한 제어워드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다. MPEC-2 스트림은 텔레비전 세트(1000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압축해제 및 변환된다.
프로그램이 스크램블링되지 않으면, ECM은 MPEG-2 스트림으로 전송되지 않고, 리시버/디코더(2000)는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며, 신호를 텔레비전 세트(1000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가입자 관리 시스템(SMS)(1100)은 그중에서도 특히, 모든 최종 사용자 파일, 상업적 제공(예를 들어, 요금 및 판촉 상품), 가입, PPV 세부사항, 및 최종 사용자 소비 및 인가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150)을 포함한다. SMS는 SAS와 물리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SMS(1100)는 최종 사용자로 전송될 권한부여 관리 메시지(EMM)의 변형물 또는 생성물을 포함하는 SAS(520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SMS(1100)은 EMM의 변형물 또는 생성물을 포함하지 않지만 최종 사용자의 상태 변경(제품을 주문할 때 최종 사용자에게 승인된 인가, 또는 최종 사용자에게 청구될 요금에 관한)만을 포함하는 SAS(520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SAS(5200)은 메시지(전형적으로, 콜백 정보 등의 요청 정보, 또는 과금 정보)를 SMS(1100)로 전송하여, 양자 간의 통신이 양방향으로 되는 것을 이해될 것이다.
리시버/디코더
도 4를 참조하여, 리시버/디코더(2000)의 다양한 요소가 기능적 블록 형태로 기술될 것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셋탑 박스(DSTB)일 수 있는 리시버/디코더(2000)는 중앙 호스트 프로세서(2002)와 디지털 TV 보조 프로세서(2004)를 포함하며, 양자는 연관된 메모리 요소(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보조 프로세서 버스(2006)에 의해 결합된다. 보조 프로세서(2004)는 USB 인터페이스(2070), 직렬 인터페이스(2072), 병렬 인터페이스 (도시하지 않음), 모뎀(2074)(도 1의 모뎀 백 채널(570)에 연결), 및디코더의 프론트 패널(2054)의 스위치 접점으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리시버/디코더는 적외선 리모콘(2080) (및 선택적으로 블루투스-이네이블 장치 등의 다른 무선 주변장치(2082))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각각 은행 및 가입 스마트카드(2060,2062)를 판독하는 2개의 스마트카드 판독기(2050, 2052)를 포함한다. 가입 스마트카드 판독기(2052)는 삽입된 가입 카드(2062) 및 조건부 접근 유닛(도시하지 않음)과 결합되어, 암호화된 방송 신호가 디스크램블링될 수 있도록, 필요한 제어워드를 디멀티플렉서/디스크램블러/리멀티플렉서 유닛(2010)으로 공급한다. 또한, 디코더는 변조기/디스크램블러 유닛(2010)에 의해 필터링 및 디멀티플렉스되기 전에 위성 전송을 수신하여 변조하는 종래의 튜너(2016)와 변조기(2012)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튜너(2018)와 제 2 변조기(2014)가 제공되어, 그중에서도 특히 제 2 채널이 제 1과 병렬로 수신 및 디코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드디스크(2100)가 제공되어, 리시버/디코더에 의해 수신 및 생성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2개의 튜너(2016, 2018), 2개의 디모듈레이터(2012, 2014), 디스크램블러/디멀티플렉서/리멀티플렉서(2010), 및 데이터 디코더(2024)와 음성 디코더(2026)와 관련하여, 향상된 레코딩 및 재생 특성이 제공되어, 다른 프로그램이 시청되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의 동시 기록, 그리고 하드디스크로 및 하드디스크로부터,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입출력으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입출력으로부터의 보다 일반적인 전송이 모두 병렬적으로 발생될 수있게 한다.
리시버/디코더에서의 음성 출력(2038) 및 영상 출력(2040)은 PCM 믹서(2030) 및 음성 DAC(2034), 및 MPEG 영상 디코더(2028), 그래픽 엔진(2032) 및 PAL/SECAM 인코더(2036) 각각에 의해 공급된다. 선택적인 또는 보완적인 출력이 물론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바람직하게는 리시버/디코더(2000)의 고레벨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일종의 컴퓨터 코드이다. 예를 들면, 최종 사용자가 텔레비전 세트(도시하지 않음)의 스크린에 보여지는 버튼 객체에 리모콘(2080)의 포커스를 위치시키고, 확인키를 누르는 경우, 버튼과 연관된 명령 시퀀스가 실행된다.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미들웨어는 보조 프로세서 버스(2006)에 걸쳐 디지털 TV 보조 프로세서(2004)로 이루어지고, 요청시에 원격 절차 호출(RPC)와 함께, 호스트 프로세서(2002)에 의해 실행된다.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은 메뉴를 제시하고, 최종 사용자의 요청시에 명령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상주 애플리케이션, 즉 리시버/디코더(2000)의 ROM(또는 FLASH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거나, 리시버/디코더(2000)의 RAM, FLASH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로 방송 및 다운로드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리시버/디코더(2000)에 위치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리소스 파일로서 표시된다. 리소스 파일은 그래픽 객체 설명 유닛 파일, 가변 블록 유닛 파일, 명령 시퀀스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을 포함한다.
리시버/디코더는 적어도 하나의 RAM 볼륨, FLASH 볼륨 및 적어도 하나의 ROM 볼륨으로 분할된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물리적 구성은 논리 구성과 구별된다.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메모리 볼륨으로 더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관점으로부터, 메모리는 하드웨어 일부로서 간주되며; 다른 관점으로부터 메모리는 하드웨어와 별도로 나타낸 시스템 전체를 지원하거나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리시버/디코더 구조
도 5를 참조하면, 리시버/디코더의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구조(3000)는 소프트웨어가 어떠한 리시버/디코더에서, 그리고 어떠한 운영 체제로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5개의 소프트웨어 층을 포함한다. 다양한 소프트웨어 층은 애플리케이션층(3100),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층(3300), 가상 머신층(3500),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때때로, '장치 층'으로 생략)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하드웨어층(3900)이다.
애플리케이션층(3100)은 리시버/디코더에 상주하거나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3120)을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자바, HTML, MHEG-5 등의 언어로 작성된, 고객에 의해 사용되는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이러한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다른 목적의 리시버/디코더에 의해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층은 가상 머신층에 의해 제공된 오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세트에 근거된다. 이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이 리시버/디코더의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RAM 메모리로 연속적으로 또는 요청가 있는 즉시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 코드는 DSMCC(Data Storage Media Command and Control), NFS(Network File Server) 또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압축 또는 압축되지 않은 포맷으로 전송될 수 있다.
API층(3300)은 대화식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고레벨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이것은 이 고레벨 API를 구성하는 몇 가지의 패키지를 포함한다. 패키지는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능성을 제공한다. 패키지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API는 자바, PanTalk 또는 이러한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된다. 더욱이, API는 MHEG-5 등의 HTML 및 다른 포맷의 해석을 용이하게 한다. 이들 특징 외에, API는 다른 패킷과, 요청 명령으로서 분리 및 확장될 수 있는 서비스 모듈을 또한 포함한다.
가상 머신층(3500)은 언어 인터프리터와 다양한 모듈 및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커널(3650)(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층은 리시버/디코더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신 및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한다.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는 장치 관리자와 소프트웨어 장치(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장치'로 칭함)를 포함한다. 장치는 외부 이벤트와 물리 인터페이스의 관리에 필요한 논리 리소스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장치 관리자의 제어 하에서, 장치 층 인터페이스는 드라이버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고, 향상된 에러 예외 검사를 제공한다. 관리되는 (하드웨어) 장치의 일부 예는카드 판독기(3722)(도시하지 않음), 모뎀(3730)(도시하지 않음), 네트워크(3732)(도시하지 않음),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LED 디스플레이 등이다. API층이 상술한 장치를 제어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는 이 층을 직접 처리할 필요가 없다.
시스템 소프트웨어/하드웨어층(3900)은 리시버/디코더의 제조업자에 의해 제공된다. 시스템의 모듈성으로 인해, (이벤트 스케쥴링 및 메모리 관리 등의) 상위 레벨 운영 체제에 의해 공급된 서비스가 가상 머신과 커널의 일부이기 때문에, 상위 층은 특정 실시간 운영 체제(RTOS) 또는 특정 프로세서에 구속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 및/또는 API(3300)과 때때로 결합하여 가상 머신층(3500)은 리시버/디코더의 '미들웨어'로서 관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층(3100), API층(3300) 및 가상 머신층(3500)을 포함하는) 도 5의 상부 절반에 해당되는 리시버/디코더(3000)의 소프트웨어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텔레뱅킹 애플리케이션 및 게임 등의 제품 및 서비스를 얻기 위해 사용자가 상호 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애플리케이션 관리자(3110)에 더하여, 애플리케이션층(3100)에는 두 가지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API(3300)에 따르는 시점에 추가될 수 있는 웹 브라우저(3130) 등의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며,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지원하는 상주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상주 애플리케이션은 실질적으로 영구적이며 다음을 포함한다:
● 부트. 부트 애플리케이션(3142)은 리시버/디코더가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우선 시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부트 애플리케이션은 우선 애플리케이션 관리자(3110)를 시작하고, 메모리 관리자(3544)와 이벤트 관리자(3546) 등의, 가상 머신(3500)에서의 "관리자" 소프트웨어 모듈을 시작한다.
●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애플리케이션 관리자(3110)는 리시버/디코더에서 실행되는, 즉 이벤트를 시작, 중지, 일시중지, 재개, 조정하고,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통신을 처리하는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 이것은 다중 애플리케이션이 즉시 실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들 중에서 리소스 할당에 포함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완전히 투명하다.
● 셋업. 셋업 애플리케이션(3144)의 목적은 주로 최초에 사용되는 경우에 리시버/디코더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TV 채널의 스캐닝, 날짜 및 시간 설정, 사용자 선호도의 설정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셋업 애플리케이션은 리시버/디코더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언제나 사용될 수 있다.
● 재핑. 재핑 애플리케이션(3146)은 프로그램-업, 프로그램-다운 및 숫자키를 사용하여 채널을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배너(파일럿)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형태의 재핑이 사용되는 경우, 재핑 애플리케이션이 중지된다.
● 콜백. 콜백 애플리케이션(3148)은 리시버/디코더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파라미터 값을 추출하고, 이들 값을 모뎀 백 채널(1070)(도시하지 않음)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상업적 오퍼레이터로 반환한다.
애플리케이션층(3100)에서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3132), 유료 시청 애플리케이션(3134), 배너(파일럿) 애플리케이션(3136), 홈 뱅킹 애플리케이션(3138),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3140), 및 PVR(personal video recorder) 애플리케이션(3154)을 포함한다(하기 참조).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층 (3300)은 몇개의 패키지를 포함한다. 이들은, 예를 들어 가상 머신, DAVIC 패키지(3320), 및 특허 패키지(3330)의 기본 특성에 접근하는데 사용되고, 주된 소프트웨어 벤더에 유일한 소프트웨어 구조의 특징에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시스템 패키지(33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논의하면, 가상 머신(3500)는 다음을 포함한다:
● 언어 인터프리터(3510). 상이한 인터프리터가 판독될 애플리케이션 형태에 따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들은 자바 인터프리터(3512), PanTalk 인터프리터(3514), HTML 인터프리터(3516), MHEG-5 해석기(3518) 등을 포함한다.
● 서비스 정보(SI) 엔진. SI 엔진(3540)은 공통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또는 프로그램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SIP) 테이블을 로딩 및 모니터링하고, 이들을 캐시에 넣는다. 이것은 이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들 테이블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 스케줄러(3542). 이 모듈은 그 자신의 이벤트 큐를 갖는 각 스레드로 우선적, 멀티스레드 스케줄링을 허용한다.
● 메모리 관리자(3544). 이 모듈은 메모리로의 접근을 관리한다. 또한, 이모듈은 필요시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압축하고, 자동 불요 정보 정리를 수행한다.
● 이벤트 관리자(3546). 이 모듈은 이벤트가 우선순위에 따라 트리거될 수 있게 한다. 이 모듈은 타이머와 이벤트 그래빙을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 동적 링커(3548). 이 모듈은 원시 자바 함수로부터 발생되는 어드레스의 분석을 허용하고, RAM으로 다운로드된 자바 클래스로부터 원시 메소드를 로딩하며, ROM으로 다운로드된 원시 코드로부터 호출을 분석한다.
● 그래픽 시스템(3550). 이 시스템은 객체 지향적이며, 최적화된다. 이 시스템은 그래픽 윈도우, 객체 관리뿐만 아니라 다중언어 지원하는 벡터 폰트 엔진을 포함한다.
● 클래스 관리자(3552). 이 모듈은 클래스를 로딩하고, 어떤 클래스 참조 문제를 해결한다.
● 파일 시스템(3554). 이 모듈은 소형이며, 다중 ROM, 플래쉬, RAM 및 DSMCC 볼륨을 갖는 계층형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데 최적화된다. 플래쉬 무결성은 어떠한 변환에 대해서도 보증된다.
● 보안 관리자(3556). 이 모듈은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고, 셋탑박스의 민감 메모리 및 다른 영역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을 제어한다.
● 다운로더(3558). 이 모듈은 상주와 같은 방법으로 접근된 다운로드된 파일과 함께 원격 DSMCC 캐러셀로부터 또는 NFS 프로토콜을 통해 로딩된 자동 데이터를 사용한다. 또한, 메모리 소거, 압축 및 인증이 제공된다.
더욱이, DAVIC 리소스 통지 모델은 클라이언트 리소스가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지원된다.
커널(3650)은 가상 머신(3500)과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도시하지 않음)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관리한다. 효율성 및 신뢰성 이유로 인해, 커널은 운영 체제에 대한 POSIX 표면의 관련 부분을 이행한다.
커널의 제어하에서, (자바 및 Pantal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가상 머신은 대용량 저장 서버(3850)(도시하지 않음) 등의 운영 체제의 다른 '서버' 요소와 별도로, 그 자신의 스레드로 실행된다. 또한, 시스템 호출에서의 파라미터로서 전송될 스레드 ID를 요구하는 등의 해당 준비가 API층(3300)에서 이루어져, 애플리케이션(3120)이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이익이 되도록 한다.
다중 스레드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성이 보다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머신(3500)이 일부 원인에 의해 동작이 중지하면, 장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장시간 동안 충돌되거나, 방해됨으로써, 하드디스크 서버 등의 시스템의 다른 시간 임계 부분이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가상 머신(3500)과 커널(3650) 뿐만 아니라, 하드디스크 영상 레코더 (HDVR) 모듈(3850)은 하드디스크(2210) 또는 다른 부착된 대용량 저장 요소의 레코딩 및 재생 기능을 조정하도록 제공된다. 서버는 레코딩을 조정하는 두 개의 별도의 스레드(3854,3856)를 포함하며, 하나의 스레드(3858)는 재생과, 대용량 저장 구성요소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 라이브러리(3852)를 조정한다.
하드디스크 영상 레코더(HDVR)(3850)에서의 스레드(3854, 3856, 3858)중 적합한 하나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코드'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PVR(personal video recorder) 애플리케이션(3154) 등의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프로그램의 레코딩을 시작하는 명령 등의) 명령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스레드는 서비스 장치(3736)(도 7에 도시)과 차례대로 상호작용하여 레코딩 또는 재생될 비트스트림을 조정하는 리시버/디코더 부분을 설정 및 동기화한다. 동시에, 스레드는 파일 시스템 라이브러리(3852)와 상호 작용하여, 하드디스크(2210)(도시하지 않음)의 적절한 위치에서 레코딩 또는 재생 동작을 조정한다.
그리고, 파일 시스템 라이브러리(3852)는 대용량 저장 장치(3728)(도 7에 도시함)로 명령을 전송하며, 대용량 저장 장치(3728)는 (FIFO 버퍼)를 통해 전송하는 서브 전송 스트림(STS)이고, 스트림이 저장되어야 하는 하드디스크를 대상으로 한다. 하드 디스크의 클러스터 할당과, 일반적인 파일 관리는 파일 시스템 라이브러리(3852)에 의해 수행되며, 대용량 저장 장치 자체는 하위 레벨 동작과 관련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서비스 장치(3736)는 리시버/디코더의 물리적 구성요소에 관련되지 않는 장치들 중에서 유일하다. 이것은 상위 레벨 프로세스에서 다양한 서브 장치 조정의 어려움을 제거하여, 리시버/디코더에서의 튜너, 디멀티플렉서, 리멀티플렉서 및 하드디스크 장치를 단일 '인스턴스'로 함께 그룹화하는 고레벨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층(3900)을 포함하는) 도 5의 하부 절반에 해당되는 리시버/디코더(3000)의 소프트웨어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장치 층에 제공된 추가 장치는 조건부 접근 장치(3720), 도 4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튜너(2016, 2018)에 해당되는 튜너 장치(3724), 영상 장치(3734), I/O 포트 장치(3726), 및 서비스 장치(3736)와 대용량 저장 장치(3728)를 포함한다.
넓은 의미에서, 장치는 논리 인터페이스를 규정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어, 2개의 상이한 장치가 공통 물리 포트에 결합될 수 있다. 임의의 장치는 그 자체로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든 장치는 커널(3650)의 제어 하에서 동작한다.
어떤 장치의 서비스를 사용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 명령 시퀀스 등의)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즉 장치 또는 장치 관리자(3710)로의 논리 접근 경로(access-way)로서 선언되어야 한다. 관리자는 장치로의 모든 접근에 관련되는클라이언트 번호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장치는 몇 개의 클라이언트를 가질 수 있으며, 각 장치의 클라이언트 번호는 장치 형태에 따라 지정된다. 클라이언트는 절차 "장치 : 오픈 채널"에 의해 장치로 도입된다. 이 절차는 클라이언트에 클라이언트 번호를 할당한다. 클라이언트는 절차 "장치 : 클로즈 채널"에 의해 장치 관리자(3710) 클라이언트 리스트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장치 관리자(3710)에 의해 제공된 장치로의 접근은 동기화 또는 비동기화될 수 있다. 동기식 접근에 대해, 절차 "장치 : 호출"이 사용된다. 이것은 즉시 사용 가능한 데이터에 접근하는 수단, 또는 소망하는 응답에 대한 대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능성이다. 비동기식 접근에 대해, 절차 "장치 : I/O"가 사용된다. 이것은,예를 들어 멀티플렉서를 검색하기 위해 튜너 주파수를 스캐닝하거나, MPEG 스트림으로부터 테이블을 다시 얻는, 응답에 대한 대기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수단이다. 요청된 결과가 이용 가능한 경우, 이벤트가 엔진의 큐에 넣어져, 그 도착을 알린다. 추가 절차 "장치 : 이벤트"는 예상치 못한 이벤트를 관리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리시버/디코더의 제 2 실시예에서, 리시버/디코더 구조의 하부 절반은 도 8에 도시한 층으로 대체된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된 장치 층 인터페이스(EDLI)(3600)는 가상 머신(3500)(도시하지 않음)과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 사이에 제공되고, 추상화 장치 인터페이스(3800)는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와 시스템 소프트웨어/하드웨어층(3900) 사이에 제공된다. 이와 달리,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확장된 장치 층 인터페이스(EDLI)(3600)는 가상 머신(3500)과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 사이의 전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장치 층 인터페이스에 다중 스레드 지원을 제공한다. EDLI의 기능은 (장치 층 인터페이스가 다중 스레드를 자체 지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들웨어에서 적합한 스레드로 비동기 이벤트의 라우팅과 스레드 간의 메시지의 라우팅을 포함한다.
추상화 장치 인터페이스(3800)는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와 시스템 소프트웨어/하드웨어층(3900)에서의 장치 드라이버(3910) 사이의 추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다량이며 복잡한 장치 층(3700)은 하드웨어가 보다 크게 독립적으로 될 수 있게 한다.
시스템 장치의 추가 측면
리시버/디코더(2000) 내의 소프트웨어 장치의 구성, 특히 향상된 기능성을 제공하는 장치 인스턴스 생성 및 논리 디멀티플렉서의 사용이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장치 인스턴스 생성 특징을 유익하게 사용하는 논리 디멀티플렉서가 이하에 기술된다.
계속해서, (예를 들어, 하나의 디멀티플렉서가 2개의 종래의 디멀티플렉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디멀티플렉싱하고,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레코딩하는 상기에서 언급된 논리 디멀티플렉서의 사용이 하기에 기술된다. 조건부 접근을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제어워드 장치와 다른 시스템 측면의 규정이 하기에 기술되며, 마지막으로 2개의 튜너의 사용의 기술, 특히 조건부 접근 데이터에 괸해 그리고 상기 언급된 논리 디멀티플렉서와의 근접한 관계를 갖는 것에 괸하여 후속된다.
장치 관리의 문맥에서의 장치 인스턴스 생성(instantia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 관리자(3710)는 리시버/디코더에 의해 요청된 장치를 인스턴스화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장치의 인스턴스 생성과 이들의 상세한 구조가 도 9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9는 2개의 소프트웨어 장치d 0 (6000)와d 1 (6002), 이들의 개별 클라이언트(6004), 대응 하드웨어 장치 클래스D용 장치 드라이버(6006), 및 대응 하드웨어 장치D 0 (6008) 및D 1 (6010)를 나타내고, (형태D의) 장치의 동일 클래스(6012)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장치 프로필d(6014)와, 각 개별 장치(6000, 6002)용 인스턴스 생성 데이터(6016, 6018)가 도시된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장치(6000, 6002) 자체는 장치 프로필에 해당되는 부분(6020)과, 인스턴스-상세(instance-specific) 정보에 해당되는 부분(6022)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논의된 원리는 도시된 2개 이외에 다수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또한 제공되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장치(6000, 6002)는 장치 층(3700)의 부분을 형성하고; 장치 클라이언트는 전형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층(3100), API 층(3300), 가상 머신층(3500), 또는 장치 층(3700) 부분을 형성하며; 장치 드라이버(6006) 및 하드웨어 장치(6008, 6010)는 도 6, 8, 및 9에 모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소프트웨어/하드웨어층(3900) 부분을 형성한다.
보다 큰 호환성과 효율성을 만들기 위해, 다른 경우와 관련된 각 '소트프웨어 장치'는 인스턴스 생성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시버/디코더(2000)가 초기화 또는 재초기화되는 경우, 장치 관리자(3710)는 인스턴스 생성 정보(6016 또는 6018) 등의 (더 이상 인스턴스 식별자가 아닌) 인스턴스-상세 정보와, 장치 프로필d(6014) 등의 각 요청된 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장치 프로필'을 조합함으로써 장치d 0 (6000) 및d 1 (6002) 등의 각 소프트웨어 장치를 차례대로인스턴스화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 프로필은 필요한 인터페이서, 코드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대응 인스턴스화된 장치의 독립형 버전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지원될 명령을 포함)옵션은 각 장치 인스턴스에 대해 지정된다. (예를 들어, 장치 프로필의 바이트-포-바이트(byte-for-byte) 코드 복사에 의한) 인스턴스 생성 후, 특정 장치의 모든 인스턴스는 동일한 또는 다른 장치의 다른 인스턴스와 완전히 독립된다.
도 9에서 일반적 장치 드라이버(6006)가 장치(D)의 하드웨어 기능에 접근하기 위해 제공되고; 이 경우, (장치 관리자(3710)으로의 보다 높은 레벨 호출에 대향되는 것으로) 이 장치 드라이버로의 호출은 상기 호출이 (예를 들어, 장치 인스턴스 번호를 파라미터로서 공급함으로써) 관련되는 하드웨어 장치들중 특정한 하나를 지정하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매우 광범위하게 될 수 있는 장치 층(3700)과 시스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층(3900)의 구현에 의존하여, 별도의 장치 드라이버는 각 하드웨어 장치(6008, 6010)에 제공될 수 있다.
장치의 각 클래스 또는 형태는 장치의 그 클래스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2바이트의 클래스 식별자(6102)가 할당된다. 인스턴스 생성시에, 특정한 클래스의 각 장치는 그 클래스 내에서 유일하게 되는 2바이트의 인스턴스 식별자(6104)가 할당된다. 이것은 제 1 디먹스 장치(하기에서 기술)로서 동일한 인스턴스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튜너 장치는 동일한 인스턴스 식별자를 갖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인스턴스 생성 후에, 각 장치는 (가장 낮은 2바이트의 복합 식별자를 형성하는) 클래스 식별자(6102)와 (가장 높은 2바이트의 식별자를 형성하는) 인스턴스 식별자(6104)로 구성된 복합, 4바이트의 식별자(6100)(도 10을 참조)에 의해 유일하게 식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D)는, 예를 들어 광범위하게 상이한 주파수로 방송된 다수의 상이한 전송 스트림을 디코딩하도록 선택되는, 리시버/디코더에서의 튜너일 수 있다.
이 경우, 하드웨어 장치D 0 및 D 1 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2개의 튜너(2016, 2018)이고, 소프트웨어 장치d 0 (6000) 및d 1 (6002)은 도 7 및 8에 도시된 2개의 튜너 장치(3724)이며, 하드웨어 장치 드라이버는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장치 드라이버가 각 튜너에 제공될 수 있지만) 2개의 튜너와 하위 하드웨어와의 직접적인 통신을 허용하는 튜너 장치 드라이버(별도로 도시하지 않음)이다.
상기를 예시하기 위해, 일반적 튜너 장치(d)로 제공된 전형적인 기능은, 예를 들어 주파수, 신호 극성 등을 포함하는, 정해진 튜너의 다양한 특성을 설정하는 TUNER_TUNING_SET 명령이다. TUNER_TUNING_SET 명령은, 예를 들어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에서 언급된 재핑 애플리케이션(3146)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TUNER_TUNING_SET 명령에 해당되는 실제의 실행가능 코드는 모든 튜너 장치에 공통되지만, 각 튜너 장치가 다른 것과 독립적으로 동조될 수 있도록 한다. (d 0 등) 특정 튜너 인스턴스의 현재 주파수 등의 정보는 특정 튜너 장치(d 0 )에 대한 인스턴스-상세 정보에 포함된다.
장치 프로필(6014)과 인스턴스 생성 데이터(6016, 6018)가 이제 도 11a 및 11b를 참조하게 보다 설명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2개의 튜너와 대응 튜너 소프트웨어 장치 등) 복수의 하드웨어 장치와 대응 소프트웨어 장치가 존재하는 도 9에 도시된 상황과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LCARD 스마트카드 판독 장치에 대한) 정해진 장치 클래스에서의 하나의 소프트웨어 장치만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 프로필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것으로부터 여전히 제공될 수 있다.
저장된 운영체제는 모든 요청된 소프트웨어 장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장치 프로필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운영체체가 (리시버/디코더의 전원 공급 또는 다른 리셋에 후속하는) 부팅 또는 재부팅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장치의 인스턴스 생성은 정적이고, 일단 모두 리셋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시버/디코더에 제공된 하드웨어도 정적이기 때문에, 이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하드웨어 장치의 서브셋(subset) 또는 하드웨어 장치의 그룹에 의해 제공된 특정한 기능성은 물리적 등가물 없이 '논리' 소프트웨어 장치를 제공하는 단일 소프트웨어 장치에 인캡슐화된다. 이러한 예는 하기에서 설명될 논리 디멀티플렉서이다.
장치 관리자(3710)의 제어 하에서 서로간의, 그리고 애플리케이션과 장치의 통신이 이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장치는 장치 관리자(3710)의 제어 하에서 애플리케이션, 또는 잠재적으로다른 장치와 통신한다. 장치 관리자(3710)는 장치로의 접근을 제어하고, 예상치 못한 이벤트의 수신을 선언하며, 공유된 메모리를 관리한다. 서로간, 그리고 시스템(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부분과 통신하는 장치에 의해 사용된 3가지 절차가 상기에서 도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3가지 절차는 다음 목적을 이용한다:
"장치 : 호출" 절차는 동기 명령을 제공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달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절차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명령 또는 데이터 전송의 실행 동안 정지된다. 이것은 엄격한 시퀀스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이 신뢰할 수 있게 제어되도록 한다.
"장치 : I/O" 절차는 비동기 동작을 제공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요청 또는 장치에 의해 수행될 특정 기능을 전송할 수 있고,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데이터 전송 또는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계속된다. 요청된 결과가 유효하는 경우, 이벤트는 그 도착을 알리기 위해 장치 관리자(3710)에 의해 큐에 넣어진다.
"장치 : 이벤트" 절차는 이벤트가 장치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으로 알릴 수 있게 하여 예상치 못한 이벤트를 관리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가 이러한 호출을 생성하는 경우, 장치 관리자(3710)는 이벤트 아이템을 큐에 로딩한다. 가상 머신(3500)의 이벤트 관리자(3546)는 각 이벤트 아이템에 할당된 우선순위 레벨에 따라 이벤트 아이템을 추출하고, 가상 머신(3500)에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적합한 추가 큐 구조 상세에 이들을 삽입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이벤트를 수신하는경우, 이것이 인터럽트되고, 그 시간에 실행되고 있는 코드와 독립적으로 응답하여 이벤트가 공지된다. 이벤트는 버스 리셋 등의 인터페이스에서 발생되고 있는 어떤 것을 통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요청된 데이터 전송의 완료를 알리는 인스턴스에 대한 비동기 명령에 응답하여 결과를 통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장치의 클래스의 특정한 기능이 하위 하드웨어(예를 들어, 튜너 장치에 대한 스캔 특징 등의 장치 특징이 하드웨어에 제공되지 않는다고 하면), 그 소프트웨어 장치의 인스턴스는 그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요한 특징은 지원하는 물리 장치(들)로부터의 기능의 추상화이다. 각 기능은 몇가지 물리 장치를 포함하여 복합적인 하나로 될 수 있고, 기능 세트는 물리 또는 논리 장치의 중첩 세트를 포함하는 것에 관련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 인스턴스 생성에 의해 처리된다. 하나의 장치 클래스는 하나 이상의 기능에 관해 인스턴스화될 수 있다. 이것은 하기의 리시버/디코더에서의 다중 멀티플렉싱 기능의 설명에 의해 예시되며, 각 멀티플렉싱 기능은 장치 인스턴스 그 자신의 세트를 갖고, 장치 인스턴스는 장치 클래스의 중첩 세트에 속한다.
논리 장치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논리 장치를 포함한다. 논리 장치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하위 하드웨어의 단일 아이템에 해당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논리 장치에 의해 제공된 기능성은 하드웨어의 아이템에의해 제공된 기능성의 서브셋일 수 있거나, 다수의 아이템의 하드웨어에 의해 제공된 기능성의 병합일 수 있다. 이것은 하드웨어의 아이템 또는 아이템들의 지원없이 소프트웨어 장치 자체에 의해 제공된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논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소프트웨어 장치로 호출함으로써 접근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며, 하드웨어의 아이템 또는 아이템들의 지원으로, 또는 지원없이 그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논리 디멀티플렉서(DEMUX) 장치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디멀티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고, 하드웨어 및 다른 소프트웨어 장치 모두로 호출한다.
소프트웨어 장치 세트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요청에 응답하여 DDR 유닛(2010)의 디멀티플렉싱 기능에 접근하기 위한 장치 층 인터페이스(3700)에 제공된다. 이러한 세트는 다음을 포함한다: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패킷을 추출하고, 다른 장치의 활성화를 조정하는 DEMUX 장치(도 11에서 3762),
·전송 스트림의 패킷으로부터 데이터 섹션을 추출하는 MLOAD 장치(3738),
·그 데이터의 필터링과 조작처리를 포함하여,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통신 포트로 데이터 섹션을 전송하는 MCOM 장치(3764),
·조건부 접근 동작을 검사하는 CA 장치(3720),
·제어워드를 디스크램블러로 전송하는 CW 장치(하기에서 보다 설명)(3760),
·전송 스트림을 조합하는 TS_REMUX 장치(3766), 및
·시청자에게로의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을 검사하는 SERVICE 장치(3736).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3가지 형태의 논리 디멀티플렉서 장치는 다음이 제공된다(도 11을 참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의 패킷의 추출을 포함하고, 이들 패킷을 추출하며,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들을 시스템이 정확한 부분에 라우팅시키는)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6220),
·(전송 스트림으로부터의 패킷의 추출, 프로그램 스트림의 구성, 및 레코딩하기 위해 그 스트림을 시스템의 정확한 부분으로의 라우팅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레코딩할 수 있는 레코더(6230), 및
·상기 형태의 디멀티플렉서 장치 모두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플레이어/레코더(6240).
이들 3가지 형태의 논리 디멀티플렉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열거된 소프트웨어 장치의 상이한 서브셋(6222, 6232, 6242)에 의해 지원된다. 플레이어 논리 디멀티플렉서(6220)는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을 구성하는데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TS_REMUX 장치(3766)를 요청하지 않고, 레코더 논리 디멀티플렉서(6232)는 시청자에게로의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과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 장치(3736)를 요청하지 않는다. 각 논리 디멀티플렉서에 대해, 상기에서 열거된 각 요청된 다른 소프트웨어 장치들중 전용의 하나도 인스턴스화된다.
논리 디멀티플렉서가 하드웨어 디멀티플렉서에 의해 제공된 기능성을 요청하는 경우, 예를 들어 입력되는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서비스를 레코딩하는 기능성을 요청하는 경우, 논리 디멀티플렉서는 우선 DEMUX_SET_SOURCE 명령을 사용하여 전송 스트림의 소스의 하드웨어 디멀티플렉서를 통지한다. 가능한 소스는 튜너(다중 튜너의 제공에 관한 추가 정보가 하기에서 제공), 버퍼를 통한 하드디스크(예를 들어, FIFO), 외부 장치가 부착되는 포트중 하나를 포함한다. 디멀티플렉서가 상이한 소스로부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도록 활성화되면, 디멀티플렉서는 요청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용될 수 없는 논리 디멀티플렉서 장치를 통지한다. 이와 달리, 디멀티플렉서의 소스는 지시된 소스로 설정되고, 요청된 동작이 수행된다. 하드웨어 디멀티플렉서가 소망하는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절차가 하기에서 보다 설명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논리 장치는 논리 장치에 의해 제공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물리 또는 다른 소프트웨어 장치를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논리 장치가 다른 장치(들)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장치 관리자에 의해 유지된다.
다중 디멀티플렉서/리멀티플렉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DDR(2010)은 2개(또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물리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각각은 별개의 소스로부터 수신된 최대 32PID까지를 디멀티플렉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논리 디멀티플렉서 장치를 사용하여, 특정 소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디멀티플렉싱하도록 각 물리 디멀티플렉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예시하기 위해, 소망하는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수행하도록 물리 디멀티플렉서를 선택하는 절차가 2개의 물리 디멀티플렉서(6302, 6304)를 갖는 리시버/디코더의 문맥에서 도 12a, 12b, 12c 및 13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2a 및 12b는 제 1 및 제 2 튜너(개략도; 2016 및 2018)와, 제 1 및 제 2 디멀티플렉서(6302 및 6304)를 나타낸다. 도 12a에 있어서, 제 1 디멀티플렉서(6302)는 제 1 튜너(2016)가 동조되는 전송 스트림 X(6310)로 수신되는 서비스를 디멀티플렉싱하도록 활성화되고; 따라서 제 1 튜너(2016)는 제 1 디멀티플렉서의 소스(6250)로서 설정된다. 다음은 이러한 상황하에서 제 2 전송 스트림 Y(6320)로부터 5 PID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디멀티플렉싱하고자 하는 경우에 시작되는 절차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논리 디멀티플렉서 장치는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검사하도록 할당된다. 그리고, 논리 디멀티플렉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다음 절차를 수행한다.
논리 디멀티플렉서 장치는 어떤 물리 디멀티플렉서가 소망하는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서비스를 디멀티플렉싱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단계 7002). 그렇다면, 물리 디멀티플렉서 장치는 그 논리 디멀티플렉서가 5개의 추가 PID를 디멀티플렉싱하는데 충분한 능력을 갖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단계 7004). 대답이 다시 예이면, 논리 디멀티플렉서는 소망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 디멀티플렉서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예의 경우에, 물리 디멀티플렉서는 소망하는 동작(즉, 튜너가 전송 스트림 Y에 동조)을 위한 정확한 소스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 7002 후에, 논리 디멀티플렉서는 어떤 물리 디멀티플렉서가 연결되지 않은 소스를 갖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비활성화되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단계 7006). 물리 디멀티렉서가 비활성되지 않으면, 논리 디멀티플렉서는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에러를 반환한다(단계 7008). 그러나, 본 예의 경우에, 제 2 물리 디멀티플렉서의 소스는 연결되지 않고, 따라서 논리 디멀티플렉서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논리 디멀티플렉서는 제 2 물리 디멀티플렉서의 소스를 제 2 튜너(2018)로 전환하고, 제 2 튜너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명령을 튜너 장치(3724)로 전송함으로써) 소망하는 전송 스트림의 주파수로의 동조를 요청한다.
제 2 예에서, 도 12a에 도시된 상황에서부터 시작하면, 전송 스트림 X(6310)로부터 5개의 추가 PID를 디멀티플렉싱하고자 한다. 이 경우, 단계 7002에서, 제 1 물리 디멀티플렉서(6302)는 소망하는 소스를 갖는 것이 발견된다. 그리고, 논리 디멀티플렉서는 제 1 물리 디멀티플렉서(6302)가 5개의 추가 PID를 디멀티플렉싱하는데 충분한 용량을 갖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고(단계 7004); (상기의 상태와 같이, 각멀티플렉서가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32 PID를 동시에 디멀티플렉싱할 수 있는) 5개의 PID만을 현재 디멀티플렉싱하기 때문에, 이것이 행해진다. 따라서, 논리 디멀티플렉서는 제 1 물리 디멀티플렉서(6302)를 사용하여 소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튜너(2016)로 그 소스를 전환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2개(또는, 그 이상) 물리 리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각각은 공지된 방법으로 서비스의 디멀티플렉싱된 패킷으로부터 저장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표시되는/레코딩되는 서비스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전송 스트림에 수신되는지 어떤지에 관계없이,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표시하거나(예를 들어, 화면 속 화면(picture-in-picture) 구성),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레코딩하거나(의존하는 보다 많은 정보가 하기에 제공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상이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동안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레코딩할 수 있다.
다중 서비스의 레코딩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레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청자가 겹치는 시간에 방송되는 제 1 프로그램과 제 2 프로그램을 레코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그러한 요청이 발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시청자는 제 1 프로그램을 레코딩하고, 제 1 프로그램과 동일한 시간에 방송되는 제 2 프로그램을 시간 이동시키고자 한다. 이 후자의 경우가 도 14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용으로 기술될 것이다.
본 논의의 목적을 위해, 사용자는 전송 스트림(X)으로 수신되고, 90분의 기간을 가지며, 21시에 시작되는 프로그램(A)을 시청(및 시간 이동)하고; 전송 스트림(Y)으로 수신되고, 45분의 기간을 가지며 21시 30분에 시작되는 프로그램(B)를 레코딩하고자 한다.
공지된 방법으로 프로그램(B)가 레코딩되는 것이 초기에 지시되면, 사용자는 21시에, 예를 들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로부터 프로그램(A)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로그램(A)을 시청하고자 하는 것을 지시한다. 플레이어/레코더 논리 디멀티플렉서 장치,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DEMUX_PLAY_RECORD(6240)는 프로그램(A)을 형성하는 서비스의 디멀티플렉싱에 할당되고; DEMUX_PLAY_RECORD는 상기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 1 물리 디멀티플렉서인 HW_DEMUX_0(6302)이 튜너로부터 디멀티플렉서에 유효한 것을 판단한다. 제 1 튜너인 TUNER_0(2016)은 전송 스트림(X)의 주파수로 동조되고, HW_DEMUX_0(6302)의 소스는 DEMUX_SET_SOURCE 명령을 사용하여 TUNER_0(2016)으로 설정된다. 프로그램(A)에 속하는 기본 스트림의 PID는 (상기에서 설명된) SI 엔진(3540)으로부터 얻어지고, 이들 PID의 디멀티플렉싱을 시작하는 HW_DEMUX_0(6302)로 전달된다. 추출된 기본 스트림 패킷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크램블링되어, 공지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21시 30분에, 레코더 논리 디멀티플렉서 장치인 DEMUX_RECORD(6220)는 프로그램(B)을 형성하는 서비스의 디멀티플렉싱에 할당된다. DEMUX_RECORD(6220)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HW_DEMUX_0(6302)이 전송 스트림(X)으로 수신되는 전송 스트림으로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수행하지만, 제 2 물리 디멀티플렉서인 HW_DEMUX_1(6304)가 유효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제 2 튜너인 TUNER_1(2016)은 전송 스트림(Y)의 주파수에 동조되고, HW_DEMUX_1(6304)의 소스는 TUNER_1(2016)으로 설정된다.
프로그램(B)에 속하는 PID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되고, 이들 PID의 디멀티플렉싱을 시작하는 HW_DEMUX_1(6304)로 전달된다. 그리고, 추출된 기본 스트림은 공지된 방법으로 리멀티플렉싱되어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본 논의의 목적을 위해, 21시 45분에 사용자는 프로그램(A)의 나머지 45분의 시청을 연기하고자 하여, 리모콘의 일시정지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것을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이 가정한다. DEMUX_PLAY_RECORD(6240)는 추출된 기본 스트림의 디스크램블링을 중지하고, 이것에 할당된 서비스 장치(3736)가 스크린에 영상 디스플레이를 정지하고, 이것에 할당된 TS_REMUX 장치(3766)를 사용하여 기본 스트림의 리멀티플렉싱을 시작하도록 한다. 리멀티플렉싱된 스트림은 공지된 방법으로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22시에, 사용자는 리모콘의 리모콘의 재개 버튼을 누름으로써 프로그램(A)의 나머지 45분을 시청하고자 하는 것을 지시한다. 플레이어 논리 디멀티플렉서인 DEMUX_PLAY(6220)은 프로그램(A)의 저장된 부분의 디멀티플렉싱에 할당되고; DEMUX_PLAY(6220)는 HW_DEMUX_0(6302)와 HW_DEMUX_1(6304)이 하드디스크로부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데 유효하지 않는 것을 판단하며, 제 3 물리 디멀티플렉서인 HW_DEMUX_2(도시하지 않음)가 선택되어, 그 소스가 공지된 방법으로 (FIFO를 통해) 하드디스크에 설정된다. DEMUX_PLAY_RECORD가 22시 30분까지 TUNER_0(2016)로부터 프로그램(A)을 계속 디멀티플렉싱하고 리멀티플렉싱되면서, 프로그램(A)의 저장된 부분은 22시 45분까지 DEMUX_PLAY에 의해 하드디스크로부터 판독, 디멀티플렉싱 및 디스크램블링된다. DEMUX_RECORD(6230)는 22시 15분에 TUNER_1(2018)로부터 프로그램(B)의 디멀티플렉싱 및 리멀티플렉싱을 중지한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프로그램(B)을 시청하는 것을 결정하면, DEMUX_PLAY (622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멀티플레싱 동작 등을 수행한다.
제어워드 장치
공지된 시스템에서, 제어워드는 카드 판독기에 수용된 조건부 접근 스마트카드에 의해 ECM으로부터 추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워드는 스마트카드에 의해 ECM으로부터 계속 추출되지만, 조건부 접근 데이터의 추가 프로세싱은 상기 구조의 상위 레벨에서 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DDR(2010)에서 디스크램블러에 의해 수행된 디스크램블링 동작을 관리하기 위해, 추가 소프트웨어 장치인 제어워드(CW) 장치(376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정보(SI) 엔진(3540)은 공통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또는 프로그램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SIP) 테이블을 로딩 및 모니터링하고, 이들을 캐쉬에 넣는다. 테이블에 포함된 데이터는 권한부여 제어 메시지(ECM)에 대한 PID가 확인될 수 있는 조건부 접근 테이블(CAT)를 포함하고, 각각은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암호화된 제어워드와 접근 기준을 포함한다. 입력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해, 관련된 제어워드는 권한부여 관리 메시지(EMM)로 수신된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는 조건부 접근 스마트카드(CA 스마트카드)(2062)로 로딩된 후,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한 DDR 유닛(2010)에 사용하는데 필요하다.
ECM의 조정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설명될 것이다. 서비스가 디스크램블링되는 경우, (예를 들어, 가상 머신 부분을 형성하는) 미들웨어에서의 CA 커널(6402)은 디스크램블링될 서비스가 수신되고 있는 채널을 식별하는 (예를 들어, 재핑 애플리케이션(3146)으로부터) 시스템에서 어떤 곳으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한다. CA 커널(6402)은 SI 엔진(3540)에 의해 캐쉬된 데이터로부터 디스크램블링될 서비스에 관련된 ECM의 PID을 검색하고,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으로 수신될 때 ECM(6420)을 분리하도록 DLI에서의 MLOAD 장치(3738)에 명령한다. 그리고, 별도의 ECM은 CA 커널(6402)에 의해 LCARD 장치(3740)의 제어 하에서 동작시키는 조건부 접근 스마트카드(2062)로 라우팅된다. 조건부 접근 스마트카드는 정당한 권한을 갖는다면, 공지된 방법으로 ECM으로부터 제어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어워드는 CA 커널(6402)에 의해 DLI에서의 제어워드(CW) 장치(3760)로 전달된다. 그 결과, 제어워드의 조정은 증가된 보안성으로 인해 DLI 레벨에서 보이지 않는다.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CW 장치의 역할은 물리 디스크램블러(들)에 의해 수행된 디스크램블링 동작을 관리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CW 장치는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스턴스화되고, 장치의 각 인스턴스는 상기 디스크램블러(들)(또는, 디스크램블러중 하나)의 클라이언트이다. CW 장치는 디스크램블러 채널 식별자(DESCR_ID)에 의해 식별된, 디스크램블러 채널을 상이한 접근 조건이 적용되는(즉, 상이한 제어워드의 사용을 요청하는) 각 요청된 디스크램블링 동작에 할당한다.
특정 디스크램블링 동작에 대해, CW 장치는 다음 작업을 책임진다:
·데이터가 디스크램블링되는 것을 지시하는 요청을 수신;
·디스크램블러 채널을 디스크램블링 동작에 할당;
·수행될 디스크램블링 동작의 형태(예를 들어, DVB CS, DES 및 트리플 DES)를 선택;
·제어 키를 디스크램블러로 전달;
·필요시에 디스크램블러 채널로부터 제어 키를 플러시; 및
·더 이상 요청되지 않는 경우 채널을 폐쇄.
더욱이, CW 장치는 디스크램블러의 성능에 근거하여 언제라도 할당될 수 있는 디스크램블러 채널의 최대수를 결정하고, 디스크램블링 동작에 대한 요청이 수용될 수 없으면 CA 커널을 통지한다.
다중 튜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2개 이상의 튜너의 규정이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조건부 접근에 대한 규정을 잠시 재검토한 후에 하기에서 기술될 것이다.
공지된 시스템에서, MPEG 전송 스트림은 제한된 수의 음성 및 영성 프로그램을 전달하고, 그 수는 데이터 압축 등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의존한다. 전파 중계소로부터 방송되는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는 각 전송 스트림에 삽입되어, 리시버/디코더는 차례대로 각 전송 스트림에 동조하지 않고, 시청할 권리가 유지된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다. 각 전송 스트림에서 이러한 데이터의 규정은 컨텐트 자체에 이용 가능한 대역을 감소시킴으로써, 부케 분배에 필요한, 전송 스트림, 트랜스폰더 등의 수를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일 전송 스트림에서만 이러한 관리 데이터(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포함)를 방송할 수 있는 전파 중계소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2개의 튜너를 포함하는 것을 상기에서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들 튜너(또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가 튜너)중 하나는 이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작업에 전용된다.
도 1, 2 및 3을 참조하는 상기 설명에서는 단일 멀티플렉서(1030)가 링키지(1022)를 통해 사용자에게 방송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된다. 멀티플렉서(1030)는 실제로 부케를 방송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전송 스트림을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플렉서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관리 데이터를 방송하는 추가 멀티플렉서의 규정이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설명된다.
멀티플렉서(1030) 외에, SAS(5200)로부터 암호화된 EMM, 제 2 암호화 유닛(5102)으로부터 암호화된 ECM, 데이터스트림 설명 테이블(예를 들어, PAT 및PMT), CAT 테이블용 업데이트 패킷, 및 유사 형태의 어떤 다른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 데이터 멀티플렉서(1030')가 제공되고, 관리 데이터 전송 스트림을 조합하는데 사용된다. 이 전송 스트림은 (방송 라우트(600)과 동이하게 될 수 있는) 방송 라우트(600')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관리 데이터는 멀티플렉서(1030)에 의해 구성된 전송 스트림에 삽입되지 않는다.
리시버/디코더가 사용자의 댁내에 설치되는 경우, 관리 데이터 전송 스트림의 주파수는 초기화 동안 프로그래밍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리시버/디코더는 관리 데이터 전송 스트림 그 자체로서 식별하는 전송 스트림에 대한 주파수를 스캐닝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건부 접근 데이터는 전용 채널이 아니라, 일부 프로그램 데이터도 전송하는 채널에서 방송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 호핑이 구현되어, 조건부 접근 데이터가 방송되는 채널이 변경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전파 중계소에 의해 방송된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리시버/디코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관리 데이터 전송 스트림에 동조될 수 있는 제 1 튜너(2016)와,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에 동조될 수 있는 제 2 튜너(2018)(또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및 제 3 튜너)가 제공된다.
즉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데이터와 관리 데이터 모두를 동시에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해, 리시버/디코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DDR 유닛(2010)에서 첫번째는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프로그램 스트림 PID를 필터링하고, 두번째는관리 데이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관련된 관리 데이터 PID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2개의 물리 디멀티플렉서가 제공되어야 한다. 실제로,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3개의 물리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다양한 기능의 구현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분배의 정확한 세부사항이 구현자(implementer)에 대한 선택의 문제이고, 상세하게 설명되는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리시버/디코더에 요청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용 집적 회로는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거나, 즉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드웨어 가속기에 대한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요청된 다양한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 전용 하드웨어 가속기를 제조하도록 변경됨으로써,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처리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유념한다. 그러나, 요청된 동작은 충분한 프로세싱 파워가 이용될 수 있으면, 소프트웨어로 실시될 수 있다.
모듈과 다른 구성요소는 선택적인 그리고 바람직한 특징과 함께, 각 구송요소에 의해 제공된 특징 및 기능에 관해 기술되었다. 주어진 정보와 제공된 설명과 함께, 이들 특징과 정확한 세부사항의 실제적인 실시예는 구현자에게 남아있다. 일예로서, 어떤 모듈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데 사용된 프로세서를 구동하도록 컴파일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성요소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동될 수 있고, 일부 또는 전체 구성요소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듈과 구성요소는 주로 예시적이고,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일부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것과 조합될 수 있거나, 일부는 단순화된 구현에서 생략될 수 있다. 각 기능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현은 구성요소들 간에, 그리고 단일 구성요소 내에서 자유로이 병합될 수 있다.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수행된 기능은 전기 및 유사 신호 등으로 또는 전기 및 유사 신호 등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소프트웨어 구현은 롬에 저장될 수 있거나, FLASH에 패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순히 예로서 기술되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세부사항의 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명세서, (적합하게는)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에 기재된 각 특징은 독립적으로, 또는 어떤 적합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48)

  1. 리시버/디코더용 논리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단일 하드웨어 장치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지 않는 리시버/디코더용 논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장치를 추가 장치에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논리 장치를 복수의 추가 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논리 장치를 소프트웨어 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5.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기능성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의 재생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할 수 있는 장치에 상기 논리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상기 논리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의 레코딩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상기 논리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12. 제 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멀티플렉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상기 논리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장치.
  13.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로서,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및 제 2 장치는 공통 물리 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치는 제 1항 내지 12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논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치 각각은 상기 포트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장치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로서, 장치 관리자와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중 적어도 하나는 제 1항 내지 12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논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6항 내지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자는 통신 채널,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및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6항 내지 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장치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자는 상기 장치들중 하나에 접근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자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에 클라이언트 번호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자는 할당된 클라이언트 번호의 레코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자는 클라이언트 번호가 할당되고 더 이상 상기 장치로의 접근을 요청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레코드로부터 엔트리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1항 내지 2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자는 상기 각 장치에 대한 개별 이벤트 큐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특정 장치에 대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그 특정 장치의 이벤트 큐에 이벤트를 삽입하도록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로서, 상기 리시버/디코더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지원된 기능을 기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명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또는 각 기능 설명에 따라 값을 로딩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각 기능 설명은 상기 리시버/디코더 사용시에 상기 설명된 기능을 함께 특성지우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필드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의 유용성은 그 프로세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있는 값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있는 상기 값의 유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7항 내지 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프로세스, 그리고 각 기능은 하나 이상의 장치에 의해 사용될 때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ⅰ) 하나 이상의 상기 장치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 설명;
    ⅱ) 상기 장치 설명에 따라 장치-상세 데이터를 로딩하는 수단;
    ⅲ) 상기 기능 설명에 의해 기술된 기능을 지원하는 상기 리시버/디코더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존재를 검출하는 수단;
    ⅳ) 상기 리시버/디코더 사용시에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 부분으로서 그 기능 설명에 대한 기능 식별자를 로딩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27항 내지 3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지원된 상기 기능은 디멀티플렉싱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값을 로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다중 값을 로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중 값은 멀티플렉싱된 신호의 입력 소스에 대한 식별자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31항 내지 3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기능 설명이 제공되고, 기능 식별자를 로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공통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기능 설명 각각에 대한 기능 식별자를 로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27항 내지 3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공통 기간에 걸쳐 적어도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도록 하나의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관리하는 제어 신호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27 내지 3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공통 기간에 걸쳐 레코딩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리멀티플렉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멀티플렉싱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관리하는 제어 신호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리시버/디코더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지원된 기능을 기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명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또는 각 기능 설명에 관한 값을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단계는 상기 리시버/디코더의 최초 초기화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리시버/디코더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장치 식별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기능과 연관된 부분과 상기 장치와 연관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를 인스턴스화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스화 수단은 일반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과, 인스턴스화될 장치로 인스턴스-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스화 수단은 장치의 현존 인스턴스 또는 장치의 일반 설명의 복사를 제공함으로써 일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 40항 내지 4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스화 수단은 정적으로 장치를 인스턴스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스화 수단은 상기 장치의 초기화 또는 재초기화의 사간에 상기 장치를 인스턴스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 40항 내지 4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스화된 장치는 기능성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 40항 내지 4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스화된 장치는 기능성을 복수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 40항 내지 4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스화된 장치는 비동기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스화된 장치는 제 1항 내지 12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논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 설명과, 상기 장치 설명에 관한 장치-상세 데이터를 로딩하는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상세 데이터를 로딩하는 수단은 하나 이상의 장치 설명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값을 로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값은 상기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 49항 또는 5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설명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복사에 관한 장치-상세 데이터를 로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 51항에 있어서, 장치-상세 데이터로서 각 장치 인스턴스에 로딩된 값은 장치 식별자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동일한 장치 설명의 또 다른 복사에 대한 장치 식별자중 적어도 일부로서 로딩된 어떤 값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제 50항 내지 5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리시버/디코더의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상이한 장치는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로딩된 적어도 하나의 값을 갖는 각 장치 설명은 장치 인스턴스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 식별자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된 적어도 2개의 다른 장치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 인스턴스에 공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4. 제 49항 내지 5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상세 데이터로서 하나 이상의 장치 설명에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로딩될 수 있는 값은 상기 설명에 관련된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절차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 파라미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값은 설명에 관련된 장치로의 인가된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6.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에 관련된 장치는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7. 제 51항 내지 5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장치 설명의 복사 회수는 사전설정 최대값으로 한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8. 제 49항 내지 5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리시버/디코더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지원된 기능을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명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또는 각 기능 설명에 관한 값을 로딩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9. 기능을 제공하는 리시버/디코더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그 장치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식별자에 대한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장치와의 통신에 관한 상기 선택된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0. 기능을 제공하는 리시버/디코더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장치 각각과의 통신에 관해 상이한 개별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이한 개별 식별자는 공통 부분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를 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2.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 동작 수단은 제 1항 내지 12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별 논리 디멀티플렉서를 디멀티플렉싱될 각 서비스에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3. 리시버/디코더에서의 디멀티플렉싱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공통 기간에 걸쳐 적어도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 하나의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관리하는 제어 신호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관리 수단은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 상기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함께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 1계열장치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 상기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함께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 2계열 장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5. 제 64항에 있어서, 각 계열 장치는 계열 장치 전체에 대한 적어도 공통부를 갖는 식별자가 각각 할당되고, 개별 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 상기 디멀티플렉싱 장치를 제어하는데 각 계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조정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동안 상기 제 1 계열에 대한 상기 공통부는 상기 제 2 계열에 대한 상기 공통부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6. 제 63항 내지 6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코딩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2개의 데이터 스트림 각각을 리멀티플렉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멀티플렉싱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7. 제 63항 내지 6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개별 채널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입력과, 상기 제 2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제 1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서로 관련시키는 상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8. 디스크램블링 동작을 관리하는 제어워드 장치로서,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워드 장치.
  69. 제 68항에 있어서, 장비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복호키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워드 장치.
  70.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로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1. 제 70항에 있어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인스턴스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한 사용의 인스턴스에 관해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2. 제 71항에 있어서,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단은 동일 기간에 걸쳐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에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각 식별자는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개별 인스턴스에 관해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3.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인스턴스는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개별 접근 조건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4. 제 71항 내지 7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개별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로의 복호키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5. 제 7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호키의 분배를 수신하는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로의 복호키의 공급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은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각 개별 인스턴스에 할당된 상기 식별자의 사용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6. 제 75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키는 멀티플렉싱된 정보 신호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7. 제 70항 내지 7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디멀티플렉싱 기능을 지원하는 계열 장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8. 제 71항 내지 7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계열에 있는 동일 장치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각 인스턴스는 상기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인스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식별자에 관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9. 제 70 내지 7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통 기간에 걸쳐 2 이상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레코딩하는 레코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0.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방법으로서,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제어에서 인터페이스 사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1. 제 80항에 있어서,
    ⅰ)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인스턴스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ⅱ)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 인스턴스에 관해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2.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제 1 인스턴스에 제 1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제 2 인스턴스에 제 2 식별자를 할당하는단계; 및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 1 및 제 2 인스턴스를 구별하는 제 1 및 제 2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스턴스 사용은 공통 기간에 걸쳐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3. 제 8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상기 제 1 및 제 2 인스턴스 사용은 디스크램블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개별 접근 조건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4.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제 1 서비스를 레코딩하는 수단; 제 2 서비스를 동시에 레코딩하는 수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별 시간에 상기 제 1 서비스 및 제 2 서비스를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85.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로서, 공통 기간에 걸쳐 2 이상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레코딩하는 레코딩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86. 프로그램 신호를 레코딩하는 방법으로서, 공통 기간에 걸쳐 2 이상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7. 리시버/디코더로서, 저장 장치에 제 1 프로그램을 수용 및 레코딩하는 수단; 상기 저장 장치에 제 2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용 및 레코딩하는 수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별 시간에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을 다시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리시버/디코더.
  88. 제 8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는 하드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디코더.
  89. 제 87항 또는 제 88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수신될 수 있는 개별 채널에 각각 동조될 수 있는 2개의 튜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디코더.
  90. 제 87항 내지 8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중 하나를 시간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디코더.
  91. 제 87항 내지 9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동안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중 하나를 재생하는 수단 및 그 프로그램의 재생을 일시정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디코더.
  92. 리시버/디코더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을 동시에 저장 장치에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별 시간에 상기제 1 및 제 2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드디스크에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을 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4. 제 92항 또는 9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제 1 채널에 제 1 튜너를 동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제 2 채널에 제 2 튜너를 동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5. 제 92항 내지 9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중 하나를 시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6. 제 92항 내지 9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동안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중 하나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프로그램의 재생을 일시정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7.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제 1 채널상에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 및 제 2 채널상에서 그 서비스에 관련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98. 제 97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 수신 수단이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9. 방송 센터로서, 제 1 채널 상에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차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방송하도록 구성되는 수단; 및 제 2 채널 상에서 상기 서비스에 관련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방송하는 조건부 접근 데이터 방송 수단을 포함하는 방송 센터.
  100. 제 99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 방송 수단은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가 방송되는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방송 센터.
  101. 조건부 접근 시스템으로서, 제 1 채널 상에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차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방송하는 서비스 데이터 방송 수단; 제 2 채널 상에서 상기 서비스에 관련된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방송하는 조건부 접근 데이터 방송 수단;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비스 데이터 수신 수단; 및 상기 조건부 접근 데이터를 수신하는 조건부 접근 데이터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조건부 접근 시스템.
  102. 리시버/디코더용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걸쳐 상기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수신 및/또는 디코딩하는데 사용하는 동안, 상기 장치는 개별 채널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입력과, 상기 제 2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제 1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서로 상관시키는 상관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03. 제 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에서 상기 신호로 수신되는 채널 식별자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제 2 입력에 연결하기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수단; 및 상기 제 2 입력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채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4. 제 102항 또는 103항에 있어서, 각 개별 채널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5. 제 102항 내지 10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입력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는 적어도 기본 컨텐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입력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는 상기 컨텐트 데이터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6. 제 102항 내지 10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7. 멀티플렉싱된 신호 전송 스트림에 관련된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시스템으로서, 제 1 멀티플렉싱된 신호 전송 스트림에서의 제 1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수단; 제 2 멀티플렉싱된 신호 전송 스트림에서의 제 2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수단; 및 상기 관련된 신호를 상호 관련시키는데 사용하는 상관 신호를 전송하는 상관 신호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108. 제 107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신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스트림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캐리어 주파수를 식별하기 위한 캐리어 주파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109. 제 107항 또는 108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신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스트림중 하나에 있는 슬롯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110. 시청각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채널에 걸쳐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 2 채널에 걸쳐 상기 시청각 데이터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1. 제 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채널은 제 1 및 제 2 전송 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2. 제 1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스트림은 별개의 주파수로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3. 제 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송 스트림이 방송되는 상기 주파수는 상기 제 1 전송 스트림으로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4. 리시버/디코더로서, 시청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튜너; 및 상기 시청각 데이터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튜너를 포함하는 리시버/디코더.
  115. 제 1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너는 제 1 채널을 동조시킴으로써 상기 시청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튜너는 제 2 채널을 동조시킴으로써 상기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디코더.
  116. 제 115항에 있어서, 수신된 시청각 데이터에 관한 상기 제 2 채널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디코더.
  117. 제 115항에 있어서, 주파수를 스캐닝함으로써 상기 제 2 채널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디코더.
  118. 제 114항 내지 1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튜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디코더.
  119.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리시버/디코더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지원된 기능을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명을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사용시에 상기 또는 각 기능 설명에 관한 값을 로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0. 제 1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은 상기 리시버/디코더의 최초 초기화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기능을 제공하는 리시버/디코더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장치 식별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기능과 연관된 부분과 상기 장치와 연관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장치에 대한 식별자를 상기 장치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식별자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장치와의 통신에 관해 상기 선택된 식별자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3.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2개의 상이한 장치 각각과의 통신에 관한 상이한 개별 식별자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개별 식별자는 공통부를 공유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4.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5. 제 124항에 있어서,
    ⅰ)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인스턴스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단; 및
    ⅱ)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사용에 관한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6. 제 1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제 1 인스턴스에 제 1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제 2 인스턴스에 제 2 식별자를 할당하며,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를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인스턴스 사용을 구별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식별자를 사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7.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램블링 장비의 사용의 상기 제 1 및 제 2 인스턴스는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개별 접근 조건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8.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저장 장치에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신 및 저장하는 수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별 시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9. 제 1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0. 제 128항 또는 1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채널에 제 1 튜너를 동조시키는 수단; 및 상기 제 2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제 2 채널에 제 2 튜너를 동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1. 제 128항 내지 1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중하나를 시간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2. 제 128항 내지 13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동안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그램중 하나를 재생하는 수단; 및 상기 프로그램의 재생을 일시정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3.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 1 채널에 걸쳐 시청각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단; 및 제 2 채널에 걸쳐 상기 시청각 데이터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4. 제 1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채널은 제 1 및 제 2 전송 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5. 제 1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스트림을 별개의 주파수로 발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6. 제 1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송 스트림이 방송되는 상기 주파수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제 1 전송 스트림 수단에 삽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7. 실질적으로 도 9 내지 11중 하나에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논리 장치.
  138.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
  139. 제 12항 내지 36항, 40항 내지 58항, 61항 내지 67항, 70항 내지 79항, 84항, 97항, 98항, 102항 내지 106항 및 138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리시버/디코더.
  140.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8, 및 도 16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어 기술된 바와 같은 리시버/디코더.
  141.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
  142. 제 14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3. 실질적으로 도 15에 관련되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어워드 장치.
  144. 실질적으로 도 1, 2 및 16에 관련되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송센터.
  145. 도 3 또는 16에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건부 접근 시스템.
  146. 제 119항 내지 136항 및 142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7. 제 119항 내지 136항 및 142항중 어느 한 항에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이용하는 신호.
  148. 제 147항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KR10-2004-7002527A 2001-08-21 2002-08-21 리시버/디코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KR20040027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402202.4 2001-08-21
EP01402202A EP1286262A1 (en) 2001-08-21 2001-08-21 Optimising the performance of an operating system of a receiver/decoder
EP02253866.4 2002-05-31
EP02253866A EP1304871A3 (en) 2001-08-21 2002-05-31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er/decoder
PCT/IB2002/003782 WO2003019931A2 (en) 2001-08-21 2002-08-21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er/deco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956A true KR20040027956A (ko) 2004-04-01

Family

ID=2607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527A KR20040027956A (ko) 2001-08-21 2002-08-21 리시버/디코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84478B2 (ko)
EP (2) EP1304871A3 (ko)
JP (1) JP4491232B2 (ko)
KR (1) KR20040027956A (ko)
CN (1) CN100531295C (ko)
AU (1) AU2002334278B2 (ko)
IL (1) IL160426A0 (ko)
MX (1) MXPA04001587A (ko)
WO (1) WO20030199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0300B2 (en) 1999-03-30 2010-06-0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transfer of data
US6697489B1 (en) 1999-03-30 2004-02-2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control words
US7039614B1 (en) 1999-11-09 2006-05-02 Sony Corporation Method for simulcrypting scrambled data to a plurality of conditional access devices
US6701528B1 (en) 2000-01-26 2004-03-02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Virtual video on demand using multiple encrypted video segments
US8082572B1 (en) 2000-06-08 2011-12-20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utilizing audio/visual signals and other information
US7457414B1 (en) 2000-07-21 2008-11-25 The Directv Group, Inc. Super encrypted storage and retrieval of media programs with smartcard generated keys
US8140859B1 (en) 2000-07-21 2012-03-20 The Directv Group, Inc. Secure storage and replay of media programs using a hard-paired receiver and storage device
US7797552B2 (en) 2001-09-21 2010-09-14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ired operation of a conditional access module and an integrated receiver and decoder
US7724907B2 (en) * 2002-11-05 2010-05-25 Sony Corporation Mechanism for protecting the transfer of digital content
US8572408B2 (en) * 2002-11-05 2013-10-29 Sony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a digital device
US7225458B2 (en) * 2002-11-21 2007-05-2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reception of conditional access information in multi-tuner receivers
US7853971B2 (en) * 2003-04-23 2010-12-14 Panasonic Corporatio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pparatus provided with controller for controlling demodulation mode,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modulation mode
EP1492346A1 (fr) * 2003-06-23 2004-12-29 Nagracard S.A. Système de traitement simultané de données d'au moins deux services de télévision à péage
KR100547810B1 (ko) * 2003-08-27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99166B1 (ko) * 2003-11-24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FR2866773B1 (fr) * 2004-02-20 2006-04-28 Viaccess Sa Procede d'appariement d'un nombre n de terminaux recepteurs avec un nombre m de cartes de controle d'acces conditionnel
US7801303B2 (en) 2004-03-01 2010-09-21 The Directv Group, Inc. Video on demand in a broadcast network
JP4295644B2 (ja) * 2004-03-08 2009-07-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放送記録再生方法並びに放送記録再生プログラム
US8087057B2 (en) 2004-04-28 2011-12-27 Echostar Technologies L.L.C. Television converter device including an internet protocol interface
US8112784B1 (en) 2004-04-28 2012-02-07 Echostar Corporation Device comprising multiple channel selectors
FR2872987A1 (fr) * 2004-07-07 2006-01-13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et procede de demultiplexage securise et produits associes
KR100690249B1 (ko) * 2004-10-11 2007-03-12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복수의 프로그램 녹화 방법
JP4405375B2 (ja) * 2004-12-07 2010-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EP1834480A2 (en) * 2005-01-05 2007-09-19 Thomson Licensing A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eceiving resources in a gateway server
EP1905240A1 (en) * 2005-06-30 2008-04-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ditional access to data in an mhp or ocap broadcast system
KR100739120B1 (ko) * 2005-07-08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스트림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멀티 스트림제공방법
US9325944B2 (en) 2005-08-11 2016-04-26 The Directv Group, Inc. Secure delivery of program content via a removable storage medium
EP1796388A1 (en) * 2005-12-12 2007-06-13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Smart card with data storage, set-top box, portable player for operating smart card with data stor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mart card with data storage
US7992175B2 (en) 2006-05-15 2011-08-02 The Directv Group,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content on demand in content broadcast systems
US8775319B2 (en) 2006-05-15 2014-07-08 The Directv Group, Inc. Secure content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to operate the same
US8095466B2 (en) 2006-05-15 2012-01-10 The Directv Group,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conditionally authorize content delivery at content servers in pay delivery systems
US8001565B2 (en) 2006-05-15 2011-08-16 The Directv Group,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conditionally authorize content delivery at receivers in pay delivery systems
US8996421B2 (en) 2006-05-15 2015-03-31 The Directv Group,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conditionally authorize content delivery at broadcast headends in pay delivery systems
JP2008011445A (ja) * 2006-06-30 2008-01-17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20080006863A (ko) * 2006-07-14 200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US9178693B2 (en) 2006-08-04 2015-11-03 The Directv Group, Inc. Distributed media-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to operate the same
US9225761B2 (en) 2006-08-04 2015-12-29 The Directv Group, Inc. Distributed media-aggregation systems and methods to operate the same
US7978735B2 (en) * 2006-10-17 2011-07-12 Intel Corporation Single chip tuner integrated circuit for use in a cable modem
KR101356490B1 (ko) * 2007-02-06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방법
US8364778B2 (en) 2007-04-11 2013-01-2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website to perform a remote action on a set top box with a secure authorization
US7954131B2 (en) 2007-06-13 2011-05-31 Time Warner Cable Inc. Premises gateway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in a content-based network
JP4234770B1 (ja) * 2007-10-10 2009-03-04 株式会社東芝 再生装置および再生制御方法
US9824389B2 (en) 2007-10-13 2017-11-21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the download of content at a user device
US8561114B2 (en) 2007-10-13 2013-10-15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video content from a mobile device
US8707361B2 (en) * 2007-10-13 2014-04-22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quickly recording linear content from an interactive interface
KR100900884B1 (ko) * 2007-12-04 2009-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운로드 제한수신 시스템에서 셋탑박스의 다중-스트림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5311813B2 (ja) * 2007-12-18 2013-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マーシャル処理装置
US9743142B2 (en) * 2008-02-19 2017-08-22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ulti-stream premises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US8433894B2 (en) * 2008-07-08 2013-04-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upport of physical layer security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8724809B2 (en) * 2008-08-12 2014-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uning to encrypted digital television channels
US10827066B2 (en) * 2008-08-28 2020-11-03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content using a voice menu system
US20100057583A1 (en) * 2008-08-28 2010-03-04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video content using a link
US8375138B2 (en) * 2008-11-05 2013-02-12 Fh Innovations, Ltd Computer system with true video signals
ES2394767T3 (es) * 2009-06-26 2013-02-05 France Telecom Control del acceso a un contenido digital
US8547995B2 (en) * 2009-11-25 2013-10-01 Barox Kommunikation Ag High definition video/audio data over IP networks
KR101742986B1 (ko) * 2010-07-26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2387407A (zh) * 2010-08-31 2012-03-21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实现广播网络条件接收的系统和方法
US9398339B2 (en) * 2010-09-01 2016-07-1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2098556A (zh) * 2010-12-20 2011-06-1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数字电视用户自定义软件升级的方法
US8447170B2 (en) 2011-08-23 2013-05-21 Echostar Technologies L.L.C. Automatically recording supplemental content
US9357159B2 (en) 2011-08-23 2016-05-31 Echostar Technologies L.L.C. Grouping and presenting content
US9185331B2 (en) * 2011-08-23 2015-11-10 Echostar Technologies L.L.C. Storing multiple instances of content
CN102595196A (zh) * 2012-01-12 2012-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数据的接收方法及装置
US9489981B2 (en) 2012-03-15 2016-11-08 Echostar Technologies L.L.C. Successive initialization of television channel recording
US8793724B2 (en) 2012-11-08 2014-07-29 Eldon Technology Limited Image domain compliance
US8885106B2 (en) * 2013-03-13 2014-11-11 Silicon Laboratories Inc. Multi-tuner using interpolative dividers
US9420325B2 (en) * 2013-12-20 2016-08-16 Echostar Technologies L.L.C. Virtualized content sourcing
US9756378B2 (en) 2015-01-07 2017-09-05 Echostar Technologies L.L.C. Single file PVR per service ID
US9887771B2 (en) 2015-10-23 2018-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ndwidth throttling
US9853741B2 (en) * 2015-11-30 2017-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ber optic encryption
TWI685253B (zh) * 2018-07-12 2020-02-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多媒體串流及路由裝置及其運作方法
JP7308457B2 (ja) * 2018-09-20 2023-07-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CN111431805B (zh) * 2020-03-27 2021-01-12 上海天好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物联网多路信号复用的同步策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4091A (en) * 1991-11-25 1998-03-03 Actv, Inc. Compressed digital data interactive program system
JP3953561B2 (ja) * 1996-10-15 2007-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信号のフォーマット変換信号処理方法及び回路
EP0866616A1 (en) * 1997-03-21 1998-09-23 CANAL+ Société Anonyme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EP0968611A1 (en) * 1997-03-21 2000-01-05 CANAL+ Société Anonyme Data processing system
NZ500205A (en) * 1997-03-21 2001-11-30 Canal Plus Sa Common interface between applications and computer components
EP0893913A1 (en) 1997-07-24 1999-01-27 CANAL+ Société Anonyme Digital transport stream processing
UA55489C2 (uk) 1997-10-07 2003-04-15 Каналь+ Сосьєте Анонім Пристрій для багатопотокової обробки даних (варіанти)
EP0935382A1 (en) 1998-02-04 1999-08-11 CANAL+ Société Anonyme Configuring method and device
JP2000174722A (ja) 1998-12-04 2000-06-23 Sony Corp 多重化信号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US8046795B2 (en) * 2000-02-03 2011-10-2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ng the generation of a video media event in a generation system based on a media event protocol file such that the video media event remains visibl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a second web page while a user navigates from a first web page to the second web page which does not refer to the video media event
US20020144010A1 (en) * 2000-05-09 2002-10-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munication handling in integrated modular avionics
US7174512B2 (en) * 2000-12-01 2007-02-06 Thomson Licensing S.A. Portal for a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145621A1 (en) * 2001-01-30 2002-10-10 Nguyen Nga Marie Web browser and set top box interfac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84478B2 (en) 2011-07-19
CN100531295C (zh) 2009-08-19
EP1304871A3 (en) 2003-06-18
EP1421781A2 (en) 2004-05-26
WO2003019931A3 (en) 2003-05-30
JP4491232B2 (ja) 2010-06-30
WO2003019931A2 (en) 2003-03-06
CN1572106A (zh) 2005-01-26
AU2002334278B2 (en) 2007-12-13
EP1304871A2 (en) 2003-04-23
MXPA04001587A (es) 2004-07-23
US20050144646A1 (en) 2005-06-30
JP2005501484A (ja) 2005-01-13
IL160426A0 (en) 200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4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er/decoder
AU2002334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er/decoder
US20030206553A1 (en) Routing and processing data
JP4895424B2 (ja) 複数ユーザ用マルチメディア・ターミナル
CA2450417C (en) Improvements in the field of programme delivery
US20090106801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RU2257687C2 (ru) Таблица данных о приложениях для системы цифровой передачи, предоставляющей множество сервисов
KR100566419B1 (ko) 디지털 시청각 전송 시스템용 디코더
KR20050004847A (ko) 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4496A (ko) 보안 미디어 컴퓨팅 환경을 위한 비디오 출력 생성 방법,컴퓨터 비디오 시스템, 케이블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케이블 데이터 입력 카드
EP1328114A1 (en) Image resolution management in a receiver/decoder
JP2002503063A (ja) 構成方法および装置
EP1286262A1 (en) Optimising the performance of an operating system of a receiver/decoder
EP1286549A2 (en) Receiver/decoder and module for use with a receiver/decoder
SUNDARESHMAN Digital Set Top Box (STB)-Open Architecture/Interoperability Issues
KR101549008B1 (ko)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