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986B1 -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986B1
KR101742986B1 KR1020100071967A KR20100071967A KR101742986B1 KR 101742986 B1 KR101742986 B1 KR 101742986B1 KR 1020100071967 A KR1020100071967 A KR 1020100071967A KR 20100071967 A KR20100071967 A KR 20100071967A KR 101742986 B1 KR101742986 B1 KR 10174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tem
application menu
menu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366A (ko
Inventor
석지혜
오효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1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986B1/ko
Priority to US12/970,202 priority patent/US9332298B2/en
Priority to EP10855388.4A priority patent/EP2599324A4/en
Priority to CN2010800686798A priority patent/CN103081499A/zh
Priority to PCT/KR2010/009055 priority patent/WO2012015116A1/en
Publication of KR2012001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보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입력에 따라,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어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간편 보기 모드로 진입한 경우,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와,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화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 선택시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게 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더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체 화면 표시시에, 2개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선택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삭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로 이동시킴으로써, 삭제하거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간단하게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전체 화면 표시시에,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중 현재 화면의 번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개수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 내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22는 도 13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 또는 스마트 TV용 셋탑박스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은, 방송 송출자 기준으로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 볼 때,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사용자(Customer)(40)로 구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4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사용자(4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4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4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사용자(4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사용자(4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는 도 6a 및 도 6b의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은, 컨텐츠 소스 별로 분류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를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는,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상기 영상표시기기 내 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된 장치 내의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된 외부 장치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및 통화와 관련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카드 오브젝트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는 카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의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 내에, 수신되는 방송 영상과,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송 영상은 잠금 설정에 의해 그 크기가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에, 영상표시기기 내의 영상 설정, 오디오 설정, 화면 설정, 예약 설정,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터 설정, 네트워크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위한 셋업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로그인, 도움말 또는 나가기 항목에 대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전체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거나 전체 카드 오브젝트 중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 내의 카드 오브젝트명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접속된 외부장치 또는 영상표시기기 내의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포커싱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 내로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이 중 셋탑 박스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셋탑 박스(2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 저장부(258), 신호 처리부(26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58)는, 신호 처리부(2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58)는, 후술하는 도 6a 및 도 6b의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260)는,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을 수행하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디코더 또는 음성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2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 동작 입력, 설정 입력 등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30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 외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셋탑 박스(250)는, 별도의 미디어(media) 재생을 위한 미디어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입력부의 예로는, 블루레이 입력부(미도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250)는,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되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미디어는 신호 처리부(260)에서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 이후, 그 표시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0)는, 튜너(27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73), 복조부(275), 저장부(278), 제어부(2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83), 디스플레이부(290), 및 오디오 출력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270), 복조부(275), 저장부(278), 제어부(2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83), 디스플레이부(290), 및 오디오 출력부(295)는, 상술한 도 2에서 기술한 튜너(110), 복조부(120), 저장부(140), 제어부(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에 대응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7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셋탑 박스(25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셋탑 박스(2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제어부(170)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다음, 도 3b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도 3a의 셋탑 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와 동일하나, 다만, 튜너(270) 및 복조부(275)의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300) 내가 아닌 셋탑 박스(250) 내에 위치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만을 기술한다.
신호 처리부(260)는, 튜너(270) 및 복조부(27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채널 선택, 채널 저장 등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서버(2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는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및 외부장치(230)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외에도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410)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은, OS 커널(410) 상의 드라이버(Driver)(420), 미들웨어(Middleware)(43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은, OS 커널(410)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435), 프레임워크(Framework)(44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5)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410)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핵심으로써, 영상표시기기(100)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410)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OS 커널(410)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드라이버(420)는, OS 커널(410)과 미들웨어(430)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430)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층(450)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42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420)는,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후술하는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420)외에, OS 커널(410) 또는 미들웨어(430)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미들웨어(430)는, OS 커널(410)과 애플리케이션층(450)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미들웨어(430)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450)층은,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라이브러리(435)는, OS 커널(410)과 프레임워크(44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435)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435)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440)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라이브러리(435)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4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437)은, 라이브러리(435)와 함께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한다.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437)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한편, 라이브러리(435)와 런타임(437)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프레임워크(440)는,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440)는, 어떤 애플리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440)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애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4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4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OS kernel)(510), 드라이버(520), 미들웨어(Middleware)(530), 프레임워크(Framework)(540), 및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5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의 플랫폼은, 도 6a와 비교하여, 도 6a의 라이브러리(435)가 생략된 것과, 애플리케이션층(550)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되는 것이 차이가 있다. 그 외, 드라이버(520), 프레임워크(540)는, 도 6a에 대응한다.
한편, 도 6a의 라이브러리(435)가, 미들웨어(530)에 병합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들웨어(530)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층(550)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애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예약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550)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5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5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6a 및 도 6b의 플랫폼은 영상표시기기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6a 및 도 6b의 플랫폼은, 상술한 저장부(140) 또는 제어부(170)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저장 또는 탑재(loading)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RF 통신규격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a)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7(b)), 앞뒤(도 7(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7(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 패드를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 패드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는, 네트워크 상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사용자가 직접 해당 컨텐츠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탐색 후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a)는, 접속된 서버 내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목록(6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애플리케이션 목록(610)은, 각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에서는,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므로, 접속된 서버로부터의 수신된 아이콘 또는 설명 정보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도 9(b)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목록(610)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62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다운로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은, 영상표시기기 내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0(a)는, 사용자의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목록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목록(66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각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만이 도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와 같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0(b)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목록(660)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67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200)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포인터(205)를 이동하여, 소정 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로컬키(미도시)에 배치되는 방향키 및 확인키의 조합에 의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용하여, 소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가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경우, 터치 패드의 터치 동작에 의해,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에서 이동하며, 이를 이용하여 소정 항목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1은, 웹 화면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1(a)는, 검색창(720)을 구비하는 검색 가능한 소정 웹 화면(7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키패드(미도시) 또는 로컬키(미도시)에 구비되는 문자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되는 문자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검색창(720)에, 소정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1(b)는, 검색창에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73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웹 화면 표시시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웹 화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는, 웹 화면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2(a)는, 아이디 입력창(820)과 패스워드 입력창(825)를 구비하는 메일 서비스 화면(8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키패드(미도시) 또는 로컬키(미도시)에 구비되는 문자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되는 문자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아이디 입력창(820)과 패스워드 입력창(825)에, 소정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메일 서비스에 로그인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2(b)는, 메일 서비스에 로그인 한 후의 화면(83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편지 읽기' 항목, '편지 쓰기' 항목, '보낸 편지함' 항목, '받은 편지함' 항목, '휴지통' 항목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받은 편지함' 항목 내에 '보낸 사람' 항목, '제목' 항목으로 분류되어 메일이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메일 서비스 화면 표시시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메일 서비스 이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4 내지 도 22는 도 13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카드 오브젝트 영역과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한다(S1115).
제어부(170)는,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입력에 의해,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은, 예를 들어, 전원 온(on)시,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서 온(on)시, 또는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홈(home) 키 또는 메뉴(menu) 키의 동작시에 해당할 수 있다.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카드 오브젝트 영역과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 내의 카드 오브젝트 영역은, 컨텐츠의 소스별로 구분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 컨텐츠 제공자(CP)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애플리케이션 제공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도 14 이하에서 상술한다.
한편, 홈 화면 내의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은,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한다. 특히, 필수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간편 보기 메뉴로서, 전체 보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메뉴에 대해서는 도 14 이하에서 후술한다.
이러환 홈 화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온(on)시, 또는 홈(home) 키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다음,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 내의 더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2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체화면으로 표시한다(S1125).
제어부(170)는,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 내의 더보기 항목의 선택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해당 선택이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으로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간편 보기에서 전체 보기로의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 내의 더보기 항목의 선택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다른 예로,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 내의 더보기 항목의 선택은,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키 입력 또는 방향키 입력과 확인키 입력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 내의 더보기 항목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1115 단계(S1115) 이후, 애플리케이션 메뉴 편집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3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편집한다(S1135).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메뉴 편집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편집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에 의해 수행되거나,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키 입력 또는 방향키 입력과 확인키 입력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부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각 항목들을 편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제거하거나,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사용자의 의해 편집 불가능하며, 디플트(default)로 제공되는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내의 항목 편집은,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아닌, 사용자 설정 가능한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메뉴 편집은,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부에 애플리케이션 메뉴가 표시되는 간편 보기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더보기 항목이 선택되어, 애플리케이션 메뉴가 전체화면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메뉴 편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a 내지 도 19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 제1115 단계(S1115) 이후,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4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145).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선택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에 의해 수행되거나,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키 입력 또는 방향키 입력과 확인키 입력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부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어느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실행하고, 해당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실행은,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부에 애플리케이션 메뉴가 표시되는 간편 보기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더보기 항목이 선택되어, 애플리케이션 메뉴가 전체화면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의 동작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100)가 디스플레이부(180)가 구비되지 않는 셋탑 박스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해당 영상 또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제1110 단계(S1110)에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카드 오브젝트 영역과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홈 화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별도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입력되어, 해당하는 홈 화면 표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또는 화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 출력은, 상술한 제1125 단계(S1125), 제1135 단계(S1135), 및 제1145 단계(S1145)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일예를 예시한다.
먼저, 도 14a에 표시된 홈 화면 구성은 상술한 스마트 TV의 기본 화면 구성의 일예일 수 있으며, 이러한 화면은, 전원 온(on) 시 또는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서 온(on)시의 초기 화면이거나,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홈(home) 키의 동작에 의한, 기본 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4a의 홈 화면(1200)은, 카드 오브젝트 영역 및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 영역은, 컨텐츠의 소스별로 구분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1210,1220,1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BROADCAST)(1210), 컨텐츠 제공자(CP)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NETCAST)(1220), 애플리케이션 제공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APP STORE)(1230)를 예시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으나 숨김 영역(hidden area)(1201)에 배치되어, 카드 오브젝트 이동시 교체되어 표시될 수 있는, 카드 오브젝트로서,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CHANNEL BROWSER)(1240),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TV GUIDE)(1250),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RESERVATION/REC)(1260), 영상표시기기 내 또는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된 장치 내의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MY MEDIA)(1270),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TV GUIDE2)(1280) 등을 예시한다.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BROADCAST)(1210)는, 튜너(11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영상(1215),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21),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17), 및 셋업 오브젝트(1218)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영상(1215)은, 카드 오브젝트로서 표시되며, 잠금 기능에 의해 그 크기가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는 계속하여 방송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방송 영상(1215)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그 크기가 가변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한 드래그(drag)에 의해 해당 방송 영상(1215)의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러한 확대 또는 축소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가 도면과 같이 3개가 아닌 2개 또는 4개 등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 내의 방송 영상(1215)를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전체화면으로서, 해당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21)는, 채널 번호(DTV7-1), 채널명(YBC HD), 방송 프로그램명(Oh! Lady), 및 방송 시간(pm 08:00~08: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되는 방송 영상(1215)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21) 선택시, 관련된 EPG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1210) 상에는, 날짜(03.24), 요일(THU), 및 현재 시각(pm 08:13)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02)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시간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17)는, 영상표시기기(100)에 접속된 외부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오브젝트(1217)의 선택시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접속된 외부장치 목록을 보여줄 수 있다.
셋업 오브젝트(1218)는, 영상표시기기(100)의 다양한 설정을 입력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설정, 오디오 설정, 화면 설정, 예약 설정,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 설정, 네트워크 설정 등 다양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자(CP)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220)는, 카드 오브젝트명(NETCAST)(1222), 및 컨텐츠 제공자 리스트(12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컨텐츠 제공자 리스트(1225) 내의 컨텐츠 제공자로, Yakoo, Metflix, weather.com, Picason, My tube 등을 예시하나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명(1222)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1220)가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자 리스트(1225) 내의 소정 컨텐츠 제공자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230)는, 카드 오브젝트명(APP STORE)(1232), 및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35)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35)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내의 항목 별로 분류되어 정렬된 리스트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인기순(HOT), 최신순(New) 등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명(1232)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1230)가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35) 내의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1 또는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1220, 1230)의 상부에는, 로그인 항목(1227), 도움말 항목(1228), 및 나가기 항목(1229)가 표시될 수 있다.
로그인 항목(1227)은, 앱 스토어 접속 또는 영상표시기기가 접속된 네트워크 상의 로그인 시에 사용될 수 있다. 도움말 항목(1228)은, 영상표시기기(100)의 동작시 도움말 이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나가기 항목(1229)은, 해당 홈 화면으로부터의 나가기 시도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방송 영상이 전체화면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1220, 1230)의 하부에는, 전체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37)가 표시될 수 있다. 이 오브젝트는, 전체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는 물론, 전체 카드 오브젝트 중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240)는, 카드 오브젝트명(CHANNEL BROWSER)(1242), 및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12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채널을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영상도 가능하다. 썸네일 리스트는, 썸네일 영상 및 해당 채널의 채널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해당 채널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썸네일 영상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선호 채널에 대한 썸네일 영상이거나, 카드 오브젝트(1210) 내의 방송 영상(1215) 이후 또는 이전 채널에 대한 썸네일 영상 등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8개의 썸네일 영상을 예시하나,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명(1242)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1240)가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즉, 썸네일 리스트에 대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1245) 내의 소정 썸네일 영상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썸네일 영상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250)는, 카드 오브젝트명(TV GUIDE)(1252), 및 방송 가이드 리스트(125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가이드 리스트(1255)는, 카드 오브젝트(1210) 내의 방송 영상(1215) 이후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다른 채널의 방송 영상에 대한 리스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명(1252)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1250)가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방송 가이드 리스트(1255) 내의 소정 방송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방송 항목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이 디스플리에부(180)에 표시되거나, 해당 방송 항목에 대응하는 방송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260)는, 카드 오브젝트명(RESERVATION/REC)(1262), 및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126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1265)는, 사용자가 미리 예약 설정한 방송 항목 또는 이에 따라 녹화된 방송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해당 항목 별로,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명(1262)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1260)가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1265) 내의 미리 예약 설정한 방송 항목 또는 녹화된 방송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방송에 대한 방송 정보 또는 녹화된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270)는, 카드 오브젝트명(MY MEDIA)(1272), 및 미디어 리스트(1275)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리스트(1275)는,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에 접속된 장치 내의 미디어 리스트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동영상, 정지영상, 오디오 등을 예시하나, 그 외 텍스트 문서, 이북 문서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명(1272)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1270)가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미디어 리스트(1275) 내의 소정 미디어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미디어가 실행될 수 있으며, 해당 미디어에 대응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TV GUIDE2)(1280)는, 카드 오브젝트명(TV GUIDE2)(1282), 및 방송 가이드 리스트(12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가이드 리스트(1285)는, 방송 종류별 가이드 리스트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드라마(drama), 뉴스 또는 스포츠와 같은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로 구분하여 방송 종류별 리스트를 예시하나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즉, 드라마, 영화, 뉴스, 스포츠, 애니메이션 등 종류별 방송 가이드 리스트일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방송 중 장르 별로 구분된 가이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카드 오브젝트명(1282)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1280)가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방송 가이드 리스트(1285) 내의 소정 방송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방송 영상에 대응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1220,1230)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고 숨김 영역(1201)에 위치하는 카드 오브젝트(1240,1250,1260,1270,1280)들은, 카드 오브젝트의 이동 입력에 의해, 서로 교체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1220,1230) 중 적어도 하나가, 숨김 영역(1201)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숨김 영역(1201)에 위치하는 카드 오브젝트(1240,1250,1260,1270,1280)들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한다.
특히, 전체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가 디스플레이부(180)의 일 영역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는 애플리케이션 간편 보기 메뉴라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는,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search, app store, + )(1206,1207,1209)과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Music, Book, MAZON, SNS)(12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search, app store, + )(1206,1207,1209)은, 사용자에 의해 편집 불가능한 디폴트(default)로 제공되는 항목일 수 있다.
검색(search) 애플리케이션 항목(1206)은, 검색어 입력에 의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앱 스토어(app store) 애플리케이션 항목(1207)은 앱 스토어 바로 가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 또는 더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은 전체 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a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가 설정한 애플리케이션 항목(Music, Book, MAZON, SNS)(1208)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자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으로 편집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a 내지 도 19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 도 14b에 표시된 홈 화면 구성은, 도 14a의 홈 화면 구성과 유사하나, 애플리케이션 메뉴(1305) 내에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으로서,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항목(1311)과, 메일 애플리케이션 항목(1312)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항목(1311)과, 메일 애플리케이션 항목(1312)은,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삭제 또는 순서 변경 등의 편집이 불가능하다. 즉, 디폴트(default)로 제공되는 항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항목(1311)이 선택되는 경우, 도 11와 같이 웹 화면이 전체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시작 페이지로의 등록이 된 경우, 해당 웹 화면(예를 들어, 도 11a의 웹 화면(710))이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시작시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메일 애플리케이션 항목(1312)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와 같이 메일 서비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특히, 메일 서비스 이용을 위해, 미리 해당 메일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저장된 경우, 메일 애플리케이션 시작시, 도 12a의 화면을 생략하고, 바로 도 12b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 도 14c에 표시된 홈 화면 구성은, 도 14b의 홈 화면 구성과 유사하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메일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아닌, 사용자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1308)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또는 순서 변경 등의 편집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홈 화면 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간편 보기가 아닌, 방송 영상 표시 시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간편 보기를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방송 영상(131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화면 입력이 아닌, 소정 입력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메뉴(1310)의 간편 보기가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은, 핫 키 입력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메뉴(1310)는, 도 1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search, app store, + )(1305,1306,1309)과 사용자가 설정한 애플리케이션 항목(Music, Book, MAZON, SNS)(13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술한 홈 화면에서의 카드 오브젝트와 관련 없이, 간단하게, 애플리케이션 메뉴(1310)만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내의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을 선택하여, 전체 보기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6a는, 카드 오브젝트(1200) 영역과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특히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의 선택 입력은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보기 입력이라 할 수 있다.
다음, 도 16b는,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의 선택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메뉴가 전체 화면(1400)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전체 애플리케이션 메뉴(1400)는, 도 16a의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에 대응하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와, 추가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50)를 구비한다.
특히,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는, 도 16a의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내의 항목과 동일하나, 다만,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 대신에,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409)이 대체되어 표시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즉,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409)의 선택에 의해, 다시 도 16a의 홈 화면으로 되돌아 갈 수 있게 된다. 즉,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간편 보기 모드로 진입하여, 홈 화면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50)는, 영상표시기기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항목들 중 도 16a에서 표시되지 않았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50)는,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삭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중 현재 화면의 번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60)를 선택하는 경우, 도 16c와 같이, 새로운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80)가 표시되게 된다. 이때,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는 그대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추가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6c의 새로운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80)는, 이전 페이지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삭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중 현재 화면의 번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이전 페이지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70)를 선택하는 경우, 도 16b의 전체 애플리케이션 메뉴(1400)가 표시되게 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원격제어장치(1500)의 방향키 입력 또는 방향키 입력과 확인키 입력의 조합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내의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을 선택하는 경우, 전체 보기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7a는, 카드 오브젝트(1200) 영역과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1500)의 방향키 입력 또는 방향키 입력과 확인키 입력의 조합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특히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방향키의 동작에 따라 커서(151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다음, 도 17b는,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의 선택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메뉴가 전체 화면(1400)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전체 애플리케이션 메뉴(1400)는, 도 17a의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에 대응하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와, 추가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50)를 구비한다.
특히,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는, 도 17a의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내의 항목과 동일하나, 다만,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추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09) 대신에,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409)이 대체되어 표시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즉,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409)의 선택에 의해, 다시 도 17a의 홈 화면으로 되돌아 갈 수 있게 된다.
한편,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50)는, 영상표시기기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항목들 중 도 17a에서 표시되지 않았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50)는,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삭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중 현재 화면의 번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1500)의 방향키 입력 또는 방향키 입력과 확인키 입력의 조합을 이용하여,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60)를 선택하는 경우, 도 17c와 같이, 새로운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80)가 표시되게 된다. 이때,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는 그대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추가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7c의 새로운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80)는, 이전 페이지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삭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중 현재 화면의 번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1500)의 방향키 입력 또는 방향키 입력과 확인키 입력의 조합을 이용하여, 이전 페이지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70)를 선택하는 경우, 도 17b의 전체 애플리케이션 메뉴(1400)가 표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 이동에 의한 선택과, 원격제어장치(1500)의 방향키 또는 확인키 입력에 의한 선택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 이동에 의한 선택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물론, 이하에서 원격제어장치(1500)의 방향키 또는 확인키 입력에 의한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은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편집의 일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 18a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50) 내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1610)를 드래그하여,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 내의 제2 애플리케이션 항목(1620)으로 드랍하는 경우, 도 18b와 같이, 두 애플리케이션 항목(1610,1620)의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를 간단하게 편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과 달리,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에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채울 수 있는 빈 공간이 있는 경우(도 19에 의해 삭제한 경우 등),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1450) 내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하여(예를 들어, 드래그하여),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새롭게 편집된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로 채울 수 있게 된다.
도 19는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삭제의 일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 19a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 내의 애플리케이션 항목(1420)를 드래그하여,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삭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20), 즉 휴지통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20)로 드랍하는 경우, 도 19b와 같이, 해당 애플리케이션 항목(1420)이 삭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410) 내의 항목을 간단하게 삭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8a 내지 도 19b는,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보기시에서의 편집 동작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간편 보기시, 즉 홈 화면에서 편집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를 이용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드래그(drag)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영역 외로 드랍(drop)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를 이용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드래그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위치로 드랍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0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내의 서치 애플리케이션 항목(1206)을 선택하는 경우,(도 20(a) 참조), 도 20(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전체 화면으로서, 검색 화면(18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검색 화면(1810)은, 입력되는 검색어가 표시되는 검색창(1812), 검색어 입력을 위한 숫자 또는 문자를 포함하는 키패드(1814), 및 입력되는 검색어의 자동 완성 기능을 보여주는 자동 완성 기능창(18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애플리케이션 등의 컨텐츠 검색,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1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내의 앱 스토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07)를 선택하는 경우(도 21(a) 참조), 도 20(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앱 스토어 화면(1910)을 전체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앱 스토어 화면(1910)은, 앱 스토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912)와 해당 앱 스토어 내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915)로 구분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2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1205) 내의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항목(1206)을 선택하는 경우(도 22(a) 참조), 도 22(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전체 화면으로서, 해당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20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앱 스토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12)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15)로 구분되는 것을 예시한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15)는, 애플리케이션 제목, 가격, 카테고리(도면에서는 game), 업데이트 일시, 레이팅(rat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6)

  1.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더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체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표시시,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편집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편집 불가능한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편집 가능한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검색어 입력에 의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검색 애플리케이션 항목, 앱 스토어 바로 가기를 위한 앱 스토어 애플리케이션 항목, 및 애플리케이션 전체 보기를 위한 더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표시시의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상기 홈 화면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로의 복귀를 위한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삭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및 상기 전체 화면 중 현재 화면의 번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검색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입력되는 검색어가 표시되는 검색창, 검색어 입력을 위한 숫자 또는 문자를 포함하는 키패드, 및 입력되는 검색어의 자동 완성 기능을 보여주는 자동 완성 기능창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검색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앱 스토어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앱 스토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와, 해당 앱 스토어 내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정렬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포함하는 앱 스토어 화명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에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는,
    드라마, 뉴스, 스포츠, 영화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되는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5.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더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체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표시시,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6.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보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에 따라,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어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간편 보기 모드로 진입한 경우, 필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상기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드래그되어, 상기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제2 애플리케이션 항목으로 드랍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 또는 상기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드래그 되어,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삭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로 드랍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삭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21.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더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체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표시시,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움직임 또는 방향키 입력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더 보기 항목 선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하는 원격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체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검색어 입력에 의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검색 애플리케이션 항목, 앱 스토어 바로 가기를 위한 앱 스토어 애플리케이션 항목, 및 애플리케이션 전체 보기를 위한 더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전체 화면 표시시,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상기 홈 화면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로의 복귀를 위한 간편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상기 간편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상기 확장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6. 제21항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장치;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오에스 커널; 및
    상기 오에스 커널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층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 또는 삭제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KR1020100071967A 2010-07-26 2010-07-26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4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67A KR101742986B1 (ko) 2010-07-26 2010-07-26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12/970,202 US9332298B2 (en) 2010-07-26 2010-12-16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0855388.4A EP2599324A4 (en) 2010-07-26 2010-12-17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CN2010800686798A CN103081499A (zh) 2010-07-26 2010-12-17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PCT/KR2010/009055 WO2012015116A1 (en) 2010-07-26 2010-12-17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67A KR101742986B1 (ko) 2010-07-26 2010-07-26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366A KR20120011366A (ko) 2012-02-08
KR101742986B1 true KR101742986B1 (ko) 2017-06-15

Family

ID=4549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967A KR101742986B1 (ko) 2010-07-26 2010-07-26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32298B2 (ko)
EP (1) EP2599324A4 (ko)
KR (1) KR101742986B1 (ko)
CN (1) CN103081499A (ko)
WO (1) WO2012015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4745B1 (en) * 1998-11-25 2002-02-05 Medrad, Inc. Tapered birdcage resonator for improved homogeneity in MRI
US20120297418A1 (en) * 2011-05-20 2012-11-22 Sony Corporation External application processor for multimedia devices
KR20130048035A (ko) * 2011-11-01 201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장치, 컨텐츠 서버 및 그 동작방법
BR112014013689A2 (pt) * 2011-12-12 2017-06-13 Sony Corp terminal de cliente, métodos de operação de um terminal de cliente, e de um servidor de transmissão, programa, e, servidor de transmissão
JP5859108B2 (ja) * 2012-02-24 2016-02-1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
TWI585670B (zh) * 2012-04-25 2017-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呈現應用程式選單之方法、電子裝置及電腦可讀取媒體
CN102681812B (zh) * 2012-05-07 2015-06-10 深圳市灵科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多屏幕扩展显示方法及显示系统
WO2014119809A1 (ko) * 2013-01-3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17937B1 (ko) * 2013-03-15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3297857B (zh) * 2013-05-06 2016-07-0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电视屏幕多应用显示的方法
US9431008B2 (en) * 2013-05-29 2016-08-30 Nuance Communications, Inc. Multiple parallel dialogs in smart phone applications
KR102163684B1 (ko) * 2013-07-19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WO2015025874A1 (ja) * 2013-08-20 2015-02-2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カーソル位置制御装置、カーソル位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WO2015030412A1 (ko) * 2013-08-28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신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282887B1 (ko) * 2013-09-11 202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089371A1 (en) * 2013-09-25 2015-03-26 WebTuner,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video/audio content and metadata for a broadband television service
US20160360259A1 (en) * 2013-11-13 2016-12-08 Hitachi Maxell, Ltd.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 program video and application video in broadcast receiver
KR102396034B1 (ko) * 2013-12-24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99343A1 (ko)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3780966B (zh) * 2014-01-17 2017-07-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操作电视应用的方法和装置
KR101917844B1 (ko) * 2014-02-19 201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USD777739S1 (en) * 2014-02-21 2017-01-31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4373S1 (en) * 2014-02-21 2017-04-18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575648B1 (ko) * 2014-07-01 201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18066A (ko) * 2014-08-08 201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D762714S1 (en) * 2015-01-20 2016-08-0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903S1 (en) * 2015-01-20 2016-08-1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4527S1 (en) * 2015-01-20 2016-08-23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904S1 (en) * 2015-01-20 2016-08-1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4528S1 (en) * 2015-01-20 2016-08-23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315339B1 (ko) * 2015-02-02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4811783B (zh) * 2015-03-17 2018-02-0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作为内容显示平台的智能电视主场景设计方法
KR102294600B1 (ko) * 2015-04-07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681862A (zh) * 2016-03-11 2016-06-1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电视系统多功能应用与遥控按键操作兼容的方法
US10284900B2 (en) 2016-03-15 2019-05-07 Sony Corporation Multiview as an application for physical digital media
US10455270B2 (en) * 2016-03-15 2019-10-22 Sony Corporation Content surfing, preview and selection by sequentially connecting tiled content channels
CN108235146A (zh) * 2016-12-14 2018-06-29 北京优朋普乐科技有限公司 一种节目指南页面显示方法及装置
USD936671S1 (en) * 2017-10-23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WI662808B (zh) * 2018-03-16 2019-06-11 中強光電股份有限公司 遠端管理系統及方法
USD905701S1 (en) * 2018-05-07 2020-12-22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computer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955956B2 (en) * 2018-05-07 2021-03-2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on with an intensity-sensitive input region
USD878395S1 (en) * 2018-05-07 2020-03-17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7857S1 (en) * 2018-06-11 2021-12-07 Patientory,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9632S1 (en) * 2019-01-21 2021-05-18 Promethean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797113B2 (en) 2019-06-01 2023-10-24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on with a control
CN113163140B (zh) * 2020-01-22 2023-05-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399260B (zh) * 2020-11-04 2022-06-0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内容浏览交互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2170A1 (en) * 2006-09-29 2008-04-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interface based on time of day
US20100011394A1 (en) * 2008-07-10 201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widgets and tv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195A (en) 1993-05-24 1996-06-04 Sun Microsystem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with an animated agent
WO1996010785A1 (en) 1994-09-30 1996-04-11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accessing control and status information in a computer system
US6141003A (en) 1997-03-18 2000-10-31 Microsoft Corporation Channel bar user interface for an entertainment system
US6348932B1 (en) 1999-03-01 2002-02-19 Sony Corporation Provide two different types of service in a menu
TW516309B (en) 1999-12-10 2003-01-0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Features for use with advanced set-top applications o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US7434177B1 (en) * 1999-12-20 2008-10-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consolidation and access
KR100312818B1 (ko) 2000-02-03 2001-11-07 김홍기,이은석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이루어진 모니터를 이용한 인터넷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93573A1 (en) 2000-05-31 2001-12-06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guide to digital content
EP1308046A1 (en) 2000-07-27 2003-05-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ccess to a consumer device
US6990498B2 (en) 2001-06-15 2006-01-24 Sony Corporation Dynamic graphical index of website content
EP1304871A3 (en) * 2001-08-21 2003-06-18 Canal+ Technologies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er/decoder
US20040078814A1 (en) * 2002-03-29 2004-04-22 Digeo, Inc. Module-based interactive television ticker
KR100514817B1 (ko) 2003-01-17 2005-09-1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대화형 디지털 텔레비전용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
KR100597403B1 (ko) 2004-02-06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콘으로 오브젝트 선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그 방법
WO2005106653A1 (en) * 2004-04-30 2005-11-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owner application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JP2008536196A (ja) * 2005-02-14 2008-09-04 ヒルクレスト・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3dポインティングを使用してテレビアプリケーション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80071452A (ko)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생성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EP1956472A1 (en) 2007-01-31 2008-08-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icons for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US8151215B2 (en) 2008-02-07 2012-04-03 Sony Corporation Favorite GUI for TV
KR101012300B1 (ko)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EP2283649A1 (en) * 2008-04-09 2011-02-16 The DirecTV Group, Inc. Configurable icons for content presentation
US8159469B2 (en) * 2008-05-06 2012-04-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interface for initiating activities in an electronic device
US8099332B2 (en) * 2008-06-06 2012-01-1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 management for a mobile device
KR100963750B1 (ko) 2008-11-05 2010-06-14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에서 리모콘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CN101483754B (zh) 2008-11-24 2011-03-23 天数宽频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中间件系统
KR101588666B1 (ko) 2008-12-08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방법
KR20100070733A (ko) 2008-12-18 2010-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046995A1 (en) * 2009-04-29 2012-02-23 Waldeck Technology, Llc Anonymous crowd comparison
US8458615B2 (en) * 2010-04-07 2013-06-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O2011126202A1 (en) 2010-04-09 2011-10-1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99736B1 (ko) 2010-06-17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2170A1 (en) * 2006-09-29 2008-04-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interface based on time of day
US20100011394A1 (en) * 2008-07-10 201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widgets and tv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1499A (zh) 2013-05-01
EP2599324A1 (en) 2013-06-05
EP2599324A4 (en) 2014-09-10
US20120023524A1 (en) 2012-01-26
WO2012015116A1 (en) 2012-02-02
US9332298B2 (en) 2016-05-03
KR20120011366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98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52355B1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KR10169973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0786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73042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9470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832463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1823474B1 (ko)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tv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8691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20120010433A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KR1016941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79858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EP247516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000063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03506B1 (ko) 애플리케이션 인스톨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5054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8141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00006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8646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10175031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69558B1 (ko) 영상표시기기 동작 제어방법
KR10168972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5616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7827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11840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