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166B1 -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166B1
KR100599166B1 KR1020030083680A KR20030083680A KR100599166B1 KR 100599166 B1 KR100599166 B1 KR 100599166B1 KR 1020030083680 A KR1020030083680 A KR 1020030083680A KR 20030083680 A KR20030083680 A KR 20030083680A KR 100599166 B1 KR100599166 B1 KR 100599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digital broadcast
middleware
sig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916A (ko
Inventor
송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166B1/ko
Priority to EP04105258A priority patent/EP1542463B1/en
Priority to CNB2004100879994A priority patent/CN100385951C/zh
Priority to US10/975,084 priority patent/US20050114905A1/en
Publication of KR2005004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다양한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 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며, 소정의 방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대응하는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처리용 미들웨어를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방송 요청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며, 방송 신호 수신 장치로부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미들웨어를 수신하며, 수신된 미들웨어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 규격 및 시청 공간에 따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디지털 텔레비젼, 셋톱박스, 디지털 방송

Description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Digital broadcasting signal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receiving plural number of broadcasting signales and a method thereof}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종래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 수신 장치, 위성방송 수신 장치, 및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의 계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내에 설치된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의 계략도,
도 3은 도 2의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
도 4은 도 2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상세 블럭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의 일예에 따른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
도 7는 도 6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 제거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8는 도 2의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의 상세 블럭도,
도 9는 도 8의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20 : 수신 장치 CPU
130 : 메모리부 135 : 유닛 장착부
140 :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 400 : 방송 신호 표시 장치
410 : 인터페이스부 420 : 표시장치 CPU
430 : 미들웨어 기록부
본 발명은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의 특성에 따른 처리를 요하는 부분과,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부분을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다양한 디지털 방송을 용이하고, 저렴하게 시청할 수 있는 복수의 디지털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의 요구에 힘입어, 디지털 지상파 방송이 그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위성 방송, 및 케이블 방송도 일반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각각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디지털 방송 신호는 그 규격이 상이할 뿐 아니라, 각각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방송 사업자에 따라서도 그 규격이 상이하다. 때문에, 지상파 방송이나 위성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시청용 장비는 각 방송 사업자가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제조되며, 사용자는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각각에 대해 별도의 방송 신호 수신 장비를 구비하여야 하였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종래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수신 장치, 위성 방송 수신 장치, 및 케이블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처리 장치(10)는 지상파 튜너부(11), 지상파 채널 디코딩부(12), 역다중화부(13), 비디오 디코더(14), 오디오 디코더(15), 부가 데이터 저장부(16), 및 CPU(17)를 포함한다.
이때 지상파 튜너부(11)는 지상파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을 선국하여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지상파 채널 디코딩부는(12) 송신시 변조 방식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며, 또한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의 송신시 채널 코딩 방식에 대응하여, 선국된 채널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디코딩한다.
역다중화부(13)는 채널 디코딩된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한다. 비디오 디코더(14)는 분리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며, 오디오 디코더(15)는 분리된 음성 신호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분리된 부가 데이터는 부가 데이터 기록부(16)에 기록되며, CPU(17)에 의해 디코딩 된 후 그 부가데이터에 적합한 처리가 된다. CPU(17)는 지상파 방송 신호 처리용 미들웨어를 구동시켜, 상기에서 설명한 일련의 지상파 방송 신호 처리 동작을 제어한다.
도 1b는 위성 방송 수신 장치(20)의 블럭도로서, 위성 방송 튜너부(21), 위 성 방송 채널 디코딩부(22), 위성 방송 CAS(conditional access system)부(23), 역다중화부(24), 비디오 디코더(25), 오디오 디코더(26), 부가 데이터 저장부(27), 및 CPU(28)를 포함한다.
위성 방송 튜너부(21)는 위성 방송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을 선국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위성 방송 채널 디코딩부(22)는 위성 디지털 방송 신호가 코딩된 방식 및 복조된 방식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한 후 디코딩한다. 위성 방송 CAS부(23)는 유료 위성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방송 수신자에 제한을 두기 위한 것으로, 위성 방송 수신 가입시 방송 사업자로부터 제공되어 장치된 CAS 카드로 부터 디스크램불링(Descrambling)을 수행하기 위한 키 값을 독출하여, 스크램블링(Scrambling)된 영상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한다.
이후, 역다중화부(24), 비디오 디코더(25), 오디오 디코더(26), 및 부가 데이터 저장부(27)의 동작은 상기 도 1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CPU(28)는 위성 방송 처리용 미들웨어를 구동함으로써, 위성 방송 신호 처리에 따른 상기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c는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30)의 블럭도로서, 케이블 방송 튜너부(31), 케이블 방송 채널 디코딩부(32), 역다중화부(33), 비디오 디코더(34), 오디오 디코더(35), 부가 데이터 저장부(36), 및 CPU(37)를 포함한다.
케이블 방송 튜너부(31)는 케이블 방송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을 선국하여, 케이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케이블 방송 채널 디코딩부(32)는 케이블 디지털 방송 신호가 코딩된 방식 및 변조된 방식 및 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 송 신호를 복조한 후 디코딩한다.
이하, 케이블 방송 CAS부(33), 역다중화부(34), 비디오 디코더(35), 오디오 디코더(36), 및 부가 데이터 저장부(37)의 동작은 각각 상기 도 1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CPU(38)는 케이블 방송 신호 처리용 미들웨어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설명한 일련의 케이블 방송 신호 처리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 위성 방송 수신 장치(20), 및 케이블 방송 신호 수신 장치(30)는 그 구성에 있어서,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따라 각각의 튜너부(11, 21, 31), 채널 디코딩부(12, 22, 32) 및 상이할 뿐, CAS부(23, 33), 역다중화부(13, 24, 34), 비디오 디코더(14, 25, 35), 오디오 디코더(15, 26, 36), 부가 데이터 기록부(16, 27, 37)는 그 하드웨어의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이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 미들웨어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송 신호 중 복수개 이상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와 같은 장치를 모두 마련하는 것은, 자원 및 비용 상의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송 신호 수신에 있어서, 방송 신호 수신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 공간에 구비되는 경우에 한해서만 해당 방송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소비자는 동일한 장치를 한 가정내에 여러 대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방법은 방송 신호 규격에 따른 자원의 낭비 및 공간적 제약에 따른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에, 방송 서비스 제공자는 그 장비 제공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소비자 측면에서는 방송 서비스 제공 원가 상승에 따른 방송 수신 비용이 증가하며, 또한 공간의 제약에 따라 방송 수신료를 중복하여 지불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의존하여 처리되는 부분을 외부에서 처리한 후 송신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 신호 송수신 규격에 따른 시청 기능의 제약을 극복하며, 또한 종래의 셋톱박스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위치에 따른 공간적 제약 극복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비용을 절감시키며, 또한 새로운 디지털 방송 서비스 수신 확장이 용이하고, 그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며, 소정의 방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며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대응하는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처리용 미들웨어를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방송 요청 신호를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미들웨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을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유닛 장착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신처 인터페이스 유닛에서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미들웨어를 구비하는 메모리부, 및 소정의 방송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요청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미들웨어, 및 상기 요청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부터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가 소정의 외부 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수신 장치 CPU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닛 장착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을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의 추가시, 상기 추가된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이 수신하여 처리한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미들웨어를 추가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은, 채널을 선국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규격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는 채널 디코딩부, 및 상기 방송 요청 신호를 수신, 및 상기 수신장치 CPU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조 및 상기 채널 디코딩됨으로써,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미들웨어를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닛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규격 중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의 처리용 미들웨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스위칭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디코더, 및수신된 상기 미들웨어를 실행하여, 상기 역다중화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디코더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 CPU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데이터를 기록하는 부가 데이터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표시 장치 CPU는 상기 부가 데이터를 디코딩 한 후, 상기 미들웨어에 상기 디코딩된 부가 데이터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에 부가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미들웨어를 저장하는 미들웨어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시스템의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 램블링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CAS(conditional access system)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미들웨어의 실행을 통해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CAS부는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는 키 값을 포함하는 카드로부터 상기 키 값을 독출함으로써,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며, 본 발명은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해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카드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미들웨어는, 기 제공된 방송 신호 처리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송 신호 처리 API는 상기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에 관한 기능의 정의, 및 정의된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의 집합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방송 신호 처리용 API는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의 역다중화부, 상기 하나 이상의 디코더, 및 CAS부 등의 각 장치의 기능의 정의 및 정의된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를 제공하며, 각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사업자들은 자신이 송신하는 방송 신호의 규격을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 처리하는데 적합하도록 방송 신호 처리용 API를 이용하게된다. 그리고 이때의 미들웨어는 모바일 프로그램언어로서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디코더로서, 영 상 신호 처리용으로 엠펙 비디오 디코더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음성 신호 처리용으로 엠펙 오디오 디코더 또는 돌비-AC-3 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는, 상기 미들웨어가 이용한 상기 함수를 기록하고 있는 함수 기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들웨어의 실제적인 실행은 상기 함수 기록부에 기록된 함수를 콜(CALL)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의 상호 데이터 송수신 및 통신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신호 표시 장치들은 데이지 체인 형태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장치들은 IEEE1394의 HSDI(High Speed data Interface)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단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서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 즉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며, 이후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는, 복조 및 채널 디코딩 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그에 대응하는 미들웨어를 수신받기 때문에, 방송 신호 표시 장치를 통해 시청할 수 있는 방송에 있어서 방송 규격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며, 소정의 방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며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대응하는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처리용 미들웨어를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방송 요청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미들웨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싱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의 방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요청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특성을 제거한 디지털 방송 신호처리용 미들웨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싱 단계는, 수신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채널을 선국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닝 단계,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규격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는 채널 디코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방법은, 상기 방송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용 미들웨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들웨어를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실행된 미들웨어에 의해 수 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스위칭하는 역다중화 단계, 및 실행된 상기 미들웨어에 의해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비디오 디코딩 및 오디오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단계는, 상기 부가데이터를 기록하는 부가 데이터 기록 단계, 및 상기 부가 데이터를 디코딩 한 후, 상기 미들웨어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한 후처리용 미들웨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요청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미들웨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는 코드를 더 포함하며, 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방법은 상기 미들웨어의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CAS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CAS 단계는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는 키 값을 포함하는 카드로부터 상기 키 값을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디지털 지상파와 같은 스크램블링되지 않은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해서는, 미들웨어는 상기 CAS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미들웨어는, 기 제공된 방송 신호 처리 API를 이용하여 프로그 래밍되며, 상기 방송 신호 처리 API는 상기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처리, 음성 처리, 및 데이터 처리에 관한 기능의 정의, 및 정의된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의 집합이다. 그리고 상기 함수 및 상기 미들웨어는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며, 바람직하게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며,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단계는, 상기 미들웨어가 이용한 상기 함수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는, 영상 신호 처리시 엠펙 비디오 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음성 신호 처리시 엠펙 오디오 디코더 또는 돌비-AC-3 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닛 장착부,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처리용 미들웨어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미들웨어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수신 장치 CPU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은, 채널을 선국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규격에 대응 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는 채널 디코딩부, 및 상기 방송 요청 신호를 수신, 및 상기 복조 및 상기 채널 디코딩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닛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때의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은 추가가 가능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추가시, 상기 추가된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이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미들웨어를 추가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들웨어는, 기 제공된 방송 신호 처리 API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송 신호 처리 API는 송수신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영상 처리, 음성 처리, 및 데이터 처리에 관한 기능의 정의, 및 정의된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의 집합이다. 이때, 상기 함수 및 상기 미들웨어는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며,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은, 디지털 방송 신호의 채널을 선국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채널 코딩 방식 및 변조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는 채널 디코딩부, 및 소정의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닛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상기 복조 및 상기 채널 디코딩 후의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용 프로그램인 미들웨어를 기록하고 있는 유닛 메모리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미들웨어는, 기 제공된 방송 신호 처리 API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송 신호 처리 API는 송수신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에 관한 기능의 정의, 및 정의된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의 집합이다. 이때 상기 함수 및 상기 미들웨어는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다.
한편, 상기 유닛 인터페이스부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IEEE 1394의 HSD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싱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채널을 선국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닝 단계,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채널 코딩 방식 및 변조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는 채널 디코딩 단계, 및 소정의 외 부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닛 인터페이스싱 단계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상기 복조 및 상기 채널 디코딩 후의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용 프로그램인 미들웨어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미들웨어를 수신받는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분리하는 역다중화부, 분리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디코더, 및 수신된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디코더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 CPU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한 디지털 방송 신호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규격에 따른 채널 코딩 및 변조한 방식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한 디지털 방송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을 수행하는 CAS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CAS부를 구동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CAS부는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는 키 값을 포함하는 카드로부터 상기 키 값을 독출함 으로써,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며, 상기 카드는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응하여 추가 가능한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미들웨어는, 기 제공된 방송 신호 처리 API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송 신호 처리 API는 상기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에 관한 기능의 정의, 및 정의된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의 집합이다. 또한 상기 함수 및 상기 미들웨어는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는, 상기 API로 제공되는 상기 함수를 기록하고 있는 함수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는, 상기 부가데이터를 기록하는 부가 데이터 기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 CPU는 상기 부가 데이터를 디코딩 한 후, 상기 미들웨어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디코더로서, 영상 신호 처리용으로 엠펙 비디오 디코더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음성 신호 처리용으로 엠펙 오디오 디코더 또는 돌비-AC-3 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의 HSDI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및 디지털 유선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방법은,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미들웨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분리하는 역다중화 단계, 및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분리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한 디지털 방송 신호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규격에 따른 채널 코딩 및 변조한 방식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한 디지털 방송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방법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CAS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CAS 단계는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할 수 있는 키 값을 포함하는 카드로부터 상기 키 값을 독출함으로써, 상기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고, 상기 카드는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응하여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미들웨어는, 기 제공된 방송 신호 처리 API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송 신호 처리 API는 상기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관한 기능의 정의, 및 정의된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의 집합이다. 이때, 상기 함수 및 상기 미들웨어는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 된다. 그리고 본 방송 신호 표시 방법은 상기 API로 제공되는 상기 함수를 기록하는 함수 기록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방법은 상기 부가데이터를 기록하는 부가 데이터 기록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가 데이터는 디코딩 된 후, 상기 미들웨어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디코딩 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와 상기 처리된 부가 데이터가 영상 및 음성 표시되도록, 비디오 인코딩하는 단계 및 오디오 DA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코딩 단계에서, 영상 신호 처리시 엠펙 비디오 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음성 신호 처리시 엠펙 오디오 디코더 또는 돌비-AC-3 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케이블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내에 설치된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의 계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정내에 설비되어지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로 구성된다.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는 외부로 부터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 등 각종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로부터 송신된 방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한 후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로 송신한다. 이때,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 제거는, 요청된 방송 신호의 규격에 따른 채널 코딩 방식 및 변조 방식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 수행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수신 받는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에서의 리스크램블링, 영상 처리, 음성 처리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요청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미들웨어 코드를 함께 송신한다.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로 방송 요청 신호를 송신하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로부터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즉 송신시 변조 방식 및 채널 코딩 방식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 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다. 이때, 방송 신호와 함께, 요청된 방송 신호의 리스크램블링, 영상 처리, 음성 처리, 및 부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미들웨어를 수신받는다. 이후, 수신된 미들웨어를 구동하여, 방송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수신된 방송 신호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한다.
이때 미들웨어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서비스하는 방송 사업자에 의해 구현되어 방송 서비스 제공시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들웨어는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에서의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에 따른 기능 및 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함수로 구성된 방송 신호 처리용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들웨어 및 함수는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어지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는 미들 웨어 프로그래밍시 사용된 API의 함수 및 미들웨어를 해석하여 구동시키는 해석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미들웨어의 해석기로서 JAVA 가상 머신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만약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에서 요청한 방송 신호가 유료 방송 신호일 경우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로부터 스크램블링(Scrambling)된 상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받아,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을 수행한다.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로부터 디스크램블링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경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와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간의 통신 회선으로 고가의 5C 케이블을 이용하여야 하는 반면, 디스크램블링을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에서 수행하면, 저가형의 통신 회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은 IEEE 1394의 HSDI(High Speed data Interface)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1394는 각 장치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 가능한 버스 방식인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을 지원함으로, 각각의 방송 신호 표시 장치들이 직렬 네트웍을 연결하고 있고, 그 중 어느 하나의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가 연결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는 특정 방송, 가령 위성 방송 시청을 요청하는 방송 요청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 로 송신한다(S200).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는 특정 방송, 가령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위성 방송 신호가 송신전 채널 코딩 및 변조된 방식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한다(S220). 그리고 수신된 방송 신호, 가령 위성 방송 신호 처리용 미들웨어와 함께 복조 및 채널 디코딩된 방송 신호, 가령 위성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S240).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는 미들웨어와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260). 그리고 수신된 미들웨어를 구동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 가령 위성 방송 신호를 영상 처리 및 음성 처리하여 영상 및 음성 출력한다(280).
본 발명과 같은 시스템을 통하여, 방송 시청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위치 어디에서나 추가적인 비용 지불 없이 원하는 방송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2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는 유닛 장착부(135), 수신 장치 CPU(120), 메모리부(130)를 포함한다.
유닛 장착부(135)는, 방송 신호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후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을 장착하며, 장착된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과 콘트롤 버스와의 접속을 제공한다. 이때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 제거의 예로는 복조 및 채널 디코딩 된 신호를 들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각각의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에서 수신하는 방송 신호를 외부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 영상 및 음성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미들웨어를 기록하고 있다.
이때 미들웨어는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에서의 스크램블링 처리, 영상 처리, 음성 처리,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며, 바람직하게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다. 그리고 미들웨어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의 제공자에 의해 작성되고, 특히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의 제조사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에서의 장치 동작 및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함수들이 정의되어 있는 방송 신호 처리용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받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장치 CPU(120)는 방송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유닛 장착부(135)에 장착된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 중, 요청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제어하여,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방송 신호가, 방송 요청 신호를 송신한 방송 신호 표시 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 한다. 그리고 이때 수신 장치 CPU(120)는 메모리부(130)를 제어하여 요청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미들웨어 코드도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은 추가 및 제거가 가능하며,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의 추가에 따라, 추가된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에서 수신하는 방송 신호용 미들웨어를 상기 메모리부(330)에 추가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와의 통신에 있어서, IEEE 1394의 HSD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각각의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들은 데이지 체인 방식의 직렬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각각의 장착된 디지털 방송 신호 인 터페이스 유닛(140)에 포함된 유닛 인터페이스는 직렬 네트워크에 연결된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유닛 인터페이스는 IEEE 1394의 HSDI 인터페이스이다. 이와 같이 데이지 체인 방식을 지원하는 구성에 의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송 신호 표시 장치와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이 장착된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의 일예에 따른 상세 블럭도이다.
도 5a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디지털 지상파 수신용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1)은 디지털 지상파의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지상파 튜너부(142-1),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를 송신시 채널 코딩 및 변조된 방법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지털 지상파 채널 디코딩부(144-1), 및 IEEE 1394의 HSDI 인터페이스로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방송 신호 표시 장치와의 인터페이싱을 제공하는 유닛 인터페이스부(146-1)를 포함한다.
도 5b는 위성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위성 방송 수신용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2)은 위성 방송 신호의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방송 튜너부(142-1), 수신된 위성 방송 신호 송신시 채널 코딩 및 변조된 방법에 대응하 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는 위성방송 채널 디코딩부(144-2), 및 IEEE 1394의 HSDI 인터페이스로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방송 신호 표시 장치와의 인터페이싱을 제공하는 유닛 인터페이스부(146-2)를 포함한다.
도 5c는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케이블 방송 수신용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3)은 케이블 방송 신호의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케이블 방송 튜너부(142-3), 수신된 케이블 방송 신호 송신시 채널 코딩 및 변조된 방법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는 케이블방송 채널 디코딩부(144-3), 및 IEEE 1394의 HSDI 인터페이스로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방송 신호 표시 장치와의 인터페이싱을 제공하는 유닛 인터페이스부(146-3)를 포함한다.
이때, 방송 신호 수신 유닛 각각은 수신하는 방송 신호의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처리 및 음성 처리용 미들웨어를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을 단순히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유닛 장착부에 추가하여 장착함으로써, 간편하게 원하는 방송 신호 수신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각각의 방송 신호 인터페이싱 유닛(140)은 자신에게 대응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그 송수신 특성을 제거한다(S300).
그후,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은 자신과 통신중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로부터 특정 방송 신호를 요청하는 방송 요청 신호를 수신받는다(S320).
이 신호는 수신 장치 CPU(120)로 송신되고, 수신 장치 CPU(120)는 요청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제어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며, 이때, 송수신 특성이 제거된 방송 신호가 송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 영상 처리, 음성 처리, 및 부가 데이터 처리가 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인 미들웨어를 함께 송신한다(S340).
송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 및 미들웨어는 IEEE 1394의 HSD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성된 데이지 체인 방식의 버스에 의해 방송 요청 신호를 송신한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로 송신된다.
도 7는 도 6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 제거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외부로부터 어느 한 종류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채널을 선국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301). 그리고 수신된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대응하여 복조(S305)한 후, 채널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한다(S307).
도 8는 도 2의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는 인터페이스부(410), 표시 장치 CPU(420), 미들웨어 기록부(430), 함수 기록부(440), CAS부(450), 역다중화부(460), 비디오 디코더(470), 오디오 디코더(480), 부가 데이터 기록부(49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10)는 IEEE 1394의 HSD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의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로부터 복조 및 채널 디코딩된 방송 신호 및 요청된 방송 신호 처리용 미들웨어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요청된 방송 신호 처리용 미들웨어는 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에서의 디스크램블링, 역다중화, 비디오 및 오디오 디코딩과 부가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모바일 프로그램 언어로서 작성되며, 특히 JAVA 프로그래밍 언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들웨어는 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의 제조사로부터 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의 장치 동작 및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함수들이 정의되어 있는 방송 신호 처리용 API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들웨어 기록부(430)는 외부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100) 로부터 수신한 미들웨어를 기록하고, 함수 기록부(440)는 API로 제공된 함수들을 기록하고 있다.
표시 장치 CPU(420)는 미들웨어 해석기를 통해 함수기록부에 기록된 함수를 콜하여 미들웨어 기록부에 기록된 미들웨어를 실행킨다. 바람직하게는 미들웨어 해석기, 즉 미들웨어가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경우 자바 가상 머신을 기록하는 해석기 기록부(미도시)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 실행된 미들웨어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여 CAS부(450), 역다중화부(460), 비디오 디코더(470), 오디오 디코더(480), 및 부가데이터 기록부(49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방송 신호 수신시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미들웨어를 수신받기 때문에, 방송 신호 표시 장치의 제조사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 신호의 규격에 무관하게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CAS부(450)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가 유료 방송 서비스를 실시하는 방송인 경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하여 신호를 복원하는 기능하며, 이는 CAS부(450)에 장치되어 있는 카드(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키 값을 독출함으로써 가능하다. CAS부(450)에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스크램블링된 모든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키 값을 기록하고 있는 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다중화부(460)는 실행중인 미들웨어에 의해 CAS부(450)에서 복원된 신호, 또는 스크램블링 되지 않은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분리한다.
비디오 디코더(470)는 실행중인 미들웨어의 제어에 의해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며, 엠펙 비디오 디코더인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480)는 실행중인 미들웨어의 제어에 의해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며, 엠펙 오디오 디코더 또는 돌비 AC-3인 것이 가능하다.
분리된 부가 데이터는 부가 데이터 기록부(490)에 기록되어지며, 표시장치 CPU(420)는 구동중인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부가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이 디코딩된 부가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디코딩 된 영상 신호는 비디오 인코더(미도시)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영상 표시 되며, 오디오 디코딩 된 음성 신호는 D/A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스피커(미도시)에 음성 출력되며, 바람직하게는 본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400)는 영상 출력용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음성 출력용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도 9는 도 8의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특정 방송 수신을 요청하는 방송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500). 이때, 방송 요청 신호는 방송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정보, 요청하는 방송 신호 정보를 포함한다.
S500 단계에서 송신한 방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요청된 방송 신호 및 본 방송 표시 장치(400)에서의 요청된 방송 신호 처리용 미들웨어를 수신한다(S510). 그리고 미들웨어를 실행시킨다(S520).
우선 수신된 방송 신호가 스크램블링 되어 있는 방송 신호인지를 판단하여(S530), 스크램블링 되지 않은 방송 신호인 경우,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분리한다(S550). 만약 스크램블링된 방송 신호인 경우, CAS부(150)에 장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들 중 요청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카드로부터 키 값을 수신하여,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S550). 이때 스크램블링을 수행은 S500단계에서 실행된 미들웨어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 진다.
디스크램블링이 완료되어 신호가 복원되었으면,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부가 데이터 신호로 구분한다(S560). S550 단계에서 분리된 신호를 각각 비 디오 디코딩, 오디오 디코딩, 및 부가 데이터 처리하여,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한다(S570).
이와 같은 영상 신호 표시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사는 각 방송 서비스 제공자마다 다른 방송 신호 규격에 무관하게 장치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방송 시청자는 방송 신호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가 간단해 지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방송 신호 표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여러 종류의 디지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며, 방송 서비스 제공자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과 같은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는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다수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새로운 방송 서비스 수신 확장시, 간단히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신호용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만을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방송 신호 수신 확장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 방송 신호 수신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비용 감쇄 효과는 더욱 크다고 하겠다.
한편, 방송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수신을 위해 소비자에게 제공해야하는 장치로서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만을 구비하면 되 기 때문에 방송 서비스 제공 비용을 감소 시킴으로써 더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표시 장치 제조사는 방송 신호의 규격에 따른 처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3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고,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미들웨어를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방송 요청 신호를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미들웨어를 수신하며, 상기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닛 장착부;
    상기 미들웨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유닛 장착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미들웨어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수신 장치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인터페이스 유닛은,
    채널을 선국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규격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는 채널 디코딩부;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 장치 CPU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미들웨어를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로 제공하는 유닛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 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장치는,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미들웨어를 수신받는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분리하는 역다중화부;
    분리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디코더; 및
    수신된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디코더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 CPU는 수신된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상기 부가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영상 신호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을 수행하는 CAS(conditional access system)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CAS부는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표시 장치에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에 관한 기능의 정의, 및 정의된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의 집합인 방송 신호 처리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된 상기 미들웨어에 대응하여, 상기 함수를 기록하는 함수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신호 표시 장치들은 IEEE1394의 HSDI(High Speed Data Interface)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지 체인 형태의 네트워크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시스 템.
  10. 디지털 방송을 표시하는 다수의 디지털 방송신호 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방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디지털 방송신호 및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미들웨어를 상기 방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 규격에 대응하여 복조 및 채널 디코딩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표시 단계는,
    상기 송수신 규격에 따른 특성이 제거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상기 미들웨어를 수신받는 인터페이싱 단계;
    수신된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분리하는 역다중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분리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크램 블링(Descrambling)을 수행하는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CAS 단계는 상기 미들웨어에 따라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에 관한 기능의 정의, 및 정의된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의 집합인 방송 신호 처리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된 상기 미들웨어에 대응하여, 상기 API로 제공된 상기 함수를 기록하여 두는 함수 기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030083680A 2003-11-24 2003-11-24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99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680A KR100599166B1 (ko) 2003-11-24 2003-11-24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EP04105258A EP1542463B1 (en) 2003-11-24 2004-10-22 A broadcast routing system
CNB2004100879994A CN100385951C (zh) 2003-11-24 2004-10-26 能够接收多数字广播信号的数字广播信号处理系统和方法
US10/975,084 US20050114905A1 (en) 2003-11-24 2004-10-28 Digital broadcast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receiving multiple digital broadcast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680A KR100599166B1 (ko) 2003-11-24 2003-11-24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916A KR20050049916A (ko) 2005-05-27
KR100599166B1 true KR100599166B1 (ko) 2006-07-12

Family

ID=3451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680A KR100599166B1 (ko) 2003-11-24 2003-11-24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14905A1 (ko)
EP (1) EP1542463B1 (ko)
KR (1) KR100599166B1 (ko)
CN (1) CN1003859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9949B2 (en) * 2005-07-28 2010-01-19 Sony Corporation Multipurpose television module
US20070164609A1 (en) * 2006-01-04 2007-07-19 Shalam David M Receiver and distribution unit for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KR101196258B1 (ko) * 2008-11-19 2012-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1422173B2 (en) * 2020-05-09 2022-08-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 measurement of platform pow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7838B2 (ja) * 1995-09-05 2003-05-19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
US5886732A (en) * 1995-11-22 1999-03-23 Samsung Information Systems America Set-top electronics and network interface unit arrangement
ATE208547T1 (de) * 1998-04-14 2001-11-15 Fraunhofer Ges Forschung Zweimodenempfänger zum empfang von satelliten und terrestrischen signalen in einem digitalrundfunksystem
JP2002238003A (ja) * 2000-12-07 2002-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再生用ミドルウェア選択実行装置および方法
US8291457B2 (en) * 2001-05-24 2012-10-16 Vixs Systems, Inc. Channel selection in a multimedia system
GB2377574A (en) * 2001-07-12 2003-01-15 Graeme Roy Smith Modular software/firmware definable video server
EP1304871A3 (en) * 2001-08-21 2003-06-18 Canal+ Technologies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er/decoder
US20040181811A1 (en) * 2003-03-13 2004-09-16 Rakib Selim Shlomo Thin DOCSIS in-band management for interactive HFC service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2463A2 (en) 2005-06-15
CN1622625A (zh) 2005-06-01
US20050114905A1 (en) 2005-05-26
KR20050049916A (ko) 2005-05-27
CN100385951C (zh) 2008-04-30
EP1542463B1 (en) 2010-09-08
EP1542463A3 (en)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1365B (zh) 码变换有线卡
KR19980060006U (ko) 아날로그 및 디지탈 방송시청이 가능한 케이블 티브이(catv)
US20070130604A1 (en) Home server having integrated set-top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A236055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method of providing extension function
KR100599166B1 (ko) 복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3965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서비스 데이터 처리 장치
KR10065074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홈서버
JPH09205638A (ja) データ送信方式および受信装置
CA236055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KR100676986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전화 신호에 따른 타임 쉬프트 tv시청 방법
KR100455946B1 (ko) 단일 디스크램블러를 구비한 방송신호 수신기에서의 유료 방송 스트림 저장 및 재생 방법
JP7342071B2 (ja) 受信方法
KR100677191B1 (ko)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디지탈 티브이 수신장치
CN103297822A (zh) 机顶盒及其电视节目数字信号处理方法
JP200616589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制御方法
KR100712824B1 (ko) 단일 셋톱박스의 수신제한기능을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JPH0822471A (ja) データ検索システム
JP4084999B2 (ja) デジタル無線信号を受信する装置
JP3728133B2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WO2007040347A1 (en) Multi-out broadcasting receiver system using cas of single set-top box
KR20050023684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JPH10294941A (ja) 画像伝送システム、画像伝送装置、画像送信装置及び画像受信装置
KR100286259B1 (ko) 하이브리드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JP5041620B2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及びデータ放送方法
KR100555756B1 (ko) 콤보 시스템의 예약 녹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