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863A -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863A
KR20080006863A KR1020060066146A KR20060066146A KR20080006863A KR 20080006863 A KR20080006863 A KR 20080006863A KR 1020060066146 A KR1020060066146 A KR 1020060066146A KR 20060066146 A KR20060066146 A KR 20060066146A KR 20080006863 A KR20080006863 A KR 2008000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ystem
signal
application
stor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863A/ko
Priority to US11/826,345 priority patent/US20080013472A1/en
Priority to CN2007101494390A priority patent/CN101127846B/zh
Publication of KR2008000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broadcasting computer program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92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volatile storage medium, e.g. Random Access Memory [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3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for forcing some client operations, e.g.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7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comprising parameters, e.g. for client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튜닝하는 튜너부, 상기 데이터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데이터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선택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용량 및 사용 정책에 따라 저장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데이터 방송,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방법

Description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A controlling method and a storing apparatus for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데이터 방송 신호가 분할되어 수신되는 모습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OSD의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방송 시스템 특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방송 수신기 102:튜너부
103:역다중화부 104:A/V 처리부
105:A/V 표시부 106:데이터 수신부
107:데이터 디코더 110:제어부
120:저장부 130:어플리케이션 실행부
140:디스플레이부 111:신호 입력부
112:저장부 제어부 113:어플리케이션 제어부
10 : 방송국 11 : 서버
20 : 방송 수신기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제어 방법 및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방송국 등에서 비디오, 오디오 방송 신호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방송 신호들을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 플랫폼(platform)으로는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데이터 방송, MHP(Multimedia Home Platform) 데이터 방송,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데이터 방송 등이 있다.
그리고, 케이블 시스템 사업자(cable system operator, SO), 또는 복수 시스템 사업자(Multiple System Operator, MSO) 등은 데이터 방송을 전송함에 있어서, 바운드 어플리케이션(Bound Application),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Unbound Application) 등을 방송 수신기에 제공한다.
상기 바운드 어플리케이션(Bound Application)은, A/V 스트림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특정 채널 시청 중 다른 채널로 튜닝시, 사용자가 활용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상기 바운드 어플리케이션(Bound Application) 현재 튜너에서 선국되는 채널의 A/V 스트림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속적으로 방송국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방송 수신기에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지 않고, 임시 저장부에 저장되므로, 다른 채널로 튜닝시, 삭제된다.
반면, 상기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Unbound Application)은, 특정 A/V 채널과 연관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으로, 특정 채널 시청 중, 다른 채널로 튜닝되거나 또는 심지어 방송 수신시의 전원이 온/오프되어도,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상기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Unbound Application)은 방송 수신기에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된다.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므로, 시간이 지남에따라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상기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데, 간단히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칭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메모리 공간의 제약이 있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시스템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저장 시스템을 변경하여야 하는 필요성도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저장 시스템은 현재 데이터 방송의 규격상에 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서 저장 시스템을 전환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공간뿐 아니라, 더 빠른 속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저장 시스템을 재전환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튜닝하는 튜너부, 상기 데이터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데이터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선택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은 압축 파일 시스템 또는 비압축 파일 시스템 중에서 하나를 의미한다.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선택하는 신호는 방송을 송신하는 측에서 보내주는 신호 또는 외부 입력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선택하는 외부 입력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 수단로 보내주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 파일 시스템이 전환되면, 이전 파일 시스템을 포맷하고,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시스템을 재시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 수단는 저장 시스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저장부 제어 수단, 상기 저장 시스템이 전환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수단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호 입력부는 방송국에서 송신한 저장 시스템 전환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중에서 하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a)저장 시스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상기 저장 시스템 선택 신호에 따라 저장 시스템을 전환하는 단계, (c)수신된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전환된 저장 시스템에 의해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단계의 저장 시스템 신호는 데이터 방송을 송신하는 측에 의하여 결정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의 저장 시스템 신호는 방송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의 저장 시스템 신호는 방송 수신기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의 저장 시스템은 압축 저장 시스템 또는 비압축 저장 시스템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의 저장 시스템의 전환은, 현재의 저장 시스템과 입력된 저장 시스템을 비교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인 경우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저장 시스템을 포맷하는 단계, 전환된 저장 시스템에서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용량 및 사용 정책에 따라 저장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용어를 선정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수단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3은 데이터 방송 신호가 분할되어 수신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가 데이터 방송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시키는 동작을 살펴본다.
이때 데이터 방송의 어플리케이션이란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데이터 방송 플랫폼(platform)으로는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데이터 방송, MHP(Multimedia Home Platform) 데이터 방송,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데이터 방송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그 대상으로 한다.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전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관리하는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A/V 스트림과 연관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통칭하는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또는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이라 한다.) 은 큰 범주로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일반적 어플리케이션과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칭하여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101)는 튜너부(102), 역다중화부(103), A/V 처리부(104), A/V 표시부(105), 데이터 수신부(106), 데이터 디코더(107), 제어 수단(110), 저장부(12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에 인터페이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기(101)는 예를 들어,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DTV), 셋탑 박스, 케이블 수신기의 호스트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데이터 방송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일반화될 수 있다.
상기 튜너부(102)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전송받는다. 이때 방송 신호는 A/V 신호와 데이터 방송 신호를 합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상기 튜너부(102)는, 케이블 시스템 사업자(cable system operator, SO), 또는 복수 시스템 사업자(Multiple System Operator, MSO) 등으로부터 케이블 방송 신호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상기 역다중화부(103)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A/V 방송 신호와 데이터 방송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A/V 방송 신호는 상기 A/V 처리부(104)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방송 신호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106)로 전송한다.
상기 A/V 처리부(104)는 상기 수신된 A/V 방송 신호가 상기 A/V 표시부(10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디코딩(Decoding) 등의 프로세스(Process)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A/V 표시부(105)는 상기 디코딩 등이 된 A/V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A/V 표시부(105)는 예를 들어 스피커, 상기 방송 수신기의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신부(106)는 상기 역다중화부(10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방송 신호를 헤더(Header) 제거 등의 가공 프로세스(Process)를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 디코더(107)로 전송한다.
다만, 상기 데이터 수신부(106)로 전송된 데이터 방송 신호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데이터로 분할된 형태이다. 왜냐하면, 방송국 등이 데이터를 하나의 완전한 파일로 한번에 전송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방법으로 전송하는 경우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완전한 데이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디코더(107)는 분할된 복수개의 데이터 형태를, 하나의 완전한 파일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부(106)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 수단(110)는 상기 저장부(120),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 디코더(107)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방송 신호를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저장 시스템을 적용할 것인지를 제어하며, 저장 시스템의 전환 후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제어 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임시 메모리가 아닌,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반영구적 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부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발명이다. A/V 스트림과 연관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관리하는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는 상기 제어 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게임, 광고, 주문 화면 등과 관련된 데이터 방송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제어 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제어 수단(110), 상기 저장부(120)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의 역할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 수단(110)는 저장 시스템 선택 신호에 의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및 실행의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수단(110)은 도 2를 참조하면, 저장 시스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부(111), 상기 저장부(130)를 제어하는 저장부 제어부(112),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입력부(111)에는 데이터 방송을 송신하는 측인 헤드 엔드 즉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저장 시스템 전환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방송 수신기의 직접적 인 외부 입력 신호가 입력된다. 즉 저장 시스템을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는 헤드 엔드 또는 사용자가 될 수 있다.
헤드 엔드가 시스템 전환의 주체가 되는 경우에, 헤드 엔드는 저장 시스템 선택 메세지 신호를 통신 회선을 통해 방송 수신기로 송신하거나, 방송국측이 저장 시스템을 결정하여 직접 서비스맨등을 보내서 직접 외부 입력을 전환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물론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아니한다.
사용자가 시스템 전환의 주체가 되는 경우에, OSD(On screen display)등을 통해 사용자는 저장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택 전환 경로가 리모컨 등에 도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쉽게 저장 시스템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실시예에 불과하다. 이러한 사용자 선택의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부 제어부(112)는 저장 시스템 전환 신호에 의거하여 저장부(120)의 저장 시스템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저장 제어는 아래에서 살펴본다.
저장 시스템은 저장부(120)의 잔여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압축 저장 시스템을 선택한다. 그러나 잔여 용량이 충분한 경우 또는 잔여 용량이 부족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속도의 실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비압축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러한 판단을 하는 신호가 헤드 엔드에 의해 송신되는 경우에는 방송 수신기에 이러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을 하는 신호가 방송 수신기의 외부 입력인 경우에는, 이러한 외부 입력의 통로 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이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필요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13)은 저장 시스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경우, 그 이후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실행 제어는 아래에서 살펴본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이 비압축 시스템에서 압축 시스템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저장 시스템이 포맷되고,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다운로드 받는다. 그리고 다시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시스템을 재시작한다. 그러나 이 경우, 저장 시스템의 포맷은 실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저장 시스템을 전환하고, 시스템의 포맷없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현재까지의 저장 공간은 그대로 두고, 이후의 저장 공간만을 압축 시스템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전체를 포맷하고 저장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현재까지의 저장 공간도 포함하여 압축하여 적용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메모리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이 압축 시스템에서 비압축 시스템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저장 시스템이 포맷되고,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다운로드 받는다. 그 후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시스템을 재시작한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어드레스가 차지하는 공간이 좁은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하나의 어드레스가 차지하는 공간의 확장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 포맷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제어 수단(110)의 제어에 의하여, 저장부(120)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저장 시스템 선택 신호 입력되고(s401),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저장 시스템이 결정된다(s402). 그 후 결정된 저장 시스템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게 된다(s403). 도면에서는 파일 시스템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파일 시스템과 저장 시스템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압축 파일 시스템이 선택되면(s501), 즉 압축 파일 시스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사용중인 파일 시스템을 판단한다. 현재 사용중인 파일 시스템이 압축 파일 시스템인 경우에는 시스템 전환 없이 종료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중인 파일 시스템이 비압축 시스템인 경우에는 현재 시스템을 압축 파일 시스템으로 전환한다(s503). 상기 시스템이 압축 파일 시스템으로 전환되면, 파일 시스템 포맷을 행한다(s504). 그러나 상기 방송 수신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의 설명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단계는 생략가능하다. 파일 시스템이 포맷되면,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s505). 그 후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시스템을 재 시작한다.
비압축 파일 시스템이 선택되면(도면상에서는 압축 파일 시스템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로 나타내었다)(s501), 현재 사용중인 파일 시스템이 압축파일 시스템인지 판단하고(s510), 현재사용중인 파일 시스템이 압축 시스템이 아닌 경우, 즉 비압축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전환 없이 종료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중인 파일 시스템이 압축 시스템인 경우에는 현재 시스템을 비압축 시스템으로 전환한다(s511). 상기 시스템이 비압축 파일 시스템으로 전환되면, 파일 시스템 포맷을 행한다(s512). 파일 시스템이 포맷되면,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s513). 그 후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시스템을 재 시작한다(s514).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의 설명에서 서술한 내용은 본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외부 입력이 이루어지는 실시예인 OSD를 도시한다.
OSD를 이용하여, 압축 파일 시스템 사용 여부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방송국(10)과 방송 수신기(20)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국은 서버(11)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실시예 중에서 저장 시스템의 선택이 헤드 엔드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것이다.
상기 방송국(11)은 저장 시스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기(20)로 송신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국(10)의 서버(11)에 저장되어 있다. 방송국의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는 인터넷, 랜, 케이블, TCPIP 등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는 캐로셀(Carousel)등의 데이터 전송기법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캐로셀은 상기 디지털 비디오 방송은 업링크 채널(Uplink Channel)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대역폭(bandwidth)을 가지는 다운링크 채널(Downlink Channel)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캐로셀은 실시예에 해당하며, 데이터 방송을 송신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에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경우, 압축 저장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추가 비용 없이 하드웨어를 확장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 다.
또한 압축 저장 시스템을 사용하여,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 더 빠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하여, 저장 시스템을 비압축 시스템으로 재전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의 용량 및 사용 정책에 따라 저장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6)

  1.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튜닝하는 튜너부;
    상기 데이터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데이터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선택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은 압축 파일 시스템 또는 비압축 파일 시스템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선택하는 신호는 방송을 송신하는 측에서 보내주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선택하는 신호는 외부 입력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저장 시스템을 선택하는 외부 입력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 수단로 보내주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파일 시스템이 전환되면, 이전 파일 시스템을 포맷하고,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시스템을 재시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는
    저장 시스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저장부 제어 수단;
    상기 저장 시스템이 전환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방송국에서 송신한 저장 시스템 전환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중에서 하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10. (a)저장 시스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상기 저장 시스템 선택 신호에 따라 저장 시스템을 전환하는 단계;
    (c)수신된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전환된 저장 시스템에 의해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저장 시스템 신호는 데이터 방송을 송신하는 측에 의하여 결 정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저장 시스템 신호는 방송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저장 시스템 신호는 방송 수신기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저장 시스템은 압축 저장 시스템 또는 비압축 저장 시스템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저장 시스템의 전환은, 현재의 저장 시스템과 입력된 저장 시스템을 비교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인 경우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저장 시스템을 포맷하는 단계;
    전환된 저장 시스템에서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060066146A 2006-07-14 2006-07-14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KR20080006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46A KR20080006863A (ko) 2006-07-14 2006-07-14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US11/826,345 US20080013472A1 (en) 2006-07-14 2007-07-13 Method of controlling data broadcast and data broadcast receiver
CN2007101494390A CN101127846B (zh) 2006-07-14 2007-07-13 控制数据广播的方法和数据广播接收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46A KR20080006863A (ko) 2006-07-14 2006-07-14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863A true KR20080006863A (ko) 2008-01-17

Family

ID=3894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146A KR20080006863A (ko) 2006-07-14 2006-07-14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13472A1 (ko)
KR (1) KR20080006863A (ko)
CN (1) CN1011278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0998A3 (en) * 2012-05-04 2014-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nd device
CN103974124B (zh) * 2013-01-30 2017-02-08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基于安卓平台下载与管理广播应用的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21224A2 (en) * 1991-05-29 1992-12-10 Maxoptix Corporation Optical disk drive assembly having selectable compression and emulation
US5915129A (en) * 1994-06-27 1999-06-2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uncompressed data in a memory cache that is destined for a compressed file system
US5812817A (en) * 1994-10-17 1998-09-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ression architecture for system memory application
EP0915413A1 (en) * 1997-10-31 1999-05-12 Hewlett-Packard Company Data encoding scheme with switchable compression
JP4006079B2 (ja) * 1998-02-27 2007-11-14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365261B1 (ko) * 2000-03-02 2002-12-18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웹 드라이브 시스템
US6629227B1 (en) * 2000-05-04 2003-09-30 Scientific-Atlanta, Inc. System and method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to manage memory and maintain a current application version for multiple applications
EP1267579A3 (en) * 2001-06-11 2003-03-19 Canal+ Technologies Société Anonyme MPEG table structure
US20030009769A1 (en) * 2001-06-25 2003-01-09 Debra Hensgen Trusted application level resource advisor
EP1304871A3 (en) * 2001-08-21 2003-06-18 Canal+ Technologies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er/decoder
US7100011B2 (en) * 2002-03-01 2006-08-29 Arri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storage requirements for program code in a communication device
US7055145B2 (en) * 2002-10-30 2006-05-30 Intel Corporation Dynamic management of execute in place applications
CN1278552C (zh) * 2003-03-27 2006-10-04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数字电视机的图像信号处理装置
GB2403033A (en) * 2003-06-18 2004-12-22 Research In Motion Ltd PDA software compression
US20050132161A1 (en) * 2003-12-15 2005-06-16 Nokia Corporation Creation of virtual memory space in a memory
US20060010151A1 (en) * 2004-05-25 2006-01-12 Chih-Ta Star Sung Lossless com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torage and transmission
US20050273858A1 (en) * 2004-06-07 2005-12-08 Erez Zadok Stackable file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7716414B2 (en) * 2006-03-31 2010-05-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updating a mobile device using an update package obtained from a remote server
US20070288661A1 (en) * 2006-05-24 2007-12-13 Gameloft, S.A. Method and media for reducing executable storage requirements in wireless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7846B (zh) 2010-12-29
US20080013472A1 (en) 2008-01-17
CN101127846A (zh)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942B1 (ko) 디지털 tv 및 그의 제어 방법
EP161985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ommunication unit for streaming moving images
CN103891296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KR101007296B1 (ko) 오디오 묵음 시 텍스트 서비스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71016B1 (ko) 보조 채널을 이용한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9575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셋탑박스의 펌웨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90024885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KR20080006863A (ko)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CN101753789B (zh) 接收装置、通信系统和接收装置控制方法
US8699860B2 (en) Method of scheduled and non-scheduled acquisition of media services in response to media service provider commands
KR20090091902A (ko) 컨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85668B1 (ko) Ota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KR100714692B1 (ko)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타임 시프트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865708A2 (en) Open cable broadcas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959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rogress of the presentation of content
EP2227007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proved i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807229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20080006864A (ko)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수신하는 방송 수신기
KR1014639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상태에 연동한 소스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877062B1 (ko) 두 채널 동시 시청 및 원격 pvr기능을 갖는 유/무선 랜디지털 셋톱박스 시스템
KR101127170B1 (ko) 방송 신호 전송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전송 라우터
KR10068334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전자 프로그램 안내정보 처리 방법
CN109218777B (zh) 一种开机展示信息播放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0900523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
KR20070089011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파일 업데이트 방법 및 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