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144B1 - 음료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144B1
KR102156144B1 KR1020130044030A KR20130044030A KR102156144B1 KR 102156144 B1 KR102156144 B1 KR 102156144B1 KR 1020130044030 A KR1020130044030 A KR 1020130044030A KR 20130044030 A KR20130044030 A KR 20130044030A KR 102156144 B1 KR102156144 B1 KR 10215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hot water
mounting space
valv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792A (ko
Inventor
정희도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144B1/ko
Priority to PCT/KR2014/001791 priority patent/WO2014175546A1/ko
Priority to CN201480023107.6A priority patent/CN105142470B/zh
Publication of KR2014012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Abstract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장착공간에 장착된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음료추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장치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음료캡슐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부;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이 덮개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여 상기 장착공간이 개방되거나 밀폐되도록 하는 개폐부; 및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상기 장착공간의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상기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추출장치{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분말이 저장된 음료캡슐에 온수를 공급하여 음료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장착공간에 장착된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추출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음료추출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분말이 저장된 음료캡슐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추출장치에서는 온수공급원의 소정 압력의 온수를 음료캡슐에 공급하여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면 음료가 생성된다. 즉, 음료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추출장치로부터 추출된 음료추출장치는 음료추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음료추출장치에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포함된다. 그리고, 장착공간에 음료캡슐을 장착하고 장착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를 공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를 추출한다. 그리고, 음료추출후에는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음료추출후에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어 주기 위해서, 종래에는 온수탱크 등의 온수공급원에 구비된 히터의 출력을 낮추거나 음료추출중 또는 음료추출후에 장착공간의 밀폐상태를 해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의 압력을 원하는 압력으로 낮출 수 없거나 추출된 음료가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음료추출장치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속추출 혹은 장시간 미사용 후의 음료추출시에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음료추출장치에서 상시 예열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시 예열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음료추출장치 자체의 온도가 비교적 높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낭비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온수공급원에 구비된 히터의 출력을 더 높게 하고 음료추출시에만 히터를 사용하여 예열시간을 짧게 하고자 하였으나, 히터의 출력을 높이게 되면 온수의 압력이 더 높아져서 음료추출후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음료추출후 음료캡슐 또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추출장치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료추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음료추출장치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며 음료캡슐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부;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장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이 덮개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여 장착공간이 개방되거나 밀폐되도록 하는 개폐부; 및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장착공간의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출부는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레버부재와 덮개가 연결되는 바디;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바디에 구비되고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음료캡슐을 천공하는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장착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재는 장착부재에 형성된 음료배출구멍을 개폐하도록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레버부재와 덮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바디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제1링크부재와 덮개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레버부재와 제1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덮개에 구비된 온수공급노즐과 온수공급원이 연결되도록 하거나 온수공급노즐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는 온수공급노즐과 온수공급원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밸브본체; 및 밸브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로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는 온수공급원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 온수공급노즐에 연결되는 제2연결구; 및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연결되며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밸브로드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로드에는 로드이동부에 연결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밸브로드와 바디에 연결되며 레버부재에 연계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와 바디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레버부재와 덮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에 연결된 연결핀에 연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연결핀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를 사용하여 음료추출후 음료캡슐 또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추출장치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4는 음료의 추출시를 나타내며, 도5는 음료추출후 레버부재를 소정 각도로 상측으로 회전하였을 때를 나타내고, 도6은 음료추출후 레버부재를 완전히 상측으로 회전하였을 때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음료추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삭제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일측 사시도와 타측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1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추출부(200), 개폐부(300) 및, 밸브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200)는 장착공간(M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추출부(200)는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210)에는 장착공간(MC)이 형성된 장착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추출부(200)에 장착공간(MC)이 포함되는 구성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바디(210)와 장착부재(220)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장착공간(MC)이 형성되는 등 장착공간(MC)이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200)의 장착공간(MC)에는 음료캡슐(C)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장착공간(MC)의 상부는 개방되고 장착공간(MC)은 음료캡슐(C)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음료캡슐(C)이 장착공간(MC)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장착공간(MC)에 삽입됨으로써, 장착공간(MC)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추출부(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캡슐(C)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추출부(200)의 전술한 바디(210)가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바디(210)에는 상부가 개방되며 장착부재(220)와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재(220)가 구비되는 바디(210)의 공간에는 음료배출구(211)가 연결될 수 있다.
장착부재(220)에는 천공부재(221)가 포함될 수 있다. 천공부재(221)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간(MC)에 장착된 음료캡슐(C)이 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재(221)에 의해서 음료캡슐(C)의 하면이 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천공부재(221)의 일측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220)에는 음료배출구멍(2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재(220)에는 음료배출구멍(220a)과 음료배출구(211)에 연결되는 음료배출유로(220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천공부재(221)는 제1탄성부재(222)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천공부재(221)의 일측은 장착부재(220)의 음료배출구멍(220a)을 관통하여 장착공간(MC)에 위치하고 타측은 음료배출유로(220b)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천공부재(221)에는 제1탄성부재(222)의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222)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재(221)가 이동하여 음료배출구멍(220a)이 닫힐 수 있다.
또한, 음료캡슐(C)이나 장착공간(MC)의 압력에 의해서 또는 덮개(320)에 의해서 제1탄성부재(222)의 탄성력보다 크고 반대방향인 힘이 천공부재(221)에 작용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재(221)가 이동하여 음료배출구멍(220a)이 열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캡슐(C)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음료배출구멍(220a)과 음료배출유로(220b) 및 음료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장착부재(220)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2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바디(210)의 음료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음료가 장착부재(220)가 구비되는 바디(210)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개폐부(300)는 레버부재(310)의 위치에 따라 장착공간(MC)의 개방된 상부가 덮개(320)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간(MC)이 개방되거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될 수 있다.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는 연결핀(P)에 의해서 바디(2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개폐부(300)는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330,340,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부재(31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장착부재(220)의 장착공간(MC)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레버부재(310)와 함께 덮개(32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부재(310)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면, 장착부재(220)의 장착공간(MC)의 상부가 덮개(320)에 의해서 닫히도록 레버부재(310)와 함께 덮개(3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캡슐(C)이 장착공간(MC)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공간(MC)이 밀폐될 수 있다.
덮개(320)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3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20)에 의한 장착공간(MC)의 밀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300)는 제1링크부재(330), 제2링크부재(340) 및, 제3링크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부재(330)는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부재(330)는 바디(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부재(340)는 제1링크부재(330)와 덮개(3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링크부재(340)는 연결핀(P)에 의해서 덮개(3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핀(CP)에 의해서 제1링크부재(3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링크부재(350)는 레버부재(310)와 제1링크부재(3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링크부재(35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버부재(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핀(CP)에 의해서 제1링크부재(3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330,340,350)는 전술한 제1링크부재(330) 내지 제3링크부재(350)와 이들의 연결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를 연결하여 레버부재(310)의 위치에 따라 덮개(320)가 장착공간(MC)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링크부재와 이들의 연결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밸브부(4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장착공간(MC)에 장착된 음료캡슐(C)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추출후에 밸브부(400)는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추출후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가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추출장치(100)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밸브부(400)는 밸브(41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410)는 레버부재(310)의 위치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20)에 구비된 온수공급노즐(321)과 온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도록 하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노즐(321)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밸브(41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밸브본체(411)와 밸브로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본체(411)는 온수공급노즐(321)과 온수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밸브로드(412)는 밸브본체(41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밸브본체(411)는 제1연결구(411a), 제2연결구(411b) 및, 로드이동부(411c)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본체(411)의 제1연결구(411a)는 온수탱크나 온수탱크에 연결된 펌프 등의 온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구(411a)는 연결관(T1)에 의해서 히터가 구비된 온수탱크 또는 온수탱크에 연결된 펌프 등의 온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밸브본체(411)의 제2연결구(411b)는 온수공급노즐(3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구(411b)는 연결관(T2)에 의해서 덮개(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320)에는 연결관(T2)과 온수공급노즐(321)을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본체(411)의 로드이동부(411c)는 전술한 제1연결구(411a)와 제2연결구(411b)가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밸브로드(412)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로드이동부(411c)의 개방된 타측으로 밸브로드(412)가 삽입되어, 밸브로드(412)가 로드이동부(411c)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밸브로드(412)의 일측과 타측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밀봉부재(41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이동부(411c)에 연결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밸브로드(412)가 로드이동부(411c)에서 이동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공간(SC)에 의해서 제1연결구(411a)와 제2연결구(411b)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소정 압력의 온수가 연결관(T1)을 유동하여 제1연결구(411a)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구(411a)에 유입된 소정 압력의 온수는 로드이동부(411c)의 연결공간(SC)을 통해 제2연결구(411b)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T2)을 통해 덮개(320)의 온수공급노즐(321)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수공급노즐(321)에 공급된 소정 압력의 온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노즐(321)에 의해서 천공된 음료캡슐(C)의 상면을 통해 음료캡슐(C)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음료캡슐(C)에 저장된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분말과 혼합되어 음료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로드(412)가 로드이동부(411c)에서이동하여 제연결구(411b)만 로드이동부(411c)의 연결공간(SC)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구(411a)에 유입된 소정 압력의 온수는 연결공간(SC)을 통해 제2연결구(411b)로 유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제2연결구(411b)는 외부와 연통된 로드이동부(411c)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음료캡슐(C)이나 음료캡슐(C)이 장착된 장착공간(MC)의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되면,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음료나 증기 등의 유체는 압력차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노즐(321)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공급노즐(321)에 유입된 유체는 이에 연결된 연결관(T2)을 유동하여 밸브본체(411)의 제2연결구(411b)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구(411b)에 유입된 유체는 이후 로드이동부(411c)를 유동하여 로드이동부(411c)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밸브부(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420)와 제2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20)는 밸브로드(412)와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420)는 밸브로드(412)와 바디(2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20)는 레버부재(310)에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재(420)는 상기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330,340,350)에 연결된 연결핀(CP)에 연계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420)는 제1링크부재(330)와 제2링크부재(340) 및 제3링크부재(35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CP)에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420)에는 연결핀(CP)이 걸리는 걸림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부(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탄성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430)는 연결부재(420)와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밸브로드(412)에는 연결부재(420)를 통해 제2탄성부재(430)의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4와 도6에 도시된 경우에 밸브로드(412)는 제2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되어 연결공간(SC)이 제1연결구(411a)와 제2연결구(411b)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4의 경우에 연결핀(CP)은 연결부재(420)의 걸림홈(421)에 걸리게 되어 연결부재(420)에는 제2탄성부재(430)의 탄성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6의 경우에 연결핀(CP)은 연결부재(420)의 걸림홈(421)에 걸리지 않게 되나, 연결부재(420)에 제2탄성부재(430)의 탄성력 이외의 다른 힘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캡슐(C)로부터의 음료추출후 사용자가 레버부재(31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여 레버부재(310)가 회전하게 되면, 연결핀(CP)은 연결부재(420)의 걸림홈(421)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연결핀(CP)에 의해서 연결부재(420)에 제2탄성부재(430)에 의한 탄성력과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핀(CP)에 의해서 연결부재(420)에 작용하는 힘이 제2탄성부재(430)에 의한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20)에 의한 밸브로드(412)의 이동에 의해서 연결공간(SC)이 제1연결구(411a)에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유체가 온수공급노즐(321)과 연결관(T2), 밸브본체(411)의 제2연결구(411b)와 로드이동부(411c)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를 사용하면, 음료추출후 음료캡슐 또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으며,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추출장치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음료추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음료추출장치 200 : 추출부
210 : 바디 211 : 음료배출구
220 : 장착부재 220a : 음료배출구멍
220b : 음료배출유로 221 : 천공부재
222 : 제1탄성부재 223,322,421a : 밀봉부재
300 : 개폐부 310 : 레버부재
320 : 덮개 321 : 온수공급노즐
330 : 제1링크부재 340 : 제2링크부재
350 : 제3링크부재 400 : 밸브부
410 : 밸브 411 : 밸브본체
411a : 제1연결구 411b : 제2연결구
411c : 로드이동부 412 : 밸브로드
420 : 연결부재 421 : 걸림홈
430 : 제2탄성부재 C : 음료캡슐
MC : 장착공간 SC : 연결공간
P, CP : 연결핀 T1, T2 : 연결관

Claims (13)

  1.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음료캡슐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부;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이 덮개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여 상기 장착공간이 개방되거나 밀폐되도록 하는 개폐부; 및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상기 장착공간의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상기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는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레버부재와 덮개가 연결되는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음료캡슐을 천공하는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장착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천공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에 형성된 음료배출구멍을 개폐하도록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음료추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레버부재와 덮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덮개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와 제1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덮개에 구비된 온수공급노즐과 온수공급원이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온수공급노즐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온수공급노즐과 온수공급원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밸브본체; 및
    상기 밸브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로드;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온수공급원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
    상기 온수공급노즐에 연결되는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연결되며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상기 밸브로드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이동부;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드에는 상기 로드이동부에 연결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음료추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밸브로드와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부재에 연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바디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와 덮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에 연결된 연결핀에 연계되는 음료추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연결핀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음료추출장치.
KR1020130044030A 2013-04-22 2013-04-22 음료추출장치 KR10215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030A KR102156144B1 (ko) 2013-04-22 2013-04-22 음료추출장치
PCT/KR2014/001791 WO2014175546A1 (ko) 2013-04-22 2014-03-05 음료추출장치
CN201480023107.6A CN105142470B (zh) 2013-04-22 2014-03-05 饮料提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030A KR102156144B1 (ko) 2013-04-22 2013-04-22 음료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792A KR20140126792A (ko) 2014-11-03
KR102156144B1 true KR102156144B1 (ko) 2020-09-16

Family

ID=5179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030A KR102156144B1 (ko) 2013-04-22 2013-04-22 음료추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56144B1 (ko)
CN (1) CN105142470B (ko)
WO (1) WO2014175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0588B (zh) * 2016-05-18 2021-08-03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N107400586B (zh) 2016-05-18 2021-05-28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US11224306B2 (en) 2016-05-18 2022-01-18 Lg Electronics Inc. Beverage-making apparatus
CN107400583B (zh) 2016-05-18 2021-07-13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包及具有其的啤酒酿造装置
CN107400585B (zh) 2016-05-18 2021-07-30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N107418805B (zh) 2016-05-18 2021-08-03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US11208621B2 (en) 2016-05-18 2021-12-28 Lg Electronics Inc. Beverage-making apparatus
US11268055B2 (en) 2016-05-18 2022-03-08 Lg Electronics Inc. Beverage making apparatus
CN109345712B (zh) * 2018-09-06 2021-03-05 深圳市道中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咖啡机的人脸识别方法及咖啡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6475A (ja) * 2009-10-05 2013-02-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ートリッジ式抽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2542B2 (en) * 2001-03-23 2004-12-21 Nestec S.A.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 hot beverage
ITTO20040441A1 (it) * 2004-06-29 2004-09-29 Sgl Italia Srl Metodo e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realizzazione selettiva di un caffe'di tipo "americano" e di tipo "espresso" a partire da una stessa capsula contenente polvere di caffe'.
DE102004056224A1 (de) * 2004-11-19 2006-05-24 Tchibo Gmbh System mit einer Kaffeemaschine und einer Portionskapsel
CA2596946C (en) * 2005-02-07 2010-12-21 Nestec S.A. Device for preparing a drink from a capsule by injection of a pressurized fluid and capsule-holder adapted therefore
PL1688072T3 (pl) * 2005-02-07 2008-09-30 Nestec Sa Urządzenie do przygotowywania napoju z kapsułki przez wtryskiwanie do kapsułki płynu pod ciśnieniem
AU2008231859B2 (en) * 2007-03-23 2012-11-2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ingredient capsule with opening plate having pressure-relief openings
FR2942471A1 (fr) * 2009-02-24 2010-08-27 Saint Gobain Ct Recherches Piece ceramique revetue.
EP2238878A1 (en) * 2009-04-09 2010-10-13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having a closing mechanism with force demultiplying means
CN101669767B (zh) * 2009-09-17 2011-06-29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一种饮料酿造装置
KR20120119192A (ko) * 2011-04-20 2012-10-30 (주) 다이랑 1회용 캡슐 추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6475A (ja) * 2009-10-05 2013-02-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ートリッジ式抽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792A (ko) 2014-11-03
WO2014175546A1 (ko) 2014-10-30
CN105142470A (zh) 2015-12-09
CN105142470B (zh)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144B1 (ko) 음료추출장치
CN100493428C (zh) 包括冲泡室和减压部件的饮料制作装置
KR102449623B1 (ko) 캡슐커피 추출장치
KR101759848B1 (ko)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CN101610703B (zh) 利用一次性胶囊调制饮料的具有胶囊对中装置的冲泡装置
BR112012015027B1 (pt) Unidade de infusão para fazer bebidas e máquina de café
KR102064177B1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US9044118B2 (en) Brewing unit for coffee brewing
CN108024651A (zh) 饮料生产机器
EP2783609A1 (en) Pressure relief valve
JP2020066141A5 (ko)
CN102083346A (zh) 饮料冲泡装置
CN201977581U (zh) 一种饮水机出水控制装置
US9314130B2 (en) Machine for dispensing infusions
KR101252238B1 (ko) 정수기용 온수밸브
US20160324361A1 (en) Device for preparing infused drinks, comprising a pivoting capsule support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JP3213790U (ja) 液体混合装置
US201703401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WO2009085780A3 (en) System and method for snubbing under pressure
CN210520779U (zh) 饮料萃取设备的水路系统及适用该水路系统的分流阀
KR100896798B1 (ko)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101692527B1 (ko) 코크 안전장치
EP3111812B1 (en) Machine for making infused beverages and respective infusion assembly
KR102035532B1 (ko)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