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798B1 -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798B1
KR100896798B1 KR1020080047111A KR20080047111A KR100896798B1 KR 100896798 B1 KR100896798 B1 KR 100896798B1 KR 1020080047111 A KR1020080047111 A KR 1020080047111A KR 20080047111 A KR20080047111 A KR 20080047111A KR 100896798 B1 KR100896798 B1 KR 10089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stopper
valve chamb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욱
우미화
Original Assignee
우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미화 filed Critical 우미화
Priority to KR102008004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이나 실수로 인하여 온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에 관한 것으로, 안전 코크의 외관을 형성하며 밸브실과 입수관으로 구획되고, 밸브실의 하단에 출수구를 구비하며, 전면에 누름스위치를 구비하고, 상부에 레버가 연결되는 밸브케이싱;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며, 제 1 탄성부재에 의하여 입수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개폐편; 상기 밸브실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날개편; 상기 밸브실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제 2 탄성부재에 의하여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는 수직부재; 상기 수평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형상되어 수직부재가 상승한 경우 상기 날개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가 조작되어 상기 수직부재가 상승한 경우에만 상기 누름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개폐편이 개방되어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를 제공한다.
정수기, 안전 코크

Description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SAFETY COKE VALVE FOR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부주이나 실수로 인하여 온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수된 물을 냉수와 온수로 공급하는 정수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런데, 정수기에서 토출되는 온수의 경우에는 그 온도가 100℃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나 어린이들의 장난으로 온수가 토출되는 경우에 사용자등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정수기 안전 코크에 레버와 누름버튼을 모두 구비하여, 누름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레버가 눌려지면 출수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즉 레버와 누름 버튼이 개별적으로 출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레버와 누름 버튼이 동시에 눌려진 상태에서만 온수가 토출되 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안전 코크는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레버가 조금만 눌려져도 온수가 출수되므로, 버튼을 먼저 누르고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레버가 조금만 움직여도 온수가 출수되어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전 코크는 그 내부에 항상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내부 부품들로 인한 오염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으며, 코크 내부에 남아있는 잔류수의 양이 많아 개방 초기에 식은 물이 나오는 양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누름 버튼이 동작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크의 내부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양을 최소화하여 잔류수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누름 버튼이 일정량 이상 누르면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 코크의 외관을 형성하며 밸브실과 입수관으로 구획되고, 밸브실의 하단에 출수구를 구비하며, 전면에 누름스위치를 구비하고, 상부에 레버가 연결되는 밸브케이싱;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며, 제 1 탄성부재에 의하여 입수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개폐편; 상기 밸브실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날개편; 상기 밸브실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제 2 탄성부재에 의하여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는 수직부재; 상기 수평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형상되어 수직부재가 상승한 경우 상기 날개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가 조작되어 상기 수직부재가 상승한 경우에만 상기 누름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개폐편이 개방되어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출수 제어 기능은 누름 버튼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레버가 조작된 상태에서만 누름 버튼을 작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레버가 조작된 후에만 누름 버튼으로 출수량을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케이싱을 입수관과 밸브실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개폐편을 입수관에 배치함으로써 밸브케이싱 내부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양을 최소화하여 밸브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감소시키고, 온수 토출시 초기에 식은 물이 배출되는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1)는 온수가 출수되는 출수구(10)와, 용기 또는 컵에 의하여 후방으로 후퇴하는 레버(12)와, 상기 레버(12)가 후퇴된 상태에서만 누름 조작되며 눌려지는 정도에 따라 출수되는 온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누름버튼(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코크는 레버(12)가 눌려진 상태에서만 누름버튼(14)이 조작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부주의 혹은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하여 온수가 출수되는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내부 구조를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수평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수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수평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는 외관을 형성하는 밸브케이싱(110)과, 누름버튼(14)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수평부재(130)와, 레버(도 1의 12)와 연동하여 레버가 눌려지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는 수직부재(140)와, 수직부재(140)에 결합되어 수평부재(130)의 위치를 구속하는 스토퍼(150)를 포함한다.
밸브케이싱(110)은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114)과, 수평부재(130)와 수직부재(140)가 배치되는 밸브실(112)로 구분된다.
입수관(114)과 밸브실(112)의 경계에는 입수구(115)가 형성된다.
입수관(114)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입수구(115)를 개폐하는 개폐편(120)과, 개폐편(1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입수구(115)를 밀폐하는 패킹(122)과, 개폐편(120)이 입수구(11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 1 탄성부재(124)가 배치된다. 이하에서 개폐편(120)이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를 폐쇄위치, 개폐편(140)이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방위치라 칭한다.
밸브실(112)의 내부에는 누름버튼(14)의 누름 조작을 개폐편(120)으로 전달하는 수평부재(130)와, 레버(12)의 누름 조작에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수직부재(140)와, 상기 수직부재(140)에 연결되어 수평부재(130)를 개방위치에 잠금시키는 스토퍼(150)가 배치된다.
밸브실(112)의 상단과 수직부재(140)의 사이에는 제 2 탄성부재(148)가 구비되며, 제 2 탄성부재(148)는 수직부재(14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 게 된다. 따라서, 레버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직부재(140)는 하강한 상태를 유지한다.
스토퍼(150)와 수직부재(140)는 제 3 탄성부재(미도시)로 연결되며, 제 3 탄성부재는 스토퍼(150)가 수직부재(140)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수직부재(140)는 수평부재(13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42)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142)은 수직부재(14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평부재(130)가 이동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재(130)와 수직부재(140)의 상세한 작동관계는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평부재(130)는 중간부의 저면에 쐐기홈(132)을 구비한다. 쐐기홈(132)은 후면(이하에서 후면이라 함은 개폐편측, 즉 도면의 우측의 면을 의미하고, 전면이라 함은 누름버튼측, 즉 도며의 좌측의 면을 의미한다.)을 누름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앞쪽으로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재(130)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날개편(134)을 구비한다. 날개편(134)은 좌우로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수평부재(130) 몸체와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편(134)의 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35)을 구비한다.
수평부재(130)의 전단(136)은 누름버튼(도 2의 14)과 접촉하게 되며, 후단(138)은 개폐편(120)의 패킹(122)과 접촉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직부재(140)는 상부에 레버(도 2의 12)와 힌지 결합되는 레버연결공(141)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수평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관 통공(142)을 구비하며, 하단은 평평한 바닥판(144)을 형성하고 있으며, 바닥판(144)의 중앙에는 스토퍼홀(145)이 형성된다.
관통공(142)의 상부 양측에는 경사돌기(143)가 형성된다. 경사돌기(143)의 경사면은 개폐편측(후면측)에 형성되며, 전면인 누름버튼(14) 측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도시된 도면은 경사돌기(143)이 경사면이 잘 나타나도록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관통공(142)의 양측에는 제 3 탄성부재(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편(146)을 구비한다. 제 3 탄성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150)와도 결합하여 스토퍼(150)를 바닥판(144)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토퍼(150)는 수직부재(140)의 바닥판(144)에 대응하는 수평판(151)과, 상기 수평판(151)의 중앙부에서 쐐기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돌기(152)와, 수평판(151)의 양측에 형성되어 제 3 탄성부재(미도시)가 연결되는 연결편(156)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돌기(152)는 수평부재의 쐐기홈에 대응하는 것으로, 전면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후면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경우도 도 4와 마찬가지로 경사면이 잘 나타나도록 후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레버(12)와 누름버튼(14)이 조작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부재(140)는 하강한 상태이고, 수평부재(130)는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이다. 수직부재(140)는 제 2 탄성부재(148)의 탄성력으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수평부재(130)는 제 1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으로 좌측으로 밀 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개폐편(120)은 폐쇄위치를 유지하므로 입수구(115)는 패킹(122)에 의하여 차단되어 닫혀있다. 패킹(122)은 입수구(115)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2의 상태의 수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4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경사돌기(143)의 전면이 수평부재(130)의 날개편(134) 전방에 위치하여, 날개편(134)의 평평한 후면과 경사돌기(143)의 평평한 전면이 서로 마주하게 되므로, 날개편(134)이 경사돌기(143)를 통과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누름버튼(14)이 눌려지지 않아 수평부재(130)를 이동시킬 수 없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레버를 누른 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레버를 누르면 레버와 연결된 수직부재(140)가 상승하게 된다. 수직부재(140)가 상승하면 수직부재(14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고 있는 스토퍼(150)도 함께 상승한다. 그런데, 스토퍼(150)는 상승 도중 수평부재(130)에 의하여 저지되어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므로, 스토퍼(150)의 수평판(151)이 수직부재(140)의 바닥판(144)으로부터 이격되어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수직부재(140)가 상승하게 되면, 수직부재(142)의 관통공(142) 상단 양측에 형성된 경사돌기(143)가 수평부재(130)의 날개편(134)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부재(130)의 우측이동이 더 이상 수직부재(142)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도 수평부재(130)는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개폐편(120)이 입수구(115)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레버를 조작한 상태에서 누름버튼(14)을 눌러주면 수평부재(13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개폐편(120)을 후퇴시켜 유체가 출수구(10)로 토출된다. 여기서 누름버튼(14)을 누르는 정도에 따라서 개폐편(120)의 패킹(122)이 입수구(115)를 개방하는 정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누르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토출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누름버튼(14)을 계속 눌러서 수평부재(130)의 쐐기홈(132)이 스토퍼(15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스토퍼(150)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쐐기홈(132)으로 삽입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이중 코크의 개방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를 누른 상태에서 누름버튼(14)을 끝까지 눌러주면, 제 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150)가 수평부재(130)의 쐐기홈(132)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14)에서 손을 떼어도 수평부재(130)가 스토퍼(150)에 의하여 좌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많은 양의 온수를 취수하고 싶은 경우 누름버튼(14)을 끝까지 눌러 스토퍼에 의하여 고정되게 하면 개방된 상태로 잠금이 이루어져 누름버튼(14)을 누르지 않고도 취수를 할 수 있게 된다.
원하는 양만큼 취수한 후, 코크를 다시 잠그고 싶을 때에는 레버의 누름을 해제하면 된다. 레버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수직부재(140)가 상승한 후 수평부재(130)가 좌측으로 원복되어 개폐편(120)이 다시 입수구(115)를 폐쇄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이중 코크의 개방 잠금 상태의 해제 과정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이중 코크의 개방 잠금 상태의 해제 과정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레버의 누름을 해제하면, 레버와 연동하는 수직부재(140)가 제 1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으로 하강하게 된다. 수평부재(130)가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스토퍼(15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수직부재(140)가 하강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30)의 날개편(134) 전방을 경사돌기(143)가 가로막게 된다. 그리고, 수직부재(140)는 하강하면서 스토퍼(150)를 끌어 내리게 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50)가 쐐기홈(132)을 이탈하여 수평부재(130)의 좌측 이동을 더 이상 저지하지 않게 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스토퍼(150)가 쐐기홈(132)에서 완전히 분리되면 제 1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이 수평부재(130)를 좌측으로 밀게 되는데, 수평부재(130)의 날개편(134)에 형성된 경사면(135)과, 수직부재의 경사돌기(143)의 경사면이 맞닿아 있는 상태이므로, 제 1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으로 날개편(134)이 안쪽으로 오므라 들면서 수평부재(13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시 도 2 및 도 6의 단면도와 같이 개폐편(120)이 입수구(115)를 밀폐하는 상태로 복원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수평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수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수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의 레버를 누른 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이중 코크의 개방 잠금 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이중 코크의 개방 잠금 상태의 해제 과정을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이중 코크의 개방 잠금 상태의 해제 과정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 출수구 12 : 레버
14 : 누름버튼 110 : 밸브케이싱
112 : 밸브실 114 : 입수관
115 : 입수구 120 : 개폐편
124 : 제 1 탄성부재 130 : 수평부재
132 : 쐐기홈 134 : 날개편
135 : 경사면 140 : 수직부재
141 : 레버연결공 142 : 관통공
143 : 경사돌기 144 : 바닥판
145 : 스토퍼홀 148 : 제 2 탄성부재
150 : 스토퍼 151 : 수평판
152 : 수직돌기

Claims (6)

  1. 안전 코크의 외관을 형성하며 밸브실과 입수관으로 구획되고, 밸브실의 하단에 출수구를 구비하며, 전면에 누름스위치를 구비하고, 상부에 레버가 연결되는 밸브케이싱;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며, 제 1 탄성부재에 의하여 입수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개폐편;
    상기 밸브실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중앙부 저면에 전면이 경사지고 후면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쐐기홈;
    상기 수평부재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날개편;
    상기 밸브실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제 2 탄성부재에 의하여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는 수직부재;
    상기 수평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수직부재의 관통공 하부 바닥판에 형성되는 스토퍼홀;
    상기 수직부재의 바닥판에 대응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중앙에 상기 스토퍼홀에 대응하여 전면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수직돌기를 포함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상기 바닥판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탄성부재; 및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형상되어 수직부재가 상승한 경우 상기 날개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가 조작되어 상기 수직부재가 상승한 경우에만 상기 누름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개폐편이 개방되어 출수되고,
    상기 수평부재가 개폐편을 개방위치로 완전히 이동시키면, 상기 스토퍼가 상승하여 상기 수평부재를 개방위치에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바닥판의 양측과, 상기 스토퍼의 수평판의 양측에 연결편을 형성하여, 상기 제 3 탄성부재가 상기 연결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편은 단부에 입수구를 밀폐할 수 있는 탄성재질의 패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은 수평부재 몸체와의 사이에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단부와, 상기 관통공의 경사돌기는 서로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각각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1020080047111A 2008-05-21 2008-05-21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10089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111A KR100896798B1 (ko) 2008-05-21 2008-05-21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111A KR100896798B1 (ko) 2008-05-21 2008-05-21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798B1 true KR100896798B1 (ko) 2009-05-12

Family

ID=4086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111A KR100896798B1 (ko) 2008-05-21 2008-05-21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7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8266A (zh) * 2013-02-28 2015-10-28 株式会社宇宙生命 饮水机
KR20150004585U (ko) * 2014-06-16 2015-12-24 이성주 정수기용 안전밸브 어셈블리
KR101726831B1 (ko) * 2015-11-10 2017-04-13 (주)원봉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534A (ko) * 2001-07-18 2003-01-29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KR200344659Y1 (ko)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200390713Y1 (ko) * 2005-04-26 2005-07-22 김영돈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20060114955A (ko) * 2005-05-03 2006-11-08 이성주 정수기용 온수코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534A (ko) * 2001-07-18 2003-01-29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KR200344659Y1 (ko)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200390713Y1 (ko) * 2005-04-26 2005-07-22 김영돈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20060114955A (ko) * 2005-05-03 2006-11-08 이성주 정수기용 온수코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8266A (zh) * 2013-02-28 2015-10-28 株式会社宇宙生命 饮水机
KR20150004585U (ko) * 2014-06-16 2015-12-24 이성주 정수기용 안전밸브 어셈블리
KR200482791Y1 (ko) * 2014-06-16 2017-03-22 이성주 정수기용 안전밸브 어셈블리
KR101726831B1 (ko) * 2015-11-10 2017-04-13 (주)원봉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36769A1 (en) Microwave pressure cooker
EP3081510B1 (en) Bottle vacuum sealing device
KR100896798B1 (ko)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20100078571A (ko)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KR100919089B1 (ko)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US20190113151A1 (en) Safety faucet for hot water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KR20100107640A (ko) 온수 취출 장치
KR100651868B1 (ko) 체크 밸브
KR101783649B1 (ko) 냉온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안전 코크
JP5387608B2 (ja) 片開きボトル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JP7050988B1 (ja) 容器
KR20230103288A (ko) 냉온수기용 온수코크 안전장치
JPS6024Y2 (ja) 密栓の給湯装置
KR200188018Y1 (ko)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CN214230772U (zh) 容器
KR101920464B1 (ko) 진공포장장치
KR102035518B1 (ko)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KR20030017925A (ko) 자폐식 수도전
KR100588600B1 (ko) 안전 코크
CN110870687B (zh) 烹饪器具
CN108338656B (zh) 烹饪器具
KR200482791Y1 (ko) 정수기용 안전밸브 어셈블리
CN116406914A (zh) 一种锁扣联动排气的常闭式杯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