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151B1 - 음료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151B1
KR102307151B1 KR1020140121400A KR20140121400A KR102307151B1 KR 102307151 B1 KR102307151 B1 KR 102307151B1 KR 1020140121400 A KR1020140121400 A KR 1020140121400A KR 20140121400 A KR20140121400 A KR 20140121400A KR 102307151 B1 KR102307151 B1 KR 102307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beverage
hot water
valve rod
extra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688A (ko
Inventor
정희도
홍영훈
송민섭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1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추출부; 및 상기 음료 캡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압력의 온수가 이동하는 제1 유로 및 일측이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를 구비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소정 압력의 온수가 상기 제1 유로에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추출 장치{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추출 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음료 추출 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분말이 저장된 음료 캡슐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추출 장치에서는 온수공급원으로부터 소정 압력의 온수를 음료 캡슐에 공급하여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면 음료가 생성된다. 즉, 음료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 추출 장치로부터 음료가 추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음료 추출 장치에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이 포함된다. 그리고, 장착 공간에 음료 캡슐을 장착하고 장착 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음료 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를 공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를 추출한다. 그리고, 음료 추출 후에는 음료 캡슐이나 장착 공간의 압력을 낮추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음료추출후에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어 주기 위해서, 종래에는 온수탱크 등의 온수공급원에 구비된 히터의 출력을 낮추거나 음료추출 중 또는 음료 추출 후에 장착 공간의 밀폐상태를 해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음료 캡슐이나 장착 공간의 압력을 원하는 압력으로 낮출 수 없거나 추출된 음료가 음료 캡슐이나 장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음료 추출 장치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음료 추출 후에 음료 캡슐 또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는 음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추출부 및 상기 음료 캡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압력의 온수가 이동하는 제1 유로 및 일측이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를 구비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소정 압력의 온수가 상기 제1 유로에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밀폐되거나 개방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된 밸브본체, 상기 제2 유로 내에 구비된 밸브로드 및 상기 밸브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로드에는 상기 밸브로드를 관통하는 유체이동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1 유로가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제1 하우징은 온수 공급관을 통해 상기 음료 캡슐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유로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밸브로드의 직경은 상기 제2 유로의 직경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밸브로드를 상기 제1 유로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제1 유로에 상기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될 때, 상기 밸브로드가 상기 제1 유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제1 유로에 상기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밸브로드의 일측이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연통되는 부분을 막을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유체이동관의 일측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연통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유체이동관의 타측은 상기 제2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유체이동관의 일측의 직경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연통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유체이동관의 일측의 직경은 상기 유체이동관의 타측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추출 후에 음료 캡슐 또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케이스와 밸브부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 제공되는 밸브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 제공되는 밸브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음료 추출 시의 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음료 추출 후의 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음료 추출 시의 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음료 추출 후의 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케이스와 밸브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는 추출부(200), 개폐부(300), 링크부(400), 케이스(500) 및 밸브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추출부(200)에는 장착 공간(MS)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 공간(MS)에는 음료 캡슐(C)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추출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장착 공간(MS)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추출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경우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수 있고, 상기 개폐부(300)를 열 경우 상기 장착 공간(MS)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MS)에 상기 음료 캡슐(C)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 공간(C)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300)를 통해 고압의 온수가 상기 음료 캡슐(C)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경우 제1 천공부(240)에 의하여 상기 음료 캡슐(C)이 천공되며, 이를 통해 상기 음료 캡슐(C)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료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는 상기 추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폐부(300)가 열리지 않고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링크부(40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500)는 상기 추출부(200) 및 상기 링크부(400)를 내부에 수용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부(200)는 바디(210), 홀더(220) 및 토출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10)에는 상기 홀더(22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211)이 제공되며, 상기 안착홈(211)에 상기 홀더(22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20)에는 상기 장착 공간(MS)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장착 공간(MS)에는 상기 음료 캡슐(C)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장착 공간(MS)은 상기 음료 캡슐(C)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음료 캡슐(C)이 상기 장착 공간(MS)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상기 장착 공간(MS)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11)의 바닥면과 상기 홀더(220)의 바닥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출홀(213, 221)이 관통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음료 캡슐(C)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재(230)는 상기 바디(2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구(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상기 안착홈(211)의 바닥면과 상기 홀더(220)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배출홀(213, 221)을 통해 상기 토출부재(230)에 제공되며, 상기 음료는 상기 토출구(2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재(230)에는 삽입홀(23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233)에는 상기 제1 천공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233)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천공부(240)는 상기 삽입홀(233)의 형상과 대응되는 스토퍼(241)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홀(233)은 상기 제1 천공부(240)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추출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장착 공간(MS)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폐부(300)는 덮개(310) 및 레버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310)는 상기 레버부재(32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320)와 연동하여 회전하여 상기 장착 공간(MS)의 개방된 상부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거나, 상기 장착 공간(MS)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덮개(310)가 상기 레버부재(320)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덮개(310)는 상기 레버부재(3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310)와 상기 레버부재(3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310)와 상기 레버부재(320)는 연결핀(P)에 의해서 상기 바디(2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덮개(310)와 상기 레버부재(320)는 상기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레버부재(32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레버부재(320)와 함께 상기 덮개(3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320)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가 상기 덮개(310)에 의해서 닫히도록 상기 레버부재(320)와 함께 상기 덮개(31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료 캡슐(C)이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때,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된 상기 음료 캡슐(C)의 상부를 천공하도록 상기 덮개(310)에는 제2 천공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천공부(311)는 끝부분이 날카롭게 구성되어 상기 음료 캡슐(311)을 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310)와 상기 제2 천공부(311)에는 서로 연통되는 온수 공급 유로(310a, 311a)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 공급 유로(310a,, 311a)를 통해 상기 음료 캡슐(C)에 고압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400)는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폐부(300)가 열리지 않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링크부(400)는 제1 링크부재(410), 제2 링크부재(420) 및 제3 링크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일측은 상기 레버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일측은 상기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일측은 상기 덮개(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타측과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링크부재(410), 상기 제2 링크부재(4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430)는 상기 개폐부(30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부재(3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타측이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타측이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타측이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료 캡슐(C)로부터 음료를 추출한 뒤에 상기 음료 캡슐(C) 또는 상기 음료 캡슐(C)이 장착되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압력을 낮추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 제공되는 밸브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 제공되는 밸브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음료 추출 시의 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음료 추출 후의 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음료 추출 시의 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음료 추출 후의 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음료 추출 시에 상기 밸브부(600)는 밀폐된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된 상기 음료 캡슐(C)에 고압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추출 후에 상기 밸브부(600)는 상기 음료 캡슐(C) 또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추출 후에 상기 음료 캡슐(C) 또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밸브부(600)는 밸브본체(610), 밸브로드(620) 및 탄성 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본체(610)는 제1 하우징(611) 및 제2 하우징(6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하우징(611)과 상기 제2 하우징(612)은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611)과 상기 제2 하우징(612) 사이를 밀봉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러버부재(64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브본체(610)의 일측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케이스(5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본체(610)의 타측에는 배출구(613)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613)가 상기 케이스(5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500)의 내부는 외부와 연통된 빈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하우징(611)이 상기 케이스(500)에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612)에 상기 배출구(6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본체(610)에는 서로 연통하는 제1 유로(611a) 및 제2 유로(612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611a)는 고압의 온수가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음료 추출 시에 상기 제1 유로(611a)에 고압의 온수가 공급되면, 상기 고압의 온수는 상기 제1 유로(611a)와 연결된 온수 공급관(T)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 공급관(T)에 유입된 상기 고압의 온수는 상기 온수 공급관(T)에 연결된 상기 온수 공급 유로(310a, 311a)를 통하여 상기 음료 캡슐(C)에 제공되어 음료가 추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유로(611a)는 상기 제2 유로(612a)와 연통되므로, 상기 고압의 온수는 상기 제2 유로(612a)에도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612a)에는 상기 밸브로드(620) 및 상기 탄성 부재(6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로드(620)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그 직경은 상기 제2 유로(612a)의 직경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밸브로드(620)는 상기 제2 유로(612a) 내에서 상기 탄성 부재(63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630)는 상기 밸브로드(620)를 상기 제1 유로(611a)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로(611a)와 상기 제2 유로(612a)가 연통되는 부분은 상기 밸브로드(620)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밸브로드(620)에 의하여 상기 제2 유로(612a)의 입구가 막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 유로(611a)에 상기 고압의 온수가 유입되면, 상기 고압의 온수는 상기 밸브로드(620)를 상기 배출구(613)를 향하여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밸브로드(620)가 상기 탄성 부재(630)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상기 배출구(613)를 향하여(즉, 상기 제1 유로(61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밸브로드(620)는 상기 배출구(613)를 향하여 이동하다가 상기 배출구(613)와 밀착되어 상기 배출구(613)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압의 온수는 압력이 저하되지 않고 고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유로(611a)와 연결된 상기 온수 공급관(T)을 통하여 상기 음료 캡슐(C)에 제공될 수 있다.
음료 추출 후에는 상기 제1 유로(611a)에 고압의 온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2 유로(612a) 내에서 상기 배출구(613)를 밀폐하고 있던 상기 밸브로드(620)가 상기 탄성 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유로(611a)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유로(611a)와 상기 제2 유로(612a)가 연통되는 부분은 상기 밸브로드(620)에 의하여 다시 닫히게 된다.
음료 추출 후에 상기 음료 캡슐(C) 또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되면, 상기 음료 캡슐(C) 또는 상기 장착 공간(MS)에 남아있던 음료나 증기 등의 유체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온수 공급관(T)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온수 공급관(T)에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 유로(611a) 내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유로(611a) 내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밸브로드(620)를 통해 상기 배출구(613)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밸브로드(620)에는 상기 밸브로드(620)를 관통하는 유체이동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이동관(621)의 일측은 상기 밸브로드(620)에서 상기 제1 유로(611a)와 상기 제2 유로(612a)가 연통되는 부분을 막고 있던 부분(즉, 상기 제2 유로(612a)의 입구)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동관(621)의 타측은 상기 제2 유로(612a) 내에 배치된 상기 밸브로드(62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로(611a)에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체이동관(621)을 통해 상기 제2 유로(612a)에 유입되며, 상기 배출구(613)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음료 캡슐(C) 또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유로(612a)의 입구를 막고 있는 상기 밸브로드(620)에는 상기 유체이동관(6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료 추출 시에 상기 제1 유로(611a)에 고압의 온수가 유입될 때, 상기 고압의 온수가 상기 밸브로드(620)를 밀지 못하고 상기 유체이동관(621)을 통해 상기 제2 유로(612a)에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유로(612a)의 입구의 직경보다 상기 유체이동관(621)의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이동관(621)의 일측의 직경보다 타측의 직경이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추출 시에 상기 고압의 온수가 상기 제1 유로(611a)에 유입될 때, 상기 고압의 온수가 상기 유체이동관(621)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유체이동관(621)의 입구측의 직경보다 출구측의 직경이 더 작으므로 여전히 상기 고압의 온수는 상기 밸브로드(620)를 상기 배출구(613)를 향하여 밀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추출 시에 압력의 저하없이 상기 고압의 온수가 상기 밸브부(600)와 연결된 상기 온수 공급관(T)을 통해 상기 음료 캡슐(C)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추출 후에는 상기 음료 캡슐(C) 또는 상기 장착 공간(MS)에 남아있던 음료나 증기 등의 유체가 상기 밸브부(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음료 캡슐(C) 또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추출 후에 음료 캡슐 또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200: 추출부 210: 바디
220: 홀더 230: 배출부재
240: 제1 천공부 300: 개폐부
310: 덮개 311: 제2 천공부
320: 레버부재 400: 링크부
410: 제1 링크부재 420: 제2 링크부재
430: 제3 링크부재 500: 케이스
600: 밸브부 610: 밸브본체
611: 제1 하우징 620: 제2 하우징
611a: 제1 유로 612a: 제2 유로
620: 밸브로드 630: 탄성 부재
640: 러버부재

Claims (13)

  1.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추출부; 및
    상기 음료 캡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압력의 온수가 이동하는 제1 유로 및 일측이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를 구비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소정 압력의 온수가 상기 제1 유로에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밀폐되거나 개방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된 밸브본체;
    상기 제2 유로 내에 구비된 밸브로드; 및
    상기 밸브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로드에는 상기 밸브로드를 관통하는 유체이동관이 형성되는 음료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1 유로가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온수 공급관을 통해 상기 음료 캡슐과 연결되는 음료 추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유로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배출구를 구비하는 음료 추출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드의 직경은 상기 제2 유로의 직경과 대응되는 음료 추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밸브로드를 상기 제1 유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음료 추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에 상기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될 때, 상기 밸브로드가 상기 제1 유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음료 추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에 상기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밸브로드의 일측이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연통되는 부분을 막는 음료 추출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동관의 일측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연통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유체이동관의 타측은 상기 제2 유로에 연결되는 음료 추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동관의 일측의 직경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연통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음료 추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동관의 일측의 직경은 상기 유체이동관의 타측의 직경보다 큰 음료 추출 장치.
KR1020140121400A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KR102307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400A KR102307151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400A KR102307151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688A KR20160031688A (ko) 2016-03-23
KR102307151B1 true KR102307151B1 (ko) 2021-10-05

Family

ID=5564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400A KR102307151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1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9926A (zh) * 2018-12-04 2019-02-19 宁波圣莱达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兑冲饮品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1263A (ja) * 2007-03-23 2010-06-24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減圧開口部を有する穴あけプレートを備えた飲料材料カプセ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1154B (en) * 2011-05-24 2013-07-10 Kraft Foods R & D Inc Beverage/food product prepar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1263A (ja) * 2007-03-23 2010-06-24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減圧開口部を有する穴あけプレートを備えた飲料材料カプセ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688A (ko)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623B1 (ko) 캡슐커피 추출장치
KR101759848B1 (ko)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KR102292862B1 (ko)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100493428C (zh) 包括冲泡室和减压部件的饮料制作装置
KR102156144B1 (ko) 음료추출장치
EP3078308B1 (en) Coffee extraction device
KR102064177B1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WO2005096829A3 (en) Beverage brewing system
EP3076057B1 (en) Two-way pressure relief valve
JP2019515226A (ja) 流体制御用ソレノイドバルブ
US7559273B2 (en) Substance-extraction device and machine for producing drinks
EP2783609B1 (en) Pressure relief valve
WO2011111287A1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CN102083346A (zh) 饮料冲泡装置
CN204583523U (zh) 防残留水结构
JP6682542B2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40126793A (ko) 음료캡슐의 음료배출구조
CN110662712B (zh) 具有压力平衡阀的分配头
KR102292864B1 (ko)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292863B1 (ko) 음료 추출 장치
KR101326786B1 (ko) 캡슐과의 밀착성 개선을 위한 캡슐 추출장치
KR102283707B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탄산수 공급용 밸브 어셈블리
KR200439375Y1 (ko) 누수방지수단이 구비된 에어포트
JP2006263175A (ja) 飲料抽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