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623B1 - 캡슐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캡슐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623B1
KR102449623B1 KR1020150139368A KR20150139368A KR102449623B1 KR 102449623 B1 KR102449623 B1 KR 102449623B1 KR 1020150139368 A KR1020150139368 A KR 1020150139368A KR 20150139368 A KR20150139368 A KR 20150139368A KR 102449623 B1 KR102449623 B1 KR 102449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auxiliary
capsule
extrac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026A (ko
Inventor
정웅
정희도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6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4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a cartridge, e.g. having grooves or protrusions to separat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캡슐커피 추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는 온수공급원에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되고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메인추출유닛; 및 분말상의 커피가 담긴 커피캡슐이 밀폐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장착되며 커피캡슐에 온수가 공급되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보조추출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추출유닛은 추출방식이 서로 다른 커피캡슐이 각각 밀폐 삽입되도록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 중 하나의 보조추출유닛이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장착되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캡슐커피 추출장치{CAPSUL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캡슐의 추출방식에 관계없이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캡슐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캡슐커피 추출장치는 분말상의 커피가 담긴 커피캡슐에 온수를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캡슐커피 추출장치는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정수기 등의 장치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커피캡슐의 구성에 따라 추출방식이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커피캡슐의 일측이 천공되어 온수가 공급되고 커피캡슐 내의 압력이 소정의 추출압력이 되면 타측이 찢어져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캡슐이 있으며, 일측과 타측이 각각 천공되며 천공된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로 온수가 공급되고 다른 하나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캡슐이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추출방식이 다른 커피캡슐을 하나의 캡슐커피 추출장치에서 사용하지 못하였다. 즉, 커피캡슐의 추출방식에 따라 이에 알맞은 다른 캡슐커피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여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커피캡슐의 추출방식에 관계없이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하나의 캡슐커피 추출장치로 다양한 추출방식의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캡슐커피 추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는 온수공급원에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되고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메인추출유닛; 및 분말상의 커피가 담긴 커피캡슐이 밀폐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장착되며 커피캡슐에 온수가 공급되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보조추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추출유닛은 추출방식이 서로 다른 커피캡슐이 각각 밀폐 삽입되도록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 중 하나의 보조추출유닛이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장착되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며, 상기 메인추출유닛은 상기 보조추출유닛이 장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커피배출구가 구비되는 메인유닛본체;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보조추출유닛이 장착되면 상기 보조추출유닛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메인유닛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온수공급원에 연결되는 온수공급구가 구비되는 메인유닛덮개; 및 상기 메인유닛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유닛덮개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메인유닛덮개에 연결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은 제2보조추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보조추출유닛은, 커피캡슐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유입구멍이 형성된 제2보조유닛본체; 커피캡슐이 통과하여 위치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연통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어, 커피캡슐이 상기 삽입공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2안착보조부재; 상기 연통구멍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2보조유닛본체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구가 연결되는 제2온수연결구가 형성되는 제2보조유닛덮개; 커피캡슐의 상면을 천공하여 온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온수연결구에 구비되는 제2천공부재; 상기 제2보조유닛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며 이동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보조유닛본체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제2커피배출부재; 상기 이동구멍 및 상기 제2유입구멍을 통과하여 커피캡슐의 하면을 천공하도록 상기 제2커피배출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천공부재; 상기 제3천공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3천공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3천공부재가 이동되도록,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2커피배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은 제1보조추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조추출유닛에는 일측이 천공되어 온수가 공급되고 소정의 추출압력이 되면 타측이 찢어져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캡슐이 밀폐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추출유닛에는 커피캡슐이 거꾸로 밀폐되게 삽입되며, 거꾸로 위치되어 위를 향하는 커피캡슐의 하면이 천공되고 소정의 추출압력이 되면 아래를 향하는 커피캡슐의 상면이 찢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조추출유닛은 커피캡슐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된 제1보조유닛본체; 삽입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커피캡슐이 안착되는 안착구멍이 형성되어 커피캡슐이 삽입공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1안착보조부재; 안착구멍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제1보조유닛본체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위를 향하는 커피캡슐의 하면을 천공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제1보조유닛덮개; 및 제1보조유닛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며 제1보조유닛본체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제1커피배출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유닛본체의 하면에는 커피캡슐에서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제1커피배출부재에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제1유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구멍의 형상은 커피캡슐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유닛덮개에는 메인추출유닛에 구비되는 온수공급구가 연결되는 제1온수연결구가 구비되며, 제1온수연결구에는 위를 향하는 커피캡슐의 하면을 천공하는 제1천공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조유닛덮개에는 안착구멍의 상부를 밀봉하는 제1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피배출부재에는 메인추출유닛에 구비되는 커피배출구에 연결되는 제1커피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조유닛본체에 구비되어 제1보조추출유닛이 메인추출유닛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하는 제1장착보조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2보조유닛덮개에는 연통구멍의 상부를 밀봉하는 제2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커피배출부재에는 메인추출유닛에 구비되는 커피배출구에 연결되는 제2커피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레버부재에 연결되는 링크부재에 포함되는 연결샤프트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보조유닛본체에 구비되어 제1보조추출유닛이 메인추출유닛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하는 제2장착보조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메인유닛본체와 메인유닛덮개 및 레버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일측은 메인유닛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연결샤프트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부재; 일측은 메인유닛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링크부재; 및 일측은 레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3링크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유닛본체에는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에 포함되는 제3천공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는 연결샤프트가 통과하여 이동하는 장공의 작동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캡슐의 추출방식에 관계없이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캡슐커피 추출장치로 다양한 추출방식의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추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메인추출유닛과 제1보조추출유닛 및 제2보조추출유닛을 각각 나타낸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메인추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메인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보조추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보조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2보조추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2보조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과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보조추출유닛에 커피캡슐을 밀폐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추출유닛에 장착한 후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2보조추출유닛에 커피캡슐을 밀폐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추출유닛에 장착한 후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메인추출유닛과 제1보조추출유닛 및 제2보조추출유닛을 각각 나타낸다.
도14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제2보조출유닛에 커피캡슐을 밀폐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추출유닛에 장착한 후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캡슐커피 추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일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메인추출유닛과 제1보조추출유닛 및 제2보조추출유닛을 각각 나타낸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메인추출유닛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메인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보조추출유닛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보조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2보조추출유닛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2보조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과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보조추출유닛에 커피캡슐을 밀폐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추출유닛에 장착한 후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2보조추출유닛에 커피캡슐을 밀폐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추출유닛에 장착한 후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추출유닛(200)과 보조추출유닛(300,40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추출유닛
메인추출유닛(200)은 온수탱크 등의 온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할 바와 같이, 메인추출유닛(200)에 장착되는 보조추출유닛(300,400)에 밀폐되게 삽입되며 분말상의 커피(CG)가 담긴 커피캡슐(CC)에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메인추출유닛(200)에서는 액상의 커피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캡슐(CC)에 온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분말상의 커피(CG)가 액상의 커피로 추출되면,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메인추출유닛(2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추출유닛(200)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유닛본체(210), 메인유닛덮개(220) 및, 레버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닛본체(210)에는 상부가 개방된 장착공간(SI)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공간(SI)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보조추출유닛(300,400)이 삽입되어 도8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추출유닛(300,400)이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에 장착될 수 있다.
메인유닛본체(210)에는 커피배출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커피배출구(211)에는 커피캡슐(CC)로부터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보조추출유닛(300,400)의 후술할 제1커피연결구(341) 또는 제2커피연결구(441)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상의 커피가 제1커피연결구(341) 또는 제2커피연결구(441)로부터 커피배출구(211)에 유입되어 커피배출구(211)를 통해 액상의 커피가 배출될 수 있다.
메인유닛본체(210)의 커피배출구(211)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외부커피배출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된 액상의 커피는 외부커피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메인유닛덮개(220)는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유닛덮개(220)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된 한 쌍의 덮개회전연결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닛본체(210)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된 한 쌍의 본체회전연결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회전연결부(222)의 연결구멍(H)과 본체회전연결부(213)의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어, 메인유닛덮개(220)가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유닛덮개(220)가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메인유닛덮개(220)는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에 보조추출유닛(300,400)이 장착되면, 회전에 의해서 도9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추출유닛(300,4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메인유닛덮개(220)에는 온수공급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온수공급구(221)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온수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공급구(221)에는 원수공급원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에 보조추출유닛(300,400)이 장착되고 메인유닛덮개(220)가 회전에 의해서 보조추출유닛(300,400)의 상부를 덮었을 때, 온수공급구(221)는 보조추출유닛(300,400)의 후술할 제1온수연결구(331) 또는 제2온수연결구(4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구(221)에 공급된 온수가 보조추출유닛(300,400)에 밀폐되게 삽입된 커피캡슐(CC)에 공급될 수 있다.
레버부재(230)는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부재(230)는 메인유닛덮개(220)와 함께 회전회도록 메인유닛덮개(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가 레버부재(230)를 회전시키면 메인유닛덮개(22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230)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된 레버회전연결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닛본체(210)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회전연결부(231)의 연결구멍(H)과 메인유닛본체(210)의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어, 레버부재(230)가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레버부재(230)가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레버부재(230)와 메인유닛덮개(220)가 함께 회전하도록 메인추출유닛(200)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유닛본체(210)와 메인유닛덮개(220) 및 레버부재(230)를 연결하는 링크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240)는 한 쌍의 제1링크부재(241), 한 쌍의 제2링크부재(242) 및, 한 쌍의 제3링크부재(2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링크부재(241)의 일측, 예컨대 제1링크부재(241)의 상부는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링크부재(241)의 일측에는 연결돌기(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닛본체(210)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링크부재(241)의 연결돌기(C)가 메인유닛본체(210)의 연결구멍(H)에 삽입되어 제1링크부재(241)의 일측이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링크부재(241)의 일측이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 쌍의 제1링크부재(241)의 타측, 예컨대 제1링크부재(241)의 하부에는 연결샤프트(244)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링크부재(241)의 타측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되고 연결샤프트(244)가 제1링크부재(241)의 연결구멍(H)에 삽입되어, 연결샤프트(244)가 제1링크부재(24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링크부재(242)의 일측, 예컨대 제2링크부재(242)의 상부는 메인유닛덮개(2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링크부재(242)의 일측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되고 메인유닛덮개(220)에는 연결돌기(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링크부재(242)의 일측의 연결구멍(H)에 메인유닛덮개(220)의 연결돌기(C)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제2링크부재(242)의 일측이 메인유닛덮개(2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링크부재(242)의 일측이 메인유닛덮개(2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 쌍의 제2링크부재(242)의 타측, 예컨대 제2링크부재(242)의 하부는 연결샤프트(2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링크부재(242)의 타측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되고 연결샤프트(244)가 제2링크부재(242)의 타측의 연결구멍(H)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제2링크부재(242)의 타측이 연결샤프트(2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링크부재(242)의 타측이 연결샤프트(2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 쌍의 제3링크부재(243)의 일측, 예컨대 제3링크부재(243)의 상부는 레버부재(2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3링크부재(243)의 일측에는 연결돌기(C)가 형성되고 레버부재(230)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링크부재(243)의 일측의 연결돌기(C)가 레버부재(230)의 연결구멍(H)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제3링크부재(243)의 일측이 레버부재(2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3링크부재(243)의 일측이 레버부재(2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 쌍의 제3링크부재(243)의 타측, 예컨대 제3링크부재(243)의 하부는 연결샤프트(2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3링크부재(243)의 타측에는 연결구멍(H)이 형성되고 연결샤프트(244)가 제3링크부재(243)의 타측의 연결구멍(H)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제3링크부재(243)의 타측이 연결샤프트(2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3링크부재(243)의 타측이 연결샤프트(2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보조추출유닛
보조추출유닛(300,400)은 분말상의 커피(CG)가 담긴 커피캡슐(CC)이 밀폐되게 삽입된 상태로 메인추출유닛(20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커피캡슐(CC)에 온수가 공급되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추출유닛(300,400)은 도8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추출유닛(200)의 레버부재(230)에 의해서 메인유닛덮개(220)가 위로 회전된 상태에서,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장착공간(SI)에 삽입되어 장착공간(SI)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추출유닛(300,400)이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본체(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9와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덮개(220)가 보조추출유닛(300,400)을 덮도록 레버부재(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인유닛덮개(220)가 보조추출유닛(300,400)을 덮은 상태에서,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덮개(220)의 온수공급구(221)를 통해 보조추출유닛(300,400)에 밀폐되게 삽입된 커피캡슐(CC)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캡슐(CC)에 담긴 분말상의 커피(CG)가 액상의 커피로 추출될 수 있다.
보조추출유닛(300,400)은 추출방식이 서로 다른 커피캡슐(CC)이 각각 밀폐 삽입되도록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300,400) 중 하나의 보조추출유닛(300,400)이 메인추출유닛(200)에 장착되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100)의 일시예에서는 커피캡슐(CC)의 추출방식에 관계없이 커피캡슐(CC)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100)의 일실시예 하나로 다양한 추출방식의 커피캡슐(CC)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추출할 수 있다.
제1보조추출유닛
제1보조추출유닛(300)에는 일측이 천공되어 온수가 공급되고 소정의 추출압력이 되면 타측이 찢어져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캡슐(CC)이 밀폐되게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조추출유닛(300)에서는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캡슐(CC)이 거꾸로 밀폐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조추출유닛(300)에서 커피캡슐(CC)의 하면은 위를 향하고 커피캡슐(CC)의 상면은 아래를 향하게 된다.
그리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꾸로 위치된 커피캡슐(CC)의 하면, 즉 위를 향하는 커피캡슐(CC)의 하면이 천공되어 커피캡슐(CC)에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피캡슐(CC)에 온수가 공급되어 커피캡슐(CC) 내의 압력이 소정의 추출압력이 되면 커피캡슐(CC)의 상면, 즉 아래를 향하는 커피캡슐(CC)의 상면이 찢어져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보조추출유닛(300)은 도4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유닛본체(310), 제1안착보조부재(320), 제1보조유닛덮개(330) 및, 제1커피배출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조유닛본체(310)에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공간(S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삽입공간(SS)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공간(SS)에 거꾸로 삽입될 수 있다.
제1보조유닛본체(3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제1유입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캡슐(CC)에서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제1보조유닛본체(310)의 복수개의 제1유입구멍(311)을 통해 후술할 제1커피배출부재(340)에 유입될 수 있다.
제1안착보조부재(320)는 삽입공간(SS)에 적어도 일부, 예컨대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안착보조부재(320)에는 커피캡슐(CC)이 안착되는 안착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구멍(321)의 형상은 커피캡슐(CC)에 대응되는 형상을 수 있다. 예컨대, 안착구멍(321)의 형상은 거꾸로 위치된 커피캡슐(CC)의 형상인 상협하광의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안착구멍(3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커피캡슐(CC)에 대응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유닛본체(310)의 삽입공간(SS)에 커피캡슐(CC)을 거꾸로 삽입한 상태에서, 제1안착보조부재(320)의 하부를 삽입공간(SS)에 삽입하면, 커피캡슐(CC)이 삽입공간(SS)에 안착될 수 있다.
제1안착보조부재(320)에는 제1손잡이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손잡이부(322)를 잡고 제1안착보조부재(3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보조유닛본체(310)와 제1안착보조부재(320) 사이에는 오링(O)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조유닛본체(310)와 제1안착보조부재(320) 사이로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보조유닛덮개(330)는 안착구멍(32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제1보조유닛본체(31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양측에 각각 연결구멍(H)이 형성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가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의 일측의 연결구멍(H)과 제1보조유닛덮개(330)에 형성된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의 일측이 제1보조유닛덮개(3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연결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의 타측의 연결구멍(H)과 제1보조유닛본체(310)에 형성된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의 타측이 제1보조유닛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보조유닛덮개(330)가 제1보조유닛본체(31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보조유닛덮개(330)가 제1보조유닛본체(31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보조유닛덮개(330)는 커피캡슐(CC)의 하면, 즉 거꾸로 삽입되어 위를 향하는 커피캡슐(CC)의 하면을 천공하여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1보조유닛덮개(330)에는 제1온수연결구(33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덮개(220)가 회전하여 제1보조유닛덮개(330)를 덮으면, 메인유닛덮개(220)의 온수공급구(221)가 제1보조유닛덮개(330)의 제1온수연결구(3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온수연결구(331)에는 제1천공부재(33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천공부재(332)는 제1온수연결구(331)에 끼워져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천공부재(332)가 제1온수연결구(331)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나사결합에 의해서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1천공부재(332)에는 제1온수연결구(331)와 연통되는 제1온수공급구멍(3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제1보조유닛본체(310)의 삽입구멍(SS)에 삽입되고 제1안착보조부재(320)에 의해서 안착된 상태에서, 제1보조유닛덮개(330)가 제1안착보조부재(320)의 안착구멍(321)의 상부를 덮으면, 제1보조유닛덮개(330)의 제1천공부재(332)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하면, 즉 거꾸로 삽입되어 위로 향하는 커피캡슐(CC)의 하면이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공급원으로부터 메인유닛덮개(220)의 온수공급구(221)로 온수가 공급되면, 온수가 제1보조유닛덮개(330)의 제1온수연결구(331)와 제1천공부재(332)의 제1온수공급구멍(332a) 및 커피캡슐(CC)의 천공된 하면을 통해 커피캡슐(CC)에 공급될 수 있다.
제1보조유닛덮개(330)에는 제1밀봉부재(3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보조유닛덮개(330)가 제1안착보조부재(320)의 안착구멍(321)의 상부를 덮었을 때, 제1보조유닛덮개(330)와 안착구멍(321)의 상부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제1보조추출유닛(300)에 밀폐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커피배출부재(340)는 제1보조유닛본체(3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피배출부재(340)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유닛본체(310)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제1커배출배출부재(340)에는 제1커피연결구(34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보조추출유닛(300)이 메인추출유닛(200)에 장착되었을 때, 제1커피연결구(341)는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본체(210)의 커피배출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커피캡슐(CC)에서 추출된 액상의 커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보조유닛본체(310)의 복수개의 제1유입구멍(311)을 통해 제1커피배출부재(34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커피배출부재(340)에 유입된 액상의 커피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피연결구(341)와 메인유닛본체(210)의 커피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제1보조추출유닛(300)은 제1장착보조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보조부재(350)는 제1보조유닛본체(3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조유닛본체(310)가 제1장착보조부재(35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으로, 제1장착보조부재(350)가 제1보조유닛본체(31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장착보조부재(350)에 의해서 제1보조추출유닛(300)이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장착보조부재(350)에 형성된 제1장착보조부(351)가 메인유닛본체(210)에 형성된 장착구멍(214)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제1보조추출유닛(400)이 움직이지 않도록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장착보조부재(35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보조유닛본체(310)에 구비되어 제1보조추출유닛(300)이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에 장착되도록 하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보조추출유닛
제2보조추출유닛(400)에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천공되며 천공된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로 온수가 공급되고 다른 하나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캡슐(CC)이 밀폐되게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보조출유닛(400)에는 커피캡슐(CC)이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은 위를 향하고 하면은 아래를 향하도록 밀폐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커피캡슐(CC)의 상면과 하면이 천공되고 상면으로 온수가 공급되고 하면으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보조추출유닛(400)은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조유닛본체(410), 제2안착보조부재(420), 제2보조유닛덮개(430) 및, 제2커피배출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보조유닛본체(410)에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공간(S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삽입공간(SS)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공간(SS)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보조유닛본체(410)의 하면에는 제2유입구멍(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구멍(411)을 통해 커피캡슐(CC)의 하면을 천공함과 함께 커피캡슐(CC)에서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후술할 제2커피배출부재(440)에 유입될 수 있다.
제2안착보조부재(420)에는 연통구멍(4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피캡슐(CC)이 연통구멍(421)을 통과하여 제2안착보조부재(42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연통구멍(421)은 삽입공간(SS)에 연통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연통구멍(421)을 통과하여 제2안착보조부재(4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안착보조부재(420)를 제2보조유닛본체(4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커피캡슐(CC)이 제2보조유닛본체(410)의 삽입공간(SS)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제2안착보조부재(420)에는 제2손잡이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손잡이부(422)를 잡고 제2안착보조부재(4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보조유닛본체(410)와 제2안착보조부재(420) 사이에는 오링(O)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보조유닛본체(410)와 제2안착보조부재(20) 사이로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보조유닛덮개(330)는 연통구멍(42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제2보조유닛본체(41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양측에 각각 연결구멍(H)이 형성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가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의 일측의 연결구멍(H)과 제2보조유닛덮개(430)에 형성된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의 일측이 제2보조유닛덮개(4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연결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의 타측의 연결구멍(H)과 제2보조유닛본체(410)에 형성된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2개의 선회연결부재(M)의 타측이 제2보조유닛본체(4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보조유닛덮개(430)가 제2보조유닛본체(41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보조유닛덮개(430)가 제2보조유닛본체(41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보조유닛덮개(430)는 커피캡슐(CC)의 상면을 천공하여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2보조유닛덮개(430)에는 제2온수연결구(43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덮개(220)가 회전하여 제2보조유닛덮개(430)를 덮으면, 메인유닛덮개(220)의 온수공급구(221)가 제2보조유닛덮개(430)의 제2온수연결구(4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온수연결구(431)에는 제2천공부재(43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천공부재(432)는 제2온수연결구(431)에 나사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천공부재(432)가 제2온수연결구(431)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천공부재(432)가 제2온수연결구(431)에 끼워져서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2천공부재(432)에는 제2온수연결구(431)와 연통되는 제2온수공급구멍(4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제2안착보조부재(420)에 의해서 제2보조유닛본체(410)의 삽입구멍(SS)에 안착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2보조유닛덮개(430)가 제2안착보조부재(420)의 연통구멍(421)의 상부를 덮으면, 제2보조유닛덮개(430)의 제2천공부재(432)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상면이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공급원으로부터 메인유닛덮개(220)의 온수공급구(221)로 온수가 공급되면, 온수가 제2보조유닛덮개(430)의 제2온수연결구(431)와 제2천공부재(432)의 제2온수공급구멍(432a) 및 커피캡슐(CC)의 천공된 상면을 통해 커피캡슐(CC)에 공급될 수 있다.
제2보조유닛덮개(430)에는 제2밀봉부재(4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보조유닛덮개(430)가 제2안착보조부재(420)의 연통구멍(421)의 상부를 덮었을 때, 제2보조유닛덮개(430)와 연통구멍(421)의 상부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제2보조추출유닛(400)에 밀폐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커피배출부재(440)는 캡슐커피(CC)의 하면을 천공하도록 제2보조유닛본체(4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피배출부재(440)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조유닛본체(410)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제2커배출배출부재(440)에는 제2커피연결구(44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보조추출유닛(400)이 메인추출유닛(200)에 장착되었을 때, 제2커피연결구(441)는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본체(210)의 커피배출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커피캡슐(CC)에서 추출된 액상의 커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보조유닛본체(410)의 제2유입구멍(411)을 통해 제2커피배출부재(44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커피배출부재(440)에 유입된 액상의 커피는 제2커피연결구(441)와 메인유닛본체(210)의 커피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제2커피배출부재(440)에는 제3천공부재(442)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천공부재(442)가 제2보조유닛본체(410)의 제2유입구멍(411)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캡슐(CC)의 하면을 천공할 수 있다.
제2커피배출부재(440)에는 제3천공부재(442)가 관통하여 이동하는 이동구멍(4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천공부재(442)는 탄성부재(444)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천공부재(442)에는 탄성부재(444)가 지지되는 지지부재(44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3천공부재(442)가 외력에 의해서 탄성부재(444)의 탄성력을 이기고 제2커피배출부재(440)의 이동구멍(443)과 제2보조유닛본체(410)의 제2유입구멍(411)을 통해 이동, 예컨대 상승하여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캡슐(CC)의 하면을 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제거되면 도10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천공부재(442)는 탄성부재(444)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 예컨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제3천공부재(442)는 제2커피배출부재(440)의 이동구멍(443)을 막아서 이동구멍(443)을 통해 액상의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커피배출부재(440)에는 작동부재(446)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작동부재(446)에 형성된 연결구멍(H)과 제2커피배출부재(440)에 형성된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어, 제2커피배출부재(440)에 작동부재(446)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커피배출부재(440)에 작동부재(446)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작동부재(446)에는 전술한 지지부재(445)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445)가 작동부재(446)의 일측에 끼워져서 작동부재(446)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445)가 작동부재(446)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작동부재(446)는 메인추출유닛(200)의 레버부재(230)의 회전에 의해서 제3천공부재(442)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작동부재(446)는 레버부재(230)에 연결되는 링크부재(240)의 연결샤프트(244)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부재(230)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회전된 상태에서 연결샤프트(244)는 작동부재(446)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445)에도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서 제3천공부재(442)는 탄성부재(444)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 예컨대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레버부재(230)가 아래로 회전되면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244)가 작동부재(446)에 형성된 작동턱(446a)에 걸리면, 작동부재(446)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부재(446)의 회전에 의해서 지지부재(445)에 외력이 가해져서, 제3천공부재(442)가 탄성부재(444)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 예컨대 상승하여 커피캡슐(CC)의 하면을 천공하게 된다.
또한, 레버부재(230)가 더 아래로 회전하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244)가 작동부재(446)의 작동턱(446a)을 넘어서 작동부재(446)를 따라 이동하여 작동부재(446)에 형성된 멈춤턱(446b)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지부재(44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서 제3천공부재(442)는 탄성부재(444)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 예컨대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덮개(220)가 메인유닛본체(210)에 장착된 제2보조추출유닛(400)의 상부를 덮도록 레버부재(230)가 회전하면서, 제3천공부재(442)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하면이 천공될 수 있다.
작동부재(446)는, 예컨대 대략 'ㄴ'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작동부재(446)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커피배출부재(44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에 의해서 제3천공부재(442)를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2보조추출유닛(400)은 제2장착보조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장착보조부재(450)는 제2보조유닛본체(4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보조유닛본체(410)가 제2장착보조부재(45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으로, 제2장착보조부재(450)가 제2보조유닛본체(41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장착보조부재(450)에 의해서 제2보조추출유닛(400)이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장착보조부재(450)에 형성된 제2장착보조부(451)가 메인유닛본체(210)에 형성된 장착구멍(214)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제2보조추출유닛(400)이 움직이지 않도록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장착보조부재(45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보조유닛본체(410)에 구비되어 제2보조추출유닛(400)이 메인유닛본체(210)의 장착공간(SI)에 장착되도록 하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이하, 도13 내지 도1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메인추출유닛과 제1보조추출유닛 및 제2보조추출유닛을 각각 나타낸다.
도14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제2보조출유닛에 커피캡슐을 밀폐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추출유닛에 장착한 후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의 일실시예와 제2보조추출유닛(400)의 제3천공부재(442)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212)가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13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보조추출유닛(400)의 제3천공부재(442)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212)는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유닛본체(210)에 형성된 연결구멍(H)과 작동부재(212)에 형성된 연결구멍(H)에 연결핀(P)이 삽입되어 작동부재(212)가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부재(212)가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다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작동부재(212)에는 연결샤프트(244)가 통과하며 장공인 작동구멍(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레버부재(230)의 회전함에 따라 연결샤프트(244)가 작동구멍(212a)에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작동부재(212)가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레버부재(230)가 위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244)가 작동구멍(212a)의 일측 단부로 이동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작동부재(212)가 제3천공부재(442)에 구비된 지지부재(445)에 외력을 가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3천공부재(442)는 탄성부재(444)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 예컨대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레버부재(230)가 아래로 회전하면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244)가 작동구멍(212a)의 중간쯤에 위치하면, 작동부재(212)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부재(212)의 회전에 의해서 지지부재(212)에 외력이 가해져셔, 제3천공부재(442)가 탄성부재(444)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 예컨대 상승하여 커피캡슐(CC)의 하면을 천공하게 된다.
또한, 레버부재(230)가 더 아래로 회전하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244)가 작동구멍(212a)의 타측 단부로 이동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작동부재(212)가 제3천공부재(442)에 구비된 지지부재(445)에 외력을 가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3천공부재(442)는 탄성부재(444)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 예컨대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메인추출유닛(200)의 메인유닛덮개(220)가 메인유닛본체(210)에 장착된 제2보조추출유닛(400)의 상부를 덮도록 레버부재(230)가 회전하면서, 제3천공부재(442)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하면이 천공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445)에 접촉하는 작동부재(212)의 부분에는 롤러부재(212b)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작동부재(212)가 지지부재(445)에 용이하게 외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재(212)와 작동구멍(212a)은 대략 'ㄴ'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작동부재(212)와 작동구멍(212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메인유닛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에 의해서 제3천공부재(442)를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커피 추출장치를 사용하면, 커피캡슐의 추출방식에 관계없이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하나의 캡슐커피 추출장치로 다양한 추출방식의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액상의 커피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캡슐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캡슐커피 추출장치 200 : 메인추출유닛
210 : 메인유닛본체 211 : 커피배출구
212, 446 : 작동부재 212a : 작동구멍
212b : 롤러부재 213 : 본체회전연결부
214 : 장착구멍 220 : 메인유닛덮개
221 : 온수공급구 222 : 덮개회전연결부
230 : 레버부재 231 : 레버회전연결부
240 : 링크부재 241 : 제1링크부재
242 : 제2링크부재 243 : 제3링크부재
244 : 연결샤프트 300 : 제1보조추출유닛
310 : 제1보조유닛본체 311 : 제1유입구멍
320 : 제1안착보조부재 321 : 안착구멍
322 : 제1손잡이부 330 : 제1보조유닛덮개
331 : 제1온수연결구 332 : 제1천공부재
332a : 제1온수공급구멍 333 : 제1밀봉부재
340 : 제1커피배출부재 341 : 제1커피연결구
350 : 제1장착보조부재 351 : 제1장착보조부
400 : 제2보조추출유닛 410 : 제2보조유닛본체
411 : 제2유입구멍 420 : 제2안착보조부재
421 : 연통구멍 422 : 제2손잡이부
430 : 제2보조유닛덮개 431 : 제2온수연결구
432 : 제2천공부재 432a : 제2온수공급구멍
433 : 제2밀봉부재 440 : 제2커피배출부재
441 : 제2커피연결구 442 : 제3천공부재
443 : 이동구멍 444 : 탄성부재
445 : 지지부재 446a : 작동턱
446b : 멈춤턱 450 : 제2장착보조부재
451 : 제2장착보조부 CC : 커피캡슐
CG : 분말상의 커피 SI : 장착공간
P : 연결핀 SS : 삽입공간
H : 연결구멍 C : 연결돌기
M : 선회연결부재 O : 오링

Claims (29)

  1. 온수공급원에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되고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메인추출유닛; 및
    분말상의 커피가 담긴 커피캡슐이 밀폐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장착되며 커피캡슐에 온수가 공급되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보조추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추출유닛은 추출방식이 서로 다른 커피캡슐이 각각 밀폐 삽입되도록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 중 하나의 보조추출유닛이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장착되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며,
    상기 메인추출유닛은
    상기 보조추출유닛이 장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커피배출구가 구비되는 메인유닛본체;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보조추출유닛이 장착되면 상기 보조추출유닛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메인유닛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온수공급원에 연결되는 온수공급구가 구비되는 메인유닛덮개; 및
    상기 메인유닛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유닛덮개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메인유닛덮개에 연결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은 제2보조추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보조추출유닛은,
    커피캡슐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유입구멍이 형성된 제2보조유닛본체;
    커피캡슐이 통과하여 위치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연통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어, 커피캡슐이 상기 삽입공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2안착보조부재;
    상기 연통구멍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2보조유닛본체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구가 연결되는 제2온수연결구가 형성되는 제2보조유닛덮개;
    커피캡슐의 상면을 천공하여 온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온수연결구에 구비되는 제2천공부재;
    상기 제2보조유닛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며 이동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보조유닛본체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제2커피배출부재;
    상기 이동구멍 및 상기 제2유입구멍을 통과하여 커피캡슐의 하면을 천공하도록 상기 제2커피배출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천공부재;
    상기 제3천공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3천공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3천공부재가 이동되도록,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2커피배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부재;
    를 포함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은 제1보조추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추출유닛에는 일측이 천공되어 온수가 공급되고 소정의 추출압력이 되면 타측이 찢어져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캡슐이 밀폐되게 삽입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추출유닛에는 커피캡슐이 거꾸로 밀폐되게 삽입되며, 거꾸로 위치되어 위를 향하는 커피캡슐의 하면이 천공되고 소정의 추출압력이 되면 아래를 향하는 커피캡슐의 상면이 찢어지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추출유닛은
    커피캡슐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된 제1보조유닛본체;
    상기 삽입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커피캡슐이 안착되는 안착구멍이 형성되어 커피캡슐이 상기 삽입공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1안착보조부재;
    상기 안착구멍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보조유닛본체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위를 향하는 커피캡슐의 하면을 천공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제1보조유닛덮개; 및
    상기 제1보조유닛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보조유닛본체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제1커피배출부재;
    를 포함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유닛본체의 하면에는 커피캡슐에서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상기 제1커피배출부재에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제1유입구멍이 형성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멍의 형상은 커피캡슐에 대응되는 형상인 캡슐커피 추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유닛덮개에는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구비되는 온수공급구가 연결되는 제1온수연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온수연결구에는 위를 향하는 커피캡슐의 하면을 천공하는 제1천공부재가 구비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유닛덮개에는 상기 안착구멍의 상부를 밀봉하는 제1밀봉부재가 구비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피배출부재에는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구비되는 커피배출구에 연결되는 제1커피연결구가 구비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유닛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보조추출유닛이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하는 제1장착보조부재; 를 더 포함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유닛덮개에는 상기 연통구멍의 상부를 밀봉하는 제2밀봉부재가 구비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피배출부재에는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구비되는 커피배출구에 연결되는 제2커피연결구가 구비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에 연결되는 링크부재에 포함되는 연결샤프트에 의해서 회전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유닛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보조추출유닛이 상기 메인추출유닛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하는 제2장착보조부재; 를 더 포함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25. 삭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본체와 메인유닛덮개 및 레버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 를 더 포함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일측은 상기 메인유닛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연결샤프트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부재;
    일측은 상기 메인유닛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링크부재; 및
    일측은 상기 레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3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본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보조추출유닛에 포함되는 제3천공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에는 상기 연결샤프트가 통과하여 이동하는 장공의 작동구멍이 형성되는 캡슐커피 추출장치.
KR1020150139368A 2015-10-02 2015-10-02 캡슐커피 추출장치 KR102449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68A KR102449623B1 (ko) 2015-10-02 2015-10-02 캡슐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68A KR102449623B1 (ko) 2015-10-02 2015-10-02 캡슐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026A KR20170040026A (ko) 2017-04-12
KR102449623B1 true KR102449623B1 (ko) 2022-09-30

Family

ID=5858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368A KR102449623B1 (ko) 2015-10-02 2015-10-02 캡슐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522B1 (ko) 2020-07-15 2023-08-03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KR102532689B1 (ko) 2020-07-15 2023-05-16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캡슐음료 추출장치
KR20220114369A (ko)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캡슐음료추출장치용 보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KR20220114370A (ko)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캡슐음료추출장치용 보관유닛
KR102610982B1 (ko) 2021-02-08 2023-12-08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KR20220114368A (ko)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캡슐음료추출장치용 캡슐수용부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KR102633794B1 (ko) * 2022-01-18 2024-02-0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캡슐 홀더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KR102633793B1 (ko) * 2022-01-18 2024-02-0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복수 종류의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KR20230168028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2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168029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3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40020576A (ko)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0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1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857B1 (ko) * 1991-07-05 2000-01-15 뷜르 로망 엘. 카트리지의 추출을 위한 탈착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6317A1 (de) * 2004-11-22 2006-05-24 Schifferle, René Getränke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Heissgetränks durch Aufbrühen und Extrahieren von in einer Kapsel abgepackten Substanzen
KR101323361B1 (ko) * 2011-12-29 2013-10-30 컨벡스코리아(주)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857B1 (ko) * 1991-07-05 2000-01-15 뷜르 로망 엘. 카트리지의 추출을 위한 탈착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026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623B1 (ko) 캡슐커피 추출장치
KR102064177B1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TWI558351B (zh) 具有移動飲料匣座之飲料形成裝置及方法
JP4231079B2 (ja) コーヒーをベースとした飲料を淹れるための装置
JP5198064B2 (ja) ブリューチャンバ及び圧力解放手段を有する飲料作製装置
KR101572956B1 (ko)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TW201350066A (zh) 具有匣保持器之飲料形成裝置及方法
TW200605829A (en) Beverage extraction assembly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particulate substance contained in a cartridge
TW200605938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WO2005096829A3 (en) Beverage brewing system
WO2005079639A3 (en) An insert, a machine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TW201400066A (zh) 具有啓動按鈕之飲料形成裝置及方法
KR102156144B1 (ko) 음료추출장치
TW201350065A (zh) 具有多部分飲料匣座之飲料形成裝置及方法
TW201400065A (zh) 具有飲料出口控制之飲料形成裝置及方法
KR20160031686A (ko)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50065577A (ko) 커피추출장치
KR102259986B1 (ko) 캡슐 홀더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KR100920237B1 (ko) 커피 추출 장치
KR102210192B1 (ko) 휴대용 커피추출기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KR101854864B1 (ko) 커피캡술용 포터블 커피추출기
KR20140126793A (ko) 음료캡슐의 음료배출구조
KR101289339B1 (ko) 음료 추출장치
KR20140074809A (ko)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