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848B1 -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848B1
KR101759848B1 KR1020167000848A KR20167000848A KR101759848B1 KR 101759848 B1 KR101759848 B1 KR 101759848B1 KR 1020167000848 A KR1020167000848 A KR 1020167000848A KR 20167000848 A KR20167000848 A KR 20167000848A KR 101759848 B1 KR101759848 B1 KR 10175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cup
control valv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501A (ko
Inventor
지안팡 송
이브 루시앵 위고 케레톤
Original Assignee
지안팡 송
이브 루시앵 위고 케레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2941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598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지안팡 송, 이브 루시앵 위고 케레톤 filed Critical 지안팡 송
Publication of KR2016002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8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operated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된 컵(1), 수압 본체(2), 및 커피 추출 본체(3)를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챔버(2)는 상기 컵(1)과 커피 추출 본체(3) 사이에 설치되며; 물 저장챔버(21), 급수통로(22) 및 배수통로(23)는 상기 수압 본체(2) 내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통로(22)가 상기 물 저장챔버(21)와 상기 컵(1)을 연통시키며; 상기 배수통로(23)와 연통되고 각종 커피포드(4)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챔버(31), 및 상기 수용챔버(31)와 연통되는 커피 유출통로(32)는 커피 추출 본체(3)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통로(23)는 상기 물 저장챔버(21) 및 수용챔버(31)와 연통되며; 급수 제어밸브(24)는 상기 급수통로(22) 내에 설치되며; 배수 제어밸브(25)는 상기 배수통로(23) 내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급수 제어밸브(24)가 상기 물 저장챔버(21) 외부로 이동할 때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 저장챔버(21) 내부로 이동할 때 상기 배수 제어밸브(25)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수압 동력 로드(26)는 상기 물 저장챔버(21) 내에 설치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여 휴대하기 편리하고 실외에서 커피를 타 마시는데 적용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PORTABLE MANUALLY-OPERATED COFFEE MAKER}
본 발명은 커피를 타 마시는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하기 편리하고 포드커피를 타 마시는데 사용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커피를 마시는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E.S.E 커피포드 및 각종 커피 캡슐 등과 같은 타 마시기가 편리한 커피포드가 출시되었는데, 이러한 커피포드는 원두를 커피가루로 연마한 후 작은 컵이나 팩에 밀봉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원두 또는 커피가루가 공기와 접촉하여 상하거나 산화되는 문제를 방지하였기 때문에, 커피의 맛이 아주 향기롭다. 기존의 포드커피머신은 모두 실내용으로서,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휴대하기 불편하여 실외에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기존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여 부피가 작고 휴대하기 편리한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은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된 컵; 컵과 커피 추출 본체 사이에 설치되고, 물 저장챔버, 급수통로와 배수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통로가 상기 물 저장챔버와 컵을 연통시키는 수압 본체; 내부에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되고 각종 커피포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챔버 및 상기 수용챔버와 연통되는 커피 유출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통로가 상기 물 저장챔버와 수용챔버를 연통시키고, 상기 급수통로 내에는 상기 컵으로부터 상기 물 저장챔버 내로 흐르는 물의 흐름과 차단을 제어하는 급수 제어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통로 내에는 상기 물 저장챔버로부터 상기 수용챔버 내로 흐르는 물의 흐름과 차단을 제어하는 배수 제어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 저장챔버 내에는 상기 물 저장챔버 외부로 이동할 때 상기 급수 제어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 저장챔버 내부로 이동할 때 상기 배수 제어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수압 동력 로드가 설치되어 있는 커피 추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커피 유출통로 내에는 상기 커피 유출통로를 흐르는 물의 흐름과 차단을 제어하는 커피 유출 제어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컵과 수압 본체 사이는 나사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수압 본체와 커피 추출 본체는 나사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수용챔버 윗측에는 커피포드 내로 삽입할 수 있는 물 주입 관통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 주입 관통부 내에는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되어 물을 커피포드 내로 인입하는 인입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챔버의 바닥부에는 상기 커피 유출통로와 연통되는 커피 배출통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피 배출통로는 상기 수용챔버의 밑바닥에 커피포드 내로 삽입할 수 있는 유출관통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통부 내에는 상기 커피 배출통로와 연통되어 커피포드 내의 커피를 배출시키는 커피 배출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 본체 내에는 커피포드 수용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챔버는 상기 커피포드 수용컵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통부는 커피포드 수용컵의 밑바닥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수압 본체의 배수단에는 커피포드 수용컵의 개구단을 막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 주입 관통부는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피포드 수용컵과 상기 덮개 사이에는 밀봉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수압 본체는 상기 컵의 개구단에 연결된 중공 물탱크 본체이고, 상기 수압 본체의 측벽에는 수압 동력 로드 돌출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압 본체는 상기 컵측에 컵과 급수통로를 연통하는 물탱크 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압 본체 내에는 물탱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저장챔버는 상기 물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수압 동력 로드 돌출홀측에 상기 수압 동력 로드에 끼우는 수압 동력 로드 안내 슬리브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압 동력 로드는 수압 동력 로드 돌출홀측에 버튼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압 본체 내에는 상기 버튼을 안내하는 버튼 안내 슬리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과 상기 수압 동력 로드 안내 슬리브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버튼 안내 슬리브는 상기 물 저장챔버 내측에 있는 일단에 아치형 단차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튼은 상기 물 저장챔버 내측에 있는 일단에 상기 버튼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아치형 단차에 저촉되어 버튼이 축방향을 따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고정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덮개에는 컵과 급수통로를 연통하는 급수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 제어밸브는 일단이 상기 급수통로 내벽에 저촉되는 급수 제어스프링과 상기 급수 제어스프링의 다른 일단에 저촉되는 급수 제어밸브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 제어밸브코어의 일단은 상기 급수구를 막을 수 있으며, 상기 배수 제어밸브는 일단이 상기 배수통로의 배수구를 막는 배수 제어밸브코어와 일단이 상기 중공 물탱크 본체에 저촉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배수 제어밸브코어에 저촉되는 배수 제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커피 유출 제어밸브는 일단이 상기 커피 유출통로를 막는 커피 유출 제어밸브코어와 일단이 상기 커피 유출 제어밸브코어를 지지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커피 유출통로 내벽에 저촉되는 커피 유출 제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컵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든 단일 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컵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든 이중 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이중 컵은 물 수용챔버를 가진 내층과 상기 내층의 외부에 있는 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수직 구조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된 컵, 수압 본체와 커피 추출 본체를 포함하고, 수압본체는 컵과 커피 추출 본체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 시 이 세 부분을 위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조립하면 하나의 원기둥체를 이루고, 휴대 시에는 이 세 부분을 분해할 수 있으며, 수평 구조에 있어서, 수압 본체 내에는 물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수압 동력 로드가 물탱크의 우측으로부터 물탱크 내로 들어가며, 수압 동력 로드는 피스톤 로드일 수 있고, 피스톤 로드는 수압 본체에서 수평으로 돌출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고 휴대하기 편리하며, 컵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고 보온할 수 있으며, 수압 동력 로드를 밖으로 당길 때 물 저장챔버 내에 부압이 형성되고 급수 제어밸브코어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급수통로가 개방되어 물이 물 저장챔버로 유입하게 되며, 수압 동력 로드를 안으로 밀 때 물 저장챔버 내에 고압이 형성되고 급수 제어밸브코어가 위로 이동하게 되어 급수통로가 폐쇄되며 배수 제어밸브코어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배수통로가 개방되며 물이 수용챔버로 유입되어 커피포드를 타 마실 수 있게 되고, 수용챔버의 압력이 충분히 클 때 커피 유출 제어밸브가 충격력에 의해 개방되어 커피를 배출시킬 수 있는데, 조작이 간단하며, 커피포드를 쉽게 관통하기 위해, 수압 본체의 배수단에는 커피포드의 상단을 관통하여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 주입 관통부가 설치되어 있고, 수용챔버의 바닥부에는 커피포드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유출관통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이 커피포드를 통과할 때 유출관통부에서 커피가 유출하게 되어 커피 타는데 더욱 간편하며, 커피 유출제어밸브는 커피포드 내에 흡착된 수분이 유출되어 새거나 심지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압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 밸브는 오직 수용챔버 내의 압력이 충분히 클 때에만 개방되고, 유출되는 커피가 일정한 정도의 거품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어 커피 맛을 한층 높이며, 사용 후에는 버튼을 로크할 수 있는데, 버튼을 눌러 피스톤 로드를 물 저장챔버에 들어가게 한 후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 아치형 단차에 걸리게 되어 버튼이 튀어나오지 못하므로 수용하기 편리하며, 커피 유출통로에는 커피 유출 제어밸브가 설치되어 있기에 최종적으로 유출되는 커피는 일정한 압력에 의해 압출된 것으로 일정한 유속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커피를 받을 때 일정한 충격력으로 인해 커피 표면에 거품이 생기게 되어 커피 맛을 한층 더 살려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버튼 안내 슬리브의 주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버튼 안내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버튼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결부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은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된 컵(1), 수압 본체(2)와 커피 추출 본체(3)를 포함하고, 이 세 부분은 위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나사산 연결되며, 조립후에는 하나의 원기둥체를 이루는데, 컵(1)은 보온 컵, 플라스틱 컵 또는 기타 물컵일 수 있고, 그 구조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든 용량이 큰 단일 컵이거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든 용량이 작은 이중 컵일 수 있으며, 이중 구조는 물 수용챔버를 가진 내층(11)과 내층(11)의 외부에 있는 외층(12)을 포함하는데, 이런 구조를 가진 보온 컵은 내부에 저장된 물을 24시간 보온시킬 수 있고, 컵(1)의 용량은 실제수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수압 본체(2)는 컵(1)과 커피 추출 본체(3) 사이에 설치되고, 물 저장챔버(21), 급수통로(22)와 배수통로(23)가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통로(22)가 상기 물 저장챔버(21)와 컵(1)을 연통시키는데, 수압 본체(2)는 컵(1)의 개구단에 연결된 중공 물탱크 본체로서, 중공 물탱크 본체의 측벽에는 수압 동력 로드 돌출홀(270)이 설치되어 있고, 중공 물탱크 본체는 컵(1)측에 컵(1)과 급수통로(22)를 연통시키는 물탱크 덮개(28)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탱크 덮개(28)에는 컵(1)과 급수통로(22)를 연통시키는 급수구(202)가 설치되어 있고, 물탱크 덮개(28)는 컵(1)의 하부 개구에 나사산 연결되어 있다. 중공 물탱크 본체 내에는 물탱크(29)가 설치되어 있고, 급수통로(22), 배수통로(23)와 물 저장챔버(21)가 물탱크(29)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물탱크(29)는 실제수요에 따라 적절한 용적 크기를 선택할 수 있고, 물탱크 본체는 중공 원기둥체이며, 물탱크 덮개(28)가 중공 물탱크 본체의 상부 개구 내에 설치되어 있다. 급수통로(22) 내에는 컵(1)으로부터 물 저장챔버(21)로 흐르는 물의 흐름과 차단을 제어하는 급수 제어밸브(24)가 설치되어 있고, 급수 제어밸브(24)는 일단이 상기 급수통로(22)의 내벽에 저촉되는 급수 제어스프링(241)과 상기 급수 제어스프링(241)의 다른 일단에 저촉되는 급수 제어밸브코어(242)를 포함하며, 급수 제어밸브코어(242)의 일단은 급수구(202)를 막는데, 물탱크(29) 내에 부압이 발생할 때, 즉 컵(1) 내의 압력이 물탱크(29) 내의 압력보다 클 경우, 양자의 압력차가 급수 제어스프링(241)의 탄력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게 된다면 급수 제어밸브코어(242)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급수구(202)가 개방되어 급수통로(22)가 개방상태로 되고 물이 물탱크(29)에 유입할 수 있게 된다. 커피 추출 본체(3) 내에는 배수통로(23)와 연통되고 각종 커피포드(4)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챔버(31) 및 수용챔버(31)와 연통되는 커피 유출통로(32)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통로(23)가 물 저장챔버(21)와 수용챔버(31)를 연통시키고, 배수통로(23) 내에는 물 저장챔버(21)로부터 수용챔버(31) 내로 흐르는 물의 흐름과 차단을 제어하는 배수 제어밸브(25)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 제어밸브(25)는 일단이 배수통로(23)의 배수구(203)를 막는 배수 제어밸브코어(252)와 일단이 중공 물탱크 본체에 저촉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배수 제어밸브코어(252)에 저촉되는 배수 제어스프링(251)을 포함하며, 물 저장챔버(21)에 고압이 발생할 때, 즉 물 저장챔버(21)의 압력이 수용챔버(31부의 압력보다 클 경우, 압력이 배수 제어스프링(251)의 탄력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게 된다면, 배수 제어밸브코어(25)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배수구(203)가 개방되어 물 저장챔버(21) 내의 물이 수용챔버(31)에 유입할 수 있게 된다. 물 저장챔버(21) 내에는 물 저장챔버(21)의 외부로 이동할 때 급수 제어밸브(24)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물 저장챔버(21)의 내부로 이동할 때 배수 제어밸브(25)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수압 동력 로드(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압 동력 로드(26)는 피스톤 로드로서, 물 저장챔버(21)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물 저장챔버(21) 내의 공기에 대해 작용하여 부압 또는 고압을 발생시켜 급수 제어밸브(24)를 흡인하여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배수 제어밸브(25)에 충격력을 가해 개방되도록 한다. 물탱크(29)는 수압 동력 로드 돌출홀(270)측에 수압 동력 로드(26)에 끼우는 수압 동력 로드 안내 슬리브(291)가 연결되어 있고, 수압 동력 로드 안내 슬리브(291)는 물탱크(29)의 우측 개구단에 나사산 연결될 수 있어, 물탱크(29), 수압 동력 로드 안내 슬리브(291)와 수압 동력 로드(26)로 구성된 동력장치가 중공 원기둥체인 중공 물탱크 본체에 설치하게 되는데 구조가 콤팩트하며, 수압 동력 로드 안내 슬리브(291)는 물탱크(29)의 일단에 설치되고, 수압 동력 로드(26)는 물탱크(29)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즉 물탱크(29)의 일단으로부터 물탱크(29) 내에 들어간 것이고, 수압 동력 로드(26)는 수압 동력 로드 돌출홀(270)측에 버튼(260)이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260)을 당기거나 누름으로써 수압 동력 로드(26)가 물 저장챔버(21) 내에서 왕복 이동하게 되고, 중공 물탱크 본체 내에는 버튼(260)을 안내하는 버튼 안내 슬리브(271)가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260)과 수압 동력 로드 안내 슬리브(291)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고, 수압 동력 로드(26)와 버튼(260)은 리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튀어나올 수 있는데, 버튼(260)을 눌러 피스톤 로드를 물탱크(29) 내로 삽입시킬 때 피스톤 로드는 리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튀어나올 수 있으므로, 사용시 수동으로 잡아당겨 물을 물탱크(29)에 유입하게 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더욱 간편하다. 수압 동력 로드(26)와 버튼(260)을 편리하게 수용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버튼을 로크하여 버튼(260)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버튼 안내 슬리브(271)는 물 저장챔버 내측에 있는 일단에 아치형 단차(272)가 설치되어 있고, 버튼(260)은 물 저장챔버(21) 내측에 있는 일단에 버튼(260)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때 아치형 단차(272)에 저촉되어 버튼(260)이 축방향을 따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고정돌기(261)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압 동력 로드(26)가 버튼(260)에 의해 물 저장챔버(21) 내에 들어갔을 때, 버튼(260)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여 위치고정돌기(261)가 아치형 단차(272)에 걸리게 함으로써 수압 동력 로드(26)가 튀어나오지 못하게 하는 것인데, 물론 잠금장치는 이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타 체결장치로도 구현할 수 있다. 커피 추출 본체(3)에는 수용챔버(31)의 밑바닥과 연통되는 커피 유출통로(32)가 설치되어 있고, 커피 유출통로(32) 내에는 커피 유출통로(32)의 개폐를 제어하는 커피 유출 제어밸브(3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밸브는 누수방지 및 수용챔버(31)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커피 유출 제어밸브(33)는 일단이 커피 유출통로(32)의 커피 유출구(302)를 막는 커피 유출 제어밸브코어(331)와 일단이 커피 유출 제어밸브코어(331)를 지지하고 다른 일단이 커피 유출통로(32) 내벽에 저촉되는 커피 유출 제어스프링(332)을 포함하며, 물이 기압의 압력작용하에 수용챔버(31)로 지속적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수용챔버(31)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며, 그 압력과 외부 기압 사이의 압력차가 커피 유출 제어스프링(332)의 탄성력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경우, 커피 유출 제어밸브코어(331)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커피 유출구(302)가 개방되어 커피가 유출하게 된다.
커피포드는 일반적으로 단일 포장층으로 포장되어 있기에, 포장층을 쉽게 관통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수압 본체(2)의 배수단(즉, 하단)은 수용챔버(31) 윗측에 커피포드(4) 내로 삽입할 수 있는 물 주입 관통부(53)가 설치되어 있고, 물 주입 관통부(53) 내에는 배수통로(23)와 연통되어 물을 커피포드(4) 내로 인입하는 인입통로(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입통로(54)의 직경이 작기에 물은 충격력에 의해 커피포드(4)에 충돌되어 기포 또는 거품이 쉽게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커피가 유출될 때 일정한 기포 또는 거품이 동반하게 되고 커피 맛을 한층 더 높여주며, 수용챔버(31)의 바닥부에는 커피 유출통로(32)와 연통하는 커피 배출통로(34)가 설치되어 있고, 커피 배출통로(34)는 수용챔버(31)의 밑바닥에 커피포드(4) 내로 삽일할 수 있는 유출관통부(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출관통부(35) 내에는 커피 배출통로(34)와 연통되어 커피포드(4) 내의 커피를 배출시키는 커피 배출홀(36)이 설치되어 있다. 커피 추출 본체(3) 내에는 커피포드 수용컵(38)이 설치되어 있고, 커피포드 수용컵(38)은 커피 추출 본체(3)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교환이 가능하는데, 예를 들어 커피 가루, E.S.E 커피포드, Caffitaly 시스템의 커피캡슐, K-fee의 커피캡슐, Nespresso 커피캡슐, Lavazza point 커피캡슐, Lavazza blue 커피캡슐, Lavazza Mio 커피캡슐 등과 같은 다양한 커피포드(4) 종류의 형상, 크기에 따라 적절한 커피포드 수용컵(38)을 선택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용챔버(31)는 커피포드 수용컵(38) 내에 설치되어 있고, 유출관통부(35)는 커피포드 수용컵(38)의 밑바닥 내벽에 설치되어 있다. 수압 본체(2)의 배수단에는 커피포드 수용컵(38)의 개구단을 막는 덮개(5)가 설치되어 있고, 덮개(5)는 중공 원기둥체인 중공 물탱크 본체의 하부 개구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물 주입 관통부(53)는 덮개(5)에 설치되어 있고, 커피포드 수용컵(38)과 덮개(5) 사이에는 밀봉링(6)이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5), 밀봉링(6)과 커피포드 수용컵(38)은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에 수용챔버(31)에 기압이 쉽게 형성되어 커피 유출제어밸브(33)를 개방시킨다. 실제 사용 시, 커피포드(4)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의 커피포드 수용컵(38)으로 원래의 것을 대체하여 커피 추출 본체(3)에 장착할 수 있는데, 장치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커피머신은 컵(1), 수압 본체(2)와 커피 추출 본체(3)가 위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연결된 것으로, 초기에 수압 동력 로드(26)는 물 저장챔버(21)에 수용되고, 사용시 컵(1)에 온수를 가득 채워 커피포드를 커피포드 수용컵(38)에 넣으며, 케이스(37)가 중공 물탱크 본체의 밑바닥에 연결될 때 물 주입 관통부(53)와 유출관통부(35)는 각각 커피포드의 포장층의 상, 하단을 관통하게 되고, 그 다음 버튼(260)을 회전하여 위치고정돌기(261)가 아치형 단차(272)에 저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버튼(260)이 리턴 스프링(30)에 의해 피스톤 로드와 함께 튀어나오게 되며, 그 후 버튼(260)을 반복적으로 누르고 당겨 피스톤 로드가 물 저장챔버 내에서 왕복 이동하게 하여 압력차를 발생시키는데, 피스톤 로드를 밖으로 당길 때, 물 저장챔버(21) 내에 부압이 형성되고 급수 제어밸브코어(242)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급수통로(22)가 개방되어 물이 물 저장챔버(21)에 유입하게 되고, 피스톤을 안으로 밀 때, 물 저장챔버(21) 내에 고압이 형성되고 배수 제어밸브코어(252)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배수통로(23)가 개방되고 물이 커피포드에 유입되어 커피를 타게 되며, 수용챔버(31)의 압력이 충분히 클 때, 커피 유출 제어밸브코어(331)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커피 유출구(302)가 개방되어 커피가 유출하게 된다. 버튼(260)을 일정한 횟수로 반복하여 누르고 당기면 커피가 유출하게 되는데, 이것은 커피포드 내의 커피가 전부 없어질 때까지 진행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고 부피가 작으며 휴대하기 편리하여 특히 실외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14)

  1.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된 컵(1); 컵(1)과 커피 추출 본체(3) 사이에 설치되고, 물 저장챔버(21), 급수통로(22)와 배수통로(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통로(22)가 상기 물 저장챔버(21)와 컵(1)을 연통시키는 수압 본체(2); 내부에 상기 배수통로(23)와 연통되고 각종 커피포드(4)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챔버(31) 및 상기 수용챔버(31)와 연통되는 커피 유출통로(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통로(23)가 상기 물 저장챔버(21)와 수용챔버(31)를 연통시키고, 상기 급수통로(22) 내에는 상기 컵(1)으로부터 상기 물 저장챔버(21) 내로 흐르는 물의 흐름과 차단을 제어하는 급수 제어밸브(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통로(23) 내에는 상기 물 저장챔버(21)로부터 상기 수용챔버(31) 내로 흐르는 물의 흐름과 차단을 제어하는 배수 제어밸브(2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 저장챔버(21) 내에는 상기 물 저장챔버(21) 외부로 이동할 때 상기 급수 제어밸브(24)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 저장챔버(21) 내부로 이동할 때 상기 배수 제어밸브(25)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수압 동력 로드(26)가 설치되어 있는 커피 추출 본체(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유출통로(32) 내에는 상기 커피 유출통로(32)를 흐르는 물의 흐름과 차단을 제어하는 커피 유출 제어밸브(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1)과 수압 본체(2) 사이는 나사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본체(2)와 커피 추출 본체(3)는 나사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챔버(31) 윗측에는 커피포드(4) 내로 삽입할 수 있는 물 주입 관통부(5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 주입 관통부(53) 내에는 상기 배수통로(23)와 연통되어 물을 커피포드(4) 내로 인입하는 인입통로(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챔버(31)의 바닥부에는 상기 커피 유출통로(32)와 연통되는 커피 배출통로(3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피 배출통로(34)는 상기 수용챔버(31)의 밑바닥에 커피포드(4) 내로 삽입할 수 있는 유출관통부(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통부(35) 내에는 상기 커피 배출통로(34)와 연통되어 커피포드(4) 내의 커피를 배출시키는 커피 배출홀(3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 본체(3) 내에는 커피포드 수용컵(3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챔버(31)는 상기 커피포드 수용컵(38)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통부(35)는 커피포드 수용컵(38)의 밑바닥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본체(2)의 배수단에는 커피포드 수용컵(38)의 개구단을 막는 덮개(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 주입 관통부(53)는 상기 덮개(5)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피포드 수용컵(38)과 상기 덮개(5) 사이에는 밀봉링(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본체(2)는 상기 컵(1)의 개구단에 연결된 중공 물탱크 본체이고, 상기 수압 본체(2) 측벽에는 수압 동력 로드 돌출홀(2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압 본체(2)는 상기 컵(1)측에 컵(1)과 급수통로(22)를 연통시키는 물탱크 덮개(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압 본체(2) 내에는 물탱크(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저장챔버(21)는 상기 물탱크(29)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탱크(29)는 상기 수압 동력 로드 돌출홀(270)측에 상기 수압 동력 로드(26)에 끼우는 수압 동력 로드 안내 슬리브(29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압 동력 로드(26)는 수압 동력 로드 돌출홀(270)측에 버튼(26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압 본체(2) 내에는 상기 버튼(260)을 안내하는 버튼 안내 슬리브(27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260)과 상기 수압 동력 로드 안내 슬리브(291)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안내 슬리브(271)는 상기 물 저장챔버(21) 내측에 있는 일단에 아치형 단차(27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튼(260)은 상기 물 저장챔버(21) 내측에 있는 일단에 상기 버튼(260)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아치형 단차(272)에 저촉되어 버튼(260)이 축방향을 따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고정돌기(26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덮개(28)에는 컵(1)과 급수통로(22)를 연통시키는 급수구(20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 제어밸브(24)는 일단이 상기 급수통로(22) 내벽에 저촉되는 급수 제어스프링(241)과 상기 급수 제어스프링(241)의 다른 일단에 저촉되는 급수 제어밸브코어(242)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 제어밸브코어(242)의 일단은 상기 급수구(202)를 막을 수 있으며, 상기 배수 제어밸브(25)는 일단이 상기 배수통로(23)의 배수구(203)를 막는 배수 제어밸브코어(252)와 일단이 상기 중공 물탱크 본체에 저촉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배수 제어밸브코어(252)에 저촉되는 배수 제어스프링(2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유출 제어밸브(33)는 일단이 상기 커피 유출통로(32)의 커피 유출구(302)를 막는 커피 유출 제어밸브코어(331)와 일단이 상기 커피 유출 제어밸브코어(331)를 지지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커피 유출통로(32) 내벽에 저촉되는 커피 유출 제어스프링(3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1)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든 단일 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1)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든 이중 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컵은 물 수용챔버를 가진 내층(11)과 상기 내층(11)의 외부에 있는 외층(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KR1020167000848A 2013-08-08 2014-03-25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KR101759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345121.5A CN103654412B (zh) 2013-08-08 2013-08-08 一种便携式手工操作咖啡机
CN201310345121.5 2013-08-08
PCT/CN2014/074002 WO2015018202A1 (zh) 2013-08-08 2014-03-25 一种便携式手工操作咖啡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501A KR20160020501A (ko) 2016-02-23
KR101759848B1 true KR101759848B1 (ko) 2017-07-20

Family

ID=5029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848A KR101759848B1 (ko) 2013-08-08 2014-03-25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918582B2 (ko)
EP (1) EP2979592B1 (ko)
JP (1) JP6033506B2 (ko)
KR (1) KR101759848B1 (ko)
CN (1) CN103654412B (ko)
AU (1) AU2014305562B2 (ko)
CA (1) CA2920053C (ko)
ES (1) ES2694693T3 (ko)
HK (1) HK1214493A1 (ko)
HU (1) HUE041295T2 (ko)
PL (1) PL2979592T3 (ko)
WO (1) WO2015018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4412B (zh) 2013-08-08 2016-04-20 宋剑芳 一种便携式手工操作咖啡机
ITUA20162351A1 (it) * 2016-04-06 2017-10-06 Lavazza Luigi Spa Gruppo di infusione, macchina e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con l'impiego di capsule preconfezionate.
WO2017210554A1 (en) * 2016-06-02 2017-12-07 Herndon Jeffrey R Container assembly and accessories therefor
CN105832161B (zh) * 2016-06-17 2019-01-0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手压胶囊咖啡机
CN106108657A (zh) * 2016-08-26 2016-11-16 宁波胜诺电器有限公司 一种手持便携式咖啡机
CN106175460B (zh) * 2016-08-26 2022-11-01 苏州灵思实业有限公司 一种咖啡机
CN106175456A (zh) * 2016-09-19 2016-12-07 韩健 一种便携式手动咖啡机
CN106264143B (zh) * 2016-09-22 2019-05-10 佛山市艾妙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胶囊咖啡机
USD823032S1 (en) * 2016-11-21 2018-07-17 Wacaco Company Limited Portable manually-operated coffee maker
CN106724821B (zh) * 2016-12-12 2023-09-12 慈溪欧能电器有限公司 一种便携式咖啡机
CN106820981B (zh) * 2017-01-13 2023-02-10 佛山市顺德区华酷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手工操作咖啡机
USD823033S1 (en) * 2017-01-16 2018-07-17 Wacaco Company Limited Portable manually-operated coffee maker
PL3360448T3 (pl) * 2017-02-14 2020-04-30 Hua Ku (Shunde) Tech Electric Co., Ltd Ulepszony ręcznie obsługiwany ekspres do kawy
CN109381020A (zh) * 2017-08-14 2019-02-26 肖丽娟 双向抽压式食品处理机及其使用方法
CN109820421A (zh) * 2017-11-23 2019-05-31 德隆奇电器单一股东有限责任公司 用于制备饮料的机器及其控制方法
CN107898318A (zh) * 2017-12-18 2018-04-13 合肥市脍炙人家家居用品有限责任公司 一种便携式手动咖啡冲泡杯
USD823034S1 (en) * 2018-02-13 2018-07-17 Hua Ku (Shunde) Tech Electric Co., Ltd Portable manually-operated coffee maker
CN108378705A (zh) * 2018-05-14 2018-08-10 宁波锦宇电器有限公司 一种带加热功能、高压淬取功能的车载咖啡机
CN108577551A (zh) * 2018-07-26 2018-09-28 浙江贝仕迪智能科技有限公司 便携式咖啡机压滤装置
CN108784356A (zh) * 2018-08-10 2018-11-13 上海旗凌实业有限公司 一种便携式咖啡机
CN109171473B (zh) * 2018-10-23 2023-10-31 福建饮享科技有限公司 一种仿人工泡茶装置及带有该装置的茶饮机
CN109431201A (zh) * 2018-12-08 2019-03-08 深圳星粒文化传播有限公司 保温过滤水杯
GB2584997A (en) * 2019-06-18 2020-12-30 Hribarcain Ltd Beverage maker
KR102270443B1 (ko) 2019-07-02 2021-06-29 파츠너(주) 휴대용 커피머신
CN110664246B (zh) * 2019-09-27 2022-04-12 深圳星粒文化传播有限公司 流水式萃茶或冲咖啡壶
CN111904283B (zh) * 2020-07-24 2022-05-06 六安索伊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咖啡机出水嘴的安装结构
USD1022562S1 (en) * 2021-06-24 2024-04-16 Hua Ku (Shunde) Tech Electric Co., Ltd Manual coffee maker
US11937732B2 (en) 2023-08-06 2024-03-26 MIE Concept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brewing of beverages in a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2142A (zh) * 2013-03-01 2013-06-12 宋雨果 一种压力可调便携式浓缩咖啡机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1322A1 (de) * 1971-04-30 1972-11-09 Pönninghaus, Günter, 4971 Loh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Kaffee, Tee oder sonstigen Aufgußgetränken, zur Benutzung in einem Fahrzeug, in der Form, daß dieses Getränk auch während der Fahrt hergestellt werden kann
US4094233A (en) * 1976-10-12 1978-06-13 Bunn-O-Matic Corporation Automatic coffee maker with inlet water control means in response to cold water and hot water levels
DE59504494D1 (de) * 1995-07-31 1999-01-21 Eugster Frismag Ag Brühkopf einer Espressomaschine
JP2000042725A (ja) * 1998-07-31 2000-02-15 Toshiba Mach Co Ltd 溶融金属用複動ポンプ
CN1552264A (zh) * 2003-06-05 2004-12-08 韦坤莲 多功能咖啡机及其控制方法和用途
PT1768530E (pt) * 2004-07-09 2010-08-27 Nestec Sa Aparelho com abastecimento de gás pressurizado para preparar bebidas
JP2007170319A (ja) * 2005-12-26 2007-07-05 Hitachi Ltd ピストンポンプ
CN100475106C (zh) * 2005-12-27 2009-04-08 张小霞 多功能咖啡机
CN101001507B (zh) * 2006-01-14 2010-06-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的盖体结构
FR2912664B1 (fr) * 2007-02-16 2012-07-20 Handpresso Appareil destine a confectionner une infusion.
MX2009013680A (es) 2007-06-11 2010-08-31 Espressi Inc Dispositivo portatil de preparacion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y operacion.
CN101225806A (zh) * 2007-09-21 2008-07-23 曹德才 流体活塞泵
CN201119687Y (zh) * 2007-11-21 2008-09-24 卢恩光 一种具有茶水分离功能的茶杯
US8234971B2 (en) * 2008-11-13 2012-08-07 Cerroni Peter M Portable, non-electric piston/cylinder coffee brewer
US8177968B2 (en) * 2009-09-11 2012-05-15 Te-Hsing Wang Filter cup assembly
US9510705B2 (en) * 2011-04-13 2016-12-06 Patrick J. Rolfes Pre-packaged beverage brewer press
US20130186280A1 (en) * 2012-01-23 2013-07-25 Kiyoshi Sekiguchi Compressed Coffee Drip Brewer
CN202477384U (zh) * 2012-02-15 2012-10-10 许庭祯 一种便携式咖啡机
CN202553556U (zh) * 2012-04-11 2012-11-28 宁波亚特电器有限公司 一种胶囊咖啡机
EP2742833B1 (en) * 2012-12-17 2021-03-24 Minimma Espresso, S.L. Machine for preparing coffee and process for preparing a beverage that uses said machine
CN103142144A (zh) * 2013-03-01 2013-06-12 宋雨果 一种利用咖啡机制取浓缩咖啡的方法
WO2014208076A1 (en) 2013-06-24 2014-12-31 Toyo Gosei Co., Ltd. Reagent for enhancing generation of chemical species
CN203506413U (zh) * 2013-08-08 2014-04-02 宋剑芳 一种便携式手工操作咖啡机
CN103654412B (zh) 2013-08-08 2016-04-20 宋剑芳 一种便携式手工操作咖啡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2142A (zh) * 2013-03-01 2013-06-12 宋雨果 一种压力可调便携式浓缩咖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20053A1 (en) 2015-02-12
CN103654412A (zh) 2014-03-26
EP2979592A1 (en) 2016-02-03
CN103654412B (zh) 2016-04-20
WO2015018202A1 (zh) 2015-02-12
JP2016527014A (ja) 2016-09-08
ES2694693T3 (es) 2018-12-26
AU2014305562B2 (en) 2017-03-02
HUE041295T2 (hu) 2019-05-28
US9918582B2 (en) 2018-03-20
HK1214493A1 (zh) 2016-07-29
US20160000253A1 (en) 2016-01-07
JP6033506B2 (ja) 2016-11-30
EP2979592B1 (en) 2018-08-22
KR20160020501A (ko) 2016-02-23
PL2979592T3 (pl) 2019-04-30
EP2979592A4 (en) 2016-11-09
AU2014305562A1 (en) 2016-01-21
CA2920053C (en)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848B1 (ko)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CN106724821B (zh) 一种便携式咖啡机
EP3078308B1 (en) Coffee extraction device
US20040244599A1 (en) Multi-function coffee maker and use thereof
US20080314257A1 (en) Beverage Making Device Comprising a Brewing Chamber and Pressure Release Means
JP2008504917A (ja) 飲料を調整するための、加圧ガス供給部を有する装置
BRPI0600352A (pt) aperfeiçoamentos para a saìda de café de máquinas de café expresso domésticas
US20150351580A1 (en) Infusion unit for making beverages with a hydraulic closing system
US9044118B2 (en) Brewing unit for coffee brewing
US20240148171A1 (en) Beverage brewing pot
US20160183717A1 (en) Improve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one or a plurality of beverages
CN206518463U (zh) 便携式内循环胶囊饮品杯及便携式内循环饮品杯
US20230240464A1 (en) Small manual coffee maker
JP2012515007A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輸送可能なコンパクトな装置
CN203506413U (zh) 一种便携式手工操作咖啡机
KR20190054906A (ko) 커피 드리퍼
KR102058732B1 (ko)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CN106820973B (zh) 便携耦合式胶囊饮品冲调杯及便携耦合式饮品冲调杯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CN107049008B (zh) 便携式内循环胶囊饮品杯及便携式内循环饮品杯
CN213309101U (zh) 热水阀组及饮料冲泡设备
JP2011234773A (ja) 飲料抽出器
EP3072427A1 (en) Beverage dispenser preparing hot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