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75546A1 - 음료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75546A1
WO2014175546A1 PCT/KR2014/001791 KR2014001791W WO2014175546A1 WO 2014175546 A1 WO2014175546 A1 WO 2014175546A1 KR 2014001791 W KR2014001791 W KR 2014001791W WO 2014175546 A1 WO2014175546 A1 WO 20141755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verage
hot water
valve
mounting space
beverage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7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희도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23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142470B/zh
Publication of WO20141755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755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for supplying hot water to a beverage capsule in which beverage powders such as coffee or green tea are stored, and extracting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apsule and supplying the same to a us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for supplying hot wate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to a mounted beverage capsule and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or the mounting space after the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is a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or green tea to supply to the user.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use a beverage capsule in which beverage powders such as coffee or green tea are stored.
  • beverage powders such as coffee or green tea are stored.
  • hot wate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of a hot water supply source is supplied to the beverage capsule so that the hot water and the beverage powder of the predetermined pressure are mixed.
  • a beverage is produced. That is, the beverage can be extracted from the capsule.
  •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extracted from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is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includes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 is mounted. Then, the beverage capsule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and the beverage is extracted by supplying hot wate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beverage capsule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space is sealed.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or mounting space is lowered.
  • the output of the heater provided in the hot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hot water tank is lowered, or during the beverage extraction or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the mounting space is released.
  • the beverage preheating mode can be used at all times. As such, when the preheating mode is used, energy is wasted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extracting device itself is maintained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 the output of the heater provided in the hot water supply source was higher and the preheating time was shortened by using the heater only when the beverage was extracted.
  • the pressure of the hot water is increased so that the beverage capsule is installed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lower the pressure in the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demands or problem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y to lower the pressure of the mounting space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 or beverage capsule is mounted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capsule or mounting space when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or mounting space is lowered.
  •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from being soiled or contaminated by the beverage when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or mounting space is lowered.
  •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related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 Drink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mounting space for mounting the beverage capsule and the extraction unit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beverage capsule to the outside;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to be opened or closed by a cov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ver member to open or close the mounting space; And a valve unit for supplying hot wate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beverage capsule of the sealed mounting space when the beverage is extracted, and to reduce the pressure by discharging the fluid of the beverage capsule or the mounting space to the outside after the beverage is extracted. It may include.
  • the extracting portion to allow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and the cover; It may include.
  • the extra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body and the mounting space is formed and the mounting member including a punching member for puncturing the beverage capsule; It may further include.
  • the perforating member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beverag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mounting member.
  • opening and clos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link members connecting the lever member and the cover.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a first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A second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cover; And a third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and the first link member. It may include.
  •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ver member valve for connecting the hot water supply nozzle and the hot water supply source provided on the cover or the hot water supply nozzl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t may include.
  • the valve may further include: a valve body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and the hot water supply sour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 valve rod movably provided at the valve body. It may include.
  • valve body has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source;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And a rod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are open and the valve rod being movable. It may include.
  • valve rod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aling memb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o form a connection space in the rod moving part.
  • valve unit is connected to the valve rod and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 connection member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in connected to one or more link members connecting the lever member and the cover.
  •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that the connecting pin is caught.
  • the beverage when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or the mounting space is lowered, the beverage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capsule or the mounting spa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n embodiment of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one embodiment of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extraction of the beverage, Figure 5 shows when the lever member is rotat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6 shows when the lever member is rotated completely upward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 FIGS. 1 to 3 are one perspective view and the other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4 to 6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extracting unit 200, opening and closing 300 and the valve unit 40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3.
  • the extractor 200 may include a mounting space MC. To this end, the extractor 200 may include a body 210. The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220 in which a mounting space MC is formed.
  •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unting space MC is included in the extraction unit 2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body 210 and the mounting member 220 are integrally formed of one member and thus the mounting space MC is provided. ) May be formed as long as the mounting space MC may be included.
  • the beverage capsule C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MC of the extraction unit 200.
  •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MC) is open and the mounting space (MC) may b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everage capsule (C).
  • the beverage capsule (C) can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MC) by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MC) from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MC).
  • the extraction unit 200 may allow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beverage capsule (C)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 the aforementioned body 210 of the extractor 200 may allow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210 may be opened and a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member 220 may be formed. As shown in this space, the mount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beverage outlet 211 may be connected to the space of the body 210 in which the mounting member 220 is provided.
  • the mounting member 220 may include a punching member 221. As shown in FIG. 4, the beverage capsule C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MC may be punched by the punching member 221. As shown, the lower surface of the beverage capsule (C) by the punching member 221 may be punched. To this end, one end of the punching member 221 may be pointed as shown.
  • beverage discharge hole 220a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member 220.
  • a beverage discharge passage 220b connected to the beverage discharge hole 220a and the beverage discharge port 211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member 220.
  • the aforementioned punching member 221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222.
  • one side of the punching member 221 may pass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220a of the mounting member 220 in the mounting space MC and the other side may be positioned in the beverage discharge passage 220b.
  •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22 may act on the punching member 221. And, as shown in FIGS. 5 and 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22 can move the punching member 221 to close the beverage discharge hole (220a).
  • FIG. 3 when a force opposit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22 by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C) or the mounting space (MC) or by the lid 320 acts on the punching member (221), FIG. As shown in 4, the punching member 221 may be moved to ope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220a. As a result,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beverage capsule C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220a, the beverage discharge passage 220b, and the beverage discharge port 211 as shown. And it can be supplied to the user.
  • the mount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223 as shown in FIGS. 4 to 6. As a result, the beverag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outlet 211 of the body 210 may not flow into the space of the body 210 provided with the mounting member 22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may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MC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ver member 310 by the cover 320.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mounting space MC may be opened or closed as shown in FIG. 4.
  • the lever member 310 and the cover 32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210 as shown in FIGS. 1 and 2.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ever member 310 and the cover 3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210 by a connecting pin (P),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lever member 310 and the cover 320 may be rotated about the connection pin P as shown in FIGS. 4 to 6.
  • P connecting pin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link members 330, 340, and 350 connecting the lever member 310 and the cover 320.
  • link members 330, 340, and 350 connecting the lever member 310 and the cover 320.
  • the cover 320 together with the lever member 31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MC of the mounting member 220 is closed by the cover 320. Can be rotated. Accordingly, the mounting space MC may be sealed while the beverage capsule C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MC.
  • the cover 320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322 as shown in FIGS. 4 to 6. As a result, as illustrated, the mounting space MC may be easily sealed by the cover 32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may include a first link member 330, a second link member 340, and a third link member 350.
  • the first link member 33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210.
  • the first link member 33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210.
  • the second link member 3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330 and the cover 320. As shown in FIGS. 1 to 3, the second link member 3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ver 320 by a connecting pin P, and the first link member (by the connecting pin CP). 330 may be rotatably connected.
  • the third link member 350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310 and the first link member 330.
  • the third link member 3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310 as shown in FIGS. 1 to 3,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330 by a connecting pin CP. Can be connected.
  • the one or more link members 330, 340, 350 connecting the lever member 310 and the cover 32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link member 330 to third link member 350 and their connection configuration. If the cover 320 is able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MC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ver member 310 by connecting the lever member 310 and the cover 320, any known link members and their Connection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 the valve unit 400 may allow hot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o be supplied to the beverage capsule C mounted in the sealed mounting space MC when the beverage is extracted as shown in FIG. 4. In addition,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as shown in FIG. 5, the valve unit 400 may discharge the fluid of the beverage capsule C or the mounting space MC to the outside to lower the pressure.
  •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C) or the mounting space (MC)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can be easily lowered.
  • the beverage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capsule (C) or the mounting space (MC).
  •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1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oiled or contaminated by the beverage.
  • the valve unit 400 may include a valve 410.
  • the valve 410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provided in the cover 320 and the hot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ver member 310 or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 valve 410 may include a valve body 411 and a valve rod 412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3.
  • the valve body 411 may 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and the hot water supply source. And it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the valve rod 412 may be provided on the valve body 411 to be movable.
  • the valve body 411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411a, a second connector 411b, and a rod moving part 411c.
  • the first connector 411a of the valve body 411 may be connected to a hot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such as a hot water tank or a pump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 the first connector 411a may be connected to a hot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such as a hot water tank equipped with a heater or a pump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by the connection pipe T1.
  • the second connector 411b of the valve body 411 may 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 the second connector 411b may be connected to the cover 320 by a connector T2.
  • the cover 320 may have a flow path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T2 and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 the rod moving part 411c of the valve body 41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411a and the second connector 411b described above,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reof may be opened.
  • the valve rod 412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The valve rod 412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open side of the rod moving part 411c, such that the valve rod 412 is movable to the rod moving part 411c.
  • At least one sealing member 412a may be provid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alve rod 412 as shown in FIGS. 4 to 6.
  • the connection space SC may be formed in the rod moving part 411c.
  • the valve rod 412 moves in the rod moving part 411c so that the first connector 411a and the second connector 411b can b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space SC as shown in FIG. 4. .
  • hot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f the raw water supply source may flow through the connection pipe T1 and flow into the first connector 411a.
  • hot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introduced into the first connector 411a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connector 411b through the connection space SC of the rod moving part 411c.
  • hot wate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may be supplied 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of the cover 320 through the connecting pipe (T2).
  • the hot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supplied 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is supplied to the beverage capsule C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capsule C perforated by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as shown in FIG. Can be.
  • the beverage may be mixed with a beverage powder such as coffee or green tea stored in the capsule (C) to produce a beverage. That is, the beverage can be extracted.
  • valve rod 412 may move in the rod moving part 411c so that only the connector 411b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pace SC of the rod moving part 411c.
  • the hot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introduced into the first connector 411a cannot flow to the second connector 411b through the connection space SC.
  • the second connector 411b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d moving part 411c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 the fluid such as beverage or steam in the beverage capsule (C) or the mounting space (MC) 5 may flow in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by the pressure difference.
  •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may flow into the connection pipe T2 connected thereto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connector 411b of the valve body 411.
  •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second connector 411b may the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shown through an open side of the rod moving part 411c by flowing the rod moving part 411c.
  •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C) or the mounting space (M) can be lowered.
  • valve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ember 42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430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 the connecting member 420 may be connected to the valve rod 412 and the body 210.
  • the connecting member 4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lve rod 412 and the body 210, respectively.
  • the connection member 420 may be linked to the lever member 310.
  • connection member 420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in CP connected to one or more link members 330, 340, 350 connecting the lever member 310 and the cover 320. 1 to 3, the connection member 420 is a connecting pin (CP) for connecting the first link member 330, the second link member 340 and the third link member 350 with each other. ) Can be linked to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420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421 that the connection pin (CP) is caught.
  • valve unit 400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430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second elastic member 4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420 and the body 210. As a result,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430 may act on the valve rod 412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420.
  • valve rod 412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430 such that the connection space SC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411a and the second connector. 411b may be connected.
  • the connecting pin CP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421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so that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430 acts on the connecting member 420.
  • the connecting pin CP is not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421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but a force oth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430 acts on the connecting member 420. It is in a position to prevent it.
  • connection space SC may be connected to only the first connector 411a by the movement of the rod 412.
  • the fluid of the beverage capsule C or the mounting space MC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nozzle 321, the connection pipe T2, the second connector 411b and the rod moving part 411c of the valve body 41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one side. As a result,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C) or the mounting space (MC) can be lowered.
  •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lower the pressure of the mounting space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 or beverage capsule is mounted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when the beverage lowers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or the mounting space beverage It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psule or the mounting space,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capsule or mounting space is lowered,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not be soiled or contaminated by the beverage.
  •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not be limitedly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장착공간에 장착된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음료추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장치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음료캡슐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부;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이 덮개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여 상기 장착공간이 개방되거나 밀폐되도록 하는 개폐부; 및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상기 장착공간의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상기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추출장치
본 발명은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분말이 저장된 음료캡슐에 온수를 공급하여 음료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장착공간에 장착된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추출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음료추출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분말이 저장된 음료캡슐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추출장치에서는 온수공급원의 소정 압력의 온수를 음료캡슐에 공급하여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면 음료가 생성된다. 즉, 음료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추출장치로부터 추출된 음료추출장치는 음료추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음료추출장치에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포함된다. 그리고, 장착공간에 음료캡슐을 장착하고 장착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를 공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를 추출한다. 그리고, 음료추출후에는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음료추출후에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어 주기 위해서, 종래에는 온수탱크 등의 온수공급원에 구비된 히터의 출력을 낮추거나 음료추출중 또는 음료추출후에 장착공간의 밀폐상태를 해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의 압력을 원하는 압력으로 낮출 수 없거나 추출된 음료가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음료추출장치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속추출 혹은 장시간 미사용 후의 음료추출시에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음료추출장치에서 상시 예열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시 예열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음료추출장치 자체의 온도가 비교적 높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낭비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온수공급원에 구비된 히터의 출력을 더 높게 하고 음료추출시에만 히터를 사용하여 예열시간을 짧게 하고자 하였으나, 히터의 출력을 높이게 되면 온수의 압력이 더 높아져서 음료추출후 음료캡슐이나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음료추출후 음료캡슐 또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추출장치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료추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음료추출장치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며 음료캡슐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부;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장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이 덮개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여 장착공간이 개방되거나 밀폐되도록 하는 개폐부; 및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장착공간의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출부는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레버부재와 덮개가 연결되는 바디;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바디에 구비되고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음료캡슐을 천공하는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장착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재는 장착부재에 형성된 음료배출구멍을 개폐하도록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레버부재와 덮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바디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제1링크부재와 덮개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레버부재와 제1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덮개에 구비된 온수공급노즐과 온수공급원이 연결되도록 하거나 온수공급노즐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는 온수공급노즐과 온수공급원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밸브본체; 및 밸브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로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는 온수공급원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 온수공급노즐에 연결되는 제2연결구; 및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연결되며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밸브로드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로드에는 로드이동부에 연결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밸브로드와 바디에 연결되며 레버부재에 연계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와 바디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레버부재와 덮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에 연결된 연결핀에 연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연결핀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를 사용하여 음료추출후 음료캡슐 또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추출장치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4는 음료의 추출시를 나타내며, 도5는 음료추출후 레버부재를 소정 각도로 상측으로 회전하였을 때를 나타내고, 도6은 음료추출후 레버부재를 완전히 상측으로 회전하였을 때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음료추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일측 사시도와 타측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1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추출부(200), 개폐부(300) 및, 밸브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200)는 장착공간(M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추출부(200)는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210)에는 장착공간(MC)이 형성된 장착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추출부(200)에 장착공간(MC)이 포함되는 구성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바디(210)와 장착부재(220)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장착공간(MC)이 형성되는 등 장착공간(MC)이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200)의 장착공간(MC)에는 음료캡슐(C)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장착공간(MC)의 상부는 개방되고 장착공간(MC)은 음료캡슐(C)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음료캡슐(C)이 장착공간(MC)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장착공간(MC)에 삽입됨으로써, 장착공간(MC)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추출부(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캡슐(C)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추출부(200)의 전술한 바디(210)가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바디(210)에는 상부가 개방되며 장착부재(220)와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재(220)가 구비되는 바디(210)의 공간에는 음료배출구(211)가 연결될 수 있다.
장착부재(220)에는 천공부재(221)가 포함될 수 있다. 천공부재(221)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간(MC)에 장착된 음료캡슐(C)이 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재(221)에 의해서 음료캡슐(C)의 하면이 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천공부재(221)의 일측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220)에는 음료배출구멍(2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재(220)에는 음료배출구멍(220a)과 음료배출구(211)에 연결되는 음료배출유로(220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천공부재(221)는 제1탄성부재(222)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천공부재(221)의 일측은 장착부재(220)의 음료배출구멍(220a)을 관통하여 장착공간(MC)에 위치하고 타측은 음료배출유로(220b)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천공부재(221)에는 제1탄성부재(222)의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222)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재(221)가 이동하여 음료배출구멍(220a)이 닫힐 수 있다.
또한, 음료캡슐(C)이나 장착공간(MC)의 압력에 의해서 또는 덮개(320)에 의해서 제1탄성부재(222)의 탄성력보다 크고 반대방향인 힘이 천공부재(221)에 작용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재(221)가 이동하여 음료배출구멍(220a)이 열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캡슐(C)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음료배출구멍(220a)과 음료배출유로(220b) 및 음료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장착부재(220)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2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바디(210)의 음료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음료가 장착부재(220)가 구비되는 바디(210)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개폐부(300)는 레버부재(310)의 위치에 따라 장착공간(MC)의 개방된 상부가 덮개(320)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간(MC)이 개방되거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될 수 있다.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는 연결핀(P)에 의해서 바디(2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개폐부(300)는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330,340,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부재(31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장착부재(220)의 장착공간(MC)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레버부재(310)와 함께 덮개(32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부재(310)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면, 장착부재(220)의 장착공간(MC)의 상부가 덮개(320)에 의해서 닫히도록 레버부재(310)와 함께 덮개(3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캡슐(C)이 장착공간(MC)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공간(MC)이 밀폐될 수 있다.
덮개(320)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3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20)에 의한 장착공간(MC)의 밀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300)는 제1링크부재(330), 제2링크부재(340) 및, 제3링크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부재(330)는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부재(330)는 바디(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부재(340)는 제1링크부재(330)와 덮개(3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링크부재(340)는 연결핀(P)에 의해서 덮개(3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핀(CP)에 의해서 제1링크부재(3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링크부재(350)는 레버부재(310)와 제1링크부재(3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링크부재(35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버부재(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핀(CP)에 의해서 제1링크부재(3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330,340,350)는 전술한 제1링크부재(330) 내지 제3링크부재(350)와 이들의 연결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를 연결하여 레버부재(310)의 위치에 따라 덮개(320)가 장착공간(MC)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링크부재와 이들의 연결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밸브부(4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장착공간(MC)에 장착된 음료캡슐(C)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추출후에 밸브부(400)는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추출후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가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추출장치(100)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밸브부(400)는 밸브(41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410)는 레버부재(310)의 위치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20)에 구비된 온수공급노즐(321)과 온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도록 하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노즐(321)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밸브(41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밸브본체(411)와 밸브로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본체(411)는 온수공급노즐(321)과 온수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밸브로드(412)는 밸브본체(41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밸브본체(411)는 제1연결구(411a), 제2연결구(411b) 및, 로드이동부(411c)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본체(411)의 제1연결구(411a)는 온수탱크나 온수탱크에 연결된 펌프 등의 온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구(411a)는 연결관(T1)에 의해서 히터가 구비된 온수탱크 또는 온수탱크에 연결된 펌프 등의 온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밸브본체(411)의 제2연결구(411b)는 온수공급노즐(3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구(411b)는 연결관(T2)에 의해서 덮개(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320)에는 연결관(T2)과 온수공급노즐(321)을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본체(411)의 로드이동부(411c)는 전술한 제1연결구(411a)와 제2연결구(411b)가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밸브로드(412)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로드이동부(411c)의 개방된 타측으로 밸브로드(412)가 삽입되어, 밸브로드(412)가 로드이동부(411c)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밸브로드(412)의 일측과 타측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밀봉부재(41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이동부(411c)에 연결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밸브로드(412)가 로드이동부(411c)에서 이동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공간(SC)에 의해서 제1연결구(411a)와 제2연결구(411b)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소정 압력의 온수가 연결관(T1)을 유동하여 제1연결구(411a)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구(411a)에 유입된 소정 압력의 온수는 로드이동부(411c)의 연결공간(SC)을 통해 제2연결구(411b)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T2)을 통해 덮개(320)의 온수공급노즐(321)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수공급노즐(321)에 공급된 소정 압력의 온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노즐(321)에 의해서 천공된 음료캡슐(C)의 상면을 통해 음료캡슐(C)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음료캡슐(C)에 저장된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분말과 혼합되어 음료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로드(412)가 로드이동부(411c)에서이동하여 제연결구(411b)만 로드이동부(411c)의 연결공간(SC)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구(411a)에 유입된 소정 압력의 온수는 연결공간(SC)을 통해 제2연결구(411b)로 유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제2연결구(411b)는 외부와 연통된 로드이동부(411c)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음료캡슐(C)이나 음료캡슐(C)이 장착된 장착공간(MC)의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되면,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음료나 증기 등의 유체는 압력차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노즐(321)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공급노즐(321)에 유입된 유체는 이에 연결된 연결관(T2)을 유동하여 밸브본체(411)의 제2연결구(411b)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구(411b)에 유입된 유체는 이후 로드이동부(411c)를 유동하여 로드이동부(411c)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밸브부(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420)와 제2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20)는 밸브로드(412)와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420)는 밸브로드(412)와 바디(2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20)는 레버부재(310)에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재(420)는 상기 레버부재(310)와 덮개(3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330,340,350)에 연결된 연결핀(CP)에 연계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420)는 제1링크부재(330)와 제2링크부재(340) 및 제3링크부재(35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CP)에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420)에는 연결핀(CP)이 걸리는 걸림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부(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탄성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430)는 연결부재(420)와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밸브로드(412)에는 연결부재(420)를 통해 제2탄성부재(430)의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4와 도6에 도시된 경우에 밸브로드(412)는 제2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되어 연결공간(SC)이 제1연결구(411a)와 제2연결구(411b)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4의 경우에 연결핀(CP)은 연결부재(420)의 걸림홈(421)에 걸리게 되어 연결부재(420)에는 제2탄성부재(430)의 탄성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6의 경우에 연결핀(CP)은 연결부재(420)의 걸림홈(421)에 걸리지 않게 되나, 연결부재(420)에 제2탄성부재(430)의 탄성력 이외의 다른 힘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캡슐(C)로부터의 음료추출후 사용자가 레버부재(31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여 레버부재(310)가 회전하게 되면, 연결핀(CP)은 연결부재(420)의 걸림홈(421)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연결핀(CP)에 의해서 연결부재(420)에 제2탄성부재(430)에 의한 탄성력과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핀(CP)에 의해서 연결부재(420)에 작용하는 힘이 제2탄성부재(430)에 의한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20)에 의한 밸브로드(412)의 이동에 의해서 연결공간(SC)이 제1연결구(411a)에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유체가 온수공급노즐(321)과 연결관(T2), 밸브본체(411)의 제2연결구(411b)와 로드이동부(411c)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음료캡슐(C) 또는 장착공간(MC)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를 사용하면, 음료추출후 음료캡슐 또는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용이하게 낮출 수 있으며,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가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경우 음료추출장치가 음료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음료추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음료캡슐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음료캡슐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부;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이 덮개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여 상기 장착공간이 개방되거나 밀폐되도록 하는 개폐부; 및
    음료추출시에는 밀폐된 상기 장착공간의 음료캡슐에 소정 압력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음료추출후에는 상기 음료캡슐 또는 장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레버부재와 덮개가 연결되는 바디;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음료캡슐을 천공하는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장착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에 형성된 음료배출구멍을 개폐하도록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음료추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레버부재와 덮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덮개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와 제1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덮개에 구비된 온수공급노즐과 온수공급원이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온수공급노즐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온수공급노즐과 온수공급원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밸브본체; 및
    상기 밸브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로드;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온수공급원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
    상기 온수공급노즐에 연결되는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연결되며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상기 밸브로드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이동부;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드에는 상기 로드이동부에 연결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음료추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밸브로드와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부재에 연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바디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음료추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와 덮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에 연결된 연결핀에 연계되는 음료추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연결핀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음료추출장치.
PCT/KR2014/001791 2013-04-22 2014-03-05 음료추출장치 WO20141755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23107.6A CN105142470B (zh) 2013-04-22 2014-03-05 饮料提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030 2013-04-22
KR1020130044030A KR102156144B1 (ko) 2013-04-22 2013-04-22 음료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5546A1 true WO2014175546A1 (ko) 2014-10-30

Family

ID=5179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791 WO2014175546A1 (ko) 2013-04-22 2014-03-05 음료추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56144B1 (ko)
CN (1) CN105142470B (ko)
WO (1) WO2014175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0585B (zh) 2016-05-18 2021-07-30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N107400588B (zh) * 2016-05-18 2021-08-03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US11111467B2 (en) 2016-05-18 2021-09-07 Lg Electronics Inc. Beverage making apparatus
CN107400583B (zh) 2016-05-18 2021-07-13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包及具有其的啤酒酿造装置
CN107400586B (zh) 2016-05-18 2021-05-28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US11208621B2 (en) 2016-05-18 2021-12-28 Lg Electronics Inc. Beverage-making apparatus
US11224306B2 (en) 2016-05-18 2022-01-18 Lg Electronics Inc. Beverage-making apparatus
US11268055B2 (en) 2016-05-18 2022-03-08 Lg Electronics Inc. Beverage making apparatus
CN109345712B (zh) * 2018-09-06 2021-03-05 深圳市道中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咖啡机的人脸识别方法及咖啡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2542B2 (en) * 2001-03-23 2004-12-21 Nestec S.A.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 hot beverage
KR20070100715A (ko) * 2004-11-19 2007-10-11 치보 게엠베하 커피 머신과 할당 캡슐을 포함하는 시스템
US20090130270A1 (en) * 2004-06-29 2009-05-21 Sgl Italia S.R.L. Infusio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ly producing 'american' and 'espresso' coffee from the same capsule of ground coffee
US20120003128A1 (en) * 2009-02-24 2012-01-05 Saint-Gobain Centre De Recherches Et D'etudes Europeen Coated ceramic part
KR20120119192A (ko) * 2011-04-20 2012-10-30 (주) 다이랑 1회용 캡슐 추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853142T3 (pl) * 2005-02-07 2009-09-30 Nestec Sa Urządzenie do przyrządzania napoju z kapsuły poprzez wtryskiwanie płynu pod zwiększonym ciśnieniem i przystosowany do niego uchwyt kapsuły
DK1688072T3 (da) * 2005-02-07 2008-07-07 Nestec Sa Indretning til fremstilling af en drik fra en kapsel ved indspröjtning af en fluid under tryk
CN101641265B (zh) * 2007-03-23 2011-05-11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具有带压力释放开口的开口板的饮料配料胶囊
EP2238878A1 (en) * 2009-04-09 2010-10-13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having a closing mechanism with force demultiplying means
CN101669767B (zh) * 2009-09-17 2011-06-29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一种饮料酿造装置
CN102639035B (zh) * 2009-10-05 2016-03-02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人体工程学胶囊提取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2542B2 (en) * 2001-03-23 2004-12-21 Nestec S.A.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 hot beverage
US20090130270A1 (en) * 2004-06-29 2009-05-21 Sgl Italia S.R.L. Infusio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ly producing 'american' and 'espresso' coffee from the same capsule of ground coffee
KR20070100715A (ko) * 2004-11-19 2007-10-11 치보 게엠베하 커피 머신과 할당 캡슐을 포함하는 시스템
US20120003128A1 (en) * 2009-02-24 2012-01-05 Saint-Gobain Centre De Recherches Et D'etudes Europeen Coated ceramic part
KR20120119192A (ko) * 2011-04-20 2012-10-30 (주) 다이랑 1회용 캡슐 추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42470B (zh) 2018-01-26
KR20140126792A (ko) 2014-11-03
KR102156144B1 (ko) 2020-09-16
CN105142470A (zh)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75546A1 (ko) 음료추출장치
WO2014073822A1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WO2016032155A1 (ko) 디스펜서 용기
WO2012045276A1 (zh) 按钮切换出水机构及其切换方法
WO2015008906A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5023104A1 (ko)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WO2015088250A1 (ko) 병 진공밀폐장치
WO2013137564A1 (en) Vacuum apparatus
WO2022146079A1 (ko) 정수기
WO2017039236A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WO2011118885A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WO2013137552A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WO2012041249A1 (zh) 按钮切换三通阀
WO2018139812A1 (en) Dishwasher
WO2016061723A1 (zh) 一种花洒水路切换装置
WO2011087254A2 (ko) 액체세제 공급장치
WO2015088181A1 (ko) 정압 부항 장치
WO2016043425A2 (ko) 흑채 자동분사기
CN104577728A (zh) 智能配电模块及具有该模块的配电系统
WO2018199533A1 (ko) 물배출장치
WO2021091208A1 (ko) 도어형과 서랍형 수납장에 모두 적용 가능한 도어락 장치
WO2013100479A1 (en) Water discharging apparatus
CN109607464B (zh) 调料控制机构和用于调料控制机构的操作方法
WO2013129764A1 (en) Water leakage preventing humidification apparatus
WO2019107745A1 (ko) 파우더 토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23107.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877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77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