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527B1 - 코크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코크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527B1
KR101692527B1 KR1020150094628A KR20150094628A KR101692527B1 KR 101692527 B1 KR101692527 B1 KR 101692527B1 KR 1020150094628 A KR1020150094628 A KR 1020150094628A KR 20150094628 A KR20150094628 A KR 20150094628A KR 101692527 B1 KR101692527 B1 KR 10169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lever
lever member
hot water
cold water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to KR1020150094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또는 냉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부(14) 및 유출부(12)가 구비되고, 외부로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는 코크밸브몸체(10)와;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부재(40)와; 상기 유로개폐부재(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유로개폐부재(40)와 연결되어 상기 유로개폐부재(4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구동축(50)과; 상기 구동축(50)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고, 상기 구동축(50)을 상하로 승강시켜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조작레버부재(60)와;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일면과 접촉되고, 상기 조작레버부재(60)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부재(70);를 포함하는 코크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부재의 사이에 스토퍼부재가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을 위한 조작레버부재의 전방 회동을 차단하여 냉온수기 및 정수기 등의 연속추출을 손쉽게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토퍼부재를 조작레버부재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조작레버부재를 개조하지 않고, 스토퍼부재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을 기구적으로 차단하여 어린이 또는 유아의 오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어린이 또는 유아의 안전사고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크 안전장치{COCK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코크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작레버부재의 사이에 스토퍼부재가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을 위한 조작레버부재의 전방 회동을 차단하여 냉온수기 및 정수기 등의 연속추출을 손쉽게 차단하는 코크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및 냉온수기에는 정수된 물을 냉수와 온수로 나누어 출수할 수 있는 코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코트 밸브는 사용자가 취수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 냉수 및 온수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할 수 있다.
그러나 온수의 경우 온도가 90도 이상의 고온이므로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으면 사용상의 부주의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코크 밸브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10-0303626호에 기재된 냉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경우, 취수레버의 전방에 위치한 누름 버튼을 가압한 상태에서만 취수 레버가 작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누름 버튼을 가압하여 취수 버튼이 작동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용기로 취수 레버를 가압해야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할 수 있다.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한 후 취수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누름 버튼을 다시 한 번 눌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취수 레버를 가압하더라도 토출구가 개방되지 않아 취수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사용자는 냉수 또는 온수를 연속 추출하기 위하여 도 8과 같이, 취수 레버를 90도 각도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에서 냉수 또는 온수를 연속 추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속 추출 방식의 사용시 아이들이 부주의하게 행동하는 경우에는 화상을 입거나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차일드락(child-lock) 기능은 대부분이 전자적인 구성부품과 기계적인 구성부품을 추가하여 제어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성 및 제품 제작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362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작레버부재의 사이에 스토퍼부재가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을 위한 조작레버부재의 전방 회동을 차단하여 냉온수기 및 정수기 등의 연속추출을 손쉽게 차단하는 코크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는, 온수 또는 냉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출부 및 유입부가 구비되고, 외부로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는 코크밸브몸체와, 상기 코크밸브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부재와, 상기 유로개폐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코크밸브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유로개폐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유로개폐부재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고, 상기 구동축을 상하로 승강시켜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조작레버부재와, 상기 조작레버부재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코크밸브몸체의 일면과 접촉되고, 상기 조작레버부재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조작레버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시에 상기 조작레버부재에서 제거된다.
상기 조작레버부재는, 상기 구동축의 양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고정핀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이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회동몸체와, 상기 회동몸체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몸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레버지지대와, 상기 레버지지대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소정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누름판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부재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버지지대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의 전방 회동시 일정각도 이상으로 상기 조작레버부재가 회동되는 경우에 상기 코크밸브몸체와 접촉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레버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끝단부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의 측면에 고정되는 후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판의 일면에는, 좌우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부재의 하단을 고정하는 결합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작레버부재의 사이에 스토퍼부재가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을 위한 조작레버부재의 전방 회동을 차단하여 냉온수기 및 정수기 등의 연속추출을 손쉽게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토퍼부재를 조작레버부재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조작레버부재를 개조하지 않고, 스토퍼부재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을 기구적으로 차단하여 어린이 또는 유아의 오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어린이 또는 유아의 안전사고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토퍼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토퍼부재의 구성을 보인 후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코크가 연속추출을 위해 스토퍼부재가 제거되고, 조작레버부재가 전방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토퍼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토퍼부재의 구성을 보인 후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크가 연속추출을 위해 스토퍼부재가 제거되고, 조작레버부재가 전방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크 안전장치는, 온수 또는 냉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출부(12) 및 유입부(14)가 구비되고, 외부로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는 코크밸브몸체(10)와,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부재(40)와, 상기 유로개폐부재(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유로개폐부재(40)와 연결되어 상기 유로개폐부재(4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구동축(50)과, 상기 구동축(50)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고, 상기 구동축(50)을 상하로 승강시켜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조작레버부재(60)와,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일면과 접촉되고, 상기 조작레버부재(60)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부재(7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크밸브몸체(1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유출부(12)와, 상기 유출부(12)의 측면에 돌출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유입부(1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출부(12)는 상하측이 각각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뿐만 아니라, 후술할 유입부(14)와 연통 되어 상기 유입부(14)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출부(12)의 측면 중앙에는 유입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부(12)와 상기 유입부(14)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4)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4)는 상기 유출부(12)의 측면 중앙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유출부(12)와 연통되어,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에서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를 상기 유출부(12)에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출부(12)의 측면에는 출수버튼(20)이 설치된다. 상기 출수버튼(20)은 일반적인 버튼(button)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출수버튼(20)은 상기 유출부(12)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눌려지고, 내부에 복귀스프링(22)이 설치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출수버튼(20)의 내부에는 잠금샤프트(30)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샤프트(3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잠금샤프트(30)는 상기 출수버튼(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버튼(20)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눌려짐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후술할 유로개폐부재(4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샤프트(30)의 좌측 외주면에는 록킹부재(32)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32)는 상기 잠금샤프트(30)의 좌측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3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32)는 상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3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32)의 하부에는 탄성스프링(36)이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재(32)가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상기 록킹부재(32)는 상기 잠금샤프트(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유출부(12)의 내부로 삽입되어 후술할 구동축(5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출수버튼(20)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 상기 잠금샤프트(30)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록킹부재(32)가 상기 유출부(12)의 내부로 삽입되며, 후술할 구동축(5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샤프트(30)의 우측 외주면에는 승강가이드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부(38)는 도 2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부(38)의 내부에는 후술할 승강돌기(44)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샤프트(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후술할 유로개폐부재(40)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유출부(12)의 내부에는 유로개폐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개폐부재(4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유로개폐부재(40)는 상기 유출부(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부(12)의 하단을 폐쇄 또는 개방하여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로개폐부재(40)의 상측 중앙에는 샤프트수용홀(42)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수용홀(42)은 상기 유로개폐부재(40)에 원통 형상으로 좌우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수용홀(42)의 내부에는 상기 잠금샤프트(30)가 관통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수용홀(42)의 내주면 상측에는 승강돌기(44)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돌기(44)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승강돌기(44)는 상기 승강가이드부(38)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샤프트(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유로개폐부재(40)를 상부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로개폐부재(40)의 상부면에는 누름부재(46)가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재(46)는 일반적인 탄성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누름부재(46)는 상기 유로개폐부재(40)와 후술할 구동축(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개폐부재(40)를 하부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누름부재(46)는 상기 잠금샤프트(3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 상기 유로개폐부재(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유로개폐부재(40)의 상측에는 구동축(5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50)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구동샤프트(52)와, 상기 구동샤프트(5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재(32)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몸체(5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샤프트(52)는 일부분이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후술할 조작레버부재(60)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승강된다.
상기 구동샤프트(52)의 하부에는 승강몸체(54)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몸체(54)는 단면이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축(50)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몸체(54)는 상기 록킹부재(32)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샤프트(52)를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출수버튼(20)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잠금샤프트(30)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록킹부재(32)가 상기 구동축(50)을 소정 높이 만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승강돌기(44)가 상기 승강가이드부(38)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개폐부재(40)가 상기 유출부(12)의 하단을 개방한다.
또한, 상기 출수버튼(20)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술할 조작레버부재(60)를 회전시킨다 해도 상기 구동축(50)만 상측으로 상승할 뿐 상기 누름부재(46)가 상기 유로개폐부재(40)를 하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유로개폐부재(40)의 상승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축(50)의 상측에는 조작레버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레버부재(60)는, 상기 구동축(50)의 양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고정핀(63)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50)이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회동몸체(62)와, 상기 회동몸체(62)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몸체(62)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레버지지대(66)와, 상기 레버지지대(66)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소정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누름판(6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몸체(62)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내부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64)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몸체(62)의 결합홈(64) 내부에는 상기 구동샤프트(52)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회동몸체(62)와 상기 구동샤프트(52)의 내부에는 고정핀(63)이 관통 삽입되어, 상기 구동샤프트(52)에 상기 회동몸체(62)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회동몸체(62)의 상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샤프트(52)가 승강된다.
상기 회동몸체(62)의 양측에는 레버지지대(66)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지지대(66)는 상기 회동몸체(62)의 양측면을 따라 대략 "┐"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레버지지대(66)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몸체(62)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레버지지대(66)는 상기 회동몸체(62)의 상하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상기 레버지지대(66) 사이에는 누름판(68)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판(68)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어 눌려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누름판(68)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레버지지대(66)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레버지지대(66)와 연결되는 회동몸체(62)가 상하로 회동되어 상기 구동축(50)이 승강된다.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내부에는 스토퍼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부재(7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버지지대(66)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전방 회동시 일정각도 이상으로 상기 조작레버부재(60)가 회동되는 경우에 상기 코크밸브몸체(10)와 접촉되는 걸림판(72)과, 상기 걸림판(72)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레버지지대(66)의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단(74)과, 상기 고정단(74)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끝단부에 후크(hook)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측면에 고정되는 후크부(7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판(72)은 한 쌍의 상기 레버지지대(6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지지대(66)가 전방측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상기 코크밸브몸체(10)와 접촉되어 상기 레버지지대(66)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걸림판(72)의 양측에는 고정단(7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74)은 상기 걸림판(72)의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74)은 한 쌍의 상기 레버지지대(66)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걸림판(7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판(72)의 후면에는 후크부(76)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76)는 도 7과 같이, 상기 고정단(74)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며, 끝단에 후크(hook)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지지대(66)의 외측에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걸림판(72)의 고정시에 상기 고정단(74)과 상기 후크부(76) 사이에 상기 레버지지대(66)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로 인해 상기 걸림판(72)이 한 쌍의 상기 레버지지대(66)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걸림판(72)의 후면 하측에는 결합리브(7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78)는 상기 걸림판(72)의 후면 하측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78)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78)는 상기 누름판(68)의 상부면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걸림판(72)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78)의 하부면에는 결합가이드면(8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면(80)은 상기 결합리브(78)의 하부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부재(70)의 결합시 상기 스토퍼부재(70)의 결합을 안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코크 안전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온수 또는 냉수의 출수시에는 출수버튼(20)을 눌려주어 잠금샤프트(30)를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잠금샤프트(30)의 우측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샤프트(30)의 외주면에 설치된 록킹부재(32)가 구동축(50)의 승강몸체(54)를 소정 높이 만큼 승강시킨다.
상기 승강몸체(54)가 상기 록킹부재(32)에 의해 승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레버부재(60)의 누름판(68)을 눌러주어 상기 구동축(5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축(50)의 상측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축(50)과 상기 유로개폐부재(4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개폐부재(40)의 승강돌기(44)가 승강가이드부(38)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유로개폐부재(40)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코크밸브몸체(10)의 유출부(12) 하단이 개방되어 온수 또는 냉수가 외부로 출수된다.
사용자가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시에는 도 8과 같이, 상기 조작레버부재(60)를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전방측으로 대략 90도 각도로 완전 회전시켜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온수 또는 냉수가 넘치거나, 특히 온수가 과도하게 추출되어 사용자가 화재을 입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연속 추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사이에 스토퍼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부재(70)는 한 쌍의 레버지지대(6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60)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60)가 전방으로 완전 회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을 위해서는 도 8과 같이,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전방 회동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상기 스토퍼부재(70)가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외주면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전방 회동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재(70)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속 추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부재(60)에서 쉽게 탈거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코크밸브몸체 12. 유출부
12. 유입부 20.출수버튼
30. 잠금샤프트 32. 록킹부재
40. 유로개폐부재 50. 구동축
60. 조작레버부재 70. 스토퍼부재

Claims (5)

  1. 온수 또는 냉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부(14) 및 유출부(12)가 구비되고, 외부로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는 코크밸브몸체(10)와;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부재(40)와;
    상기 유로개폐부재(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유로개폐부재(40)와 연결되어 상기 유로개폐부재(4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구동축(50)과;
    상기 구동축(50)의 양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고정핀(63)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50)이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회동몸체(62)와, 상기 회동몸체(62)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몸체(62)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레버지지대(66)와, 상기 레버지지대(66)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소정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누름판(68)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고, 상기 구동축(50)을 상하로 승강시켜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조작레버부재(60)와;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코크밸브몸체(10)의 일면과 접촉되고, 상기 조작레버부재(60)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부재(70)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7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버지지대(66)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전방 회동시 일정각도 이상으로 상기 조작레버부재(60)가 회동되는 경우에 상기 코크밸브몸체(10)와 접촉되는 걸림판(72)과;
    상기 걸림판(72)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레버지지대(66)의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단(74)과;
    상기 고정단(74)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끝단부에 후크(hook)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부재(60)의 측면에 고정되는 후크부(76);를 포함하는 코크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70)는,
    상기 조작레버부재(6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연속추출시에 상기 조작레버부재(60)에서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 안전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72)의 일면에는,
    좌우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68)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하단을 고정하는 결합리브(78);를 더 포함하는 코크 안전장치.
KR1020150094628A 2015-07-02 2015-07-02 코크 안전장치 KR101692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28A KR101692527B1 (ko) 2015-07-02 2015-07-02 코크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28A KR101692527B1 (ko) 2015-07-02 2015-07-02 코크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527B1 true KR101692527B1 (ko) 2017-01-04

Family

ID=5783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28A KR101692527B1 (ko) 2015-07-02 2015-07-02 코크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5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776A (ko) * 2017-01-02 2018-07-11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밸브 회동제한장치
KR102101782B1 (ko) * 2019-11-26 2020-04-17 정낙원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424Y1 (ko) * 2000-01-27 2000-06-15 채병태 냉/온 음료공급기용 온수토출밸브의 안전장치
KR200278993Y1 (ko) * 2002-04-03 2002-06-20 박형진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음료 공급기용 토출구
KR200300627Y1 (ko) * 2002-10-25 2003-01-14 이평호 냉온수기 급수콕의 푸쉬레버 잠금구조
KR200303626Y1 (ko) 2002-11-09 2003-02-12 (주)동양전자 냉온 정수기용 배수콕
KR20100107640A (ko) * 2009-03-26 2010-10-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 취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424Y1 (ko) * 2000-01-27 2000-06-15 채병태 냉/온 음료공급기용 온수토출밸브의 안전장치
KR200278993Y1 (ko) * 2002-04-03 2002-06-20 박형진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음료 공급기용 토출구
KR200300627Y1 (ko) * 2002-10-25 2003-01-14 이평호 냉온수기 급수콕의 푸쉬레버 잠금구조
KR200303626Y1 (ko) 2002-11-09 2003-02-12 (주)동양전자 냉온 정수기용 배수콕
KR20100107640A (ko) * 2009-03-26 2010-10-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 취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776A (ko) * 2017-01-02 2018-07-11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밸브 회동제한장치
KR101934273B1 (ko) 2017-01-02 2019-01-02 대한민국 밸브 회동제한장치
KR102101782B1 (ko) * 2019-11-26 2020-04-17 정낙원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2892B2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3205180U (ja) 容器の蓋体構造
KR101692527B1 (ko) 코크 안전장치
KR200478524Y1 (ko)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
US11103099B2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101828430B1 (ko)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KR101442420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20120094750A (ko) 정수기용 온수밸브
JP2000070777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KR101520176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20180055003A (ko) 코크 안전장치
KR20090062972A (ko)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CN212089205U (zh) 能进行手动泄压的烹饪设备
KR100896798B1 (ko)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101988952B1 (ko) 물배출장치
KR101741492B1 (ko) 안전 코크 어셈블리
WO2015144639A1 (en) Carbonation device
KR101674093B1 (ko) 냉온수기
KR101726831B1 (ko)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KR101809609B1 (ko) 노레버 타입 정수기용 코크
KR20090126867A (ko)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
KR200364319Y1 (ko) 안전급수밸브
KR102010651B1 (ko) 정수기용 코크 밸브
JP2005262289A (ja) スライドバルブの面圧負荷装置
US11198603B1 (en) Push type anti-scalding water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