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44012A1 -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44012A1
WO2024144012A1 PCT/KR2023/020562 KR2023020562W WO2024144012A1 WO 2024144012 A1 WO2024144012 A1 WO 2024144012A1 KR 2023020562 W KR2023020562 W KR 2023020562W WO 2024144012 A1 WO2024144012 A1 WO 20241440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avity
purification device
filter
water purification
filt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205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WO20241440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440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 a typical water purifier produces clean water by passing raw water through a fil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ese water purifiers use electrical energy to provide constant water pressure to raw water.
  • the case portion has a first role of protecting the plurality of flat filters by covering the filter portion, and the overall weight of the filter module for the gravity water purification device so that the filter module for the gravity water purification device can sink in the raw water due to its own weight. It can perform a second role of increasing and a third role of separating the filtering member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where a certain amount of raw water is stored.
  • 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to which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lter module 100 for a gravity water purification device can produce filtered water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raw water through water pressure caused by gravity or potential energy while submerged in raw water.
  • the nanofiber web (111c) may play a role in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raw water, and the support (111a) supports the nanofiber web (111c) by the nanofiber web (111c). It may serve as a passageway for moving the produced filtered water.
  • the support 111a may be a porous substrate to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ltrate produced by the nanofiber web 111c moves.
  • the support 111a may be any one of woven fabric, knitted fabric, or non-woven fabric.
  • the support frame may support the edge of the filtering member 111 and maintain the filtering member 111 in a plate shape.
  • the support frame may include a flow path 112c on the inside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the filtering member 111 can move.
  • the plurality of frames 112 include a plate-shaped first plate 112a and a pair of second plates 112b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112a. ), and the flow path 112c may be defined by a pair of second plates 112b and the first plate 112a facing each other.
  • a restraining member 112d that limi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ltering member 111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plates 112b facing each other. Through this, even if the edge of the filtering member 111 is fastened to the frame 112,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ltering member 111 can be limited through the restraining member 112d, and the inside of the frame 112 The flow path 112c formed in can be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space.
  • the connecting members (113, 113', 113") may be coupled to the corner side of the support frame.
  • a plurality of such connecting members (113, 113', 113") may be provided, an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It can be coupled to the corner side to fix the ends of two adjacent frames 112.
  • the connecting members 113, 113', and 113" may include a first part 113a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upport frame (see FIGS. 9 and 10).
  • some of the connecting members (113', 113")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3, 113', 113") are coupled to the fastening bar 140 while fixing the ends of the two adjacent frames 112. It can play the role of a fastener.
  • the connecting members 113' and 113" extend from the first part 113a and the first part 113a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upport frame, as shown in FIGS. 9 and 10, and form a through hole.
  • (113d) may include a penetrating second portion (113b).
  • the first part (113a) may be formed in a shape with one side open so as to surround the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part (113b) may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first part (113a). You can.
  • the end sides of two adjacent frames 112 can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rst part 113a, respectively, and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 a plurality of flat filters 1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bar 14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3d of the second portion 113b.
  • the plurality of flat filters 110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can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ing bar 14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3d of the second part 113b.
  • the second part 113b serves as a fastening member to which the fastening bar 140 is fastened and maintains the gap between the filtering members 111 provided in each of the two flat filters 110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t can also serve as a gap maintenance member.
  • the second part 113b can also serve as a coupling member that couples two plate-shaped filters 11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 the second part 113b has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part 113a, as shown in FIGS. 3 to 5, and has a through hole 113d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ar 140 can pass.
  • a hollow protrusion 113e protrudes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113c while defining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3d, and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3d. It may include a hollow groove portion 113e that surrounds and is formed into a second side of the body that is opposite to the first side.
  • the through hole 113d may be formed in the body 113c to penetrate both the protrusion 113e and the groove 113e.
  • the fastening bar 140 can pass through all of the through holes 113d formed in the two plate-shaped filters 110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two plate-shaped filters 110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 the protrusion 113e formed on one of the flat filters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13e formed on the other flat filter 110.
  •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e-type filters 110 can produce filtered water by allowing both surfaces of the filtering member 111 to come into contact with raw water.
  • the protrusion 113e formed on one of the two flat filters 110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110 is attached to the other plate filter 110.
  • the coupling force can be further increa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113e formed in the flat filter 110 and coupled to each other.
  •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embers 113, 113', and 113" may include a receiving port 114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moving along the flow path 112c to the outside.
  •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receiving port 114 is not limited to this, and if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112c, it can be formed to be located in various positions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 This receiving port 114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ed water collecting part 120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123 as shown in FIG. 2 . Accordingly, the filtered water produc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lat filters 110 can move to the filtered water collection unit 120 through the receiving port 114.
  • the filtered water collection unit 120 can integrate the filtered water produced by each plate-type filter (110). That is, the filtrated water collec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 114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lat filters 110.
  • the filtered water collection unit 120 can collect filtered water individually produced from each plate-type filter 110 in one space.
  • the filtrated water collection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inlets 121 and a plurality of inlets 121 connected one-to-one with the receiver 114 through a first connection pipe 123,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n outlet 122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121 to the outside.
  • the filtered water individually produced by the plurality of plate-type filters 110 may be integrated through the filtered water collection unit 12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2.
  • the case part 130 can prevent the filtering member 111 of the flat filter 110 from being damaged by protecting the filter part while smoothly flowing raw water for producing filtered water into the filter part.
  • the case portion 130 may fix both ends of the fastening bar 140 that fastens the plurality of flat filters 110. That is, both ends of the fastening bar 140 can be fixed to the fastening hole 138 formed in the case portion 130 while fastening a plurality of flat filters 11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 the plurality of flat filters 110 can be fixed to the case part 130 through the fastening bar 140, and both ends of the fastening bar 140 are connected to the case part 130. Once fixed, it can be integrated with the case portion 130 through the fastening bar 140.
  • case portion 13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137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attach it.
  • the case portion 130 includes a front plate 131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34 are formed and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a plurality of second apertures 134. It may include a rear plate 132 through which a hole 135 is formed and covers the rear of the filter unit, and an upper plate 133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while connecting the front plate 131 and the rear plate 132. there is.
  • the case portion 130 can increase the overall weight of the filter module 100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eposition space (S) in which foreign matter is deposi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136a, 136b), and the foreign matter deposition space (S) is us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filtered water from raw water.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raw water may be deposited.
  • the above-described filter module 100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can be implemented as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1000 that produces filtered water using gravity.
  • the filter module 100 may be the filter module 100 for the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described above, and the filter module 10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so as to be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200.
  •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20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ed water outlet 210 connected to the filter module 100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and a known opening/closing valve 300 may be installed on the filtered water outlet 210 side. ) can be installed.
  • the filtered water produced in the filter module 100 can move to the filtered water outlet 210 through the filtered water collection unit 120 and the second connector 220.
  • the filtered water outlet 210 is opened by manipulating the opening/closing valve 300, the filtered water produced in the filter module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ed water outlet 210, and the internal space is moved by gravity or position. Water pressure may occur due to energy.
  • the raw water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may penetrate into the filtration member 111 of the filter module 100 by water pressure and be changed into filtered water as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and the filtrated water produced in the filter module 100 It can be moved to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ort 210.
  • the gravity water purification device 1000 can produce filtered water from raw water using water pressure caused by gravity or potential energy.
  • the gravity water purification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filtered water even without using additional power such as electricity, so it can be used in harsh environments where infrastructure such as electricity is not installed or electricity supply is difficult. You can easily produce the filtered water you ne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여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재의 일면이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로부터 각각 생산된 여과수를 취합하는 여과수취합부; 및 상기 필터부의 양 측면이 개방되면서 상기 필터부의 전면, 후면 및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 측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원수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체결하는 체결바의 양단을 고정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본 발명은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수기는 원수를 필터로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생산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원수에 일정한 수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정수기는 원수로 일정한 수압을 부여하기 위한 펌프시설이 필요하며, 펌프시설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시설도 함께 갖추어져야 한다.
이로 인해, 펌프시설이나 전기시설과 같은 설비가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는 깨끗한 물을 생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여과수를 생산하면서도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여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재의 일면이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로부터 각각 생산된 여과수를 취합하는 여과수취합부; 및 상기 필터부의 양 측면이 개방되면서 상기 필터부의 전면, 후면 및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 측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원수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체결하는 체결바의 양단을 고정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필터부를 덮어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보호하는 제1역할과,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이 자중에 의해 원수 내에서 침강될 수 있도록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의 전체무게를 증가시키는 제2역할 및 상기 원수가 일정량 저장된 저장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여과부재를 일정높이 이격시키는 제3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복수 개의 제1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전면을 덮는 전면판; 복수 개의 제2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후면을 덮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을 연결하면서 상기 필터부의 상면을 덮는 상판; 및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 각각의 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과 면접하는 한 쌍의 연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바는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재가 상기 한 쌍의 연장판보다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양단이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형 필터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체결바와 체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감싸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면서 상기 체결바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공이 관통형성된 몸체와, 상기 통과공의 테두리를 규정하면서 상기 몸체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중공형의 돌출부와 상기 통과공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1면과 반대면인 상기 몸체의 제2면에 인입형성되는 중공형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과공은 상기 돌출부 및 홈부를 모두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평판형 필터는 상기 체결바가 두 개의 평판형 필터에 각각 형성된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면서 어느 하나의 평판형 필터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평판형 필터에 형성된 홈부 측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원수가 저장된 내부공간을 갖는 저장조; 및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술한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평판형 필터 측으로 흡입되어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수가 생산되는 중력식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부를 통해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여과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이물질에 의한 여과부재의 재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전기와 같은 동력의 공급이 없는 열악한 조건에서도 중력을 이용하여 깨끗한 여과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모듈을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분리도,
도 3은 도 1의 A-A 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에서 두 개의 연결부재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평판형 필터의 일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분리도,
도 8은 도 6에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의 단면도,
도 9는 도 6에 적용될 수 있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6에서 연결부재와 지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이 적용된 중력식 정수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면과 후면은 도 1에서 x축과 수직한 면을 의미할 수 있고, 측면은 y축과 수직한 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은 z축과 수직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폭방향은 x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원수 내에 잠긴 상태에서 중력 또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한 수압을 통해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원수가 저장된 저장조(2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중을 통해 저장조(200)의 바닥면에 침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여과부재(111)가 저장조(200)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조(200)에 저장된 원수의 양이 충분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상기 원수에 완전히 잠긴 상태로 상기 저장조(20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장조(200)에 저장된 원수의 양이 적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상기 저장조(200)의 바닥면에 침강된 상태를 유지하여 여과부재(111)와 접촉되는 원수의 양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 여과수취합부(120) 및 케이스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는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부는 원수와의 접촉면적을 늘리면서도 여과수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 각각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여과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재(111)의 일면이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는 체결바(140)를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가 일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더라도 각각의 평판형 필터(110)에 구비된 여과부재(111)는 원수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여과부재(111)는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에서 각각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음으로써 여과수 생산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 각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111)와, 상기 여과부재(1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13,113',113") 및 상기 여과부재(111)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111)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과부재(111)는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11a)의 양면에 접착층(111b)을 매개로 부착된 한 쌍의 나노섬유웹(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나노섬유웹(111c)은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역할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111a)는 상기 나노섬유웹(111c)을 지지하면서 상기 나노섬유웹(111c)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를 이동시키는 이동통로의 역할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체(111a)는 상기 나노섬유웹(111c)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공성의 기재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지지체(111a)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111c)은 나노섬유를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과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에멀젼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여과부재(111)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형태라면 수처리에 사용되는 공지의 여과부재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111)를 판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12)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은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상기 연결부재(113,113',113")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1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여과부재(111)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유로(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111)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여과부재(111)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를 상기 수취구(114) 측으로 이동시키는 유동경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제1판(112a)과, 상기 제1판(112a)의 양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11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112c)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 및 상기 제1판(112a)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여과부재(11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구속부재(112d)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112)에 체결되더라도 상기 구속부재(112d)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의 삽입깊이가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2)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112c)는 소정의 공간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3,113',113")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113,113',11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측에 결합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13,113',113")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를 감싸는 제1부분(113a)을 포함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113,113',113") 중 일부의 연결부재(113',113")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의 단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체결바(140)와 결합되는 체결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13',113")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를 감싸는 제1부분(113a)과 상기 제1부분(113a)으로부터 연장되면서 통과공(113d)이 관통형성된 제2부분(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부분(113a)은 상기 지지프레임을 감쌀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부분(113b)은 상기 제1부분(113a)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12)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은 단부측이 각각 상기 제1부분(113a)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분(113b)의 통과공(113d)을 통과하는 체결바(14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는 상기 제2부분(113b)의 통과공(113d)을 통과하는 체결바(140)를 통해 서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분(113b)은 상기 체결바(140)가 체결되는 체결부재로서의 역할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평판형 필터(110)에 각각 구비되는 여과부재(111)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부분(113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부분(113b)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분(113a)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면서 상기 체결바(1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공(113d)이 관통형성된 몸체(113c)와, 상기 통과공(113d)의 테두리를 규정하면서 상기 몸체(113c)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중공형의 돌출부(113e)와 상기 통과공(113d)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1면과 반대면인 상기 몸체의 제2면에 인입형성되는 중공형의 홈부(113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과공(113d)은 상기 돌출부(113e) 및 홈부(113e)를 모두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113c)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바(14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평판형 필터(110)에 각각 형성된 통과공(113d)을 모두 통과할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평판형 필터(110) 중 어느 하나의 평판형 필터(110)에 형성된 돌출부(113e)는 다른 하나의 평판형 필터(110)에 형성된 홈부(113e)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는 상기 체결바(140)를 통한 1차 결합과 상기 돌출부(113e) 및 홈부(113e)의 상호결합에 의한 2차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가 체결바(140)를 통해 서로 고정되는 경우 각각의 평판형 필터(110)를 완전히 밀착시키더라도 일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여과부재(111)는 상기 제2부분(113b)을 통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 각각은 여과부재(111)의 양면이 원수와 모두 접촉될 수 있음으로써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더불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밀착시키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평판형 필터(110) 중 어느 하나의 평판형 필터(110)에 형성된 돌출부(113e)가 다른 하나의 평판형 필터(110)에 형성된 홈부(113e)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13,113',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113")는 상기 유로(112c)를 따라 이동하는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취구(114)는 상기 유로(112c)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부재(113")의 제1부분(113a)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취구(114)의 형성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로(112c)와 연통된다면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취구(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수취합부(120)와 제1연결관(123)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 각각에서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수취구(114)를 통해 상기 여과수취합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여과수취합부(120)는 각각의 평판형 필터(110)에서 생산된 여과수를 통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여과수취합부(120)는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 각각에 형성된 수취구(11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여과수취합부(120)는 각각의 평판형 필터(110)에서 개별적으로 생산된 여과수를 하나의 공간에 취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여과수취합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취구(114)와 각각 제1연결관(123)을 매개로 일대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유입구(121)와 상기 복수 개의 유입구(121)를 통애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여과수취합부(120)를 통해 통합된 후 상기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130)는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원수를 상기 필터부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시키면서도 상기 필터부를 보호하여 상기 평판형 필터(110)의 여과부재(1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130)는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체결하는 상기 체결바(140)의 양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바(14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체결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부(130)에 형성된 체결공(138)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는 상기 체결바(140)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30) 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바(140)의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부(130)에 고정되면 상기 케이스부(130)와 함께 상기 체결바(140)를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30)로부터 상기 체결바(140)를 분리하면, 작업자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포함하더라도, 상기 체결바(140)를 통해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케이스부(13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손잡이(13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체결바(140)를 통해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 및 케이스부(13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37)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부(130)는 상기 필터부의 양 측면이 개방되면서 상기 필터부의 전면, 후면 및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 측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원수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통공(134,1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체결하는 상기 체결바(140)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통공(134)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전면을 덮는 전면판(131)과, 복수 개의 제2통공(135)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후면을 덮는 후면판(132)과, 상기 전면판(131) 및 후면판(132)을 연결하면서 상기 필터부의 상면을 덮는 상판(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30)는 상기 필터부의 전면, 후면 및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필터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원수는 상기 필터부의 개방된 양 측면, 상기 제1통공(134) 및 제2통공(135)을 통해 상기 케이스부(130)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부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130)는 물보다 비중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부(13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의 전체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상기 케이스부(130)를 통해 전체무게가 증가됨으로써 별도의 구속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원수가 채워진 저장조(200)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200)에 저장된 원수의 양이 충분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상기 원수에 완전히 잠긴 상태로 상기 저장조(20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장조(200)에 저장된 원수의 양이 적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상기 저장조(200)의 바닥면에 침강된 상태를 유지하여 여과부재(111)와 접촉되는 원수의 양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30)는 상기 필터부를 덮어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보호하는 제1역할과,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이 자중에 의해 원수 내에 원활하게 침지될 수 있도록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의 전체무게를 증가시키는 제2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케이스부(130)는 상기 전면판(131) 및 후면판(132) 각각의 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136a,136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한 쌍의 연장판(136a,136b)은 상기 전면판(131) 및 후면판(132)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이 저장조(20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연장판(136a,136b)은 상기 저장조(200)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이 상기 케이스부(130)를 통해 저장조(200)의 바닥면으로 침강되면,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연장판(136a,136b)을 통해 상기 저장조(200)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판(131) 및 후면판(132)에 각각 형성되는 제1통공(134) 및 제2통공(135)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모듈(100)의 침강시 부력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판(131) 및 후면판(132)의 높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바(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평판형 필터(110)의 하부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판(136a,136b)보다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양단이 상기 전면판(131) 및 후면판(13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이 저장조(2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평판형 필터(110)의 하부단은 상기 저장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저장조(200)에 저장된 원수가 일정량 이상인 경우, 상기 필터모듈(100)은 상기 원수에 완전히 침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평판형 필터(110)에서 여과부재(111)는 항상 상기 저장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공(138)은 상기 한 쌍의 연장판(136a,136b)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상기 전면판(131) 및 후면판(13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바(140)를 통해 일체화된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가 상기 케이스부(13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는 상기 한 쌍의 연장판(136a,136b)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평판형 필터(110)에서 여과부재(111)는 항상 저장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 및 한 쌍의 연장판(136a,136b) 사이에는 이물질이 퇴적되는 퇴적공간(S)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퇴적공간(S)은 원수로부터 여과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퇴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상기 필터부 및 한 쌍의 연장판(136a,136b) 사이에 이물질 퇴적공간(S)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여과부재(111)를 통해 여과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원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 퇴적공간(S)에 퇴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는 원수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이물질 퇴적공간(S)에 쌓인 이물질과 접촉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원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원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과 원수로부터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여과부재(111)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의 세척주기를 줄여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에서 상기 케이스부(130)는 상기 필터부를 덮어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10)를 보호하는 제1역할과,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이 자중에 의해 원수 내에 원활하게 침지될 수 있도록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의 전체무게를 증가시키는 제2역할 및 원수가 일정량 저장된 저장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여과부재(111)를 일정높이 이격시키는 제3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은 중력을 이용하여 여과수를 생산하는 중력식 정수장치(1000)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10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200) 및 필터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조(200)는 처리대상액인 원수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으며, 원수로부터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필터모듈(100)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조(2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모듈(100)은 전술한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일 수 있으며, 상기 필터모듈(100)은 상기 저장조(200)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모듈(100)은 상술한 한 쌍의 연장판(136a,136b)이 상기 저장조(200)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저장조(200)의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필터모듈(100)과 연결되는 여과수배출구(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수배출구(210) 측에는 공지의 개폐밸브(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여과수배출구(210)는 제2연결관(220)을 매개로 상기 여과수취합부(120)의 배출구(1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모듈(100)에서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여과수취합부(120) 및 제2연결관(220)을 통해 상기 여과수배출구(21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30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여과수배출구(210)가 개방되면 상기 여과수배출구(210)를 통해 상기 필터모듈(100)에서 생산된 여과수가 배출되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중력 또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한 수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공간에 저장된 원수는 수압에 의해 상기 필터모듈(100)의 여과부재(111)로 침투하여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여과수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모듈(100)에서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여과수배출구(2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1000)는 중력 또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한 수압을 이용하여 원수로부터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1000)는 전기와 같은 추가적인 동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와 같은 기간시설이 설치되지 않거나 전기의 공급이 어려운 가혹한 환경에서도 필요한 여과수를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여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재의 일면이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로부터 각각 생산된 여과수를 취합하는 여과수취합부; 및
    상기 필터부의 양 측면이 개방되면서 상기 필터부의 전면, 후면 및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 측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원수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체결하는 체결바의 양단을 고정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필터부를 덮어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보호하는 제1역할과,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이 자중에 의해 원수 내에서 침강될 수 있도록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의 전체무게를 증가시키는 제2역할 및 상기 원수가 일정량 저장된 저장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여과부재를 일정높이 이격시키는 제3역할을 수행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복수 개의 제1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전면을 덮는 전면판;
    복수 개의 제2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후면을 덮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을 연결하면서 상기 필터부의 상면을 덮는 상판; 및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 각각의 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저장조의 바닥면과 면접하는 한 쌍의 연장판;을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는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재가 상기 한 쌍의 연장판보다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양단이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에 각각 고정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필터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체결바와 체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감싸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면서 상기 체결바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공이 관통형성된 몸체와, 상기 통과공의 테두리를 규정하면서 상기 몸체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중공형의 돌출부와 상기 통과공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1면과 반대면인 상기 몸체의 제2면에 인입형성되는 중공형의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과공은 상기 돌출부 및 홈부를 모두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평판형 필터는 상기 체결바가 두 개의 평판형 필터에 각각 형성된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면서 어느 하나의 평판형 필터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평판형 필터에 형성된 홈부 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8. 원수가 저장된 내부공간을 갖는 저장조; 및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평판형 필터 측으로 흡입되어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수가 생산되는 중력식 정수장치.
PCT/KR2023/020562 2022-12-26 2023-12-13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WO20241440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746 2022-12-26
KR1020220184746A KR20240102578A (ko) 2022-12-26 2022-12-26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44012A1 true WO2024144012A1 (ko) 2024-07-04

Family

ID=9171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20562 WO2024144012A1 (ko) 2022-12-26 2023-12-13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02578A (ko)
WO (1) WO202414401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321A (ko) * 2013-03-04 2013-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침지식 막분리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79904B1 (ko) * 2014-06-19 2015-01-08 (주)엠비티 통수능력이 향상된 분리막 모듈
KR20170072715A (ko) * 2015-12-17 2017-06-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1966759B1 (ko) * 2017-04-17 2019-04-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KR102179324B1 (ko) * 2020-05-01 2020-11-16 (주)디케이엠엔이 디스크형 여과 장치용 필터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321A (ko) * 2013-03-04 2013-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침지식 막분리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79904B1 (ko) * 2014-06-19 2015-01-08 (주)엠비티 통수능력이 향상된 분리막 모듈
KR20170072715A (ko) * 2015-12-17 2017-06-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1966759B1 (ko) * 2017-04-17 2019-04-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KR102179324B1 (ko) * 2020-05-01 2020-11-16 (주)디케이엠엔이 디스크형 여과 장치용 필터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2578A (ko) 202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387A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WO2011118861A1 (ko) 대용량 여과집진기 탈진 장치 및 방법
WO2018080219A1 (ko)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WO2015099245A1 (ko) 자유말단을 가지는 침지형 중공사막 유닛 모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과 간헐/연속포기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포함하는 침지형 수처리 장치 및 이의 포기 방법
WO2015163632A1 (ko) 측류 유동형 역삼투막 필터
WO2018030725A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집합체
WO2011126297A2 (ko)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092806A1 (ko)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2030728A1 (ko) 여과포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홈형성수단을 포함하는 섬유디스크필터
WO2024144012A1 (ko)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WO2017082550A1 (ko) 여과막 모듈 및 여과장치
WO2013100272A1 (ko)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
WO2015088259A1 (ko) 침지식 여과 장치
WO2018151506A1 (ko) 열분해기용 정제기
WO2011013898A2 (ko) 지그재그식 섬유여과필터 및 이를 사용하는 여과장치
WO2022055141A1 (ko) 백필터용 탈진노즐
WO2022139344A1 (ko) 중력식 정수장치
WO2023140495A1 (ko)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WO2019143165A1 (ko) 세라믹 필터 여과막 모듈
WO2012091267A2 (ko) 고액분리 기능이 구비된 수처리장치
WO2021221434A1 (ko)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WO2020122465A1 (ko)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WO2016108345A1 (ko) 모듈식 슬러지 수집블록을 구비하는 슬러지 수집기
WO2023224268A1 (ko) 무동력 급수 시스템
WO2020153611A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9126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