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40495A1 -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 Google Patents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40495A1
WO2023140495A1 PCT/KR2022/019749 KR2022019749W WO2023140495A1 WO 2023140495 A1 WO2023140495 A1 WO 2023140495A1 KR 2022019749 W KR2022019749 W KR 2022019749W WO 2023140495 A1 WO2023140495 A1 WO 20231404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ntaminant particles
solidification
filter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7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일우
문도영
Original Assignee
한토커팅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토커팅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토커팅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404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404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de-typ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de-typ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capable of miniaturizing and preventing scattering of pollutant particles by providing a solidification means for compressing and solidifying pollutant particles filtered by a filter.
  • a dust collector refers to a device that removes solid or liquid particulates suspended in polluted gas.
  • These dust collectors include cyclone dust collectors, gravity dust collectors, filter dust collectors, electric dust collectors, etc.
  • filter dust collectors that filter polluted gas using a filter are mainly used in Korea.
  • Such filtering dust collectors require a storage unit for storing fine particles filtered through a filter.
  • the filtering bag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a high height due to the large-capacity storage unit.
  •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78251 discloses a dust filter that has a compact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transfer duct or hopper for transporting or accumulating dust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a dust generating facility including a storage or transport facility for scattering raw materials by being configured such that a dust entrance and exi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so that dust flows in and out, and the housing is installed such that the dust entran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ust generating facility.
  • the dust generating facility since the dust generating facility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dust or scattering raw materials are accumulated, the overall size of the dust generating facility and the dust filter cannot be miniaturiz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with a solidification means for compressing and solidifying the pollutant particles filtered by the filter, thereby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pollutant particles and miniaturization. It is to provide a wide-type dust collector with a solidification function.
  • a body having an inlet formed on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having a hollow interior, forming an outer shape, a fan provided on one side of either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body and allowing polluted gas to be sucked in through the inlet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d at least one filter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filtering polluted gas sucked into the body through the inlet.
  • a solidification means for compressing and solidify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supplied from the body by being filtered by the filter at least once.
  • a cover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contaminant particles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through the solidification means is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solidification means,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solidified through the solidification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 the solidif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ccommodat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and accommodat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supplied from the body, a first cylind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for compress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and a second cylind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compress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 a third cylinder for prevent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compressed by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from adhering to the first or second cylinder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oth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highest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lter is a height at which a worker can replace the filter without a height-related auxiliary device.
  • a plurality of spacers are provided so that the body can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 One side of the spac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fer unit for allowing the body to be transferred is provided.
  • a suction pipe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pipe is made flexible.
  • the wid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volume of the contaminant particles can be minimized and scattering of the contaminant particles can be prevented in the process of empty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 the suction pipe is configured in a flexible form,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ust collec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arranging it close to a specific position or direc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d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d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d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lidification means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d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lidification means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d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de-typ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de-typ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de-typ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lidification means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roup is shown
  • Figure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olidification means constitut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d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de-type dust collector with a solidification function has a body 100 having a hollow interior with a suction port 110 formed on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120 on the other side, provided on one side of either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body 100, and contaminated gas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while allowing the contaminated gas to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 the body 100 forms part of the exterior of the wide dust collector having a sol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made of a shape similar to a hexahedron with a hollow interior.
  • the suction port 11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in FIG. 2) of the body 100.
  • the inlet 110 is formed by opening a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body 100, and is a part through which contaminated gas can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by the fan 200.
  • a suction pipe 111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suction pipe 111 is made flexible.
  • the suction pipe 111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in FIG. 2) of the suction port 110, and allows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sucking polluted gas through the fan 200 and the suction port 110 to be adjusted. It is a part.
  • the suction pipe 111 is configured to be flexible like a corrugated pipe so that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sucking polluted gas can be adjusted like a vacuum cleaner.
  • the discharge port 1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FIG. 2) of the body 100.
  • the discharge port 120 is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contaminated ga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by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fan 200 is filtered by the filter 300, thereby allowing the purified ga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 a fan 200 is provided above the discharge port 120 (in FIG. 2 ).
  • the fan 200 allows the contaminated gas to flow into the body 100 through the suction pipe 111 and discharges the purified gas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hrough the outlet 120. It is a configuration.
  • the fan 200 may also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uction port 110 or inside the body 100 in addition to the top of the discharge port 120 .
  • gas is sucked or discharged by the fan 200 .
  • connection part 13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in FIG. 2).
  • connection part 130 is formed by opening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is a part that allows the contaminated particles filtered from the contaminated ga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by the inlet 110 and the fan 200 to be supplied to the solidification means 400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0 through the downward (in FIG. 4) direction.
  • the connecting portion 130 gradually narrows in wid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 connection part 130 has a hopper shape.
  • a door 14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100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
  • the door 14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left side in FIG. 5 ) of the body 100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the inside of the body 100 .
  • the filter 300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is replaced through the door 140 .
  • a plurality of spacers 160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to allow the body 100 to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 the spacer 16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in FIG. 2 ), and is a part that allows the body 1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 a total of four spaced portions 160 are formed along the apex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respectively.
  • the body 100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by the spacer 160, and as the body 100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the solidification means 400 can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0 (in FIG. 4).
  • a transfer unit 16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on unit 160 so that the body 100 can be transferred.
  • the transfer unit 16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in FIG. 2 ) of the separation unit 160 and corresponds to a wheel for transfer.
  • the transfer part 161 is provided at each of the four spaced parts 160 .
  • the transfer of the body 100 is easily performed by the transfer unit 161 .
  • a filter 30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
  • At least one filter 30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and filters the contaminated gas flowing into the body 100 through the fan 200 and the inlet 110, thereby discharging the purified gas through the outlet 120.
  • Such a filter 300 may be made of multiple layers as shown in FIG. 2 and requires periodic replacement due to its lifespan.
  • the highest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lter 300 is set to a height at which a worker can replace the filter 300 without a height-related auxiliary device (eg, a ladder).
  • a height-related auxiliary device eg, a ladder
  • the door 140 should b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a lower side than the highest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lter 300 .
  • the highest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lter 300 is made up to 2.5 m or les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operator.
  • the volume of the storage unit 510 can be minimized as the solidification means 400 is provided, so that the maximum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lter 300 can be replaced by an operator without a height-related auxiliary device.
  • the body 100 is made of a low height (2.5 m or les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filter 300, it may be form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in FIG. 2) to maximize filtration efficiency.
  • the body 10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wide-type hexahedron having long left and right lengths.
  • a dedusting unit 15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right side in FIG. 3 ) of the body 100 to desorb the pollutant particles filtere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300 .
  • the dedusting unit 150 has a part positioned inside the filter 300 and blows air outward so that contaminant particles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300 fall toward the solidification means 400.
  • escapement unit 150 Since the escapement unit 150 is a widely known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a filtering dust collector widely known in the prior art, and it may be configured with another type of filtering dust collector.
  • the solidification means 40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0.
  • the solidification unit 400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410 connected to the body 100 and accommodat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supplied from the body 100, a first cylinder 4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and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410 for compress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and a second cylinder 4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and compress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410. 30) and so on.
  • the accommodating portion 410 is a portion receiving contaminant particles from the body 100 and has a shape similar to a long circular column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4 ).
  • the accommodating part 410 is compressed by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so that solidified contaminant particle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n FIG. 4 )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10 is formed to be open for connection with the body 100 .
  • the accommodating part 410 is a part receiving contaminant particles from the body 100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130 .
  • the first cylinder 42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in FIG. 4 )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
  • the first cylinder 42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to the left (in FIG. 4) to selectively pressurize the contaminant particle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10.
  • the second cylinder 43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in FIG. 4 )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
  • the second cylinder 43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the right (in FIG. 4) direction to selectively pressurize the contaminant particle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10.
  • the second cylinder 430 is installed to face the first cylinder 420, thereby pressuriz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410 together with the first cylinder 420.
  • the second cylinder 430 provides a supporting forc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cylinder 420, so that contaminant particles are compressed (repeated several times) between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and the contaminant particles compressed by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are transferred to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by being transported together in the left direction (in FIG. 4).
  • the contaminant particles compressed at least once by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are fixed to either the first cylinder 420 or the second cylinder 430 dur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so there is a concern that they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ylinder 420 or the second cylinder 430.
  • a third cylinder 440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contaminant particles compressed by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from adhering to the first cylinder 420 or the second cylinder 430.
  • the third cylinder 44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FIG. 4)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a downward direction to push the compressed contaminant particles between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 the third cylinder 440 pressurizes the contaminant particles solidified by being compressed between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 the third cylinder 440 be inclined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cover 500 .
  • the contaminant particles solidified by the first cylinder 420 and the second cylinder 430 are deformed into a circular flat plate shape like a puck used in ice hockey, and their volume is greatly reduced.
  • the solidified contaminant particles that fall are preferably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510 .
  • a cylinder table 450 supporting the first cylinder 420 , the second cylinder 430 , and the third cylinder 440 may be provided below the accommodating part 410 .
  • the accommodating portion 410 may be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or may be supported by being coupled with the cylinder table 450 .
  • the cylinder table 450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in FIG. 4) of the accommodating part 410, and corresponds to a rectangular flat plate supporting the first cylinder 420, the second cylinder 430, and the third cylinder 440.
  • a plurality of table spacers 451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table 450 to form a space where the storage unit 510 may be located under the cylinder table 450 .
  • the table spacer 451 is to allow the cylinder table 45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460 so that a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 cylinder table 450 and the support plate 460.
  • a support plate 460 is provided between the four spaced parts 160 .
  • the support plate 460 is a part coupled to and supported between the four spaced parts 160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ylinder table 450 or the like.
  • the solidification means 400 is suppor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at a distance from the ground by the support plate 460 .
  • the cylinder table 450 is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60 by the table spacer 451 .
  • a power unit 470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irst cylinder 420, the second cylinder 430, and the third cylinder 4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460.
  • the contaminant particles in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 to radiation waste (Fum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a nuclear power plant, and scattering to the outside must be completely blocked.
  • a cover 500 to prevent scattering of contaminant particles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through the solidification means 400 is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solidification unit 400 .
  • the cover 50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support plate 460, and is a part that allows the solidification means 400 to be blocked from the outside.
  • the cover 50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hexahedron in which the inside of the cover 500 is hollow together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60 .
  • a storage unit 510 for storing contaminant particles solidified by the solidification means 400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500 .
  • the storage unit 510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500 to accommodate contaminant particles solidified by being compressed by the solidification unit 400 .
  • the storage unit 510 is configured in a sliding form to accommodate contaminant particles solidified inside the cover 500 when closed (located inside the cover), and to empty the solidified contaminant particles from the storage unit 510 to the outside when opened (part or all of the storage uni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 the storage unit 510 corresponds to a draw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volume of the contaminant particles is minimized as the solidification means is provided, and the scattering of the contaminant particles in the process of emptying the contaminant particle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can be blocked.
  • the volume of the storage unit can be minimized as the solidification means is provided, and through this, miniaturization can be achieved.
  • the transfer is facilitated as the transfer unit is provid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는, 일측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면서 다른 일측에는 토출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혹은 외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며 흡입구를 통해 오염된 기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토출구를 통해 오염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팬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흡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오염된 기체를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필터에 의하여 여과됨으로써 몸체로부터 공급되는 오염 입자를 적어도 1회 이상 압축하여 고체화하는 고체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염 입자의 비산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본 발명은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에 의하여 여과된 오염 입자를 압축 및 고체화하는 고체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오염 입자의 비산 차단과 함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라 함은, 오염된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 미립자를 제거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집진기는 싸이클론 집진기, 중력식 집진기, 여과 집진기, 전기 집진기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필터를 이용하여 오염된 기체를 여과하는 여과 집진기가 국내에서는 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여과 집진기는 필터를 통해 여과된 미립자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요구된다.
이처럼, 여과 집진기의 하부에 저장부가 구비됨에 따라 여과 집진기는 대용량의 저장부에 의하여 높은 높이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0878251호에서는, 하우징의 일면에 분진의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분진 출입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은 분진출입구가 분진발생설비에 직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비산성 원료의 저장 또는 이송 설비를 포함한 분진발생설비에 직결됨에 따라 분진을 이송 또는 축적하기 위한 별도의 이송덕트 또는 호퍼가 구비되지 않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여과집진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여과집진기는, 분진출입구를 통해 분진의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분진의 유출 과정에서 다시 재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필터의 수명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분진출입구를 통해 분진의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분진발생설비의 내부는 정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진발생설비의 내부에 분진 또는 비산성 원료가 축적되는 구성을 가지는 바, 분진발생설비 및 여과집진기의 전체 크기는 소형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에 의하여 여과된 오염 입자를 압축 및 고체화하는 고체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오염 입자의 비산 차단과 함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측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면서 다른 일측에는 토출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혹은 외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며 흡입구를 통해 오염된 기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토출구를 통해 오염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팬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흡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오염된 기체를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필터에 의하여 여과됨으로써 몸체로부터 공급되는 오염 입자를 적어도 1회 이상 압축하여 고체화하는 고체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체화 수단의 외부에는, 고체화 수단을 통해 오염 입자를 고체화하는 과정에서 오염 입자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고체화 수단을 통해 고체화된 오염 입자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체화 수단은, 상기 몸체와 연결되며 몸체로부터 공급되는 오염 입자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오염 입자를 압축하는 제1 실린더와, 상기 수용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오염 입자를 압축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의 또 다른 일측에는,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에 의하여 압축된 오염 입자가 제1 실린더 또는 제2 실린더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실린더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필터의 최고 설치 높이는, 작업자가 높이 관련 보조 기구 없이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몸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부;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이격부의 일측에는, 몸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는 흡입관이 더 구비되며, 흡입관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체화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오염 입자의 부피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저장부에 수용된 오염 입자를 비워내는 과정에서 오염 입자의 비산이 차단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체화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저장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입관이 플렉시블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특정 위치 또는 방향으로 근접되게 배치하여 집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부가 구비됨에 따라 이송이 용이하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체화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체화 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체화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체화 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는, 일측에는 흡입구(110)가 형성되면서 다른 일측에는 토출구(120)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 혹은 외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며 흡입구(110)를 통해 오염된 기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토출구(120)를 통해 오염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팬(20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흡입구(110)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오염된 기체를 여과하는 필터(300)와, 상기 몸체(100)의 또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필터(300)에 의하여 여과됨으로써 몸체(100)로부터 공급되는 오염 입자를 적어도 1회 이상 압축하여 고체화하는 고체화 수단(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외형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와 유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100)의 우측면(도 2에서)에는 흡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0)는, 몸체(100)의 우측면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팬(200)에 의하여 몸체(100)의 내부로 오염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상기 흡입구(110)의 일측에는 흡입관(111)이 더 구비되며, 흡입관(111)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관(111)은, 흡입구(110)의 우측(도 2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팬(200) 및 흡입구(110)를 통해 오염된 기체를 흡입하는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흡입관(111)은 주름관과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하게 이루어져 청소기와 같이 오염된 기체를 흡입하는 위치 또는 방향이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몸체(100)의 상면(도 2에서)에는 토출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0)는, 몸체(100)의 상면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흡입구(110) 및 팬(200)에 의하여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기체가 필터(300)에 의하여 여과됨으로써 정화된 기체가 몸체(1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토출구(120)의 상부(도 2에서)에는 팬(200)이 구비된다.
상기 팬(200)은, 흡입관(111)을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오염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토출구(120)를 통해 몸체(100)의 외부로 정화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팬(200)은 토출구(120)의 상부 이외에도 흡입구(110)의 우측 또는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팬(200)에 의하여 기체의 흡입 또는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몸체(100)의 저면(도 2에서)에는 연결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30)는, 몸체(100)의 저면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흡입구(110) 및 팬(200)에 의하여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기체로부터 여과된 오염 입자가 몸체(100)의 내부로부터 하측(도 4에서) 방향을 통해 고체화 수단(4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연결부(130)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연결부(130)는 호퍼 형상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몸체(1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도어(140)는, 몸체(100)의 전방면(도 5에서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몸체(100)의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도어(140)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300)의 교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몸체(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부(160)가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이격부(160)는, 몸체(100)의 저면(도 2에서)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이격부(160)는 몸체(100)의 저면 꼭짓점을 따라 각각 총 네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이격부(160)에 의하여 몸체(1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몸체(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몸체(100)의 하부(도 4에서)에 고체화 수단(400)이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이격부(160)의 일측에는, 몸체(10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161)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161)는, 이격부(160)의 하단(도 2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을 위한 바퀴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부(161)는 네 개의 이격부(160)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송부(161)에 의하여 몸체(100)의 이송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몸체(100)의 내부에는 필터(30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300)는, 몸체(100)의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팬(200) 및 흡입구(110)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기체를 여과함으로써 토출구(120)를 통해 정화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필터(3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多層)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수명에 의하여 주기적인 교체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300)의 최고 설치 높이는 작업자가 높이 관련 보조 기구(예컨데, 사다리 등) 없이 필터(300)를 교체할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도어(140)는 필터(300)의 최고 설치 높이보다 하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야할 것이다.
즉, 필터(300)의 최고 설치 높이는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최대 2.5 m 이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고체화 수단(400)이 구비됨에 따라 저장부(510)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필터(300)의 최고 설치 높이가 작업자가 높이 관련 보조 기구 없이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몸체(100)는 필터(3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낮은 높이(2.5 m 이하)로 이루어짐에 따라 여과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좌우(도 2에서)로 길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몸체(100)는 좌우로 긴 길이를 갖는 와이드 타입의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100)의 후방면(도 3에서 우측)에는, 필터(300)의 둘레면에서 여과된 오염 입자를 탈진하는 탈진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탈진부(150)는, 일부가 필터(300)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필터(300)의 둘레면에 붙어있는 오염 입자가 고체화 수단(400)측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탈진부(150)는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여과 집진기를 예로 든 것으로, 다른 형태의 여과 집진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몸체(100)의 하부에는 고체화 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체화 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와 연결되며 몸체(100)로부터 공급되는 오염 입자를 수용하는 수용부(410)와, 상기 수용부(4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수용부(4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오염 입자를 압축하는 제1 실린더(420)와, 상기 수용부(41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수용부(4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오염 입자를 압축하는 제2 실린더(4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410)는, 몸체(100)로부터 오염 입자를 공급받는 부위로, 좌우(도 4에서)로 긴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부(410)는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에 의하여 압축됨으로써 고체화된 오염 입자가 수용부(4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면(좌측면 또는 우측면) 이상이 개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수용부(410)의 상부(도 4에서) 일부는 몸체(100)와의 연결을 위하여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수용부(410)는 연결부(130)와 연결됨으로써 몸체(100)로부터 오염 입자를 공급받는 부위이다.
이러한, 수용부(410)의 우측(도 4에서)에는 제1 실린더(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420)는, 수용부(410)의 우측에 위치되면서 좌측(도 4에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수용부(410)의 내부에 수용된 오염 입자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부위이다.
더불어, 수용부(410)의 좌측(도 4에서)에는 제2 실린더(4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실린더(430)는, 수용부(410)의 좌측에 위치되면서 우측(도 4에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수용부(410)의 내부에 수용됨 오염 입자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실린더(430)는 제1 실린더(420)와 대향되게 설치됨으로써 제1 실린더(420)와 함께 수용부(410)의 내부에 수용된 오염 입자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즉, 제1 실린더(420)가 좌측 방향으로 전진될 경우 제2 실린더(430)는 제1 실린더(42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실린더(420)와 제2 실린더(430)의 사이에서 오염 입자의 압축(다수회 반복)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1 실린더(420)와 제2 실린더(430)에 의하여 압축된 오염 입자는 제1 실린더(420)와 제2 실린더(430)가 함께 좌측(도 4에서)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수용부(410)의 외부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실린더(420)와 제2 실린더(430)에 의하여 적어도 1회 이상 압축되는 오염 입자는, 고체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1 실린더(420) 또는 제2 실린더(430) 중 어느 하나에 고착화됨으로써 제1 실린더(420) 또는 제2 실린더(43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410)의 또 다른 일측에는,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에 의하여 압축된 오염 입자가 제1 실린더(420) 또는 제2 실린더(430)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실린더(4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3 실린더(440)는, 수용부(410)의 상측(도 4에서)에 위치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 사이에서 압착된 오염 입자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제3 실린더(440)는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 사이에서 압착됨으로써 고체화된 오염 입자를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와는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가압함으로써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3 실린더(440)는 커버(500)의 부피 최소화를 위해 경사지게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에 의하여 고체화된 오염 입자는, 아이스 하키에서 이용되는 퍽(Puck)과 같이 원형 평판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그 부피가 크게 저감되게 되며, 다시 제3 실린더(440)에 의하여 제1 실린더(420) 또는 제2 실린더(430)로부터 분리되어 하측 방향으로 낙하되게 된다.
이 때, 낙하되는 고체화된 오염 입자는 저장부(510)에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와 제3 실린더(440)를 지지하는 실린더 테이블(450)이 수용부(4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수용부(410)는 연결부(130)와 연결됨으로써 지지되거나 또는 실린더 테이블(450)과 결합되어 지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실린더 테이블(450)은, 수용부(410)의 하부(도 4에서)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와 제3 실린더(440)를 지지하는 사각 평판에 해당되는 것이다.
더불어, 실린더 테이블(450)의 저부에는, 실린더 테이블(450)의 하부에 저장부(5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이블 이격부(451)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테이블 이격부(451)는, 실린더 테이블(450)이 지지판(46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린더 테이블(450)과 지지판(460) 사이에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 테이블(450)의 저부 각 꼭짓점에 각각 총 네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함께, 네 개의 이격부(160) 사이에는 지지판(46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460)은, 네 개의 이격부(160)의 사이에서 네 개의 이격부(160)와 결합되어 지지되는 부위로, 실린더 테이블(450) 등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지지판(460)에 의하여 고체화 수단(400)은 몸체(100)의 하부에서 지면과는 이격되게 지지되는 것이다.
즉, 실린더 테이블(450)은 테이블 이격부(451)에 의하여 지지판(46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판(460)의 상부에는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와 제3 실린더(44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47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동력부(470)에 의하여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와 제3 실린더(440)의 선택적인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오염 입자는, 원전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방사선 폐기물(Fume)에 해당되는 것으로, 외부로의 비산은 완전히 차단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체화 수단(400)의 외부에는, 고체화 수단(400)을 통해 오염 입자를 고체화하는 과정에서 오염 입자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500)는, 지지판(46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고체화 수단(400)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커버(500)는 지지판(460)의 상면과 함께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500)에 의하여 고체화 수단(400)을 통해 오염 입자를 고체화하는 과정에서 오염 입자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은 차단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커버(500)의 내부에는, 고체화 수단(400)을 통해 고체화된 오염 입자를 저장하는 저장부(51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510)는, 커버(500)의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고체화 수단(400)에 의하여 압축됨으로써 고체화된 오염 입자를 수용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저장부(510)는 슬라이딩 형태로 이루어져 폐쇄시(커버의 내부에 위치) 커버(500)의 내부에서 고체화된 오염 입자를 수용하며, 개방시(커버의 외부로 저장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노출) 고체화된 오염 입자를 외부로 저장부(510)로부터 비워낼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저장부(510)는 서랍에 해당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처럼, 저장부(510)로부터 오염 입자를 비워내는 과정에서 여타 집진기의 경우 오염 입자의 비산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의 경우 오염 입자가 고체화됨에 따라 오염 입자의 비산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에서는 고체화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오염 입자의 부피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저장부에 수용된 오염 입자를 비워내는 과정에서 오염 입자의 비산이 차단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에서는 고체화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저장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에서는 흡입관이 플렉시블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특정 위치 또는 방향으로 근접되게 배치하여 집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에서는 이송부가 구비됨에 따라 이송이 용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일측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면서 다른 일측에는 토출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또 다른 일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혹은 외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며, 흡입구를 통해 오염된 기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토출구를 통해 오염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흡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오염된 기체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몸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부;
    상기 이격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몸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
    상기 이격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커버 또는 고체화 수단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연결부와 연결되며, 필터에 의하여 여과됨으로써 몸체로부터 공급되는 오염 입자를 적어도 1회 이상 압축하여 고체화하는 고체화 수단;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체화 수단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체화 수단을 통해 오염 입자를 고체화하는 과정에서 오염 입자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고체화 수단을 통해 고체화된 오염 입자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체화 수단은,
    상기 몸체와 연결되며, 몸체로부터 공급되는 오염 입자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오염 입자를 압축하는 제1 실린더;
    상기 수용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오염 입자를 압축하는 제2 실린더;
    상기 수용부의 또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에 의하여 압축된 오염 입자가 제1 실린더 또는 제2 실린더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실린더;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실린더 내지 제3 실린더를 지지하는 실린더 테이블;
    상기 실린더 테이블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실린더 테이블이 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린더 테이블과 지지판 사이에서 저장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는 흡입관;이 더 구비되며, 흡입관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필터의 최고 설치 높이는, 작업자가 높이 관련 보조 기구 없이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PCT/KR2022/019749 2022-01-24 2022-12-06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WO20231404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708A KR102431388B1 (ko) 2022-01-24 2022-01-24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KR10-2022-0009708 2022-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495A1 true WO2023140495A1 (ko) 2023-07-27

Family

ID=8284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749 WO2023140495A1 (ko) 2022-01-24 2022-12-06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388B1 (ko)
WO (1) WO2023140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388B1 (ko) * 2022-01-24 2022-08-10 한토커팅시스템주식회사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525A (ko) * 2004-07-13 2006-01-18 김경인 집진기
JP2008194723A (ja) * 2007-02-13 2008-08-28 Koike Sanso Kogyo Co Ltd 粉粒体の固形化装置
KR20100057100A (ko) * 2005-10-28 2010-05-28 고마쓰 산기 가부시키가이샤 흄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JP2011156560A (ja) * 2010-02-01 2011-08-18 Koike Sanso Kogyo Co Ltd 粉粒体の固形化装置
KR101367470B1 (ko) * 2013-07-31 2014-03-13 이경옥 집진기용 분진 탈리장치
KR102431388B1 (ko) * 2022-01-24 2022-08-10 한토커팅시스템주식회사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11U (ja) * 1992-06-19 1994-01-18 石塚産業株式会社 ダストプレス装置
KR100878251B1 (ko)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여과집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525A (ko) * 2004-07-13 2006-01-18 김경인 집진기
KR20100057100A (ko) * 2005-10-28 2010-05-28 고마쓰 산기 가부시키가이샤 흄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JP2008194723A (ja) * 2007-02-13 2008-08-28 Koike Sanso Kogyo Co Ltd 粉粒体の固形化装置
JP2011156560A (ja) * 2010-02-01 2011-08-18 Koike Sanso Kogyo Co Ltd 粉粒体の固形化装置
KR101367470B1 (ko) * 2013-07-31 2014-03-13 이경옥 집진기용 분진 탈리장치
KR102431388B1 (ko) * 2022-01-24 2022-08-10 한토커팅시스템주식회사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388B1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8861A1 (ko) 대용량 여과집진기 탈진 장치 및 방법
WO2023140495A1 (ko)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WO2014133238A1 (ko) 집진장치
WO2011055862A1 (ko) 진공청소기
WO1983001209A1 (en) Compact dust filter assembly
WO2020013575A1 (ko) 집진설비 분진 배출 저감 시스템
WO2019013378A1 (ko) 진공 청소기
WO2023128116A1 (ko)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WO2011025071A1 (ko) 진공 청소기
CN102217912A (zh) 手持式清洁系统
CN113651443A (zh) 一种市政工程施工用污水处理设备
WO2019013379A1 (ko) 진공 청소기
CN116651098A (zh) 一种可提高滤袋使用寿命的袋式收尘器及其使用方法
WO2022225215A1 (ko)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WO2021230490A1 (ko) 먼지통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CN115164336A (zh) 一种多层过滤的空气净化装置
WO2022169147A1 (ko) 원전구조물 건식 절단 장비
CN107883511A (zh) 多功能长效过滤吸附通风装置
CN213610309U (zh) 一种工业布袋除尘器
JP2001062338A (ja) 集塵装置及び集塵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WO2018236067A1 (ko) 선택집진이 가능한 여과시스템
CN112024411A (zh) 一种无尘建筑垃圾处理设备
CN215890257U (zh) 空气净化滤清装置和作业机械
CN105688569A (zh) 旋风滤筒式除尘器
CN217392651U (zh) 一种电改袋除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23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