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53611A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53611A1
WO2020153611A1 PCT/KR2019/018163 KR2019018163W WO2020153611A1 WO 2020153611 A1 WO2020153611 A1 WO 2020153611A1 KR 2019018163 W KR2019018163 W KR 2019018163W WO 2020153611 A1 WO2020153611 A1 WO 20201536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ck
air
water
trap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81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종환
Original Assignee
장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환 filed Critical 장종환
Publication of WO20201536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536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removing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 an air purifier for removing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 the air is filtered using water,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air inexpensively and effectively, as well as an ionizer and a filtration filter.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ilter the air by adding additionally.
  • the air cleaner purifies indoor air by removing various fine dust and harmful gase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nd discharging the air from which harmful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again into the room.
  • Such air purifiers collect and remove various dusts, such as dust and soot, contained in the air, and it is known that such as an electric adsorption type air purifier and a filter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a dust collection method.
  •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is expensive, so it is expensive to install,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ilter-type air purifier,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filter every certain period of time, which requires a lot of hassle and excessive cost. There is a problem.
  • the air purifier for humidification since the air filter and the humidifying device for the air cleaning function and the humidifying function are separately installed, the air purifier for humidification has a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because it is manufactured with a large number of parts to perform each function. There is a problem.
  •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has difficulty in adding other filter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filtration function using water.
  • the humidity in the room is increased.
  •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filter, etc. in block units, in particular, a water filter filled with water in the water tank, as well as other types of filters, such as Hepa filter or air ionizer, etc.
  •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onfigured to be stacked to perform an appropriate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functions and condition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onfigured by stacking more filters in block units so that the degree of filtra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ir quality. That is, the use of water as a filter can reduce costs.
  •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with an exhaust port on one side and a first block equipped with a fan or a vacuum pump that induces air so that the lower air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is opened upwards and inside Water filled in the second block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an or vacuum pump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block is stacked on the second block and the second block through which air filled with water is bubb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 a check valv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lock to flow air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block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lock.
  • a trap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lock, and one end of the trap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lock, and air injec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ap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p and the second block. I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block through the pores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 the third block through which the air filled in the water is opened to the top and passed through in the form of bubble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block is formed so that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block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filled in the third block flows into the second block by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an or vacuum pump while the second block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third block. do.
  • it includes a check valv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block so that air flows from the bottom of the third block to the inside of the third block.
  • a trap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block, one end of the trap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block, and the air injec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ap is one end of the trap and the third block. I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third block through the pores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 a side of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is formed with a pitcher for injecting water, and the pitcher is opened and closed by a cap.
  • the water supply unit penetrates through the bottom of the reservoir of the first block and extends to the inner bottom of the second block, and a water supply pipe formed with a through hole at the top and bottom, and mounted on the top of the water supply pipe
  • a water supply pipe formed with a through hole at the top and bottom, and mounted on the top of the water supply pipe
  • the third block is equipped with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 the fourth block equipped with any one of an ionizer, a washable filter, and a HEPA filt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or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Is located in between.
  • drain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and mov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utside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 a drain pipe is mounted, and a drain hole is formed in the volley pipe, and when the drain pipe moves in one direction, the drain hole of each block communicates with the drain hole of the drain pipe.
  • the upper end of the trap penetrates the upper end of the other side, the lower end of the trap is located horizontally on the inner bottom, pores ar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trap, and on the upper end of one side
  • It includes a first block to exhaust the outside, the top of the trap of the first block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econd block, the air introduced into the top of the trap of the second block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an is the second block and the first block After passing through the blocks sequentiall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exhausted through a fan.
  • the second block is a plurality, the upper end of the trap of one second block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other second block is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economic loss such as cleaning the filter or replacing the expensive filter as in the prior art by removing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using water. have.
  •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filtering efficiency by installing a micro bubble generator or the like inside the block to improve the filtering efficiency.
  • a hepa filter, a washable filter, an ionizer, and a water filter may be selectively applied as necessary to improv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pore relationship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ure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relationship shown in FIG. 1,
  • FIG.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ionizer block is stacked i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2.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pore relationship of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 1
  • FIG. 3 is water shown in FIG. 1
  • FIG.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ionizer block is stacked o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2.
  •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 the air purifier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101, 102H, 102L, 103 having respective functions are stacked and air is filtered while air flows from the bottom to the top, If necessary, as shown in FIG. 4, the fourth block 104 having different functions may be stacked to filter the air in various ways to improve air quality.
  • an air purifier in a form in which four blocks 101, 102H, 102L, and 103 are stacked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 the air purifier having four blocks 101, 102H, 102L, and 103 stacked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purifier 100 includes a first block 101 positioned on an upper layer and two second blocks 102H and 102L positioned on an intermediate layer below the first block 101. ) And a third block 103 located on the lower layer.
  • a fan 113 is mounted inside the first block 101 located on the upper layer to flow air from the bottom to the top.
  • an exhaust port 111 is formed on the upper layer surface of the first block 101, and a fan 113 is mounted under the exhaust port 111 to suck air under the first block 101 to exhaust the exhaust port 111 ).
  • a storage tank 115 capable of filling the replenishment water 117 is formed inside the first block 101, and a water supply unit 140 passing through the storage tank 115 is installed.
  • the water supply unit 140 is configured to supply the supplemental water 117 filled in the first block 101 to the two second blocks 102H,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located below.
  • the water supply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nd below, the upper and lower second blocks 102H and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upper second block 102H and the lower second block 102L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or a cylindrical structure,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water 118 is filled inside.
  • a check valve 12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econd blocks 102H and 102L, and the check valve 120 is moved from the bottom to the inside of each second block 102H and 102L filled with water 118. It is configured to allow air to flow.
  •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lock 101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rface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is in a low pressure state, and the check valve 120 is applied by a pressure difference. Air flows in from the bottom of) toward the water 118 filled in the second block 102H, which is the top.
  • air located below the upper second block 102H passes through the check valve 120 and flows into the water 118 filled in the upper second block 102H, floating in a bubble state to rise to the surface of the water.
  • the air floats in the form of bubbles, the contact area between water and air is greatly expanded.
  • the upper second block 102H filled with water performs the function of a water filter, and the lower second block 102L and third block 103 located on the lower layer also have the upper second block 102H described above. It has the same function.
  • the lower second block 102L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pper second block 102H,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heck valve 12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econd block 102L receives the lower second block 102L. 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of ), it flows to the upper portion and then passes through the check valve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 the flow relationship of the air is caus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fan.
  • the inlet portion 120I of the check valve 120 protru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block 103 does not contact the ground a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 the openings are formed with a gap. Therefore, air is introduced under the third block 103 through the opening formed between the leg 121 and the leg 121.
  • the pressure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is lower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 the lower air flow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through the mounted check valve, and accordingly,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becomes a low pressure state, and the lower secon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 the lower air passes through the lower second block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through the check valve 12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102L or the third block 103.
  • one or more second blocks may be stacked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fan 113, and the first block (at the top of the third block 103 without the second block) Even if 101) is located, it can perform the filtration function of air.
  •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45 is the first block 101 ) Penetrates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115 and extends to the inner bottom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5'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45 is the upper second block 102H ) Extends to the inner bottom of the lower second block (102L) through the bottom, the third water supply pipe (145")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5'), the bottom of the lower second block (102L) Through and extends to the inner bottom of the third block (103).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45 to the third water supply pipe 145"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through holes 145H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solenoid valve 149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45 to open or close the upper end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45 by an input signal.
  • a water level sensor 147 is mounted inside the third block 103, and when the water level sensor 147 detects that the water level is low, an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olenoid valve 149 is opened by the signal. do.
  • the solenoid valve 149 is opened,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115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45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and the water level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rises to remove the water.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second block 102L through the through hole 145H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5',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lower second block 102L rises.
  • the electric signal is genera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47 and the solenoid valve 149 is closed by the signal.
  • the water filled in the reservoir 115 of the first block 101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second blocks 102H and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below.
  • the check valve 12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blocks 102H,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so that the air located below each block is inside the block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 the block described below is configured by blowing air into the water of the block.
  • the second blocks 102H and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described abov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blocks' for convenience.
  • the block located on the lower floo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only the bridge 121 is formed compared to the block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 the structur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150 open is filled with water inside, and a P-shaped trap 151 is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150.
  • the trap 151 is 180 degrees bent in the shape of an inverted'U' on the side of the block 150, and one end of the trap 151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150.
  • pores 152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of the block 150 and one end of the trap 151 are formed.
  • the inside of the trap 15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lled with water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water surface of the block 150, and when compressed air is injec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ap 151, the water inside the trap 151 is pushed while the pores 152 )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nto the water 118 filled in the block 150.
  • the trap 151 is formed with a gap G so that the traps 151 do not interfere when the blocks 150 are stack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 the gap ( G) traps of different blocks are located so that blocks can be stacked, and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 5 can perform air purification with only one block because it injects compressed air.
  • the storage tank 115 is formed in the first block 101 to fill the replenishment water 117, and the replenishment water 117 is equipped with the water supply unit 140.
  •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formed with a pitcher for each block Therefore, a separate water supply unit is not required.
  • a fan 113 is mounted on the first block 101, and a pitcher 16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econd blocks 102H,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cap 161 is blocked in the pitcher 160.
  • the air below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through the check valve 12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 the flow is caused by a pressure difference, and then air is introduced in the order of the lower second block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and then exhaus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ck 101 through the fan 113.
  • the filtration effect is generated while passing water in a bubble state while air is flowing.
  • the upper second block (102H) and the lower second block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 141, the drain 141 side is formed side
  • the drain pipe 143 is located.
  • the drain pipe 143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rain pipe 143 has a drain hole corresponding to the drain 141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and lower second block (102L) and third block (103) ( 143H) are formed, respectively.
  • each drain 141 of the upper second block 102H, the lower second block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communicates with the drain hole 143H of the drain pipe 143.
  • the water filled in the second block 102H, the lower second block 102L, and the third block 103 is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143.
  • the air purifier described above is a structure in which air mov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is purified
  • the air purifier described below is a structure in which air is purified by a water filter while air passes through a block positioned laterally.
  • the blocks (101, 102', 102", 103) of the same structure are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fan 113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first block 101 located on one side is air To flow.
  • Each block (101, 102', 102", 103) is half filled with water inside, and passes through the top of the other side of the blocks (101, 102', 102", 103) to block (101, 102', 102) ", 103, the trap 151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block (101, 102', 102", 103) is located horizontally on the inner bottom and traps air through the pores 15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p 151. Discharge to the interior of the block.
  •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end of the trap 151 of the adjacent block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each block 101, 102', 102", and 103.
  • the trap 151 of the third block 103 located on the other edge is exposed in the air.
  • the inner top of the first block 101 is in a low pressure state, and the pressure difference causes the top of the trap 151 of the third block 103 to be located on the other edge. Air is introduced.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top of the trap 151 of the third block 103 is discharged through the pores 152 from the inside of the third block 103, and the air is trapped again into the adjacent second block 102" ( After flowing through 151), air flows through the trap 151 to the inside of the first block 101 in the order of being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lock 102", and finally, by the operation of the fan 113, the outside Is exhausted.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ater of each block 101, 102', 102", 103 is removed by water, such as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s described above.
  • a fan is mounted inside the first block to generate air flow, but by installing a vacuum pump instead of the fan, the air is flowed more strongly than the fa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flow.
  • the air purifiers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water to remove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thereby cleaning filters or replacing expensive filters. Can prevent economic los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by selectively applying a hepa filter, a washable filter, an ionizer, and a water filter as necessary in improving air quality by stacking and using blocks having a filtration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여과함에 따라 저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공기의 여과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필터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공기를 여과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하부 공기를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도록 공기를 유도하는 팬 또는 진공펌프가 장착된 제1블록과, 상부로 개방되며 안쪽에 채워진 물을 공기가 기포형태로 통과하는 제2블록과, 제2블록의 상부에 제1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팬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차에 의해 제2블록에 채워진 물을 통과한 공기가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여과함에 따라 저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공기의 여과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온화장치 및 여과식 필터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공기를 여과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각종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고, 유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나 매연 등의 각종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서, 집진방식에 따라 전기 흡착식 공기청정기 및 여과식 공기청정기 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전기 흡착식 공기청정기의 경우에는 분진이 플러스 극성의 전하를 갖는 것에 착안하여 공기통로의 일측에는 플러스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고, 그 대면으로는 마이너스 극성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공기 중의 분진을 마이너스 극성으로 대전된 통로에 흡착시켜 제거하게 된다.
여과식 공기청정기의 경우에는 분진을 함유한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경유하여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중의 각종 분진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인 관계로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특히 여과식 공기청정기의 경우에는 일정 기간마다 필터를 교환해 주어야 하므로 많은 번거로움과 함께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물 필터(Water Filter) 방식의 습식 공기청정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물 필터 방식은 대기 중에 먼지나 세균 등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으로서, 물의 흡착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오염원을 효과적이며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흡입된 공기와 물이 접촉하면서 오염물질이 포집되는 시간은 흡입된 공기가 물 필터(Water Filter)를 통과하는 시간에 의해서 제한되기 때문에 오염 물질의 일정량이 포집되기 전에 흡입된 공기가 물 필터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공기 정화력이 일정치 이상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습식 공기청정기에서는 공기 청정기능과 가습기능을 위한 공기 필터와 가습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가습 겸용 공기 청정기는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많은 부품수로 제조되기 때문에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갖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구성요소가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옴으로써 소비자가 구입하여 설치함에 적지 않은 비용부담을 갖게 되고, 정화실에 원추형 필터들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원추형 필터가 이물질에 의해 더럽혀질 경우 원추형 필터를 청소하거나 또는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물을 이용한 여과 기능 외에 다른 필터 등을 추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장마철 또는 고온다습한 여름철의 경우 물을 이용하여 공기정화기를 사용할 경우, 실내의 습도를 증가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282호(공고일; 2006년09월22일)
[비특허문헌]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OXcG&articleno=913&categoryId=1&regdt=20180705164428
http://dpg.danawa.com/news/view?boardSeq=63&listSeq=3500409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필터 등을 블록 단위로 구성함으로써 특히 수조에 물이 채워진 물 필터와 더불어 다른 종류의 필터 즉 헤파 필터 또는 공기이온화기 등을 적층하여 기능 및 조건에 따라 적합한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여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록 단위의 필터를 더 많이 적층하여 공기의 질에 따라 여과 정도를 달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물을 필터로 사용하게 됨으로 비용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하부 공기를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도록 공기를 유도하는 팬 또는 진공펌프가 장착된 제1블록과, 상부로 개방되며 안쪽에 채워진 물을 공기가 기포형태로 통과하는 제2블록과, 제2블록의 상부에 제1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팬 또는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차에 의해 제2블록에 채워진 물을 통과한 공기가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블록의 하부에서 제2블록의 안쪽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제2블록의 바닥면에 장착된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블록의 측면에는 트랩이 형성되며 트랩의 일단은 제2블록의 저면으로 연장되고, 트랩에 타단에서 주입된 공기는 트랩의 일단과 제2블록의 저면을 연통하는 기공을 통해 제2블록의 안쪽으로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로 개방되며 안쪽에 채워진 물을 공기가 기포형태로 통과하는 제3블록과, 제3블록의 저면에는 외부 공기가 제3블록의 저면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개방부를 더 포함하며, 제3블록의 상부에 제2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팬 또는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차에 의해 제3블록에 채워진 물을 통과한 공기가 제2블록으로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블록의 하부에서 제3블록의 안쪽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제3블록의 바닥면에 장착된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블록의 측면에는 트랩이 형성되며 트랩의 일단은 제3블록의 저면으로 연장되고, 트랩에 타단에서 주입된 공기는 트랩의 일단과 제3블록의 저면을 연통하는 기공을 통해 제3블록의 안쪽으로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블록과 제3블록의 측부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투수구가 형성되며, 투수구는 캡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블록의 내부에 보충수를 저장한 저수조와, 저수조에 저장된 보충수를 제2블록과 제3블록의 안쪽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블록에서 제3블록까지 연장된 급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부는, 제1블록의 저수조 바닥을 관통해 제2블록의 안쪽 바닥까지 연장되며 상단과 하단에 관통공이 형성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상단에 장착되어 급수관의 상단을 개폐함으로써 저수조의 물을 급수관을 통해 아래로 급수하거나 차단하는 밸브와, 상기 급수관의 하단 측부에 고정되고 제2블록의 바닥을 관통해 제3블록의 안쪽 바닥까지 연장되며 상단과 하단에 관통공이 형성된 다른 급수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블록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화기(ionizer), 세척 가능한 필터, 헤파 필터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된 제4블록이 제1블록과 제2블록 사이 또는 제2블록과 제3블록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블록, 제2블록 및 제3블록의 하단 측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제1블록, 제2블록 및 제3블록의 외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배수관이 장착되며, 배구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배수관이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각 블록의 배수구와 배수관의 배수공이 연통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트랩의 상단이 타측면의 상단을 관통하고 트랩의 하단은 내부 바닥에 수평하게 위치하며 트랩의 하단부에 기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의 상단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2블록과, 트랩의 상단이 타측면의 상단을 관통하고 트랩의 하단은 내부 바닥에 수평하게 위치하며 트랩의 하단부에 기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의 상단에 팬이 장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제1블록을 포함하며, 제1블록의 트랩 상단이 제2블록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팬의 작동에 따라 제2블록의 트랩 상단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2블록과 제1블록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팬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블록은 복수 개로서, 한 제2블록의 트랩 상단이 다른 제2블록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측면방향으로 정렬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물을 이용하여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필터를 청소하거나 고가의 필터를 교체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공기청정기는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록의 내부에 마이크로 기포발생기 등을 설치하여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 기능을 갖는 블록을 적층하여 사용함에 따라 공기의 질을 개선함에 있어 헤파 필터, 세척 가능한 필터, 이온화기, 물 필터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공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물보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공기이온화기 블록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공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물보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공기이온화기 블록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0)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 복수의 블록(101, 102H, 102L, 103)들이 적층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유동하면서 공기가 여과되는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기능을 갖는 제4블록(104)을 적층하여 공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여과하여 공기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블록(101, 102H, 102L, 103)이 적층된 형태의 공기청정기를 편의상 한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4개의 블록(101, 102H, 102L, 103)이 적층된 공기청정기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0)는 상층에 위치하는 제1블록(101)과, 제1블록(101)의 아래 중간층에 위치하는 2개의 제2블록(102H, 102L)과, 하층에 위치하는 제3블록(103)을 포함한다.
상층에 위치한 제1블록(101)의 내부에는 팬(113)이 장착되어 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1블록(101)의 상층면에는 배기구(111)가 형성되고, 배기구(111)의 아래에 팬(113)이 장착되어 제1블록(101)의 아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구(111)로 배기시킨다.
또한, 제1블록(101)의 내부에는 보충수(117)를 채울 수 있는 저수조(115)가 형성되며, 저수조(115)를 관통하는 급수부(140)가 설치된다. 급수부(140)는 제1블록(101)에 채워진 보충수(117)가 아래에 위치한 2개의 제2블록(102H, 102L)과 제3블록(103)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급수부(140)에 대해서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아래에서는 상하부 제2블록(102H, 102L) 및 제3블록(103)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부 제2블록(102H)과 하부 제2블록(102L)은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구조이거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통형 구조일 수 있으며, 안쪽에 물(118)이 채워진다. 또한 상하부 제2블록(102H, 102L)의 바닥면에는 체크밸브(120)가 장착되며, 체크밸브(120)는 그 하부에서 물(118)이 채워진 각 제2블록(102H, 102L)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1블록(101)의 팬(113)이 작동하게 되면 제1블록(101)의 아래 즉 상부 제2블록(102H)의 수면의 상부는 저압상태가 되고, 압력 차에 의해 체크밸브(120)의 하부에서 상부인 제2블록(102H)에 채워진 물(118) 쪽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부 제2블록(102H)의 아래에 위치한 공기가 체크밸브(120)를 통과하여 상부 제2블록(102H)에 채워진 물(118)의 안쪽으로 유입되면서 기포 상태로 부유하여 수면으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기포 형태로 부유하게 되면서 물과 공기의 접촉 면적이 크게 확대된다.
물과 공기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즉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유해물질 또한 물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면서 물에 수용되고 상부 제2블록(102H)의 물(118)을 통과한 공기는 체크밸브(120)로 유입될 때의 오염 상태보다 훨씬 정화된 상태로 상부 제2블록(102H)에서 제1블록(101)의 팬(113)을 통과한 후 배기구(111)를 통해 실내로 배기된다.
이와 같이 물이 채워진 상부 제2블록(102H)은 물 필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하층에 위치한 하부 제2블록(102L)과 제3블록(103) 또한 앞서 설명한 상부 제2블록(102H)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하부 제2블록(102L)은 상부 제2블록(102H)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하부 제2블록(102L)의 바닥면에 장착된 체크밸브(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하부 제2블록(102L)의 물을 통과한 후 상부로 유동한 후 상부 제2블록(102H)의 체크밸브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에서 공기의 유동 관계는 팬의 작동에 의한 압력 차에 의해 발생한다.
한편, 제3블록(103)은 그 저면에 다리(121)가 형성됨에 따라 제3블록(103)의 저면으로 돌출된 체크밸브(120)의 유입부(120I)가 지면에 접하지 않고 지면과 간격을 둔 상태로 개방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다리(121)와 다리(121)의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공기가 제3블록(103)의 아래로 유입된다.
따라서 제3블록(103)의 바닥면에 장착된 체크밸브(120)의 유입부(120I)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제3블록(103)에 채워진 물(118)을 관통하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염물질이 물에 접하게 되고, 여과된 공기가 제3블록(103)의 상부로 유동하게 된다.
공기의 유동관계를 살펴보면, 제1블록(101)의 팬(113)이 작동하여 상부 제2블록(102H)의 상부가 저압상태가 되면 압력 차에 의해 상부 제2블록(102H)의 바닥면에 장착된 체크밸브를 통해 아래의 공기가 상부 제2블록(102H)의 상부로 유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 제2블록(102H)의 아래의 공간이 저압상태가 되고, 압력 차에 의해 하부 제2블록(102L) 또는 제3블록(103)의 바닥면에 장착된 체크밸브(120)를 통해 아래의 공기가 하부 제2블록(102L) 및 제3블록(103)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청정기(100)에 있어서, 팬(113)의 용량에 따라 제2블록이 한 개 이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제2블록이 없이 제3블록(103)의 상부에 제1블록(101)만이 위치하더라도 공기의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급수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101), 2개의 제2블록(102H, 102L), 제3블록(103)이 적층된 구조에 있어서, 제1급수관(145)이 제1블록(101)의 저수조(115) 바닥을 관통해 상부 제2블록(102H)의 안쪽 바닥까지 연장되고, 제1급수관(145)의 하단 측부에 고정된 제2급수관(145')은 상부 제2블록(102H)의 바닥을 관통해 하부 제2블록(102L)의 안쪽 바닥까지 연장되며, 제3급수관(145")이 제2급수관(145')의 하단 측부에 고정되어 하부 제2블록(102L)의 바닥을 관통해 제3블록(103)의 안쪽 바닥까지 연장된다.
제1급수관(145) 내지 제3급수관(145")의 상단과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관통공(145H)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블록(101)의 저수조(115)의 안쪽에 위치한 제1급수관(145)의 상단에는 전자밸브(149)가 장착되어 입력된 신호에 의해 제1급수관(145)의 상단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한편, 제3블록(103)의 안쪽에는 수위감지센서(147)가 장착되며, 수위감지센서(147)에서 수위가 낮아짐을 감지하면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고 그 신호에 의해 전자밸브(149)가 개방된다. 전자밸브(149)가 개방되면 제1급수관(145)을 통해 저수조(115)에 저장된 물이 상부 제2블록(102H)의 안쪽으로 공급되고, 상부 제2블록(102H)의 수위는 상승하여 제2급수관(145')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145H)을 통해 아래의 하부 제2블록(102L)으로 급수되어 하부 제2블록(102L)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제2블록(102L)의 수위가 상승하면 제3급수관(145'')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145H)을 통해 제3블록(103)의 안쪽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면서 제3블록(103)의 수위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한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상이 되면, 수위감지센서(147)에서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고 그 신호에 의해 전자밸브(149)가 폐쇄된다.
이와 같이 제1블록(101)의 저수조(115)에 채워진 물이 아래의 제2블록(102H, 102L)들과 제3블록(103)에 자동 공급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화기(ionizer)(130), 세척 가능한 필터, 헤파 필터 등이 내장된 제4블록(104)을 상부 제2블록(102H)의 상부, 상부 제2블록(102H)과 하부 제2블록(102L)의 사이 또는 하부 제2블록(102L)과 제3블록(103)의 사이에 위치하여 물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제4블록(104)을 통과하면서 제4블록(104)에 내장된 필터 또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공기 개선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블록(102H, 102L) 및 제3블록(103)의 바닥면에 체크밸브(120)가 장착되어 각 블록의 아래에 위치한 공기가 압력 차에 의해 블록의 내부로 유입되게 구성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한 블록은 공기를 블록의 물속으로 불어 넣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제2블록(102H, 102L) 및 제3블록(103)을 통칭하여 편의상 '블록'이라 한다. 여기에서 하층에 위치한 블록의 경우에는 상부에 위치한 블록에 비해 단지 다리(121)가 형성된다는 것에 차이점이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50)의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구조로서, 안쪽에는 물이 채워지며, 블록(150)의 측면에는 P자형 트랩(151)이 장착된다. 트랩(151)은 블록(150)의 측면에서 역 'U'자 형태로 180도 절곡된 형태이며 트랩(151)의 일단부는 블록(150)의 저면에 연결된다. 그리고 블록(150)의 바닥과 트랩(151)의 일단부를 연통하는 기공(152)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트랩(151)의 내부에는 블록(150)의 수면과 같은 높이의 물의 채워지며, 트랩(151)의 타단부에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트랩(151) 내부의 물이 밀리면서 기공(152)을 통해 공기가 블록(150)에 채워진 물(118)속으로 유입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블록(150)들이 적층됨에 있어서 트랩(151)이 간섭되지 않도록 트랩(151)은 간격(G)을 두고 형성되며 블록(150)들이 적층되면 상기 간격(G)으로 다른 블록의 트랩이 위치하여 블록들이 적층 가능하게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는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때문에 한 개의 블록만으로도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 가능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는 제1블록(101)에 저수조(115)가 형성되어 보충수(117)가 채워지며, 급수부(140)가 장착되어 보충수(117)가 아래의 제2블록(102H, 102L)들 및 제3블록(103)에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각 블록마다 투수구가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급수부가 필요치 않게 구성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101)에는 팬(113)이 장착되며, 상하부 제2블록(102H, 102L)과 제3블록(103)의 측부에는 투수구(160)가 형성되며 투수구(160)에는 캡(161)으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1블록(101)의 팬(113)이 작동하게 되면 상부 제2블록(102H)의 바닥면에 장착된 체크밸브(120)를 통해 아래의 공기가 상부 제2블록(102H)의 내부로 압력 차에 의해 유동하게 되고, 다음으로 하부 제2블록(102L), 그리고 제3블록(103)의 순서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팬(113)을 통해 제1블록(101)의 상부로 배기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유동하는 중에 기포 상태로 물을 통과하면서 여과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부 제2블록(102H)와 하부 제2블록(102L)과 제3블록(103)에 채워진 물이 증발하여 수위가 낮아질 경우 해당 블록(102H, 102L, 103)의 투수구(160)를 폐쇄한 캡(161)을 제거하고 투수구(160)를 통해 물을 보충한다. 그리고 캡(161)으로 투수구(160)를 봉쇄하여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제2블록(102H)과 하부 제2블록(102L) 및 제3블록(103)의 측부에는 배수구(141)가 형성되고, 배수구(141)가 형성된 측부에는 배수관(143)이 위치한다. 상기 배수관(143)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배수관(143)에는 상부 제2블록(102H)과 하부 제2블록(102L) 및 제3블록(103)의 배수구(141)와 대응하는 배수공(143H)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배수관(143)이 상향으로 이동해 있을 경우에는 상부 제2블록(102H)과 하부 제2블록(102L) 및 제3블록(103)의 배수구(141)가 배수관(143)에 의해 폐쇄되지만, 배수관(143)이 하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제2블록(102H)과 하부 제2블록(102L) 및 제3블록(103)의 각 배수구(141)는 배수관(143)의 배수공(143H)과 연통되어 상부 제2블록(102H)과 하부 제2블록(102L) 및 제3블록(103)에 채워진 물이 배수관(143)을 통해 배수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공기청정기는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며 정화되는 구조인 반면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공기청정기는 측방향으로 위치한 블록을 공기가 통과하면서 물필터에 의해 공기가 정화되는 구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의 블록(101, 102', 102", 103)들이 측방향으로 연결되며, 일측에 위치한 제1블록(101)의 상부에는 팬(113)이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킨다.
각 블록(101, 102', 102", 103)은 내부에 물이 절반 정도 채워지며, 블록(101, 102', 102", 103)의 타측면 상단을 관통해 블록(101, 102', 102", 103)의 내부로 유입된 트랩(151)은 블록(101, 102', 102", 103)의 내부 바닥에 수평하게 위치하며 트랩(151)의 하단부에 형성된 기공(152)을 통해 공기를 해당 블록의 내부로 배출한다.
또한 각 블록(101, 102', 102", 103)의 일측면 상단에는 인접한 블록의 트랩(151) 상단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트랩(151)으로 연결된 복수의 블록(101, 102', 102", 103) 중에서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3블록(103)의 트랩(151)은 대기 중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청정기의 팬(113)이 작동하면, 제1블록(101)의 내부 상단이 저압상태가 되면서 그 압력 차에 의해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3블록(103)의 트랩(151) 상단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제3블록(103)의 트랩(151) 상단으로 유입된 공기를 제3블록(103)의 내부에서 기공(152)을 통해 배출되고, 그 공기는 다시 인접한 제2블록(102")으로 트랩(151)을 통해 유동한 후 제2블록(102")의 내부로 배출되는 순서로 제1블록(101)의 내부까지 트랩(151)을 통해 공기가 유동하며 결국 팬(113)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기된다.
각 블록(101, 102', 102", 103)의 물을 통과한 공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등은 물에 의해 제거된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는 제1블록의 내부에 팬이 장착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팬을 대신하여 진공펌프를 장착함으로써 팬보다 강력하게 공기를 유동시켜 공기의 유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물을 이용하여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필터를 청소하거나 고가의 필터를 교체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포가 미세하면 할수록 여과 효율은 상승하기 때문에 블록의 내부에 마이크로 기포발생기 등을 설치하여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과 기능을 갖는 블록을 적층하여 사용함에 따라 공기의 질을 개선함에 있어 헤파필터, 세척 가능한 필터, 이온화기, 물 필터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개선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0 : 공기청정기
101, 102H, 102L, 103, 104, 150, 102', 102" : 블록
111 : 배기구
113 : 팬
115 : 저수조
117 : 보충수
118 : 물
120 : 체크밸브
120I : 유입부
121 : 다리
130 : 이온화기
140 : 급수부
141 : 배수구
143 : 배수관
143H : 배수공
145, 145', 145" : 급수관
147 : 수위감지센서
151 : 트랩
152 : 기공
160 : 투수구
161 : 캡

Claims (14)

  1.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하부 공기를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도록 공기를 유도하는 팬 또는 진공펌프가 장착된 제1블록과,
    상부로 개방되며 안쪽에 채워진 물을 공기가 기포형태로 통과하는 제2블록과,
    제2블록의 상부에 제1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팬 또는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차에 의해 제2블록에 채워진 물을 통과한 공기가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2블록의 하부에서 제2블록의 안쪽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제2블록의 바닥면에 장착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2블록의 측면에는 트랩이 형성되며 트랩의 일단은 제2블록의 저면으로 연장되고, 트랩에 타단에서 주입된 공기는 트랩의 일단과 제2블록의 저면을 연통하는 기공을 통해 제2블록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되며 안쪽에 채워진 물을 공기가 기포형태로 통과하는 제3블록과,
    제3블록의 저면에는 외부 공기가 제3블록의 저면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개방부를 더 포함하며,
    제3블록의 상부에 제2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팬 또는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차에 의해 제3블록에 채워진 물을 통과한 공기가 제2블록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제3블록의 하부에서 제3블록의 안쪽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제3블록의 바닥면에 장착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4항에 있어서,
    제3블록의 측면에는 트랩이 형성되며 트랩의 일단은 제3블록의 저면으로 연장되고, 트랩에 타단에서 주입된 공기는 트랩의 일단과 제3블록의 저면을 연통하는 기공을 통해 제3블록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4항에 있어서,
    제2블록과 제3블록의 측부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투수구가 형성되며, 투수구는 캡에 의해 개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4항에 있어서,
    제1블록의 내부에 보충수를 저장한 저수조와,
    저수조에 저장된 보충수를 제2블록과 제3블록의 안쪽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블록에서 제3블록까지 연장된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급수부는,
    제1블록의 저수조 바닥을 관통해 제2블록의 안쪽 바닥까지 연장되며 상단과 하단에 관통공이 형성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상단에 장착되어 급수관의 상단을 개폐함으로써 저수조의 물을 급수관을 통해 아래로 급수하거나 차단하는 밸브와, 상기 급수관의 하단 측부에 고정되고 제2블록의 바닥을 관통해 제3블록의 안쪽 바닥까지 연장되며 상단과 하단에 관통공이 형성된 다른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제3블록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장착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1. 제4항에 있어서,
    이온화기(ionizer), 세척 가능한 필터, 헤파 필터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된 제4블록이 제1블록과 제2블록 사이 또는 제2블록과 제3블록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제4항에 있어서,
    제1블록, 제2블록 및 제3블록의 하단 측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제1블록, 제2블록 및 제3블록의 외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배수관이 장착되며, 배구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배수관이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각 블록의 배수구와 배수관의 배수공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3. 트랩의 상단이 타측면의 상단을 관통하고 트랩의 하단은 내부 바닥에 수평하게 위치하며 트랩의 하단부에 기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의 상단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2블록과,
    트랩의 상단이 타측면의 상단을 관통하고 트랩의 하단은 내부 바닥에 수평하게 위치하며 트랩의 하단부에 기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의 상단에 팬이 장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제1블록을 포함하며,
    제1블록의 트랩 상단이 제2블록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팬의 작동에 따라 제2블록의 트랩 상단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2블록과 제1블록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팬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블록은 복수 개로서, 한 제2블록의 트랩 상단이 다른 제2블록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측면방향으로 정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PCT/KR2019/018163 2019-01-25 2019-12-20 공기청정기 WO202015361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991A KR102132114B1 (ko) 2019-01-25 2019-01-25 공기청정기
KR10-2019-0009991 2019-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3611A1 true WO2020153611A1 (ko) 2020-07-30

Family

ID=7160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8163 WO2020153611A1 (ko) 2019-01-25 2019-12-20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2114B1 (ko)
WO (1) WO2020153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761B1 (ko) * 2020-07-29 2022-12-08 장종환 차량용 공기청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0702B2 (ja) * 1990-11-28 1999-08-03 株式会社テクノ菱和 空気イオン化システム
KR20040105904A (ko) * 2003-06-09 2004-12-17 종 해 김 공기방울 공기 청정기 시스템과 방법
KR100464516B1 (ko) * 2002-12-23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595218B1 (ko) * 2012-04-23 2016-02-26 주식회사에이비테크 공기정화장치
CN205501076U (zh) * 2016-04-15 2016-08-24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小型污水与空气处理的一体式净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282Y1 (ko) 2006-07-03 2006-09-22 전영모 물 분사형 공기 정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0702B2 (ja) * 1990-11-28 1999-08-03 株式会社テクノ菱和 空気イオン化システム
KR100464516B1 (ko) * 2002-12-23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40105904A (ko) * 2003-06-09 2004-12-17 종 해 김 공기방울 공기 청정기 시스템과 방법
KR101595218B1 (ko) * 2012-04-23 2016-02-26 주식회사에이비테크 공기정화장치
CN205501076U (zh) * 2016-04-15 2016-08-24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小型污水与空气处理的一体式净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114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2224A2 (ko)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WO2016182251A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WO2011118861A1 (ko) 대용량 여과집진기 탈진 장치 및 방법
WO2016163673A1 (ko) 공기청정기
KR20070069776A (ko)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WO2020153611A1 (ko) 공기청정기
KR200429519Y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WO2020162674A1 (ko) 습식 공기청정장치
WO2021256805A1 (ko) 도어형 열회수 공기청정 환기장치
WO2009145468A2 (ko) 레일궤도용 공기정화장치
KR20030003677A (ko) 세정식 공기정화장치
KR20190025483A (ko)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KR20070048563A (ko) 공기 정화 장치
WO2017222241A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WO2020213908A1 (ko)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WO2023128103A1 (ko) 수처리시설
CN104315610B (zh) 水淋式空气净化装置
CN103586129B (zh) 静电空气净化装置及方法
WO2019194333A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CN108826483B (zh) 显热除湿净化机
KR101972219B1 (ko) 환기용 공기청정장치
CN105716157A (zh) 一种环保型多级空气净化设备
WO2018062763A1 (ko) 실내 유입공기 정화장치
KR200406028Y1 (ko) 공기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21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21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