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5141A1 - 백필터용 탈진노즐 - Google Patents

백필터용 탈진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5141A1
WO2022055141A1 PCT/KR2021/010706 KR2021010706W WO2022055141A1 WO 2022055141 A1 WO2022055141 A1 WO 2022055141A1 KR 2021010706 W KR2021010706 W KR 2021010706W WO 2022055141 A1 WO2022055141 A1 WO 20220551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dust removal
guide tube
tube
removal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07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은애
변영철
김량균
고동준
이영봉
김병기
이재윤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20551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51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removal nozzle for a bag filter, which is formed in a blow tube for providing a dust escape flow to the bag filter.
  • a dust collector using a bag filter is one of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devices that filter or prevent various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that causes air pollution or harmful particles contained in exhaust gas from factories, etc.
  • the dust layer acts as the main filtration layer, the collection efficiency increases, but at the same time, it can act as a resistor to block the gas flow.
  • This dust collection method is one of the excellent dust collection technologies, and high efficiency can be obtained by properly selecting a bag filter. do.
  • This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ipe is inserted into the guide pipe, and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escapement air flow is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and consequently, the inflow of ambient air is not maximized.
  • the separation space through which the ambient air can be introduced is formed only at the top of the guide tube, that is, at the rear portion of the exhaust air flow from the discharge tub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flow range of the ambient air flow is limit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removal nozzle for a bag filter that increases the dust removal efficiency.
  • a dust removal nozzle for a bag filter comprising: a discharge pipe formed at an end of a blow tube; and a guide tube disposed above the bag filter, connected to the discharge tube, and having an uppe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tube.
  • a lower open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ag filter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open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tube on the upper side, thereby forming a double vertical spacing structure in which both are spaced apart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 the guide tube may be formed with an upper extension extending toward the upper side.
  • the guide tube may be formed with a lower extension extending toward the lower side.
  • the guide tube may be simultaneously formed with an upper extension extending toward the upper side and a lower extension extending toward the lower side.
  • the guide tube is formed with an intermediate portion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s mainta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extension and the lower extension, and a tornado-type structure may be formed inside the intermediate portion.
  • Such a tornado-type structur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ding plates are dispos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art and rotate toward the lower side.
  • a spiral structure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extension.
  • Such a spiral structur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guide plate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xtension and is rotated toward the lower side.
  • the lower extension portion may have a built-in conical guide member, and the conical guide member may have an arrangement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discharge pip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ortion is tapered downward.
  • the guide tube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discharge tube and also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ag filter to take a double vertical spacing structure,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air flow to the bag filter. As it increases,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xhaustion efficiency of the bag filt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rease the amount of ambient air flowing into the lower guide tube in the space between the discharge tube and the guide tub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by forming an upper extension and a lower extension in the guide tube. ,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exhaustion action can be made uniformly in the entire part of the bag filter by dispersing the exhaust air flow as much as possible in the lower part of the guide tube.
  •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otational flow in the escapement airflow in the middle part by forming a tornado-type structure, and as a spiral structure is formed to guide the escapement flow so that the escapement airflow is rotated in the lower extension part, the escapement airflow is back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bag filter and increasing the exhaustion efficiency by allowing it to pass uniformly to the side without being concentr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 the conical guide member since the conical guide member is built in the lower extension, when the escaped air flow passes through the lower extension, it does not pass through on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extension, but disperses i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xtension to uniformly distribute the entire part of the bag filter.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bag filter and increasing the exhaustion efficiency.
  • FIG. 1 is a view showing a dust removal nozzle for a bag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upply of the exhaust air flow to the bag filter through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bag filter of FIG. 1 .
  • FIG 3 is a view showing a dust removal nozzle for a bag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upply of the exhaust air flow to the bag filter through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bag filter of FIG. 3 .
  • FIG. 5 is a view showing a dust removal nozzle for a bag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upply of the exhaust air flow to the bag filter through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bag filter of FIG. 5 .
  • FIG. 7 is a view showing a dust removal nozzle for a bag fil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supply of the exhaust air flow to the bag filter through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bag filter of FIG. 7 .
  •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harge pipe in the dust removal nozzle for a ba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and 11 are graphs show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dust collector after the dust removal process of the bag filter.
  • FIG. 12 is a view showing that a tornado-type structure is formed in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bag filter of FIG. 7 .
  • FIG. 13 is a view showing that a spir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bag filter of FIG. 7 .
  • FIG. 14 is a view showing that the conical guide member is built in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bag filter of FIG. 7 .
  • the dust removal nozzle for a bag filter includes a discharge pipe 100 and a guide pipe 200 .
  • the discharge pipe 10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low tube 2 , and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blow tube 2 is discharged toward the bag filter 1 through the discharge pipe 100 .
  • the guide tube 20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tube 100 by a connection member 190 to extend toward the bag filter 1 .
  • the guide pipe 200 guides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00 to the bag filter 1 side, and also introduces a peripheral airflow of the discharge pipe 100 together with the compressed air of the discharge pipe 100 .
  • the guide pipe 200 serves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escape air flow to the bag filter (1).
  • the guide tube 2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opening 200a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tube 100 while the guide tube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g filter 1 .
  •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tube 100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opening 200a of the guide tube 200 and is not accommodated in the guide tube 200 , bu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tube 100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guide tube 200 . (200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with a certain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discharge pipe 100 and the guide pipe (200).
  • the spaced structure between the discharge pipe 100 and the guide pipe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ir discharge of the discharge pipe 100 .
  • the inflow of ambient air into the guide tube 200 can be made more smoothly.
  • the inflow of ambient air into the guide tube 200 is made more smoothly than in the prior art, and the inflow of ambient air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haustion efficiency for (1).
  • the guide tube 200 may take a double vertical spacing structure.
  • the lower opening is spaced apart from the bag filter 1 on the lower side
  • the upper opening 200a is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tube 100 on the upper side.
  • the guide tub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ag filter 1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discharge tube 100 , so that a spaced space is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uide tube 200 .
  • the vertical spacing structure By taking the vertical spacing structure, the negative pressure space by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both the upper spaced space and the lower spaced space of the guide tube 200, so that the external exposure area becomes larger. do.
  • the flow rate of the escapement air flow to the bag filter 1 can be further increased because the inflow of ambient air is made in the lower spaced space as well as the upper spaced space of the guide tube 200.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exhaustion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tube 200 .
  • the guide tube 200 may take a tube shape as a basic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may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200 is expanded, as shown in FIGS. 3 and 4 as a second embodiment.
  • the guide tube 200 may be formed with an upper extension portion 210 that expands toward the upper side.
  • the upper extension 210 in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amount of ambient air flowing into the lower guide tube 200 in the space between the discharge tube 100 and the guide tube 200 .
  •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tube 200 may be expanded.
  • the guide tube 200 may be formed with a lower extension portion 230 that expands toward the lower side.
  • the lower extension 230 in the thir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Accordingly, the exhaustion action can be made uniformly in the entire part of the bag filter 1 by dispersing the exhaust air flow guided to the bag filter 1 as much as possible.
  • the present invention may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tube 200 are expanded as shown in FIGS. 7 and 8 as a fourth embodiment.
  • the guide tube 200 may be formed with an upper extension 210 that expands toward the upper side, and a lower extension 230 that extends toward the lower side.
  • the upper extension 210 and the lower extension 230 in the fourth embodiment have a guide tube ( As the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upper guide tube 200 moves from the space between the discharge tube 100 and the guide tube 200 to the lower guide tube 200 insid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amount of ambient air introduced therein, and by dispersing the exhaust air flow in the lower part of the guide tube 200 as much as possible, the exhaustion action can be made uniformly in the entire part of the bag filter 1 .
  • the discharge pipe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is tapered downward.
  • the flow rate of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10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discharge pipe 100 and the guide pipe 200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 and thus the flow rate of the ambient air flowing into the guide tube 200 can be increased to ultimately increase the exhaustion efficiency.
  • 10 and 11 are graphs show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dust collector after the dust removal process of the bag filter (1).
  •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of the dust collector after the dust removal process of the bag filter 1 is shown.
  • a pressure gauge was installed in each of the outlet paths filtered by the bag filter (1) and exiting the bag filter (1),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of the dust collector was measured.
  •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ared with other comparative examples.
  • a comparative example when there is only a discharge tube without a guide tube (tube type), and when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tube is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 discharge tube insertion type).
  • the tubular type shows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increases significantly as the number of times of the dedusting process increases, whereas the discharge tube insertion type and the first embodiment show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gradually increases. As the increase rate de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exhaustion efficiency is better.
  •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compared, in the same order as Example 1 ⁇ Example 3 ⁇ Example 2 ⁇ Example 4, and exhaustion of Example 4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is the best.
  • it may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o further increase the exhaustion efficiency.
  • FIG. 12 is a view showing that a tornado-type structure is formed in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bag filter of FIG. 7
  • FIG. 13 is a view showing that a spir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bag filter of FIG. 7, and
  • FIG. 14 is the bag of FIG. It is a view showing that the conical guide member is built in the dust removal nozzle for the filter.
  • the central part of the bag filter 1 receives a concentrated load by the exhaust air flow that flows vertically during the dust removal process during that period. A hole may easily occur in the central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bag filter 1 .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xhaust air flow flowing into the bag filter 1 is uniformly spread over the entire part of the bag filter 1 while rotating instead of vertically.
  • an intermediate portion 220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s mainta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xtension portion 210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230,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 A tornado-type structure 310 may be formed inside the 220 .
  • the tornado-type structure 3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ding plates 311 are dispos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art 220 and rotate toward the lower side.
  • the tornado-type structure 310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ding plates 311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220 as shown in the drawings and extend in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20. Alternatively, 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termediate portion 220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220 .
  • This tornado-type structure 310 generates a rotational flow in the escapement airflow when the escapement airflow passes through the middle part 220 of the guide tube 200, so that the escapement airflow spreads laterally in the lower extension part 230. Accordingly, the exhaust air flow is uniformly passed through the side portion without being concent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bag filter 1,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bag filter 1 and increasing the exhaustion efficiency.
  • a spiral structure 320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extension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piral structure 3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guide plate 321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wer extension part 230 and rotates toward the lower side.
  • the spiral structure 32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guide plate 321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xtension 230 as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lower extension 230 as shown in the drawings. Alternatively, 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lower extension 230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lower extension 230 .
  • This spiral structure 320 guides the escapement flow so that the escapement air flow gradually rotates when it spreads in the lower extension 230 of the guide tube 200, so that when exiting the guide tube 200, the spiral structure 320 rotates and flows. As it spreads later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to the bag filter 1 and increase the exhaustion efficiency by allowing the exhaust air flow to pass through the side portion uniformly without being concentrated i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bag filter 1 . .
  • the tornado-type structure 310 of FIG. 12 and the spiral structure 320 of FIG. 13 may be included together in the guide tube 200 of course.
  • the lower extension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ical guide member 330 embedded therein, and the conical guide member 33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xtension 2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tructure can be achieved.
  • the conical guide member 3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extension part 230 by a link bar B as shown in the figure, or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lower extension part by a link bar It can be connected to other parts of the part 230, and furthermore, the shape of the link bar (B) is not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shape structure can be utilized.
  • Such a conical guide member 330 does not pass through on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extension 230 when passing through the lower extension 230 and disperses it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xtension 230, thereby providing a bag filter (1). ) from the inside to the inner side, and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flow rate in the escape air flows from the inside of the bag filter 1 to the inner side and flows to the lower surface, so that it passes through the entire part of the bag filter 1 uniformly.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bag filter 1 and increase the dust removal efficiency.
  • the guide tub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discharge tube 100 and also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ag filter 1 to take a double vertical spaced arrangement structure. As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air flow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haust efficiency of the bag filter 1 .
  • the upper extension 210 and the lower extension 230 are formed in the guide tube 200 , so tha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200 , a space between the discharge tube 100 and the guide tube 200 is spaced apar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ambient air flowing into the lower guide tube 200 in the , and by dispersing the exhaust air flow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tube 200 as much as possible, the exhaustion action is uniformly performed in the entire part of the bag filter 1 . can make you lose
  •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otational flow in the escapement airflow in the intermediate part 220 by forming the tornado-type structure 310, and the spiral structure 320 is formed so that the escapement airflow in the lower extension 230 is rotational flow.
  • the conical guide member 330 is embedded in the lower extension 230 , when the escaped air flow passes through the lower extension 230 , on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extension 230 does not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By dispersing it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expansion part 230 so that the entire portion of the bag filter 1 is uniformly passed, damage to the bag filter 1 can be prevented and the exhaus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노즐은, 블로우튜브의 단부에 형성된 토출관; 및 백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고 상부개구부가 상기 토출관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된 안내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백필터용 탈진노즐
본 발명은 백필터용 탈진노즐로서, 백필터에 탈진기류를 제공하는 블로우튜브에 형성된 백필터용 탈진노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의 하나로 백필터(bag filter)를 이용한 집진장치가 있다.
백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는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각종 입자상물질이나 공장 등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배출을 방지하는 대기오염 방지장치의 하나이다.
이러한 백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의 여과방식으로는, 얇은 종이나 섬유 등의 여과재 표면에 먼지를 붙이는 표면여과방식과 유리섬유나 면섬유 같은 두꺼운 층의 여과재를 자루 모양이나 평판형으로 만든 여과포(濾過布), 즉 백필터의 섬유층 속에 먼지를 모으는 내부여과방식이 있다.
운전초기에는 여과재에 의해서만 먼지가 분리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과재의 표면에 쌓이는 분진층이 여과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진층이 주 여과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포집효율은 상승하지만 동시에 가스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진방식은 우수한 집진기술 중 하나로 백필터를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지만, 압력손실의 과부하로 인하여 백필터의 세공이 막히게 되면 여과재의 수명이 단축되며 운전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백필터 표면의 먼지 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압력손실이 커지므로 어느 정도 사용한 뒤에는 먼지를 털어주는 탈진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백필터의 탈진작업을 위한 기존 방법으로는 블로우튜브(Blow tube)에서 고압의 탈진기류를 분사노즐을 통해 정기적으로 분사하여 백필터에 포집된 분진을 역세척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분사노즐은 블로우튜브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만을 분사함에 따라 탈진기류의 유량이 한정되므로 백필터에 포집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탈진기류가 백필터의 내부 표면으로 고르게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탈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2254호에 제안된 백필터용 탈진노즐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토출관의 하부가 안내관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서, 탈진기류로 인해 발생하는 음압이 토출관 내에 형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주변공기의 유입이 최대화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이격공간이 안내관의 최상부, 즉, 토출관에서 나온 탈진기류의 진행방향 뒷부분에만 형성되므로 주변기류의 유입범위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탈진효율을 증대시키는 백필터용 탈진노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노즐은, 블로우튜브의 단부에 형성된 토출관; 및 백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고 상부개구부가 상기 토출관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된 안내관;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관은, 하부개구부가 하측의 상기 백필터와 이격되고, 상기 상부개구부가 상측의 상기 토출관과 이격되어, 상하측으로 모두 이격된 이중 상하이격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은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상부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관은 하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하부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안내관은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상부확장부와, 하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하부확장부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안내관은 상기 상부확장부와 하부확장부 사이에 종방향으로 내경이 유지되는 중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의 내부에는 회오리형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오리형 구조체는, 복수 개의 돌출판이 상기 중간부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확장부의 내부에는 나선형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 구조체는, 한 개의 안내판이 상기 하부확장부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확장부는 원뿔형 가이드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원뿔형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부확장부의 내부 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배치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관은,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노즐은, 안내관이 상측의 토출관과 이격되고, 아울러 하측의 백필터와도 이격되어 이중 상하이격 배치구조를 취함으로써, 백필터에 대한 탈진기류의 유량을 더욱더 늘림에 따라, 백필터에 대한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안내관에 상부확장부와 하부확장부가 형성됨으로써, 안내관 상부에서는 토출관과 안내관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하측의 안내관 내부로 유입되는 주변공기의 유입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고, 안내관 하부에서는 탈진기류를 최대한 분산시킴으로써 백필터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탈진작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회오리형 구조체가 형성됨으로써 중간부에서 탈진기류에 회전유동을 발생시키고, 나선형 구조체가 형성됨으로써 하부확장부에서 탈진기류가 회전유동되도록 탈진기류를 가이드함에 따라, 탈진기류가 백필터의 내부에서 하부에 집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측부분으로도 통과되도록 하여, 백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부확장부에 원뿔형 가이드부재가 내장됨으로써, 탈진기류가 하부확장부를 통과 시 하부확장부의 중앙부분만을 집중해서 통과하지 않고 하부확장부의 내측면 측으로 분산시켜 백필터의 전체적인 부분을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함에 따라, 백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을 통해 백필터에 탈진기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을 통해 백필터에 탈진기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을 통해 백필터에 탈진기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을 통해 백필터에 탈진기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에서 토출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백필터의 탈진공정 후 집진기의 차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7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에 회오리형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에 나선형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7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에 원뿔형 가이드부재가 내장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노즐은, 도 1 내지 도 9,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100)과, 안내관(200)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관(100)은 블로우튜브(2)의 단부에 형성되며, 블로우튜브(2)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이러한 토출관(100)을 통해 백필터(1) 측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200)은 토출관(100)에 연결부재(190)에 의해 연결되어 백필터(1) 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안내관(200)은 토출관(100)을 통해 토출된 압축공기를 백필터(1) 측으로 가이드하는데, 아울러 토출관(100)의 주변기류를 유입시켜 토출관(100)의 압축공기와 함께 백필터(1)로 안내함으로써, 백필터(1)에 대한 탈진기류의 유량을 늘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으로서 안내관(200)은 백필터(1)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개구부(200a)가 토출관(100)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토출관(100)의 하단부가 안내관(200)의 상부개구부(200a)로 인입되어 안내관(200)에 수용되지 않고, 토출관(100)의 하단부와 안내관(200)의 상부개구부(200a)가 서로 이격되어 토출관(100)과 안내관(200) 사이에 일정 정도의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토출관의 하부가 안내관에 수용된 종래구조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의 토출관(100)과 안내관(200)의 이격구조는, 토출관(100)의 압축공기 토출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공간의 외부 노출영역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안내관(200) 내부로의 주변공기 유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안내관(200) 내부로의 주변공기 유입이 종래에 비하여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주변공기 유입량이 늘어나게 됨으로써, 백필터(1)에 대한 탈진기류의 유량을 더욱 늘림에 따라, 백필터(1)에 대한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관(200)은 이중 상하이격 배치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안내관(200)은 하부개구부가 하측의 백필터(1)와 이격되고, 상부개구부(200a)가 상측의 토출관(100)과 이격되어, 상하측으로 모두 이격된 이중 상하이격 배치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안내관(200)은 상측의 토출관(100)과 이격된 구조에 더하여, 하측의 백필터(1)와도 이격되어, 안내관(200)의 상측과 하측 모두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이중 상하이격 배치구조를 취함으로써, 토출관(100)을 통해 토출된 압축공기에 의한 음압공간이 안내관(200)의 상측 이격공간과 하측 이격공간 모두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 노출영역이 더욱더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안내관(200)의 상측 이격공간과 함께 하측 이격공간에서도 주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져서 백필터(1)에 대한 탈진기류의 유량을 더욱더 늘릴 수 있음에 따라, 백필터(1)에 대한 탈진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안내관(200)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제1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200)이 기본적인 형상으로서 튜브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200)의 상부가 확장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안내관(200)은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상부확장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의 안내관(200)이 종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횡단면적 구조를 가진 것에 비하여, 제2 실시예에서의 상부확장부(210)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토출관(100)과 안내관(20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하측의 안내관(200) 내부로 유입되는 주변공기의 유입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3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200)의 하부가 확장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안내관(200)은 하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하부확장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의 안내관(200)이 종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횡단면적 구조를 가진 것에 비하여, 제3 실시예에서의 하부확장부(230)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백필터(1)로 안내하는 탈진기류를 최대한 분산시킴으로써 백필터(1)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탈진작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4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200)의 상부와 하부가 확장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안내관(200)은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상부확장부(210)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하부확장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의 안내관(200)이 종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횡단면적 구조를 가진 것에 비하여, 제4 실시예에서의 상부확장부(210)와 하부확장부(230)는 안내관(200)이 상측과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에 따라, 안내관(200) 상부에서는 토출관(100)과 안내관(20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하측의 안내관(200) 내부로 유입되는 주변공기의 유입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고, 안내관(200) 하부에서는 탈진기류를 최대한 분산시킴으로써 백필터(1)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탈진작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관(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관(100)의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구조를 지님으로써, 토출관(100)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서 토출관(100)과 안내관(20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의 음압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내관(200) 내부로 유입되는 주변공기의 유량을 늘려서 종국적으로 탈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백필터(1)의 탈진공정 후 집진기의 차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탈진효율을 알기 위해 집진성능과 관련된 수치로서, 백필터(1)의 탈진공정 후 집진기의 차압수치를 나타내었는데, 이때 집진기에서 집진 시 백필터(1)로 유입되는 유입경로와 백필터(1)에 의해 필터링되어 백필터(1)로부터 나가는 유출경로 각각에 압력계를 장착하여, 집진기의 차압수치가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30분 동안 균일하게 먼지를 주입한 다음, 블로우튜브(2)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탈진공정이 수행된 후, 백필터(1)에 걸리는 차압을 측정하였다.
먼저,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다른 비교예들과 비교하였는데, 비교예로서 안내관이 없이 토출관만 있는 경우(튜브형), 그리고 토출관의 하부가 안내관에 삽입된 경우(토출관 삽입형)와 비교하였다.
결과로서, 튜브형은 탈진공정 회수가 늘어날수록 차압이 상당히 커진데 반하여, 토출관 삽입형과 제1 실시예는 차압이 서서히 증가함을 보여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토출관 삽입형보다 차압 증가율이 떨어짐에 따라 탈진효율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를 비교하였는데, 제1 실시예 < 제3 실시예 < 제2 실시예 < 제4 실시예와 같은 순서로서, 제4 실시예의 탈진효율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예들에 더하여, 탈진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탈진효율이 가장 우수한 제4 실시예에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시키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도 7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에 회오리형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7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에 나선형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도 7의 백필터용 탈진노즐에 원뿔형 가이드부재가 내장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토출관(100)으로부터 압축공기가 토출되면 안내관(200)을 통해 주변공기가 합류되어, 백필터(1)로 공급되는 탈진기류가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탈진기류가 수직유동(하측으로 직선형 유동)으로 백필터(1)에 공급되면, 백필터(1)가 손상되고 백필터(1)의 탈진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진기를 얼마 정도의 기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그 기간 동안 탈진공정 시 수직유동되는 탈진기류에 의해 백필터(1)의 중앙부가 집중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편중된 탈진기류의 압력에 의해 백필터(1)의 내부에서 중앙 하부 부위에 파공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직유동되는 탈진기류는 압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백필터(1)의 내부공간에 음압을 형성시킴에 따라, 탈진기류에 의해 백필터(1)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진 먼지들 중 일부가 백필터(1) 내부의 음압에 의해 다시 역으로 백필터(1)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된 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백필터(1)에 유입되는 탈진기류가 수직유동이 아닌 회전유동하면서 백필터(1)의 전체적인 부분에 균일하게 퍼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내관(200)은 상부확장부(210)와 하부확장부(230) 사이에 종방향으로 내경이 유지되는 중간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220)의 내부에는 회오리형 구조체(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오리형 구조체(310)는 복수 개의 돌출판(311)이 중간부(220)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회오리형 구조체(3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돌출판(311)이 중간부(220)와 일체형 구조로서 중간부(220)의 내부 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중간부(220)와 별개의 부재로서 중간부(22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회오리형 구조체(310)는 탈진기류가 안내관(200)의 중간부(220)를 통과할 때 탈진기류에 회전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탈진기류가 하부확장부(230)에서 측방향으로 퍼지게 됨에 따라, 탈진기류가 백필터(1)의 내부에서 하부에 집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측부분으로도 통과되도록 하여, 백필터(1)의 손상을 방지하고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부확장부(230) 내부에는 나선형 구조체(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구조체(320)는 한 개의 안내판(321)이 하부확장부(230)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나선형 구조체(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안내판(321)이 하부확장부(230)와 일체형 구조로서 하부확장부(230)의 내부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하부확장부(230)와 별개의 부재로서 하부확장부(23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나선형 구조체(320)는 탈진기류가 안내관(200)의 하부확장부(230)에서 퍼질 때 탈진기류가 서서히 회전유동되도록 탈진기류를 가이드함으로써, 안내관(200)을 나올 때는 회전유동하면서 측방향으로 퍼지게 됨에 따라, 탈진기류가 백필터(1)의 내부에서 하부에 집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측부분으로도 통과되도록 하여, 백필터(1)의 손상을 방지하고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12의 회오리형 구조체(310)와 도 13의 나선형 구조체(320)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내관(200)의 내부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부확장부(230)는 원뿔형 가이드부재(330)가 내장되고, 상기 원뿔형 가이드부재(330)는 하부확장부(230)의 내부 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원뿔형 가이드부재(3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바(B)에 의해 하부확장부(230)의 내부에서 상부에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링크바에 의해 하부확장부(230)의 다른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 링크바(B) 형상도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원뿔형 가이드부재(330)는 하부확장부(230)를 통과 시 하부확장부(230)의 중앙부분만을 집중해서 통과하지 않고 하부확장부(230)의 내측면 측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백필터(1)의 내부에서 내측면 측으로 유동되게 하며, 이때 탈진기류에서 일부 유량은 백필터(1)의 내부에서 내측면을 타고 흘러서 하면으로도 유동됨에 따라, 백필터(1)의 전체적인 부분을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하여, 백필터(1)의 손상을 방지하고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안내관(200)이 상측의 토출관(100)과 이격되고, 아울러 하측의 백필터(1)와도 이격되어 이중 상하이격 배치구조를 취함으로써, 백필터(1)에 대한 탈진기류의 유량을 늘림에 따라, 백필터(1)에 대한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안내관(200)에 상부확장부(210)와 하부확장부(230)가 형성됨으로써, 안내관(200) 상부에서는 토출관(100)과 안내관(20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하측의 안내관(200) 내부로 유입되는 주변공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안내관(200) 하부에서는 탈진기류를 최대한 분산시킴으로써 백필터(1)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탈진작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회오리형 구조체(310)가 형성됨으로써 중간부(220)에서 탈진기류에 회전유동을 발생시키고, 나선형 구조체(320)가 형성됨으로써 하부확장부(230)에서 탈진기류가 회전유동되도록 탈진기류를 가이드함에 따라, 탈진기류가 백필터(1)의 내부에서 하부에 집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측부분으로도 통과되도록 하여, 백필터(1)의 손상을 방지하고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부확장부(230)에 원뿔형 가이드부재(330)가 내장됨으로써, 탈진기류가 하부확장부(230)를 통과 시 하부확장부(230)의 중앙부분만을 집중해서 통과하지 않고 하부확장부(230)의 내측면 측으로 분산시켜 백필터(1)의 전체적인 부분을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함에 따라, 백필터(1)의 손상을 방지하고 탈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블로우튜브의 단부에 형성된 토출관; 및
    백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고 상부개구부가 상기 토출관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된 안내관;
    을 포함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하부개구부가 하측의 상기 백필터와 이격되고, 상기 상부개구부가 상측의 상기 토출관과 이격되어, 상하측으로 모두 이격된 이중 상하이격 배치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상부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하측으 갈수록 확장되는 하부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상부확장부와, 하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하부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기 상부확장부와 하부확장부 사이에 종방향으로 내경이 유지되는 중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의 내부에는 회오리형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오리형 구조체는, 복수 개의 돌출판이 상기 중간부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확장부의 내부에는 나선형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구조체는, 한 개의 안내판이 상기 하부확장부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확장부는 원뿔형 가이드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원뿔형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부확장부의 내부 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배치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은,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탈진노즐.
PCT/KR2021/010706 2020-09-14 2021-08-12 백필터용 탈진노즐 WO202205514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868A KR102362539B1 (ko) 2020-09-14 2020-09-14 백필터용 탈진노즐
KR10-2020-0117868 2020-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141A1 true WO2022055141A1 (ko) 2022-03-17

Family

ID=8025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0706 WO2022055141A1 (ko) 2020-09-14 2021-08-12 백필터용 탈진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2539B1 (ko)
WO (1) WO2022055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773B1 (ko) * 2022-12-16 2023-06-26 박진용 백필터 탈진용 분사노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523A (ko) * 1993-10-13 1995-05-16 엄길용 음극선관 노광방법
KR100776693B1 (ko) * 2006-11-09 2007-11-29 조광섭 다중 벤츄리 구조를 이용한 집진기 백필터용 압축공기분사장치
KR101309025B1 (ko) * 2011-06-24 2013-09-17 장성철 집진기용 벤츄리
KR101957413B1 (ko) * 2017-05-15 2019-03-13 주식회사 코레코 집진시설 백필터용 이단 제트 이젝터
KR20190140816A (ko) * 2018-06-12 2019-12-20 이충중 블로우 파이프 및 집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523A (ko) * 1993-10-13 1995-05-16 엄길용 음극선관 노광방법
KR100776693B1 (ko) * 2006-11-09 2007-11-29 조광섭 다중 벤츄리 구조를 이용한 집진기 백필터용 압축공기분사장치
KR101309025B1 (ko) * 2011-06-24 2013-09-17 장성철 집진기용 벤츄리
KR101957413B1 (ko) * 2017-05-15 2019-03-13 주식회사 코레코 집진시설 백필터용 이단 제트 이젝터
KR20190140816A (ko) * 2018-06-12 2019-12-20 이충중 블로우 파이프 및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539B1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8861A1 (ko) 대용량 여과집진기 탈진 장치 및 방법
WO2022055141A1 (ko) 백필터용 탈진노즐
WO2010120043A1 (ko)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WO2017018784A1 (ko) 분진 적체 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WO2014133238A1 (ko) 집진장치
WO2015163632A1 (ko) 측류 유동형 역삼투막 필터
WO2012121442A1 (ko) 퀵-릴리즈 진공펌프
WO2011118862A1 (ko) 이중 원주형 슬릿 탈진공기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여과집진장치 탈진시스템
WO2015199475A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WO2022145604A1 (ko) 나노섬유를 이용한 세척가능한 미세먼지필터 모듈
WO2019212119A1 (ko) 청소기
WO2023128116A1 (ko)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WO2022169194A2 (ko) 나노입자급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집중탈진 여과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집진방법
EP2802399A1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WO2016208888A1 (en) Air purifier
WO2014069811A1 (ko) 탄두형 충격기류 분산 장치
WO2023140495A1 (ko) 고체화 기능을 가진 와이드형 집진기
WO2021137422A1 (ko) 캐빈필터 유닛
WO2020067671A1 (ko)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WO2011013898A2 (ko) 지그재그식 섬유여과필터 및 이를 사용하는 여과장치
WO2024122853A1 (ko) 금속입자 회수 장치 및 금속입자 회수 방법
WO2016208891A1 (en) Air purifier
WO2012064027A2 (ko) 환원가스의 분진 제거방법 및 그 장치
WO2021020642A1 (ko) 열교환기 세정 시스템 및 열교환기 세정 방법
WO2016021980A1 (ko) 분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70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70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