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715A -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715A
KR20170072715A KR1020150181222A KR20150181222A KR20170072715A KR 20170072715 A KR20170072715 A KR 20170072715A KR 1020150181222 A KR1020150181222 A KR 1020150181222A KR 20150181222 A KR20150181222 A KR 20150181222A KR 20170072715 A KR20170072715 A KR 2017007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low path
filtered water
frame
fil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788B1 (ko
Inventor
한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5018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7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4Specific spac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은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취공 및 상기 수취공과 연통되는 중공형의 유로형성구를 갖추고, 일측이 서로 접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필터; 상기 복수 개의 필터가 동시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바가 구비되어 각각의 필터들이 부분적으로 접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에 구비되는 각각의 유로형성구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취공들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가 통합되는 취합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Filter for flat type water treatment, filter module for flat type water treatment an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이웃하는 필터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급속한 발전과 인구의 도시 집중 등으로 인하여 도시 하수 및 산업폐수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오폐수의 증가는 현대 사회에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오폐수 처리시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오폐수 처리시설에는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필터에 구비되는 여과부재를 통하여 오폐수가 여과된다.
이때, 상기 여과부재의 표면에는 오폐수를 여과한 후 오염물질들이 남게 되는데, 이러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 측으로 깨끗한 물을 강제로 투입시켜줌으로써 여과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필터들 간의 공간확보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설의 경우에는 복수 개의 필터의 간격을 조립과정에서 적절하게 이격시키기 위하여 수작업에 의해 적정거리를 유지해야 하므로, 필터 간의 간격이 정확하지 못하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간의 적정 거리가 확보되지 못하여 필터들이 서로 밀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여과부재에 남은 오염물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오염물질들이 여과부재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잔존하여 오폐수 처리 장치의 효율이 저하된다.
KR 10-124208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간격조절구를 통하여 조립과정에서 서로 이웃하는 필터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수처리용 필터모듈 및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로형성구를 통하여 각각의 필터에 구비되는 수취공과 연결되는 하나의 취합유로가 형성됨으로써 한 번의 흡입공정을 통하여 복수 개의 필터에서 개별적으로 동시에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수처리용 필터모듈 및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구가 구비되는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에 결합되는 몸체;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체결바가 통과하는 체결공을 갖는 간격조절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구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체결관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여과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관의 적어도 일면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체결공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유로에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수취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소정의 폭을 갖는 중공형의 유로형성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공은 상기 유로형성구의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제1판과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판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여과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구속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단부 측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여과수가 만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공간은 상기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수취공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제1지지층; 및 상기 제1지지층의 양면에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섬유웹층;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웹층은 제2지지층을 매개로 상기 제1지지층의 일면에 열융착을 통하여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웹층은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온도를 갖고 상기 제2지지층은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취공 및 상기 수취공과 연통되는 중공형의 유로형성구를 갖추고, 일측이 서로 접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필터; 상기 복수 개의 필터가 동시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바가 구비되어 각각의 필터들이 부분적으로 접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에 구비되는 각각의 유로형성구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취공들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가 통합되는 취합유로;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측에 구비되는 유로형성구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취합유로 측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유로형성구 사이에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측에 구비되는 유로형성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압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압박부재는 상기 취합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유로형성구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바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형성구는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에 결합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구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되는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체결바가 통과하는 체결공 및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관의 적어도 일면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합유로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취합유로와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각각의 취합유로에 유입된 여과수를 하나로 수집하는 공통수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수취부재는, 상기 취합유로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저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취합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여과수를 유입하는 복수 개의 유입구;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저장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모듈; 상기 취합유로와 연결되는 메인유로를 갖추고 상기 필터모듈이 삽입배치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수를 생산하고 생산된 여과수를 상기 메인유로로 측으로 유입시킬수 있도록 상기 필터 측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프레임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필터모듈의 모서리측을 지지하여 상기 필터모듈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격조절부재를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필터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에 적용되는 필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에서 복수 개의 필터가 체결바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취합유로가 부분절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취합유로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에서 서로 이웃하는 필터에 구비되는 연결부재가 서로 인접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에서 필터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의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에서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중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에서 복수 개의 필터에 구비되는 유로형성구가 서로 인접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에서 간격조절구를 통해 복수 개의 필터가 체결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이 적용된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11에 적용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이 메인프레임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1에서 복수 개의 수처리용 필터모듈 중 어느 하나가 메인프레임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4는 도 11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수처리용 필터모듈이 메인프레임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100,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10), 고정프레임(120) 및 취합유로(13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110)는 오폐수를 여과하여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110)는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111)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며(도 9 및 도 10 참조), 후술할 펌프(2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각각의 필터(110) 주위의 여과대상액이 상기 필터(110) 측으로 흡입되어 여과됨으로써 상기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 여과수를 생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111), 지지프레임 및 연결부재(113,113')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부재(111)는 상기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여과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제1지지층(111a) 및 섬유웹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층(111a)은 상기 섬유웹층(111b)을 지지하여 평판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섬유웹층(111b)은 상기 여과대상액이 흡입압력에 의해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섬유웹층(111b)은 상기 제1지지층(111a)의 양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지만, 제2지지층(111c)을 매개로 상기 제1지지층(111a)의 양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층(113)은 상기 여과부재(111)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층(111a)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층(111a)의 일면에 합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섬유웹층(111b)이 제1지지층(111a)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지지층(111c)을 통해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섬유웹층(111b)은 열융착, 초음파 융착, 고주파 융착 등을 통하여 상기 제2지지층(111c)을 매개로 상기 제1지지층(111a)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웹층(111b)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지지층(111c)은 부착과정에서 용융되어 상기 제1지지층(111a)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섬유웹층(111b)은 열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도록 상기 융착과정에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층(111c)은 상기 융착과정에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재(111)는 상기 제2지지층(111c)이 완전히 용융되어 3층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지지층(111c)의 일부만이 용융되어 섬유웹층(111b)과 제1지지층(111a) 사이에 잔존함으로써 5층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층(111c)은 상기 제1지지층(111a)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지지층(111a)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합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지지층(111a)과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과부재(111)를 구성하는 제1지지층(111a) 및/또는 제2지지층(111c)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물은 직물에 포함되는 섬유가 종횡의 방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조직은 평직, 능직 등일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편물은 공지의 니트조직일 수 있으며, 위편물, 경편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 부직포는 케미컬본딩 부직포, 써멀본딩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와 같은 공지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의 공경, 기공율, 평량 등은 목적하는 수투과도, 여과효율, 기계적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지지층(111a)은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섬유웹층(111b)과의 결속력 향상을 통한 수처리 공정 적용 중 제1지지층(111a)과 섬유웹층(111b) 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별도의 접착성분의 사용에 따른 수투과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층(111a)은 열융착이 가능한 공지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저융점 폴리에틸렌 등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초부로 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부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복합섬유 및/또는 저융점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을 심부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저융점 복합섬유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의 융점은 60 ~ 180℃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층(111a)의 두께는 50 ~ 20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섬유웹층(111b)은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나노섬유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 및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에멀젼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친수성이 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이하 PAN으로 호칭함)과 소수성이 매우 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이하 PVDF로 호칭함)를 포함한다.
상기 PVDF는 재질의 특성상 나노섬유의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을 담보시킬 수 있으며, 상기 PAN은 친수성이 커서 상기 PVDF로 인한 나노섬유의 소수성화를 방지하고 나노섬유의 친수성을 향상시켜 여과부재에 나노섬유가 구비되었을 때 향상된 수투과도를 발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PVDF는 공지된 것을 제한 없이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PVDF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 1,00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00 ~ 80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AN은 아크릴로나이트릴과 공단량체가 중합된 공지된 것은 제한 없이 선택할 수 있으며, 이들의 공중합체내 몰%, 공단량체의 종류 등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공단량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lyate),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로나이트릴과 공단량체 함량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중량비가 60 ~ 99.9 : 40 ~ 0.01일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에 향상된 친수성 및/또는 유연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PAN은 상기 에틸렌(ethylene) 골격과 측쇄에는 알콕시카보닐(alkoxycarbonyl) 또는 알카논옥시(alkanonox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AN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 ~ 500,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00 ~ 100,000일 수 있다. 만일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정도의 친수성을 나노섬유에서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만일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을 초과하는 경우 방사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PVDF 및 PAN은 PVDF 100 중량부에 대하여 PAN가 5 ~ 20 중량부를 갖도록 섬유형성성분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PAN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친수성을 나노섬유가 발현하지 못하여 여과부재로 제조되었을 때 여과부재의 수투과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PAN이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친수성의 향상에 따라 여과부재의 수투과도가 증가할 수 있으나 나노섬유의 기계적강도, 내화학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제사성이 저하되어 양산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PVDF 및 PAN 이외에, PTFE(polytetra fluoroethylene), PFA(perfluorinated acid), FEP(fluorinated ethelene propylene copolymer), ETFE(polyethylene tetrafluoro ethylene), ECTFE(Eth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및 PCTFE(polychlorotrifluoro 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다른 종류의 불소계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화제는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나노섬유의 친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섬유형성성분으로써 PVDF 및 PAN은 특정한 일용매에 모두 용해된다 하더라도 두 성분은 성질이 상이함에 따라 용해액에 균일하게 섞이지 않고, 교반 등의 방법을 통해 섞더라도 일시적으로만 섞일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해액에서 두 성분의 분리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해액을 방사조액으로 사용할 경우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는 두 성분이 섞이지 않은 상태로, 구체적으로 어느 일성분 바탕에 다른 성분이 섬처럼 띄엄띄엄 배치되거나 어느 일성분이 연속되다가 다른 일성분이 연속되는 구조를 반복하는 나노섬유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목적하는 친수성과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을 동시에 발현할 수 없고, PAN이 집중된 나노섬유 부분은 쉽게 끊어질 수 있어서 이를 통해 제조된 여과부재의 내구성도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성질이 상이한 두 성분을 혼화시켜 나노섬유에 두 성분이 고르게 분산된 형태로 섬유를 형성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에멀젼화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에멀젼화제는 양이온성 에멀젼화제, 음이온성 에멀젼화제, 양쪽성 에멀젼화제 및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멀젼화제는 제사성의 향상을 위해 비이온성 에멀젼화제일 수 있고, 2 종 이상을 혼용하는 경우에도 그 중 1 종은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를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 방사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멀젼화제는 공지된 에멀젼화제를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에멀젼화제 중 제사성을 향상시키는 비온성에멀젼화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지된 비이온성 에멀젼화제의 경우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선형지방족 탄화수소와 같은 소수성 화합물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합성한 에톡실레이트 화합물(Ex. 알킬페놀폴리에틸렌옥사이드 축합물), 다관능성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의 에스테르화물 또는 상기 에스테르화물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부가물, 지방산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부가시킨 부가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당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다가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등의 에테르형 또는 에스테르형의 계면활성제, 라우린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지방산알칸올아미드 등을 1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에 포함된 에멀젼화제는 친수화-친유성화 비(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가 10.0 ~ 18을 만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 ~ 19를 만족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 ~ 17을 만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16을 만족할 수 있다.
이는, 친수화-친유성화 비가 10.0 미만일 경우 에멀젼화제를 통한 목적하는 친수성 향상이 미미할 수 있고, PVDF 및 PAN의 혼화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에멀젼화제가 혼화되지 않은 PVDF쪽에 뭉쳐서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친수화-친유성화 비가 18을 초과하는 경우 PVDF 및 PAN의 혼화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혼화되지 않은 PAN쪽에 에멀젼화제가 뭉쳐서 위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멀젼화제의 친수화-친유성화 비(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는 1종의 에멀젼화제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성분의 친수화-친유성화 비일 수 있고, 만일 2종 이상의 에멀젼화제가 혼합되는 경우 해당성분들 각각의 함량과 각각의 친수화-친유성화 비를 고려하여 최종 계산된 친수화-친유성화 비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에 포함된 에멀젼화제는 섬유형성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이온성 에멀젼화제가 0.5 ~ 8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비이온성 에멀젼화제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PVDF 및 PAN의 혼화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방사된 나노섬유의 표면에 비드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비이온성 에멀젼화제가 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섬유의 직경이 증가하여 원하는 기공크기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나노섬유의 직경은 0.05 ~ 2㎛일 수 있고, 종횡비는 1000 ~ 1000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재의 섬유웹층으로 적용될 수 있는 나노섬유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층을 형성하여 포함될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 및 에멀젼화제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는 방사면에 대해 수직하여 적층되는데, 방사 중에 공기중에 휘발/증발되지 못한 용매로 인하여 적층된 나노섬유 중 섬유 표면간에 맞닿는 부분에서 융착이 발생하여 3차원 네크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웹층(111b)은 두께가 0.5 ~ 200㎛로 형성될 수 있고, 섬유웹층(111b)의 기공도는 40 ~ 90%이고, 평균공경은 0.1 ~ 5㎛일 수 있으며, 평량은 0.05 ~ 100 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하는 수투과도 및 여과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섬유웹층(111b)은 한층 이상으로 여과부재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섬유웹층(111b)이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경우 각 섬유웹층(111b)의 기공도, 공경, 평량 및/또는 두께 등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여과부재(111)의 전체 테두리를 지지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112")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프레임(112,112',112")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112")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 측에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112',112")이 상기 연결부재(113,11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대략 사각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프레임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여과부재(111)의 형상에 따라 원형, 호형, 다각형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가 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11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섬유웹층(111b)을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수취공(113c) 측으로 이동되는 유동경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112,112',112")은 일측이 개방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를 지지함과 동시에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1)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유동되는 유로(112c)가 형성된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112")은 판상의 제1판(112a)과, 상기 제1판(112a)으로부터 상기 제1판(112a)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112b)을 포함한다(도 9 및 도 10참조).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는 테두리 측이 상기 한 쌍의 제2판(112b) 사이의 공간 측으로 삽입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판(112b) 사이에 삽입되는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은 상기 제1판(112a)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판(112a) 및 한 쌍의 제2판(112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는 여과수가 유동하는 유로(112c)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구속부재(112d)가 구비된다(도 9 및 도 10참조).
이를 통해, 상기 각각의 프레임(112,112',112")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속부재(112d)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의 삽입 깊이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이 상기 제1판(112a)까지 삽입되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가 상기 제1판(112a)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재(111)와 프레임(112,112',112")의 결합시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가 항상 상기 제1판(112a)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동되는 유로(112c)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재(112d)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한 쌍의 제2판(112b)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구속부재(112d)는 각각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구속부재(112d)가 한 쌍의 제2판(112b)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서로 마주하는 구속부재(112d)는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로부터 흡입된 여과수가 상기 유로(112c)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113,11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측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13,113')는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112,112',112")의 단부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직각 삼각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113a)를 포함한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112")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112')은 단부측이 각각 상기 몸체(113a)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113a)에 의해 고정된다.
일례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11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12)의 단부는 상기 몸체(113a)의 제1방향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의 프레임(112')의 단부는 상기 몸체(113a)의 제2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12)의 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된 후 상기 몸체(113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때, 상기 제1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12)에 형성된 유로(112c)와 상기 제2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12')에 형성된 유로(112c)는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112")에 각각 형성된 유로는 모두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동일 평면상에서 하나의 직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진 방향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110)는 복수 개의 필터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필터에 각각 구비되는 여과부재(111)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간격조절구(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간격조절구(114)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13,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조절구(114)는 체결관(114a), 체결공(114b) 및 이격부재(114c)를 포함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를 연결하는 체결바(160)가 상기 체결공(114b)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이격부재(114c)를 통해 서로 인접하는 여과부재(111)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도 8 및 도 10참조).
상기 체결관(114a)은 상기 연결부재(113,113')의 몸체(113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바(160)가 통과되는 체결공(114b)이 관통형성되는 중공형의 관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체결공(114b)이 상기 체결관(114a)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체결바(16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공(114b)은 원형, 호형, 다각단면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114c)는 상기 체결바(160)를 통한 복수 개의 필터들의 조립시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관(114a)으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일정 높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이격부재(114c)는 상기 체결공(114b)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체결공(114b)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이격부재(114c)는 상기 체결관(114a)의 일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체결관(114a)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관(114a)의 일면으로부터 다단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를 통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필터(110)가 상기 체결바(160)에 의해 조립되는 경우 각각의 필터(110)를 완전히 밀착시키더라도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여과부재(111)는 상기 이격부재(114c)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일정하게 이격된다.
여기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은 3mm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격부재(114c)의 높이 또는 두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다양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필터(110)를 평행하게 배치한 후 각각의 체결공(114b)을 통과하도록 체결바(160)를 체결하고 복수 개의 필터(110)를 서로 밀착시키게 되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각각의 여과부재(111)는 상기 이격부재(114c)를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도 10 참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필터들을 밀착시키기만 하면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필터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없이 상기 이격부재(114c)에 의해 여과부재들 사이에 균일한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바(160)의 양측에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체결시키게 되면 각각의 여과부재 사이에 간격이 유지된다.
이로 인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여과부재(11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여과대상액이 각각의 여과부재(111) 사이의 공간측에 유입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1)의 양측에서 여과부재(111)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여과수가 생산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반복적인 여과수의 생산이 이루어진 후 상기 여과부재(111)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1)로부터 분리된 이물질들이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111)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13,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113')는 몸체(113a)의 내부에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112,112')에 각각 형성되는 유로(112c)들과 연통되는 수집공간(113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112c)를 통해 이동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공(113c)이 구비될 수 있다(도 8 참조).
즉,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13,113') 중 상기 수집공간(113b) 및 수취공(113c)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부재(113)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반면, 상기 수집공간(113b) 및 수취공(113c)이 형성된 연결부재(113')는 상기 수취공(113c)을 통하여 생산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수집공간(113b) 및 수취공(113c)이 형성된 연결부재(113')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필터(1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두 개의 연결부재(113')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여과부재(111) 측으로 균등한 압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집공간(113b)은 서로 인접하는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12)에 형성되는 유로(112c)를 따라 이동하는 여과수와 다른 하나의 프레임(112')에 형성되는 유로(112c)를 따라 이동하는 여과수가 서로 만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수집공간(113b)은 상기 몸체(113a)에 관통형성되는 수취공(113c)과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수취공(113c)은 상기 수집공간(113b)으로 모인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집공간(113b)과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113a)에 관통형성되며 후술할 상기 취합유로(130)와 서로 연통된다(도 5참조).
이에 따라, 상기 펌프(2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112")에 형성된 각각의 유로(112c)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로(112c)를 따라 수집공간(113b) 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수취공(113c)을 통해 취합유로(130) 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110)에 적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13,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113')는 유로형성구(115)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필터(110)들이 연계하여 상기 수취공(113c)으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가 통합되는 취합유로(13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113,113') 중 상기 수집공간(113b) 및 수취공(113c)이 형성된 연결부재(113')는 상기 수취공(113c)과 연통되는 유로형성구(115)가 구비되고, 유로형성구(115)가 구비된 연결부재(113') 측이 서로 접하도록 복수 개의 필터(110)들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취합유로(130)를 형성하게 된다(도 5 및 도 9 참조).
이에 따라, 상기 각각의 필터(110)에서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수취공(113c)을 통해 상기 취합유로(130) 측으로 이동하여 통합됨으로써 각각의 필터에서 개별적으로 생산된 여과수가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113,113') 중 상기 수취공(113c)이 형성된 연결부재(113')는 상기 수취공(113c)과 연통되는 중공형의 유로형성구(115)가 상기 몸체(113a)의 일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유로형성구(115)는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중공형의 관 형태로 구비되는 관체(115a)가 상기 몸체(113a)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관체(115a)의 내부가 상기 수취공(113c)과 연통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필터(110)가 하나의 체결바(160)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관체(115a)의 단부측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필터(110)가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되면 각각의 필터(110)에 형성된 유로형성구(115)의 관체(115a)들이 서로 접하게 되며 상기 관체(115a)의 중공부(115b)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취합유로(130)를 형성하게 된다(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취합유로(130)는 상기 각각의 필터(110)에 구비되는 수취공(113c)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형성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수취공(113c)이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두 개의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취합유로(130) 역시 각각의 연결부재(113')에 포함된 관체(115a)가 서로 인접하여 두 개의 취합유로(13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필터(110)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 측에 구비되는 유로형성구(115)측에는 상기 펌프(2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상기 취합유로(130)로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구(132)가 각각 결합된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상기 펌프(2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은 상기 한 쌍의 연결구(132)를 통해 상기 취합유로(130) 측으로 전달되고 상기 취합유로(130)와 연통된 각각의 수취공(113c)을 통해 각각의 여과부재(111)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에서 개별적으로 생산된 여과수가 상기 취합유로(130) 측으로 통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연결구(13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모듈(100,10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필터모듈(100,100')을 지지하기 위한 메인프레임(210)에 형성되는 메인유로(215)와 연결관(171)을 매개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도 12 및 도 13참조), 상기 복수 개의 필터모듈(100,100')에 공통수취부재(14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공통수취부재(140)와 연결관(172)을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도 14 참조).
이때, 서로 접하는 관체(115a)들의 단부측에는 상기 취합유로(130) 측으로 유입된 여과수가 연결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밀부재(116)가 배치될 수 있다(도 5 및 도 9 참조).
여기서, 상기 관체(115a)의 양 단부측에는 상기 기밀부재(116)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돌출부(115c,115d)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5c,115d)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관체(115a)의 내경과 대략 유사한 내경을 갖는 제1돌출부(115c)로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관체(115a)의 외경과 대략 유사한 내경을 갖는 제2돌출부(115d)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관체(115a)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서로 대면하는 단부상에는 제1관체(115a)에 형성된 제1돌출부(115c)와 상기 제1관체(115a)와 대면하는 제2관체(115a)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2돌출부(115d)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기밀부재(116)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취합유로(130)를 형성하는 각각의 유로형성구(115)들간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압박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이와 같은 압박부재(150)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110)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에 구비되는 유로형성구(115)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바(152)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압박부재(150)가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54)를 매개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54)를 통해 제공되는 고정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압박부재(150)가 각각의 유로형성구(115) 측에 밀착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취합유로(130)를 형성하는 관체(115a)들 사이의 밀착력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상기 이격부재(114c)를 통하여 여과부재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모듈화된 복수 개의 필터(1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프레임(120)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여과대상액이 상기 복수 개의 필터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프레임구조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상기 복수 개의 필터(110) 중 최외곽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110)의 외곽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면프레임(121)과 후면프레임(122)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프레임(121) 및 후면프레임(122)은 상기 체결바(160)의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체결바(16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도 1 참조).
여기서, 상기 전면프레임(121) 및 후면프레임(122) 측에는 상기 체결바(160)의 단부측이 삽입되는 체결홀(미도시)이 구비되어 끼움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프레임(121) 및 후면프레임(122)을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160)의 양단부가 통과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일측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모듈(100,100')을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손잡이(12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121) 및 후면프레임(122)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일 수도 있고, 'I'빔, 'ㄱ'자 빔일 수도 있으며 각관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100,100')은 복수 개의 필터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고, 각각의 필터에 구비되는 여과부재(111)가 이격부재(114c)를 통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각각의 필터(110)에 구비된 유로형성구(115)를 통하여 생산된 여과수가 통합되는 취합유로(130)를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 일례로 하나의 펌프(2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상기 취합유로(130)로 유입되고, 상기 취합유로(130)로 제공된 흡입력이 상기 취합유로(130)와 연통된 각각의 수취공(113c)을 통해 복수 개의 필터(110)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복수 개의 필터(110)에서 개별적으로 생산된 여과수가 상기 취합유로(130) 측으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필터(110)를 통해 동시에 여과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필터(110)들을 개별적으로 작동하거나 제어할 필요없이 취합유로(130)를 통해 동시에 제어됨으로써 여과수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100,100')은 상기 취합유로(13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취합유로(130) 측으로 동시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각각의 취합유로(130)로 유입된 여과수를 다시 통합하기 위한 공통수취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도 14참조).
즉, 상기 복수 개의 취합유로(130)는 연결관(171)을 매개로 하나의 공통수취부재(140)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공통수취부재(140)를 통해 각각의 취합유로(130) 측으로 흡입력을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통수취부재(140)는 각각의 취합유로(130)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구(132)와 연결되는 유입구(142)를 갖는 본체(141)와, 각각의 취합유로(130)들로부터 상기 본체(141)로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펌프(2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유입되는 배출구(14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입구(142)는 복수 개의 취합유로(130)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구(132)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입구(142)와 상기 복수 개의 연결구(132)는 서로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43)는 상기 유입구(142)를 통하여 상기 본체(141)측으로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 일례로 여과수 저장탱크(230)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100,100')은 오폐수 처리시스템(200)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폐수 처리시스템(200)은 필터모듈(100,100'), 메인프레임(210) 및 펌프(22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모듈(100,100')은 상기 펌프(2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통하여 각각의 필터(110)로부터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필터(110), 고정프레임(120) 및 취합유로(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터모듈(100')은 상기 취합유로(13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공통수취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4 참조).
이와 같은 필터모듈(100,100')은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210)을 통하여 지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110), 고정프레임(120), 취합유로(130) 및 공통수취부재(140)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상기 필터모듈(100,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메인유로(215)를 갖는 중공형의 프레임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프레임은 상기 필터모듈(100,1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모듈(100,10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상부 메인프레임(210)과, 필터모듈(100,10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하부 메인프레임(21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메인프레임(210)과 하부 메인프레임(210)이 복수 개의 지지바(213)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모듈(100,100')이 삽입배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메인프레임(210) 및 하부 메인프레임(210)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필터모듈(100,100')의 삽입시 상기 필터모듈(100,100')의 모서리 측을 지지하여 상기 필터모듈(100,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14)이 구비될 수 있다(도 13 참조).
일례로, 상기 가이드레일(214)은 대략 'ㄴ'자 형상의 앵글타입의 바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모듈(100,100')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모듈(100,100')의 삽입시 상기 필터모듈(100,100')의 모서리 측이 지지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레일(214)은 필터모듈(100,100')의 상부모서리 및 하부모서리가 동시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메인프레임(210) 및 하부 메인프레임(2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메인프레임(210) 및 하부 메인프레임(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모듈(100,100')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통합되는 메인유로(215)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유로(215)는 상기 하부 메인프레임(21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 메인프레임(210)에는 상기 메인유로(215)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피팅구(216a,216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피팅구(216a,216b)는 여과수의 유,출입을 위한 유입구와 유출구의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 개의 피팅구(216a,216b) 중 일부(216a)는 상기 취합유로(130)의 연결구(132)와 연결관(17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거나 공통수취부재(140)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공통수취부재(140)의 배출구(143)와 연결관(172)을 매개로 상호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171,172)은 강성을 갖는 관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유연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공지의 튜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피팅구(216a,216b) 중 나머지(216b)는 상기 여과수 저장탱크(230) 및 세척수 저장탱크(24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펌프(220)를 통해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각각의 필터로부터 생산된 여과수가 상기 여과수 저장탱크(230) 측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모듈(100,100')이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취합유로(130)의 연결구(132)가 상기 여과수 저장탱크(23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220)는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피팅구(216a,2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216b)와 연결되어 각각의 필터모듈(100,100')에 구비되는 필터(110)가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펌프(220)를 통해 제공된 흡입력은 메인유로(215), 취합유로(130) 및 수취공(113c)을 통하여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112") 각각에 형성된 유로(112c)를 거쳐 상기 여과부재(111) 측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110) 주위의 존재하는 오폐수가 상기 흡입력에 의해 여과부재(111) 측으로 이동하여 섬유웹층(111b)을 통해 여과되고, 상기 섬유웹층(111b)을 통과하여 제1지지층(111a)에 존재하는 여과수는 흡입력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유로(112c) 측으로 유입되어 수집공간(113b) 측으로 이동된 후 수취공(113c)을 통해 취합유로(130)로 이동하여 취합되고 메인프레임(210)의 메인유로(215)를 거쳐 여과수 저장탱크(230) 측으로 수집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200)은 펌프(220)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복수 개의 필터가 동시에 작동하여 여과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폐수 처리시스템(200)은 반복적인 여과작업을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의 표면, 더욱 자세하게는 섬유웹층(111b)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펌프(220)를 통해 세척수를 각각의 필터(110)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세척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1)에 부착된 오염물질들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피팅구(216a,216b) 중 적어도 일부(216b)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탱크(24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240)와 연결되는 피팅구(216b)는 상기 여과수 저장탱크(230)와 연결되는 피팅구(216b)일 수 있으며, 연결관(260) 상에 유로조절밸브(25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260)과 상기 여과수 저장탱크(230) 및 세척수 저장탱크(24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재(111)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 상기 펌프(220)를 통해 세척수 저장탱크(240)에 저장된 세척수를 각각의 필터(110)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세척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여과부재(111)에 부착된 오염물질들이 탈리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240)에 저장된 세척수는 펌프(220)를 통하여 각각의 필터(110)측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취공(113c)을 통해 지지프레임의 유로 측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여과부재(111) 측으로 이동되고 세척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여과부재(111)의 표면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탈리시킴으로써 여과부재(111)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도면과 설명에는 간격조절구(114) 및/또는 유로형성구(115)를 갖는 필터(110)가 상술한 수처리용 필터모듈(100,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독으로 사용되어 공지의 다양한 필터모듈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100' : 수처리용 필터모듈 110 : 필터
111 : 여과부재 111a : 제1지지층
111b : 섬유웹층 111c : 제2지지층
112,112',112" : 프레임 112a : 제1판
112b : 제2판 112c : 유로
112d : 구속부재 113,113' : 연결부재
113a : 몸체 113b : 수집공간
113c : 수취공 114 : 간격조절구
114a : 체결관 114b : 체결공
114c : 이격부재 115 : 유로형성구
115a : 관체 115b : 중공부
115c : 제1돌출부 115d : 제2돌출부
116 : 기밀부재 120 : 고정프레임
121 : 전면프레임 122 : 후면프레임
123 : 손잡이 130 : 취합유로
132 : 연결구 140 : 공통수취부재
141 : 본체 142 : 유입구
143 : 배출구 150 : 압박부재
152 : 결합바 154 : 고정부재
160 : 체결바 200 : 오폐수 처리시스템
210 : 메인프레임 211 : 상부프레임
212 : 하부프레임 213 : 지지바
214 : 가이드레일 215 : 메인유로
216a, 216b : 피팅구 220 : 펌프
230 : 여과수 저장탱크 240 : 세척수 공급탱크
250 : 밸브 260 : 연결관

Claims (26)

  1.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구가 구비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에 결합되는 몸체;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체결바가 통과하는 체결공을 갖는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구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체결관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여과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관의 적어도 일면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체결공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유로에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수취공을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소정의 폭을 갖는 중공형의 유로형성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공은 상기 유로형성구의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제1판과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판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여과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구속부재가 구비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단부 측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여과수가 만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공간은 상기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수취공과 서로 연통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제1지지층; 및
    상기 제1지지층의 양면에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섬유웹층;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웹층은 제2지지층을 매개로 상기 제1지지층의 일면에 열융착을 통하여 각각 부착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웹층은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온도를 갖고 상기 제2지지층은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갖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11.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취공 및 상기 수취공과 연통되는 중공형의 유로형성구를 갖추고, 일측이 서로 접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필터;
    상기 복수 개의 필터가 동시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바가 구비되어 각각의 필터들이 부분적으로 접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에 구비되는 각각의 유로형성구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취공들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가 통합되는 취합유로;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측에 구비되는 유로형성구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취합유로 측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3. 제 1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유로형성구 사이에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가 배치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측에 구비되는 유로형성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압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압박부재는 상기 취합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유로형성구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바를 매개로 결합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형성구는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구가 구비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에 결합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구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되는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체결바가 통과하는 체결공 및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관의 적어도 일면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제1판과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판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여과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구속부재가 구비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단부 측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여과수가 만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공간은 상기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공과 서로 연통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제1지지층; 및
    상기 제1지지층의 양면에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섬유웹층;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웹층은 제2지지층을 매개로 상기 제1지지층의 일면에 열융착을 통하여 각각 부착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웹층은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온도를 갖고 상기 제2지지층은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갖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층은 부직포 또는 직물 중 어느 하나인 수처리형 필터모듈.
  2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취합유로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취합유로와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각각의 취합유로에 유입된 여과수를 하나로 수집하는 공통수취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수취부재는,
    상기 취합유로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저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취합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여과수를 유입하는 복수 개의 유입구;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저장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25. 제 11 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모듈;
    상기 취합유로와 연결되는 메인유로를 갖추고 상기 필터모듈이 삽입배치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수를 생산하고 생산된 여과수를 상기 메인유로로 측으로 유입시킬수 있도록 상기 필터 측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프레임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필터모듈의 모서리측을 지지하여 상기 필터모듈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0150181222A 2015-12-17 2015-12-1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45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222A KR102455788B1 (ko) 2015-12-17 2015-12-1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222A KR102455788B1 (ko) 2015-12-17 2015-12-1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715A true KR20170072715A (ko) 2017-06-27
KR102455788B1 KR102455788B1 (ko) 2022-10-18

Family

ID=5951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222A KR102455788B1 (ko) 2015-12-17 2015-12-1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7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503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90010504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US11364470B2 (en) 2017-07-21 2022-06-21 Amogreentech Co., Ltd. Filter mediu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001A (ko) * 2002-05-09 2003-05-2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침지형 평막 모듈
KR100459037B1 (ko) * 2004-02-04 2004-12-03 주식회사 코레드 수처리용 평막 모듈
KR20060015887A (ko) * 2004-08-16 2006-02-21 (주)필로스 침지형 평막 여과장치
KR20110126506A (ko) *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여과막모듈
KR20120126363A (ko) * 2011-05-11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KR101242080B1 (ko) 2010-12-03 2013-03-11 이소라 수처리장치
KR20130068559A (ko) * 2011-12-15 2013-06-26 쿠쿠전자주식회사 정수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1333636B1 (ko) * 2013-05-20 2013-11-27 유재송 중공사막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001A (ko) * 2002-05-09 2003-05-2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침지형 평막 모듈
KR100459037B1 (ko) * 2004-02-04 2004-12-03 주식회사 코레드 수처리용 평막 모듈
KR20060015887A (ko) * 2004-08-16 2006-02-21 (주)필로스 침지형 평막 여과장치
KR20110126506A (ko) *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여과막모듈
KR101242080B1 (ko) 2010-12-03 2013-03-11 이소라 수처리장치
KR20120126363A (ko) * 2011-05-11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KR20130068559A (ko) * 2011-12-15 2013-06-26 쿠쿠전자주식회사 정수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1333636B1 (ko) * 2013-05-20 2013-11-27 유재송 중공사막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503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90010504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US11364470B2 (en) 2017-07-21 2022-06-21 Amogreentech Co., Ltd. Filter mediu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788B1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845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집합체
US11202975B2 (en) Flat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ilter module for water treatment using same
KR20010072406A (ko) 고액 분리용 막 어셈블리, 그의 세척 방법, 및 세제
KR20170072715A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KR20230034256A (ko) 흡입식 평판형 필터
CN102164654A (zh) 膜滤芯
US11471833B2 (en) Flat-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US8282822B2 (en) Membrane cartridge i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WO2010035435A1 (ja) 膜カートリッジ
KR102565050B1 (ko) 염색폐수 내 섬유형 미세플라스틱 여과용 필터여재,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및 필터장치
KR102593603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평판형 필터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356095A1 (en) Mbr system
KR20030040001A (ko) 침지형 평막 모듈
KR102602669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602671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602668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46182A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102603560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20180035438A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JP2003175319A (ja) 膜エレメント、膜モジュール、造水装置および造水方法
KR20210081089A (ko) 수처리용 관형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KR20180046181A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20140047919A (ko) 침지형 평막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