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14721A1 -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14721A1
WO2024014721A1 PCT/KR2023/008222 KR2023008222W WO2024014721A1 WO 2024014721 A1 WO2024014721 A1 WO 2024014721A1 KR 2023008222 W KR2023008222 W KR 2023008222W WO 2024014721 A1 WO2024014721 A1 WO 20240147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ncer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exosomes
pluripotent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82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수
김지민
정민영
Original Assignee
브렉소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렉소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렉소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147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147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8Mesenchymal stem cells from other natural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4Interferons [IF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45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stem cell-derived exosom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isolated from mesenchymal stem cells or their cultures, which have excellent anticancer effects.
  • Microvesicles are vesicles composed of spherical lipid-bilayers with a size of 30 to 1000 nm, including microvesicles and exosomes.
  • the lipid bilayer of exosomes has a phospholipid bilayer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cell of origin (donor cell), and is a component of substances secreted extracellularly by cells, performing functional roles such as cell-cell communication and cellular immunity mediation. It is known that
  • Exosomes contain cell-specific components that reflect the unique biological functions of the cell of origin, and include phospholipids, mRNA, and miRNA as well as various soluble proteins, extrinsic proteins, and transmembrane protein components.
  • exosomes are released from all animal cells, including mast cells, lymphocytes, astrocytes, platelets, neurons, endothelial cells, and epithelial cells, and are found in various body fluids such as blood, urine, mucus, saliva, bile fluid, ascites fluid, and cerebrospinal fluid. do. Exosomes can also pass through the blood-brain barrier (BBB) and have high selective permeability to the extent that they can penetrate the cell membranes of epidermal cells and endothelial cells, making them DDS (drug delivery system), a nanocarrier for certain drugs. It is also used in development.
  • BBB blood-brain barrier
  • Exosomes and microvesicles secreted by mesenchymal stem cells are involved in cell-to-cell communication and are known to exhibit the regenerative medicine therapeutic efficacy of stem cells.
  • stem cells into the body has a trophic effect on paracrine factors secreted by the cells without long-term survival, and these factors include growth factors and chemokines.
  • small molecules such as cytokines are secreted by extracellular vesicles such as exosomes, and these exosomes are derived from stem cells. Therefore, exosomes are being used to characterize stem cells and evaluate their therapeutic efficacy.
  •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recently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various diseases using exosomes secreted by mesenchymal stem cells rather than using mesenchymal stem cells themselves, and academia and industry are using this to improve existing stem cell treatment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a new alternative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 the present inventors developed a composition isolated from stem cells or their culture fluid, and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gnificantly excellent anticancer effect.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derived from stem cell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derived from stem cell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uppressing,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exosomes derived from stem cell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uppressing,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lleviating or treating canc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 for alleviating, suppressing,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using a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derived from stem cells.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excellent effects in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nticancer effect.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derived from stem cells.
  • exosome refers to a cell-derived endoplasmic reticulum that exists in the body fluids of almost all eukaryotic organisms and has a diameter of about 30-100 nm, which is larger than LDL protein but much smaller than red blood cells. It is well known that exosomes can be released from cells when multivesicular bodies fuse with the cell membrane, or can be released directly from the cell membrane, and perform important and specialized functions such as coagulation and intercellular signaling.
  • stem cell refers to an undifferentiated cell that has the ability to self-replicate and differentiate into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cells.
  • the stem cells may be autologous or allogeneic, may be derived from any type of animal, including humans and non-human mammals, may be stem cells derived from adults, or may be derived from embryos. It could be a stem cell.
  • stem cells include embryonic stem cells, adul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xC stem cells, and interferon-gamma (IFN).
  • - ⁇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treat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BxC-I17 stem cel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dult stem cell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cells extracted from umbilical cord blood, bone marrow, blood, etc. of adults, and cells that are just before differentiation into cells of specific organs, and can develop into tissues within the body when necessary. It refers to cells in an undifferentiated state that possess the ability to
  • the adult stem cells include adult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s, animals, or animal tissues,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s, animals, or animal tissues, and derived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s, animals, or animal tissues.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pluripotent stem cel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uman, animal, or animal tissu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mbilical cord, cord blood, bone marrow, fat, muscle, nerve, skin, amniotic membrane, and placent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tem cells derived from various tissues of humans or animal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matopoietic stem cells, mammary stem cells, intestinal stem cells, vascular endothelial stem cells, neural stem cells, olfactory nerve stem cells, and testis stem cells.
  • hematopoietic stem cells mammary stem cells
  • intestinal stem cells intestinal stem cells
  • vascular endothelial stem cells neural stem cells
  • olfactory nerve stem cells derived from various tissues of humans or animals.
  • testis stem cell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matopoietic stem cells, mammary stem cells, intestinal stem cells, vascular endothelial stem cells, neural stem cells, olfactory nerve stem cells, and testis stem cells.
  • testis stem cells it is not limited to this.
  • embryonic stem cell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cells extracted during the development of an embryo.
  • the inner cell mass is extracted from a blastocyst stage embryo just before the fertilized egg is implanted in the mother's uterus and cultured in vitro. It means one thing.
  • Embryonic stem cells refer to cells that are pluripotent or totipotent and can differentiate into cells of all tissues of an organism, and have self-renewal ability, in a broad sense. means that it also includes embryoid bodies derived from embryonic stem cells.
  • stem cells may include embryonic stem cells of any origin, such as humans, monkeys, pigs, horses, cattle, sheep, dogs, cats, mice, rabbits,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 the artificial dedifferentiation process is carried out by virus-mediated or non-viral vectors using retroviruses, lentiviruses, and Sendai viruses, or by the introduction of non-viral-mediated dedifferentiation factors using proteins and cell extracts, stem cell extracts, It may include a dedifferentiation process by compounds, etc.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ave almost the same characteristics as embryonic stem cells. Specifically, they have similar cell shapes, similar gene and protein expression, have pluripotency in vitro and in vivo, and form teratoma. When inserted into a mouse blastocyst, a chimera mouse is formed, and germline transmission of genes is possible.
  • the stem cells may b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the composition may contain exosomes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mesenchymal stem cell refers to stem cells derived from mesenchyme.
  • Mesenchymal stem cells can differentiate into one or more cel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steoblasts, chondrocytes, adipocytes, or muscle cells.
  • Mesenchymal stem cells can be isolated from any type of adult tissue, for example, bone marrow adipose tissue, umbilical cord or peripheral blood.
  • a mesenchymal stem cell population (MSC population) can be defined as exhibiting a specific phenotype.
  • a popul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differenti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can show the same phenotypic characteristics as a population of regular mesenchymal stem cells, and the popul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expresses more than 95% of CD105, CD73, and CD90 markers. , can be understood as a population of stem cells that express less than 2% of CD45, CD34, and SSEA-4.
  • the stem cells may be BxC stem cells.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exosomes derived from BxC stem cells.
  • BxC stem cells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cultur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isolating a populat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that do not express SSEA-4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 4) protein, and then further culturing them.
  • iPSC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SSEA-4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 4
  • BxC stem cells are cells at the stage immediately before complete differentiation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to mesenchymal stem cells, and can acquire the properties of complete mesenchymal stem cells through additional culture.
  • the phenotype of the BxC stem cell population does not exhibit a completely identical phenotype to that of the mesenchymal stem cell population, but may exhibit a phenotype similar to that of the mesenchymal stem cell population in the range of 96% to 99.9%.
  • induction The pluripotent stem cell population expresses CD90 protein at 0.3%, but the mesenchymal stem cell population expresses CD90 protein at 99.7%, and the BxC stem cell population expresses CD90 protein at a rate of 96.9%, which is about 98% of mesenchymal stem cells.
  • BxC stem cells are stem cells that are 96% to 99.9% differentiated into mesenchymal stem cells by cultur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then additionally cultivat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that do not express SSEA-4 protein.
  • BxC stem cells have superior stemness compared to mesenchymal stem cells differenti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can secrete large amounts of proteins related to functionality.
  • the difference in proliferation ability is more than 10 times that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 derived from the same tissue, and even when passaged more than 12 times, the proliferation ability decreases. is not observed.
  • BxC stem cells show more than twice the expression level of Ki67, a marker related to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general mesenchymal stem cells.
  • BxC stem cells are equally differenti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KRD1, CPE, NKAIN4, LCP1, CCDC3, MAMDC2, CLSTN2, SFTA1P, EPB41L3, PDE1C, EMILIN2, SULT1C4, TRIM58, DENND2A, CADM4, AIF1L, NTM, SHISA2, RASSF4, and ACKR3 compared to mesenchymal stem cells.
  • One or more genes selected may be expressed at a higher level and one or more gen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HRS3, BMPER, IFI6, PRSS12, RDH10, and KCNE4 may be expressed at a lower level.
  • stem cell ability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pluripotency, which has the ability to generate all cells, and self-renewal, which can create cells similar to oneself indefinitely, such as For example, it increases the proliferation of stem cells while maintaining the undifferentiated state of undifferentiated cells, increases telomerase activity, increases the expression of stemness acting signals, or increases cell migration activity. refers to an increase and may include the appearance of one or more of these characteristics.
  • the stem cells may be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pretreated with interferon gamma (IFN- ⁇ ).
  • IFN- ⁇ interferon gamma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exosomes derived from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pretreated with interferon gamma (IFN- ⁇ ).
  • IFN- ⁇ interferon gamma
  • pretreatment refers to the process of 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by adding a specific substance to the medium.
  • pretreatment refers to the process of additionally 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that have completed differentiation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 a medium supplemented with interferon gamma (IFN- ⁇ ).
  • IFN- ⁇ interferon gamma
  • interferon-gamma can increase the stemness and proliferation of stem cells, and increase the number of stem cell-derived exosomes and the content of protein and RNA in the exosomes.
  • the stem cells may be BxC-I17 stem cells.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exosomes derived from BxC-I17 stem cells.
  • BxC-I17 stem cell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mesenchymal stem cells obtained by culturing (pre-treat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edium containing interferon-gamma. At this time,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may be stem cells that have been completely differentiated into mesenchymal stem cells by culturing BxC stem cells.
  • BxC-I17 stem cells may refer to mesenchymal stem cells that are cultured and completely differentiated into mesenchymal stem cells by culturing BxC stem cells, and then cultured (pretreated) by including interferon-gamma in the medium. . Therefore, BxC-I17 stem cells are completely differentiated into mesenchymal stem cells by additionally culturing BxC stem cells, and then adding 0.001 to 1000 ng, for example, 10 ng, of interferon-gamma in the medium and culturing them for 12 to 48 hours. It can be obtained by doing this.
  • BxC-I17 stem cells have an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rate of about 240% compared to mesenchymal stem cells that are not pretreated with any substance, the exosome produ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about 6 times, and the amount of exosome-derived proteins is more than 6 times. is increased to
  • interferon-gamma is added to the medium at 0.001 to 1000 ng, 0.005 to 500 ng, 0.01 to 100 ng, 0.05 to 50 ng, 0.1 to 25 ng, 0.5 to 15 ng, 1 to 10 ng, or It may be pretreated at 5 to 15 ng, for example, may be pretreated at 10 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derived from stem cell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contain exosomes isol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or their culture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contain exosomes derived from stem cells pretreated with interferon gamma.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contain exosomes isolated from mesenchymal stem cells or cultures thereof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pretreated with interferon-gamma.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contain one or more exosom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osomes derived from BxC stem cells (BxC-e) and exosomes derived from BxC-I17 stem cells (BxC-I17e). .
  • the term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means containing a sufficient amount to achieve the alleviating, suppressing, preventing or therapeutic activity against a specific disease of exosomes isolated from stem cells or their cultur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for exampl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gum acacia,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silicic acid. It may contain calcium,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It is not limited.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for exampl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gum acacia,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silicic acid. It may contain calcium,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lubricants, wetting agent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preservatives, etc.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and parenterally, for example, intravenous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topic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intrarectal administration, intrathecal administration, eye. It can be administered by administration, dermal administra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patient's age,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action sensitivity. It can be determined or prescribed at an effective dosage for desired treatment or prevention.
  • the daily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0001-1000 mg/kg.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formulated in unit dosage form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or excipient according to a method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manufactured or manufactured by placing it in a multi-capacity container. At this time,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an oil or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an extract, powder, suppository, powder, granule, tablet, or capsule, and may additionally contain a dispersant or stabilizer, but is limited thereto. That is not the case.
  • the administered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age, weight, gender, dosage form, health condition, and disease level, and is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at regular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a doctor or pharmacist. It may also be administered in divided doses.
  • the daily dosage may be 1 to 1000 ⁇ g/ml based on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 but this is an example of an average case and the dosage may be higher or lower depending on individual differenc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preventing, alleviating or suppressing cancer.
  • cancer treatment refers to all actions that inhibit cancer, and may specifically mean the action of regulating the cycle of cancer cells or the action of inducing apoptosis of cancer cel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cancer is breast cancer, lung cancer, stomach cancer, liver cancer, blood cancer, bone cancer, pancreatic cancer, skin cancer, head or neck cancer, skin or eye melanoma, uterine sarcoma, ovarian cancer, and rectal cancer.
  • the cancer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ver cancer, pancreatic cancer, glioblastoma, colon cancer, breast cancer, prostate cancer, and blood canc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stem cell-derived exosome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exosomes derived from stem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way as the above-describ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 description of common content between the two is omitted to avoid excessive complexity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added during food production,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seasonings and flavor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Carbohydrate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Sugar alcohols such as sugar alcohols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Flavoring ag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uppressing, or improving cancer.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cell therapy refers to the use of live autologous, allogenic, or xenogenic cells to proliferate or select in vitro or to determine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cells by other methods in order to restore the function of cells and tissues. It refers to medicines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diagnosis, and prevention through a series of actions such as change.
  • the cell therapeutic agent may be a stem cell therapeutic agent.
  • the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may include BxC-I17 stem cells.
  • the cell therapeutic agent may be a cell therapeutic agent for alleviating, suppressing,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isolated from stem cells or their cultures,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the method may be a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isol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or their culture.
  • the separation step may be separating exosome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or their cultures.
  • the stem cells may be autologous or allogeneic, may be derived from any type of animal, including humans and non-human mammals, may be stem cells derived from adults, or may be derived from embryos. It could be a stem cell.
  • stem cells may be embryonic stem cells, adul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xC stem cells, and BxC-I17 stem cells. ,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stem cell culture medium is centrifuged at 200-400xg for 5 to 20 minutes to remove remaining cells and cell residues, and then the supernatant is taken and centrifuged at 9,000-12,000xg for 60-80 minutes at high speed. , take the supernatant again, centrifuge it at 90,000-120,000xg for 80-100 minutes, and remove the supernatant to obtain the exosomes remaining in the lower laye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retreatment step of pretreat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ith interferon-gamma.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ve culture step of isolating and culturing SSEA-4 (-) cells among the cultur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differentiating them into BxC stem cells.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ell exosome production step of culturing stem cells through a cell culture medium.
  • the exosome produ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inducing secretion or production of exosomes from stem cells
  • the cell culture medium may include all media for stem cell culture commonly used in the field.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 MEM Minimal Essential Medium
  • BME Base Medium Eagle
  • RPMI 1640 DMEM/F-10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Nutrient Mixture F-10), DMEM/ F-12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Nutrient Mixture F-12), ⁇ -MEM ( ⁇ -Minimal essential Medium), G-MEM (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MDM (Iso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KnockOut DMEM, E8 ( Commercially manufactured media such as Essential 8 Medium or artificially synthesized media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cell culture medium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such as carbon source, nitrogen source, trace element components, amino acids, and antibiotics.
  • the exosome production step may include an additional culture step of culturing the stem cells with exosome-free fetal bovine serum (FBS).
  • FBS fetal bovine serum
  • FBS with exosomes removed from the cell culture medium has the exosomes removed, preventing the incorporation of exosomes derived from FBS in addition to the exosomes secreted by stem cells. You can.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comprising exosomes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a pretreatment step of pretreating mesenchymal stem cells with interferon-gamma is a pretreatment step of pretreating mesenchymal stem cells with interferon-gamma
  • the first culture step may be culturing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 a medium containing FBS and bFGF for 1-10 days.
  • the selective culture step may be to separate SSEA-4 (-) cell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differentiate them into BxC stem cells by culturing them in a medium containing FBS and bFGF for 1-10 days. .
  • the pretreatment step is performed by injecting mesenchymal stem cells with interferon-gamma at 0.001 to 1000 ng, 0.005 to 500 ng, 0.01 to 100 ng, 0.05 to 50 ng, 0.1 to 25 ⁇ M, 0.5 to 15 ng, It may include culturing in a medium containing 1 to 10 ⁇ M, or 5 to 15 ng.
  • the production step may include an additional culture step of 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with exosome-free fetal bovine serum (FBS).
  • FBS fetal bovine serum
  • the method may be a method of produc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uppressing,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exosomes isol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or their cultures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allevia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the exosomes isolated from stem cells or their cultures are a group consisting of exosomes derived from BxC stem cells (BxC-e) and exosomes derived from BxC-I17 stem cells (BxC-I17e). It may be one or more exosomes selected from.
  • the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osomes isolated from stem cells or their cultures in the same way as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the description of common content between the two is omitted to avoid excessive complexity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in which a disease is improved or beneficially changed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to a patient by any appropriate method, an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ral or all general routes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Can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using any device capable of delivering the active ingredient to target cells.
  • subject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for example, humans, monkeys, cows, horses, sheep, pigs, chickens, turkeys, quail, cats, dogs, mice, rats, rabbits, or guinea pigs. Includes,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a huma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lone, but may generally be administered mixed with a pharmaceutical carrier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dministration method and standard pharmaceutical practice (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 there i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derived from stem cells as an active ingredient to alleviate, suppress, prevent, or treat cancer.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nti-cancer effect and can be used as a treatment for cancer together with or independently of existing anti-cancer drugs.
  • Figure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urvival rate after treating liver cancer cell lines SNU449 and Huh7 cell lines with BxC-I17e exos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urvival rate after treating the MIA-PaCa-2 cell line, a pancreatic cancer cell line, with BxC-I17e exos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urvival rate after treating glioblastoma cell lines HS683, U87MG, and A172 cell lines with BxC-I17e exos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urvival rate after treating colon cancer cell lines HCT116 and COLO205 cell lines with BxC-I17e exos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urvival rate after treating breast cancer cell lines T47D and MCF7 cells with BxC-I17e exos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urvival rate after treating PC3, a prostate cancer cell line, with BxC-I17e exos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urvival rate after treating blood cancer cell lines K-562 and U266B1 with BxC-I17e exos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changes in tumor size after administering BxC-I17e exos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rostate cancer xenograft tumor model.
  •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changes in tumor size after administering BxC-I17e exos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liver cancer xenograft tumor model.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prevention, alleviation or inhibition of cancer comprising exosomes isol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MSC) as an active ingredient.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 MSC mesenchymal stem cell
  • Example 1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ere cultured for 7 days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FBS (Fetal bovine serum) and 10 ng/ml bFGF. Afterwards, through FACS analysis, SSEA-4(-) cells, which do not express SSEA-4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 4) protein on the cell surface, were isolated from the cultur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identified a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intermediate. Progenitor cells of mesenchymal stem cells were obtained. Subsequently, the isolated SSEA-4(-) cells were passaged and further cultured for 7 days i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and 10 ng/ml of bFGF to produce BxC stem cells .
  • FBS Fetal bovine serum
  • SSEA-4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 4
  • BxC stem cells were further cultured in culture medium containing high glucose DMEM (Gibco, USA), 10% FBS (HyClone, USA), and 1% 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100X, Gibco, USA). They were completely differentiated into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Example 2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somes (BxC-e)
  •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medium cultured in Example 1 was collected and centrifuged at 300xg for 10 minutes to remove remaining cells and cell residues. After centrifugation, the supernatant was obtained, filtered using a 0.22 ⁇ m filter, and then centrifuged at 10,000xg at 4°C for 70 minutes using a high speed centrifuge.
  • the centrifuged supernatant was obtained again and centrifuged at 100,000xg at 4°C for 90 minutes using an ultracentrifuge. Afterward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the exosomes remaining in the lower layer were diluted in PBS (phosphate buffered salin) to isolat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exosom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xC-e exosomes). , which was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s.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
  • Example 2-1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BxC-e exosomes isolated in Example 2-1 was confirmed using nanoparticle tracking assay (NanoSight NS300, Malvern Panalytical), and the shape of the exosomes was confirmed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 Example 3 Isolation of exosomes (BxC-I17e) derived from interferon-gamma pretreat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xC-I17)
  •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prepared in Example 1 were cultured for 24 hours in high glucose DMEM culture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1% 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and 20 ng/ml of IFN ⁇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xC-I17 stem cells) pretreated with IFN ⁇ were produced.
  • the BxC-I17 stem cells were washed and cultured for an additional 72 hours in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from which exosomes were removed.
  • the culture medium treated with the pretreatment material was collected and centrifuged at 300xg for 10 minutes to remove remaining cells and cell residues.
  • the supernatant was taken and filtered using a 0.22 ⁇ m filter, and then centrifuged at 10,000xg at 4°C for 70 minutes using a high speed centrifuge. Then, the centrifuged supernatant was taken again and centrifuged at 100,000 Exosom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xC-I17e exosomes) were isolated and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s.
  • Example 4 Cancer cell survival test according to treatment with exosomes (BxC-I17e) derived from interferon-gamma pretreat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xC-I17)
  • liver cancer cell lines 4-1. liver cancer cell lines
  • the Cell Counting Kit (CCK)-8 assay solutio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t a dilution of 1/10, and the survival rates of the liver cancer cell lines SNU449 and Huh7 cell lines were observed 3 hours later and are shown in Figure 1 and Table 1.
  • the Cell Counting Kit (CCK)-8 assay solutio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t a dilution of 1/10, and the survival rate of MIA-PaCa-2, a pancreatic cancer cell line, was observed 3 hours later and is shown in Figure 2 and Table 2.
  • the Cell Counting Kit (CCK)-8 assay solutio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t a dilution of 1/10, and the survival rates of glioblastoma cell lines HS683, U87MG, and A172 cell lines were observed 3 hours later, and are shown in Figure 3 and Table 3. .
  • the Cell Counting Kit (CCK)-8 assay solutio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t a dilution of 1/10, and the survival rates of colon cancer cell lines HCT116 and COLO205 cell lines were observed 3 hours later and are shown in Figure 4 and Table 4.
  • the Cell Counting Kit (CCK)-8 assay solutio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t a dilution of 1/10, and the survival rates of breast cancer cell lines T47D and MCF7 cells were observed 3 hours later and are shown in Figure 5 and Table 5.
  • CCK-8 assay solutio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t a dilution of 1/10, and the survival rate of PC3, a prostate cancer cell line, was observed 3 hours later.
  • the Cell Counting Kit (CCK)-8 assay solutio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t a dilution of 1/10, and the survival rates of the blood cancer cell lines K-562 and U266B1 were observed 3 hours later and are shown in Figure 7 and Table 7.
  • Example 5 Confirmation of tumor size reduction effect in xenograft tumor model by treatment with exosomes (BxC-I17e)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xC-I17) pretreated with interferon-gamma
  • Prostate cancer cell line (PC-3) was administered to 6-week-old male SCID mice (NOD.CB17-Prkdcscid/Jcl).
  • SCID mice NOD.CB17-Prkdcscid/Jcl.
  • the viability of the cultured cell line was checked using a microscope, and then the cell line was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1.0 x 10 8 cells/mL.
  • a needle equipped with a gauge needle was inserted and administered slowly subcutaneously at a dosage of 1.0
  • the tumor size in the area where the cell line was transplanted reaches approximately 100 - 150 mm 3
  • the tumor size in each group is distributed as evenly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ranked tumor size, and 31 cells are distributed within the tumor for each group.
  • BxC-I17e was administered into the tumor using a syringe equipped with a gauge needle. From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Day 0), the size of the tumor was observed three times a week for one week and is shown in Figure 8 and Table 8.
  • Hepatoma cell line (Huh7) was administered to 6-week-old male nude mice (CAnN.Cg-Foxn1nu/CrljOri).
  • CnN.Cg-Foxn1nu/CrljOri 6-week-old male nude mice
  • the viability of the cultured cell line was checked using a microscope, and then 2.0 x 10 6 cells/0.1 mL of cell suspension and an equal amount of Matrigel (1:1, v/v) were mixed.
  • disinfect the dorsal part of the animal with 70% alcohol pull the skin on the cervix wi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to create a space between the skin and muscle, and insert a 26-gauge needle into the subcutaneous space between the thumb and index finger from the front of the animal.
  • a needle equipped with a gauge needle was inserted and administered slowly subcutaneously at a dose of 2.0 When the tumor size in the area where the cell line was transplanted reaches about 100 - 150 mm 3 , the tumor size in each group is distributed as evenly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ranked tumor size, and 31 cells are distributed within the tumor for each group.
  • BxC-I17e was administered into the tumor using a syringe equipped with a gauge needle. From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Day 0), the size of the tumor was observed three times a week for two weeks and is shown in Figure 9 and Table 9.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stem cell-derived exosom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position containing exosomes isolated from mesenchymal stem cells or their cultures, which have excellent anticancer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암 효과가 우수하여, 기존 항암제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암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암 효과가 우수한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에서 분리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소포체 (Extracellular Vesicles)는 마이크로베지클 (Microvesicles), 엑소좀 (Exosome) 등을 포함하는 30~1000 nm 크기의 구형 지질이중층 (lipid-bilayer)으로 구성된 소포체 (vesicle)이다.
엑소좀의 지질이중층은 기원 세포 (공여세포)와 같은 인지질 이중막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세포가 세포외로 분비하는 물질의 구성체로 세포-세포간의 커뮤니케이션 및 세포성 면역 중재 등의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엑소좀은 기원 세포 특유의 생물학적 기능을 반영하는 세포특이적 구성 성분을 함유하며, 인지질, mRNA, miRNA 외에도 다양한 수용성 단백질, 외재성 단백질 및 막관통 단백질 성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엑소좀은 비만세포, 림프구, 성상세포, 혈소판, 신경세포, 내피세포, 상피세포 등 모든 동물 세포에서 배출되며 혈액, 소변, 점액, 타액, 담즙액, 복수액, 뇌척수액 등의 다양한 체액에서 발견된다. 엑소좀은 뇌혈관 장벽 (Blood-Brain Barrier; BBB)도 통과할 수 있으며, 표피 세포와 내피세포의 세포막 투과가 가능할 정도로 선택적 투과성이 높아 특정 약물의 나노캐리어 (nanocarrier)인 DDS (drug delivery system)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분비하는 엑소좀 및 마이크로베지클 (microvesicle)은 세포-세포간 커뮤니케이션 (cell-to-cell communication)에 관여하며 줄기세포가 가지는 재생의학적인 치료 효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줄기세포를 체내에 이식한 후에 장기간의 생존 없이 세포에서 분비되는 파라크린 인자 (paracrine factors)에 트로픽 효과 (trophic effect)를 가져오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인자에는 성장인자 (growth factor), 케모카인 (chemokine), 사이토카인 (cytokine) 등과 같은 저분자가 엑소좀과 같은 세포외 소포체 (extracellular vesicle)에 의하여 분비되며, 이러한 엑소좀은 줄기세포에서 유래한다. 따라서 엑소좀은 줄기세포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의 치료적 효능을 평가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중간엽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중간엽 줄기세포가 분비하는 엑소좀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환의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학계 및 산업계에서는 이를 통해 기존의 줄기세포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분리된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암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암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의 완화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암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암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exosome)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엑소좀"은 세포 유래성 소포체로, 거의 모든 진핵 생물의 체액에 존재하는 것으로, LDL 단백질보다는 크지만, 적혈구보다는 훨씬 작은 30-100 nm 정도의 직경을 갖는 소포체를 의미한다. 엑소좀은 다중소포체 (multivesicular bodies)가 세포막과 융합될 때 세포로부터 방출되거나, 세포막으로부터 곧바로 방출될 수 있고, 응고, 세포간 신호전달 등과 같은 중요하면서도 특화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줄기세포 (Stem cell)"는 미분화된 세포로서 자기 복제 능력을 가지면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갖는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줄기 세포는 자가 또는 동종 유래 줄기세포일 수 있고, 인간 및 비인간 포유류를 포함한 임의 유형의 동물 유래일 수 있으며, 성체로부터 유래된 줄기세포일 수 있고, 배아로부터 유래된 줄기세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는 배아 줄기세포, 성체 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BxC 줄기세포, 인터페론-감마 (interferon gamma; IFN-γ)가 전처리된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및 BxC-I17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성체 줄기세포 (adult stem cell)"는 제대혈이나 성인의 골수, 혈액 등에서 추출되는 세포로 구체적 장기의 세포로 분화되기 직전의 세포를 의미하며, 필요한 때에 신체 내 조직으로 발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미분화 상태의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성체 줄기세포는 인간, 동물 또는 동물 조직 기원의 성체 줄기세포, 인간, 동물 또는 동물 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mesenchymal stromal cell) 및 인간, 동물 또는 동물 조직 기원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간, 동물 또는 동물 조직은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및 태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의 다양한 조직 기원의 줄기세포는 조혈모세포, 유선 줄기세포, 장 줄기세포, 혈관내피 줄기세포, 신경 줄기세포, 후각신경 줄기세포 및 정소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배아 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는 배아의 발생과정에서 추출한 세포로, 수정란이 모체의 자궁에 착상하기 직전인 포배기 배아에서 내세포괴 (inner cell mass)를 추출하여 체외에서 배양한 것을 의미한다.
배아 줄기세포는 개체의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 (多能性, pluripotent)이거나 전능성 (全能性, totipotent)이 있는 자가재생능 (selfrenewal)을 갖는 세포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배아체 (embryoid bodies)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줄기세포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생쥐,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의 배아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는 분화된 세포들로부터 인위적인 역분화 과정을 통해 다능성 분화능을 가지도록 유도된 세포들을 의미하며, "역분화줄기세포"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인위적인 역분화 과정은 레트로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및 센다이바이러스를 이용한 바이러스-매개 또는 비바이러스성 벡터 이용, 단백질 및 세포 추출물 등을 이용하는 비바이러스-매개 역분화 인자의 도입에 의해 수행되거나, 줄기세포 추출물, 화합물 등에 의한 역분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배아 줄기세포와 거의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유사한 세포 모양을 가지고, 유전자, 단백질 발현이 유사하며, in vitro 및 in vivo에서 전분화능을 가지고, 테라토마 (teratoma)를 형성하며, 생쥐의 배반포 (blastocyst)에 삽입시켰을 때, 키메라 (chimera) 생쥐를 형성하고, 유전자의 생식선 전이 (germline transmission)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줄기세포는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중간엽 줄기세포 (mesenchymal stem cell; MSC)"는 중간엽에서 유래한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조골세포, 연골세포, 지방세포 또는 근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모든 유형의 성체 조직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골수 지방 조직, 탯줄 또는 말초 혈액에서 분리될 수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의 군집 (MSC population)은 특이적인 표현형 (phenotype)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군집은 통상의 중간엽 줄기세포의 군집과 동일한 표현형 특성을 보일 수 있고, 중간엽 줄기세포의 군집은 CD105, CD73, CD90 마커를 95% 이상 발현하고, CD45, CD34, SSEA-4를 2% 이하로 발현하는 줄기세포의 군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줄기세포는 BxC 줄기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BxC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BxC 줄기세포'는 유도만능줄기세포 (iPSC)를 배양한 후 SSEA-4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 4) 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군집을 분리한 후, 추가적으로 배양하여 제조된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BxC 줄기세포는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로 완전히 분화되기 직전 단계의 세포이고, 추가 배양을 통해 완전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성질을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BxC 줄기세포 군집의 표현형은 중간엽 줄기세포 군집과 완전히 동일한 표현형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중간엽 줄기세포 군집의 표현형과 96% 내지 99.9%의 범위로 유사한 표현형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만능줄기세포 군집은 CD90 단백질을 0.3%로 발현하나 중간엽 줄기세포 군집은 99.7%로 CD90 단백질을 발현하고, BxC 줄기세포 군집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약 98%인 96.9%의 비율로 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xC 줄기세포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SSEA-4 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추가적으로 배양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 완전히 분화시키지 않고 96% 내지 99.9% 분화시킨 줄기세포로 정의될 수 있다. BxC 줄기세포는 동일하게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된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줄기세포성 (stemness)가 우수하고, 기능성과 관련된 단백질을 다량 분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BxC 줄기세포는 계대를 9번 이상 거듭할 경우 동일 조직 유래의 중간엽 줄기세포(MSC)와 비교하여 10배 이상 증식능의 차이가 나타나며, 12 번 이상의 횟수로 계대를 하여도 증식능의 감소가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BxC 줄기세포는 일반적인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세포 증식능과 관련된 마커인 Ki67의 발현량도 2배 이상 높게 나타난다. 그리고, BxC 줄기세포는 동일하게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된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ANKRD1, CPE, NKAIN4, LCP1, CCDC3, MAMDC2, CLSTN2, SFTA1P, EPB41L3, PDE1C, EMILIN2, SULT1C4, TRIM58, DENND2A, CADM4, AIF1L, NTM, SHISA2, RASSF4, 및 ACKR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를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할 수 있고, DHRS3, BMPER, IFI6, PRSS12, RDH10, 및 KCNE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를 더 낮은 수준으로 발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줄기세포능"이란 모든 세포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만능성 (pluripotency) 및 자기와 닮은 세포들을 무한정 만들어 낼 수 있는 자기재생능 (self-renewal)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미분화 세포를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줄기세포의 증식능 (Proliferation)을 증가시키거나, 텔로머라제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줄기세포성 인자 (stemness acting signals)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세포 이동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하며, 이들 특징 중 하나 이상이 나타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줄기세포는 인터페론-감마 (interferon gamma; IFN-γ)가 전처리된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인터페론-감마 (interferon gamma; IFN-γ)가 전처리된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전처리"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지에 특정 물질을 첨가하여 배양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처리는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가 완료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인터페론-감마 (interferon gamma; IFN-γ)를 첨가한 배지에 추가적으로 배양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터페론-감마는 줄기세포의 줄기세포능 (Stemness) 및 증식능 (Proliferation)을 증가시키고,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의 수, 엑소좀 내 단백질 및 RNA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줄기세포는 BxC-I17 줄기세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BxC-I17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BxC-I17 줄기세포"는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의 중간엽줄기세포를 인터페론-감마가 포함된 배지에 배양 (전처리)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이때,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의 중간엽줄기세포는 BxC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 완전히 분화된 줄기세포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 내에서 BxC-I17 줄기세포는 BxC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 완전히 분화시킨 후, 배지에 인터페론-감마를 포함시켜 배양 (전처리)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BxC-I17 줄기세포는 BxC 줄기세포를 추가 배양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 완전히 분화시킨 후, 배지에 인터페론-감마를 0.001 내지 1000 ng, 예를 들어, 10 ng 포함시켜 12 내지 48시간 동안 배양함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BxC-I17 줄기세포는 아무 물질도 전처리되지 않은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세포의 증식율이 약 240% 증가되며, 엑소좀 생산 효율이 약 6 배 이상 증가되며, 엑소좀 유래 단백질의 양이 6배 이상으로 증가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인터페론-감마는 배지에 0.001 내지 1000 ng, 0.005 내지 500 ng, 0.01 내지 100 ng, 0.05 내지 50 ng, 0.1 내지 25 ng, 0.5 내지 15 ng, 1 내지 10 ng, 또는 5 내지 15 ng으로 전처리 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 ng으로 전처리 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터페론 감마로 전처리된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터페론-감마로 전처리된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BxC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BxC-e), BxC-I17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BxC-I17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의 특정 질환에 대한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및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예컨대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국소 투여, 비강 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경막 내 투여, 안구 투여, 피부 투여 및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투여량이 정해질 수 있으며,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으로 결정 또는 처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01-1000 ㎎/㎏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좌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1 내지 1000 μg/ml 일 수 있으나, 이는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암의 치료, 예방, 완화 또는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암의 치료"는 암을 억제하는 모든 작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암세포의 주기 조절 작용 또는 암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 유도 작용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암은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뼈암, 췌장암, 피부암, 머리 또는 목암 (head or neck cancer), 피부 또는 안구 흑색종, 자궁육종, 난소암, 직장암, 항문암, 대장암, 난관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소장암, 내분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연조직종양, 요도암, 전립선암, 기관지암, 교모세포종 또는 골수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암은 간암, 췌장암, 교모세포종,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향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암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치료제이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세포 치료제"는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 (autologous), 동종 (allogenic), 이종 (xenogenic)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ㆍ선별하거나 여타한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행위를 통하여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세포 치료제는 줄기세포 치료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BxC-I17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포 치료제는 암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 치료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엑소좀을 분리하는 분리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방법은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분리단계는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엑소좀을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줄기 세포는 자가 또는 동종 유래 줄기세포일 수 있고, 인간 및 비인간 포유류를 포함한 임의 유형의 동물 유래일 수 있으며, 성체로부터 유래된 줄기세포일 수 있고, 배아로부터 유래된 줄기세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는 배아 줄기세포, 성체 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BxC 줄기세포, BxC-I17 줄기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단계에서, 줄기세포의 배양 배지를 200-400xg에서 5 내지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남아있는 세포와 세포 잔여물을 제거한 뒤, 상층액을 취하여 9,000-12,000xg로 60-80분간 고속 원심분리한 후, 다시 상층액을 취하여 90,000-120,000xg로 80-10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함으로써 하층에 남아 있는 엑소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방법은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인터페론-감마로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방법은 배양된 유도만능줄기세포 중 SSEA-4 (-) 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여 BxC 줄기세포로 분화시키는 선별 배양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방법은 세포 배양 배지를 통해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세포 엑소좀 생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엑소좀 생산 단계는 줄기세포로부터 엑소좀의 분비 또는 생산을 유도하는 과정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 세포 배양 배지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 (Minimal Essential Medium), BME (Basal Medium Eagle), RPMI 1640, DMEM/F-10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Nutrient Mixture F-10), DMEM/F-12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Nutrient Mixture F-12), α-MEM (α-Minimal essential Medium), G-MEM (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MDM (Iso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KnockOut DMEM, E8 (Essential 8 Medium) 등의 상업적으로 제조된 배지 또는 인위적으로 합성한 배지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세포 배양 배지는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 성분, 아미노산, 항생제 등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엑소좀 생산 단계는 엑소좀이 제거된 우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으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추가 배양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세포배양 배지에 엑소좀을 제거한 FBS는 소 혈청유래의 엑소좀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일반 FBS와 달리 엑소좀이 제거되어 줄기세포가 분비하는 엑소좀 외에 FBS에서 유래된 엑소좀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지에서 배양하는 제1배양 단계;
배양된 유도만능줄기세포 중 SSEA-4 (-) 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여 BxC 줄기세포로 분화시키는 선별 배양 단계;
BxC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 분화시키는 제2배양 단계;
중간엽 줄기세포에 인터페론-감마를 전처리 하는 전처리 단계;
전처리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엑소좀을 생산하는 생산 단계; 및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엑소좀을 분리하는 분리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1배양 단계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FBS 및 bFGF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1-10일간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선별 배양 단계는 유도만능줄기세포 중 SSEA-4 (-) 세포를 분리하여 FBS 및 bFGF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1-10일간 배양하여 BxC 줄기세포로 분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전처리 단계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인터페론-감마를 0.001 내지 1000 ng, 0.005 내지 500 ng, 0.01 내지 100 ng, 0.05 내지 50 ng, 0.1 내지 25 μM, 0.5 내지 15 ng, 1 내지 10 μM, 또는 5 내지 15 ng으로 포함하는 배지에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생산 단계는 엑소좀이 제거된 우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으로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추가 배양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법은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완화 또는 치료 방법이다: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 (exosom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은 BxC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BxC-e) 및 BxC-I17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BxC-I17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엑소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은 상술한 조성물과 동일하게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포함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인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 (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암의 완화, 억제, 예방 또는 치료용도이다.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암 효과가 우수하여, 기존 항암제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암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xC-I17e 엑소좀을 간암 세포주인 SNU449와 Huh7 세포주에 처리한 후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xC-I17e 엑소좀을 췌장암 세포주인 MIA-PaCa-2 세포주에 처리한 후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xC-I17e 엑소좀을 교모세포종 세포주인 HS683, U87MG 및 A172 세포주에 처리한 후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xC-I17e 엑소좀을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과 COLO205 세포주에 처리한 후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xC-I17e 엑소좀을 유방암 세포주인 T47D 및 MCF7 세포에 처리한 후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xC-I17e 엑소좀을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에 처리한 후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xC-I17e 엑소좀을 혈액암 세포주인 K-562 및 U266B1에 처리한 후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xC-I17e 엑소좀을 전립선암 이종이식 종양모델에 투여한 후 종양의 크기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xC-I17e 엑소좀을 간암 이종이식 종양모델에 투여한 후 종양의 크기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mesenchymal stem cell; MSC)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치료, 예방, 완화 또는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10%의 FBS (Fetal bovine Serum) 및 10 ng/ml의 bFGF를 첨가한 DMEM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이 후, FACS 분석을 통하여 배양된 유도만능줄기세포 중 세포 표면에 SSEA-4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 4) 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 SSEA-4(-) 세포를 분리하여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전구세포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분리된 SSEA-4(-) 세포를 계대하여 10%의 FBS 및 10 ng/ml의 bFGF를 첨가한 DMEM 배지에서 7일간 추가 배양하여, BxC 줄기세포를 제작하였다.
이 후, BxC 줄기세포를 High glucose DMEM (Gibco, USA), 10% FBS (HyClone, USA), 1% 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100X, Gibco, USA)를 포함하는 배양배지에서 추가 배양하여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 완전히 분화시켰다.
실시예 2: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BxC-e) 분리 및 특성 확인
2-1. BxC-e 엑소좀의 분리
실시예 1에서 배양된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배지를 수거하여 300x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남아있는 세포와 세포잔여물을 제거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수득해 0.22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고속원심분리기 (high speed centrifuge)를 이용하여 10,000xg, 4℃에서 7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어서, 원심분리된 상층액을 다시 수득해 초원심분리기 (ultracentrifuge)를 이용하여 100,000xg, 4℃에서 9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하층에 남아있는 엑소좀을 PBS (phosphate bufferd salin)에 희석하여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이하, BxC-e 엑소좀)을 분리하였고, 이를 이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2-2. BxC-e 엑소좀의 특성 확인
실시예 2-1에서 분리된 BxC-e 엑소좀의 크기 분포를 nanoparticle tracking assay (NanoSight NS300, Malvern Panalytical)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엑소좀의 형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a 및 1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e 엑소좀은 엑소좀으로서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인터페론-감마 전처리된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BxC-I17) 유래 엑소좀 (BxC-I17e) 분리
10% Fetal bovine Serum, 1% 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및 IFNγ 20ng/ml이 포함된 High glucose DMEM 배양배지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24시간 배양하여 IFNγ가 전처리된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BxC-I17 줄기세포)를 제작하였다.
배양을 완료한 후, BxC-I17 줄기세포를 세척하고 엑소좀이 제거된 FBS을 10% 첨가한 배양배지에서 추가적으로 72시간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전처리 물질이 처리된 배양배지를 수거하여 300x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남아있는 세포와 세포잔여물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상층액을 취하여 0.22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고속원심분리기 (high speed centrifuge)를 이용하여 10,000xg, 4℃에서 7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다음, 원심분리된 상층액을 다시 취하여 초원심분리기 (ultracentrifuge)를 이용하여 100,000xg, 4℃에서 9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하층에 남아있는 엑소좀을 PBS에 희석하여 IFNγ 전처리 엑소좀 (이하, BxC-I17e 엑소좀)을 분리하였으며, 이를 이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인터페론-감마 전처리된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BxC-I17) 유래 엑소좀 (BxC-I17e) 처리에 따른 암세포 생존 시험
4-1. 간암 세포주
96 culture plate에 3 x 103 개의 세포를 seeding하고 16시간 뒤에 배양액 제거 후, serum-free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면서 BxC-I17e 200 μg/ml을 48시간 처리해주었다. 이 후 Cell Counting Kit(CCK)-8 assay 용액을 10분의 1 희석 배수로 배양액에 첨가해준 뒤 3시간 후에 간암 세포주인 SNU449와 Huh7 세포주의 생존율을 관찰하여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주 SNU 449 Huh7
세포 생존율(%) Control 100 100
BxC-I17e 29.7 66.3
실험결과, 도 1 및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I17e 엑소좀을 간암 세포주 SNU449와 Huh7에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서 암세포주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2. 췌장암 세포주
96 culture plate에 3 x 103 개의 세포를 seeding하고 16시간 뒤에 배양액 제거 후, serum-free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면서 BxC-I17e 200 μg/ml을 48시간 처리해주었다. 이 후 Cell Counting Kit(CCK)-8 assay 용액을 10분의 1 희석 배수로 배양액에 첨가해준 뒤 3시간 후에 췌장암 세포주인 MIA-PaCa-2의 생존률을 관찰하여 도 2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세포주 MIA-PaCa-2
세포 생존율(%) Control 100
BxC-I17e 34.0
실험결과, 도 2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I17e 엑소좀을 췌장암 세포주인 MIA-PaCa-2에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서 암세포주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3. 교모세포종 세포주
96 culture plate에 3 x 103 개의 세포를 seeding하고 16시간 뒤에 배양액 제거 후, serum-free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면서 BxC-I17e 200 μg/ml을 48시간 처리해주었다. 이 후 Cell Counting Kit(CCK)-8 assay 용액을 10분의 1 희석 배수로 배양액에 첨가해준 뒤 3시간 후에 교모세포종 세포주인 HS683, U87MG 및 A172 세포주의 생존률을 관찰하여 도 3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세포주 SNU 449 Huh7 A172
세포 생존율(%) Control 100 100 100
BxC-I17e 24.6 31.2 76.0
실험결과, 도 3 및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I17e 엑소좀을 교모세포종 세포주인 HS683, U87MG 및 A172 세포주에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서 암세포주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4. 대장암 세포주
96 culture plate에 3 x 103 개의 세포를 seeding하고 16시간 뒤에 배양액 제거 후, serum-free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면서 BxC-I17e 200 μg/ml을 48시간 처리해주었다. 이 후 Cell Counting Kit(CCK)-8 assay 용액을 10분의 1 희석 배수로 배양액에 첨가해준 뒤 3시간 후에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및 COLO205 세포주의 생존률을 관찰하여 도 4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세포주 HCT116 COLO205
세포 생존율(%) Control 100 100
BxC-I17e 11.4 57.8
실험결과, 도 4 및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I17e 엑소좀을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및 COLO205에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서 암세포주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5. 유방암 세포주
96 culture plate에 3 x 103 개의 세포를 seeding하고 16시간 뒤에 배양액 제거 후, serum-free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면서 BxC-I17e 200 μg/ml을 48시간 처리해주었다. 이 후 Cell Counting Kit(CCK)-8 assay 용액을 10분의 1 희석 배수로 배양액에 첨가해준 뒤 3시간 후에 유방암 세포주인 T47D 및 MCF7 세포의 생존률을 관찰하여 도 5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세포주 T-47D MCF7
세포 생존율(%) Control 100 100
BxC-I17e 77.3 90.0
실험결과, 도 5 및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I17e 엑소좀을 유방암 세포주인 T47D 및 MCF7에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서 암세포주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6. 전립선암 세포주
96 culture plate에 3 x 103 개의 세포를 seeding하고 16시간 뒤에 배양액 제거 후, serum-free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면서 BxC-I17e 200 μg/ml을 48시간 처리해주었다. 이 후 Cell Counting Kit(CCK)-8 assay 용액을 10분의 1 희석 배수로 배양액에 첨가해준 뒤 3시간 후에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의 생존률을 관찰하였다.
세포주 PC3
세포 생존율(%) Control 100
BxC-I17e 38.6
실험결과, 도 6 및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I17e 엑소좀을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에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서 암세포주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7. 혈액암 세포주
96 culture plate에 3 x 103 개의 세포를 seeding하고 16시간 뒤에 배양액 제거 후, serum-free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면서 BxC-I17e 200 μg/ml을 48시간 처리해주었다. 이 후 Cell Counting Kit(CCK)-8 assay 용액을 10분의 1 희석 배수로 배양액에 첨가해준 뒤 3시간 후에 혈액암 세포주인 K-562 및 U266B1의 생존률을 관찰하여 도 7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세포주 K-562 U266B1
세포 생존율(%) Control 100 100
BxC-I17e 49.9 81.4
실험결과, 도 7 및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I17e 엑소좀을 혈액암 세포주인 K-562 및 U266B1에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서 암세포주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인터페론-감마 전처리된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BxC-I17) 유래 엑소좀 (BxC-I17e)을 처리에 따른 이종이식 종양 모델에서 종양크기 감소 효과 확인
5-1. 전립선암 이종이식 종양모델 (xenograft tumor model)
전립선암 세포주 (PC-3)는 6주령의 수컷 SCID 마우스 (NOD.CB17-Prkdcscid/Jcl)에 투여하였다. 세포 주 이식을 위하여, 배양된 세포주를 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존율 (viability)을 확인한 다음, 1.0 x 108 cells/mL의 농도로 세포주를 준비하였다. 이 후, 동물의 등쪽 부위를 70% 알코올로 소독하고, 엄지와 검지로 경배부의 피부를 잡아당겨 피부와 근육 사이에 공간을 만든 후 동물의 전방으로부터 엄지와 검지사이의 피하공간에 26 게이지 니들 (gauge needle)이 장착된 주사침을 찔러 넣고 1.0 X 107 cells/0.1 mL/head의 투여액량으로 천천히 피하 투여하였다. 세포주를 이식한 부위의 종양 크기가 약 100 - 150 mm3에 도달하였을 때, 순위화한 종양의 크기에 따라 각 군의 종양 크기가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분배하고, 각각의 그룹에 맞춰 종양 내에 31 게이지 (gauge needle)이 장착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종양 내에 BxC-I17e를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개시 (Day 0)부터 1주일간 주 3회 종양의 크기를 관찰하여 도 8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Time (day) 0 3 5 7
Tumor Size (mm3) Vehicle 128.4 158.1 178.1 210.5
BxC-I17e 126.7 137.9 115.7 127.2
실험결과, 도 8 및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I17e 엑소좀의 경우 대조군과 달리 시간이 경과함에도 전립선암 세포주로 유도된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5-2. 간암 이종이식 종양모델 (xenograft tumor model)
간암 세포주 (Huh7)는 6 주령의 수컷 누드 마우스 (CAnN.Cg-Foxn1nu/CrljOri)에 투여하였다. 세포주 이식을 위하여, 배양된 세포주를 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존율 (viability)를 확인한 다음, 2.0 x 106 cells/0.1 mL의 세포 현탁액과 동량의 매트리겔 (1:1, v/v)을 혼합하였다. 이 후, 동물의 등쪽 부위를 70% 알코올로 소독하고, 엄지와 검지로 경배부의 피부를 잡아당겨 피부와 근육 사이에 공간을 만든 후 동물의 전방으로부터 엄지와 검지사이의 피하공간에 26 게이지 니들 (gauge needle)이 장착된 주사침을 찔러 넣고 2.0 X 106 cells/0.2 mL/head의 투여액량으로 천천히 피하 투여하였다. 세포주를 이식한 부위의 종양 크기가 약 100 - 150 mm3에 도달하였을 때, 순위화한 종양의 크기에 따라 각 군의 종양 크기가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분배하고, 각각의 그룹에 맞춰 종양 내에 31 게이지 니들이 장착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종양 내에 BxC-I17e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개시 (Day 0)부터 2주간 주 3회 종양의 크기를 관찰하여 도 9 및 표 9에 나타내었다.
Time (day) 0 4 5 7 10 12 14
Tumor Size (mm3) Vehicle 147.6 399.8 440.2 709.5 963.8 1317.0 1926.2
BxC-I17e(H) 146.5 245.4 253.5 383.3 648.0 795.9 993.5
실험결과, 도 9 및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xC-I17e 엑소좀의 경우 대조군과 달리 시간이 경과함에도 간암 세포주로 유도된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암 효과가 우수한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에서 분리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13)

  1.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mesenchymal stem cell; MSC)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치료, 예방, 완화 또는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SSEA-4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 4) 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전구세포로부터 분화된 것인, 암의 치료, 예방, 완화 또는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인간 유래의 유도만능줄기세포인 것인, 암의 치료, 예방, 완화 또는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전처리 물질로 전처리된 것인, 암의 치료, 예방, 완화 또는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물질은 인터페론-감마 (interferon gamma; IFN-γ)인 것인, 암의 치료, 예방, 완화 또는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뼈암, 췌장암, 피부암, 머리 또는 목암(head or neck cancer), 피부 또는 안구 흑색종, 자궁육종, 난소암, 직장암, 항문암, 대장암, 난관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소장암, 내분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연조직종양, 요도암, 전립선암, 기관지암, 교모세포종 또는 골수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암의 치료, 예방, 완화 또는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mesenchymal stem cell; MSC)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SSEA-4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 4) 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전구세포로부터 분화된 것인, 암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인간 유래의 유도만능줄기세포인 것인, 암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전처리 물질로 전처리된 것인, 암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물질은 인터페론-감마 (interferon gamma; IFN-γ)인 것인, 암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뼈암, 췌장암, 피부암, 머리 또는 목암(head or neck cancer), 피부 또는 안구 흑색종, 자궁육종, 난소암, 직장암, 항문암, 대장암, 난관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소장암, 내분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연조직종양, 요도암, 전립선암, 기관지암, 교모세포종 또는 골수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암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3.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지에서 배양하는 제1배양 단계;
    배양된 유도만능줄기세포 중 SSEA-4 (-) 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여 BxC 줄기세포로 분화시키는 선별 배양 단계;
    BxC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 분화시키는 제2배양 단계;
    중간엽 줄기세포에 인터페론-감마 (interferon gamma; IFN-γ)를 전처리 하는 전처리 단계;
    전처리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엑소좀을 생산하는 생산 단계; 및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엑소좀을 분리하는 분리 단계.
PCT/KR2023/008222 2022-07-11 2023-06-14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147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939 2022-07-11
KR1020220084939A KR20240008054A (ko) 2022-07-11 2022-07-11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721A1 true WO2024014721A1 (ko) 2024-01-18

Family

ID=8953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8222 WO2024014721A1 (ko) 2022-07-11 2023-06-14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8054A (ko)
WO (1) WO202401472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636A (ko) * 2019-06-12 2020-12-23 브렉소젠 주식회사 인터페론-감마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생성 촉진 및 줄기세포능 증가용 조성물
KR20210012867A (ko) * 2019-07-26 2021-02-03 브렉소젠 주식회사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전구세포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060148A1 (en) * 2017-05-10 2021-03-04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Compositions comprising engineered embryonic stem cell-derived exosomes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20220014839A (ko) * 2020-07-29 2022-02-07 브렉소젠 주식회사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26959A (ko) * 2020-08-26 2022-03-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치료, 예방 또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60148A1 (en) * 2017-05-10 2021-03-04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Compositions comprising engineered embryonic stem cell-derived exosomes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20200142636A (ko) * 2019-06-12 2020-12-23 브렉소젠 주식회사 인터페론-감마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생성 촉진 및 줄기세포능 증가용 조성물
KR20210012867A (ko) * 2019-07-26 2021-02-03 브렉소젠 주식회사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전구세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14839A (ko) * 2020-07-29 2022-02-07 브렉소젠 주식회사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26959A (ko) * 2020-08-26 2022-03-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치료, 예방 또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054A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5644A1 (ko)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및 이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97319A1 (ko) 면역세포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WO2019135645A1 (ko) 인터페론 감마로 전처리된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및 이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98995A1 (ko) 엑소좀 기반의 면역세포의 교차분화 방법
WO2016048107A1 (ko) 인터페론-감마 또는 인터류킨-1베타를 처리한 줄기세포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11096728A2 (en) Method for proliferating stem cells by activating c-met/hgf signaling and notch signaling
WO2019050071A1 (ko) 엑소좀 또는 엑소좀 유래 리보핵산을 포함하는 간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43524A1 (ko) 인간 유래 성체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19107939A1 (ko)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135036B1 (ko) 엑센딘-4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생성 촉진 및 줄기세포능 증가용 조성물
WO2022055134A1 (ko)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1210872A1 (ko) 트롬빈 처리 줄기세포에서 유래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85303A1 (ko) 개과동물 양막-유래 다분화능 줄기세포
WO2012008733A2 (ko) 1기 태반조직 유래 줄기세포 및 이를 함유하는 세포치료제
US20230190817A1 (en) Composition including stem cell-derived exoso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9216667A9 (ko) Sox2, c-Myc를 이용하여 비신경 세포로부터 직접 리프로그래밍된 유도신경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WO2021071289A2 (ko) 줄기세포능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4014721A1 (ko)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70932A1 (ko) 위 세포 배양용 조성물
WO2015023147A1 (ko) mTOR/STAT3 신호억제제 처리된 면역조절능을 갖는 간엽 줄기세포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WO2022108165A1 (ko) 역분화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8155913A1 (ko)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골격근육세포 분화 방법
WO2021125844A1 (ko)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분화방법
WO2019190175A9 (ko)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운동신경세포의 분화방법
KR102130502B1 (ko) P 물질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생성 촉진 및 줄기세포능 증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398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