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87081A1 -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87081A1
WO2023287081A1 PCT/KR2022/009506 KR2022009506W WO2023287081A1 WO 2023287081 A1 WO2023287081 A1 WO 2023287081A1 KR 2022009506 W KR2022009506 W KR 2022009506W WO 2023287081 A1 WO2023287081 A1 WO 20232870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ydrosol
preventing
inflammatory skin
cosmetic composition
cordyceps myc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95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재경
하시영
정지영
이동환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2870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870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ntaining Sancho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Atopic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is a common skin disease and shows a high incidence mainly in infancy and childhood.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has been reported to range from 3% to 15%, and since World War II, extensive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an increasing trend, 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relapsing dermatitis that appears to be genetically predisposed to severe pruritus, characteristic shape and distribution of skin lesions, and a personal or familial history of atopy. Recently, atopic dermatitis tends to increase due to the influence of food additives o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exact etiology is not known, but it is assumed that genetic, environmental, and immunological factors are complexly related to the onset.
  • a decrease in peripheral blood CD8 + T lymphocytes is observ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CD4:CD8 ratio.
  • this phenomenon does not induce a decrease in systemic cell-mediated immunity, it causes a decrease in skin immunity, resulting in frequent viral or bacterial infections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a decrease in response to contact allergens.
  • INF- ⁇ and TNF- The number of Th1, which is involved in normal cell-mediated immunity, decreases, and the production of IgE, which induces an allergic reaction by secreting IL-4, increases, and the number of Th2, which is directly involved in an allergic reaction, increases.
  • atopy-related products marke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or treating atopy are based on steroids or plant extracts.
  • the steroid system is being avoided by consumers due to side effects and tolerance, and most atopy-related products use plant extracts as raw materials, but their efficacy does not satisfy atopic patients. Therefore, although there are many known documents and prototypes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there is still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substances and formulations that are highly effective and non-toxic for atopic dermatiti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health fo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by containing a mixture consisting of sanchoe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skin diseases containing Sancho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ntaining Sancho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ntaining Sancho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Japanese pepper hydrosol extracted from Japanese pepper fruit reduces the expression of SNARE protein, which is an inflammatory mediating protein, and reduces inflammation-inducing reactive oxygen species
  • NO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ctivity of hexasosaminidase is inhibited
  • the mixed composition of Japanese pepper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improves the stability of Japanese pepper hydrosol and has excellent -
  • the mixture can be provided as a cosmetic composition, health fo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skin diseases including atopic dermatitis.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step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ng inflamma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a hydrosol from Japanese pepper fruit using a steam distillation apparatus.
  • Figure 3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GC-MS chromatogram and main compounds of Sancho hydrosol.
  • Figure 4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SNARE protein ex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Sancho hydrosol concentration (25, 37.5, 50, 75 and 100 ppm).
  • Figure 5 is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Sancho hydrosol (25, 50 and 100 ppm) -Hexasosaminidase ( -hexosamin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confirmed. +++: p ⁇ 0.001 compared DNP-IgE; *: p ⁇ 0.05 compared DNP-BSA; **: p ⁇ 0.01 compared DNP-BSA; ***: p ⁇ 0.001 compared DNP-BSA.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Figure 7 is a result confirming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duced by Sancho hydrosol (25, 50 and 100 ppm) of LPS.
  • Figure 8 is a mixture consisting of Sancho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thanol extract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hexasosaminidase inhibitory activity. +++: p ⁇ 0.001 compared DNP-IgE; *: p ⁇ 0.05 compared DNP-BSA; **: p ⁇ 0.01 compared DNP-BSA; ***: p ⁇ 0.001 compared DNP-BSA.
  • Figure 10 is pepper oil and pepper hydrosol -Hexasosaminidase ( -hexosamin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confirmed. +++: p ⁇ 0.001 compared DNP-IgE; *: p ⁇ 0.05 compared DNP-BSA; **: p ⁇ 0.01 compared DNP-BSA; ***: p ⁇ 0.001 compared DNP-BSA.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ntaining a mixture consisting of Sanchoe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Japanese pepper hydrosol may be a water-soluble hydrosol obtained by condensing steam generated by steam distillation of Japanese pepper fruits.
  • Sancho hydrosol is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 steam distillation is a method of extracting hydrophobic oil and hydrophilic hydrosol from the raw material using steam of water, putting the raw material in a large tank and In this method, when steam is applied at a part, the cell walls of the raw material are destroyed, and oil and water vapor are collected between the cell walls.
  • the Japanese pepper hydrosol is prepared by using a distillation device (see FIG. 2) to put 250 g of Japanese pepper fruit into a distillation vessel and generate steam in 750 mL of boiling water at the bottom of the vessel; It may be extracted by condensing the vapor to obtain a water-soluble hydros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rdyceps sinensis mycelium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water, C1 to C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more preferably an ethanol aqueous solu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rdyceps mycelium extract is obtained by culturing the cordyceps mycelium in a liquid medium; Obtaining a mycelium after centrifuging the cultured cordyceps mycelium culture medium; And mixing the obtained cordyceps mycelium in 98% ethanol and then extracting it by ultrasonic treatment at 60 ° C. for 1 hour; It can be extracted as, but it is not.
  • the inflammatory skin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psoriasis, contact dermatitis and seborrheic dermatitis.
  • the Sancho hydrosol may inhibit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ing proteins SNAP23, Syntaxin4, VAMP7 and VAMP8.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mixed with 80 to 90% by weight of Japanese pepper hydrosol and 10 to 20% by weight of cordyceps mycelium extract.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5 to 10 parts by weight of Japanese pepper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olution, softening lotion, nutrient lotion, nutrient cream, moisturizing cream, nutrient essence, gel, and lo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conventional auxiliary agent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s, and carrier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stone maple extract.
  • auxiliary agent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s, and carrier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stone maple extract.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It may be formulated as a wax foundation and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sun cream, softening lotion, astringent lotion, nourishing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pack, spray or powder.
  • the formula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butane or a propellant such as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 -Butyl glycol oil, fatty acid esters of glycerol,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n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a suspension agent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ealth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ntaining Sancho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health food is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sanchoe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thereof, for exampl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effective dose of the compound contained in the health food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effective dose of the therapeutic agent, bu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in the case of long-term intake for the purpose of health and hygiene or health control.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it is certain that the components can be used in an amount greater than the above rang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ntaining Sancho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al administration agents, sprays, gels, ointments, creams and external preparations.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ntaining a mixture consisting of Sanchoe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s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sintegra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Sweeteners, coating agents, expanding agents, lubricants, flavoring agents, antioxidants, buffers, bacteriostatic agents,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and lubricants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ar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may be used, and solid dosage form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and capsules.
  • solid preparations may be prepared by mixing at least one or more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etc., with the composition.
  •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etc.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may also be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for oral use,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aromatic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the like.
  •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as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 As a base material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paper, glycerogeratin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dministered in a conventional manner through intravenous, intraarterial, intraperitoneal, intramuscular, intrasternal, transdermal, intranasal, inhalational, topical, rectal, oral, intraocular or intradermal routes.
  • a preferred dosage of the mixture consisting of the sanchoe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subject,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the type of drug, the rout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not limited thereto, the daily dosage may be 0.01 to 200 mg/kg, specifically 0.1 to 200 mg/kg, and more specifically 0.1 to 100 mg/kg.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administration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 the 'subject' may be a mammal including a human, bu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 Hydrosol was extracted from the fruit of Japanese pepper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2 by steam distillation using a steam distillation apparatus.
  • Steam distillation is a method for obtaining oil or hydrosol. It is a method of extracting hydrophobic oil and hydrophilic hydrosol from raw materials using water vapor. As it passes, the essence is classified as an oil and the water vapor as a hydrosol.
  • Sancho hydrosol was produced in an amount of 16 to 23% relative to the raw material, and oil was produced in a small amount of 0.3 to 1.3%.
  • the components of the Sancho hydrosol obtained in the previous process were analyzed under the analysis conditions shown in Table 1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GC-MS) equipped with a head space.
  • GC-MS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 RBL-2H3 mast cells were purchased from ATCC (Washington, DC; ATCC number: CRL-2256; Fig. 3) and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rck KGaA, Darmstadt, Germany) medium at 37 °C and 5% CO 2 in a CO 2 incubator (BB15, Thermo Scientific HERAEUS® BB 15).
  • the hydrosol was dissolved in DMSO (Dimethyl sulfoxide; Merck KGaA, Darmstadt, Germany) and treated at 25, 37.5, 50, 75 and 100 ppm in 0.5 -1 ⁇ 10 6 mast cell cultured 6-well.
  • DMSO Dimethyl sulfoxide
  • a total of 0.5 -1 ⁇ 10 6 cells treated with hydrosol were lysed in 1 mL of lysis buffer (50 mM Tris-HCl, 150 mM NaCl, 1% Triton X-100, 1% Triton X-100, 1%) containing protease inhibitors (Calbiochem, Germany). mM EDTA, pH 7.5), and the lysate was centrifuged at 13,000 rpm, 4 °C to remove cell debris. Thereafter, 100 ⁇ L of protein G Sepharose (GE healthcare) was treated at 4° C. for 2 hours.
  • lysis buffer 50 mM Tris-HCl, 150 mM NaCl, 1% Triton X-100, 1% Triton X-100, 1%) containing protease inhibitors (Calbiochem, Germany).
  • mM EDTA, pH 7.5 protease inhibitors
  • antibodies against SNARE proteins (SNAP-23, Syntaxin 4, VAMP2, and VAMP8) were added to the lysate and bound at 4° C. for 2 hours, and the antibody-antigen complex was added to the protein G suspension and incubated overnight. , After washing with lysis buffer, immunoblot analysis of the precipitate was performed.
  • Immunoprecipitated proteins and cell lysates were separated on a 12% SDS-PAGE gel,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membrane (Whatman, Germany), and TBST (10 mM Tris-HCl, 10 mM Tris-HCl, 150 mM NaCl, 0.05% Tween-20, pH 8.0)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and the blot was probed overnight with the primary antibody of SNAP-23.
  • the membrane was treated with a secondary anti-mouse IgG antibody (A4416, Sigma) mixed with horseradish peroxidase, and the band was detected with an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solution to form a hydrosol.
  • ECL enhanced chemiluminescence
  • -Hexosaminidase is an enzyme known as an indicator for mast cell degranul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hibition of hexosaminidase reduces inflammation caused by mast cell degranulation and histamine release.
  • RBL-2H3 cells were cultured by dispensing 2 ⁇ 10 5 cells/well in 500 ⁇ L of culture medium in a 24-well plate. Cells were washed with HEPES-buffered saline (140 mM NaCl, 5 mM KCl, 1 mM CaCl 2 , 0.6 mM MgCl 2 , 0.1% glucose, 0.1% BSA and 10 mM HEPES) and anti-dinitrophenyl (DNP). )-IgE (100 ng/mL, Sigma), and then incubated for 30 minutes with or without treatment with hydrosol (25 ppm, 50 ppm and 100 ppm).
  • HEPES-buffered saline 140 mM NaCl, 5 mM KCl, 1 mM CaCl 2 , 0.6 mM MgCl 2 , 0.1% glucose, 0.1% BSA and 10 mM HEPES
  • DNP anti-dinitrophenyl
  • DNP-group 200 ng/mL, DNP-BSA
  • BSA bovine serum albumin
  • the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50 ⁇ L/well) and incubated in 50 ⁇ L substrate solution at 37° C. for 3 hours. After stopping the reaction with 100 ⁇ L of NaCO 3 -NaHCO 3 buffer solution (1:1 mixture, 100 mM NaCO 3 -NaHCO 3 , pH 10.0), absorbance was measured at 405 nm using a micro plate reader.
  • Secretory activity is the relative total intracellular - Calculated by hexosaminidase content. gun -Hexosaminidase content was determined by cells lysed with 0.1% Triton X-100, in the supernatant - The percentage of hexosaminidas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DCF-DA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which emits fluorescence when reacted with active oxygen, on the generation of NO (nitrite scavenging)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in RAW 264.7 (Sigma, St. Louis, MO, USA).
  •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in a 9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5 ⁇ 10 4 cells/well, and treated with 25 to 100 ppm of hydrosol for 4 hours. Thereafter, LPS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 ⁇ g/mL, cultured for 24 hours, the medium was removed, and DCF-DA was added to PBS. After reaction at 37° C. for 30 minutes, active oxygen was confirmed using a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 at an excitation wavelength of 485 nm and an emission wavelength of 530 nm.
  • ROS increased by more than 150%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LPS as shown in FIG. 6, while ROS increased by 1.9, 2.2, and 2.6 times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25 ppm, 50 ppm, and 100 ppm hydrosol, respectively. It was confirmed that the ROS reduction effect of RAW 264.7 cells treated with Bayll-7080 (Sigma-Aldrich, Germany),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was confirmed to be similar to that of the ROS reduction effect.
  • ROS When present in high concentrations in the body, ROS induces oxidative stress, promotes DNA mutation and aging, and secretes several proinflammatory cytokines, chemokines, and eicosanoid metabolites. promotes the continuation and exacerbat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 This increase in ROS means that the skin is subjected to oxidative stress, and oxidation can cause damage to the epidermal barrier and loss of moisture, which can aggravate skin inflammation such as atopy.
  • RAW 264.7 cells a mouse macrophage cell line, were purchased from the Korea Cell Line Bank (KCLB) and cultured.
  • KCLB Korea Cell Line Bank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FBS penicillin-streptomycin
  • CO 2 incubator BB15, BB15, Cultured in Thermo Scientific HERAEUS® BB 15.
  •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hydrosols (25 ppm, 50 ppm, and 100 ppm), treated with 100 ng/mL of LPS after 1 hour, cultured for 18 hours, and Griess Reagent (Merck KGaA, Darmstadt) in the same amount as 50 ⁇ l of the culture medium. , Germany) was adde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with an ELISA reader, and the NO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um was confirmed using a standard curve for each concentration of sodium nitrite.
  • Hydrosol is ROS and for NO reduction to 50 ppm
  • the treatment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 VAMP7 and VAMP8 are representative R-SNARE proteins, present in cell membranes and involved in mediators transporting inflammatory substances.
  • tocopherol, ascorbic acid, heat-treated wood powder hot water/ethanol extract or mushroom mycelium hot water/ethanol extract were mixed at 5 to 20% to confirm stability.
  • the heat-treated wood powder is oak ( Quercus variabilis Blume) into chips, heat-treated at 220 ° C. for 1 minute, and prepared by classifying with 20 mesh pass 80 mesh on, Cordyceps mycelium ( Cordyceps militaris ) was cultured for 7 days at 100 rpm at 24 ° C using PDB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and then centrifuged to obtain mycelia.
  • PDB Potato Dextrose Broth
  • Hot water extraction of heat-treated oak wood flour and cordyceps mycelium was obtained by weighing 1 g of the sample based on the total dry weight, mixing it with 2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n ultrasonicating at 60 ° C for 30 minutes.
  • ethanol extraction of heat-treated oak wood flour and Cordyceps sinensis mycelium was extracted using 98% ethanol, and the sample was weighed 1 g on a dry weight basis, mixed with 20 mL of ethanol, and then ultrasonicated at 60 ° C for 30 minutes.
  • Tocopherol Merck KGaA, Darmstadt, Germany
  • ascorbic acid Merck KGaA, Darmstadt, Germany
  • Stability measurement was compared with oil stability index (OSI) using an electrical conductivity meter according to the AOCS analysis method (Cd 12b-92). After sampling a certain amount of sample (2.5 ⁇ 0.2 g),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100 ° C., and the OSI value as shown in Table 3 was confirmed.
  • OSI oil stability index
  • the OSI measurement principle is that when polar volatile substances are volatilized by oxidation of fat and collected in distilled water, the conductivity rises and this is sensed through the electrode connected to the distilled water bottle. The time until this time is represented by OSI (time), and the longer the time derived from the result, the higher the stability.
  • the stability was confirmed by mixing the hydrosol and the ethanol extract of Cordyceps sinensis mycelium at 60:40, 70:30, 80:20, and 90:10 mass basis.
  • electrical conductivity was measured at 12-hour intervals for a total of 84 hours using an electrical conductivity meter according to the AOCS method (Cd 12b-92) and compared with oil stability index (OSI).
  • Example 1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1 of a mixture of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thanol extract as raw materials - The effect of inhibiting hexosaminidase was confirmed.
  • the mixed formulation has a significance of p ⁇ 0.01 -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hexosaminidase.
  • the mixed formulation using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thanol extract as raw materials was expressed as DNP-IgE and DNP-BSA. - It was confirmed that hexosaminidase was reduced by more than 40%.
  • a cosmetic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a mixed formulation of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thanol extract, which were confirmed to have stabil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s raw materials.
  • the base formulations used were green tea water, yeast fermentation filtrate, butylene glycol, niacinamide, glycerin,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panthenol, tocopheryl acetate, disodium EDTA, 1, It was prepared by mixing 2-hexanediol, and the mixture of sanchoe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thanol extract was homogenized by adding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formulation.
  • composition Content (parts by weight) One green tea 53-55 2 yeast fermentation filtrate 27-30 3 Butylene Glycol 2 4 Niacinamide One 5 glycerin 2 6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One 7 panthenol One 8 Tocopheryl Acetate One 9 Disodium EDT One 10 1,2-Hexanediol One 11 Sancho Hydrosol 4.5-9 12 Cordyceps mycelium ethanol extract 0.5-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초 열매로부터 추출된 산초 하이드로졸은 염증매개 단백질인 SNARE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염증을 유발시키는 활성산소종, NO 및 β-헥사소사미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산초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은 산초 하이드로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β-헥사소사미니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혼합물은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한 염증성 피부 질환을 예방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및 약학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흔한 피부질환으로 주로 유아기와 소아기에 높은 발생빈도를 보인다.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율은 3 %에서 15 % 정도 보고되고 있으며, 2차 세계대전이래 계속 증가추세로 광범위한 역학조사가 실시되었으며,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재발성 피부염으로서 심한 소양증, 피부 병변의 특징적인 모양 및 분포, 및 개인적 또는 가족적인 아토피 병력을 갖는 유전적 소인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아토피 피부염이 음식 첨가제나 환경오염의 영향 등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환경적 및 면역학적 요인이 복잡하게 연관되어 발병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에서는 말초혈액의 CD8+ T 임파구의 감소가 관찰되고 결과적으로 CD4:CD8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런 현상이 전신적인 세포매개 면역의 감소를 유도하지는 않지만 피부 면역의 저하를 초래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서 바이러스나 세균감염이 빈발하게 되고, 접촉 알레르겐(allergen)에 대한 반응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CD4+ T 임파구 중에서 INF-γ 와 TNF-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01
를 분비하여 정상적인 세포매개 면역에 관여하는 Th1의 수는 감소하게 되고 IL-4를 분비하여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는 IgE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알러지 반응에 직접 관여하는 Th2의 수는 증가하게 된다.
한편,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80%는 혈청 IgE가 정상인에 비해 높으며, 증상이 심할수록 그 수치가 높은 경향이 있어 증가된 IgE 자체가 피부 병변에 직접 관여하는지 억제 T 세포의 결함이 IgE 항체의 증가를 초래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또한, 아토피 환자에게서 표피 장벽의 손상이 관찰된다. 이는 표피 각질층에서 각질 세포사이의 지질 성분인 세라마이드 (ceramide)의 부족이 아토피 피부염에서 경피 수분손실을 증가시켜 건조함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아토피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아토피 관련제품으로는 스테로이드계 또는 식물추출물을 소재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테로이드계는 부작용과 내성으로 소비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고, 대부분의 아토피관련 제품은 식물추출물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그 약효는 아토피 환자들을 만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치료에 관한 공지문헌 및 시제품이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 효과가 높고 독성이 없는 새로운 물질 및 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피부 질환을 개선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및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초 열매로부터 추출된 산초 하이드로졸은 염증매개 단백질인 SNARE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염증을 유발시키는 활성산소종, NO 및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02
-헥사소사미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산초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은 산초 하이드로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03
-헥사소사미니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혼합물은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한 염증성 피부 질환을 예방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및 약학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염증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수증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산초열매에서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산초 하이드로졸의 GC-MS 크로마토그램 및 주요 화합물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산초 하이드로졸 농도 (25, 37.5, 50, 75 및 100 ppm)에 따른 SNARE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산초 하이드로졸 처리농도 (25, 50 및 100 ppm)에 따른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04
-헥사소사미니다아제 (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05
-hexosaminidase)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 p<0.001 compared DNP-IgE; *: p<0.05 compared DNP-BSA; **: p<0.01 compared DNP-BSA; ***: p<0.001 compared DNP-BSA.
도 6은 산초 하이드로졸 (25, 50 및 100 ppm)의 활성산소종 (ROS)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산초 하이드로졸 (25, 50 및 100 ppm)의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산초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06
-헥사소사미니다아제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 p<0.001 compared DNP-IgE; *: p<0.05 compared DNP-BSA; **: p<0.01 compared DNP-BSA; ***: p<0.001 compared DNP-BSA.
도 9는 산초 오일 및 산초 하이드로졸이 SNARE 단백질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산초 오일 및 산초 하이드로졸의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07
-헥사소사미니다아제 (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08
-hexosaminidase)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 p<0.001 compared DNP-IgE; *: p<0.05 compared DNP-BSA; **: p<0.01 compared DNP-BSA; ***: p<0.001 compared DNP-BSA.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산초 하이드로졸은 산초 열매를 수증기 증류하여 생성된 증기를 응축하여 얻은 수용성 하이드로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초 하이드로졸은 수증기 증류법 (steam distillation)으로 획득된 것으로, 수증기 증류법은 물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원료로부터 소수성의 오일과 친수성의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커다란 탱크에 원료를 넣고 아랫부분에서 수증기를 가하면 원료의 세포벽이 파괴되면서 세포벽 사이의 오일과 수증기가 수집되는 방법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산초 하이드로졸은 증류장치(도 2 참조)를 이용하여 250g의 산초 열매를 증류 용기에 넣고 용기 바닥에 끓는 물 750 mL에서 증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증기를 응축시켜 수용성 하이드로졸을 획득하는 단계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은 동충하초 균사체를 액체배지에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을 원심분리 후 균사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된 동충하초 균사체를 98% 에탄올에 혼합 후 60℃에서 1 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하는 단계; 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건선, 접촉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초 하이드로졸은 염증매개 단백질인 SNAP23, Syntaxin4, VAMP7 및 VAMP8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산초 하이드로졸 80 ~ 90 중량%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10 ~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이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보습 크림, 영양 에센스, 젤 및 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돌단풍 추출물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썬 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 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은 상기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치료제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경구용 투여제, 스프레이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및 외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산초 하이드로졸 추출물 준비 및 활성 확인
1-1. 산초 하이드로졸 추출
수증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수증기 증류법으로 도 2와 같은 방법으로 산초열매로 부터 하이드로졸을 추출하였다.
먼저, 250g 산초열매를 증류용기에 투입하고 증류수 750 mL를 투입하여 증기를 생성한 후 에션설 오일을 함유하는 수증기를 수냉식 응축기를 통하여 도 2와 같이 응축하였으며, 획득된 하이드로졸을 -4 ℃에 냉장보관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증기 증류법은 오일 또는 하이드로졸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원료로부터 소수성 오일과 친수성의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증기 증류법으로부터 수집된 오일과 수증기는 파이프를 통해 냉각 탱크 속을 지나는 동안 에센스는 오일로, 수증기는 하이드로졸로 분류된다.
상기 수증기 증류법으로 산초 하이드로졸은 원료 대비 16 내지 23 % 가 생산되었으며, 오일은 0.3 내지 1.3 % 로 소량 생산되었다.
1-2. 하이드로졸의 휘발성 성분 확인
앞선 과정으로 얻은 산초 하이드로졸을 Head space가 장착된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GC-MS)를 이용하여 표 1과 같은 분석조건으로 구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Apparatus Item Condition
Headspace Instrument Agilent 7694
Vial oven temp. 95 ℃
Loop Temp. 98 ℃
Transfer line temp. 100 ℃
GC Instrument Agilent 7890A
Column HP-5MS (Length 30, diam 0.250, film 0.25)
Carrier gas He 1.57 mL/min
Split splitless
MS Ion source EI, 70 eV
Ms source 230 ℃
Scan range 50-550 m/s
Library w9N11.L
SPME SUPELCO SPME Fiber GRAY(DVB/CAR/PDMS)
표 2와 같은 하이드로졸 GC-MS 분석 결과, 총 77개의 휘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주요 성분으로 도 3과 같이 리날로올 (linalool), 캠퍼 (camphor), 에스트라골 (estragole), R(+)-리모넨 (limonen), 엘레몰 (elemol)이 확인되었다. 이 중 에스트라골이 약 33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캠퍼는 약 21 %로 두 번째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eak RT Area Library/ID Peak RT Area Library/ID
1 2.55 0.01 Octyl acetate 52 14.42 0.09 Carvenone
2 2.69 0.02 2-Propen-1-amine 53 14.55 0.03 1,2-Di(ethylidene)cyclopentane
3 2.81 0.03 1-Butanol 54 14.75 0.04 Anethole
4 2.87 0.02 1-Pentene 55 14.82 0.03 Methyl 6-oxabicyclo
5 2.90 0.02 2-Butanone 56 14.89 0.03 (+)-Isopiperitenone
6 2.95 0.01 3-Methyl acetate 57 15.35 0.92 Bicyclo[2.2.1]heptan-2-ol
7 4.27 0.01 3,4-Dihydropyran 58 15.72 0.13 2-Carene
8 4.29 0.01 3-Methyl-2-butenal 59 15.79 0.02 3-Carene
9 4.32 0.01 3,4-Dihydro-2H-pyran 60 15.97 0.06 p-Diisopropylbenzene
10 4.48 0.27 Hexanal 61 16.03 0.04 3,5-Xylidine
11 5.19 0.11 2-Hexenal 62 16.68 0.10 Cyclohexasiloxane
12 5.76 0.01 p-Toluic acid 63 17.31 0.01 1H-Naphthalen-2-one
13 5.80 0.02 Heptanal 64 17.37 0.01 Mentha-1,4,8-triene
14 6.21 0.01 Cyclohexanol 65 17.59 3.75 R(+)-Limonen
15 6.30 0.01 Pyridine 66 18.40 0.01 7-Amino-5,6,7,8-tetrahydronaphthalen
16 6.69 0.03 2-Heptenal 67 18.55 0.01 α-ylangene
17 6.84 0.03 Benzaldehyde 68 18.90 0.01 Salvial-4(14)-en-1-one
18 7.05 0.03 Amyl vinyl carbinol 69 19.11 0.05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09
-elemene
19 7.19 0.04 6-Methyl-5-hepten-2-one 70 19.37 0.01 α-Longipinene
20 7.29 0.95 Cyclotetrasiloxane 71 19.46 0.01 Methyleugenol
21 7.48 0.07 2-Cyclohepten-1-ol 72 19.56 0.01 1,6-Dimethyltricyclo[3.2.1]octane
22 7.64 0.26 3-Fluoro-o-xylene 73 19.91 0.03 Cedrene
23 8.00 0.06 1-Hexanol 74 20.01 0.01 1-Cyclobutylethanol
24 8.13 0.07 DL-Limonene 75 20.15 0.10 Caryophyllene
25 8.22 0.04 2,5-Dihydroanisole 76 20.36 0.01 α-Ionone
26 8.30 0.09 3,4,5-Trimethylpyrazole 77 20.46 0.01 5,6-Decadien-3-yne
27 8.66 0.03 2-Dodecenal 78 20.57 0.14 Thujopsene
28 8.79 0.02 1H-pyrazole 79 20.75 0.01 Isoterpinolene
29 8.93 0.15 Cyclooctane 80 21.09 0.02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30 9.07 0.08 Pinol 81 21.37 0.05 1,4,7,-Cycloundecatriene
31 9.15 0.02 3,5-Hexadien-2-ol 82 21.72 0.09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0
-Cubebene
32 9.28 0.02 1-Vinyl-2-cyclohexen-1-ol 83 21.83 0.01 4,7-Methanoazulene
33 9.51 0.34 4-Ethyl-resorcinol 84 22.17 0.01 γ-Muurolene
34 9.70 1.10 Linalool 85 22.25 0.01 Spiro[5.5]undec-2-ene
35 9.92 0.02 9-Dodecyn-1-ol 86 22.37 0.02 Germacrene
36 9.94 0.01 2,3-Dimethyl-2-cyclopenten-1-one 87 22.47 0.01 2-Cyclohexene-1-butanal
37 9.96 0.01 Cyclohept-4-enone 88 22.56 0.01 α-Guaiene
38 10.07 0.71 Succinic acid 89 22.72 0.01 2H-Isoindole
39 10.20 0.04 D-fenchyl alcohol 90 22.87 0.03 1,4-Dimethyladamantane
40 10.32 0.06 2-Butanone 91 22.98 0.12 1H-Cyclopropazulene
41 10.59 0.11 2-Methylenebornane 92 23.06 0.03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1
-Guaiene
42 10.69 0.01 α-Terpinene 93 23.27 0.10 Methyl benzene
43 10.71 0.07 Cyclopentane 94 23.38 0.04 2,4-Di-tert-butylphenol
44 11.19 30.68 Camphor 95 23.55 0.04 α-amorphene
45 11.37 0.33 Isoborneol 96 23.86 0.24 4-Isopropyl-1,6-dimethyldecahydronaphthalene
46 11.42 0.22 5-Tert-butyl-3-hydroxy-3H-furan-2-one 97 24.39 0.01 γ-cadinene
47 11.55 0.69 1,3-Cyclopentadiene 98 24.46 0.01 Isolongifolene
48 11.62 0.76 endo-(-)-Borneol 99 24.60 0.02 α-calacorene
49 11.77 0.06 Bicyclo[2.2.1]heptan-2-one 100 24.85 1.89 Elemol
50 11.89 0.12 Bicyclo[3.1.1]heptan-3-one 101 25.12 0.01 Germacrene B
51 12.76 50.86 Estragole 102 25.20 0.01 Camphene
1-3. 하이드로졸에 의한 RBL - 2H3 비만 세포의 SNARE 단백질 ( SNAP23 , Syntaxin4, VAMP7 및 VAMP8) 발현 변화 확인
RBL-2H3 비만 세포 (mast cell)를 ATCC (Washington, DC; ATCC number: CRL-2256; 그림 3)에서 구입하여 포도당, 10%의 열적으로 비활성화시킨 태아소혈청 및 항생제를 넣은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Merck KGaA, Darmstadt, Germany) 배지에서 37 ℃, 5 % CO2 조건으로 CO2 인큐베이터(BB15, Thermo Scientific HERAEUS® BB 15)에서 배양하였다.
하이드로졸을 DMSO (Dimethyl sulfoxide ;Merck KGaA, Darmstadt, Germany)에 용해하여 25, 37.5, 50, 75 및 100 ppm 으로 0.5-1 × 106 의 비만세포가 배양된 6-well에 처리하였다.
하이드로졸이 처리된 총 0.5-1 × 106 세포를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 (Calbiochem, Germany)를 포함하는 1 mL의 용해완충액 (50 mM Tris-HCl, 150 mM NaCl, 1 % Triton X-100, 1 mM EDTA, pH 7.5)으로 용해시키고, 용해물을 13,000 rpm, 4 ℃에서 원심분리하여 세포 잔해를 제거하였다. 이후 100 μL의 단백질 G 세파로스 (protein G Sepharose, GE healthcare)를 4 ℃에서 2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SNARE 단백질에 대한 항체(SNAP-23, Syntaxin 4, VAMP2, 및 VAMP8)를 용해물에 투입하고 4℃에서 2시간 동안 결합시키고, 항체-항원 복합체를 단백질 G 현탁액을 넣어준 후 하룻밤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용해 완충액으로 세척한 후, 침전물의 면역블랏 분석을 수행하였다.
면역침전된 단백질들과 세포 용해물들을 12% SDS-PAGE 젤에서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Whatman, Germany)에 옮긴 후, 5% 탈지분유와 0.5% BSA를 포함한 TBST (10 mM Tris-HCl, 150 mM NaCl, 0.05 % Tween-20, pH 8.0)로 1 시간 동안 상온에서 블락킹하여 블랏을 SNAP-23의 1차 항체로 밤새 탐침하였다.
이후 TBST로 세척하고, 멤브레인에 홀스래디쉬 퍼옥시다제 (horseradish peroxidase)와 혼합된 2차 항-마우스 IgG 항체(A4416, Sigma)를 처리하고,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용액으로 밴드를 검출하여 하이드로졸에 의한 RBL-2H3 비만세포의 SNARE 단백질 (SNAP23, Syntaxin4, VAMP7 및 VAMP8)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SNAP23, Syntaxin4, VAMP7 및 VAMP8이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단백질 중 VAMP7은 37.5 ppm 이상의 하이드로졸 처리에서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VAMP8은 75 ppm 이상의 하이드로졸을 처리했을 때 단백질 발현 억제가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산초 하이드로졸은 염증매개 단백질인 VAMP7 및 VAMP8의 발현 억제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NAP23, Syntaxin4, VAMP7 및 VAMP8 모두를 억제할 수 있는 하이드로졸은 염증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원료로 적합한 것이 확인되었다.
1-4. 하이드로졸의 처리농도에 따른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2
- 헥소사미니다아제 (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3
-hexosaminidase) 억제 효능
하이드로졸에 의한 비만세포 SNARE 단백질 발현 억제활성이 비만세포 탈과립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항-DNP IgE(200 ng/mL)와 DNP-BSA(10 ng/mL)에 의해 유도되는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4
-헥소사미니다아제의 분비를 확인하여 RBL-2H3 비만세포의 탈과립화 측정하였다. 또한, 자극물질(anti-DNP IgE + DNP-BSA)에 의해 유도되는 비만세포의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5
-헥소사미니다아제 분비를 억제하는 하이드로졸 농도를 확인하였다.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6
-헥소사미니다아제는 비만 세포의 탈과립과 히스타민 (histamine) 방출에 대한 지표로 알려진 효소로써,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7
-헥소사미니다아제의 억제는 비만 세포의 탈과립과 히스타민 방출로 인한 염증 유발을 감소시킨다.
먼저, RBL-2H3 세포들을 24-웰 플레이트에 500 μL의 배양액에 2 × 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HEPES-완충 식염수(140 mM NaCl, 5 mM KCl, 1 mM CaCl2, 0.6 mM MgCl2, 0.1% glucose, 0.1% BSA 및 10 mM HEPES)로 세척하고, 항-디니트로페닐 (dinitrophenyl; DNP)-IgE (100 ng/mL, Sigma)에서 3시간동안 배양 한 후, 30 분간 하이드로졸 (25 ppm, 50 ppm 및 100 ppm)을 처리 또는 무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들을 항원-유도 탈과립을 위하여, 소혈청 알부민(BSA)과 결합된 DNP-group (200 ng/mL, DNP-BSA)으로 자극하였다. 탈과립은 HEPES-완충 식염수에서 37℃에서 30 분간 비색계 생화학 방법(colorimetric biochemical assay)을 통해서 상층액에서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8
-헥소사미니다아제 측정을 통해 정량하였다.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50 μL/well)에 옮겨주고 50 μL 기질 용액에 37 ℃에서 3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00 μL의 NaCO3-NaHCO3 완충용액 (1:1 mixture, 100 mM NaCO3-NaHCO3, pH 10.0)으로 반응을 중단시킨 후, micro plate reader를 이용해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분비 활성은 세포 내 상대적 총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19
-헥소사미니다아제 함유량으로 계산하였다. 총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0
-헥소사미니다아제 함유량은 0.1 % 트리톤 X-100 으로 용해된 세포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상층액 내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1
-헥소사미니다아제의 퍼센트는 하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계산식]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2
-hexosaminidase 분비(%) = ((T - B - N)/(C - N)) × 100
T (Test): DNP-BSA (+), 샘플 (+)
B (Blank): DNP-BSA (-), 샘플 (+)
C (Control): DNP-BSA (+), 샘플 (-)
N (Normal): DNP-BSA (-), 샘플 (-)
그 결과, 도 5와 같이 비만세포의 DNP-IgE에 DNP-BSA를 투입한 경우,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3
-헥소사미니다아제가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하이드로졸은 농도의존적으로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4
-헥소사미니다아제를 감소시켰다. 특히 100 ppm으로 처리했을 때 p<0.001 수준의 유의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1-5. 피부각질형성세포 활성산소종 ( ROS ) 발생에 대한 하이드로졸의 영향 확인
ROS (reactive oxigen species)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생산되면 피부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염증 등의 피부질환 및 노화가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각질형성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ROS 자극제 H2O2를 노출시켜 ROS에 대한 하이드로졸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RAW 264.7에서 리포다당류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nitrite scavenging) 발생에 대한 하이드로졸의 효과를 활성산소와 반응하면 형광을 발산하는 DCF-DA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Sigma, St. Louis, MO,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RAW 264.7 세포를 5×104 cells/well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배양한 후에 하이드로졸을 25 내지 100 ppm으로 4 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LPS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시킨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PBS에 DCF-DA 첨가하였다. 37℃에서 30 분 반응시킨 후 방출 파장 (excitation wavelength) 485 nm, 여기 파장 (emission wavelength) 530 nm에서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활성산소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ROS는 150 % 이상 증가한 반면, 25 ppm, 50 ppm 및 100 ppm 하이드로졸이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는 ROS가 각각 1.9 배, 2.2 배 및 2.6 배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양성 대조군 (positive control)으로 사용된 Bayll-7080 (Sigma-Aldrich, Germany) 이 처리된 RAW 264.7 세포의 ROS 감소 효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ROS는 체내에 고농도로 존재하는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DNA 변이 및 노화를 촉진하고, 여러 가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 케모카인 (chemokine) 및 에이코사노이드 대사물질 (eicosanoid metabolites)의 분비를 촉진시켜 염증 반응의 지속 및 악화를 유도한다. 이러한 ROS의 증가는 피부가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산화작용이 표피 장벽의 손상과 수분 손실을 유발하여 아토피 등 피부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ROS에 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낸 하이드로졸은 염증 개선을 위한 치료제로써 사용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1-6.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 억제 효과에 대한 하이드로졸의 효과 확인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분양 받아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을 위해 10 % FBS과 1 %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 5 % CO2의 조건으로 CO2 인큐베이터 (BB15, Thermo Scientific HERAEUS® BB 15)에서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에 하이드로졸 (25 ppm, 50 ppm 및 100 ppm)을 처리하고 1시간 후 100 ng/mL의 LPS를 처리하여 18시간 배양하고, 배양액 50 μl와 같은 양의 Griess Reagent (Merck KGaA, Darmstadt, Germany)를 첨가한 후 10 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Sodium nitrite의 농도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배양액 내의 NO 농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하여 증가된 NO는 25 내지 100 ppm 모든 농도의 하이드로졸 처리에서 NO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하이드로졸 100 ppm이 처리된 세포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Bayll-7080(구입처)를 처리된 세포 (1.6 배 억제)와 유사한 수준의 NO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하이드로졸은 ROS 및 NO 감소를 위하여 50 ppm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이 확인되었다.
1-7. 산초 오일과 산초 하이드로졸의 항염증 효과 확인
산초 오일과 산초 하이드로졸의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대표적인 R-SNARE 단백질으로써, 세포막에 존재하며 염증물질을 운반하는 매개물질에 관여하는 VAMP7과 VAMP8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상기 1-3의 실험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와 같이 산초 하이드로졸은 VAMP7과 VAMP8의 확실한 억제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 반면, 산초 오일은 VAMP7의 억제에만 관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1-4와 같은 방법으로 산초 오일과 산초 하이드로졸이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5
-헥소사미니다아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도 10과 같이 DNP-IgE 및 DNP-BSA 처리에 의해 비만세포에서 급격히 증가된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6
-헥소사미니다아제가 산초 하이드로졸이 처리된 세포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100 ppm으로 처리했을 때 p<0.001 수준의 유의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 반면, 산초 오일에서는 매우 낮은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7
-헥소사미니다아제 감소 효과가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산초 오일과 산초 하이드로졸의 항염증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산초 하이드로졸의 항염증 효과가 산초 오일보다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하이드로졸 안정성 확인
1. 안정성 향상을 위한 혼합물 확인
하이드로졸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토코페롤 (tocopherol), 아스코르빅산 (ascorbic acid), 열처리된 목분 열수/에탄올 추출물 또는 버섯 균사체 열수/에탄올 추출물을 5~20%로 혼합하여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열처리 목분은 참나무 (Quercus variabilis Blume)를 칩으로 제조한 후, 220 ℃에서 1 분 동안 열처리하여 20 mesh pass 80 mesh on으로 분급하여 준비하였으며, 동충하초 균사체 (Cordyceps militaris)는 PDB (Potato Dextrose Broth)배지를 이용하여 24 ℃에서 100 rpm으로 7일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균사체를 획득하였다.
열처리된 참나무 목분과 동충하초 균사체의 열수추출은 시료를 전건중량기준으로 1g 칭량한 후 증류수 20 mL에 혼합한 후 60℃에서 30분간 초음파처리 (ultrasonication)하여 얻었다.
또한, 열처리된 참나무 목분과 동충하초 균사체의 에탄올 추출은 98%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시료를 전건중량기준으로 1g 칭량 후 에탄올 20 mL에 혼합 후 60 ℃에서 30 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얻었으며, 대조구로 사용된 토코페롤 (Merck KGaA, Darmstadt, Germany)과 아스코르빅산 (Merck KGaA, Darmstadt, Germany)은 에탄올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안정성 측정은 AOCS 분석법(Cd 12b-92)에 따라 전기전도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oil stability index (OSI)로 비교하였다. 일정량의 시료 (2.5±0.2 g)를 sampling 후 온도를 100 ℃로 유지하여 표 3과 같은 OSI 값을 확인하였다.
OSI 측정원리는 지방의 산화에 의해 극성의 휘발성물질이 휘발하여 증류수에 포집되면 전도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를 증류수 병에 연결된 전극을 통하여 감지하게 되는데 산화가 급격히 일어나서 휘발성물질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을 포착하여 이때까지의 시간을 OSI(time)로 나타내는 것으로, 결과에서 도출된 시간이 길수록 안정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표 3과 같이 동충하초 균사체의 에탄올 추출물과 하이드로졸을 혼합하였을 때,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충하초 균사체의 에탄올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안정성 유지에 사용되는 토코페롤 및 아스코르빅산 보다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동충하초 균사체의 에탄올 추출물이 하이드로졸의 안정성 유지를 위한 원료로 적합한 것이 확인되었다.
Samples ppm 전기전도도(μs/cm)/시간 결과
(hours)
0 12 24 36 48 60 72 84
Tocopherol (대조구 1)
 
 
200 363 355 312 50 51 55 49 50 36
400 363 357 351 333 50 51 55 49 48
600 363 394 344 315 49 59 55 44 48
Ascorbic acid (대조구 2)
 
 
200 363 355 312 50 51 55 49 50 36
400 363 357 351 362 50 51 55 41 48
600 363 357 346 329 45 54 55 50 48
Steam exploded wood chip hot water extract (대조구 3)
 
 
200 363 345 50 51 50 52 57 57 24
400 363 357 48 44 61 62 50 59 24
600 363 351 61 52 49 50 50 50 24
Steam exploded wood chip ethanol extract (대조구 4)
 
 
200 363 345 50 51 50 52 57 57 24
400 363 388 59 44 61 52 53 59 24
600 363 372 65 50 49 51 51 48 24
Cordyceps hot water extract (대조구 5)
 
 
200 363 357 351 333 50 51 51 49 48
400 363 394 344 315 49 59 44 41 48
600 363 394 344 300 312 59 55 49 60
Cordyceps ethanol extract 200 363 394 344 315 332 59 55 44 60
400 363 313 319 335 329 319 49 52 72
600 363 313 319 335 329 319 49 52 72
2. 안정성 향상을 위한 혼합 비율 확인
하이드로졸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상기 결과로부터 확인된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과 하이드로졸의 최적의 혼합비율을 확인하였다.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의 에탄올추출물을 질량 기준 60:40, 70:30, 80:20 및 90:10으로 혼합하여 안정성(OSI, time)을 확인하였다. 안정성의 측정은 AOCS 분석법(Cd 12b-92)에 따라 전기전도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총 84 시간 동안 12 시간 간격으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oil stability index (OSI)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4와 같이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을 80:20 (w:w) 및 90:10 (w:w)으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을 90:10 (w:w)으로 혼합하는 조건이 72 시간으로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으며, 비교적 높은 양의 산초 오일을 혼합하였으므로 아토피피부염 완화를 위한 제품 개발 원료로 가장 적합할 것으로 제안될 수 있다.
Samples
전기전도도(μs/cm)/시간 결과
(hours)
0 12 24 36 48 60 72 84
80:20 1) 363 313 325 342 312 319 48 52 72
90:10 361 352 311 346 322 315 49 52 72
95:5 355 364 354 344 322 49 51 42 48
100:0 349 342 361 352 312 59 44 40 48
1) 하이드로졸: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 (w:w)
3.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 혼합제제의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8
- 헥소사미니다아제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을 원료로하여 혼합된 혼합물의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29
-헥소사미니다아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과 같이 혼합제제는 p<0.01의 유의성으로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30
-헥소사미니다아제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을 원료로 하는 혼합 제제는 DNP-IgE와 DNP-BSA로 발현된
Figure PCTKR2022009506-appb-img-000031
-헥소사미니다아제를 4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이 혼합된 제제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제제의 원료로 적합한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3>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 제제를 원료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앞서와 같이 안정성과 염증 치료 효과가 확인된 하이드로졸과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 제제를 원료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하였다.
사용한 base 제제는 표 5와 같이 녹차수, 효모발효여과물, 부틸렌글라이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리세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판테놀,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다이소듐이디티에이, 1,2-헥산다이올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은 베이스 제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하여 균질화하였다.
No. 조성물 함량 (중량부)
1 녹차수 53-55
2 효모발효여과물 27-30
3 부틸렌글라이콜 2
4 나이아신아마이드 1
5 글리세린 2
6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1
7 판테놀 1
8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
9 다이소듐이디티에이 1
10 1,2-헥산다이올 1
11 산초 하이드로졸 4.5-9
12 동충하초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 0.5-1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초 하이드로졸은 산초 열매를 수증기 증류하여 생성된 증기를 응축하여 얻은 수용성 하이드로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건선, 접촉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초 하이드로졸은 염증매개 단백질인 SNAP23, Syntaxin4, VAMP7 및 VAMP8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산초 하이드로졸 80~90 중량%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 10~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이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보습 크림, 영양 에센스, 젤 및 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10.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경구용 투여제, 스프레이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및 외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CT/KR2022/009506 2021-07-15 2022-07-01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32870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13A KR102393324B1 (ko) 2021-07-15 2021-07-15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21-0092813 2021-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7081A1 true WO2023287081A1 (ko) 2023-01-19

Family

ID=8158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9506 WO2023287081A1 (ko) 2021-07-15 2022-07-01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3324B1 (ko)
WO (1) WO2023287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324B1 (ko) * 2021-07-15 2022-05-04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912A (ko) * 2002-11-12 2004-05-20 주식회사 웰스킨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20170091804A (ko) * 2016-01-08 2017-08-10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1658A (ko) * 2019-02-20 2020-08-28 강모제 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393324B1 (ko) * 2021-07-15 2022-05-04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99B1 (ko) 2012-07-31 2014-12-24 주식회사 인섹트 바이오텍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912A (ko) * 2002-11-12 2004-05-20 주식회사 웰스킨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20170091804A (ko) * 2016-01-08 2017-08-10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1658A (ko) * 2019-02-20 2020-08-28 강모제 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393324B1 (ko) * 2021-07-15 2022-05-04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 SI YOUNG, JI YOUNG JUNG, DONG HWAN LEE, JAE-KYUNG YANG: "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ydrosol extracted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branch", BIORESOURCES, vol. 16, no. 3, 1 July 2021 (2021-07-01), pages 5721 - 5732, XP093024628, DOI: 10.15376/biores.16.3.5721-5732 *
HA, SI YOUNG; JUNG, JI YOUNG; LEE, DONG HWAN; CHOE, MIN SEO; YANG, JAE-KUNG: "Effects of Hydrosol Extracted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on Anti-Allergic Inflammatory",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APRIL 22-23, 2021, vol. 2021, no. 1, 23 April 2021 (2021-04-23) - 23 April 2021 (2021-04-23), pages 32, XP00954277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324B1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9247B2 (en) Hydrolysate of crocin
Wu-Yuan et al. Gallotannins inhibit growth, water-insoluble glucan synthesis, and aggregation of mutans streptococci
Dashputre et al.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Abutilon indicum linn on albino mice
WO2009139581A2 (ko) 주목의 형성층 또는 전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Stavri et al. The antimycobacterial components of hops (Humulus lupulus) and their dereplication
WO2023287081A1 (ko) 산초 하이드로졸 및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1152671A9 (ko) 라말린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RU2423139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Actinidia,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102192317B1 (ko) 천연 추출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Alaba et al. 15–Lipoxygenase inhibition of Commelina benghalensis, Tradescantia fluminensis, Tradescantia zebrina
WO2018105926A1 (ko) 유산균 발효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US7132117B2 (en) Bioactive fraction of Eurycoma longifolia
WO2024071736A1 (ko)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의 사균체 또는 spea 단백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101414A1 (ko)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TW202313064A (zh) 新穎異黃酮化合物
de Paula Menezes et al. Antimicrobial, Antivirulence, and Antiparasitic Potential of Capsicum chinense Jacq. Extracts and Their Isolated Compound Capsaicin
KR102159154B1 (ko) 리포좀화된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및 피부 트러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1105657A1 (en)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ic diseases comprising extract of sophorae tonkinensis radix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KR102007728B1 (ko) 조릿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시약 조성물
EP1157693A1 (en) Use of epigallocatechin 3-o-(3-o-methyl) gallate and/or epigallocatechin 3-o-(4-o-methyl) gallate for the treatment of allergy and/or inflammation
WO2016056769A1 (ko) 세룰레닌 또는 세룰레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6096694A (ja) 食物アレルギー予防剤
KR101891408B1 (ko) 영지버섯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169736B1 (ko) 플로바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아토피 조성물
KR20080038811A (ko) 피부세포의 프로테아솜 활성을 촉진시키는 항노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423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