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91413A1 -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91413A1
WO2023191413A1 PCT/KR2023/004016 KR2023004016W WO2023191413A1 WO 2023191413 A1 WO2023191413 A1 WO 2023191413A1 KR 2023004016 W KR2023004016 W KR 2023004016W WO 2023191413 A1 WO2023191413 A1 WO 20231914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icroplastic
suction pipe
suction
cyclone
suc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40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식
심형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WO20231914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914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2/00Cleaning beaches or sand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using a cyclone to collect and collect microplastics mixed with sand, stones, etc. on the coast.
  • microplastics are defined as small plastic particles less than 5 mm. Plastics that have been reduced to 5 mm or less from the time of production (commonly referred to as primary microplastics) are classified as microplastics, as well as plastics that have been reduced to 5 mm or less through artificial or natural wear (commonly referred to as secondary microplastics). It applies.
  • microplastics that enter the sea can come into contact with hazardous chemicals in the sea and become highly concentrated toxic substances. In this way, plankton ingests microplastics that enter the sea and become toxic substances, mistaking them for food, and they move to organisms along the food chain, accumulating toxicity, and are eventually ingested by humans.
  • microplastics have the ability to adsorb, release, and transport toxic substances such a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and have been reported to be ingested by both vertebrates and invertebrate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ioaccumulation is occurring. Very high. Therefore, management of marine plastic waste is urgent.
  • 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 plastics including Styrofoam account for more than 60% of domestic coastal waste in 2018, and wood, which is a natural disaster waste temporarily generated by rainy seasons and floods, Excluding these, plastic marine debris accounts for 85% of the total amount of marine debris.
  • Styrofoam buoys are widely used in aquaculture that takes place along the coast of Korea.
  • Styrofoam buoys are broken into small pieces and large amounts of microplastics ar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oast,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microplastics on the beach.
  • the microplastics that have entered the beach are made up of small particles, so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difficulty carrying out direct collection, so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20273 (Name: Marine microplastic and suspended pollutant mass collection system, Registration date: September 4, 2019)
  •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n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using a cyclone that can effectively collect microplastics on the coast and separate them from natur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utilizing a cyclone that can be easily carried by workers, thereby making it easier to collect and collect microplastics.
  • the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using a cyclone has a cylindrical barrel section with a first suction fan and a first suction fan driving part installed at the top, and the inner center of the barrel portion.
  • a microplastic suction pip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ction fan to suck in microplastics, a suction pipe spac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neck barrel and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ck barrel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neck barrel to suck in external particles, surrounding the suction pip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icroplastic collection tube coupled to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ck barrel.
  • the lower part of the barrel portion of the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utilizing a cycl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where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and a discharge pipe opening at a certain diameter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rrel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 the microplastic collection tube of the cyclone 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is a reticulated microplastic tube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end and receives fluid from the inside of the microplastic collection tube and particles contained in the fluid.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ollection unit and a microplastic collection filter surrounded by the microplastic collection unit and forming a through hole having a size within a certain range.
  • the suction pipe of the cyclone 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outer end, and a second suction fan and a second suction fan driving part are installed near one end coupled to the suction pipe, and a second suction fan driving part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end suction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fan and sucks external particles.
  • the suction pipe of the cyclone 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outer end, and a second suction fan and a second suction fan driving part are installed near one end coupled to the suction pipe, and a second suction fan driving part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 It further includes an end suction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fan and sucks external particle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bendable bendable suction pipe made of a soft material or an elastic material is coupled between the suction pipe and the end suction pipe.
  •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utilizing a cyclone that can effectively collect microplastics on the coast and separate them from nature.
  • Figure 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worker collecting microplastics on the coast using a cyclone-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 cyclone-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and the cyclone formed inside the device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low rate distribution diagram showing the flow speed of each par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shape when the general shape and the conical shape are applied to the barrel part of the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utilizing a cycl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worker collecting microplastics on the coast using a cyclone-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worker (H) moves while carrying the cyclone 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100) on his back, and uses the bent suction part (10) and the end suction pipe (5) to collect mixed waste (W) on the floor. Microplastics are being sucked into the cyclone-us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100).
  • Figure 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 cyclone-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and the cyclone formed inside the device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yclone-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100 includes a cylindrical barrel portion 50 with a first suction fan 65 and a first suction fan driving portion 60 installed at the top, and a barrel portion 50.
  • a microplastic suction pipe (40) is install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tub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uction fan (65) to suck in microplastics, and is spac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barrel unit (50)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barrel unit (5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uction pipe (7)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ction pipe (7) to suck in external particles, and a microplastic collection pipe (70) coupled to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rel portion (10) surrounding the suction pipe (7).
  • the cyclone-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include the basic form as described above, and selects microplastics from mixed waste (W) introduced into the barrel unit 50 through the suction pipe 7. and collect it.
  • a first suction fan (65) and a first suction fan driving unit (60) for sucking in external particles are installed near the top of the barrel unit.
  • a cyclone airflow is formed inside the barrel unit 50, and a suction pipe 7 with a certain diameter is installed so that external particles can be sucked into the barrel unit 50.
  • the relatively heavy particles of the mixed waste (W) that moves in a circular mo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unit (50) due to the cyclone airflow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arrel unit (50)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a gradually decreasing diameter. It moves downward along the slope, passes through the barrel discharge pipe 35 opened at a certain diameter,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yclone 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100 and the barrel unit 50.
  • a stopp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barrel discharge pipe 35 is furthe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arrel discharge pipe 35 or at any point, and is opened and closed as needed, thereby causing a small amount of damage after the mixed waste (W) flows in.
  • Heavy particles that were automatically discharged over time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discharged at a desired time.
  • the light particles contained in the mixed waste (W) and the microplastics contained in the light particles, which move circular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unit 50 due to the cyclonic airflow formed inside the barrel unit 50, are generated by the first suction fan (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65) passes through and flows into the microplastic suction pipe 40 install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barrel portion 50 and is collected in the microplastic collection pipe 70.
  • a mesh-shaped microplastic collection part 80 that receives the fluid from the inside of the microplastic collection tube 70 and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fluid is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microplastic collection tube 70, and the size is within a certain range.
  • the microplastic collection filter 85 in which an excitation through hole is formed, is installed so that it is surrounded by the microplastic collection unit 80.
  • microplastics contained in the mixed waste (W) are collected in the microplastic collection unit 80, and at the same time, the microplastics are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s on the surface of the microplastic collection filter 85. Particulate waste of any siz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plastic collection unit 80 and the cyclone utiliz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100.
  • the microplastic collection unit 80 is easily detachable, when the microplastics collected in the microplastic collection unit 80 reaches a certain level, the microplastic collection unit 80 is immediately replaced with an extra empty space. It is replaced with the microplastic collection unit 80 and the microplastic collection work can continue.
  • an end suction pipe (5) extending outward from the suction pipe (7) is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suction pipe (7).
  • a second suction fan 25 and a second suction fan driving unit 20 are installed near one end of the end suction pipe 5 coupled with the suction pipe 7 to generate an air current for suctioning external mixed waste W. Abilities can be strengthened.
  • the end suction pipe (5) can be more easily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by the worker (H).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move.
  • FIG. 3 the improved shape of the barrel portion 50 to reduce the energy consumed by the cyclone-using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3.
  • Figure 3 is a flow rate distribution diagram showing the flow speed of each par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shape when the general shape and the conical shape are applied to the barrel part of the microplastic collection device utilizing a cycl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a) is an external view and a flow rate distribution diagram inside the device when the shape of the barrel portion 50 is a combination of a cylinder and a cone like a commonly used cyclone device
  • Figure 3(b) shows the shape of the barrel portion 50.
  • This i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ical shap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inside the device.
  • the symbols 1, 2, and 3 included in Figures 3(a) and 3(b) refer to the suction pipe (7) (1), the microplastic collection pipe (70) (2), and the barrel discharge pipe (35) (3), respectively. Point.
  • the barrel portion 50 has a general cyclone shape as shown in Figure 3(a), the microplastic collection rate at 12.5 m/s during 2 outlet suction is 92.78%, and as shown in Figure 3(b), the barrel portion 50 ) is a cone shap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microplastic collection rate is 91.77% at 9.5 m/s during 2 exit suction, and the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suction speed varies by tens of%, while the microplastic collection rate is 91.77% Since there is only a slight difference in the plastic collection rate of only 1%, it can be seen that a significant reduction in energy consumption is realized when the conical barrel portion 50 as shown in FIG. 3(b) is adopted.
  • W mixed waste
  • beach waste that includes particulate natural objects such as stones and sand, as well as microplastics.
  • Beach debris may contain some water.
  • the siz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mixed waste (W) sucked into the collection device through the end suction pipe (5)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5 mm or less.
  • suction capacity can vary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cyclone airflow by the first/second suction fan and the first/second suction fan driving unit, so it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vel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and environment. shall.
  • first suction fan (65)/suction fan driving part (60) installed in the barrel portion (50) and the second suction fan (25)/suction fan driving part (2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end suction pipe (5) are Depending on the example, they can be installed simultaneously or can be implemented by selecting only one of them, so they can be installed selectively as appropriate depending on the suction capacity required in the example.
  • the mixed waste (W) suction capacity is expected to be sufficient only with the first suction fan 65/suction fan driving part 60
  • only the first suction fan 65 and the first suction fan driving part 60 are installed.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d if only the second suction fan 25 and the second suction fan driving part 20 are sufficient, it may be implemented in that form, and the first/second suction fan 65 (25) and the second suction fan 20 may be implemented in that form. In an embodiment in which it is expected that sufficient suction capacity will be achieved only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fan driving parts 60 and 20 are installed,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ll of them.
  • suction part 7 suction pipe
  • first suction fan driving part 25 first suction f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는, 상단에 제1 흡입팬 및 제1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경통부, 경통부의 내부 중심에 제1 흡입팬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 경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경통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경통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흡입관, 흡입관을 둘러싼 경통부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자연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휴대형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 및 그에 따라 미세플라스틱 수집 및 수거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본 발명은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가에서 모래, 돌 등과 섞여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수집 및 수거하기 위한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 MP)은 5㎜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 정의된다. 생산 당시부터 5㎜ 이하로 작게 만들어진 플라스틱(흔히, 1차 미세플라스틱이라 함)은 물론이고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마모되어 5㎜ 이하로 미세화된 플라스틱(흔히, 2차 미세플라스틱이라 함)도 미세플라스틱에 해당한다.
육지에서 버려져 잘게 마모된 플라스틱 폐기물, 치약 또는 화장품 등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알갱이들(beads)이 쉽게 바다로 유입되고 있다. 또한, 바다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바닷속 유해화학물질과 만나 고농축 독성물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닷속에 유입되어 독성물질로 된 미세플라스틱을 플랑크톤이 먹이로 오인하여 섭취하며, 먹이사슬을 따라 개체로 이동하여 독성이 축적되고, 결국 이것을 사람이 섭취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은 해안에 서식하는 동물의 미세플라스틱 섭식 예를 살펴보면, 특히 조류와 거북이 광범위하게 플라스틱을 섭취한다는 것이 기록되었고, 해양 조류 중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종은, 새끼들에게 플라스틱 덩어리를 먹이는 검은발알바트로스(Phoebastria nigripes)처럼 플라스틱 섭식이 확인된 종만 최소 44%에 이른다.
더욱이, 미세플라스틱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등 독성물질을 흡착하고 방출하며 운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 모두 섭취하는 것이 보고되었으며, 생물축적이 일어나고 있을 가능성이 무척 높다. 때문에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
한편, 해안가에는 많은 양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버려지고 있는데, 일반적인 큰 크기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쉽게 수거할 수 있지만, 환경에 더욱 치명적인 미세플라스틱은 눈에 잘 보이지도 않고 모래와 섞여 있어서 수거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국내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사업에서 도출된 결과를 보면 2018년 국내 해안 쓰레기의 60% 이상은 스티로폼(Styrofoam)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이 차지하고 있으며, 장마 및 홍수 등에 의해 한시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 쓰레기인 목재를 제외하면 플라스틱 해양쓰레기가 전체 해양쓰레기 양의 85%를 차지한다.
이는 국내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양식업에서 스티로폼 부표를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양식장이 많은 지역에서는 스티로폼 부표가 잘게 부서져 많은 양의 미세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해안으로 공급되고 있어 해변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변으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작은 알갱이로 되어 있어 정부와 지자체가 직접적인 수거를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해안가와 인접한 영역에 플랑크톤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해안가를 따라 넓게 분포하는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미 제안된 해안가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설비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모래가 많은 해안가 특성상 큰 설비나 장비를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을 해안가에 있는 모래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미세플라스틱 오염도가 심각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해변에 적층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기관/기업을 찾아보기 힘들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0273호 ( 명칭: 해양 미세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포집 시스템, 등록일: 2019년 9월 4일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자연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 수집 및 수거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는, 상단에 제1 흡입팬 및 제1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경통부, 경통부의 내부 중심에 제1 흡입팬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 경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경통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경통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흡입관, 흡입관을 둘러싼 경통부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경통부의 아래쪽 일부분은, 하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고, 경통부의 하단에는 일정 직경으로 개구되는 배출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미세플라스틱포집관 내부로부터의 유체와 유체에 포함된 입자를 받아들이는 망상의 미세플라스틱포집부와, 미세플라스틱포집부에 둘러싸이며 일정 범위 크기를 가진 관통공이 형성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흡입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흡입관에 결합되는 일단 부근에 제2 흡입팬 및 제2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2 흡입팬과 연통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말단흡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흡입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흡입관에 결합되는 일단 부근에 제2 흡입팬 및 제2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2 흡입팬과 연통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말단흡입관을 더 포함하고, 흡입관과 말단흡입관의 사이에 연성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절곡 가능한 절곡흡입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자연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 수집 및 수거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수집하는 작업을 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구조 및 동작중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사이클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경통부에 일반형태와 원뿔형태를 각각 적용한 경우, 형태에 따른 장치 내부의 부위별 유동 속도를 각각 나타낸 유속 분포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수집하는 작업을 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자(H)가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를 등에 맨 채 이동하면서, 절곡흡입부(10) 및 말단흡입관(5)을 이용하여 바닥의 혼합 쓰레기(W)를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 내부로 빨아들이고 있다.
도 1과 같이, 미세플라스틱 수집 활동을 하는 장소는 대부분 해안가일 가능성이 크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구조 및 동작중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사이클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는, 상단에 제1 흡입팬(65) 및 제1 흡입팬구동부(60)가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경통부(50), 경통부(50)의 내부 중심에 제1 흡입팬(65)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40), 경통부(5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경통부(5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경통부(5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흡입관(7), 흡입관(7)을 둘러싼 경통부(10)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는, 상술한 것과 같은 기본 형태를 포함하도록 구현되며, 흡입관(7)을 통하여 경통부(50) 내부로 인입되는 혼합 쓰레기(W) 중 미세플라스틱을 선별하여 수집한다.
외부로부터 혼합 쓰레기(W)를 빨아들여 경통부(50) 내부에 인입되게 하기 위하여, 경통부 상단 부근에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팬(65) 및 제1 흡입팬구동부(60)를 이용하여 경통부(50)의 내부에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하며, 외부의 입자가 경통부(50) 내부로 흡입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을 가진 흡입관(7)을 설치하여, 경통부(50) 내부로 흡입된 혼합 쓰레기(W)가 경통부(50) 내부로 인입된 후에는 사이클론 기류에 의하여 경통부(50) 내면을 따라 원형 운동을 하게 한다.
이후 사이클론 기류에 의하여 경통부(50) 내면을 따라 원형 운동을 하는 혼합 쓰레기(W) 중 비교적 무거운 입자들은 경통부(50)의 아래쪽 일부분에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사경통(30)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일정한 직경으로 개구된 경통배출관(35)을 통과하여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 및 경통부(5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에서, 경통배출관(35)의 양 단부 또는 어느 한 지점에 필요에 따라 경통배출관(35)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더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음으로써, 혼합 쓰레기(W) 유입 후 약간의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배출되던 무거운 입자들을 원하는 시점에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통부(50) 내부에 형성되는 사이클론 기류에 의하여 경통부(50)의 내면을 따라 원형 운동하는 혼합 쓰레기(W)에 포함된 가벼운 입자와 가벼운 입자에 포함되는 미세플라스틱은, 제1 흡입팬(65)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류의 일부가 통과되고 경통부(50)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40)으로 흘러들어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에 모이게 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의 외측 단부에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 내부로부터의 유체와 유체에 포함된 입자를 받아들이는 망상의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를 결합하고, 일정 범위 크기를 가진 관통공이 형성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85)를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에 둘러싸이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를 구성함으로써, 혼합 쓰레기(W)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에 수집되는 동시에,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85) 표면의 관통공보다 더 작은 크기의 입자형 쓰레기는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 및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를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에 수집된 미세플라스틱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는 경우,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를 즉시 여분의 비어있는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로 교체하고 미세플라스틱 수거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통부(50)의 외주면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흡입관(7) 만으로는 해안가 바닥에 있는 외부의 혼합 쓰레기(W)를 빨아들이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관(7)의 외측 단부에 흡입관(7)을 외측으로 연장시키는 말단흡입관(5)을 결합한다.
또한, 흡입관(7)과 결합되는 말단흡입관(5)의 일단 부근에는 제2 흡입팬(25) 및 제2 흡입팬구동부(20)를 설치하여 외부의 혼합 쓰레기(W)를 흡입하기 위한 기류 발생 능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7)과 말단흡입관(5)의 사이에 연성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절곡 가능한 절곡흡입관(10)을 설치함으로써, 말단흡입관(5)을 작업자(H)가 원하는 위치로 보다 수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가 소비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한 경통부(50)의 개선된 형상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경통부에 일반형태와 원뿔형태를 각각 적용한 경우, 형태에 따른 장치 내부의 부위별 유동 속도를 각각 나타낸 유속 분포도이다.
도 3(a)는 경통부(50)의 형상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이클론 장치와 같은 원통과 원뿔 조합형인 경우의 외형도와 장치 내부 유속 분포도이고, 도 3(b)는 경통부(50)의 형상이 본 발명에 따른 원뿔형인 경우의 외형도와 장치 내부 유속 분포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포함된 부호 ①, ②, ③은 각각 흡입관(7)(①),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②), 경통배출관(35)(③)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도 3(a)와 같이 경통부(50)가 일반 사이클론 형상일 경우에는 ② 출구 석션시 12.5 m/s일 때 미세플라스틱 포집률이 92.78%이고, 도 3(b)와 같이 경통부(50)가 원뿔 형상일 경우에는 ② 출구 석션시 9.5 m/s일 때 미세플라스틱 포집률이 91.77%인 것으로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출되었고, 석션 속도 차이에 따른 에너지 소비 정도는 수십%가 차이나는 데 비하여, 미세플라스틱 포집률은 단지 1% 수준에 불과한 미미한 차이가 생길 뿐이므로, 도 3(b)와 같은 원뿔형 경통부(50)를 채용할 경우에 상당한 에너지 소비 절감이 실현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을 이용하여, 미세플라스틱 수집 및 수거 활동을 수행하는 장소는 대부분 해안가이며, 혼합 쓰레기(W)는 주로 5mm 이하의 돌, 모래 등 입자형 자연물들과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해변쓰레기들이다. 해안가의 쓰레기에는 약간의 물이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말단흡입관(5)을 통하여 수집 장치 내부로 빨아들이는 혼합 쓰레기(W)에 포함되는 물체의 크기가 반드시 5mm 이하의 물체이어야만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는 제1/제2 흡입팬 및 제1/제2 흡입팬구동부에 의한 사이클론 기류의 강도를 조절함에 따라 흡입 능력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실시 조건 및 환경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정하여 실시 가능함을 유념하여야 한다.
또한, 경통부(50)에 설치되는 제1 흡입팬(65)/흡입팬구동부(60)과 말단흡입관(5)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흡입팬(25)/흡입팬구동부(20)은 실시예에 따라서, 동시 설치되거나, 어느 한 쪽만을 선택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흡입 능력에 따라 적절히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실시 가능하다.
즉, 제1 흡입팬(65)/흡입팬구동부(60) 만으로 혼합 쓰레기(W) 흡입 능력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되는 실시예에서는 제1 흡입팬(65) 및 제1 흡입팬구동부(60)만 설치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고, 제2 흡입팬(25) 및 제2 흡입팬구동부(20) 만으로도 충분하다면 해당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며, 제1/제2 흡입팬(65)(25) 및 제1/제2 흡입팬구동부(60)(20)가 모두 설치되어야 충분한 흡입 능력이 발휘될 것으로 예상되는 실시예에서는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5 : 흡입부 7 : 흡입관
10 : 절곡흡입부
20 : 제1 흡입팬구동부 25 : 제1 흡입팬
30 : 경사경통 35 : 경통배출관
40 : 미세플라스틱흡입관
50 : 경통부
60 : 제2 흡입팬구동부 65 : 제2 흡입팬
70 : 미세플라스틱포집관 80 : 미세플라스틱포집부
85 :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
100 :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H : 작업자 W : 혼합 쓰레기

Claims (5)

  1. 상단에 제1 흡입팬 및 제1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경통부;
    상기 경통부의 내부 중심에 상기 제1 흡입팬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
    상기 경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경통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경통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을 둘러싼 상기 경통부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의 입자는,
    공기와 함께 상기 경통부에 흡입된 후,
    상기 경통부의 내면을 따라 선회하게 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와 가벼운 입자로 분리되고,
    상기 가벼운 입자는 상기 미세플라스틱흡입관에 흡입되어 상기 미세플라스틱포집관에 모이고,
    상기 무거운 입자는 상기 경통부의 하단에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의 아래쪽 일부분은,
    하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통부의 하단에는 일정 직경으로 개구되는 배출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미세플라스틱포집관 내부로부터의 유체와 상기 유체에 포함된 입자를 받아들이는 망상의 미세플라스틱포집부와,
    상기 미세플라스틱포집부에 둘러싸이며 일정 범위 크기를 가진 관통공이 형성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는 일단 부근에 제2 흡입팬 및 제2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 흡입팬과 연통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말단흡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는 일단 부근에 제2 흡입팬 및 제2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 흡입팬과 연통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말단흡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과 상기 말단흡입관의 사이에 연성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절곡 가능한 절곡흡입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PCT/KR2023/004016 2022-03-29 2023-03-27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WO20231914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84A KR102515504B1 (ko) 2022-03-29 2022-03-29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KR10-2022-0038984 2022-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413A1 true WO2023191413A1 (ko) 2023-10-05

Family

ID=8580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4016 WO2023191413A1 (ko) 2022-03-29 2023-03-27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5504B1 (ko)
WO (1) WO202319141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398A (ja) * 2001-12-11 2003-06-24 Sakai Heavy Ind Ltd 吸引回収装置
JP2013031820A (ja) * 2011-08-03 2013-02-14 Ducol:Kk サイクロン集塵機
US9277844B1 (en) * 2010-10-25 2016-03-08 Luis A. Millan Apparatus for vacuum and sweeping
KR102127958B1 (ko) * 2020-02-04 2020-06-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개인 휴대형 미세플라스틱 수거 장치
KR102304348B1 (ko) * 2020-12-24 2021-09-23 주식회사 스타리온 분급부가 구비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273B1 (ko) 2018-09-19 2019-09-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미세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포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398A (ja) * 2001-12-11 2003-06-24 Sakai Heavy Ind Ltd 吸引回収装置
US9277844B1 (en) * 2010-10-25 2016-03-08 Luis A. Millan Apparatus for vacuum and sweeping
JP2013031820A (ja) * 2011-08-03 2013-02-14 Ducol:Kk サイクロン集塵機
KR102127958B1 (ko) * 2020-02-04 2020-06-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개인 휴대형 미세플라스틱 수거 장치
KR102304348B1 (ko) * 2020-12-24 2021-09-23 주식회사 스타리온 분급부가 구비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504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4006A3 (en) Electronic air cleaner with germicidal lamp
CN207137472U (zh) 一种污水处理用初级过滤装置
CN205024773U (zh) 一种厨余垃圾回收设备及厨房用集成环保水池
WO2018221957A2 (ko)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WO2009107995A2 (ko)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WO2021020669A1 (ko) 산업시설 배출설비의 미세먼지 차단 시스템
WO2023191413A1 (ko)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WO2014189181A1 (ko) 물 정화 장치
CN108812497A (zh) 一种具有净化功能的淡水鱼养殖箱
WO2009145468A2 (ko) 레일궤도용 공기정화장치
CN108454794A (zh) 一种清污船
WO2020251123A1 (ko) 식물 및 흙을 활용한 싸이클론 공기 청정기
CN111786299A (zh) 防尘箱式变电站
WO2016006952A1 (ko) 다양한 규모와 모양의 생물여과조 디자인이 가능한 양식장 사육수의 생물여과장치 및 생물여과시스템
WO2016056710A1 (ko) 듀얼 파쇄식 이물질 제거장치
CN208561937U (zh) 一种家庭过滤污水处理装置
CN207100173U (zh) 一种具有水净化功能的鱼类养殖池
CN109020023A (zh) 一种污水处理用杂物分离设备
WO2020138641A1 (ko)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CN208742803U (zh) 离心式固液分离机
CN209076930U (zh) 一种空气净化旋风分离器
WO2018097366A1 (ko) 어류 포획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포획 유닛
CN220609520U (zh) 一种陈旧的实验动物屏障设施的再利用通风装置
CN219848600U (zh) 一种生物质带下粉尘自动回收器
CN209123518U (zh) 锂电池处理用烟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812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