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38641A1 -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 Google Patents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38641A1
WO2020138641A1 PCT/KR2019/011247 KR2019011247W WO2020138641A1 WO 2020138641 A1 WO2020138641 A1 WO 2020138641A1 KR 2019011247 W KR2019011247 W KR 2019011247W WO 2020138641 A1 WO2020138641 A1 WO 20201386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heavier
dust
ga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12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서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수 filed Critical 서정수
Publication of WO20201386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386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gravit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xious gas collector that is heavier than air that can collect harmful gases and particulate fine suspended matter that are heavier than air present in the air by gravity or gravity.
  • Gaseous substances include radon, carbon dioxide, hydrogen chloride, chlorine, sulfur dioxide, and benzene.
  • Particulate substances are soot or combustion particles generated from automobil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vapors, yellow dust,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generated during cooking in the kitchen or restaurant. And so on. Humans need or need a clean air quality environment to breathe and live a healthy life.
  • gases or substances harmful to human life activities For example, radon or radon gas, organic compounds, incomplete combustion gas, soot, automobile fumes, and the like.
  • Air purifier refers to a device that filters contaminants or fine dust in the air. Recently, as the quality of air decrease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the demand for clean air is increasing, and interest in air cleaners is also increasing. Air purifiers can be classified into mechanical air purifiers, electric air purifiers, and complex air purifiers 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method.
  • Combined air purifier refers to a method combining the dust collecting principle of mechanical and electric air purifiers.
  • the air purifier using a contact electrode charges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in the ionization region, collects the dust particles in the dust collection region, and generates negative ions to discharge with clean purified air. It is mainly used to purify indoor air, which is easily polluted due to poor air distribution.
  • Electrostatic air cleaners can collect dust particles that are charged, so for this purpose, two electrodes are installed in the air cleaner, and by using these electrodes,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to generate electrons to charge dust particles.
  • These electrostatic air cleaners require dust to be collected by charging the du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s the air passes through the body, and the facilities for efficient dust collection are electrically, overall complex, occupy a lot of space and volume, and are optimal every day
  •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maintenance costs for management are considerable, the overall weight is heavy, such as ozone generation or ozone blocking, which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also requires a lot of management costs for maintenance, repair, and replacement of consumables. There were many.
  • radon a natural radiation material generated in soil or buildings (asbestos, aggregate, cement, etc.) is a cause of lung cancer, but most air cleaners have a problem that cannot be removed.
  •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nomical and safer gas collector that is heavier than air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help all of our citizens to stay healthier in a clean and safe air or air environment and to help health management.
  • the molecular weight of air around Korea is about 29.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rmful gas collector that is heavier than air, and provides an inexpensive and economical harmful gas collector that is heavier than air with a collection function capable of removing harmful gases,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
  • the harmful gas collector that is heavier than air is an invention in which gas, molecules, or dust that are heavier than air are collected in a lower container by gravity while forcibly inhaling air or staying in a certain closed space or passing through slowly.
  • an internal container separated from the body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air to be discharged to the exhaust pipe of a part of the body while being accommodated in a container. It is inexpensive, simple to operate, and saves management costs. It collects radioactive gases or harmful gases that are difficult to remove, such as radon, which causes lung cancer, and purifies the air. There is a purpos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harmful dust,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harmful to the human body can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to be separated by gravity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container and clean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thereby fine dust in the air, It is to provide air purification function by collecting and collecting inexpensive particulate matter such as ultra fine dust.
  • the noxious gas collector that is heavier than air is capable of collecting contaminants or pollutants such as gas or particulate matter in the air by gravity or gravity, thereby providing an air purification effec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harmful gas collector that is heavier than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1;
  •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Figure 1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 of Figure 1
  • FIG. 5 is a block diagram of FIG. 1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harmful gas collector 1 that is heavier than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ure 1
  •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Figure 1,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 of Figure 1,
  •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ier gas collector (1) heavier than the air as a whol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 that can be opened by the lid 21, and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
  • lid 21 can be disassembled into a lid 21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or various shapes of the lid 21 and the hinge may be formed.
  • the operation panel 41 is positioned or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31 or the lid 21, and the external power can be operated by being supplied with the electric wire 55.
  • An internal outlet () inside the body (31) through a portion of the body (31) or the lid (21) with a suction portion (11)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 suction pipe (13) extending a certain length so as to inhale surrounding air 17) is extended or constructed.
  • it may be a configuration or structure in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by a fan 15 capable of sucking external air to be supplied into the main body 31.
  • a part of the body 31 or the lid 21 is formed or configured with a separate clean air outlet 27 through which the discharge pipe 27 is discharged.
  • the fan 15 capable of forcing the flow of air is positioned or fixed inside the suction pipe 13 or the discharge pipe 25 or inside the main body 31 to suck air through the suction pipe 13 and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 Alternatively, it may be a configuration or structure that can be moved to the discharge port 27 of the discharge pipe 25.
  • the main body 31 is a certain degree of internal space so that the inhaled air stays or stagnates between the outlets 27 and the speed at which it is inhaled or the air stops moving for a while, so that the air can move as a result.
  • the upper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in the internal residence space 33 of the main body 31, radon, carbon dioxide, benzene, LPG, finer than air Dust, ultrafine dust, etc., the moving speed is stagnant and gradually descends downward due to gravity, so that the collecting container 23 capable of being accommodated or collected can be detachably positioned.
  • the lid 21 is coupled or closed with the main body 31, the main body 31 is sealed, and the inlet 11 and the residence space 33 inside the main body 31 are discharged by the operation of the forced fan 15.
  • the structure or structure is such that only the air is moved in one direction.
  • the molecular weight of air is about 29, the molecular weight of radon heavier than air is 222, benzene is 78, carbon dioxide is 44, chlorine is 35, and LPG, sulfur dioxide, hydrogen chloride and fine dust, ultrafine dust, etc.
  • the collecting container 23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31 contains radon, carbon dioxide, benzene, LPG, fine dust, ultrafine dust, and particulate matter that are heavier than air contained in or mixed with air.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ariety of containers that have an interior space of a certain degree to be filled or accommodated when falling or moving downwards.
  • the suction port 11 is configured or formed so that the suction pipe 13 has an appropriately extended length from the body 31 or the lid 21 to be positioned or fixed near the ground or the floor. Or make it complete.
  • the main body 3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ertain degree of internal space while the top surface is open,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main body 31 includes radon, carbon dioxide, benzene, LPG, fine dust, and ultra-fine particles that are heavier than air.
  • the collecting container 23 in which dust and particulate matter is accommodated may be positioned detachably.
  • the collection container 23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main body 31, so that gas or particles or dust heavier than the air contain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23 is emptied, and it is easy to clean and store.
  • the configuration to be formed or mounted is preferred.
  • a partition wall 35 capable of dividing and collecting sections may be formed or configured inside the collecting container 23.
  • a plurality of storage parts 37 may be formed by a partition wall 35 formed inside the collection container 23.
  • the partition wall 35 can make the vortex of the upper layer in the air and stabilize the air flow on the bottom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escape from the trap 23 of the trapped harmful gas or particulate matter that is heavier than air,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rapping.
  • the main body 31 and the collecting container 23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translucent or opaque material.
  • control panel 45 and the operation switch 43 may be positioned or configured inside or partially of the operation panel 41.
  • activated carbon or charcoal 51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23.
  • the effect of collecting various gaseous molecules or particles such as radon and organic compounds harmful to the human body with activated carbon or charcoal 51 is increas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llection effect between activated carbon or charcoal 51 can be increased.
  • the fan 15 may be programmed to operate at a constant time ON time and a stop OFF time by the control unit 45 when in operation or in use.
  • a lid capable of sea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 a discharge pip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residence space to the outside;
  • a gas or a particulate matter that is heavier than air in a residence space having a slow air flow descends due to gravity, and is a noxious gas collector that is heavier than air in a feature that is collected inside the collection container.
  • the collecting container is a harmful gas collector that is heavier than air having a characteristic feature in which multiple storage units are formed by partition walls.
  • the collection container has a feature that is capable of adsorbing harmful gas collected by receiving charcoal or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중에 존재하는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한 가스와 입자상 미세 부유 물질을 중력의 방식 또는 중력의 힘으로 포집할 수 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본 발명은 공기중에 존재하는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한 가스와 입자상 미세 부유 물질을 중력의 방식 또는 중력의 힘으로 포집할 수 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 및 실외에는 다양한 종류의 가스 상 물질 또는 입자상 물질이 존재한다.
가스 상 물질에는 라돈, 이산화탄소, 염화수소, 염소, 이산화황, 벤젠 등이 있으며 입자상 물질은 자동차 내연기관으로부터 생성되는 매연 또는 연소입자, 주방이나 식당에서 요리 중 발생하는 유증기,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이 있다. 인간은 숨 쉬며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는 청정한 공기질 환경이 요구하거나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가스상 물질 또는 입자상 물질 중에는 인간 생명활동에 유해한 가스이거나 물질이 있다. 예를 들면, 라돈 또는 라돈 가스, 유기화합물, 불완전 연소가스, 그름, 자동차 매연 등이 있다. 이러한 유해한 가스나 초미세먼지에 노출되어 호흡을 하게 되면, 폐암, 기관지 염증, 면역력 저하 등 건강한 생명활동에 지장뿐만아니라 정신적 가족 건강에 대한 염려와 걱정 등 피해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대기 중 초미세먼지의 영향으로부터 해결하고자 공기청정기를 구매하거나 사용하고 있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장치를 말한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공기의 질이 저하됨에 따라 깨끗한 공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 공기청정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공기청정기는 집진 방식에 따라 기계식 공기청정기와, 전기식 공기청정기 및 복합식 공기청정기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식 공기청정기는 여재를 사용하여 집진 또는 탈취를 수행하는 것이며, 전기식 공기청정기는 고전압을 통해 공기 중의 분진을 하전하는 방식이다. 복합식 공기청정기는 기계식 및 전기식 공기청정기의 집진 원리를 결합한 방식을 말한다. 전기식 공기청정기 중 접촉식 전극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경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를 이온화 영역에서 하전시키고, 이 먼지 입자를 집진 영역에서 집진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깨끗이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출하는 것으로, 주로 공기 유통이 잘되지 않아서 쉽게 오염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데 주로 많이 이용된다.
정전기식 공기청정기는 전하를 띈 먼지 입자만이 집진이 가능 하므로, 이를 위하여 공기청정기 내에 두 전극을 설치하고, 이 전극을 이용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서 전자를 만들어 먼지 입자를 하전 시킨다. 이러한 정전기식 공기청정기는 공기가 본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입자를 하전하여 집진해야 하는데, 효율적인 집진을 하기 위한 시설이 전기적, 전체적으로 복잡하고 공간과 체적을 많이 차지하며, 매일 매일 최적의 운전조건과 관리하기 위한 유지 관리비용이 상당하고, 인체에 유해한 오존발생 또는 오존 차단 구성 등 전체적으로 중량이 무겁고 관리와 수리 및 소모품 교환에도 많은 관리 비용이 요구되며, 전체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등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필터등 유지관리에 필요한 부품 등은 공기 청정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전체적 필터 표면의 오염상태를 알 수 없어 필터 교환 타이밍을 알 수 없어 불편하였고, 센서가 위치하는 정보의 오염 표시로 동작하고 동작하는 문제점과 필터나 내부를 눈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깨끗하게 내부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토양이나 건축물(석면, 골재,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자연방사선 물질인 라돈은 폐암 발생의 원인이나 대부분의 공기청정기는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벤젠이나 염소, 이산화황, 유기화합물, LPG 가스 등 인체에 유해한 가스 등도 제거하기 어려운 공기청정기이다.
이러한 공기오염이나 대기오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사정으로 공기청정기를 구입하지도 못할뿐더러 전기세 걱정으로 가난하게 살고 계시거나, 미처 깨끗한 공기환경을 관리할 여유가 없이 삶이 힘들고 어려운 취약계층, 라돈이나 유기화합물이 존재하는 지하방, 3평내외 고시원, 8평내외 실버타운에서 생활하거나 거주하고 있는 유아나 노인들은 밤낮으로 이러한 유해가스를 마시고 생활하다 더 빨리도 늙거나 병이나, 그 누구도 제대로 보살피거나 생명 유지를 위해 도움을 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늙고 병들어 겨울철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허름한 집에 사는 독거노인이나 환자 혼자서 기침이나 가래를 뱉어가며 남몰래 고생하시고 가끔씩 피고름에 고통 받으면서 쓸쓸하게 죽어가야 하는 경제적으로 어렵고 건강이 불편한 현실에 건강에 유해한 가스를 제거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좁은 공간에서 요리와 식사 그리고 취침을 함께 하지만, 환기를 자주 못하거나 할 수 없는 열악한 주거공간에서 자라나는 우리 후손, 미혼모, 독거노인 등의 생활공간의 공기질 개선으로 건강하게 지내면서 활기차고 행복과 건강한 생활에 도움도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경제적이면서도 우리국민 모두가 보다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나 대기환경에서 보다 건강하게 지내시고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이다.
우리나라 주변 공기 분자량은 약 29 내외이다. 본 발명의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는 공기보다 무거운 인체에 유해한 가스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포집 기능과 함께 값싸고 경제적인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공기보다 무거운 라돈 가스나 가정이나 주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누출된 LPG가스, 벤젠, 이산화탄소, 염소, 이산화황 등을 제거하기 위해 팬으로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일정 시간 체류하게 하여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나 입자들을 수용하는 내부 용기에 자연적으로 담아지게 하여 포집할 수 있도록 한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는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일정 밀폐공간에서 체류하거나 천천히 경유하게 하면서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나 분자 또는 먼지들이 중력에 의해 아래쪽 용기에서 포집되도록 한 발명이다.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일정 체적이나 공간을 갖는 본체 내부로 강제 이동하게 하는 팬과 본체 내부에는 본체와 분리가 되는 내부 용기가 수용되게 하여 내부 용기 위쪽으로 지나가는 공기 흐름으로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나 입자는 내부 용기에 수용되게 하면서 공기는 본체 일부분의 배기관으로 배출되게 하는 구성으로 저렴하면서도 조작이 간단하고 관리비용을 절감하면서 폐암을 일으키는 라돈 등 제거가 어려운 방사선 가스나 유해 가스를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황사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도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중력에 의해 분리하여 내부용기에 수용하고 깨끗해진 공기는 배출구로 배출하게 할 수 있어서 공기중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 입자상 물지를 저렴하게 분리시킬 수키고 포집하여 공기정화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는 중력방식 또는 중력의 힘으로 공기중의 가스나 입자상 물질 등 오염기체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게 되어 공기정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값싼 건축자재로부터 폐암을 유발하는 물질인 라돈으로부터 위험한 환경인 원룸, 고시원, 지하방 및 지하에서 자연적으로 라돈에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거나 제거하여 영세한 국민의 건강을 지켜줄 수 있다.
협소한 주거 공간에서 화장실 다녀오시고, 요리하고 식사하고 주무시는 몸 불편하신 독거노인들이 환기를 자주 하지 못해서 주변 공기가 몸에 유해하는 LPG가스, 이산화탄소, 악취 가스 등으로부터 유해한 가스를 포집하여 외롭고 몸이 불편하신 독거노인분들에게 건강과 만수무강에 조금이나마 도움 드릴 수 있는 발명으로 효도를 실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기보다 무거운 입자나 라돈, 아르곤, 염화수소, 염소, 이산화황, 포름알데히드, 유기화합물 등을 포집하여 제거 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가스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비싼 공기청정기가 필요 하는데, 경제적으로 취약한 가정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국민모두에게 저렴하고 값싼 공기정화 효과로 자연방사선 물질과 대기오염으로부터 건강을 지켜드리고 생명 보호와 건강을 지켜드릴 수 있는 산업적으로나 보건 위생적 그리고 인간적으로도 발명가로도 건강을 지켜드리고 보살펴드리는 효도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국 방방곡곡 홀로 지내시는 독거노인, 열악한 환경에서 자라는 후손님과 국민 모두에게 안전한 공기,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여 대한민국 국민을 안전하게 지켜드리며 행복한 나라발전에 기여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측절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도1의 측절단면도
도 4는 도1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구성도
도 6은 중력 작용을 위한 팬(15)의 일 실시 동작 그래프
1 :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11 : 흡입부
13 : 흡입관
15 : 팬
21 : 뚜껑
23 : 포집용기
25 : 배출관
31 : 본체
33 : 체류 공간
35 :격벽
37 : 저장부
41 : 조작판넬
51 : 숯 또는 활성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밥솥 및 이의 제어방법을 첨부되는 예시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에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될 수는 없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 용어이므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1)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측절단면도이며,
도 3은 또 다른 도1의 측절단면도이고,
도 4는 도1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인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1)는 전체적으로 상면이 뚜껑(21)으로 개방될 수 있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개방된 상면
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뚜껑(21)으로 분해되거나 뚜껑(21)과 힌지결합 등 그 외형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나 뚜껑(21) 외주면 일부분에는 조작판넬(41)이 위치 또는 형성되며 외부전원은 전선(55)으로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와 일정길이 연장되는 흡입관(13)으로 상기 본체(31)나 뚜껑(21)의 일부분 관통하여 본체(31) 내부에 내부 배출구(17)가 연장 또는 구성된다. 이때,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팬(15)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31)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구성이나 구조이면 된다.
그리고 본체(31)나 뚜껑(21) 일부분에는 별도 깨끗한 공기는 배출관(27)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구(27)가 형성되거나 구성된다.
공기의 흐름을 강제할 수 있는 팬(15)는 흡입관(13)이나 배출관(25) 내부 또는 본체(31) 내부에 위치 또는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관(13)으로 흡입되어 본체(31) 내부를 경유하거나 지나 배출관(25)의 배출구(27)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이나 구조이면 된다.
상기 본체(31)는 흡입된 공기가 배출구(27) 사이에서 체류 또는 정체 하면서 흡입되는 속도 보다 완만한 속도 또는 공기가 이동을 잠시 멈춰지게 하여 결과적으로 공기가 이동 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인 공기가 이동하는 체류 공간(33)을 가지도록 하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31)의 내부 체류 공간(33)에서는 공기보다 무거운 라돈, 이산화탄소, 벤젠, 엘피지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이 이동속도가 정체되어 중력에 의해 서서히 밑으로 내려가서 수용되거나 포집하게 할 수 있는 포집용기(23)가 탈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당연하게 뚜껑(21)을 본체(31)와 결합하거나 닫으면 본체(31)는 밀폐되어 강제 팬(15)의 동작에 의해 흡입부(11)와 본체(31) 내부의 체류 공간(33) 그리고 배출구(27)로만 공기가 일방향 이동되게 구성 또는 구조이다.
보통 공기의 분자량은 약 29정도이며, 공기보다 무거운 라돈 분자량은 222, 벤젠은 78, 이산화탄소는 44, 염소는 35이고, 계속해서 공기보다 무거운 LPG, 이산화황, 염화수소 그리고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 공기에 비해 무거운 기체나 가스, 입자상 물질 등 무색, 무미, 무취라서 관리가 어려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나 분자등을 포집하여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31) 내부에 수용되는 포집용기(23)에는 공기중에 포함되거나 혼합된 공기보다 무거운 공기보다 무거운 라돈, 이산화탄소, 벤젠, LPG,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입자상 물질들이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떨어지거나 이동할 때 채워지거나 수용되도록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다양한 용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보다 무거운 오염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구(11)는 지면이나 바닥에 가까이 위치 또는 고정되게 흡입관(13)을 본체(31) 또는 뚜껑(21)으로부터 알맞게 연장길이를 갖도록 구성 또는 형성이나 완성되게 한다.
상기 본체(31)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31)의 내부 공간에는 공기보다 무거운 라돈, 이산화탄소, 벤젠, LPG,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입자상 물질이 수용되는 포집용기(23)가 탈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포집용기(23)가 상기 본체(31)의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이며, 포집용기(23)에 수용된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나 입자나 먼지들을 비우고 세척과 보관 등이 용이하도록 형성 또는 장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용기(23) 내부에는 구간을 나누어 포집할 수 있는 격벽(35)이 형성 또는 구성되게 할 수 있다. 포집용기(23) 내부에 형성된 격벽(35)으로 여러개 저장부(37)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격벽(35)은 공기중 상층부의 와류를 만들고 바닥면의 공기흐름을 안정화 시켜 공기보다 무거운 포집된 유해 가스나 입자상 물질들의 포집용기(23)로부터 탈출을 방지하여 포집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격벽(35)의 높이에 따라 내부배출구(17)로부터 가까운 쪽에서부터 무게가 무거운 가스나 입자, 먼지들이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가스나 먼지는 더 멀리 이동하여 쌓이게 되는 중력 효과가 있으므로 구간에 쌓인 먼지나 가스를 보고 내부 포집 용기(23)를 깨끗하게 비우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31)와 포집용기(23)는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반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작동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면 외부전원(65) 또는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45)에서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조작스위치(43) 그리고 공기를 강제 순환 시킬 수 있는 팬(15)으로 구성 및 작동된다.
상기 조작판넬(41) 내부 또는 일부분에는 제어부(45)와 조작스위치(43)가 위치 또는 구성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집용기(23) 내부에는 활성탄이나 숯(51)이 수용되게 할 수도 있다.
활성탄이나 숯(51)으로 인체에 유해한 라돈, 유기화합물 등 여러 기체상 분자나 입자를 포집하는 효과가 증대되고 활성탄이나 숯(51)간 사이사이에 포집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6은 중력 작용을 위한 팬(15)의 일실시 동작 그래프 이다.
상기 팬(15)은 작동중이거나 사용 중일 때 제어부(45)에 의해 일정시간 ON 타임 그리고 정지인 OFF타임으로 작동되게 프로그램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주변 환경이 공기보다 분자량이 그리 차이나지 않는 가스나 초미세먼지들이 정지된 공기중에서 중력의 힘이 증가하여 밑으로 하강하는 순간이나 시간을 확보하여 포집이나 집진 등 공기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본체 상부를 밀폐할 수 있는 뚜껑과;
외부의 공기를 팬과 흡입관으로 흡입하여 본체 내부로 공급하고;
본체 내부에서는 일정 공간 또는 구간이 있는 체류공간이 형성되고;
체류 공간을 지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수용되는 포집용기와;
상기 포집용기 상부에서 체류공간을 갖는 구조로;
공기 흐름이 느린 체류공간에서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나 입자상 물질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서 상기 포집용기 내부에 포집되는 특징의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이다.라고 정리 할 수 있다.
상기 포집용기는 격벽으로 여러개의 저장부가 형성된 특징의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이다.
또한, 상기 포집 용기에는 숯이나 활성탄이 수용되어 포집된 유해한 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특징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여러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본체 상부를 밀폐할 수 있는 뚜껑과;
    외부의 공기를 팬과 흡입관으로 흡입하여 본체 내부로 공급하고;
    본체 내부에서는 일정 공간 또는 구간이 있는 체류공간이 형성되고;
    체류 공간을 지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수용되는 포집용기와;
    상기 포집용기 상부에서 체류공간을 갖는 구조로;
    공기 흐름이 느린 체류공간에서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나 입자상 물질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서 상기 포집용기 내부에 포집되는 특징의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PCT/KR2019/011247 2018-12-23 2019-09-02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WO202013864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019A KR20200078269A (ko) 2018-12-23 2018-12-23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KR10-2018-0168019 2018-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8641A1 true WO2020138641A1 (ko) 2020-07-02

Family

ID=7112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1247 WO2020138641A1 (ko) 2018-12-23 2019-09-02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78269A (ko)
WO (1) WO2020138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210B1 (ko) * 2021-08-31 2023-10-04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공기 중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344B1 (ko) * 2009-06-30 2009-11-26 (주)지아이엘 배출가스 내 유해가스와 미세분진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64582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케이에프이앤이 배출가스 중 유해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챔버를 구비하는 유해물질 처리 장치
KR101636372B1 (ko) * 2016-04-04 2016-07-05 (주)유나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1788473B1 (ko) * 2016-11-22 2017-11-15 황춘상 유해가스 포집장치
KR20180127579A (ko) * 2017-05-18 2018-11-29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배출 세정액 내의 유해가스 제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344B1 (ko) * 2009-06-30 2009-11-26 (주)지아이엘 배출가스 내 유해가스와 미세분진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64582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케이에프이앤이 배출가스 중 유해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챔버를 구비하는 유해물질 처리 장치
KR101636372B1 (ko) * 2016-04-04 2016-07-05 (주)유나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1788473B1 (ko) * 2016-11-22 2017-11-15 황춘상 유해가스 포집장치
KR20180127579A (ko) * 2017-05-18 2018-11-29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배출 세정액 내의 유해가스 제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269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10664U (zh) 新风空气净化系统
WO2019004629A1 (ko) 공기살균 및 미세먼지제거 기능을 겸비한 공기정화장치
TW200405820A (en) Air decontamination devices
CN101069752A (zh) 空气净化装置
WO2018032735A1 (zh) 具有离子净化功能的中央新风系统
CN113167491A (zh) 室内和室外纳米空气净化器以及包括所述净化器的系统
CN107975885A (zh) 一种医用病房空气消毒净化装置
WO2020138641A1 (ko)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KR102076711B1 (ko) 지주 시설물 장착형 대기오염 정화장치
WO2022065829A1 (ko) 실외 공기정화기
WO2013163958A1 (zh) 电子网空气过滤装置
KR20200078270A (ko) 저울이 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가스 포집기
Wedum et al. Laboratory design for study of infectious disease
CN213409766U (zh) 一种具有净化系统的实验室通风柜
CN106288060B (zh) 一种新风净化装置
WO2018062763A1 (ko) 실내 유입공기 정화장치
CN107676885A (zh) 一种水洗式空气净化器
CN107289544A (zh) 便携型台式室内空气净化、消毒器
KR102100583B1 (ko) 사람이 호흡할 수 있는 공기속에 포함된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의 평균 분자량 보다 큰 물질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
KR20120007604A (ko) 흡음관이 내장된 직접 급기 방식의 벽걸이형 복합 기능 환기 장치
CN211625533U (zh) 一种民用便携式空气净化机
CN105890044A (zh) 一种空气净化消毒器的消毒净化过滤通道结构
CN215723936U (zh) 一种吸顶式静电型空气消毒装置
KR200371836Y1 (ko) 필터방식 원통형 공기 청정기
CN218339846U (zh) 一种新型多功能实验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058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1/10/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058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