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504B1 -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504B1
KR102515504B1 KR1020220038984A KR20220038984A KR102515504B1 KR 102515504 B1 KR102515504 B1 KR 102515504B1 KR 1020220038984 A KR1020220038984 A KR 1020220038984A KR 20220038984 A KR20220038984 A KR 20220038984A KR 102515504 B1 KR102515504 B1 KR 10251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lastic
suction
suction fan
barr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심형원
조성필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3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504B1/ko
Priority to PCT/KR2023/004016 priority patent/WO202319141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2/00Cleaning beaches or sandboxes
    • E01H12/002Treatment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2/00Cleaning beaches or sand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5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7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는, 상단에 제1 흡입팬 및 제1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경통부, 경통부의 내부 중심에 제1 흡입팬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 경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경통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경통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흡입관, 흡입관을 둘러싼 경통부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자연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휴대형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 및 그에 따라 미세플라스틱 수집 및 수거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A MICROPLASTIC COLLECTION APPARATUS UTILIZING CYCLONE}
본 발명은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가에서 모래, 돌 등과 섞여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수집 및 수거하기 위한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 MP)은 5㎜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 정의된다. 생산 당시부터 5㎜ 이하로 작게 만들어진 플라스틱(흔히, 1차 미세플라스틱이라 함)은 물론이고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마모되어 5㎜ 이하로 미세화된 플라스틱(흔히, 2차 미세플라스틱이라 함)도 미세플라스틱에 해당한다.
육지에서 버려져 잘게 마모된 플라스틱 폐기물, 치약 또는 화장품 등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알갱이들(beads)이 쉽게 바다로 유입되고 있다. 또한, 바다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바닷속 유해화학물질과 만나 고농축 독성물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닷속에 유입되어 독성물질로 된 미세플라스틱을 플랑크톤이 먹이로 오인하여 섭취하며, 먹이사슬을 따라 개체로 이동하여 독성이 축적되고, 결국 이것을 사람이 섭취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은 해안에 서식하는 동물의 미세플라스틱 섭식 예를 살펴보면, 특히 조류와 거북이 광범위하게 플라스틱을 섭취한다는 것이 기록되었고, 해양 조류 중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종은, 새끼들에게 플라스틱 덩어리를 먹이는 검은발알바트로스(Phoebastria nigripes)처럼 플라스틱 섭식이 확인된 종만 최소 44%에 이른다.
더욱이, 미세플라스틱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등 독성물질을 흡착하고 방출하며 운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 모두 섭취하는 것이 보고되었으며, 생물축적이 일어나고 있을 가능성이 무척 높다. 때문에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
한편, 해안가에는 많은 양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버려지고 있는데, 일반적인 큰 크기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쉽게 수거할 수 있지만, 환경에 더욱 치명적인 미세플라스틱은 눈에 잘 보이지도 않고 모래와 섞여 있어서 수거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국내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사업에서 도출된 결과를 보면 2018년 국내 해안 쓰레기의 60% 이상은 스티로폼(Styrofoam)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이 차지하고 있으며, 장마 및 홍수 등에 의해 한시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 쓰레기인 목재를 제외하면 플라스틱 해양쓰레기가 전체 해양쓰레기 양의 85%를 차지한다.
이는 국내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양식업에서 스티로폼 부표를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양식장이 많은 지역에서는 스티로폼 부표가 잘게 부서져 많은 양의 미세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해안으로 공급되고 있어 해변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변으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작은 알갱이로 되어 있어 정부와 지자체가 직접적인 수거를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해안가와 인접한 영역에 플랑크톤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해안가를 따라 넓게 분포하는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미 제안된 해안가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설비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모래가 많은 해안가 특성상 큰 설비나 장비를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을 해안가에 있는 모래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미세플라스틱 오염도가 심각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해변에 적층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기관/기업을 찾아보기 힘들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0273호 ( 명칭: 해양 미세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포집 시스템, 등록일: 2019년 9월 4일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자연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 수집 및 수거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는, 상단에 제1 흡입팬 및 제1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경통부, 경통부의 내부 중심에 제1 흡입팬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 경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경통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경통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흡입관, 흡입관을 둘러싼 경통부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경통부의 아래쪽 일부분은, 하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고, 경통부의 하단에는 일정 직경으로 개구되는 배출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미세플라스틱포집관 내부로부터의 유체와 유체에 포함된 입자를 받아들이는 망상의 미세플라스틱포집부와, 미세플라스틱포집부에 둘러싸이며 일정 범위 크기를 가진 관통공이 형성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흡입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흡입관에 결합되는 일단 부근에 제2 흡입팬 및 제2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2 흡입팬과 연통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말단흡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흡입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흡입관에 결합되는 일단 부근에 제2 흡입팬 및 제2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2 흡입팬과 연통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말단흡입관을 더 포함하고, 흡입관과 말단흡입관의 사이에 연성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절곡 가능한 절곡흡입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자연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 수집 및 수거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수집하는 작업을 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구조 및 동작중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사이클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경통부에 일반형태와 원뿔형태를 각각 적용한 경우, 형태에 따흔 장치 내부의 부위별 유동 속도를 각각 나타낸 유속 분포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해안가의 미세플라스틱을 수집하는 작업을 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자(H)가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를 등에 맨 채 이동하면서, 절곡흡입부(10) 및 말단흡입관(5)을 이용하여 바닥의 혼합 쓰레기(W)를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 내부로 빨아들이고 있다.
도 1과 같이, 미세플라스틱 수집 활동을 하는 장소는 대부분 해안가일 가능성이 크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구조 및 동작중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사이클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는, 상단에 제1 흡입팬(65) 및 제1 흡입팬구동부(60)가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경통부(50), 경통부(50)의 내부 중심에 제1 흡입팬(65)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40), 경통부(5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경통부(5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경통부(5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흡입관(7), 흡입관(7)을 둘러싼 경통부(10)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는, 상술한 것과 같은 기본 형태를 포함하도록 구현되며, 흡입관(7)을 통하여 경통부(50) 내부로 인입되는 혼합 쓰레기(W) 중 미세플라스틱을 선별하여 수집한다.
외부로부터 혼합 쓰레기(W)를 빨아들여 경통부(50) 내부에 인입되게 하기 위하여, 경통부 상단 부근에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팬(65) 및 제1 흡입팬구동부(60)를 이용하여 경통부(50)의 내부에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하며, 외부의 입자가 경통부(50) 내부로 흡입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을 가진 흡입관(7)을 설치하여, 경통부(50) 내부로 흡입된 혼합 쓰레기(W)가 경통부(50) 내부로 인입된 후에는 사이클론 기류에 의하여 경통부(50) 내면을 따라 원형 운동을 하게 한다.
이후 사이클론 기류에 의하여 경통부(50) 내면을 따라 원형 운동을 하는 혼합 쓰레기(W) 중 비교적 무거운 입자들은 경통부(50)의 아래쪽 일부분에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사경통(30)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일정한 직경으로 개구된 경통배출관(35)을 통과하여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 및 경통부(5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에서, 경통배출관(35)의 양 단부 또는 어느 한 지점에 필요에 따라 경통배출관(35)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더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음으로써, 혼합 쓰레기(W) 유입 후 약간의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배출되던 무거운 입자들을 원하는 시점에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통부(50) 내부에 형성되는 사이클론 기류에 의하여 경통부(50)의 내면을 따라 원형 운동하는 혼합 쓰레기(W)에 포함된 가벼운 입자와 가벼운 입자에 포함되는 미세플라스틱은, 제1 흡입팬(65)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류의 일부가 통과되고 경통부(50)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40)으로 흘러들어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에 모이게 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의 외측 단부에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 내부로부터의 유체와 유체에 포함된 입자를 받아들이는 망상의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를 결합하고, 일정 범위 크기를 가진 관통공이 형성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85)를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에 둘러싸이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를 구성함으로써, 혼합 쓰레기(W)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에 수집되는 동시에,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85) 표면의 관통공보다 더 작은 크기의 입자형 쓰레기는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 및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를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에 수집된 미세플라스틱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는 경우,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를 즉시 여분의 비어있는 미세플라스틱포집부(80)로 교체하고 미세플라스틱 수거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통부(50)의 외주면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흡입관(7) 만으로는 해안가 바닥에 있는 외부의 혼합 쓰레기(W)를 빨아들이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관(7)의 외측 단부에 흡입관(7)을 외측으로 연장시키는 말단흡입관(5)을 결합한다.
또한, 흡입관(7)과 결합되는 말단흡입관(5)의 일단 부근에는 제2 흡입팬(25) 및 제2 흡입팬구동부(20)를 설치하여 외부의 혼합 쓰레기(W)를 흡입하기 위한 기류 발생 능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7)과 말단흡입관(5)의 사이에 연성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절곡 가능한 절곡흡입관(10)을 설치함으로써, 말단흡입관(5)을 작업자(H)가 원하는 위치로 보다 수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가 소비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한 경통부(50)의 개선된 형상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의 경통부에 일반형태와 원뿔형태를 각각 적용한 경우, 형태에 따른 장치 내부의 부위별 유동 속도를 각각 나타낸 유속 분포도이다.
도 3(a)는 경통부(50)의 형상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이클론 장치와 같은 원통과 원뿔 조합형인 경우의 외형도와 장치 내부 유속 분포도이고, 도 3(b)는 경통부(50)의 형상이 본 발명에 따른 원뿔형인 경우의 외형도와 장치 내부 유속 분포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포함된 부호 ①, ②, ③은 각각 흡입관(7)(①), 미세플라스틱포집관(70)(②), 경통배출관(35)(③)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도 3(a)와 같이 경통부(50)가 일반 사이클론 형상일 경우에는 ② 출구 석션시 12.5 m/s일 때 미세플라스틱 포집률이 92.78%이고, 도 3(b)와 같이 경통부(50)가 원뿔 형상일 경우에는 ② 출구 석션시 9.5 m/s일 때 미세플라스틱 포집률이 91.77%인 것으로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출되었고, 석션 속도 차이에 따른 에너지 소비 정도는 수십%가 차이나는 데 비하여, 미세플라스틱 포집률은 단지 1% 수준에 불과한 미미한 차이가 생길 뿐이므로, 도 3(b)와 같은 원뿔형 경통부(50)를 채용할 경우에 상당한 에너지 소비 절감이 실현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100)을 이용하여, 미세플라스틱 수집 및 수거 활동을 수행하는 장소는 대부분 해안가이며, 혼합 쓰레기(W)는 주로 5mm 이하의 돌, 모래 등 입자형 자연물들과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해변쓰레기들이다. 해안가의 쓰레기에는 약간의 물이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말단흡입관(5)을 통하여 수집 장치 내부로 빨아들이는 혼합 쓰레기(W)에 포함되는 물체의 크기가 반드시 5mm 이하의 물체이어야만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는 제1/제2 흡입팬 및 제1/제2 흡입팬구동부에 의한 사이클론 기류의 강도를 조절함에 따라 흡입 능력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실시 조건 및 환경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정하여 실시 가능함을 유념하여야 한다.
또한, 경통부(50)에 설치되는 제1 흡입팬(65)/흡입팬구동부(60)과 말단흡입관(5)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흡입팬(25)/흡입팬구동부(20)은 실시예에 따라서, 동시 설치되거나, 어느 한 쪽만을 선택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흡입 능력에 따라 적절히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실시 가능하다.
즉, 제1 흡입팬(65)/흡입팬구동부(60) 만으로 혼합 쓰레기(W) 흡입 능력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되는 실시예에서는 제1 흡입팬(65) 및 제1 흡입팬구동부(60)만 설치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고, 제2 흡입팬(25) 및 제2 흡입팬구동부(20) 만으로도 충분하다면 해당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며, 제1/제2 흡입팬(65)(25) 및 제1/제2 흡입팬구동부(60)(20)가 모두 설치되어야 충분한 흡입 능력이 발휘될 것으로 예상되는 실시예에서는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5 : 흡입부
7 : 흡입관
10 : 절곡흡입부
20 : 제1 흡입팬구동부
25 : 제1 흡입팬
30 : 경사경통
35 : 경통배출관
40 : 미세플라스틱흡입관
50 : 경통부
60 : 제2 흡입팬구동부
65 : 제2 흡입팬
70 : 미세플라스틱포집관
80 : 미세플라스틱포집부
85 :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
100 :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H : 작업자
W : 혼합 쓰레기

Claims (5)

  1. 상단에 제1 흡입팬 및 제1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경통부;
    상기 경통부의 내부 중심에 상기 제1 흡입팬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는 미세플라스틱흡입관;
    상기 경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경통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경통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을 둘러싼 상기 경통부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의 입자는,
    공기와 함께 상기 경통부에 흡입된 후,
    상기 경통부의 내면을 따라 선회하게 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와 가벼운 입자로 분리되고,
    상기 가벼운 입자는 상기 미세플라스틱흡입관에 흡입되어 상기 미세플라스틱포집관에 모이고,
    상기 무거운 입자는 상기 경통부의 하단에 모이며,
    상기 경통부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높이 전체에 걸쳐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통부의 하단에는 일정 직경으로 개구되는 배출관이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의 양쪽 단부 또는 어느 한 지점에 상기 배출관을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는 마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플라스틱포집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미세플라스틱포집관 내부로부터의 유체와 상기 유체에 포함된 입자를 받아들이는 망상의 미세플라스틱포집부와,
    상기 미세플라스틱포집부에 둘러싸이며 일정 범위 크기를 가진 관통공이 형성되는 미세플라스틱포집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는 일단 부근에 제2 흡입팬 및 제2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 흡입팬과 연통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말단흡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는 일단 부근에 제2 흡입팬 및 제2 흡입팬구동부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 흡입팬과 연통되어 외부의 입자를 흡입하는 말단흡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과 상기 말단흡입관의 사이에 연성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절곡 가능한 절곡흡입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KR1020220038984A 2022-03-29 2022-03-29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KR10251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84A KR102515504B1 (ko) 2022-03-29 2022-03-29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PCT/KR2023/004016 WO2023191413A1 (ko) 2022-03-29 2023-03-27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84A KR102515504B1 (ko) 2022-03-29 2022-03-29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504B1 true KR102515504B1 (ko) 2023-03-29

Family

ID=8580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984A KR102515504B1 (ko) 2022-03-29 2022-03-29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5504B1 (ko)
WO (1) WO202319141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398A (ja) * 2001-12-11 2003-06-24 Sakai Heavy Ind Ltd 吸引回収装置
JP2013031820A (ja) * 2011-08-03 2013-02-14 Ducol:Kk サイクロン集塵機
KR102020273B1 (ko) 2018-09-19 2019-09-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미세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포집 시스템
KR102127958B1 (ko) * 2020-02-04 2020-06-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개인 휴대형 미세플라스틱 수거 장치
KR102304348B1 (ko) * 2020-12-24 2021-09-23 주식회사 스타리온 분급부가 구비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7844B1 (en) * 2010-10-25 2016-03-08 Luis A. Millan Apparatus for vacuum and sweep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398A (ja) * 2001-12-11 2003-06-24 Sakai Heavy Ind Ltd 吸引回収装置
JP2013031820A (ja) * 2011-08-03 2013-02-14 Ducol:Kk サイクロン集塵機
KR102020273B1 (ko) 2018-09-19 2019-09-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미세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포집 시스템
KR102127958B1 (ko) * 2020-02-04 2020-06-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개인 휴대형 미세플라스틱 수거 장치
KR102304348B1 (ko) * 2020-12-24 2021-09-23 주식회사 스타리온 분급부가 구비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413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agaw Microplastic pollution in African countries’ water systems: a review on findings, applied methods, characteristics, impacts, and managements
Prata et al. Environmental status of (micro) plastics contamination in Portugal
Schessl et al. Microbeads in Sediment, Dreissenid Mussels, and Anurans in the Littoral Zone of the Upper St. Lawrence River, New York.
CN203886662U (zh) 一种城市生活垃圾分拣装置
Fiore et al. Tackling marine microplastics pollution: an overview of existing solutions
US8535543B2 (en) Separa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animal manure
KR102148787B1 (ko) 미세플라스틱 선별 수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안가 청소차
Atugoda et al. Fate and behavior of microplastics in freshwater systems
KR102515504B1 (ko)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CN117355376A (zh) 絮凝旋流装置、使用该絮凝旋流装置的海洋塑料去除系统、设置有该系统的船及船的操作方法
JP3342851B2 (ja) 混合廃棄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CN101768946A (zh) 蓝藻收集打捞装置
CN207859253U (zh) 一种废旧塑料处理装置
KR20160060012A (ko)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 각종 쓰레기들 및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CN1520931A (zh) 小型垃圾及有机物的分类收集方法及其装置
ES2197101T3 (es) Sistema para el tratamiento de residuos.
CN212577125U (zh) 一种厨余垃圾处理机器人
CN209109358U (zh) 具有省力、除尘功效的碳酸钙破碎设备
CN207253817U (zh) 紊流式油水分离机的出水结构
CN207713520U (zh) 一体化泥水筛分旋流分离设备
CN201339180Y (zh) 蓝藻收集打捞装置
KR101126007B1 (ko) 쓰레기로부터 작은 폐기물과 유기물질의 분리
CN108421293B (zh) 一种斜筛固液分离器及其使用方法
KR101994783B1 (ko) 고효율 비점오염 저감장치
CN206284127U (zh) 一种单向止逆水产饲料喂料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