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82812A1 -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82812A1
WO2023182812A1 PCT/KR2023/003811 KR2023003811W WO2023182812A1 WO 2023182812 A1 WO2023182812 A1 WO 2023182812A1 KR 2023003811 W KR2023003811 W KR 2023003811W WO 2023182812 A1 WO2023182812 A1 WO 20231828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otein
insulin
present
pept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38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윤
조현근
최정란
정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1128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41442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엔
Publication of WO20231828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828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that increases the absorption rate of the target protein in the body.
  • Proteins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vivo, have excellent target specificity, and are used as treatments for major diseases such as cancer and diabetes with excellent therapeutic effects and low side effects.
  • therapeutic agents are administered through various routes such as injection, oral administration, inhalation, and mucosal delivery.
  • protein therapeutic agents which are polymer compounds, are mainly delivered through invasive methods such as injection, which limits their in vivo administration. there is.
  • invasive methods such as injection, which limits their in vivo administration. there is.
  • Epithelial tissue is the tissue that covers the body surface of animals, the inner surface of body cavities and tubular organs, or the tissue that forms glands such as endocrine and exocrine glands. Epithelial tissue performs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body from invasion by foreign substances (e.g., pathogens, foreign proteins, DNA, etc.) or external stimuli. It is also responsible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external stimuli or transporting and exchanging small substances. Each tissue It performs various functions depending on the However, the delivery efficiency of proteins through epithelial tissue is very low.
  • bile acids fatty acids
  • sodium salcaproate sodium salcaproate
  • bile salts are substances produced in the gallbladder that contribute to fat digestion and absorption by helping dissolve fat in the digestive tract, and are ionic amphiphilic compounds with a steroid skeleton.
  • enzymatic oxidation, isomerization, and reduction of cholesterol forms cholate, which is structurally similar to the cholesterol parent.
  • Cholate then chemically combines with one of two amino acids (taurine and glycine) to form 'conjugated' cholic acid (L-glycocholate and taurocholate).
  • Bile acids are classified into trihydroxy bile salts (Taurocholate, glycocholate, cholate) or dihydroxy bile salts (taurodeoxycholate, glycodeoxycholate, chenodeoxycholate, deoxycholate)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hydroxylated or conjugat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xtens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that can improve the permeability of the target protein in epithelial tissu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emonstrating that the permeability of the target protein in epithelial tissue can be improved when a composition additionally containing bile salts, a cationic peptide of a predetermined sequence, and optionally a predetermined fatty acid is used.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with improved permeability in epithelial tissu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dermal absorbent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protein delivery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protein delivery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le salts and peptides represented by SEQ ID NOs: 1 to 34.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xtens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that can improve the permeability of the target protein in epithelial tissu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en using a composition that additionally contains bile salts, a cationic peptide of a predetermined sequence, and optionally a predetermined fatty acid, the permeability of the target protein in epithelial tissue can be improved.
  • amino acid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ixture of L-form amino acids or D-form amino acids.
  • the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it contains bile salts and one or more pep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ptides represented by SEQ ID NOs: 1 to 34.
  • a composition containing one or more pep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 31 L-form SEQ ID NOs. 1 to 34 may be used by mixing a target protein requiring transport into the body, or the target protein and the above-mentioned target protein may be used. By sequentially applying each protein independently to the epithelium, the epithelial permeability of the target protein can be improv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ermeability of the target protein in epithelial tissue.
  • the epithelial tissue is a soft tissue that covers the inner walls of body organ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and includes all mucous secretion membranes.
  • respiratory mucosa including the nasal cavity and lungs
  • digestive mucosa including the oral cavity, sublingual, and digestive tract mucosa
  • genital mucosa including the vagina and urethra
  • the target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target proteins to be administered into the body can be selected as a delivery target.
  • the target protein refers to a polymer composed of two or more amino acids formed by peptide bonds.
  • the delivery effect of the target protein of the composition in epithelial tissue is not limited to a cargo protein of a specific sequence.
  • the target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ze of 150 kD or less.
  • the protein delive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help the target protein penetrate the epithelium.
  • the size of the target protein is preferably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In the case of the target protein having a size of 150 kD or less, the epithelial permeability significantly increases. confirmed.
  • the target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sulin, insulin analogue, GLP-1 analogue, parathyroid hormone, growth hormone, epidermal growth factor, oligomer, and IgG antibody.
  • insulin insulin analogue
  • GLP-1 analogue parathyroid hormone
  • growth hormone growth hormone
  • epidermal growth factor oligomer
  • IgG antibody IgG antibody
  • the bile salt is a bile salt that exists in living organisms (e.g., trihydroxy bile salt, dihydroxy bile salt), and includes taurocholate, glycocholate, cholat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urodeoxycholate, glycodeoxycholate, deoxycholate, chenodeoxycholate, lithocholate and urosodeoxycholate. It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one or more th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ile salt is a bile salt conjugated with taurin or glycine (for example, taurocholate or glycocholate)
  • taurin or glycine for example, taurocholate or glycocholate
  • the cationic peptide can be produced to have a purity of 90% or more of each peptide through a common peptide synthesis method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can be purchased and used after requesting production from a peptide manufacturer.
  • cationic peptides also include cases where conventional changes (e.g., substitution of 1 to 2 amino acids, substitution between D-form/L-form, etc.) that do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amino acid properties occur.
  •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 sequences in which one or two amino acids are substituted in the amino acid sequences represented by SEQ ID NOs: 1 to 34.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fatty acids.
  • the protein delive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bile salts and a peptide having a predetermined amino acid sequence as active ingredients, and when fatty acids are additionally included, the epithelial permeation of the target protein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fatty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4 to C22 fatty acid.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fatty aci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6 to C22 fatty acids, C8 to C22 fatty acids, C10 to C22 fatty acids, C12 to C22 fatty acids, and C14 to C20 fatty acids.
  • the fatty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16 to C18 fatty acid.
  • the above-mentioned fatty acids may be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s, and more preferably, unsaturated fatty acids may be used.
  • the unsaturated fatty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fatty acid containing one or more double bond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double bonds included in the unsaturated fatty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is double bond.
  •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phosphate buffer, acetate buffer, or/and bicarbonate buff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by transdermal oral administration, sublingual administration, topical application, patch attachment, or inhal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a patch-type preparation, spray, ointment, gel, liquid, suppository, troche, and inhalant through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dermal absorbent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 the transdermal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contain a target protein requiring delivery, and the target protein is as described above.
  • the transdermal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paration for promoting transdermal absorption of the target protein,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depending on the efficacy of the target protein.
  • the transdermal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replenishing the body with a certain protein that is deficient in the body and causes a certain disease or symptom, or is used to deliver a protein that is delivered to the body and produces a certain desired effect in the body. It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purpo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bolic drug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s one or more pep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le salts, peptides shown in SEQ ID NOs: 1 to 34, and a protein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is provided.
  • One or more pep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le salts and peptides represented by SEQ ID NOs. 1 to 34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protein component that has an effect in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above-described bile salt and a peptide having a predetermined sequence may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bsorption into the bod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fatty acids.
  • the fatty acid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fatty acid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metabolic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betes, obesity, osteoporosis, and growth hormone deficienc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correspond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it may contain insulin, an insulin analog, or a GLP-1 analog, etc. as the target protei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it includes leptin, Pramlintide, GLP-1 receptor antagonist, liraglutide, etc. as target proteins. can d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a composition for treating osteoporosis, it may contain parathyroid hormone, etc.,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growth hormone, etc. as an active ingredient, thereby treat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or , It can help induce the growth of a subject in the growth stage.
  • the above-mentioned active ingredients are only specific examples,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a technical featur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elivery to the body through the epithelium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various protein drugs, and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type of target prote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compositions principally relates to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administration to human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such compositions are generally suitable for administration to all types of animals.
  • a skilled veterinary pharmacologist with a good understanding of the modifications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administration to various animals can design and/or perform such modifications, if necessary, simply by routine experiment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ny method known in the field of pharmacology or discussed later in the text. Generally, these methods for tableting involve the steps of associating the active ingredient with excipients and/or one or more other auxiliary ingredients, followed by shaping and/or packaging the product into the desired single- or multi-dose units, if necessary or desired. Includes step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manufactured, packaged, and/or sold unpackaged as a single unit dose and/or multiple single unit doses.
  • Unit dose is a discrete amount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active ingredient.
  • the amount of active ingredient is generally equal to the dosage of active ingredient administered to the subject and/or a convenient fraction of such dosage such as, for example, one-half or one-third of the dosage.
  • the relative amounts of the active ingredient,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and/or any additional ingredients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dentity, size, and/or severity of the disorder of the subject being treated and the route by which the composition is administered. It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0.1% to 100% (w/w) of the active ingredient.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include any solvent, dispersion medium, diluent, or other liquid vehicle, dispersion or suspension aid, surface active agent, isotonic agent, thickener or emulsifier, preservative, or solid that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articular dosage form. Includes binders, lubricants, etc. Remington's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ition, A. R. Gennaro,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D, 2006) describes various excipients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known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 any conventional carrier medium is incompatible with the substance or derivative thereof, for example by providing any undesirable biological effect or otherwise interacting in a deleterious manner with any other componen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their uses ar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are at least 95%, 96%, 97%, 98%, 99%, or 100% pure.
  • excipients are approved for human and veterinary use.
  • the excipient is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the excipient is pharmaceutical grade.
  • the excipient meets the standards of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European Pharmacopoeia (EP), British Pharmacopoeia, and/or International Pharmacopoeia (EP).
  • USP United States Pharmacopeia
  • EP European Pharmacopoeia
  • EP British Pharmacopoeia
  • EP International Pharmacopoeia
  • excipients are approved for human and veterinary use.
  • compositi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nert diluents, dispersants and/or granulating agents, surface active agents and/or emulsifiers, disintegrants, binders, preservatives, buffers, lubricants, and/or oils. Not limited.
  • excipients may optionally be included in th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 Excipients such as cocoa butter and suppository waxes, colorants, coating agents, sweeteners, flavors, and perfumers may be present in the composition at the discretion of the formulator.
  • Exemplary diluents include calcium carbonate, sodium carbonate, calcium phosphate, dicalcium phosphate, calcium sulfate, calcium hydrogen phosphate, sodium lactose, sucrose,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kaolin, mannitol, sorbitol, inositol, sodium chloride, dried starch,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orn starch, powdered sugar,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bile salts, one or more pep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ptides represented by SEQ ID NOs: 1 to 34, and health functional proteins as active ingredients. .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fatty acids.
  • the fatty acid contained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fatty aci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protein ingredients as various foodologically acceptable active ingredients, and may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or improving various diseases or physical dysfunc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gredients commonly added during food production,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and seasonings.
  • ingredients commonly added during food production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and seasonings.
  •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included as additional ingredient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Disaccharides (eg, maltose, sucrose, etc.); oligosaccharide; polysaccharides (eg, dextrins, cyclodextrins, etc.); and sugar alcohols (eg, xylitol, sorbitol, erythritol, etc.).
  • natural flavoring agents e.g., thaumatin, stevia extract, etc.
  • synthetic flavoring agents e.g., saccharin, aspartame, etc.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ile salts, at least one pep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ptides represented by SEQ ID NOs: 1 to 34, and a functional protein as active ingredient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fatty acids.
  • the fatty acid contain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fatty aci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protein components as various cosmetically acceptable active ingredients, and may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or improving various diseases or physical dysfunction.
  • the above-mentioned effects are not limited to diseases or physical dysfunction observed on the epithelium,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ore diverse diseases or physical dysfunction than those with transdermal permeability.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s. ,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spra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softening lotion, nourishing lotion,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 the carrier ingredient includes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This can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spray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can be used as the carrier ingredient.
  • chlorofluorohydrocarbon and propane may be used as carrier ingredients.
  • May contain propellants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 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and microcrystals.
  •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 microcrystal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may be used.
  •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and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fatty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anolin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can be used.
  • Ingredi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nd carrier ingredient,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conventional auxiliarie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It can be included.
  • conventional auxiliarie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It can be includ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with improved permeability in epithelial tissu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dermal absorbent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for protein deliver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protein delivery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protein delivery composition.
  • the target protein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into the body in a non-invasive manner (non-injectable formulation) by increasing the permeability of the target protein, which is a polymer, to epithelial and transdermal tissues.
  • the composition can be used to prevent or treat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diabetes and obesit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used in cosmetic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 Figure 1 relates to changes in insulin absorption rate in epithelial tissue by bile salts or/and cationic peptides.
  • the degree of bioabsorption of insulin was expressed as the blood sugar lowering effect after administration.
  • a bile salt e.g., taurocholate
  • SEQ6 cationic peptide
  • insulin absorp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ublingual mucosal tissue compared to the case where neither bile salt nor cationic peptide was included or only bile salt (TC: taurocholate, Figure 1B) or cationic peptide (SEQ6, Figure 1C) was included.
  • Figure 2 relates to changes in the absorption rate of insulin upon oral administration by bile salts or/and cationic peptides.
  • the degree of bioabsorption of insulin was expressed as the blood sugar lowering effect after administration.
  • the cationic peptide SEQ6, Figure 2A, SEQ2, Figure 2B
  • insulin absorp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of the cationic peptide.
  • Figure 3 shows the insulin absorption rate in sublingual mucosal tissue of mixed compositions of different types of cationic peptides and bile salts.
  • the degree of bioabsorption of insulin was expressed as the blood sugar lowering effect after administration.
  • Figure 4 shows the insulin absorption rate in sublingual mucosal tissue according to cationic peptide consisting of bile salt and D-form or L-form amino acid. The degree of bioabsorption of insulin was expressed as the blood sugar lowering effect after administration.
  • Figure 5 shows the insulin absorption rate in sublingual mucosal tissue according to the mixed composition of different types of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s.
  • the degree of bioabsorption of insulin was expressed as the blood sugar lowering effect after administration (TC: taurocholate, GC: Glycholate, CdOC: Chenodeoxycholate, dOC: deoxycholate).
  • Figure 6 shows the absorption rate of various insulin analogues in sublingual mucosal tissue. The degree of bioabsorption of insulin was expressed as the blood sugar lowering effect after administration.
  • Figure 7 shows the change in insulin absorption rate in sublingual mucosal tissue (A) and the blood sugar lowering effect due to bioabsorption of insulin upon oral administration (B) in a type 1 diabetes mouse model.
  • A sublingual mucosal tissue
  • B blood sugar lowering effect due to bioabsorption of insulin upon oral administration
  • As an absorption enhancing composition 30mM taurocholate and 1 ⁇ M SEQ6 were used.
  • Figure 8 shows the change in the absorption rate of insulin when applied to the skin by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and cationic peptide (SEQ6).
  • the degree of bioabsorption of insulin was expressed as a change in blood sugar after administration.
  • Figure 9 shows the change in liraglutide absorption rate in sublingual mucosal tissue due to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and cationic peptide (SEQ6).
  • Figure 10 shows the insulin absorption rate in sublingual mucosal tissue according to cationic peptides represented by different amino acid sequences. The degree of bioabsorption of insulin was expressed as the blood sugar lowering effect after administration.
  • Figure 11 shows the change in the absorption rate of epithelial growth factor in nasal mucosal tissue by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and cationic peptide (SEQ14).
  • Figure 12 shows the change in the absorption rate of human growth hormone in nasal mucosal tissue by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and cationic peptide.
  • Figure 13 shows the change in absorption of human antibody (IgG) in nasal mucosal tissue by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and cationic peptide, measured as hIgG concentration in plasma 3 hours after administration to mice (A), and the same dose of A comparison of blood concentrations between nasal administration and subcutaneous injection is shown (B).
  • IgG human antibody
  • Taurocholate bile salt
  • B cationic peptide
  • Figure 14 shows the pH effect of the bile salt (Taurocholate) and cationic peptide mixed composition on the protein delivery effect.
  • Figure 15 shows changes in the absorption rate of insulin in nasal mucosal tissue by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fatty acid (oleic acid), and cationic peptide.
  • bile salt taurocholate
  • fatty acid oleic acid
  • cationic peptide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fatty acid (oleic acid), and cationic peptide.
  • A the change in blood sugar after administration was measured
  • B the change in insulin was measured and displayed.
  • Figure 16 shows the change in insulin delivery efficiency of a bile salt (Taurocholate) and cationic peptide mixed composition by mixing various fatty acids. It was confirmed that saturated fatty acids (Figure 16A) and unsaturated fatty acids ( Figure 16B) can cause changes in transfer efficiency depending on the chain length of the hydrocarb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ouble bond.
  • Figure 17 relates to the plasma concentration of parathyroid hormone 34 (PTH) 15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in nasal mucosal tissue by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fatty acid (oleic acid) and cationic peptide (SEQ14).
  • PTH parathyroid hormone 34
  • Figure 18 shows the plasma concentration of human growth hormone (hGH) 15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in nasal mucosal tissue by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fatty acid (oleic acid), and cationic peptide (SEQ14).
  • hGH human growth hormone
  • Figure 19 shows the plasma concentration 3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human antibody IgG (hIgG) in nasal mucosal tissue by a mixed composition of bile salt (Taurocholate, TC), fatty acid (oleic acid, OA), and cationic peptide (SEQ14). .
  • hIgG human antibody IgG
  • TC bile salt
  • OA fatty acid
  • SEQ14 cationic peptide
  • Example 1 Confirmation of increased insulin absorption rate in sublingual mucosal tissue by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s
  • TC 100mM Taurocholate (Sigma-Aldrich Korea, Korea), 2) Ins+TC: 100mM Taurocholate + 2U/kg insulin (Humulin N and Lilly Korea, Korea), 3) Ins+ TC+SEQ6: 100 mM Taurocholate + 2U/kg dose of insulin + 1 ⁇ M SEQ6, 4) SEQ6: 1 ⁇ M SEQ6, 5) Ins+SEQ6: 1 ⁇ M SEQ6 + 2U/kg dose of insulin, 6) TC +Ins+SEQ6: 100mM Taurocholate + 1 ⁇ M SEQ6 + Insulin at a dose of 2U/kg.
  • C57BL/6 mice (Orient Bio, Korea) maintaining normal blood sugar levels were anesthetized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Ketamine/Xylazine (100 mg/kg, 10 mg/kg, respectively) (BK Pharm, Korea). After confirming that anesthesia was stable, blood sugar was measured using an Accuchek blood glucose meter before administration of bile salts or/and cationic peptides together with insulin. For each experimental group, a 10 ⁇ l administration volume of solution was administered to the sublingual mucosa under the tongue, and then blood sugar changes were measured over time.
  • Example 2 Insulin absorption rate upon oral administration by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s
  • Ins+TC 100 mM Taurocholate + 2U/kg dose of insulin
  • Ins+TC+SEQ6 100 mM Taurocholate + 2U/kg dose of insulin + 10 ⁇ M SEQ6, 3)
  • Ins+TC+ SEQ6 100 mM Taurocholate + 2U/kg dose of insulin + 1 ⁇ M SEQ6, 4)
  • Ins+TC+ SEQ2 100 mM Taurocholate + 2U/kg dose of insulin + 100 ⁇ M SEQ2, 6)
  • Ins+TC+SEQ2 100 mM Taurocholate + 2U/kg dose of insulin + 10 ⁇ M SEQ2, 7)
  • Ins+TC+ SEQ6 100 mM Taurocholate + 2U/kg dose of insulin + 1 ⁇ M SEQ2.
  • C57BL/6 mice maintaining normal blood sugar were prepared, and blood sugar was measured using an Accuchek blood glucose meter before administering insulin along with bile salts or/and cationic peptides.
  • Insulin along with bile salts or/and cationic peptides was administered directly to the stomach using a zonde, and changes in blood sugar were measured over time.
  • Example 3 Type 1 diabetes mouse model by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s
  • mice to be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dministered streptozotocin (Sigma-Aldrich Korea, Korea) dissolved in citrate buffer (100mM, pH 4.5) at a dose of 150 mg/kg before the experiment, and were allowed free access to food after 6 hours. I did it. Afterwards, blood sugar levels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every morning, and mice that showed blood sugar levels of 400 mg/dl for more than 3 days were judged to have induced diabetes and were used in experiments.
  • Example 4 Type 1 diabetes mouse model by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s
  • Example 5 Confirmation of increased absorption of liraglutide in sublingual mucosal tissue by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s
  • Example 6 Confirmation of increased absorption of epithelial growth factors in nasal mucosal tissue by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s
  • EGF EGF was dissolved in 100 mM acetate buffer, pH 4.5 and administered intranasally at 30 ⁇ g/kg
  • EGF+SEQ14 The same amount of EGF was administered intranasally along with 10 ⁇ M SEQ14 in the same buffer
  • EGF+TC EGF+TC.
  • +SEQ14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the same amount of EGF together with 30 mM Taurocholate and 10 ⁇ M SEQ14 in the same buffer.
  • Example 7 Confirmation of increased absorption of human growth hormone in nasal mucosal tissue by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s
  • hGH Human growth hormone dissolved in 100 mM acetate buffer, pH 4.5 and administered intranasally at 330 ⁇ g/kg
  • hGH+SEQ14 Same amount of EGF administered nasally along with 10 ⁇ M SEQ14 in the same buffer
  • hGH +TC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the same amount of human growth hormone together with 30mM Taurocholate and 10 ⁇ M SEQ14 in the same buffer.
  • hGH+TC+SEQ14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the same amount of human growth hormone along with 30mM Taurocholate and 10 ⁇ M SEQ14 in the same buffer.
  • Example 8 Confirmation of increased absorption of human antibody IgG in nasal mucosal tissue by bile salts and cationic peptides
  • hIgG Human growth hormone dissolved in 100 mM acetate buffer, pH 4.5 and administered intranasally at 3.3 mg/kg
  • hIgG+SEQ14 Same amount of hIgG administered intranasally along with 10 ⁇ M SEQ14 in the same buffer
  • hIgG +TC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the same amount of hIgG together with 30mM Taurocholate and 10 ⁇ M SEQ14 in the same buffer.
  • hIgG+TC+SEQ14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the same amount of hIgG together with 30mM Taurocholate and 10 ⁇ M SEQ14 in the same buffer.
  • the group was divided into a non-administration group (control), a hIgG subcutaneous injection group (SC), and an hIgG nasal administration group, and plasma was obtained 3 and 6 hours after administration.
  • control a non-administration group
  • SC a hIgG subcutaneous injection group
  • hIgG nasal administration group plasma was obtained 3 and 6 hours after administration.
  • hIgG was administered together with PBS. Accordingly, a significantly higher increase in blood IgG was confirmed when administered intranasally than when administered subcutaneously (Figure 13B).
  • Example 9 Confirmation of increased insulin absorption rate in nasal mucosal tissue by bile salts, fatty acids, and cationic peptides
  • Control 15mM taurocholate, 10 ⁇ M SEQ14 dissolved in 100mM acetate pH 4.5 and administered intranasally, 2) Ins: 1U/kg of insulin dissolved in 100mM acetate pH4.5 and administered nasally, 3) Ins+SEQ14 : 1U/kg dose of insulin, 10 ⁇ M SEQ14 dissolved in 100mM acetate pH 4.5 for intranasal administration 4) Ins+TC+OA: 1U/kg dose of insulin, 15mM taurocholate, 5mM oleic acid in 100mM Nasal administration by dissolving in acetate pH 4.5, 5) Ins+TC+OA+SEQ14: 1U/kg dose of insulin, 15 mM taurocholate, 5 mM oleic acid, 10 ⁇ M SEQ14 dissolved in 100 mM acetate pH 4.5 and administering nasally. .
  • Example 10 Confirmation of increased insulin absorption rate in nasal mucosal tissue according to fatty acid type in bile salt, fatty acid, and cationic peptide compositions
  • C57BL/6 mice maintaining normal blood sugar were prepared, and blood sugar was measured using an Accuchek blood glucose meter before administering the test solution.
  • 10 ⁇ l of the solution from the above experimental group was directly administered to one nostril of the mouse using a micropipette, and changes in blood sugar were measured over time.
  • insulin delivery by the bile salt and cationic peptide composition was best when C16 to C18 fatty acids included unsaturated fatty acids rather than saturated fatty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heu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은 투여하고자 하는 목적 단백질 또는 목적 펩타이드의 상피 조직 투과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비침습적 방식으로 체내에 목적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는 대사성 질환 치료제,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등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목적 단백질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뛰어난 표적특이성을 가지고 있으며, 치료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어 암, 당뇨 등의 주요 질환의 치료제로 활용되고 있다. 약학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치료제는 주사, 경구, 흡입, 점막 전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되지만, 고분자 화합물인 단백질 치료제는 주로 주사와 같은 침습적인 방법으로만 전달하고 있어 생체 내로 투여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다만, 치료를 장기적으로 받아야 하는 난치성 질환을 포함하여 다양한 질환에 있어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단백질 치료제를 투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피조직은 동물의 체표, 체강 및 관상 장기의 내부 표면을 덮는 조직 또는 내분비샘 및 외분비샘과 같은 샘을 이루는 조직이다. 상피조직은 외부 물질(예컨대, 병원균, 외부 단백질, DNA 등)의 침입 또는 외부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고 전달하거나 작은 물질의 수송 및 교환을 담당하기도 하고, 각 조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상피조직을 통한 단백질의 전달 효율은 매우 낮다. 이에 피부조직이나 소화관, 호흡기 또는 생식기의 점막조직을 이용해 단백질 치료제의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흡수 증강제(absoption enhancer)로써 담즙산, 지방산 또는 나트륨 살 카프로 제이트(SNAC)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담즙산염은 쓸개에서 생성되어 소화관에서 지방의 용해를 도와 지방 소화 및 흡수에 기여하는 물질이고, 스테로이드 골격을 가진 이온성 양친매성 화합물(ionic amphiphilic compounds)이다.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효소적 산화, 이성질체화 및 환원을 통해 콜레스테롤 모체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콜레이트를 형성한다. 이 후 콜레이트는 두 개의 아미노산(타우린 및 글리신) 중 하나에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컨쥬게이트된' 콜산(L-글리코콜레이트 및 타우로콜레이트)를 형성한다. 소화과정에서 분비된 컨쥬게이트된 콜산 분자는 장내 균총에 의해 생성되는 효소에 의해 추가적인 화학적 변형(탈히드록실화 및 탈컨쥬게이션화)이 진행되어 다양한 담즙산을 생성한다(Molecules 2015, 20, 14451-14473). 담즙산은 히드록실화(hydroxylation) 및 컨쥬게이션(conjugation) 여부에 따라 trihydroxy bile salt (Taurocholate, glycocholate, cholate) 또는 dihydroxy bile salt (taurodeoxycholate, glycodeoxycholate, chenodeoxycholate, deoxycholate) 등으로 분류된다.
기존 연구들은 단백질 치료제의 체내 전달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담즙산을 이용한 바 있다. 주로 taurocholate 또는 glycocholate와 같은 복합 담즙산염(conjugated bile salt)이 인슐린, 살몰 칼시토닌(salmon calcitonin) 등의 펩타이드를 혈액 뇌관문(Blood brain barrier), 피부, 점막, 각막, 장점막 등에서 효과적으로 체내로 전달되도록 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1) 담즙산염의 단일 효과라기 보다는 liposome, nanoparticle 또는 bilosome 등의 한 성분으로써 작용을 했거나 2) trans-epitherlial delivery를 모사한 세포 모델이나 십이지장으로 직접 전달하여 위에서의 소화를 제외한 실험적인 모델에서만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개체 수준의 정상적인 환경에서 효능을 보인 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이는 담즙산염만으로는 펩타이드 및 단백질의 체내 전달 효과가 유의적이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목적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의 체내 전달 효과가 우수한 신규 전달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피 조직에서 목적 단백질의 투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담즙산염 및 소정의 서열의 양이온성 펩타이드, 선택적으로 소정의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상피 조직에서의 목적 단백질 투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피 조직에서의 투과성이 증진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피흡수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담즙산염과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피 조직에서 목적 단백질의 투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담즙산염 및 소정의 서열의 양이온성 펩타이드, 선택적으로 소정의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상피 조직에서의 목적 단백질 투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내지 34의 서열은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23003811-appb-img-000001
본 명세서 상의 펩타이드 서열을 기재함에 있어서, 영문 대문자는 L-아미노산을 나타내고, 영문 소문자는 D-아미노산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은 L-form 아미노산 또는 D-form 아미노산이 혼합된 서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은 담즙산염과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함께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담즙산염과 cationic peptide 31 L-form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체내 운반을 요하는 목적 단백질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상술한 목적 단백질과 각각 독립적으로 상피에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목적 단백질의 상피 투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피 조직에서 목적 단백질의 투과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피조직은 인체의 외부와 직접 맞닿아 있는 신체기관들의 내벽을 덮고 있는 부드러운 조직으로 모든 점액질 분비막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비강, 폐 등을 포함하는 호흡기 점막, 구강, 설하, 소화기관 점막을 포함하는 소화기 점막, 질, 요도 등을 포함하는 생식기 점막, 항문을 포함하는 배설기관 점막 또는 피부조직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 단백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체내 투여하고자 하는 다양한 목적 단백질이 운반 대상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적 단백질은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으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목적 단백질의 상피조직에서 전달 효과가 특정 서열의 카고(cargo) 단백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 단백질은 150 kD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은 목적 단백질의 상피 투과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목적 단백질의 사이즈는 소정의 크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50 kD 이하의 사이즈를 갖는 목적 단백질의 경우, 유의하게 상피 투과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 단백질은 인슐린, 인슐린 유사체, GLP-1 유사체, 부갑상선 호르몬, 성장호르몬, 표피세포 성장인자, 올리고머 및 IgG 항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GLP-1 유사체의 경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리라글루타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염(bile salt)은 생체 존재하는 담즙산염(예컨대, trihydroxy bile salt, dihydroxy bile salt)이고, 타우로콜레이트(taurocholate), 글라이콜레이트(glycocholate), 콜레이트(cholate),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taurodeoxycholate), 글라이코디옥시콜레이트(glycodeoxycholate), 디옥시콜레이트(deoxycholate), 케노디옥시콜레이트(chenodeoxycholate), 리쏘콜레이트(lithocholate) 및 우로소디옥시콜레이트(urosodeoxycho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염이 taurin 또는 glycine에 의해 컨쥬게이션된 담즙산염(예를 들어, taurocholate 또는 glycocholate)인 경우 상피조직에서 목적 단백질의 투과성을 특히 효과적으로 증진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펩타이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펩타이드 합성방법을 통하여 각 펩타이드의 순도가 90% 이상이 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 제조회사에 제조를 의뢰한 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이온성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성질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 통상적인 변화(예컨대, 1~2개 아미노산 치환, D-form/L-form간의 치환 등)가 생긴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으로서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담즙산염과 소정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경우, 목적 단백질의 상피 투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지방산은 C4 내지 C22 지방산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지방산은 C6 내지 C22 지방산, C8 내지 C22 지방산, C10 내지 C22 지방산, C12 내지 C22 지방산, C14 내지 C20 지방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지방산은 C16 내지 C18 지방산일 수 있다.
상술한 지방산은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지방산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포화 지방산은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지방산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불포화 지방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 중 적어도 하나는 시스(cis) 이중 결합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은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초산완충액(acetate buffer) 또는/및 중탄산완충액(bicarbonate buffer)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경피 경구투여(oral administration), 설하 투여,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topical application), 패치부착, 흡입투여(inhal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통해 패치형 제제, 분무제, 연고제, 겔제, 액제, 좌제, 트로키제 및 흡입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피흡수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제는 전달을 요하는 목적 단백질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목적 단백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제는 목적 단백질의 경피를 통한 흡수를 도모하기 위한 제제 형태로서, 목적 단백질의 효능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피흡수제는 체내 결핍되어 소정의 질병 또는 증상을 야기시키는 소정의 단백질을 체내 보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체내 전달되어 소정의 의욕하는 효과를 도출하는 단백질을 체내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담즙산염,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단백질 약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담즙산염 및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인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단백질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담즙산염 및 소정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서의 단백질 성분의 상피를 통한 체내 흡수를 유의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지방산은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인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지방산에 상응하는 것으로서, 반복 기재를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비만, 골다공증 및 성장호르몬 결핍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해당하는 경우, 인슐린, 인슐린 유사체, 또는 GLP-1 유사체 등을 목적 단백질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해당하는 경우, 렙틴(Leptin), 프람린타이드(Pramlintide), GLP-1 수용체 길항제,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등을 목적 단백질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골다공증 치료용 조성물에 해당하는 경우, 부갑상선 호르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성장호르몬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성장호르몬 결핍증을 치료하거나, 성장 단계에 있는 대상(subject)의 성장을 유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유효 성분들은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다양한 단백질 의약품의 유효 성분들의 상피를 통한 체내 전달 효율을 높인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서의 목적 단백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의 설명은 원칙적으로 인간에게 투여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동물에게 투여하기 적합함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다양한 동물에게 투여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의 변형을 잘 이해하고, 숙련된 수의학 약리학자는 필요하다면 단순히 통상적인 실험으로 이러한 변형을 설계 및/또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약리학 분야에 알려져 있거나 이후 내용에서 전개되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정제용 방법은 활성 성분을 부형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보조 성분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어서 필요하거나 원하는 경우 생성물을 원하는 단일- 또는 다중-용량 단위로 성형 및/또는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단위 용량 및/또는 복수의 단일 단위 용량으로서 제조, 포장, 및/또는 포장하지 않은 채로 판매될 수도 있다.
"단위 용량"은 사전 설정된 양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개별적인 양이다. 활성 성분의 양은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활성 성분의 투여량 및/또는 그러한 투여량의 편리한 분획 예컨대 예를 들어 투여량의 1/2 또는 1/3과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 내 활성 성분,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임의의 추가 성분의 상대량은 치료 대상체의 동일성, 크기, 및/또는 장애의 정도에 따라 그리고 조성물이 투여되는 경로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0.1% 내지 100% (w/w)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특정한 투여 형태 목적에 적합한 임의의 모든 용매, 분산 매질, 희석제, 또는 다른 액체 비히클, 분산액 또는 현탁 보조제, 표면 활성제, 등장화제, 증점제 또는 유화제, 보존제, 고체 결합제, 윤활제 등을 포함한다. 레밍턴(Remington)의 문헌[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ition, A. R. Gennaro,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D, 2006]은 약학적 조성물 조제에 사용된 다양한 부형제 및 이의 제조를 위한 공지된 기술을 개시한다. 임의의 통상적인 담체 배지가 예컨대 임의의 원하지 않는 생물학적 효과를 제공하거나 다르게는 약학적 조성물의 임의의 다른 성분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물질 또는 그 유도체와 공존할 수 없는 것을 제외하고, 그 용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적어도 95%, 96%, 97%, 98%, 99%, 또는 100% 순수하다.
상기 부형제는 인간 및 수의학적 용도에서 승인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형제는 미국식품의약품국에 의해 승인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형제는 제약 등급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형제는 미국 약전(USP), 유럽 약전 (EP), 영국 약전, 및/또는 국제 약전(EP)의 표준을 충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형제는 인간 및 수의학적 용도에서 승인되어 있다.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불활성 희석제, 분산제 및/또는 과립화제, 표면 활성제 및/또는 유화제, 붕해제, 결합제, 보존제, 완충제, 윤활제, 및/또는 오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부형제는 임의로 본 발명의 제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부형제 예컨대 코코아 버터 및 좌제 왁스, 착색제, 코팅제, 감미제, 향미제, 및 퍼퓸제는 조제사의 판단에 따라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희석제는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인산칼슘, 인산이칼슘, 황산칼슘, 칼슘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인산나트륨 락토스, 수크로스, 셀룰로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카올린, 만니톨, 소르비톨, 이노시톨, 염화나트륨, 건조 전분, 옥수수 전분, 분말형 당,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담즙산염,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및 건강기능성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지방산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지방산에 상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다양한 유효 성분으로서의 단백질 성분 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질병 또는 신체적 기능 이상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담즙산염,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및 기능성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지방산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지방산에 상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다양한 유효 성분으로서의 단백질 성분 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질병 또는 신체적 기능 이상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효과는 상피 상에서 관찰되는 질병 또는 신체적 기능 이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경피 투과능을 갖는 이상, 보다 다양한 질병 또는 신체적 기능 이상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로션,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과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a) 본 발명은 상피 조직에서의 투과성이 증진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상술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피흡수제를 제공한다.
(c) 본 발명은 상술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 본 발명은 상술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e) 본 발명은 상술한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f) 본 발명의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고분자인 목적 단백질의 상피 조직 및 경피 조직에 대한 투과도를 높여 비침습적 방식(비주사형 제형)으로 체내에 목적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당뇨병, 비만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이용할 수 있으며,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담즙산염 또는/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상피조직에서의 인슐린 흡수율 변화에 관한 것이다. 인슐린의 생체 흡수 정도는 투여 후 혈당강하효과로 표시하였다. 담즙산염(예컨대, Taurocholate)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예컨대, SEQ6)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모두 포함하지 않거나 담즙산염(TC: taurocholate, 도 1A) 또는 양이온성 펩타이드(SEQ6, 도 1A) 중 하나만 포함하는 경우보다 피부 점막조직에서 인슐린 흡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모두 포함하지 않거나 담즙산염(TC: taurocholate, 도 1B) 또는 양이온성 펩타이드(SEQ6, 도 1C) 중 하나만 포함하는 경우보다 설하 점막조직에서 인슐린 흡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도 2는 담즙산염 또는/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경구 투여시 인슐린의 흡수율 변화에 관한 것이다. 인슐린의 생체 흡수 정도는 투여 후 혈당강하 효과로 표시하였다. 양이온성 펩타이드(SEQ6, 도 2A, SEQ2, 도 2B)가 담즙산염과 혼합되었을 때, 양이온성 펩타이드의 농도 의존적으로 인슐린 흡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도 3은 서로 다른 종류의 양이온성 펩타이드와 담즙산염과의 혼합 조성물의 설하 점막조직에서의 인슐린 흡수율을 나타낸다. 인슐린의 생체 흡수 정도는 투여 후 혈당강하효과로 표시하였다.
도 4는 담즙산염과 D-form 또는 L-form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따른 설하 점막조직에서의 인슐린 흡수율을 나타낸다. 인슐린의 생체 흡수 정도는 투여 후 혈당강하 효과로 표시하였다.
도 5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담즙산염과 양이온성 펩타이드의 혼합 조성물에 따른 설하 점막조직에서의 인슐린 흡수율을 나타낸다. 인슐린의 생체 흡수 정도는 투여 후 혈당강하효과로 표시하였다(TC: taurocholate, GC: Glycholate, CdOC: Chenodeoxycholate, dOC: deoxycholate).
도 6는 설하 점막조직에서의 다양한 인슐린 유사체의 흡수율을 나타낸다. 인슐린의 생체 흡수 정도는 투여 후 혈당 강하 효과로 표시하였다.
도 7은 제 1형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 설하 점막조직(A)에서의 인슐린 흡수율 변화 및 경구 투여(B)시 인슐린의 생체 흡수에 의한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낸다. 흡수 증진 조성물로 30 mM taurocholate, 1 μM SEQ6 가 사용되었다.
도 8은 담즙산염(Taurocholate)과 양이온성 펩타이드(SEQ6) 혼합 조성물에 의한 피부 도포시 인슐린의 흡수율 변화를 나타낸다. 인슐린의 생체 흡수 정도는 투여 후 혈당변화로 표시하였다.
도 9는 담즙산염(Taurocholate)과 양이온성 펩타이드(SEQ6) 혼합 조성물에 의한 설하 점막 조직에서의 리라글루타이드 흡수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은 서로 다른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따른 설하 점막 조직에서의 인슐린 흡수율을 나타낸다. 인슐린의 생체 흡수 정도는 투여 후 혈당강하효과로 표시하였다.
도 11은 담즙산염(Taurocholate)과 양이온성 펩타이드(SEQ14) 혼합 조성물에 의한 비강 점막 조직에서의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흡수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2는 담즙산염(Taurocholate)과 양이온성 펩타이드 혼합 조성물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의 인성장호르몬의 흡수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은 담즙산염(Taurocholate)과 양이온성 펩타이드 혼합 조성물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의 인간 항체(IgG)의 흡수 변화를 마우스에 투여 3시간 후 혈장 내 hIgG 농도로 측정하였고(A), 동일 용량의 비강 투여와 피하주사의 혈중 농도를 비교한 것(B)을 나타낸다.
도 14는 담즙산염(Taurocholate)과 양이온성 펩타이드 혼합 조성물에 의한 단백질 전달 효과에서 혼합 조성물의 pH 효과에 관한 것을 나타낸다.
도 15는 담즙산염(Taurocholate), 지방산(oleic acid)과 양이온성 펩타이드 혼합 조성물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의 인슐린의 흡수율 변화를 나타낸다. A에서는 투여후 혈당의 변화, B에서는 인슐린의 변화를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도 16은 다양한 지방산의 혼합에 의한 담즙산염(Taurocholate)과 양이온성 펩타이드 혼합 조성물의 인슐린 전달 효율 변화에 관한 것을 나타낸다. 포화지방산(도 16A)과 불포화지방산(도 16B)이 탄화수소의 사슬(chain) 길이와 이중결합의 여부에 따라 전달 효율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7은 담즙산염(Taurocholate), 지방산(oleic acid)과 양이온성 펩타이드(SEQ14) 혼합 조성물에 의한 비강 점막 조직에서 부갑상선 호르몬34 (PTH)의 투여 후 15분 후의 혈장 내 농도에 관한 것이다.
도 18은 담즙산염(Taurocholate), 지방산(oleic acid)과 양이온성 펩타이드(SEQ14) 혼합 조성물에 의한 비강 점막 조직에서 인간 성장 호르몬(hGH)의 투여 후 15분 후의 혈장 내 농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담즙산염(Taurocholate, TC), 지방산(oleic acid, OA)과 양이온성 펩타이드(SEQ14) 혼합 조성물에 의한 비강 점막 조직에서 인간 항체 IgG(hIgG)의 투여 후 3시간 후의 혈장 내 농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설하 점막조직에서 인슐린 흡수율 증가 확인
담즙산염 또는/및 서열번호 1 내지 18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에 의한 설하 점막조직에서 인슐린 흡수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양이온성 펩타이드는 애니젠(주)에서 합성하였다. 인슐린의 흡수율은 인슐린을 투여한 후 혈당 강하율을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1) TC: 100 mM의 Taurocholate(씨그마알드리치코리아, 한국), 2) Ins+TC: 100 mM의 Taurocholate + 2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휴물린 N 및한국릴리, 한국), 3) Ins+TC+SEQ6: 100 mM의 Taurocholate + 2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 1 μM SEQ6, 4) SEQ6: 1 μM SEQ6, 5) Ins+SEQ6: 1 μM SEQ6 + 2U/kg 투여용량의 인슐린, 6) TC+Ins+SEQ6: 100mM의 Taurocholate + 1 μM SEQ6 + 2U/kg 투여용량의 인슐린.
구체적으로,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있는 C57BL/6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한국)에 Ketamine/Xylazine(각각 100mg/kg, 10mg/kg)(비케이팜, 한국)을 복강 투여하여 마취하였다. 마취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 후, Accuchek 혈당기를 이용하여 담즙산염 또는/및 양이온 펩타이드를 인슐린과 함께 투여 전 혈당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군은 10 μl의 투여부피의 용액을 혀 밑 설하 점막에 투여한 후 시간 별로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taurocholate 또는 SEQ6 단독 투여에 의해서는 인슐린에 의한 혈당 강하율이 낮았으나, taurocholate 및 SEQ6을 함께 투여하는 경우 인슐린에 의한 혈단 강하율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A및 1B). 이는 taurocholate 및 SEQ6을 병용하여 투여하는 경우 설하 점막조직을 통한 인슐린 흡수율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양이온성 펩타이드(cationic peptide)의 chain length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인슐린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3). 또한, 양이온성 펩타이드의 아미노산이 L-form인 경우보다 D-form인 경우 인슐린 흡수율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4).
담즙산염의 종류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인슐린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5). 또한, 담즙산염 및 양이온 펩타이드는 인슐린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슐린 유사체의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실시예 2 :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경구 투여시 인슐린 흡수율
증가 확인
담즙산염 또는/및 서열번호 1 내지 18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에 의한 경구 투여시 인슐린 흡수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슐린의 흡수율은 인슐린을 투여한 후 혈당 강하율을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1) Ins+TC: 100 mM의 Taurocholate + 2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2) Ins+TC+SEQ6: 100 mM의 Taurocholate + 2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 10 μM SEQ6, 3) Ins+TC+SEQ6: 100 mM의 Taurocholate + 2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 1 μM SEQ6, 4) Ins+TC+SEQ6: 100 mM의 Taurocholate + 2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 0.1 μM SEQ6, 5) Ins+TC+SEQ2: 100 mM의 Taurocholate + 2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 100 μM SEQ2, 6) Ins+TC+SEQ2: 100 mM의 Taurocholate + 2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 10 μM SEQ2, 7) Ins+TC+SEQ6: 100 mM의 Taurocholate + 2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 1 μM SEQ2.
구체적으로,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있는 C57BL/6 마우스를 준비하고, Accuchek 혈당기를 이용하여 담즙산염 또는/및 양이온 펩타이드와 함께 인슐린을 투여하기 전에 혈당을 측정하였다. 담즙산염 또는/및 양이온 펩타이드와 함께 인슐린을 zonde를 이용해 위로 직접 투여한 후 시간별로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양이온성 펩타이드의 농도의존적으로 인슐린에 의한 혈당 강하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2A및 2B).
실시예 3 :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하여 제 1형 당뇨 마우스 모델
에서 인슐린 흡수율 증가 확인
Streptozotocin을 처리한 제 1형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 담즙산염 또는/및 서열번호 1 내지 18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에 의한 설하 점막조직에서 인슐린 흡수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에 사용될 C57BL/6마우스는 실험 전 streptozotocin(씨그마알드리치코리아, 한국)을 citrate buffer (100mM, pH 4.5)에 녹여 15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고, 6시간 후 사료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였다. 그 후 매일 오전, 동일한 시간에 혈당을 측정하였고, 400 mg/dl 의 혈당을 3일 이상 보인 마우스를 당뇨병이 유도되었다고 판단하고 실험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담즙산염 및 양이온 펩타이드를 인슐린과 함께 설하 점막 조직에서 투여한 경우(도 7A) 및 경구 투여한 경우(도 7B) 모두 정상 혈당 마우스와 비슷한 농도 구간에서 혈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실시예 4 :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하여 제 1형 당뇨 마우스 모델
에서 인슐린 흡수율 증가 확인
담즙산염 또는/및 서열번호 1 내지 18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에 의한 피부 도포시 인슐린 흡수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슐린의 흡수율은 인슐린을 투여한 후 혈당 강하율을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있는 C57BL/6 마우스를 실험 전날 제모크림을 이용해 등 부위를 제모하였다. 실험 당일, Ketamine/Xylazine(각각 100mg/kg, 10mg/kg)을 복강 투여하여 마취하였다. 마취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 후, Accuchek 혈당기를 이용하여 담즙산염 또는/및 양이온 펩타이드와 함께 인슐린을 투여하기 전에 혈당을 측정하였다. 50 μl의 투여 부피를 제모한 피부에 도포한 후 시간 별로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피부도포시 인슐린의 농도의존적으로 인슐린에 의한 혈당 강하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실시예 5: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설하 점막조직에서 리라글루타이드 흡수율 증가 확인
담즙산염 또는/및 서열번호 1 내지 18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에 의한 설하 점막조직에서 리라글루타이드(빅토자펜주 및 노보노디스크제약(주), 한국) 흡수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리라글루타이드의 흡수율은 리라글루타이드에 의해 개선되는 당내성(glucose tolerance)을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있는 C57BL/6 마우스를 Ketamine/Xylazine(각각 100mg/kg, 10mg/kg)을 복강 투여하여 마취하였다. 마취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 후, Accuchek 혈당기를 이용하여 담즙산염 또는/및 양이온 펩타이드와 함께 리라글루타이드를 투여하기 전에 혈당을 측정하였다. 10 μl의 리라글루타이드를 혀 밑 설하 점막에 투여한 후, 포도당 1g/kg를 복강 주사하였다. 이 후 시간 별로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리라글루타이드의 농도의존적으로 당내성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실시예 6: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흡수율 증가 확인
담즙산염 또는/및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 상피세포성장인자의 흡수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양이온성 펩타이드는 애니젠(주)에서 합성하였다. 상피세포 성장인자는 GIBCO(미국)의 recombinant human EGF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피세포성장인자(EGF)의 흡수율은 EGF를 투여한 후 안와채혈 하여 혈장을 분리한 뒤, 혈장 내 EGF의 농도를 human ELISA kit(R&D systems, 미국)로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1) EGF : EGF를 100 mM acetate buffer, pH 4.5 에 녹여 비강에 30 μg/kg로 투여, 2) EGF+SEQ14 : 동량의 EGF를 동일 buffer에서 10 μM SEQ14 와 함께 비강 투여, 3) EGF+TC+SEQ14 : 동량의 EGF를 동일 buffer에서 30 mM Taurocholate, 10 μM SEQ14 와 함께 비강 투여.
구체적으로, 8주령의 C57BL/6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한국)에 Ketamine/Xylazine(각각 100mg/kg, 10mg/kg)(비케이팜, 한국)을 복강 투여하여 마취하였다. 마취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 후, 각 실험군은 10 μl의 투여부피의 용액을 콧구멍에 직접 투여하였고, 5분 및 60분 후, 헤파린 코팅된 capillary를 이용해 안와 채혈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ELISA kit의 제조사 매뉴얼에 따라 측정을 하여 그래프로 표시하였다(도 11). 그 결과 인슐린과 마찬가지로 taurocholate 및 SEQ14을 함께 투여하는 경우 혈장 내 EGF의 레벨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 인간 성장호르몬의 흡수율 증가 확인
담즙산염 또는/및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 인간성장호르몬(hGH, 22kDa) 흡수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양이온성 펩타이드는 애니젠(주)에서 합성하였다. 인간 성장호르몬은 LG화학의 유트로핀 주사제를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투여 단백질의 흡수율은 단백질을 투여한 후 안와채혈 하여 혈장을 분리한 뒤, 혈장 내 투여 단백질의 농도를 human Growth hormone ELISA kit(R&D systems, 미국) 로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1) hGH : 인간성장호르몬을 100 mM acetate buffer, pH 4.5 에 녹여 비강에 330 μg/kg로 투여, 2) hGH+SEQ14 : 동량의 EGF를 동일 buffer에서 10 μM SEQ14 와 함께 비강 투여, 3) hGH+TC : 동량의 인간성장호르몬을 동일 buffer에서 30 mM Taurocholate, 와 함께 비강 투여, 4) hGH+TC+SEQ14 : 동량의 인간성장호르몬을 동일 buffer에서 30 mM Taurocholate, 10 μM SEQ14 와 함께 비강 투여.
구체적으로, 8주령의 C57BL/6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한국)에 Ketamine/Xylazine(각각 100mg/kg, 10mg/kg)(비케이팜, 한국)을 복강 투여하여 마취하였다. 마취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 후, 각 실험군은 10 μl의 투여부피의 용액을 콧구멍에 직접 투여하였고, 15 분 후, 헤파린 코팅된 capillary를 이용해 안와 채혈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ELISA kit의 제조사 매뉴얼에 따라 측정을 하여 그래프로 표시하였다(도 12A). 그 결과 taurocholate 및 SEQ14을 함께 비강 투여하는 경우 혈장 내 GH의 레벨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SEQ19~SEQ26 의 양이온성 펩타이드의 전달 개선 효율을 확인하기 위해, 앞선 4)의 그룹에서 펩타이드만 SEQ19~26으로 치환하는 방식으로 실험군을 준비하여 테스트하였을 때, SEQ22~26의 펩타이드에서 유의미한 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B).
실시예 8: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 인간 항체 IgG의 흡수율 증가 확인
담즙산염 또는/및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 인간 항체IgG(hIgG, 150kDa) 흡수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양이온성 펩타이드는 애니젠(주)에서 합성하였다. 인간 항체 IgG는 씨그마 알드리치코리아(한국)으로부터 구입하였다. 투여 단백질의 흡수율은 단백질을 투여한 후 안와채혈 하여 혈장을 분리한 뒤, 혈장 내 투여 단백질의 농도를 Invitrogen(미국)의 human IgG total ELISA로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1) hIgG : 인간성장호르몬을 100 mM acetate buffer, pH 4.5 에 녹여 비강에 3.3mg/kg로 투여, 2) hIgG+SEQ14 : 동량의 hIgG를 동일 buffer에서 10 μM SEQ14 와 함께 비강 투여, 3) hIgG+TC : 동량의 hIgG를 동일 buffer에서 30 mM Taurocholate, 와 함께 비강 투여, 4) hIgG+TC+SEQ14 : 동량의 hIgG를 동일 buffer에서 30 mM Taurocholate, 10 μM SEQ14 와 함께 비강 투여.
구체적으로, 8주령의 C57BL/6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한국)에 Ketamine/Xylazine(각각 100mg/kg, 10mg/kg)(비케이팜, 한국)을 복강 투여하여 마취하였다. 마취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 후, 각 실험군은 10 μl의 투여부피의 용액을 콧구멍에 직접 투여하였고, 3시간 후, 헤파린 코팅된 capillary를 이용해 안와 채혈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ELISA kit의 제조사 매뉴얼에 따라 측정을 하여 그래프로 표시하였다(도 13). 그 결과 taurocholate 및 SEQ14을 함께 투여하는 경우 혈장 내 hIgG의 레벨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강 투여 hIgG의 효율을 주사와 비교하기 위해, 비투여군(control), hIgG 피하주사 투여군 (SC), hIgG 비강 투여군으로 나누어 투여 후 3시간, 6시간 후에 혈장을 수득하였다. 피하주사시 hIgG는 PBS와 함께 투여하였다. 이에 비강투여시 피하 주사보다 현저히 높은 혈중 IgG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B).
실시예 9: 담즙산염, 지방산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비강 점막조직에서 인슐린 흡수율 증가 확인
담즙산염이 일정농도 이상에서는 micelle을 형성하는데 지방산과 혼합할 경우 더 큰 micelle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담즙산염과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현저한 단백질 흡수 증진 효과가 담즙산염, 지방산, 양이온성 펩타이드 조성물에서도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실험은 인슐린의 비강투여에 의한 혈당 강하 실험을 통해 진행하였고, 지방산은 씨그마알드리치 코리아로부터 oleic acid를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1) Control : 15mM taurocholate, 10 μM SEQ14 를 100 mM acetate pH4.5에 녹여 비강 투여, 2) Ins : 1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을 100 mM acetate pH4.5에 녹여 비강 투여, 3) Ins+SEQ14 : 1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10 μM SEQ14 를 100 mM acetate pH4.5에 녹여 비강 투여 4) Ins+TC+OA : 1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15 mM taurocholate, 5 mM oleic acid를 100 mM acetate pH4.5에 녹여 비강 투여, 5) Ins+TC+OA+SEQ14 : 1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15 mM taurocholate, 5 mM oleic acid, 10 μM SEQ14를 100 mM acetate pH4.5에 녹여 비강 투여.
구체적으로,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있는 C57BL/6 마우스를 준비하고, 실험용액을 투여하기 전에, Accuchek 혈당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위 실험 그룹의 용액을 마이크로파이펫으로 마우스의 한쪽 콧구멍에 10 μl 직접 투여한 뒤 시간별로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담즙산, 지방산, 양이온성 펩타이드의 혼합조성물에서 현저한 혈당 강하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15A). 같은 실험 조건에서 투여 후 15분 후 혈장을 수득하여, human insulin ELISA (ALPCO, 미국)로 측정하였을 때, 더욱 더 현저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5B).
실시예 10: 담즙산염, 지방산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 조성물에서 지방산 종류에 따른 비강 점막조직에서 인슐린 흡수율 증가 확인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효과를 확인 하기 위해 1) 1U/kg 투여 용량의 인슐린, 15 mM taurocholate, 5 mM oleic acid 를 100 mM acetate pH4.5에 녹여 비강 투여 실험군과 5mM 지방산을 추가한 실험군으로 실험그룹을 구성하였다. 실험에 필요한 지방산은 씨그마알드리치에서 구입하였다. 포화지방산으로 Butyric acid(4:0), Decanoic acid, (10:0),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불포화지방산으로는 myristoleic acid (14:1), palmitoleic acid (16:1) Oleic acid (18:1), Linoleic acid (18:2)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있는 C57BL/6 마우스를 준비하고, 실험용액을 투여하기 전에, Accuchek 혈당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위 실험 그룹의 용액을 마이크로파이펫으로 마우스의 한쪽 콧구멍에 10 μl 직접 투여한 뒤 시간별로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C16 내지는 C18의 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는 불포화지방산이 포함되었을 때, 담즙산염, 양이온성 펩타이드 조성물에 의한 인슐린 전달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7)

  1. 담즙산염과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피 조직에서 목적 단백질의 투과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단백질은 150 kD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단백질은 인슐린, 인슐린 유사체, GLP-1 유사체, 부갑상선 호르몬, 성장호르몬, 표피세포 성장인자, 올리고머 및 IgG 항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염은 타우로콜레이트(taurocholate), 글라이콜레이트(glycocholate), 콜레이트(cholate),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taurodeoxycholate), 글라이코디옥시콜레이트(glycodeoxycholate), 디옥시콜레이트(deoxycholate), 케노디옥시콜레이트(chenodeoxycholate), 리쏘콜레이트(lithocholate) 및 우로소디옥시콜레이트(urosodeoxychola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C4 내지 C22 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C16 내지 C18 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피흡수제.
  11. 담즙산염,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단백질 약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비만, 골다공증 및 성장호르몬 결핍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담즙산염,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및 건강기능성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담즙산염, 서열번호 1 내지 34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및 기능성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CT/KR2023/003811 2022-03-22 2023-03-22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31828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239 2022-03-22
KR20220035239 2022-03-22
KR1020230011287A KR20230141442A (ko) 2022-03-22 2023-01-27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23-0011287 2023-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812A1 true WO2023182812A1 (ko) 2023-09-28

Family

ID=8810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3811 WO2023182812A1 (ko) 2022-03-22 2023-03-22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1513A (ko)
WO (1) WO202318281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00A (ko) * 2019-02-11 2020-08-20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20200097907A (ko) * 2019-02-11 2020-08-20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향수성 제제를 이용한 카페인 컴플렉스 수용액과 경피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셀룰라이트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20200097904A (ko) * 2019-02-11 2020-08-20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세라마이드 전구체인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아토피 개선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00A (ko) * 2019-02-11 2020-08-20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20200097907A (ko) * 2019-02-11 2020-08-20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향수성 제제를 이용한 카페인 컴플렉스 수용액과 경피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셀룰라이트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20200097904A (ko) * 2019-02-11 2020-08-20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세라마이드 전구체인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아토피 개선 화장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SEN, S. ET AL.: "Curvature of designed armadillo repeat proteins allows modular peptide binding", JOURNAL OF STRUCTURAL BIOLOGY, vol. 201, 2018, pages 108 - 117, XP085346451, DOI: 10.1016/j.jsb.2017.08.009 *
MOGHIMIPOUR ESKANDAR, AMERI ABDULGHANI, HANDALI SOMAYEH: "Absorption-Enhancing Effects of Bile Salts", MOLECULES, vol. 20, no. 8, pages 14451 - 14473, XP093095782, DOI: 10.3390/molecules20081445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513A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658B1 (ko) 생물학적활성폴리펩티드를포함하는질내투여용약제학적조성물
WO2020197359A1 (ko) 섬유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chp (사이클로-히스프로)의 용도
EP0354992A2 (en) Conjugates of VIP and active fragments thereof with hydrophobic moieties and topical composi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ale impotence
KR102132274B1 (ko) 근육 이완용 조성물
CA2527039C (en) Grf analog compositions and their use
WO2021112398A1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8062922A1 (ko) 수가용화된 우르소데옥시콜산을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또는 중증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20989A9 (ko)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182812A1 (ko)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8034453A1 (ko)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WO2020197016A1 (ko) P s e u d i n -2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1251790A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디옥시콜산-펩타이드 결합체 및 이의 용도
WO2020138674A1 (ko) 근육 이완용 조성물
WO2022131820A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펩타이드
US20180344798A1 (en) Topically active peptides for treating cosmetic and dermatological conditions
WO2022050634A1 (ko)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WO2023075060A1 (ko) 보툴리눔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통증개선용 조성물
KR20230141442A (ko)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20180086789A1 (en) Pharmaceutical compound
WO2021251791A1 (ko) 보툴리눔 톡신 유사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3068485A1 (ko) 보툴리눔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탈모개선용 조성물
WO2021172870A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신규 펩타이드
WO2024080400A1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4106822A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3055008A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753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