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00A -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00A
KR20200097900A KR1020190015294A KR20190015294A KR20200097900A KR 20200097900 A KR20200097900 A KR 20200097900A KR 1020190015294 A KR1020190015294 A KR 1020190015294A KR 20190015294 A KR20190015294 A KR 20190015294A KR 20200097900 A KR20200097900 A KR 20200097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hk
pal
gqpr
kttks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삼
Original Assignee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5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900A/ko
Publication of KR2020009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개선 펩타이드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의 경피 약물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세포막 투과 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 피부흡수 펩타이드 (Tat-Peptide, Arginine Oligomer, R6)와 주름개선 펩타이드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함께 함유하여 경피 피부 흡수량을 탁월하게 상승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of 6 Kinds of Functional Peptides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 and Skin Penetrating Peptide (R6) }
피부흡수 펩티드(Arginine Oligomer, R6)를 이용한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의 약물전달증진 펩티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에 비하여 경피약물전달효과가 크게 증진되는 피부흡수 펩티드 소재에 관한 것으로 주름개선 화장품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세포막은 인지질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어 세포막보다 크기가 큰 물질의 제한을 받고 있는데, 최근 세포막 구멍보다 큰 HIV 바이러스가 세포막을 급격하게 투과할 수 있는 것은 HIV 바이러스가 약물전달용 펩티드(Trans Activating Transcription, Tat-Peptide)를 만들어내어 세포막을 투과하는 것을 응용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Tat-Peptide는 8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약물전달을 나타내는 핵심 아미노산 배열은 47번~57번 아미노산인 [YGRKKRRQRRR이다. 이중 양이온 성질을 갖는 아르기닌(Arg)가 6개가 가장 큰 핵심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의 구조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구분되며, 표피는 바깥쪽부터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유극층, 지저층으로 구분됨. 죽은 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은 두께가 약 15μm에 불과하지만 납작하고 케라틴화된 세포층 15~30개가 쌓여 있고 밀도가 1.4 g/cm2이어서 약물의 피부투과에 대한 속도결정 단계에 작용한다고 알려져 았더. 반면 각질층의 밑에 존재하는 표피층과 진피로의 약물확산은 각질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진피에 위치하는 모세혈관의 혈류속도도 충분히 빠른 싱크조건으로 작용하므로 각질층을 통과하는 것이 경피 약물전달시스템이 극복해야 한 가장 큰 장벽이다.
경피흡수의 경로로는 3가지로 구분되는데, 이 경로는 첫 번째는 모공 등의 피부 부속기관, 두 번째는 죽은 피부각질세포를 직접 통과하는 세포를 통한 투과(transcellualr), 마지막으로는 피부각질세포 사이의 비교적 지질층을 통과하는 세포간 투과(intercellular)임. 피부 부속기관은 피부 표면적의 0.1%을 차지하여 전체의 약물흡수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적고, 각질세포는 거의 결정구조인 케라틴이 가득 채워져 있으므로 세포내를 통한 약물의 확산이동도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세포간 경로가 가장 주된 약물흡수경로로 이용되고 또한 약물투과에 대한 장벽으로 작용하므로 약물의 투과속도나 양은 세포간 지질에 대한 약물의 분배계수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경피약물전달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세포간지질의 70nm내외의 크기를 통과하기 위하여 입자크기는 미세화 또는 나노입자화 연구, 세포간지질과 유사한 리포좀 구조, 생체전환 프로드러그를 이용하는 방법, 전기적 퍼텐셀 등에 의한 물리적인 방법, 피부약물대사 억제제 동시투여방법 등이 제시되어 경피약물전달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주름개선 기능성소재의 기술현황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 번째로 레티놀 및 그 유도체는 물이나 공기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져 제형화가 어렵고 효능이 감소하며, 일부 피부자극이 유발됨. 두 번째로 기능성 펩타이드는 경피 약물흡수량이 감소하고, 대식세포에 의해 효능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침투와 면역세포에 의한 짧은 반감기로 효과에 제한을 받는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에 대하여 피부흡수 펩타이드(R6)를 이용하여 경피흡수를 탁월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경피투과 약물전달 펩타이드를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에 펩타이드는 경피 약물흡수량이 감소하고, 대식세포에 의해 효능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하여 세포막 투과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경피흡수를 탁월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경피투과 약물전달 펩타이드를 발견하고 화장품 제형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주름개선 펩타이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는 경피 약물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세포막 투과 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 피부흡수 펩타이드(Arginine Oligomer, R6)를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함께 함유하여 경피 약물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주름개선 펩타이드와 피부흡수 펩타이드를 동시에 0.0001 내지 10.0 중량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름개선 주름개선 펩타이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경피약물흡수 증진을 위한 피부흡수 펩타이드(R6)를 함께 함유하여 주름개선 약물침투량이 1배에서 10배까지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었고 이는 주름개선 화장품에 탁원한 효능을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름개선 펩타이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는 경피 약물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세포막 투과 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 피부흡수 펩타이드(R6)를 함께 함유하여 경피 약물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타이드(R6)을 동시에 0.0001 내지 10.0 중량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름개선 펩타이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는 경피 약물흡수량이 감소하고, 대식세포에 의해 효능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하여 세포막 투과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경피흡수를 탁월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경피투과 약물전달 펩타이드를 발견하고 화장품 제형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 : Arginine Oligomer, R6
세포막 구멍보다 큰 HIV 바이러스가 세포막을 급격하게 투과할 수 있는 것은 HIV 바이러스가 약물전달용 펩티드(Trans Activating Transcription, Tat-Peptide)를 만들어내어 세포막을 투과하는 것을 응용하였고, Tat-Peptide는 8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약물전달을 나타내는 핵심 아미노산 배열은 47번~57번 아미노산인 [YGRKKRRQRRR이다. 이중 양이온 성질을 갖는 아르기닌(Arg)가 6개가 가장 큰 핵심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양이온 성질을 갖는 알르기닌(Arg, R)를 6개만 함유하는 Arginine Oligomer, R6[RRRRRR]를 피부흡수 펩타이드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주름개선 펩타이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는 각각 주름개선 등에 효과가 알려진 기능성 펩타이드로 본 특허는 6종의 주룸개선 펩타이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 대상으로 피부흡수량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피부흡수량 측정 시험 (Franz Cell)
피부 투과 실험을 위하여 receptor chamber에 receptor phase (HCO-60 : ethanol : PBS = 2 : 20 : 78 (w/w/w %)) 5 mL를 채운 다음 준비된 돼지피부(Ginia Pig, 두께 300μm)의 각질층을 위로 향하도록 하여 Franz diffusion cell(Standard 직경 9mm, Receiver 5ml, Permegear)의 donor와 receptor phase 사이에 고정시켰다. 이때 항온 수조를 이용해 온도를 37 ℃로 유지하였으며 24 h 동안 일정하게 150 rpm으로 교반하였다.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를 각각 500 ppm (0.05%)를 함유하고 Arginine Oligomer, R6는 100 ppm(0.01%)를 함유 또는 미함유하는 수용액 2개를 제조하고, 이 용액0.2 mL를 donor에 적하한 후 24 h 동안 0.5 mL의 receptor phase를 sampling port를 통하여 취하였다. 채취 직후 동량의 receptor solution을 receptor chamber에 보충하였다. 채취한 receptor solution은 피부를 통과한 각각 펩타이드의 함량 (transdermal)으로써 HPLC 각각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분석하였다.
Arginine Oligomer, R6의 함유 유무에 따라 기능성펩타이드의 피부흡수량은 GHK는 12ng/mL에서 35ng/mL, Cu-GHK는 15ng/mL에서 39ng/mL, Pal-GHK는 26ng/mL에서 78ng/mL, Pal-KTTKS는 24ng/mL에서 62ng/ml, Pal-GQPR는 23ng/mL에서 64ng/mL, Acetyl Hexapeptide는 19ng/mL에서 37ng/mL로 2배이상 경피 약물전달 증가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Claims (1)

  1. 경피 약물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피부흡수 펩타이드 (Tat-Peptide, Arginine Oligomer, R6)와 주름개선 펩타이드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함께 함유하여 경피 약물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주름개선 펩타이드 (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타이드(Arginine Oligomer, R6)을 함께 각각 0.0001 내지 10.0 중량 %를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15294A 2019-02-11 2019-02-11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20200097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294A KR20200097900A (ko) 2019-02-11 2019-02-11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294A KR20200097900A (ko) 2019-02-11 2019-02-11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00A true KR20200097900A (ko) 2020-08-20

Family

ID=7229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294A KR20200097900A (ko) 2019-02-11 2019-02-11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9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6205A (zh) * 2021-11-30 2022-03-01 滨州医学院 间充质干细胞外泌体及组合物的制备和在化妆品中的应用
WO2023182812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바이오엔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6205A (zh) * 2021-11-30 2022-03-01 滨州医学院 间充质干细胞外泌体及组合物的制备和在化妆品中的应用
CN114106205B (zh) * 2021-11-30 2023-10-10 滨州医学院 间充质干细胞外泌体及组合物的制备和在化妆品中的应用
WO2023182812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바이오엔 담즙산염 및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okri et al. Effects of various penetration enhancers on percutaneous absorption of piroxicam from emulgels
El-Kattan et al. The effect of terpene enhancer lipophilicity on the percutaneous permeation of hydrocortisone formulated in HPMC gel systems
US5843979A (en) Transdermal treatment with mast cell degranulating agents for drug-induced hypersensitivity
EP0612525B1 (en) Transdermal treatment with mast cell degranulating agents for drug-induced hypersensitivity
Ahad et al. Interactions between novel terpenes and main components of rat and human skin: mechanistic view for transdermal delivery of propranolol hydrochloride
KR20190085136A (ko) 피부, 헤어, 네일 및/또는 점막의 치료 및/또는 케어를 위해 유용한 화합물
Shakeel et al. Skin permeation mechanism of aceclofenac using novel nanoemulsion formulation
CA2138880A1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traitement simultane des couches superficielles et profondes de la peau, son utilisation
KR20200097900A (ko) 6종 기능성 펩티드(GHK, Cu-GHK, Pal-GHK, Pal-KTTKS, Pal-GQPR, Acetyl Hexapeptide)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CN113521306B (zh) 具有透皮增强作用的传递体-外泌体膜融合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6092365A1 (en) Carrier molecul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EP3033108B1 (en) Designed peptides for tight junction barrier modulation
Jain et al. PEGylated elastic liposomal formulation for lymphatic targeting of zidovudine
Tahara et al. Transdermal delivery of insulin using a solid-in-oil nanodispersion enhanced by arginine-rich peptides
KR101840045B1 (ko) 옥사졸리딘-2-온 화합물을 캡슐화한 리포좀
CN105451710A (zh) 用于治疗和/或护理皮肤、粘膜和/或指甲的外泌多糖
JP5013648B2 (ja) 皮膚外用剤内の活性成分の皮膚吸収を増進させる組成物
CN111346025B (zh) 一种能够提高水溶性成分皮肤递送效果的脂质体及其组合物以及在化妆品中的应用
KR20200097907A (ko) 혼합 향수성 제제를 이용한 카페인 컴플렉스 수용액과 경피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셀룰라이트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20210040505A (ko) 경피약물전달펩티드와 주름개선펩티드의 신규 접합 기능성 펩티드 조성물
KR20200097904A (ko) 세라마이드 전구체인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와 피부흡수 펩티드(r6)를 함께 함유한 아토피 개선 화장품 조성물
Shokri et al. Effects of skin penetration enhancers in topical antiaging products containing α-hydroxyacids and hyaluronic acid
KR20220067058A (ko) 신규 펩티드인 AHK-Cu-R4-Cu를 함유한 경피투과형 탈모방지 화장품 조성물
KR20180119232A (ko) Cu-Peptide의 경피약물전달 증진을 위한 각질투과세포 펩티드 조성물
KR20210056529A (ko) 신규 컨쥬게이션 펩티드를 함유한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