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58069A1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58069A1
WO2023158069A1 PCT/KR2022/018970 KR2022018970W WO2023158069A1 WO 2023158069 A1 WO2023158069 A1 WO 2023158069A1 KR 2022018970 W KR2022018970 W KR 2022018970W WO 2023158069 A1 WO2023158069 A1 WO 20231580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re
battery
charger
charging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89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ublication of WO20231580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580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Definitions

  •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 to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 the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includes all of the conventional Ni/Cd batteries, Ni/MH batteries, and recent lithium ion batteries.
  • lithium ion batteries have the advantage of much higher energy density than conventional Ni/Cd batteries and Ni/MH batteries.
  • lithium ion batteri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light weight, so they are used as a power source for mobile devices. Recently, the use range has been expanded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a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energy storage medium.
  • One objec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is to provide a battery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ignition and preventing ignition when ignition occurs inside the vehicle after vehicle charging is completed,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 One objec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is to provide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capable of continuously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re is ignition inside a vehicle by receiving a minimum amount of power from a charging connector after vehicle charging is completed.
  • a battery management device controls the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power for battery charging supplied from a sensor and a charger that generat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 Based on the power for fire monitoring supplied from the charger, it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monitors th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the fire and determines whether a fire occurs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 the controller may control other devices inside the vehicle to perform an operation for preventing a fire based on whether the fire occurs.
  • the controller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fire in the charger or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 the controller may receive a minimum amount of power from the charg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e has occurred.
  •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er is disconnected whe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er is not disconnected, the controller supplies power to the charger for monitoring the fire. may be requested, and power for the fire monitoring may be supplied from the charger.
  • a method of operating a battery management device includes generating information on occurrence of a fire, and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based on power for monitoring a fire supplied from the charger, The method may include monitoring information on occurrence of fire and determining whether a fire occurs based on a result of the monitoring.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ire in the charger or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power for monitoring the fire from the charger or converting to a sleep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er is disconnected.
  • the step of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fire monitoring function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ile the fire monitoring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a first user command, after the charging is complete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fire based on power for fire monitoring, or switching to a sleep mode after charging is completed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ile the fire monitoring function is deactivated according to a second user command Further steps may be included.
  • An apparatus for managing a battery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detect ignition factors inside a vehicle in advance by maintaining an operation mode without entering a sleep mode by receiving a minimum amount of power from a charger after vehicle charging is completed. and can take action.
  • An apparatus for managing a battery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provide a user interface through which a user can select whether to enter a sleep mode or remain in an operating mode after vehicle charging is completed, so that the user can make the selection. can do.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battery pack.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6 to 8 are flowcharts showing in detail an operating method of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battery pack.
  • a battery control system including a battery pa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ost controller 2 included in a host system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20 is an interface for receiving measured values of various parameter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circuit connected to these terminals to process the input values.
  •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20 may control ON/OFF of the switching unit 14, for example, a relay or a contactor, and is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10 to monitor each state of the battery module 10. can be monitored
  •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20 may include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of FIG. 3 .
  •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20 may be another system different from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of FIG. 2 . That is,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of FIG. 3 may be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1 or configured as another device outside the battery pack 1 .
  • the upper controller 2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the battery module 10 to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20 .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20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signal applied from the upper controller 2 .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a battery management device (eg,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of FIG. 3 )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cluded in a vehicle 4 .
  • the vehicle 4 may include a vehicle that may include a battery, such as a one-wheeled vehicle, two-wheeled vehicle, three-wheeled vehicle, four-wheeled vehicle, electric vehicle, electric bicycle, truck, bus, and the like.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the sensor 110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fire occurrence.
  • the sensor 110 may detect at least one of temperature, gas, voltage deviation between battery cells, whether light is generated, and whether overvoltage and overcurrent are present.
  • the senso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tage detection sensor, a current detection sensor, a thermistor, a temperature sensor, a light detection sensor, and a gas sensor.
  • the senor 110 may detect at least one of electrolyte leakage, insulation breakdown, disconnection, and tearing of the pouch.
  • the sensor 110 may sense at least one of gas, pressure, current, insulation resistance, temperature, and light emission of the battery, and generate fire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there is.
  •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supplied from the charg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state information such as voltage, current, and SOC of the battery.
  • the controller 120 may monitor fire occurrence information based on power for fire monitoring supplied from a charger.
  • the controller 120 may maintain an operating mode (or monitoring mode) based on the power supplied to the vehicle when the battery charge is completed, and in the operating mode, the controller 120 monitors information about fire occurrence. can do.
  • the operation mode may be a mode in which functions of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performed.
  • the opposite of the operation mode may be a sleep mode, and when the controller 120 enters the sleep mode, the controller 120 may not perform a function.
  •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fire in a vehicle obtained as a result of monitoring,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above a set value, when light is generated above a set value, and when gas is generated above a set value In case of occurre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cases where overvoltage occurs above a set value, when overcurrent occurs above a set value, and when voltage deviation between battery cells exceeds a set value.
  •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other internal devices to perform an operation to prevent a fire based on whether a fire occurs.
  •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other devices inside the vehicle to perform at least one of a forced venting operation, a rapid cooling operation, and an operation of suppressing a fire through a water nozzle.
  • the controller 120 shuts down all systems inside the vehicle to prevent ignition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whether a fire occurs in the vehicle, and may control other devices inside the vehicle to perform an operation to prevent fire in the vehicle.
  • the controller 12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fire in a charger (eg, the charger 2 of FIG. 2 ) or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
  • the controller 120 stores fire-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110 in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or the charg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order to prevent loss of data when a fire occurs. can make it
  • th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fire-related information to an external server (eg, the upper controller 2 of FIG. 1).
  • the controller 120 may receive minimum pow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from a charger (eg, the charger 3 of FIG. 2 ).
  • the controller 120 may check whether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er is disconnected. For exampl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er is not disconnected, the controller 120 may request power supply for fire monitoring from the charger and receive power for fire monitoring from the charger. For another exampl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er is disconnected, the controller 120 may switch to a sleep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er is released, since the user of the vehicle is present at the site, the controller 120 can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discharged by switching to a sleep mode.
  •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130 .
  • the display 130 may receive user input.
  • the display 13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hrough which a user may set whether to switch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to a sleep mode.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of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o maintain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in the operating mode or switch to the sleep mode when the charging of the vehicle is completed. can choose
  • the operation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monitoring mode.
  • the sensor 110 may generat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 the sensor 110 may detect at least one of temperature, gas, voltage deviation between battery cells, whether light is generated, overvoltage, and overcurrent, and based on the detected information, information on fire occurrence is generated. can do.
  • the senso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tage detection sensor, a current detection sensor, a thermistor, a temperature sensor, a light detection sensor, and a gas sensor.
  • 6 to 8 are flowcharts showing in detail an operating method of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a method of operating a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included in a vehicle receiving power for monitoring a fire from a charger when charging detects a fire based on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 Controlling other devices inside the vehicle to perform an operation for prevention (S210), and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ire in a charger or battery management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S22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operating method of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steps S210 and S220.
  • the controller 120 performs an operation to prevent a fire based on whether a fire occurs inside the vehicle.
  •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other devices inside the vehicle to perform at least one of a forced venting operation, a rapid cooling operation, and an operation of suppressing a fire through a water nozzle.
  • the controller 120 shuts down all systems inside the vehicle to prevent ignition of the vehicle.
  • step S220 of storing fire-related information in a charger or battery management device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fire-related information to a charger (eg, charger 2 in FIG. 2) or a battery management device. It can be stored in (100).
  • the controller 120 stores fire-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110 in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or the charg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order to prevent loss of data when a fire occurs. can make i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fire-related information to an external server (eg, the upper controller 2 of FIG. 1).
  • the controller 120 may request power supply for fire monitoring from the charger and receive power for fire monitoring from the charg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receive minimum power for fire monitoring from a charger.
  • the controller 120 may switch to a sleep mode.
  • the operating method of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includes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fire monitoring function (S410), activating or Step of confirming deactivation (S420),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ile the fire monitoring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a first user command, monitoring information about fire occurrence based on power for fire monitoring after charging is completed (S430) and whe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ile the fire monitoring function is disabled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command, switching to a sleep mode after charging is completed (S440) may be further included.
  • step S420 of confirming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monitoring function the controller 120 may confirm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monitoring function based on a user command.
  • the controller 120 switches to the sleep mode after charging is completed when the battery charge is completed while the fire monitoring function is disabled. can do.
  •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system for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 a computing system 1000 may include an MCU 1010, a memory 1020, an input/output I/F 1030 and a communication I/F 1040. there is.
  • the MCU 1010 executes various programs (eg, a battery pack voltage or current collection program, a relay control program, a battery fire detection program, etc.) stored in the memory 1020, and through these programs, the battery pack voltage It may be a processor that process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ing , temperature,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and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 programs eg, a battery pack voltage or current collection program, a relay control program, a battery fire detection program, etc.
  • the memory 1020 may store various programs related to battery log information collection and diagnosis. In addition, the memory 102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current and voltage of a battery, voltage and temperature of a battery pack.
  • the memory 1020 may be a 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 the memory 1020 as a volatile memory may be RAM, DRAM, SRAM, or the like.
  • the memory 1020 as a non-volatile memory may be ROM, PROM, EAROM, EPROM, EEPROM, flash memory, or the like.
  • the examples of the memories 1020 listed above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 the input/output I/F 1030 connects an input device (not shown) such as a keyboard, mouse, or touch panel, an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not shown), and the MCU 10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can provide.
  •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mouse, or touch panel
  • an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not shown)
  • the MCU 10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can provide.
  • the communication I/F 1040 is a componen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to and from the server, and may be various devices capable of support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may transmit/receive information such as a relay control program or voltage, current, temperature, and fire occurrence of various battery packs from a separately prepared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I/F 1040.
  •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is recorded in the memory 1020 and processed by the MCU 1010, so that it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that performs each function shown in FIG. 3, for example. there 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및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발명은 2022.02.15.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2-0019799 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의 일부로 포함한다.
기술분야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이차 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종래의 Ni/Cd 배터리, Ni/MH 배터리 등과 최근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차 전지 중 리튬 이온 배터리는 종래의 Ni/Cd 배터리, Ni/MH 배터리 등에 비하여 에너지 밀도가 훨씬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리튬 이온 배터리는 소형,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 이동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의 전원으로 사용 범위가 확장되어 차세대 에너지 저장 매체로 주목을 받고 있다.
차량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에 커넥터를 연결하고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배터리 충전 완료 후 차량 내부의 모든 장치는 차량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 시간 이후 슬립 모드에 진입하게 되어 이후 차량 내부에서 발화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발화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목적은 차량 충전 완료 후 차량 내부에서 발화가 발생한 경우, 발화를 감지하고 발화를 방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목적은 차량 충전 완료 후 충전 커넥터에서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 내부 발화 여부에 관하여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및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화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기 또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기와의 연결 해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기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충전기로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 공급을 요청하고,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기와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확인되면,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완료 이후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완료 이후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화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기 또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기와의 연결 해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기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충전기로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 공급을 요청하고,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충전기와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확인되면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완료 이후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완료 이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은, 차량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도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않아 차량 내부의 발화를 감지하고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은 차량 충전 완료 후 차량의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하여 차량 내부의 발화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수집하여 발화 원인을 보다 근본적으로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은, 차량 충전 완료 후 충전기로부터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받아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않고 동작 모드를 유지하여 차량 내부 발화 요인을 사전에 감지하고 조치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은, 차량 충전 완료 후 슬립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동작 모드로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가 포함된 차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반적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1)과 상위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상위 제어기(2)를 포함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은 하나의 이상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고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 모듈(10)과, 배터리 모듈(10)의 (+) 단자 측 또는 (-) 단자 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의 충방전 전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14)와, 배터리 팩(1)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과충전 및 과방전 등을 방지하도록 제어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20)을 포함한다. 이 때, 배터리 팩(1)에는 배터리 모듈(10), 센서(12), 스위칭부(14)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20)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부(14)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0)의 충전 또는 방전에 대한 전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소자로서, 예를 들면, 배터리 팩(1)의 사양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마그네틱 접촉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은 상술한 각종 파라미터를 측정한 값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로서, 복수의 단자와, 이들 단자와 연결되어 입력받은 값들의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20)은, 스위칭부(14) 예를 들어, 릴레이 또는 접촉기 등의 ON/OFF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배터리 모듈(10)에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 각각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20)은 도 3의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20)은 도 2의 배터리 관리 장치(100)와 상이한 다른 시스템일 수 있다. 즉, 도 3의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팩(1)에 포함될 수도 있고, 배터리 팩(1) 외부의 다른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위 제어기(2)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20)으로 배터리 모듈(1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관리 시스템(20)은 상위 제어기(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가 포함된 차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예: 도 3의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차량(4)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4)은 일륜차, 이륜차, 삼륜차, 사륜차,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트럭, 버스 등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는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3)는 차량(4)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3)는 충전 케이블(5)을 통해 차량(4)과 연결될 수 있고, 차량(4)을 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충전기(3)는 차량(4)이 충전 완료된 경우에도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4)은 충전 완료시 충전기(3)로부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4)은 충전이 완료된 경우, 차량(4)의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충전기(3)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센서(110) 및 컨트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도 2의 차량(4)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도 1의 BMS(2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도 1의 BMS(20)와 상이한 다른 장치일 수도 있다.
센서(110)는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온도, 가스, 배터리 셀 간 전압 편차, 빛 발생 여부, 과전압 및 과전류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110)는 전압 감지 센서, 전류 감지 센서, 써미스터(Thermistor), 온도 센서, 빛 감지 센서 및 가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서(110)는 배터리의 전해액의 누액 여부, 절연 파괴 여부, 이선지락 여부 및 파우치 찢김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센서(110)는 배터리의 가스, 압력, 전류, 절연 저항, 온도 및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배터리의 전압, 전류, SOC 등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차량이 공급받는 전원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또는 모니터링 모드)를 유지할 수 있고, 동작 모드에서 컨트롤러(120)는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동작 모드의 반대는 슬립 모드일 수 있고, 컨트롤러(120)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컨트롤러(120)는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모니터링 결과로 획득된 차량의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빛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가스가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과전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과전류가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및 배터리 셀 간 전압 편차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화재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강제 벤트 동작, 급속 쿨링 동작 및 워터 노즐을 통해 화재를 진압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차량 내부의 모든 시스템을 셧 다운(shut down)하여 차량 발화까지 진행이 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120)는 차량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의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화재에 관한 정보를 충전기(예: 도 2의 충전기(2)) 또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센서(110)에서 수집된 화재에 관한 정보를 배터리 관리 장치(100) 또는 충전기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120)는 화재에 관한 정보를 외부 서버(예: 도 1의 상위 제어기(2))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20)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충전기(예: 도 2의 충전기(3))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와의 연결 해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컨트롤러(120)는 충전기로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 공급을 요청할 수 있고, 충전기로부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충전기와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확인되면, 컨트롤러(120)는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기와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차량의 사용자가 현장에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컨트롤러(120)는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에게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슬립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30)는 충전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에게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슬립 모드로 전환할지 또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동작 모드로 유지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디스플레이(130)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사용자 명령에 기반하여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컨트롤러(120)는 충전 완료 이후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있는 동안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컨트롤러(120)는 충전 완료 이후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동작 모드(또는 모니터링 모드)로 유지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45)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 모드로 유지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45)을 통해, 사용자는 차량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동작 모드로 유지시킬지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버튼(45)을 통해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 모드는 모니터링 모드로 참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S120),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30) 및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에서 센서(110)는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온도, 가스, 배터리 셀 간 전압 편차, 빛 발생 여부, 과전압 및 과전류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110)는 전압 감지 센서, 전류 감지 센서, 써미스터(Thermistor), 온도 센서, 빛 감지 센서 및 가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S120)에서 컨트롤러(120)는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30)에서, 컨트롤러(120)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에 기초하여 센서(110)로부터 생성되는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 컨트롤러(120)는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차량의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빛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가스가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과전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과전류가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및 배터리 셀 간 전압 편차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경우 차량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완료시 충전기로부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차량에 포함된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화재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S210),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화재에 관한 정보를 충전기 또는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S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10 단계 및 S220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S210)에서 컨트롤러(120)는 화재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강제 벤트 동작, 급속 쿨링 동작 및 워터 노즐을 통해 화재를 진압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차량 내부의 모든 시스템을 셧 다운(shut down)하여 차량 발화까지 진행이 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화재에 관한 정보를 충전기 또는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S220)에서 컨트롤러(120)는 화재에 관한 정보를 충전기(예: 도 2의 충전기(2)) 또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센서(110)에서 수집된 화재에 관한 정보를 배터리 관리 장치(100) 또는 충전기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120)는 화재에 관한 정보를 외부 서버(예: 도 1의 상위 제어기(2))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와의 연결 해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10) 및 충전기로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 공급을 요청하고, 충전기로부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기와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확인되면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320, S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와의 연결 해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10)에서 컨트롤러(120)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와의 연결 해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가 존재하면 컨트롤러(120)는 충전기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충전기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가 없으면 컨트롤러(120)는 충전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충전기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320에서, 컨트롤러(120)는 충전기로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 공급을 요청할 수 있고, 충전기로부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충전기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충전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확인되면, S330에서, 컨트롤러(120)는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410),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인하는 단계(S420), 제1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 이후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430) 및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 이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410)에서 컨트롤러(120)는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디스플레이(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인하는 단계(S420)에서 컨트롤러(120)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 기능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예: 제1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S430에서, 컨트롤러(120)는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 이후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예: 제2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S440에서, 컨트롤러(120)는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 이후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1000)은 MCU(1010), 메모리(1020), 입출력 I/F(1030) 및 통신 I/F(1040)를 포함할 수 있다.
MCU(1010)는 메모리(102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예를 들면, 배터리 팩 전압 또는 전류 수집 프로그램, 릴레이 제어 프로그램, 배터리 화재 감지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키고,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배터리 팩의 전압, 온도, 화재 발생 여부 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처리하며, 전술한 도 2에 나타낸 배터리 관리 장치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1020)는 배터리의 로그 정보 수집 및 진단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20)는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배터리 팩의 전압, 온도 등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020)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메모리(1020)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1020)는 RAM, DRAM, SR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1020)는 ROM, PROM, EA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거한 메모리(1020)들의 예를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 I/F(103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미도시)와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의 출력 장치와 MCU(1010) 사이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I/F(1040)는 서버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각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관리 장치는 통신 I/F(1040)를 통해 별도로 마련된 외부 서버로부터 릴레이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배터리 팩의 전압, 전류, 온도, 화재 발생 여부와 같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1020)에 기록되고, MCU(1010)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예를 들면 도 3에서 도시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배터리 관리 장치에 있어서,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및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화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기 또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기와의 연결 해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기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충전기로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 공급을 요청하고,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기와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확인되면,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완료 이후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완료 이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8.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화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기 또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기와의 연결 해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기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충전기로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 공급을 요청하고,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충전기와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확인되면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완료 이후 상기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발생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화재 모니터링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완료 이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22/018970 2022-02-15 2022-11-28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WO202315806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799 2022-02-15
KR1020220019799A KR20230122936A (ko) 2022-02-15 2022-02-15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069A1 true WO2023158069A1 (ko) 2023-08-24

Family

ID=8757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8970 WO2023158069A1 (ko) 2022-02-15 2022-11-28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2936A (ko)
WO (1) WO202315806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0103A (ja) * 2011-03-23 2012-10-18 Panasonic Corp 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
KR101280004B1 (ko) * 2011-11-18 2013-07-05 자동차부품연구원 충전시스템 연계형 배터리 온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1774A (ko) * 2014-02-04 2015-08-12 주식회사 수만테크 비상 전원 공급 시스템
US9496734B2 (en) * 2011-03-11 2016-11-15 Nissan Motor Co., Ltd. Charg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KR102352308B1 (ko) * 2021-07-23 2022-01-17 주식회사유비씨에스 충전 검출에 의한 웨이크업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6734B2 (en) * 2011-03-11 2016-11-15 Nissan Motor Co., Ltd. Charg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2012200103A (ja) * 2011-03-23 2012-10-18 Panasonic Corp 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
KR101280004B1 (ko) * 2011-11-18 2013-07-05 자동차부품연구원 충전시스템 연계형 배터리 온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1774A (ko) * 2014-02-04 2015-08-12 주식회사 수만테크 비상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352308B1 (ko) * 2021-07-23 2022-01-17 주식회사유비씨에스 충전 검출에 의한 웨이크업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936A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3364A1 (ko)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하여 배터리팩을 보호하는 방법
WO2017047937A1 (ko) 배터리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WO2016200212A1 (ko) 배터리 셀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WO2011083993A2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128445A1 (ko) 배터리 팩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1102576A1 (ko) 셀 밸런싱 회로의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2165879A2 (en)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battery cell information
WO2021049753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9221368A1 (ko) 메인 배터리와 서브 배터리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배터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7188633A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충전 방법
WO2022015025A1 (ko) 배터리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WO2021006566A1 (ko) 배터리 셀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9103412A1 (ko) 배터리 장치 및 배터리 온도 조절방법
WO2012044125A2 (ko) 배터리 시스템의 가변적 단선 장치 및 가변적 단선 제어 방법
WO2018048128A1 (ko)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WO2013115437A1 (ko) 배터리 팩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 릴레이 어셈블리
WO2020171417A1 (ko) Ess의 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11987A1 (ko) 통신 에러로부터 잘못된 제어 알고리즘의 수행을 방지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WO2018088685A1 (ko) 배터리 팩
WO2023158069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WO2018030636A1 (ko) 배터리 팩
WO2016200009A1 (ko) 배터리 팩 보호 시스템 및 방법
WO2021125678A1 (ko) 병렬 배터리 릴레이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2085962A1 (ko) 배터리 감시 장치, 배터리 감시 방법, 배터리 팩 및 전기 차량
WO2020130576A1 (ko) Bms 인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74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