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28452A1 -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28452A1
WO2023128452A1 PCT/KR2022/020955 KR2022020955W WO2023128452A1 WO 2023128452 A1 WO2023128452 A1 WO 2023128452A1 KR 2022020955 W KR2022020955 W KR 2022020955W WO 2023128452 A1 WO2023128452 A1 WO 20231284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bowel
extract
bowel disease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09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미원
김신연
최진규
김세웅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284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284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61K36/315Isatis, e.g. Dyer's wo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2Juglandaceae (Walnu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장관에 원인미상의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면서 진행하는 임상경과를 보이며,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인 질환이다. 염증성 장질환의 발생 원인이나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 장내 세균이나 음식물 등의 환경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장 면역계의 지속적이거나 부적절한 활성화는 만성 점막성 염증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호중구, 대식세포, 림프구 및 비만세포의 침윤에 의해 결국 점막 파괴 및 궤양을 초래한다. 침윤되고 활성화된 호중구는 활성산소종 및 활성질소종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이러한 활성종은 세포독성 물질로서 가교 단백질, 지질 및 핵산을 분해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고 상피성 기능장애 및 손상을 초래한다.
염증성 장질환의 근본적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다. 주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의 생성을 차단하는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 계통 약물, 예를 들어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등을 이용하거나, 스테로이드류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있다.
설파살라진은 복부허실(fullness), 두통, 발진, 간질환, 백혈구 감소증, 무과립구증, 남성 불임 등과 같은 부작용 또는 역효과를 일으키기 쉽다. 또한, 설파살라진이 장의 환부를 절개한 환자 또는 차도가 있는 환자에게 충분한 재발 억제 효과가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스테로이드류의 면역억제제는 부신피질 스테로이드로서, 단기적인 효과는 인정받고 있지만, 장기적인 예후를 향상시킬 수는 없다. 또한, 유도된 감염성 질환, 2차 부신피질 부전증, 소화성 궤양, 당뇨병, 정신장애, 스테로이드성 신장병 등과 같은 부작용의 측면에서 단지 급성인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아직까지 염증성 장질환에 대해 신뢰할 만한 치료요법이 없으므로, 부작용이 없고 저렴하면서도 치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그 예로 천연물 추출물을 사용한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10-1710730호)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대청엽(Isatidis Folium)은 십자화과(Cruciferae)에 속한 이년생 초본인 숭람(Isatis indigotica Fortune)의 잎으로, 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전초는 숭람, 뿌리는 판람근이라 하며, 유행성감기, 간염, 급성폐렴, 황달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Maxim.)는 가래나무과(Juglandaceae) 또는 호두나무과로 분류되며, 나무 또는 관목 형태로 존재하고 아메리카, 유라시아 또는 남아시아에 원산지로 두고 있다. 이는 중국 원산의 호두나무와 비슷하며 한국 중부 이북 또는 중국 북동부 등지에서 주로 서식하며 약용식물, 한방 약재로 사용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을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우수한 효과를 갖는 신규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혼합 추출물이 염증성 장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710730호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대청엽과 가래나무는 1 : 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5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 각각의 생약으로부터 추출된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생약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래나무는 가래나무 줄기, 가래나무 열매, 가래나무 뿌리, 또는 가래나무 잎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래나무 열매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1% 내지 9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체중 또는 대장의 길이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비장의 무게 또는 길이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의 용도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장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어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신규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로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여,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염증성 장질환을 갖는 환자들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체중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대장 길이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음성대조군 대비 각 그룹의 비장 무게 및 길이를 측정한 비장율(spleen ratio)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질병활성도(DAI)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질병활성도(DAI)를 대청엽 추출물과 가래나무 열매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투여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염증반응의 지표인 myeloperoxidase(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태양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태양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대청엽은 숭람(Isatis indigotica Fortune)의 잎을 건조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가래나무는 가래나무 줄기, 가래나무 열매, 가래나무 뿌리, 또는 가래나무 잎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래나무 열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복합 추출물" 또는 "복합 생약 추출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대청엽 또는 가래나무의 생약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각각을 포함하거나, 이들 생약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는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아세트산, 또는 상기 극성 용매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는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상기 비극성 용매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1% 내지 9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추출물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광의적으로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 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프(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위장질환 등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위장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투여 또는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인체에 사용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유제품, 발효제품 또는 식품 첨가물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모든 비-인간 동물, 예를 들어 비-인간 영장류, 양, 개, 소, 말 등에게 섭취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대청엽 및 가래나무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
세척 및 건조된 대청엽(Isatidis Folium)과 가래나무 열매(Juglans mandshurica Maxim.)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시료에 10배의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5 μm 여과지로 감압 여과한 후 50 ~ 65 ℃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 상태의 생약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체중 변화 평가
6주령의 C57BL/6N 수컷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 동안 예비사육한 후 8마리씩 무작위로 총 5그룹으로 나누어,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멸균수에 희석한 2.5% 덱스트란 황산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은 총 8일 동안 음수 투여하였고,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인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 또는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DSS 투여 2일 전부터 총 10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군 (NC) 멸균수 경구 투여
음성 대조군 (DSS) 2.5% DSS 투여
양성 대조군 (5-ASA 100 mg/kg) 2.5% DSS 투여 + 5-ASA(100 mg/kg) 경구 투여
실험군 1 (대청엽+가래나무 열매 70% EtOH ex. 30 mg/kg) 2.5% DSS 투여 +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30 mg/kg) 경구 투여
실험군 2 (대청엽+가래나무 열매 70% EtOH ex. 300 mg/kg) 2.5% DSS 투여 +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300 mg/kg) 경구 투여
체중 감소 현상은 염증성 장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으로(Scientific Reports volume 10, Article number: 3829 (2020)), 상기 마우스에 대하여 1일 1회 동일한 시간(오전 10시)에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각 그룹의 몸무게의 변화율은 그룹당 8마리 마우스의 몸무게를 합산한 후 8로 나누어 구하였고, 2.5% DSS 음수 투여 시작 직전의 평균 몸무게를 100%로 정하고 매일 각 그룹의 평균 몸무게를 구하여 몸무게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2.5% DSS를 음수 투여한 음성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집단 별 스튜던트의 T 검정(Student's T test)을 실시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7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 변화율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105.64±0.54 %로 나타난 반면, 음성 대조군은 89.31±2.75 %로 정상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 대조군은 91.38±2.01 %로 나타난 반면,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 mg/kg을 투여한 군은 93.18±1.67 %로,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0 mg/kg을 투여한 군은 97.15±0.89 %로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의 감소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0 mg/kg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은 마우스의 체중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대장 길이 평가
대장의 단소화와 조직적 변화는 충분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장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염증 정도의 형태학적 매개 변수로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대장 길이를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마우스를 각 투여 마지막 날에 희생시킨 후 대장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 길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대장 길이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7.48±0.30 cm인 반면, 음성 대조군은 5.44±0.12 cm로 정상군과 비교하여 대장의 길이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 대조군은 5.28±0.08 cm로 나타났으며,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 mg/kg을 투여한 군은 5.15±0.12 cm,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0 mg/kg을 투여한 군은 6.09±0.06 cm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0 mg/kg을 투여한 군에서 대장 길이의 감소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은 마우스의 대장 길이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비장 염증 수준 평가
염증성 장질환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대표적인 병증으로는 비장염(splenitis)이 있으며, 이와 같이 비장에 염증이 생기면 그 특성상 비장의 크기가 비대해지고(Nutrients 2019, 11(11), 2776), 실제로 DSS 처리 후 유도된 IBD 모델에서 비장이 비대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Biol. Pharm. Bull. 43, 450-457 (2020)).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비장 염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마우스를 각 투여 마지막날에 희생시킨 후 음성대조군 대비 각 그룹의 비장 무게 및 길이를 측정하여 비장율(spleen ratio)로 나타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비장 무게 및 길이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하여 음성 대조군의 비장 무게 및 길이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 대조군,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 mg/kg 투여군,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0 mg/kg 투여군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 무게 및 길이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0 mg/kg을 투여한 군은 가장 우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은 마우스에서 염증성 장질환에 따른 비장 염증으로 인해 비장이 비대해지는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질병활성도(DAI) 평가 I
상기 실시예 1의 투여 방법으로 처리된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의 염증성 장질환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체중 변화, 변의 굳기, 변이나 항문에서 육안적으로 관찰되는 혈변의 유무를 하기 표 2의 질병활성도(Disease Activity Index, DAI) 등급에 따라 투여 기간 동안 매일 확인하여 질병활성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질병활성도 수치 (Disease Activity Index score)
체중감소 점수 변의 형태 점수 혈변 점수
<1% 0 딱딱하고 단단함 0 없음 0
1-5% 1 단단하나 끈적함 1 숨겨짐 1
5-10% 2 부드러우나 형태 유지 2 눈에 보이는 2
10-15% 3 부드러우면서 형태 손실 3 직장 출혈 3
15-20% 4 액체로서 형태가 없음 4 -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질병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음성 대조군에서 질병활성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 mg/kg 투여군, 및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0 mg/kg 투여군에서 질병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복합 추출물 300 mg/kg 투여군은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월등하게 우수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질병활성도(DAI) 평가 II
복합 추출물이 대청엽 및 가래나무 열매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상승 효과를 가지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6주령의 C57BL/6N 수컷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 동안 예비사육한 후 7마리씩 무작위로 총 6그룹으로 나누어,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정상군
(NC)
멸균수 경구 투여
음성 대조군(DSS) 2.5% DSS 투여
양성 대조군(5-ASA 100 mg/kg) 2.5% DSS 투여 + 5-ASA(100 mg/kg) 경구 투여
실험군 3(대청엽 70% EtOH ex. 50 mg/kg) 2.5% DSS 투여 + 대청엽 단독 추출물(50 mg/kg) 경구 투여
실험군 4(가래열매 70% EtOH ex. 50 mg/kg) 2.5% DSS 투여 + 가래열매 단독 추출물(50 mg/kg) 경구 투여
실험군 5(대청엽+가래열매 70% EtOH ex. 100 mg/kg) 2.5% DSS 투여 +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100 mg/kg) 경구 투여
멸균수에 희석한 2.5% 덱스트란 황산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은 총 5일 동안 음수 투여하였고,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인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 대청엽 단독 추출물, 가래열매 단독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DSS 투여 2일 전부터 총 7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질병활성도를 측정하였고, 투여 후 5일이 경과한 시점의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에서 질병활성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양성대조군(5-ASA), 대청엽 단독추출물 50 mg/kg 투여군 및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에서 질병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래열매 단독 추출물 50mg/kg 투여군에서는 질병활성도 감소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가래열매와 대청엽의 복합 추출물은 대청엽 단독추출물과 비교하여 유의한 질병활성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단독추출물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현저한 효과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대청엽 단독 추출물과 가래열매 단독추출물 투여군과 비교하여 염증성 장질환 유도 마우스 모델의 질병활성도를 개선시키는 우수한 상승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Myeloperoxidase(MPO) 활성 평가
MPO는 호중구에서 주로 발견되는 효소로서 조직에서 MPO의 활성은 호중구 침윤 지표가 되기 때문에 염증반응의 지표로써 염증성 대장염에 의한 장 손상 수치와 상관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MPO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5의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멸균수에 희석한 2.5% 덱스트란 황산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은 총 5일 동안 음수 투여하였고,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인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 대청엽 단독 추출물, 가래열매 단독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DSS 투여 2일 전부터 총 7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으며, MPO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Mouse MPO ELISA kit (HK210-02, Hycult biotechnology)를 이용하였다. 대장 조직을 차가운 PBS로 세척하고 조직의 무게 10 ㎎ 당 lysis buffer (200 mM NaCl, 5 mM EDTA, 10 mM tris, 10% glycerin, 1 mM PMSF, 1 mg/ml leupeptin and 28 mg/ml aprotinin (pH 7.4)) 200 ㎕를 첨가한 후 tissue homogenizer (Mixer mill MM400, Retsch)를 이용하여 30 초간 균질화하였다. 균질화한 시료를 1500Х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은 다음, 해당 상등액을 이용하여 MPO 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음성대조군(DSS 투여군)에서 MPO 활성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고,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양성대조군(5-ASA 100 ㎎/㎏ 투여군)에서 MPO 활성이 9.6%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청엽 단독 추출물과 가래열매 단독추출물 투여군에서 MPO 활성이 16.9% 및 6.3%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인 대청엽 및 가래열매 복합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에서 MPO 활성이 41.2%로 가장 많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및 가래열매 복합 추출물은 대청엽 단독 추출물과 가래열매 단독추출물 투여군과 비교하여 염증성 장질환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MPO 활성을 억제시키는 우수한 상승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대청엽과 가래나무가 1 : 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대청엽과 가래나무가 1 : 0.5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대청엽과 가래나무가 1 :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청엽 및 가래나무 각각의 생약으로부터 추출된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생약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래나무는 가래나무 열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0.01% 내지 9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0% 내지 8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7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또는 대장의 길이의 감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장의 무게 또는 길이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3.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용 사료 조성물.
PCT/KR2022/020955 2021-12-27 2022-12-21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WO202312845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8175 2021-12-27
KR10-2021-0188175 2021-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452A1 true WO2023128452A1 (ko) 2023-07-06

Family

ID=8699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0955 WO2023128452A1 (ko) 2021-12-27 2022-12-21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9646A (ko)
WO (1) WO202312845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3457A (zh) * 2014-03-31 2014-07-02 王红 一种治疗溃疡性结肠炎中药
KR20200120884A (ko) * 2019-04-12 2020-10-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래나무 추출물, 분획물 또는 그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및 분해 효과를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2228028B1 (ko) * 2020-10-14 2021-03-15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청대, 닥나무, 및 가래나무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730B1 (ko) 2011-07-29 2017-02-2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3457A (zh) * 2014-03-31 2014-07-02 王红 一种治疗溃疡性结肠炎中药
KR20200120884A (ko) * 2019-04-12 2020-10-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래나무 추출물, 분획물 또는 그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및 분해 효과를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2228028B1 (ko) * 2020-10-14 2021-03-15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청대, 닥나무, 및 가래나무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HWA-DONG: "Isolation of components from isatidis folium and their cosmeceutical activities",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KR, 1 December 2012 (2012-12-01), KR, pages 1 - 168, XP009541079 *
PARK SOOK-JAHR, LEE JONG-ROK, JO MI-JEONG, PARK SANG-MI, BUYN SUNG-HUI, CHO IL-JE, KIM SANG-CHAN: "Effects of Isatidis Radix and it's Active Component, Tryptanthrin o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264.7 Cell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XX, KOREA, vol. 24, no. 1, 25 April 2011 (2011-04-25), Korea , pages 64 - 77, XP093003792, ISSN: 1738-6640, DOI: 10.6114/jkood.2011.24.1.06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646A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ian et al. Astagalus polysaccharide attenuates murine colitis through inhibiton of the NLRP3 inflammasome
WO2018128408A1 (ko) 바이칼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또는 아토피 등의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8117659A1 (ko) 청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105926A1 (ko) 유산균 발효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WO2014025202A1 (ko) 작약, 건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22131428A1 (ko)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3128452A1 (ko)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Du et al. Gastroprotective effect of eupatilin, a polymethoxyflavone from Artemisia argyi H. Lév. & Vaniot, in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via NF-κB signaling pathway
WO2021071269A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31211A1 (ko) 세신, 길경 및 계지 중 2종 이상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16862A1 (ko) 금은화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1108907A2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WO2022240257A1 (ko)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03497A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74453A2 (ko) 잔틴 산화효소 저해효과 및 염증유발효소 저해효과가 있는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풍 치료용 조성물
WO2019066590A1 (ko) Zag 유래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WO2017069476A1 (ko) 목단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80523A1 (ko) 청대, 닥나무, 및 가래나무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12348A1 (ko) 전립선비대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조성물
WO2023177267A1 (ko) iCet(innovative CKD extraction technology) 기술이 적용된 육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또는 소화성 궤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359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raction of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WO2023121331A1 (ko) 갯까치수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4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Yuan et al. Research progress on the mechanism of astragaloside IV in the treatment of asthma
WO2021256865A1 (ko)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165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