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74990A1 -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74990A1
WO2023074990A1 PCT/KR2021/016878 KR2021016878W WO2023074990A1 WO 2023074990 A1 WO2023074990 A1 WO 2023074990A1 KR 2021016878 W KR2021016878 W KR 2021016878W WO 2023074990 A1 WO2023074990 A1 WO 20230749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hair removal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8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만수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시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시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시스컴퍼니
Publication of WO20230749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749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Preparations for removing hair or for aiding hair remov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depilation, which can easily prepare formulations for various viscosities by adjusting the ratio of raw materials used, heating temperature, heating holding time, and the like.
  • Cosmetics are substances used to beautify the human body to cover imperfections and make it look attractive. As interest in appearance increases, various products that can relieve inflammation, remove odor, improve wrinkles, whiten, and provide hair removal effects are emerging. are being developed Among them, cosmetics for hair removal are cosmetics used to remove hair other than hair. For example,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tent literature, it is manufactured using sugar and has a wax form, applies it to the skin, attaches a strip, removes the strip, and removes the hair.
  • the sugar wax has a formulation by viscosity classified into soft sugar wax, medium sugar wax, and hard sugar wax, and the soft sugar wax having the lowest viscosity is used to remove thin hair and downy hair, and the hard sugar wax having the highest viscosity It is used to remove coarse hai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that can easily prepare formulations for various viscosities by adjusting the ratio of raw materials used, heating temperature, heating holding time, and the lik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that can improve the disadvantages that may occur during hair removal and provide an additional skin improvement effect while providing excellent hair removal effects using natural raw materials.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material mixing step of mixing and stirring sugar, water and citric acid to form a mixture, while stirring the mixture formed in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ing step of gradual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to heat to a set temperature, and a heating maintenance step of maintaining the heated state at the set temperature until the set time while stirring the contents obtained in the heating step.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sugar, water and citric acid mixed in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the set temperature and set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having a separate formulation can be prepared.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70 to 80 parts by weight of sugar, 0.5 to 1.0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and 19 to 30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mixed. , In the heating step, the mixture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of 85 to 95 ° C., and in the warming step, the heated state is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of 85 to 95 ° C. for 10 to 20 minutes, to obtain a soft-type hair removal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anufactured.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65 to 70 parts by weight of sugar, 1 to 4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and 26 to 34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mixed. , In the heating step, the mixture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of 95 to 115 ° C., and in the warming step, the mixture is maintained at a set temperature of 95 to 115 ° C. for 20 to 30 minutes, thereby preparing a medium-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anufactured.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60 to 65 parts by weight of sugar, 2 to 8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and 27 to 38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mixed, , In the heating step, the mixture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of 115 to 120 ° C., and in the warming step, the heated state is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of 115 to 120 ° C. for 30 to 50 minutes, to prepare a hard-type hair removal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anufactured.
  • the additives include a plant additive for skin irritation relief, a plant additive for odor removal and a plant additive for inflammation relief, ,
  • the plant additive for relieving skin irritation is made by mix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purslane extract, willow extract and rhizome extract, and plant additives for odor removal are white xylem extract, windbreak extract, nutmeg tree extract, yellow wall
  • the wood extract and the hemlock extract are mixed, and the plant additive for relieving inflam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ixture of a pungge tree extract, a chalcedony extract, a stingray tree extract, a locust tree extract, and a presser foot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preparation of formulations for various viscosities by adjusting the ratio of raw materials used, heating temperature, heating holding time,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isadvantages that may occur during hair removal and providing an additional skin improvement effect while providing an excellent hair removal effect using natural raw materials.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is mixing sugar, water and citric acid
  • a heating and maintaining step (S3) of maintaining the heated state at the set temperature until the set time while stirring the obtained contents and a cooling addition step of adding additives and stirring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product obtained in the warming and maintaining step (S3) (S4) and a formulation completion step (S5) of further cooling the product obtained in the cooling addition step (S4) and formulating it in a container, sugar mixed in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S1), Since it is possible to vary the viscosity of the prepared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water and citric acid,
  • citric acid may be included in the mixture by using purified citric acid or lemon juic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itric acid. When purified citric acid is used, citric acid is first dissolved in water and then sugar Add and stir to form a mixture.
  • a soft-type hair removal cosmetic composition in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S1), 70 to 80 parts by weight of sugar, 0.5 to 1.0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and 19 to 30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mixed, and a medium-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 a medium-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In order to manufacture, in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S1), 65 to 70 parts by weight of sugar, 1 to 4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and 26 to 34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mixed, and the raw materials are mixed to prepare a hard-type hair removal cosmetic composition.
  • step (S1) 60 to 65 parts by weight of sugar, 2 to 8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and 27 to 38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mixed.
  • the heating step (S2) is a step of heating the mixture formed in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S1) to a set temperature by gradually raising the temperature while stirring. In the heating step (S2), the mixture is stirred at 30 to 40 rpm.
  • the heating step (S2) the mixture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of 85 to 95 ° C. The mixture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of 115°C to 115°C, and the mixture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of 115 to 120°C in the heating step (S2) to prepare a hard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 the warming and maintaining step (S3) is a step of maintaining the heated state at the set temperature until the set time while stirring the contents obtained in the heating step (S2).
  • the contents obtained in the heating step (S2) are stirred at 40 to 65 rpm.
  • the warm state is maintained at a set temperature of 85 to 95 ° C for 10 to 20 minutes, and to prepare a medium-type hair removal cosmetic composition
  • the heated state is maintained for 20 to 30 minutes at a set temperature of 95 to 115 ° C., and in the warming and maintaining step (S3), 115 to 120 ° C.
  • the heated state is maintained for 30 to 50 minutes at the set temperature.
  • the additional cooling step (S4) is a step of adding and stirring an additive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product obtained in the warming and maintaining step, and in the cooling additional step (S4), the product obtained in the warming and maintaining step (S3) After cooling to reach a temperature of 65 to 75° C., additives are added and stirring is performed at 20 to 50 rpm.
  • various additives may be used that can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and provide additional skin improvement effects.
  • plant additives 0.5 to 3 parts by weight, 0.5 to 3 parts by weight of a plant additive for odor removal and 0.5 to 3 parts by weight of a plant additive for relieving inflammation may be mixed.
  • the plant additive for relieving skin irrit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ntella asiatica extract, purslane extract, willow extract, and rhizome extract.
  • the plant additive for relieving skin irritation is preferably made by mix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purslane extract, willow extract and rhododendron chinensis extract in a weight ratio of 1: 1: 1: 1.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further comprises a plant additive for relieving skin irrit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amage to the skin in the process of removing hair by using.
  • the white sand juniper is an evergreen shrub of the dicotyledonous myrtle plant family Apiaceae
  • the windbreak is a dicotyledon plant umbel apiaceae
  • the bicotyledon tree is an evergreen tree of the gymnosperm coniferous yew family
  • the hwangbyeok tree is a dicotyledonous plant It is a deciduous tree of the rhododendron tree Rutaceae
  • the hemlock is an evergreen tree of the gymnosperm coniferous subclass Coniferous Pinaceae
  • the white xylem extract, windbreak extract, birch extract, hwangbyeok extract and hemlock extract are white xylem leaves, It is obtained by mixing each of windbreak leaf, nutmeg tree leaf, hwangbyeok tree leaf, and hemlock leaf with ethanol, removing the solid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concentrating the obtained extract under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can be used to remove hairs growing in areas with a lot of odor in the human body
  • the composition further includes a plant additive for removing the odor to effectively remove not only the depilatory effect but also the odor from the human body. You can do it.
  • the plant additive for relieving the inflammation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ungus extract, a chalcedony extract, an extract of the sage tree, an extract of the tree bark, and an extract of the presser foot.
  • the plant additive for relieving the inflammation is preferably made of a mixture of a fungus extract, a chalcedony extract, an extract of sagebrush, an extract of pine tree extract, and an extract of presser foot in a weight ratio of 1: 1: 1: 1: 1.
  • the formulation completion step (S5) is a step of further cooling the obtained product obtained in the cooling addition step (S4) and formulating it in a container.
  • citric acid 2.5 parts by weight was dissolved in 30 parts by weight of water, 67.5 parts by weight of sugar was added and stirred to form a mixture, and while the mixture was stirred at 35 rpm, the temperature was gradually raised to heat the mixture to a set temperature of 105° C. to obtain a heating material. And, while the heated water was stirred at 55 rpm, the heated water was maintained at 105° C. for 25 minutes,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sugar wax sample 1-2.
  • Sugar wax samples 1-5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0.7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was dissolved in 25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74.3 parts by weight of sugar was added and stirred to form a mixture.
  • sugar wax samples 1-1 and 1-4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skin, and sugar wax samples 1-2 and 1-3 can be applied to the skin when heated using a microwave oven. It can be seen that the application is possible, and the sugar wax samples 1-5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skin, and when heated in a microwave oven, the viscosity is not reduced and burned.
  • the hard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corresponding to sugar wax samples 1-3) has the most excellent hair removal effect but also damages the skin the most. The effect improved by the added additive will be examined.
  • Extracts 2-1, 2-2, 2-3, 2-4 and 2-5 were obtained.
  • extracts 2-1, 2-2, 2-3, 2-4 and 2-5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1:1:1 to obtain extract 2-6.
  • extracts 3-7 was obtained, and extracts 3-4 and 3-5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 to obtain extract 3-8, extracts 3-1, 3-2, 3-3, 3-4 and 3-5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1:1:1 to obtain extracts 3-9.
  • MTT assay was performed on extracts 1-1 to 1-5, extracts 2-1 to 2-6, and extracts 3-1 to 3-9.
  • Cultured RAW 264.7 cells were simultaneously treated with LPS (1 ⁇ g/mL), extracts 1-1 to 1-5, extracts 2-1 to 2-6, and extracts 3-1 to 3-9, respectively, and cultured for 36 hours. .
  • 10 ⁇ L of MTT solution was added and incubated for 12 hours.
  • DMSO was added, and after shaking well using a plate mixer,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Cytotoxicity was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the stimula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xtracts 1-1 to 1-5, extracts 2-1 to 2-6, and extracts 3-1 to 3-9 did not show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s of 100 ug/mL or less, respectively.
  • Skin reactivity (score ⁇ number of reactions ⁇ 100 ⁇ 1/2) / [3 (maximum score) ⁇ total number of subjects (n)] (evaluation score for skin reaction is 0 (no reaction), 0.5 (faint or mild erythema) , 1 (mild erythema with well-defined borders), 2 (marked erythema, papules, and vesicles), 3 (severe erythema and bullous vesicles))
  • sugar wax sample 2-6 2-7 2-8 2-9 2-10 2-11 decrease rate 70 68 72 66 70 90
  • extracts 3-1 to 3-9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and when used in a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removal, extracts 3-1 to 3-9 can provide anti-inflammatory effects as well as hair removal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되는 원료의 비율, 가열 온도, 가온 유지 시간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사용되는 원료의 비율, 가열 온도, 가온 유지 시간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미화시켜 결점을 커버하여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염증 완화, 냄새 제거, 주름 개선, 미백, 제모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제모용 화장품은 머리카락 이외의 털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으로, 일 예로 하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설탕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왁스 형태를 가져 피부에 바르고 스트립을 붙인 후 스트립을 떼어내 털을 제거하는 슈가 왁스를 들 수 있다. 상기 슈가 왁스는 소프트 슈가 왁스, 미디움 슈가 왁스, 하드 슈가 왁스로 분류되는 점도별 제형을 가지며, 가장 저점도를 가지는 소프트 슈가 왁스는 가는 털 및 솜털의 제거에 사용되고, 가장 고점도를 가지는 하드 슈가 왁스는 굵은 털의 제거에 사용되게 된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제10-2282959호(2021. 07. 22. 등록) "함수 결정성 겔화를 이용한 반고형 슈가왁스 제조 방법"
하지만, 종래의 슈가 왁스 등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점도를 가지는 슈가 왁스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되는 원료의 비율, 가열 온도, 가온 유지 시간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원료를 이용하여 우수한 제모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제모 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설탕, 물 및 구연산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원료혼합단계와,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온도를 서서히 높여 설정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에서 얻은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설정온도로 설정시간까지 가온 상태를 유지하는 가온유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 혼합되는 설탕, 물 및 구연산의 혼합비율, 상기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조절하여, 다른 점도별 제형을 가지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는 설탕 70 내지 80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1.0중량부 및 물 19 내지 30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가열단계에서는 85 내지 95℃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이 가열되고, 상기 가온유지단계에서는 85 내지 95℃인 설정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가온 상태가 유지되어, 소프트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는 설탕 65 내지 70중량부, 구연산 1 내지 4중량부 및 물 26 내지 34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가열단계에서는 95 내지 115℃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이 가열되고, 상기 가온유지단계에서는 95 내지 115℃인 설정 온도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가온 상태가 유지되어, 미디움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는 설탕 60 내지 65중량부, 구연산 2 내지 8중량부 및 물 27 내지 38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가열단계에서는 115 내지 120℃의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이 가열되고, 상기 가온유지단계에서는 115 내지 120℃인 설정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가온 상태가 유지되어, 하드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가온유지단계에서 얻은 수득물을 냉각하는 과정에서 첨가제를 추가하고 교반하는 냉각추가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피부 자극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 냄새제거를 위한 식물 첨가제 및 염증 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피부 자극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능수버들 추출물 및 긴병꽃풀 추출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냄새제거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백서향나무 추출물, 방풍 추출물, 비자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및 솔송나무 추출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염증 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풍게나무 추출물, 찰피나무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회화나무 추출물 및 노루발 추출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되는 원료의 비율, 가열 온도, 가온 유지 시간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점도별 제형이 조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원료를 이용하여 우수한 제모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제모 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설탕, 물 및 구연산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원료혼합단계(S1)와, 상기 원료혼합단계(S1)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온도를 서서히 높여 설정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단계(S2)와, 상기 가열단계(S2)에서 얻은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설정온도로 설정시간까지 가온 상태를 유지하는 가온유지단계(S3)와, 상기 가온유지단계(S3)에서 얻은 수득물을 냉각하는 과정에서 첨가제를 추가하고 교반하는 냉각추가단계(S4)와, 상기 냉각추가단계(S4)에서 얻은 수득물을 추가로 냉각하고 용기에 담아 제형화하는 제형완성단계(S5) 등을 포함하며, 상기 원료혼합단계(S1)에서 혼합되는 설탕, 물 및 구연산의 혼합비율, 상기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조절하여, 제조되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점도별 제형을 가지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점도별 제형인 소프트, 미디움 및 하드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프트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저점도를 가지고, 가열하지 않고 바로 사용 가능하며, 손, 미간 등에 자라는 가는 털의 제거에 사용되며, 상기 미디움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중점도를 가지고, 전자렌지에 10 내지 20초 동안 가열한 후 사용하며, 팔, 다리 등에 자라는 중간 털의 제거에 사용되며, 상기 하드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고점도를 가지고, 전자렌지에 20 내지 30초 동안 가열한 후 사용하며, 수염 등의 굵은 털의 제거에 사용되게 된다. 즉, 소프트 형에서 하드 형으로 갈수록 제모 효과는 뛰어나나 피부 손상도 커짐으로, 제거되는 털의 굵기에 따라 특정 점도별 제형을 가지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이 사용되어, 충분한 제모효과를 발휘하면서도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는 설탕, 물 및 구연산이 혼합 교반되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에서는 정제된 구연산 또는 다량의 구연산을 함유하는 레몬즙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에 구연산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정제된 구연산이 사용되는 경우 물에 구연산을 먼저 녹인 후 설탕을 추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소프트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S1)에서는 설탕 70 내지 80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1.0중량부 및 물 19 내지 30중량부가 혼합되게 되며, 미디움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S1)에서는 설탕 65 내지 70중량부, 구연산 1 내지 4중량부 및 물 26 내지 34중량부가 혼합되게 되며, 하드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S1)에서는 설탕 60 내지 65중량부, 구연산 2 내지 8중량부 및 물 27 내지 38중량부가 혼합되게 된다.
상기 가열단계(S2)는 상기 원료혼합단계(S1)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온도를 서서히 높여 설정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로, 상기 가열단계(S2)에서는 혼합물이 30 내지 40rpm으로 교반되게 된다. 소프트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가열단계(S2)에서는 85 내지 95℃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이 가열되며, 미디움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가열단계(S2)에서는 95 내지 115℃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이 가열되고, 하드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가열단계(S2)에서는 115 내지 120℃의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이 가열되게 된다.
상기 가온유지단계(S3)는 상기 가열단계(S2)에서 얻은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설정온도로 설정시간까지 가온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상기 가온유지단계(S3)에서는 제습 조건하에서 통축 농축이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단계(S2)에서 얻은 내용물이 40 내지 65rpm으로 교반되게 된다. 소프트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가온유지단계(S3))에서는 85 내지 95℃인 설정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가온 상태가 유지되며, 미디움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가온유지단계(S3)에서는 95 내지 115℃인 설정 온도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가온 상태가 유지되고, 하드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가온유지단계(S3)에서는 115 내지 120℃인 설정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가온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 냉각추가단계(S4)는 상기 가온유지단계에서 얻은 수득물을 냉각하는 과정에서 첨가제를 추가하고 교반하는 단계로, 상기 냉각추가단계(S4)에서는 상기 가온유지단계(S3)에서 얻은 수득물을 냉각하여 온도 65 내지 75℃에 이르면 첨가제를 추가하고 20 내지 50rpm으로 교반하여 수행되게 된다. 상기 냉각추가단계(S4)에서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단점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냉각추가단계(S4)에서는 피부 자극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 0.5 내지 3중량부, 냄새제거를 위한 식물 첨가제 0.5 내지 3중량부 및 염증 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 0.5 내지 3중량부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자극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능수버들 추출물 및 긴병꽃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자극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능수버들 추출물 및 긴병꽃풀 추출물이 1:1: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병풀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상기 쇠비름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이고, 상기 능수버들은 쌍떡잎식물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이며, 상기 긴병꽃풀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고, 상기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능수버들 추출물 및 긴병꽃풀 추출물은 병풀잎, 쇠비름잎, 능수버들껍질, 긴병꽃풀잎 각각을 에탄올에 혼합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얻어지게 된다. 상기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털의 제거시 피부에 자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피부가 쓰리거나 붉게 될 수 있는데 상기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자극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털의 제거하는 과정에서 피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냄새 제거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백서향나무 추출물, 방풍 추출물, 비자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및 솔송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냄새 제거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백서향나무 추출물, 방풍 추출물, 비자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및 솔송나무 추출물이 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서향나무는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상록관목이며, 상기 방풍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세해살이풀이고, 상기 비자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주목과의 상록교목이며, 상기 황벽나무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운향과의 낙엽교목이고, 상기 솔송나무는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교목이며, 상기 백서향나무 추출물, 방풍 추출물, 비자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및 솔송나무 추출물은 백서향나무잎, 방풍잎, 비자나무잎, 황벽나무잎 및 솔송나무잎 각각을 에탄올에 혼합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얻어지게 된다. 상기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에서 냄새가 많이 나는 부위에서 자라는 털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냄새 제거를 위한 식물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모 효과뿐만 아니라 인체에서 나는 냄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염증 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풍게나무 추출물, 찰피나무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회화나무 추출물 및 노루발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염증 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풍게나무 추출물, 찰피나무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회화나무 추출물 및 노루발 추출물이 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게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이며, 상기 찰피나무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무과의 낙엽교목이고, 상기 때죽나무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감나무목 때죽나무과의 낙엽소교목이며, 상기 회화나무는 상기 쌍떡잎식물 장미목의 나무이고, 상기 노루발은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노루발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며, 상기 풍게나무 추출물, 찰피나무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회화나무 추출물 및 노루발 추출물은 풍게나무잎, 찰피나무잎, 때죽나무잎, 회화나무잎, 노루발잎 각각을 에탄올에 혼합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얻어지게 된다. 상기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되어 사용되므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염증 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모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염증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형완성단계(S5)는 상기 냉각추가단계(S4)에서 얻은 수득물을 추가로 냉각하고 용기에 담아 제형화하는 단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양한 점도별 제형을 가지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슈가 왁스)의 제조
1. 슈가 왁스 시료 1-1
구연산 0.7중량부를 물 25중량부에 녹이고 설탕 74.3중량부를 추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이 35rpm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온도를 서서히 높여 90℃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을 가열하여 가열물을 수득하고, 상기 가열물이 55rpm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90℃로 15분 동안 가온상태를 유지하고, 상온까지 냉각하여 슈가 왁스 시료 1-1을 얻었다.
2. 슈가 왁스 시료 1-2
구연산 2.5중량부를 물 30중량부에 녹이고 설탕 67.5중량부를 추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이 35rpm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온도를 서서히 높여 105℃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을 가열하여 가열물을 수득하고, 상기 가열물이 55rpm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105℃로 25분 동안 가온상태를 유지하고, 상온까지 냉각하여 슈가 왁스 시료 1-2를 얻었다.
3. 슈가 왁스 시료 1-3
구연산 5중량부를 물 33중량부에 녹이고 설탕 62중량부를 추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이 35rpm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온도를 서서히 높여 117℃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을 가열하여 가열물을 수득하고, 상기 가열물이 55rpm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117℃로 40분 동안 가온상태를 유지하고, 상온까지 냉각하여 슈가 왁스 시료 1-3을 얻었다.
4. 슈가 왁스 시료 1-4
구연산 5중량부를 물 33중량부에 녹이고 설탕 62중량부를 추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슈가 왁스 시료 1-4를 얻었다.
5. 슈가 왁스 시료 1-5
구연산 0.7중량부를 물 25중량부에 녹이고 설탕 74.3중량부를 추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3과 동일하게 하여 슈가 왁스 시료 1-5를 얻었다.
<실시예 2> 슈가 왁스 시료 1-1 내지 1-5의 물성 및 제모 효과 확인
1. 물성 확인
(1) 슈가 왁스 시료 1-1 내지 1-5의 물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물성은 바로 피부에 도포가 가능한지 여부, 바로 피부에 도포가 불가능하다면 피부의 도포가 가능하게 하는 전자렌지를 이용한 가열 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2) 하기의 표 1을 보면, 슈가 왁스 시료 1-1 및 1-4는 피부에 바로 도포가 가능하고, 슈가 왁스 시료 1-2 및 1-3은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경우 피부에 도포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고, 슈가 왁스 시료 1-5는 피부에 바로 도포가 불가능하며 전자렌지에 가열하는 경우 저점도로 되지 않고 타버렸다.
슈가 왁스 시료
1-1 1-2 1-3 1-4 1-5
피부 도포 가능 여부 × × ×
전자렌지 가열 시간 - 15초 25초 - 타버림
2. 제모 효과 확인
(1) 슈가 왁스 시료 1-1 내지 1-4 각각을 가는 털이 자라는 손등, 중간 털이 자라는 팔 및 굵은 털(수염)이 자라는 턱에 도포하고, 천으로 된 스트립을 붙이고, 5분 뒤 상기 스트립을 떼어내어 털이 제거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슈가 왁스 시료 1-2의 사용시 먼저 전자렌지에서 15초 동안 가열하고, 슈가 왁스 시료 1-3의 사용시 먼저 전자렌지에서 25초 동안 가열한 후 사용하였다.
(2) 하기의 표 2를 보면, 슈가 왁스 시료 1-1은 가는 털의 제거만 가능하였고, 슈가 왁스 1-2는 가는 털 및 중간 털의 제거가 가능하였고, 슈가 왁스 시료 1-3은 모든 털의 제거가 가능하였고, 슈가 확스 시료 1-4는 모든 털의 제거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설탕, 물 및 구연산의 혼합비율, 가열온도 및 가온유지시간을 조절하여, 다양한 점도별 제형을 가지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슈가 왁스 시료
1-1 1-2 1-3 1-4
손등의 털 제거여부 ×
팔의 털 제거여부 × ×
수염 제거여부 × × ×
<실시예 3> 첨가제가 추가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슈가 왁스)의 제조
1. 하드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슈가 왁스 시료 1-3에 해당)은 제모 효과가 가장 뛰어나나 또한 피부를 가장 크게 손상시키므로, 이하에서는 첨가제가 추가된 하드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추가된 첨가제에 의해 개선되는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2. 첨가제의 준비
(1) 건조분쇄된 병풀잎, 쇠비름잎, 능수버들껍질, 긴병꽃풀잎 각각 100g을 에탄올 500ml에 3일 동안 침지하고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병풀 추출물(추출물 1-1), 쇠비름 추출물(추출물 1-2), 능수버들 추출물(추출물 1-3) 및 긴병꽃풀 추출물(추출물 1-4)을 얻었다. 또한, 추출물 1-1, 1-2, 1-3 및 1-4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물 1-5를 얻었다.
(2) 건조분쇄된 백서향나무잎, 방풍잎, 비자나무잎, 황벽나무잎 및 솔송나무잎 각각 100g을 에탄올 500ml에 3일 동안 침지하고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백서향나무 추출물(추출물 2-1), 방풍 추출물(추출물 2-2), 비자나무 추출물(추출물 2-3), 황벽나무 추출물(추출물 2-4) 및 솔송나무 추출물(추출물 2-5)을 얻었다. 또한, 추출물 2-1, 2-2, 2-3, 2-4 및 2-5를 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물 2-6를 얻었다.
(3) 건조분쇄된 풍게나무잎, 찰피나무잎, 때죽나무잎, 회화나무잎, 노루발잎 각각 100g을 에탄올 500ml에 3일 동안 침지하고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풍게나무 추출물(추출물 3-1), 찰피나무 추출물(추출물 3-2), 때죽나무 추출물(추출물 3-3), 회화나무 추출물(추출물 3-4) 및 노루발 추출물(추출물 3-5)을 얻었다. 또한, 추출물 3-1 및 3-2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물 3-6을 얻고, 추출물 3-2, 3-3 및 3-4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물 3-7을 얻고, 추출물 3-4 및 3-5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물 3-8을 얻고, 추출물 3-1, 3-2, 3-3, 3-4 및 3-5를 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물 3-9를 얻었다.
(4) 추출물의 MTT assay를 통한 세포 독성 평가
추출물 1-1 내지 1-5, 추출물 2-1 내지 2-6, 및 추출물 3-1 내지 3-9에 대하여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배양된 RAW 264.7 세포에 LPS(1μg/mL)와 추출물 1-1 내지 1-5, 추출물 2-1 내지 2-6, 및 추출물 3-1 내지 3-9 각각으로 동시 처리하여 3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MTT solution을 10μL씩 넣고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제거 후 DMSO를 넣고, 플레이트 믹서를 사용하여 잘 흔들어 준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자극제를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 1-1 내지 1-5, 추출물 2-1 내지 2-6, 및 추출물 3-1 내지 3-9 각각은 100ug/mL 이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3. 첨가제가 추가된 슈가 왁스 시료의 준비
(1) 구연산 5중량부를 물 33중량부에 녹이고 설탕 62중량부를 추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이 35rpm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온도를 서서히 높여 117℃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을 가열하여 가열물을 수득하고, 상기 가열물이 55rpm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117℃로 40분 동안 가온상태를 유지하여 가온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가온물이 35rmp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천전히 냉가하여 70℃에 이르게 한 후 하기의 표 3의 비율대로 추출물을 혼합한 뒤 상온까지 냉각하여 추출물이 포함된 슈가 왁스 시료 2-1 내지 2-16을 얻었다.
혼합되는 추출물의 함량(중량부)
슈가 왁스 시료 추출물 1-1 내지 1-5 추출물 2-1 내지 2-6 추추물 3-1 내지 3-9
2-1 1.5(추출물 1-1) 0 0
2-2 1.5(추출물 1-2) 0 0
2-3 1.5(추출물 1-3) 0 0
2-4 1.5(추출물 1-4) 0 0
2-5 1.5(추출물 1-5) 0 0
2-6 0 1.5(추출물 2-1) 0
2-7 0 1.5(추출물 2-2) 0
2-8 0 1.5(추출물 2-3) 0
2-9 0 1.5(추출물 2-4) 0
2-10 0 1.5(추출물 2-5) 0
2-11 0 1.5(추출물 2-6) 0
2-12 0 0 1.5(추출물 3-9)
2-13 1.5(추출물 1-5) 1.5(추출물 2-6) 0
2-14 0 1.5(추출물 2-6) 1.5(추출물 3-9)
2-15 1.5(추출물 1-5) 1.5(추출물 2-6) 1.5(추출물 3-9)
2-16 0 0 0
<실시예 3> 첨가제가 추가된 슈가 왁스 시료의 제모 효과 및 피부 개선 효과 확인
1. 제모 효과 평가
털이 많은 남성 16명을 대상으로 제모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자렌지로 슈가 왁스 시료 2-1 내지 2-16을 25초 가열한 후, 수염이 있는 턱 부위에 슈가 왁스 시료 2-1 내지 2-16 각각을 바른 후 천으로 된 스트립을 붙이고, 5분 뒤 상기 슈가 왁스 시료가 완전히 굳은 것을 확인하고 상기 스트립을 떼어내어 털이 제거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육안 확인, 결과 슈가 왁스 시료 2-1 내지 2-16을 사용한 경우 털이 모두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에 추출물이 일정량으로 첨가하여도 제모 효과에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평가
(1)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남성 18을 대상으로 슈가 왁스 시료의 사용시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전자렌지로 슈가 왁스 시료 2-1 내지 2-5, 2-11, 2-12, 2-15 및 2-16을 25초 가열한 후 털이 있는 팔 부위에 각 슈가 왁스 시료를 바른 후 천으로 된 스트립을 떼어내었다. 위와 같은 과정을 2일 간격을 두고 3회 실시하였다. 최종 3회 실시 후 피부 쓰라림 등의 주관적으로 느끼는 피부 이상이 있는지 홍반 등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피부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최종 3회 실시 후 팔 부위를 햇볕에 10분 동안 노출시킨 후 노출 전후의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피부반응도를 계산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슈가 왁스 시료 2-1 내지 2-5 및 2-15를 도포한 대상자에 대해서만 실시). 피부반응도(mean response rate)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다. 피부반응도 = (점수 × 반응 수 × 100 × 1/2) / [3(최대 점수) × 총피검자수(n)](피부반응의 평가 점수는 0(무반응), 0.5(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1(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2(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3(심한홍반 및 대수포))
슈가 왁스 시료 2-1 2-2 2-3 2-4 2-5 2-11 2-12 2-15 2-16
주관적
피부이상
× × × × × ×
육안확인 피부이상 × × × × × ×
슈가 왁스
시료
2-1 2-2 2-3 2-4 2-5 2-15
반응도
(n=10)
7.7 8.1 8.2 7.4 5.6 5.4
(2) 표 4를 보면, 슈가 왁스 시료 2-11, 2-12, 및 2-16을 사용한 경우 주관적 및 육안 확인의 피부 이상이 발생하고, 슈가 왁스 시료 2-1 내지 2-5 및 2-15를 사용한 경우 피부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에 추출물 1-1 내지 1-5를 혼합한 경우 슈가 왁스를 사용하여 제모하는 과정에서 피부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털을 제거하는 경우 어떤 경우든 일정 정도 피부를 약하게 할 수밖에 없어 외부의 자극원(본 발명에서 자극원으로 자외선을 이용하여 실험)에 대하여 쉽게 피부가 손상될 수 있는데, 표 5를 보면 슈가 왁스 시료 2-5 및 2-15가 슈가 왁스 시료 2-1 내지 2-4에 비해 피부에 손상을 덜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능수버들 추출물 및 긴병꽃풀 추출물을 각각 사용하는 것보다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피부 손상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냄새 감소 효과 확인
(1) 남자 10을 대상으로 슈가 왁스 시료의 사용 시 냄새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자렌지로 슈가 왁스 시료 2-5 내지 2-12, 2-15 및 2-16을 25초 가열한 후 털이 있는 한쪽 겨드랑이 부위(다른 한쪽의 겨드랑이 부위에는 슈가 왁스 시료를 사용하지 않음)에 각 슈가 왁스 시료를 바른 후 천으로 된 스트립을 떼어내었다. 냄새를 평가하는 패널을 별도로 두고 상기 패널이 대상자의 양 겨드랑이 냄새를 비교하여 현저한 냄새 제거 효과가 있는지를 주관적으로 평가하게 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위와 같은 실험 후 냄새측정기(XP-329 Ⅲ/Newcosmos Ele/Japan)를 이용하여 양 겨드랑이의 냄새를 측정한 후(슈가 왁스 시료 2-6 내지 2-11을 도포한 대상자에 대해서만 실시), 냄새 감소율(냄새 감소율(%)=(조성물 도포하지 않은 겨드랑이 냄새값-조성물을 도포한 겨드랑이 냄새값)/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겨드랑이 냄새값)×100)을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슈가 왁스 시료 2-5 2-6 2-7 2-8 2-9 2-10 2-11 2-12 2-15 2-16
주관적
평가
× × ×
슈가 왁스
시료
2-6 2-7 2-8 2-9 2-10 2-11
감소율 70 68 72 66 70 90
(2) 표 6를 보면, 슈가 왁스 시료 2-6 내지 2-11 및 2-15를 사용한 경우 주관적으로 냄새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고 인식하나, 슈가 왁스 시료 2-5, 2-12 및 2-16을 사용한 경우 주관적으로 냄새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고 인식하지 못해, 추출물 2-1 내지 2-6을 사용하는 경우 제모 시 효과적으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7을 보면, 슈가 왁스 시료 2-6 내지 2-10에 비해 2-11의 감소율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염증 완화 효과의 확인
(1) 추출물 3-1 내지 3-9에 대하여 염증 완화(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2) RAW 264.7을 배지에 추출물(추출물 3-1 내지 3-9 각각이 사용되고,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는 100ug/mL임)과 자극물질 LPS(1ug/mL)를 동시처리하고 배양 후,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NO 생성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를 보면, 추출물 3-1 내지 3-9가 NO의 생성을 억제하고, 추출물 3-9가 다른 추출물에 비해 NO의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어, 풍게나무 추출물, 찰피나무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회화나무 추출물 및 노루발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항염증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처리
추출물
3-1 3-2 3-3 3-4 3-5 3-6 3-7 3-8 3-9
NO
생산(%)
100 68 64 66 69 71 64 69 70 53
(3) RAW 264.7을 배지에 추출물(추출물 3-1 내지 3-9 각각이 사용되고,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는 100ug/mL임)과 자극물질 LPS(1ug/mL)를 동시처리하고 배양한 후, enzyme-linked immnunosorbent assay kit(R&D Systems)를 이용하여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IL-6 및 TNF-α의 생성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를 보면, 추출물 3-1 내지 3-9가 IL-6 및 TNF-α의 생성을 억제하고, 추출물 3-9가 다른 추출물에 비해 IL-6 및 TNF-α의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무처리
추출물
3-1 3-2 3-3 3-4 3-5 3-6 3-7 3-8 3-9
IL-6
생산(%)
100 86 84 86 88 91 94 91 88 73
TNF-α
생산(%)
100 88 89 91 89 88 92 92 89 80
(4) RAW 264.7을 배지에 추출물(추출물 3-1 내지 3-9 각각이 사용되고,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는 100ug/mL임)과 자극물질 LPS(1ug/mL)를 동시처리하고 하루 배양한 후, PEG2 ELISA kit(R&D Systems)를 이용하여 prostaglandin E2의 생성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0을 보면, 추출물 3-1 내지 3-9가 prostaglandin E2의 생성을 억제하고 추출물 3-9가 다른 추출물에 비해 prostaglandin E2의 생성을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무처리
추출물
3-1 3-2 3-3 3-4 3-5 3-6 3-7 3-8 3-9
PGE2
생산(%)
100 89 87 90 86 90 87 83 91 78
(5) 따라서, 추출물 3-1 내지 3-9는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고, 추출물 3-1 내지 3-9에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시 제모 효과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설탕, 물 및 구연산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원료혼합단계와,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온도를 서서히 높여 설정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에서 얻은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설정온도로 설정시간까지 가온 상태를 유지하는 가온유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 혼합되는 설탕, 물 및 구연산의 혼합비율, 상기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조절하여, 다른 점도별 제형을 가지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는 설탕 70 내지 80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1.0중량부 및 물 19 내지 30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가열단계에서는 85 내지 95℃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이 가열되고, 상기 가온유지단계에서는 85 내지 95℃인 설정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가온 상태가 유지되어, 소프트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는 설탕 65 내지 70중량부, 구연산 1 내지 4중량부 및 물 26 내지 34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가열단계에서는 95 내지 115℃인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이 가열되고, 상기 가온유지단계에서는 95 내지 115℃인 설정 온도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가온 상태가 유지되어, 미디움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는 설탕 60 내지 65중량부, 구연산 2 내지 8중량부 및 물 27 내지 38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가열단계에서는 115 내지 120℃의 설정 온도까지 혼합물이 가열되고, 상기 가온유지단계에서는 115 내지 120℃인 설정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가온 상태가 유지되어, 하드 형의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가온유지단계에서 얻은 수득물을 냉각하는 과정에서 첨가제를 추가하고 교반하는 냉각추가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피부 자극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 냄새제거를 위한 식물 첨가제 및 염증 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피부 자극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능수버들 추출물 및 긴병꽃풀 추출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냄새제거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백서향나무 추출물, 방풍 추출물, 비자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및 솔송나무 추출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염증 완화를 위한 식물 첨가제는 풍게나무 추출물, 찰피나무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회화나무 추출물 및 노루발 추출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CT/KR2021/016878 2021-10-25 2021-11-17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230749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941 2021-10-25
KR1020210142941A KR20230058993A (ko) 2021-10-25 2021-10-25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4990A1 true WO2023074990A1 (ko) 2023-05-04

Family

ID=8616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878 WO2023074990A1 (ko) 2021-10-25 2021-11-17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8993A (ko)
WO (1) WO2023074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483B1 (ko) * 2023-04-07 2023-11-01 김수희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
KR102658917B1 (ko) * 2024-02-07 2024-04-17 왕효원 사용성 및 발림성을 개선한 피부 저자극성 슈가왁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2700A1 (en) * 2005-02-15 2006-08-17 Madlen Postajian Cold wax depilatory composition and related process
KR20160011042A (ko) * 2014-07-21 2016-01-29 이경하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EP3205330A1 (en) * 2016-02-10 2017-08-16 Suomen Hoitolatukku Tuonti Oy Epilation composition and its use
KR20190098299A (ko) * 2018-02-13 2019-08-22 김만수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2700A1 (en) * 2005-02-15 2006-08-17 Madlen Postajian Cold wax depilatory composition and related process
KR20160011042A (ko) * 2014-07-21 2016-01-29 이경하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EP3205330A1 (en) * 2016-02-10 2017-08-16 Suomen Hoitolatukku Tuonti Oy Epilation composition and its use
KR20190098299A (ko) * 2018-02-13 2019-08-22 김만수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cipe for sugar depilation with citric acid. What is shugaring? Lemon Juice Pasta Video", 22 April 2014 (2014-04-22), XP009546203,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minikar.ru/en/love-and-relationship/recept-saharnoi-depilyacii-s-limonnoi-kislotoi-chto-takoe-shugaring-video> [retrieved on 202206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993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74990A1 (ko)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3089449A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226442A1 (ko)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WO2019098468A1 (ko) 양태반 분말과 식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0695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의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225119A1 (ko)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973515A (zh) 一种抑菌修复植物提取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H0616530A (ja) 化粧料
WO2020101414A1 (ko)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10125832A (ko)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WO2010047533A2 (ko) 저온나노추출법을 이용한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CN108721189B (zh) 兼具淡斑修护、抗氧化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
WO2020032296A1 (ko) 기능성 조성물
CN113384510B (zh) 一种具有抗光老化、舒缓清凉功效的发酵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9066606A1 (ko) 알로에 추출물 및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20150105721A (ko) 구기자나무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화장료 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20062513A (ko) 피부미백기능을 가지는 장미꽃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피부미백화장료 조성물
JP3487617B2 (ja) 化粧料
KR100670238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WO2019190010A1 (ko) 피부 주름 개선, 보습, 항산화 및 염증 완화 효과가 증가된 진피, 후박, 현호색, 아선약의 에탄올 추출 조성물
WO2020059906A1 (ko)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090068397A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0618B1 (ko) 목단화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26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