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832A -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832A
KR20110125832A KR1020100045417A KR20100045417A KR20110125832A KR 20110125832 A KR20110125832 A KR 20110125832A KR 1020100045417 A KR1020100045417 A KR 1020100045417A KR 20100045417 A KR20100045417 A KR 20100045417A KR 20110125832 A KR20110125832 A KR 20110125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yellow
weight
fruit
composition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178B1 (ko
Inventor
김봉현
김태용
김도형
Original Assignee
김봉현
김도형
김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현, 김도형, 김태용 filed Critical 김봉현
Priority to KR102010004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1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황벽나무의 열매 또는 잎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아토피염, 비듬, 두피염, 검버섯, 탈모 및 신경과민에 대해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가져 당분야에서 여러 가지 제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LEAVES AND FRUITS OF PHELLODENDRON AMURENSE}
본 발명은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이용한 아토피염, 비듬, 두피염, 검버섯, 탈모 및 신경과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들어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약물 중독 및 오남용 등으로 인한 부작용과 유전적인 요인 등으로 인한 아토피염, 비듬, 두피염, 검버섯과 같은 피부질환, 탈모 및 신경과민 등의 발생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지만, 이와 관한 의학적 지식 및 생리적 작용에 관해서는 아직 큰 진전을 보이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아토피(atopy)란 "이상한" 또는 "부적절한" 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증상도 피부건조,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다. 아토피 피부염은 태열이라고도 하며 피부의 만성적인 질환 천식, 건초열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과 동반하여 나타난다. 이 질환은 알레르기성 습진, 소아 습진, 굴전부 습진, 범발 신경 피부염 등으로 불리는 질환으로 유아 습진에서부터 소년기, 사춘기, 성인에 나타나는 전형적 태선화 피부염에까지 이르는 임상 및 조직학적 진행 과정을 보여주는 임상 범주의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만성 재발성 습진성 질환으로서 원인 및 발병기전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현재 아토피 피부염은 독특한 유전적 소인에 의하여 주로 발생되는 것으로 이해되고는 있으나, 그 발병원인은 단순하지 않으며 다수의 요인(multi-factorial)에 의해 기인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에 관여하는 여러 외적 환경요인들은 잘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 환자 및 그 가족에서 나타나는 유전적 소인과 임상적, 면역학적 형태에 따른 유전적 규명이 현재로서는 미약한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두피는 모발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새로운 두피로 치환되는데, 약 1달에 한번 정도로 새로운 세포로 치환된다. 건강한 두피인 경우 각질층 세포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작은 크기로 떨어져 나가면서 새로운 각질세포로 빠르게 치환된다. 그러나 각질세포가 과다하게 생성되어 각질세포 덩어리가 눈에 보일정도로 뭉쳐 두피에서 벗겨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비듬이라고 한다. 따라서 비듬은 모발 표면상의 문제가 아닌 두피상의 문제이고 건강상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사람의 두부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현상이다.
검버섯은 햇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발생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갈색 또는 검은색 반점 또는 융기된 형태로서, 얼굴, 등, 손등, 팔, 다리 등의 자외선 노출 부위에 많이 나타나지만 다른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피부의 검버섯 발생 과정에서 외부 자극(UV, ROS 등)과 검버섯 발생 사이의 인과 관계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인 검버섯 발생 조절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검버섯의 특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단백질들의 특성을 이해하려는 시도 또한 효능 물질 (코지산, 하이드로퀴논 등) 이나 자극원 (UV, ROS)을 세포에 처리한 배양 시스템 내 연구에 국한되어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남성형 탈모증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남성호르몬 의존성 만성형 탈모와 지루성 피부염에 의한 탈모가 있다. 전자는 남성 호르몬의 양에 직접 관련되며, 후자는 피지관련 질환으로 남성호르몬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에 의해 또 다른 남성호르몬의 하나인 디하이 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DHT)으로 전환되고 이 호르몬의 비정상적인 과잉으로 인한 과잉 피지 생성으로 인하여 발병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지루성 피부염의 치료를 위해 항균제를 사용하거나, 알파하이드록시산(AHA: alpha hydroxy acid), 비타민 A와 같은 각질제거제를 사용하였으나, 효과가 미미하거나 과량 사용시 피부자극이 심하여 극히 제한된 양만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로는 레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물질이 있으며, 이러한 항생물질은 내균성의 출혈 또는 광과민작용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탈모의 원인이 되고 있는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려는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나(Yasuro sugimoto et al., cation inhibit specifically type Ⅰ 5α-reductase found in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104, 1995), 그 효과나 실효성이 적고, 상당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신경과민증상의 신경질적인 성격은 유전과 환경 모두에 좌우되어, 다른 성격처럼 유전자나 개인의 발달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쉽게 감상적이 되거나 정서적으로 약해지는 경우 우울증에 빠질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황벽나무(황백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는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자생하며, 동속식물로 털황경피나무(Phellodendron amurense var. molle NAKAI W. LEE), 화태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var. sachalinense FR. SCHMIDT), 털황벽나무(P. molle NAKAI), 넓은잎황벽나무(P. sachalinense SAKGENT), 섬황벽나무(P. insulare NAKAI) 등이 있다. 중국 운남, 호북지역에는 황피수(黃皮樹, P.chinensis) 가 있으며 중국 사천성지역에서는 천황백(川黃栢, P. sacharinensis )을 생산하고 있고 대만에는 대만황벽(P.wilsoni) 등이 있다. 황벽나무 및 동속 근록식물(同屬 近綠植物)의 수피(樹皮)를 황백(黃柏, Phellodendri Cortex)이라 하며, 황백에는 황색 또는 황갈색 색소 물질과 수종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1.5 내지 4.5% 정도로 포함되어 있다. 알칼로이드의 주성분은 베르베린(berberine)이다. 이외 구아니딘(guanidine), 야트로리진 (jatrorrizine), 마그노후로린(magnoflorine), 펠로덴드린(phellod endrine), 칸디신(candicine), 팔마틴(palmatine), 메니스페린 (menisperine, n-methylisocorydinum) 등의 알카로이드를 함유하며, 오바쿠논(obacunone), 오바쿠락톤(obaculactone), 딕탐놀리드(dictamnolide), 오바쿠노닌 산(obacunonic acid), 루미캐룰린 산(lumicaerulei acid), 7-디히드로스티그마스테롤(7-dehydrostigmasterol),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성분은 강한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 아세틸콜린 증강작용 및 항염작용을 가지고 있어 본초강목이나 약학에서 골 질환 및 황달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장티푸스, 콜레라, 건위, 및 정장에도 효과적이며, 이들의 수피는 고미건위제, 정장제, 소염성 수렴 약으로서 위장염, 복통, 황달 등에도 사용되어 왔다(정보섭, 신민교저, 향약대사전, 영림사, pp790-791 (1998)).
한국특허출원 제 2000-008670호에서는 황벽을 포함한 복합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치매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시하고 있으나, 황벽 추출물의 무스카린 엠1 수용체 결합 저해활성(Muscarine M1 receptor binding inhibition activity)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황벽나무의 효능에 대해 오랜 기간 동안 연구를 진행하던 중 황백나무의 열매와 잎이 아토피염, 비듬, 두피염, 검버섯, 탈모 및 신경과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벽나무의 열매와 잎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황벽나무 열매 5 내지 20중량%와 과실주용 소주 80 내지 95중량%를 혼합하여 3개월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황벽나무 열매 10 내지 20중량%와 물 8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황벽나무 잎 20 내지 40중량%와 물 60 내지 80중량%를 혼합하여 100 내지 150℃에서 가열함으로써 제조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황벽나무의 열매 또는 잎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아토피염, 비듬, 두피염, 검버섯, 탈모 및 신경과민에 대해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가져 당분야에서 여러 가지 제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황벽나무 열매 5 내지 20중량%와 과실주용 소주 80 내지 95중량%를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약학 조성물은 특히 아토피염 또는 신경과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 우수한 효능을 발휘한다. 이 때 발효란 약재성분이 충분히 침출되는데에 유용한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과정에서 발효기간은 2개월 내지 18개월이 적당하다. 발효기간이 2개월 미만일 경우 효능이 80% 이상 발휘되지 못하며, 18개월을 초과할 경우 발효가 과하게 진행되어 오히려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황벽나무와 소주를 혼합한 것은 황벽나무의 부패를 방지하고, 신선도를 유지하고 약효과를 상승시기키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황벽나무 열매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통째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 황벽나무 열매 5 내지 20중량%와 과실주용 소주 80 내지 95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황벽나무 열매 10 내지 20중량%와 물 8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 때 황벽나무 열매는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은 특히 비듬 및 두피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황벽나무 열매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통째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 황벽나무 열매를 분말화하고 분말화된 황벽나무 열매 10 내지 20중량%와 물 80 내지 90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황벽나무 잎 20 내지 40중량%와 물 60 내지 80중량%를 혼합하여 100 내지 150℃에서 가열함으로써 제조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조성물은 검버섯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이 때 가열온도를 100℃ 미만으로 수행할 경우 목적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150℃ 초과의 온도로 수행할 경우 오히려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황벽나무 잎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통째로 세척한 다음, 100 내지 15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황벽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여과 및 농축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한약재 열수추출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한약재 열수추출물은 고삼, 하수오, 도라지, 천궁, 살구씨 및 감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약재를 압력(MPa/kgf/㎠) 1.8 및 온도 120 내지 130 ℃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효성에도 불구하고, 황벽나무 열매 또는 잎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랫트를 사용한 시험에서 급성 독성 등의 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으며 간 기능에 부작용을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 활성 성분인 황벽나무 열매 또는 잎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활성 성분에 대한 비히클, 부형제 또는 메디움으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새세이, 엘릭시르, 현탁제, 유제, 용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크림제형,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제, 멸균 분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유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5 내지 5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 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건강상태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고체와 고체 혼합물, 액체와 액체, 및 액체와 고체에 대한 하기 백분율은 각각 중량/중량, 부피/부피 및 중량/부피에 기초한 것이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반응은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실시예 1: 황벽나무 열매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황벽나무 열매 600g과 과실주용 소주 2.7리터를 혼합한 다음 3개월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켜 황벽나무 열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황벽나무 열매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황벽나무 열매 500g과 과실주용 소주 2리터를 혼합한 다음 3개월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켜 황벽나무 열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황벽나무 열매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황벽나무 열매 200g과 물 0.5리터를 혼합하여 황벽나무 열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황벽나무 열매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황벽나무 잎을 분말화한 다음 분말화된 황벽나무 잎 500g과 물 1리터를 혼합한 다음 100℃에서 1일동안 가열하여 황벽나무 잎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황벽나무 열매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황벽나무 열매를 분말화하고 분말화된 황벽나무 열매 200g과 물 0.5리터를 혼합하여 황벽나무 열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아토피염 완화 효과 측정
평소 아토피염을 갖고 있는 피시험자 40명을 각각 20명씩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세안 후 아침, 저녁으로 하루 2회씩 8주간 사용하게 하였으며, 8주 후 아토피염의 완화 정도 및 소양감을 육안 및 질의 응답으로 판정하였다. 대조군에게는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하기 표에서 수치는 피시험자 수이다.
매우 완화됨 완화됨 약간 완화됨 완화되지 않음
실험군 9 7 4 0
대조군 0 0 2 18
시험예 2: 비듬 또는 두피염 완화 효과 측정
평소 비듬 및 두피염을 갖고 있는 피시험자 40명을 각각 20명씩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머리 세안 후 아침, 저녁으로 하루 2회씩 8주간 두피에 바르게 하였으며, 8주 후 비듬 및 두피염의 완화 정도 및 소양감을 육안 및 질의 응답으로 판정하였다. 대조군에게는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하기 표에서 수치는 피시험자 수이다.
매우 완화됨 완화됨 약간 완화됨 완화되지 않음
실험군 비듬 11 8 1 0
두피염 9 9 2 0
대조군 비듬 0 0 3 17
두피염 0 0 2 18
시험예 3: 검버섯 완화 효과 측정
피부에 검버섯이 있는 피시험자 40명을 각각 20명씩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아침, 저녁으로 하루 2회씩 8주간 100ml씩 복용하게 하였으며, 8주 후 검버섯의 완화 정도 및 소양감을 육안 및 질의 응답으로 판정하였다. 대조군에게는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하기 표에서 수치는 피시험자 수이다.
매우 완화됨 완화됨 약간 완화됨 완화되지 않음
실험군 12 7 1 0
대조군 0 1 2 17
시험예 4 : 탈모 방지 효과 측정
탈모 증상이 있는 피시험자 40명을 각각 20명씩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머리 세안 후 아침, 저녁으로 하루 2회씩 8주간 두피에 바르게 하였으며, 8주 후 탈모의 완화 정도 및 소양감을 육안 및 질의 응답으로 판정하였다. 대조군에게는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여기서 평가 기준은 세발시 탈모량, 자각증상, 육안 판정시 효과가 현저한 경우 5점, 중등인 경우 4점, 경등인 경우 3점, 불변인 경우 2점, 오히려 탈모증상이 악화된 경우 1점으로 하여 평가한 후 평균값으로서 종합적인 판정을 하였다.
실험군 대조군
세발시 탈모 4.5 2
자각증상 5 2
육안판정 4.5 2
종합 4.8 2
시험예 5: 신경과민 완화 효과 측정
신경과민 증상이 있는 피시험자 40명을 각각 20명씩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아침, 저녁으로 하루 2회씩 8주간 100ml씩 복용하게 하였으며, 8주 후 신경과민의 완화 정도 및 소양감을 육안 및 질의 응답으로 판정하였다. 대조군에게는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하기 표에서 수치는 피시험자 수이다.
매우 완화됨 완화됨 약간 완화됨 완화되지 않음
실험군 10 8 1 1
대조군 0 1 1 1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황벽나무의 열매 또는 잎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아토피염, 비듬, 두피염, 검버섯, 탈모 및 신경과민에 대해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황벽나무의 열매 또는 잎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아토피염, 비듬, 두피염, 검버섯, 탈모 및 신경과민에 대해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가져 당분야에서 여러 가지 제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황벽나무 열매 5 내지 20중량%와 과실주용 소주 80 내지 95중량%를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된 약학 조성물.
  2. 황벽나무 열매 10 내지 20중량%와 물 8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3. 황벽나무 잎 20 내지 40중량%와 물 60 내지 80중량%를 혼합하여 100 내지 150℃에서 가열함으로써 제조된 약학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발효를 2 내지 18개월 동안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아토피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신경과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7. 제 2 항에 있어서,
    비듬 또는 두피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탈모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9. 제 3 항에 있어서,
    검버섯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00045417A 2010-05-14 2010-05-14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202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17A KR101202178B1 (ko) 2010-05-14 2010-05-14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17A KR101202178B1 (ko) 2010-05-14 2010-05-14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32A true KR20110125832A (ko) 2011-11-22
KR101202178B1 KR101202178B1 (ko) 2012-11-16

Family

ID=4539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417A KR101202178B1 (ko) 2010-05-14 2010-05-14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1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6889A (zh) * 2014-10-21 2015-01-28 鲁桂青 一种治疗放射性皮炎的中药组合物粉剂及其制备方法
CN104474519A (zh) * 2014-12-24 2015-04-01 黄俊柳 一种人参山药药酒
CN104524456A (zh) * 2014-12-24 2015-04-22 黄俊柳 一种逍遥药酒
CN108852930A (zh) * 2018-07-13 2018-11-23 北京当行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粉状洗发产品的制备方法
KR20200116753A (ko) * 2019-04-02 2020-10-13 (주)해원바이오테크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944A (ja) 1997-02-24 1998-09-08 Chizuko Hioki 生薬軟膏
JPH1160449A (ja) 1997-08-26 1999-03-02 Sunstar Inc 養毛剤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6889A (zh) * 2014-10-21 2015-01-28 鲁桂青 一种治疗放射性皮炎的中药组合物粉剂及其制备方法
CN104474519A (zh) * 2014-12-24 2015-04-01 黄俊柳 一种人参山药药酒
CN104524456A (zh) * 2014-12-24 2015-04-22 黄俊柳 一种逍遥药酒
CN108852930A (zh) * 2018-07-13 2018-11-23 北京当行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粉状洗发产品的制备方法
KR20200116753A (ko) * 2019-04-02 2020-10-13 (주)해원바이오테크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178B1 (ko) 201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20531B (zh) 一种含藏荆芥具有美白保湿功效的中药组合提取物及应用
KR100960054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202178B1 (ko)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140107010A (ko)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3041042B (zh) 一种藏药组合物及其在防脱生发产品中的应用
KR101434717B1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13825493A (zh) 含有合欢提取物的组合物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54402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6619278B (zh) 一种具有祛斑美白功效的中药组合提取物及应用
KR101027519B1 (ko)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KR20190093283A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10128384A (ko) 미담 경옥고를 이용한 피부 주름, 보습, 미백을 위한 조성물질 및 제조법
KR20180096948A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5925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1724870B1 (ko) 두피 염증 완화와 Wnt/β-catenin 신호전달 활성을 갖는 모발성장 촉진 조성물
EA033620B1 (ru) Лечебный состав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псориаза
KR20140033273A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0486636C (zh) 治疗牙齿敏感证的糊剂及其制备方法
Teja et al. Phytochemical and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Abrus precatori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