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74968A1 -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74968A1
WO2023074968A1 PCT/KR2021/015457 KR2021015457W WO2023074968A1 WO 2023074968 A1 WO2023074968 A1 WO 2023074968A1 KR 2021015457 W KR2021015457 W KR 2021015457W WO 2023074968 A1 WO2023074968 A1 WO 20230749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try
exit
designated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4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원테크
Priority to PCT/KR2021/01545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74968A1/ko
Publication of WO20230749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749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for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efficient vehicle management by automating entry/exit of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for loading or unloading.
  • Articles manufactured at production sites can be transported by means of vehicles, ships, trains, and aircraft.
  • cargo transportation by vehicle is the most commonly carried out because of its relatively simple transportation procedures and significant cost savings compared to transportation by aircraft when transporting cargo inlan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for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efficient vehicle management by automating entry/exit of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for loading or unloading.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for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monitoring the entry/exit process by constructing an unmanned system interlocking with CCTV to obtain an image of the loading state of the vehicle along with a recording of the entry/exit of the aggregate transport vehicle.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of the aggregate transport vehicle receives a request for entry through a terminal for entering and exiting a designated vehicle,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based on the GPS location of the terminal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designated vehicle, and an input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input processing when the position of is included in the input area;
  • a loading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loading/unloading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the loading request is provided to the loading assistance terminal, and when a loading response is received through the loading assistance terminal, the loading/unloading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loading/unloading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 a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that checks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based on the GPS location of the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and performs vehicle extraction processing when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included in the vehicle extraction area; and a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that records a vehicle image captured during the entry/exit process of the designated vehicle, a vehicle number recognized from the vehicle image, and an entry/exit time in a vehicle entry/exit database regardless of the entry/exit process.
  • the entry and exit processing unit may receive a vehicle allocation registration from an entry and exit processing terminal of an unspecified vehicle, verify validity of the vehicle allocation registration, and generate a condition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unspecified vehicle.
  • the vehicle entry processing unit may analyze vehicle type and driv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spatch registr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atch registration is possible.
  • the entry processing unit receives a non-specified entry request through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of the non-specified vehicle, obtains the entry/exit condition based on the non-specified entry request,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non-specified vehicle when the entry of the non-specified vehicle is allowed. Upon confirmation, if the location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is included in the entry area, entry processing may be performed.
  • the exit processing unit When the request for loading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not received within a specific time after the designated vehicle has entered, the exit processing unit provides an exit allowed time to the input/output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and leaves the designated vehicle within the allowed exit time. If the request is not processed, a vehicle exit warning messag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records CCTV imag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at least one CCTV terminal, and when an entry/exit error alarm of the specified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entry/exit processing unit or the exit processing unit, regist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It is possible to query the vehicle entry/exit database with the registered vehicle number to generate an entry/exit record, and to provide the entry/exit record and the CCTV image in the entry/exit time period to the manager terminal.
  • 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for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can automatically settle transaction statements, purchases, transportation costs, etc. with simple computer input, easily underst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unmanned management of the shipping room. .
  • An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for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can provide an automated tracking means for aggregate management by automatically storing loading and unloading confirmation times and addresses of confirmation locations.
  • An apparatus for managing unmanned entry/exit of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builds an unmanned system interlocking with CCTV to monitor the entry/exit process by obtaining an image of the loading state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entry/exit record of the aggregate transport vehicle.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of FIG. 1 .
  • FIG.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of FIG. 1 .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method of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handling the loading of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aking out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system 100 may correspond to a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management of vehicle entry and exit, and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o visit or leave the specific pla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of unmannedly managing vehicles that are running.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system 100 may be installed in an aggregate quarry for managing transport vehicles transporting aggregates, a distribution warehouse for managing trucks transporting cargoes, and the like.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n unattend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and a database 150 .
  • 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device operated by a user.
  • a user may be understood as one or more users, and a plurality of users may be divided into one or more user groups.
  • Each of one or more users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
  • users may include vehicle drivers, loader drivers, borrowers, managers, and the like.
  •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for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a vehicle support terminal for vehicle support, a manager terminal for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and the like.
  •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as a device constituting the unattended entry/exit management system 100 .
  •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or a computer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including a tablet PC and the like. It can be.
  • the user terminal 110 may install and run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or app) for interworking with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performs an unattended entry/exit management method of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portation management program for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of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and the transportation management program includes standard information management, slip management, operation monitoring, billing management, and accounting. It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functions such as management.
  • the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may include functions related to customer and unit price management, vehicle management and borrower management, item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and user information.
  • the slip management may include functions related to slip management (dispatch), batch correction of slips, and shipment management, and accounting management may include functions related to deposit and withdrawal management, bills and settlement statements, and the like.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or LTE, and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
  • the unmanned acces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in connection with an independent external system (not shown in FIG. 1) to provide related services.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in conjunction with a payment system, a reservation system, a blockchain system, and the like.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cloud server, and may provide management functions for big data analysis and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through a cloud service.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CCTV system for monitoring entry/exit vehicles. That is,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capture and record a vehicle image at the moment the vehicle enters or exits through the CCTV system.
  • the vehicle image may include an image related to a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nd a loading state of the cargo compartment, and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a photographing time point.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n entry/exit vehicle.
  • the measuring instrument may be installed under the ground of the entrance/exit road of the vehicle, and may be implemented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transmit it to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while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the entrance/exit road.
  • 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
  • the database 150 may store registr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driver information of various transportation vehicles that generate entry and exit records,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vehicle entry and exit and loading and unload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store collected or processed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 the database 150 is shown as a device independent of the unmanned access management device 13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luded in the unmanned access management device 130 as a logical storage device. Of course you can.
  • FIG. 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of FIG. 1 .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 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of the aggregat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in this process, and store the memory 230 in the memory 230. You can schedule the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 the processo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nmanned access management device 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data flow between them. can do.
  •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
  • 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all data necessary for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 the memory 230 may store a set of commands that are executed by the electrically connected processor 210 to execute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method of the aggregat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and includes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It may include devices and output devices including adapters such as monitors or touch screens.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unmanned acces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server.
  •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a Value Added Network (VAN) may be included.
  •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or a 4G or higher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 FIG.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of FIG. 1 .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include a vehicle entrance/exit processing unit 310 , a vehicle exit/exit processing unit 330 , a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and a control unit 370 .
  • the entry processing unit 310 receives a request for entering through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checks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based on the GPS location of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included in the entry area, enters the vehicl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 the entry request may correspond to an act of requesting a designated vehicle to enter a specific place where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system 100 is installed.
  • an act of requesting a designated vehicle to enter a corresponding specific place may correspond to a request for exit.
  • an input/output processing terminal manag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That is, the driver of the designated vehicle can communicate with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through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and can enter/exit the vehicle at a specific location as well as loading or unloading goods (eg, aggregates) to be transported.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 th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communicate with a designated vehicle as well as a non-designated vehicle. At this time, the classification of designation and non-design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is registered. That is, when receiving a predetermined request from the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the vehicl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a designated vehicle or a non-designated vehicle based on whether a vehicle associated with the request is pre-registered, and performs an independently defined processing process. You can process related actions accordingly.
  • information on the vehicle number, purchaser, loading and unloading location, and items may be input in advance and registered in the dispatch list. If only the aggregate (original stone) quantity is contracted and the vehicle is not specified, the vehicle number is set to unspecified, and information on the purchaser, loading and unloading location, and item can be entered in advance and registered in the dispatch list.
  • the driver of the designated vehicle can input a request for entry by clicking the entry request button after inquiring the dispatch list (or dispatch status) through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 the driver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may input his or her license plate number to search the dispatch list, and then click a parking request button to input a parking request. At this time, a CCTV picture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may be taken according to the parking request.
  • the vehicle entrance processing unit 310 may perform a management operation for a vehicle requiring entry into a specific place.
  • the entrance processing unit 310 may receive a request for entering from a terminal for entering and exiting a designated vehicle, and record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at the time of the request according to the GPS location of the terminal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designated vehicle. And, if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entry area, entry processing may be performed.
  • the entry area may correspond to a pre-designated area for entering a vehicle, and may be defined as, for example, an area near a door through which a vehicle is moved to a specific place.
  • th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start an operation related to entry processing limitedly only in the case of a request for entry within the entry area. If a request for entry is received from a designated vehicle located outside the entry area, th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not perform any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entry request and sends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to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as a response to the entry reque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area.
  • the vehicl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receive a vehicle allocation registration from a terminal for entering and exiting a non-designated vehicle, verify validity of the vehicle allocation registration, and generate conditions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non-designated vehicle.
  • dispatch registration may correspond to an application for allowing the corresponding vehicle to participate in a transportation process. That is, when dispatch registration for a non-designated vehicle for which pre-registration has not been performed is received, the vehicl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verify the validity of the dispatch registr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and driver information.
  • the parking processing unit 310 is responsible for the dispatch registration. May be disallowed based on verification failure. If the vehicle dispatch registration is successfully verified, the vehicl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set entry/exit conditions for the non-designated vehicle. In this case, the vehicle entry/exit conditions may include a vehicle entry/exit permitted period, a vehicle entering/exiting permitted time interval, and the like.
  • the vehicl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analyze vehicle type and driver information included in dispatch registration to determine whether dispatch registration is possible.
  • the vehicl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receive input of vehicle types and driver information through a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for vehicle allocation registration, and may collect types and driver information of vehicles already assigned to the vehicle allocation list from the vehicle allocation list.
  • the vehicle entry processing unit 310 determines the type of vehicle that can be assigned and the driver information based on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information, and finally determines whether dispatch registration for non-designated vehicles is possible based on this.
  • the parking processing unit 310 may assign a dispatch code for the non-designated vehicle, generate dispatch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add the dispatch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dispatch list.
  • the entry processing unit 310 receives a non-designated entry request through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obtains conditions for entry and exit based on the non-designated entry request, and when the entry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is permitted, the non-designated vehicle When the location is confirmed and the location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is included in the entry area, entry processing may be performed.
  • the non-designated entrance request may correspond to a request for entry of a non-designated vehicle.
  • th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search for a non-designated vehicle in the dispatch list according to the non-designated entry request, and may obtain entry/exit conditions for the non-designated vehicle based on registration information.
  • the parking processing unit 310 may allow the non-designated parking request when the time of the non-designated parking request is included in the allowed entry/exit period of the entry/exit condition or included in the allowed entry/exit time period. Accordingly, the entry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may be allowed, and the entry processing unit 310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non-designated vehicle to detect the location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The entering processing unit 310 may initiate an operation for entering the non-designated vehicle when the location of the non-designated vehicle exists within a preset entering area.
  • the unloading processing unit 330 receives the loading request through the loading/unloading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provides the loading request to the loading support terminal, and when the loading response is received through the loading/unloading supporting terminal, the unloading request through the loading/unloading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received,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confirmed based on the GPS location of the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and if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included in the departure area, the vehicle exit process may be performed.
  • the loading vehicle support terminal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installed in a means for supporting loading vehicles.
  • the user terminal 110 installed in a loader transporting aggregate may correspond to this.
  • the loader may correspond to a construction machine for work such as digging the ground or drilling through rocks, embankment to pile up soil, and stop to level the ground.
  • the aggregate is loaded into a transportation vehicle can fulfill its role.
  •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330 may receive a loading request from a designated vehicle that successfully enters the vehicle.
  • the loading request may correspond to an act of requesting to load logistics to be transported in a designated vehicle.
  • the unloading processing unit 330 may transmit a loading request to the loading support terminal to initiate a loading process, and when the loader driver accepts the loading request through the loading support terminal, loading of the designated vehicle may proceed.
  • the unloading processing unit 330 may receive an unloading request from the designated vehicle on which loading is completed, and may allow unloading processing limitedly only when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exists within the unloading area.
  • the exit area may correspond to a pre-designated area for unloading of the vehicle, and may be defined as, for example, an area near a door through which a vehicle is to be moved to a specific place.
  •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330 when the request for loading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not received within a specific time after entering the designated vehicle,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330 provides the designated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with an allowable time for unloading and the designated vehicle within the permitted time for unloading. If the request for vehicle exit is not processed, a vehicle exit warning messag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330 may restrict the departure of the designated vehicle if there is no request for load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esignated vehicle has entered for the management of front and back.
  •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330 may provide related information by providing a permitted vehicle exit time to a terminal for entering and exiting a designated vehicle, and may provide a vehicle warning message when there is no request for vehicle exit despite the permitted vehicle vehicle exit time. . That is, the vehicle exit warning message induces vehicle vehicles to leave within a corresponding time period and may include content related to sanctions in the case of failure to vehicle vehicles.
  •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330 may calculate and provide an allowed vehicle exit time based on the type of designated vehicle and driver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330 may determine a reference time for an allowed vehicle exit time based on the type of designated vehicle. The reference time may be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esignated vehicle, and may have a larger value as the size of the designated vehicle increases.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330 may calculate the permitted vehicle exit time by multiplying the reference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designated vehicle by a correction constant determined based on the driver's entry/exit history. For example, the correction constant multiplied by the reference time may have a larger value as the number of entry/exit increases, the average elapsed time from entry to exit increases, and the number of loading/unloading increases in the entry/exit history.
  •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may record a vehicle image captured during the entry/exit process of a designated vehicle, a license plate number recognized from the vehicle image, and an entry/exit time in a vehicle entry/exit database, regardless of entry/exit processing.
  •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may collect images or videos of the vehicle during the entry/exit process of the vehicle in conjunction with a CCTV system installed near the entry/exit passage.
  •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may analyze the image of the vehicle to recognize the license plate number, and determine the entry/exit time based on the time point of capturing the image of the vehicle.
  •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may generate a vehicle image as management information together with a vehicle entry/exit record and store it in a vehicle entry/exit database.
  •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records CCTV imag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each of at least one CCTV terminal, and when an entry/exit error alarm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entry/exit processing unit or the exit processing unit, the designated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It is possible to query the vehicle entry/exit database with the vehicle number registered through and create an entry/exit record, and provide the entry/exit record and CCTV video in the entry/exit time zone to the manager terminal.
  • a CCTV system that works with the unmanned access control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t least one CCTV terminal.
  •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CCTV, and may receive a CCTV image from at least one CCTV terminal.
  • the video capacity only records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entry/exit time points may be limitedly included.
  • the entry/exit processing unit or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may generate an entry/exit error alarm when a predetermined entry/exit error is detected in the process of entering/exiting a designated vehicle, and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may generate an error when an entry/exit error alarm is received from the entry/exit processing unit or exit processing unit. Notifications can be created accordingly.
  • the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error may include the entry/exit record and CCTV imag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to a manager in charge of entry/exit management. Through this, the manager can easily check the contents and video of the entry/exit error, and can handle the entry/exit management more efficiently.
  • 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and manages a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entry processing unit 310, the vehicle exit processing unit 330, and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method of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perform a parking process for a designated vehicle through the parking processing unit 310 (step S410). More specifically,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receives a request for entering through a terminal for entering and exiting a designated vehicle,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based on the GPS location of the terminal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designated vehicle,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in the entering area. If it is included in , input processing may be performed.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perform a process for unloading a designated vehicle through the unloading processing unit 330 (step S430). More specifically,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receive a loading request through a terminal for handling designated vehicles and provide the loading request to a loading support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loading response is received through the loading support terminal,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receives an unloading request through the input/output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and checks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based on the GPS location of the input/output processing terminal.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included in the unloading area, unloading processing may be performed.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stores the vehicle image taken during the entry/exit process of a designated vehicle, the license plate number recognized from the vehicle image, and the entry/exit time regardless of entry/exit processing through the vehicle entry/exit management unit 350 into the vehicle entry/exit database. It can be recorded (step S450).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handling the loading of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receive a request for entry through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 the entry request may be respectively input through a terminal for entering/exiting a designated vehicle or a non-designated vehicle.
  • a designated vehicle may correspond to a vehicle designated in advance through the system, and a non-designated vehicle may correspond to an undesignated vehicle. Therefore, a designated vehicle can be registered by directly inquiring design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such as a computer or mobile phone, while a non-designated vehicle can be registered according to a related procedure after selecting undesignated through a mobile terminal such as a computer or mobile phone. .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che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GPS location of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or non-designated vehicle when the entry request is received. In this case,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collect images (or images) related to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nd the loading state of the cargo compartment through CCTV in conjunction with the CCTV system.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perform an entry process when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included in the entry area.
  • the entry area may be set in a front area in the direction of entering the entrance, and only when a request for entry is made while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entry area,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processes the entry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can ru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aking out an aggregat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receive a loading request through the loading and unloading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provide the loading request to the loading support terminal, and load the vehicle through the loading support terminal.
  • a response can be received. That is, a designated vehicle that has successfully entered can input a loading request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and upon receiving the loading request,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provides a loading support terminal of a vehicle capable of loading (eg, a loader)
  • a loading request may be transmitted and a loading response may be received. That is, the corresponding loader driver may be registered as a loading vehicle according to the loading response.
  • the loader driver may perform an input (or release request) related to loading vehicle through his terminal (cell phone), and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receives the loading vehicle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loader driver through a slip printer.
  • a release slip can be issued automatically.
  • the voucher printer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near the loading area.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take and record a CCTV picture of a designated vehicle.
  • the driver of the designated vehicle may manually input a receipt slip into a slip collection box installed near the entrance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vehicle, and in this case, the designated vehicle may not input a separate loading request after entering the vehicle. In addition, the designated vehicle may then proceed with an unloading procedure through an unloading request without a loading request.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receive an exit request through the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of the designated vehicle.
  • the driver of the designated vehicle may obtain a release slip through a slip printer and may input a request for unloading through an entry/exit processing terminal.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initiate an exit procedure by receiving an exit request.
  • an exit request and alighting confirmation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check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based on the GPS location of the terminal for handling entry/exit. In this case,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collect images (or images) related to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nd the loading state of the cargo compartment through CCTV in conjunction with the CCTV system.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perform a vehicle extraction process when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vehicle is included in the vehicle extraction area.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set in a rear area in the direction of exiting from a doorway, and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processes the vehicle to be taken out only when a vehicle is requested to exit while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departure area. can run
  • the unmanned entry/exit management device 130 can effectively collect and manage records related to the entire process of vehicle entry, loading and unloading, and alighting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front/out processing terminal.
  • processor 230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입차 요청을 수신하여 입차 처리를 수행하는 입차 처리부; 상기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 요청을 수신하여 출차 처리를 수행하는 출차 처리부; 및 상기 입차 처리 또는 상기 출차 처리와 관계없이 상기 지정 차량의 진출입 과정에서 촬영한 차량 이미지, 상기 차량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 및 진출입 시간을 차량 진출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차량 진출입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본 발명은 무인 진출입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차 또는 하차를 위한 골재운반 차량의 진출입을 자동화하여 효율적인 차량 관리가 가능한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산현장에서 제작된 물품은 차량, 배, 열차, 항공기 등의 수단을 통해 운송될 수 있다. 이 중 차량에 의한 화물운송은 내륙에서 화물을 운송할 때 항공기 등의 운송에 비해 상당한 비용절감 및 운송수속 등이 비교적 단순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화물 운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물류 거점들이 마련되고 거점들에서 물류의 입고와 출고가 관리되고 있으나, 입출고를 위한 운송 차량들의 진출입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이를 관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다.
특히, 골재 운송과 같이 물류 운송을 위한 차량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적재 상태에 따라 물류 용량의 변화가 큰 경우 운송 차량의 전출입을 관리하는데 상당한 비용과 인력이 소모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위한 효과적인 관리 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4597호 (2016.08.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차 또는 하차를 위한 골재운반 차량의 진출입을 자동화하여 효율적인 차량 관리가 가능한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CTV와 연동하는 무인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골재운반 차량의 진출입 기록과 함께 차량의 적재 상태에 관한 영상을 획득하여 진출입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입차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상기 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지정 차량의 위치가 입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입차 처리를 수행하는 입차 처리부; 상기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상차 요청을 수신하여 상차 지원 단말에 상기 상차 요청을 제공하고 상기 상차 지원 단말을 통해 상차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상기 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지정 차량의 위치가 출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출차 처리를 수행하는 출차 처리부; 및 상기 입차 처리 또는 상기 출차 처리와 관계없이 상기 지정 차량의 진출입 과정에서 촬영한 차량 이미지, 상기 차량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 및 진출입 시간을 차량 진출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차량 진출입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차 처리부는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로부터 배차 등록을 수신하고 상기 배차 등록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차 처리부는 상기 배차 등록에 포함된 차량 종류 및 운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차 등록의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입차 처리부는 상기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비지정 입차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비지정 입차 요청을 기초로 상기 입출차 조건을 획득하여 상기 비지정 차량의 입차가 허용된 경우에는 상기 비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비지정 차량의 위치가 입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입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출차 처리부는 상기 지정 차량의 입차 후 특정 시간 내에 상기 지정 차량의 상차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에 출차 허용 시간을 제공하고 상기 출차 허용 시간 내에 상기 지정 차량의 출차 요청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진출입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CCTV 단말 각각을 통해 CCTV 영상을 일정 시간 동안 기록하고 상기 입차 처리부 또는 상기 출차 처리부로부터 상기 지정 차량의 진출입 오류 알람이 수신되면 상기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등록된 차량 번호로 상기 차량 진출입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진출입 기록을 생성하며 상기 진출입 기록 및 진출입 시간대에 있는 CCTV 영상을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는 간단한 전산 입력으로 거래명세표, 매입, 운반비 등을 자동 정산하고 차량의 동선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출하실의 무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는 상차 및 하차확인 시간, 확인장소의 주소를 자동으로 저장함으로써 골재 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추적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는 CCTV와 연동하는 무인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골재운반 차량의 진출입 기록과 함께 차량의 적재 상태에 관한 영상을 획득하여 진출입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진출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입차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출차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진출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진출입 관리 시스템(100)은 차량의 진입과 진출에 관한 자동화된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으며,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해당 특정 장소를 방문하거나 이탈하는 차량들을 무인으로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진출입 관리 시스템(100)은 골재를 운반하는 운송 차량들의 관리를 위한 골재 채취장,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차들의 관리를 위한 물류 창고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무인 진출입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단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들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재 운송 관리에 있어 사용자는 차량 기사, 로우더 기사, 차주, 관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입출차 관리를 위한 입출차 처리 단말, 상차 지원을 위한 상차 지원 단말, 진출입 관리를 위한 관리자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무인 진출입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하나의 장치로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와 연결되어 동작 가능한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포함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와 연동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app)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를 위한 운송 관리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운송 관리 프로그램은 기준 정보 관리, 전표 관리, 운행 모니터링, 기성청구 관리 및 경리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 정보 관리는 거래처 및 단가 관리, 차량 관리 및 차주 관리, 품목 관리, 설비 관리 및 사용자 정보 등에 관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전표 관리는 전표 관리(배차), 전표 일괄 수정 및 출하실 관리 등에 관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리 관리는 입출금 관리, 계산서 및 정산서 등에 관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LT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독립된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과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결제 시스템, 예약 시스템, 블록체인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과 차량 진출입 관리를 위한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진출입 차량을 감시하기 위한 CCTV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CCTV 시스템을 통해 차량이 출입하는 순간의 차량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영상은 차량의 번호판과 화물칸의 적재상태에 관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촬영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진출입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계측기는 차량의 진출입로의 지면 아래에 설치될 수 있고, 차량이 진출입로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중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에게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진출입 기록을 생성하는 다양한 운송차량들의 등록 정보와 운행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차량의 입출고와 상하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가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150)는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논리적인 저장장치로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이나 4G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입차 처리부(310), 출차 처리부(330),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차 처리부(310)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입차 요청을 수신하고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며 지정 차량의 위치가 입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입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차 요청은 무인 진출입 관리 시스템(100)이 설치된 특정 장소에 대해 지정 차량이 진입을 요구하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어 해당 특정 장소에 대해 지정 차량이 진출을 요구하는 행위는 출차 요청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지정 차량에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관리하는 입출차 처리 단말이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지정 차량의 운전자는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특정 장소에서 차량의 진출입은 물론 운송 대상이 되는 물품(예를 들어, 골재)의 상차 또는 하차에 관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입차 처리부(310)는 지정 차량뿐만 아니라 비지정 차량과도 통신할 수 있으며, 이때 지정과 비지정에 관한 분류는 차량의 등록 여부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입차 처리부(310)는 입출차 처리 단말로부터 소정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요청과 연관된 차량의 사전 등록 여부를 기초로 지정 차량인지 비지정 차량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정의된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관련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번호를 지정한 정상 입고배차의 경우, 차량번호, 매입처, 상차지, 하차지 및 품목에 관한 정보가 사전에 입력되어 배차 리스트에 등록될 수 있다. 만약 골재(원석) 물량만 계약하고 차량을 미지정한 경우, 차량번호는 미지정으로 설정되고 매입처, 상차지, 하차지 및 품목에 관한 정보가 사전에 입력되어 배차 리스트에 등록될 수 있다. 지정 차량의 운전자는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배차 리스트(또는 배차 현황)를 조회한 후 입차 요청 버튼을 클릭하여 입차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비지정 차량의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배차 리스트를 조회한 후 입차 요청 버튼을 클릭하여 입차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입차 요청에 따라 비지정 차량에 대한 CCTV 사진이 촬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차 처리부(310)는 특정 장소의 진입을 요구하는 차량을 위한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차 처리부(310)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로부터 입차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입차 요청에 따라 해당 요청 시점에서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이용하여 지정 차량의 위치를 기록할 수 있으며, 지정 차량의 위치가 소정의 입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입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차 영역은 차량의 입차를 수행하기 위해 사전에 지정된 영역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통과하는 출입문 인근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입차 처리부(310)는 지정 차량이 특정 장소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입차 영역을 통과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입차 영역 내에서의 입차 요청의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입차 처리에 관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만약 입차 영역이 아닌 곳에 있는 지정 차량으로부터 입차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입차 처리부(310)는 해당 입차 요청에 대해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해당 입차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해당 입출차 처리 단말에게 입차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입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차 처리부(310)는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로부터 배차 등록을 수신하고 배차 등록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차 등록은 해당 차량이 운송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는 신청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입차 처리부(310)는 사전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비지정 차량에 대한 배차 등록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비지정 차량의 종류와 운전자 정보를 기초로 배차 등록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만약 비지정 차량의 종류가 운송에 적합하지 않은 차량인 경우이거나 또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의 경력이 짧거나 사고 이력이 존재하는 등 참여 결격 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입차 처리부(310)는 해당 배차 등록에 대해 검증 실패를 근거로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배차 등록에 대한 검증에 성공한 경우 입차 처리부(310)는 해당 비지정 차량에 대한 입출차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입출차 조건은 입출차 허용 기간, 입출차 허용 시간 구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차 처리부(310)는 배차 등록에 포함된 차량 종류 및 운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배차 등록의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입차 처리부(310)는 배차 등록을 위해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차량의 종류와 운전자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배차 리스트에서 이미 배차 등록된 차량들에 대한 종류와 운전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입차 처리부(310)는 기 배차 등록된 차량 정보를 기준으로 배차 등록 가능한 차량 종류와 운전자 정보를 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비지정 차량에 대한 배차 등록의 가능 여부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배차 등록이 결정된 경우 입차 처리부(310)는 해당 비지정 차량에 대한 배차코드를 부여하고 수집된 정보들 포함하는 배차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배차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차 처리부(310)는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비지정 입차 요청을 수신하고 비지정 입차 요청을 기초로 입출차 조건을 획득하여 비지정 차량의 입차가 허용된 경우에는 비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며 비지정 차량의 위치가 입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입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지정 입차 요청은 비지정 차량의 진입을 위한 요청에 해당할 수 있다. 입차 처리부(310)는 비지정 입차 요청에 따라 배차 리스트에서 비지정 차량을 검색할 수 있고, 등록 정보를 기초로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차 처리부(310)는 비지정 입차 요청 시점이 입출차 조건의 입출차 허용 기간에 포함되거나 또는 입출차 허용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비지정 입차 요청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지정 차량의 입차가 허용될 수 있으며, 입차 처리부(310)는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과 통신하여 비지정 차량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입차 처리부(310)는 비지정 차량의 위치가 기 설정된 입차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비지정 차량의 입차 처리를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출차 처리부(330)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상차 요청을 수신하여 상차 지원 단말에 상차 요청을 제공하고 상차 지원 단말을 통해 상차 응답이 수신되면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 요청을 수신하며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지정 차량의 위치가 출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출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차 지원 단말은 상차를 지원하는 수단에 설치되는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재 운송의 경우 골재를 운반하는 로우더(loader)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110)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로우더(loader)는 땅을 파거나 바위 등을 뚫는 굴착, 흙을 쌓는 성토, 땅을 고르게 다듬는 정지 등의 작업을 위한 건설기계에 해당할 수 있고, 골재 채취의 경우 골재를 운송 차량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출차 처리부(330)는 입차에 성공한 지정 차량으로부터 상차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차 요청은 지정 차량에 운송 대상이 되는 물류를 적재하도록 요청하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출차 처리부(330)는 상차 요청을 상차 지원 단말에 전송하여 상차 과정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로우더 기사가 상차 지원 단말을 통해 상차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해당 지정 차량에 대한 상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출차 처리부(330)는 상차가 완료된 지정 차량으로부터 출차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정 차량의 위치가 출차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출차 처리를 허용할 수 있다. 이때, 출차 영역은 차량의 출차를 수행하기 위해 사전에 지정된 영역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통과하는 출입문 인근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차 처리부(330)는 지정 차량의 입차 후 특정 시간 내에 지정 차량의 상차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에 출차 허용 시간을 제공하고 출차 허용 시간 내에 지정 차량의 출차 요청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출차 처리부(330)는 전출입 관리를 위해 지정 차량의 입차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차 요청이 없으면 해당 지정 차량의 출차를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출차 처리부(330)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에 출차 허용 시간을 제공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출차 허용 시간에도 불구하고 출차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출차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출차 경고 메시지는 해당 시간 내에 출차를 유도하고, 출차 하지 않는 경우의 제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차 처리부(330)는 지정 차량의 종류와 운전자 정보를 기초로 출차 허용 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차 처리부(330)는 지정 차량의 종류를 기초로 출차 허용 시간에 관한 기준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기준 시간은 지정 차량의 종류에 따라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지정 차량의 크기가 클수록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출차 처리부(330)는 지정 차량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 기준 시간에 운전자의 진출입 이력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보정 상수를 곱하여 출차 허용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출입 이력에서 진출입 횟수가 많을수록, 진입 후 진출까지의 평균 경과 시간이 길수록, 상차 또는 하차 횟수가 많을수록 기준 시간에 곱해지는 보정 상수는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는 입차 처리 또는 출차 처리와 관계없이 지정 차량의 진출입 과정에서 촬영한 차량 이미지, 차량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 및 진출입 시간을 차량 진출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먼저,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는 출입 통로 인근에 설치된 CCTV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의 진출입 과정에서 차량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는 차량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인지하고, 차량의 이미지 촬영 시점을 기준으로 진출입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는 차량의 진출입 기록과 함께 차량의 이미지를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여 차량 진출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CCTV 단말 각각을 통해 CCTV 영상을 일정 시간 동안 기록하고 입차 처리부 또는 출차 처리부로부터 지정 차량의 진출입 오류 알람이 수신되면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등록된 차량 번호로 차량 진출입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진출입 기록을 생성하며 진출입 기록 및 진출입 시간대에 있는 CCTV 영상을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와 연동하는 CCTV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CCTV 단말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CCTV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CCTV 단말로부터 CCTV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CCTV 영상의 경우 영상 용량으로 인해 진출입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의 기록만을 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차 처리부 또는 출차 처리부는 지정 차량의 진출입 과정에서 소정의 진출입 오류를 검출하면 진출입 오류 알람을 생성할 수 있고,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는 입차 처리부 또는 출차 처리부로부터 진출입 오류 알람이 수신되면 오류에 따른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류에 따른 알림에는 해당 차량의 진출입 기록과 CCTV 영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는 해당 알림을 진출입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진출입 오류에 대한 내용과 영상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진출입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차 처리부(310), 출차 처리부(330) 및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입차 처리부(310)를 통해 지정 차량에 관한 입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10). 보다 구체적으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입차 요청을 수신하고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며 지정 차량의 위치가 입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입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출차 처리부(330)를 통해 지정 차량에 관한 출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30). 보다 구체적으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상차 요청을 수신하여 상차 지원 단말에 상차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상차 지원 단말을 통해 상차 응답이 수신되면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 요청을 수신하며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지정 차량의 위치가 출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출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차량 진출입 관리부(350)를 통해 입차 처리 또는 출차 처리와 관계없이 지정 차량의 진출입 과정에서 촬영한 차량 이미지, 차량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 및 진출입 시간을 차량 진출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단계 S45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입차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입차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차 요청은 지정 차량 또는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각각 입력될 수 있다. 지정 차량의 경우 시스템을 통해 사전에 지정된 차량에 해당할 수 있고, 비지정 차량의 경우 미지정된 차량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정 차량은 컴퓨터 또는 핸드폰 등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직접 지정 정보를 조회하여 등록할 수 있는 반면, 비지정 차량은 컴퓨터 또는 핸드폰 등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미지정을 선택한 다음 관련 절차에 따라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입차 요청이 수신되면 지정 차량 또는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CCTV 시스템과 연동하여 CCTV를 통해 차량의 번호판과 화물칸의 적재상태에 관한 영상(또는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지정 차량의 위치가 입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입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차 영역은 출입구로 진입하는 방향의 전방 영역에 설정될 수 있고, 해당 입차 영역에 차량이 위치한 상태에서 입차 요청을 수행한 경우에만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해당 차량의 입차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운반 차량의 출차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상차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차 지원 단말에 상차 요청을 제공하고 상차 지원 단말을 통해 상차 응답이 수신할 수 있다. 즉, 입차에 성공한 지정 차량은 소정의 기간 이내에 상차 요청을 입력할 수 있고,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상차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차 지원 가능한 차량(예를 들어, 로우더)의 상차 지원 단말에게 상차 요청을 전송하고 그에 관한 상차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상차 응답에 따라 해당 로우더 기사의 상차 등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로우더 기사는 자신의 단말(핸드폰)을 통해 상차 확인에 관한 입력(또는 출고요청)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로우더 기사로부터 상차 확인 정보를 수신하면 전표 프린터를 통해 출고전표를 자동으로 발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표 프린터는 상차지 인근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지정 차량에 대한 CCTV 사진을 촬영하여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지정 차량의 운전자는 입차하는 과정에서 출입구 인근에 설치된 전표 수거함에 입고전표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지정 차량은 입차 이후에 별도의 상차 요청을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정 차량은 이후 상차 요청없이 출차 요청을 통해 출차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지정 차량의 운전자는 상차를 완료한 경우 전표 프린터를 통해 출고전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를 위한 출차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출차 요청을 수신하여 출차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한편, 입고인 경우에는 출차 요청과 함께 하차 확인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CCTV 시스템과 연동하여 CCTV를 통해 차량의 번호판과 화물칸의 적재상태에 관한 영상(또는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670에서,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지정 차량의 위치가 출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출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차 영역은 출입구에서 나가는 방향의 후방 영역에 설정될 수 있고, 해당 출차 영역에 차량이 위치한 상태에서 출차 요청을 수행한 경우에만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해당 차량의 출차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후, 운송 차량은 하차지로 운행하여 전출입 처리 단말을 통해 하차 요청을 입력하고 하차에 따른 하차 확인을 각각 입력할 수 있다.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130)는 전출입 처리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차량의 입차부터 상차 후 출차, 그리고 하차에 관한 전 과정에 관한 기록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무인 진출입 관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입차 처리부 330: 출차 처리부
350: 차량 진출입 관리부 370: 제어부

Claims (6)

  1.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입차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상기 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지정 차량의 위치가 입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입차 처리를 수행하는 입차 처리부;
    상기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상차 요청을 수신하여 상차 지원 단말에 상기 상차 요청을 제공하고 상기 상차 지원 단말을 통해 상차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입출차 처리 단말의 GPS 위치를 기초로 상기 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지정 차량의 위치가 출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출차 처리를 수행하는 출차 처리부; 및
    상기 입차 처리 또는 상기 출차 처리와 관계없이 상기 지정 차량의 진출입 과정에서 촬영한 차량 이미지, 상기 차량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 및 진출입 시간을 차량 진출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차량 진출입 관리부를 포함하는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 처리부는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로부터 배차 등록을 수신하고 상기 배차 등록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조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 처리부는
    상기 배차 등록에 포함된 차량 종류 및 운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차 등록의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 처리부는
    상기 비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비지정 입차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비지정 입차 요청을 기초로 상기 입출차 조건을 획득하여 상기 비지정 차량의 입차가 허용된 경우에는 상기 비지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비지정 차량의 위치가 입차 영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입차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처리부는
    상기 지정 차량의 입차 후 특정 시간 내에 상기 지정 차량의 상차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에 출차 허용 시간을 제공하고 상기 출차 허용 시간 내에 상기 지정 차량의 출차 요청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출차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진출입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CCTV 단말 각각을 통해 CCTV 영상을 일정 시간 동안 기록하고 상기 입차 처리부 또는 상기 출차 처리부로부터 상기 지정 차량의 진출입 오류 알람이 수신되면 상기 지정 차량의 입출차 처리 단말을 통해 등록된 차량 번호로 상기 차량 진출입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진출입 기록을 생성하며 상기 진출입 기록 및 진출입 시간대에 있는 CCTV 영상을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PCT/KR2021/015457 2021-10-29 2021-10-29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WO202307496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5457 WO2023074968A1 (ko) 2021-10-29 2021-10-29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5457 WO2023074968A1 (ko) 2021-10-29 2021-10-29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4968A1 true WO2023074968A1 (ko) 2023-05-04

Family

ID=8615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457 WO2023074968A1 (ko) 2021-10-29 2021-10-29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7496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5582A (ja) * 1997-11-17 2006-06-15 Toshiba Corp 入出門管理装置
KR100649888B1 (ko) * 2005-11-02 2006-11-27 미래산전 주식회사 컨테이너 터미널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17167A (ko) * 2006-06-07 2007-12-12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골재 채취 무인 자동화 시스템 및 자동화 방법
KR101907606B1 (ko) * 2017-08-22 2018-10-12 화이트윙시스템(주) 도크 입출하 관리 시스템
JP2020170367A (ja) * 2019-04-03 2020-10-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現場の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現場の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5582A (ja) * 1997-11-17 2006-06-15 Toshiba Corp 入出門管理装置
KR100649888B1 (ko) * 2005-11-02 2006-11-27 미래산전 주식회사 컨테이너 터미널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17167A (ko) * 2006-06-07 2007-12-12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골재 채취 무인 자동화 시스템 및 자동화 방법
KR101907606B1 (ko) * 2017-08-22 2018-10-12 화이트윙시스템(주) 도크 입출하 관리 시스템
JP2020170367A (ja) * 2019-04-03 2020-10-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現場の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現場の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887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AU2013293034B2 (en) An automated vehicle parking management system
CN103646293A (zh) 一种闲置车位的预定交易系统及方法
KR102139724B1 (ko)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WO2021162161A1 (ko)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10088143A (ko) 주차장 운영 대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WO2020105872A1 (ko) 차량 내부에서의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244430B1 (ko) Pc방 무인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11868946B2 (en) System for parcel transport operat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WO2020036306A1 (ko) 차량번호 기반 주차엘리베이터 제어
JP6401849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9754292A (zh) 停车自助开票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324636B (zh) 一种基于扫码的无人值守称重系统及方法
WO2023074968A1 (ko)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WO2023145990A1 (ko)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출하 관리 장치
JP5754974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WO2019146989A1 (ko) 주유소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10090306A (ko) 이종데이터의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모듈장치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EP3779897A1 (en) Parking fee collection method, equipment, shopping cart and system
Aravinthkumar et al.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 shopping malls
JP5232490B2 (ja) 料金自動収受機監視システム、料金自動収受機監視方法
CN206421469U (zh) 一种无线云停车管理系统
KR20230063518A (ko)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진출입 관리 장치
WO2021167128A1 (ko) Erp 연동 통합 물류배송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378094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海关物流及关口监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25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