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38398A1 -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팩, 전기 차량 및 배터리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팩, 전기 차량 및 배터리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38398A1
WO2023038398A1 PCT/KR2022/013350 KR2022013350W WO2023038398A1 WO 2023038398 A1 WO2023038398 A1 WO 2023038398A1 KR 2022013350 W KR2022013350 W KR 2022013350W WO 2023038398 A1 WO2023038398 A1 WO 20230383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value
capacity
time
estim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3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민
성용철
김철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EP22867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53972A1/en
Priority to JP2023528007A priority patent/JP2023548898A/ja
Priority to CN202280008020.6A priority patent/CN116583754A/zh
Priority to US18/269,315 priority patent/US20240066993A1/en
Publication of WO20230383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383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a parallel connection body from a change over time in a full charge capacity of a battery including a parallel connection body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 a battery can be manufactured by enclosing an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in a casing.
  • the electrode assembly is a plurality of unit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hat is, a parallel connection body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 a unit cell refers to the smallest unit of an electrical storage element capable of being independently recharged and discharged.
  • a unit cell may mean a full-cel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no-cell and a bi-cell.
  • the type of over capacity of the batter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 the first type of abnormality is a state in which minute damage and/or in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occur in connection parts (e.g., electrode tabs) of several unit cells constituting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thereby temporarily not contributing to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 An abnormality of the second type is a state in which several unit cells constituting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are irreversibly broken, so that they cannot permanently contribute to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diagnosis device and a battery diagnosis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a connection body in advance.
  • a battery diagnostic device for a battery including a parallel connection body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is a voltage time series representing a change in voltage across the battery with time and a charge/dischar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attery.
  • a data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collect charge/discharge data including a current time series representing a change in current over time; and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determine an estimated capacity value indicating a full charge capacity of the battery, based on the charge/discharge data.
  • the data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diagnose an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by monitoring a change in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over time.
  • the data processing unit inputs the charge/discharge data to a capacity estimation model, determines an integrated current value and a SOC change value of the battery, and determines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from a ratio between the integrated current value and the SOC change value. can be configured.
  • the data processing unit diagnoses the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based on two estimated capacitance values at a first time point and a second time point shifted by the first time interval at a second time interva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 the data processing unit determines a threshold capacity value for the second time point that is smaller than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at the first time point, and compares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at the second time point with the threshold capacity value; It may be configured to diagnose an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capacity value by subtracting a reference capacity value from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at the first time point.
  •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capacity value by multiplying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at the first time point by a reference factor of less than 1.
  • the data processing unit when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at the second time is less than the threshold capacitance value, increases a diagnosis count and, in response to the diagnosis count reaching the threshold count, diagnoses that the parallel connection unit is abnormal. can be configured.
  • the data management unit when it is diagnosed that the parallel connection unit is abnormal, from two estimated capacity values at two times in the past with a time interval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time interval at which the maximum decrease in the full charge capacity appears, the plurality of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unit cells that are greater than one of the unit cells of.
  •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ttery diagnosis device.
  •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the battery pack.
  • a method for diagnosing a battery for a battery including a parallel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includes a voltage time series representing a change in voltage across the battery over time and a charge flowing through the battery. Collecting charge/discharge data including a current time series representing a change in discharge current over time; determining an estimated capacity value indicating a full charge capacity of the battery based on the charge/discharge data; and diagnosing an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or by monitoring a change in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over time.
  • the determining of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representing the full charge capacity of the battery may include: inputting the charge/discharge data to a capacity estimation model to determine an integrated current value and an SOC change value of the battery; and determining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from a ratio between the integrated current value and the SOC change value.
  • the diagnosing the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unit may be based on two estimated capacitance values at a first time point and a second time point that are shifted by the first time interval at a second time interva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
  • the diagnosing the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unit may include determining a threshold capacitance value for the second time point that is smaller than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at the first time point; and comparing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at the second time point with the threshold capacitance value to diagnose an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or.
  • the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of the battery can be detected.
  • the risk of fire and explosion of the battery can be eliminated in advance by taking an appropriate protection measure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an abnormality in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shown in FIG. 1 by way of example.
  • FIG. 3 is a diagram when referring to explaining a first capacity abnormality (in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of a battery.
  • FIG. 4 is a diagram referring to explaining a second capacity abnormality (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of a battery.
  • 5 is an exemplary graph referred to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pacity abnormality and full charge capacity of a battery.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 an electric vehicle 1 includes a vehicle controller 2 , a battery pack 10 and an electric load 30 .
  • the charging/discharging terminals P+ and P- of the battery pack 1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harger 40 through a charging cable or the like.
  • the charger 40 may be includ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1 or may be provided in a charging station outside the electric vehicle 1 .
  • the vehicle controller 2 (eg,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ransmits a key-on signal to battery management in response to a start button (not shown)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1 being switched to the ON-position by the user.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system 100 .
  • the vehicle controller 2 is configured to transmit a key-off signal to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in response to the start button being switched to the OFF-position by the user.
  • the charger 40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controller 2 and supply charging power of constant current or constant voltage through the charging/discharging terminals P+ and P- of the battery pack 10 .
  • the battery pack 10 includes a battery group CG, a relay 20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
  • the battery group BG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B.
  • the type of battery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such as a lithium ion cell.
  • the battery group BG is exemplified as a serially connected body of a plurality of batteries (B 1 to B N , where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 the plurality of batteries B 1 to B N may be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electrochemical specifications.
  • the symbol 'B' is assigned to the battery.
  • the relay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to the battery group BG through a power path connecting the battery group BG and the inverter 31 .
  • the relay 20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group BG and the charge/discharge terminal P+.
  • the relay 20 is turned on and off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from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
  • the relay 20 may be a mechanical contactor that is turned on and off by the magnetic force of a coil or a semiconductor switch such as a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 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 the electric load 30 includes an inverter 31 and an electric motor 32 .
  • Inverter 31 is provided to convert DC current from battery group BG included in battery pack 10 into AC current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or vehicle controller 2.
  • the electric motor 32 is driven using AC power from the inverter 31 .
  • As the electric motor 32 a three-phase AC motor can be used, for example.
  •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 sensing circuit 110 , a memory 120 and an arithmetic circuit 130 .
  •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circuit 140 .
  •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is an example of a "battery diagnosi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nsing circuit 110 is configured to collect at least one of battery physical quantities observable from the battery B.
  • the battery physical quantity includes the voltage, current and/or temperature of the battery B.
  • the sensing circuit 110 and the memory 120 are examples of a "data acquisi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nsing circuit 110 includes a voltage detector 111 and a current detector 112 .
  • the sensing circuit 11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detector 113 .
  • the voltage detector 111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B 1 to B N included in the battery group BG, and spans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B 1 to B N . It is configured to detect battery voltages (V 1 to V N ), which are voltages, and generate a voltage signal representing a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voltages (V 1 to V N ).
  • the current detector 112 is seri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group BG through a current path between the battery group BG and the inverter 31 .
  • the current detector 112 is configured to detect a charge/dischar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attery group BG and generate a current signal representing a current value of the charge/discharge current. Since the plurality of batteries B 1 to B N are connected in series, a common charge/discharge current flows through the plurality of batteries B 1 to B N .
  • the current detector 112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known current detection elements such as a shunt resistor and a Hall effect element.
  • the temperature detector 113 is configured to detect a battery temperature, which i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group BG, and generate a temperature signal representing the detected battery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detector 113 may b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ttery group BG to detect a temperature close to the actu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group BG.
  • the temperature detector 113 may be attached to a surface of at least one battery B included in the battery group BG, and may detec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attery B as the battery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detector 113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known temperature detection elements such as thermocouples, thermistors, and bimetals.
  • the memory 120 may be,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SSD type), a silicon disk drive type (SDD type), or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micro type),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may be included.
  • the memory 120 may record the charge/discharge data of the battery B by arrang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physical quantities of the battery collected by the sensing circuit 110 according to time.
  • the charge/discharge data includes a voltage time series representing the change over time of the battery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 battery B and a current time series showing the change over time of the charge/dischar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attery B.
  • the memory 120 may store data representing a result of an arithmetic operation performed by the arithmetic circuit 130 .
  • the memory 12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lgorithms, diagnostic logics, and/or functions required for controlling, managing, and diagnosing the battery B.
  • the communication circuit 140 is configured to support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arithmetic circuit 130 and the vehicle controller 2 .
  • Wired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cont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ZigBee or Bluetooth communication.
  • the type of communication protoco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communication circuit 140 may include an output device (eg, a display or a speaker) that provid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lculation circuit 130 and/or the vehicle controller 2 in a form recognizable by a user (driver). .
  • Arithmetic circuit 130 is operative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relay 20 , sensing circuit 110 , and communication circuit 140 .
  • the arithmetic circuit 130 may be referred to as an 'on-board controller' and is an example of a 'dat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rithmetic circuit 130 outputs a voltage signal from the voltage detector 111, a current signal from the current detector 112, and/or a temperature detector 113 during charging, discharging and/or idle of the battery group BG.
  • the temperature signal from may be collected periodically at regular time intervals or non-periodically at irregular time intervals. That is, the arithmetic circuit 130 uses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provided therein to obtain voltage detection values, current detection values, and/or analog signals collected from the detectors 111, 112, and 113.
  •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 the detected temperature value may be acquired and recorded in the memory 120 .
  • the computational circuit 130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microprocessors in terms of hardware.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microprocessors in terms of hardware.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 the battery group BG When the electric load 30 and/or the charger 3 operate while the relay 20 is turned on, the battery group BG enters a charging mode or a discharging mode. When the relay 20 is turned off, the battery group BG is converted to a sleep mode.
  • the arithmetic circuit 130 may turn on the relay 20 in response to the key-on signal.
  • the arithmetic circuit 130 may turn off the relay 20 in response to the key-off signal.
  • the key-on signal is a signal requesting a transition from idle to charge or discharge.
  • the key-off signal is a signal requesting a transition from charging or discharging to idle.
  • the on/off control of the relay 20 may be performed by the vehicle controller 2 instead of the arithmetic circuit 130 .
  • the remote battery monitor 300 is another example of the "battery diagnosi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loud server located outside the electric vehicle 1.
  • the remote battery monitor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310 , a memory 320 and an arithmetic circuit 330 .
  • the communication circuit 310 and the memory 320 are other examples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rithmetic circuit 330 is another example of a "dat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referred to as an 'off-board controller'.
  • the communication circuit 31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140 o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to collect charge/discharge data of the battery B from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and collect the collected charge/discharge data. Write data to memory 320.
  • the arithmetic circuit 330 has a common function with the arithmetic circuit 130 o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100 in diagnosing an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included in at least one battery B of the battery group BG. Responsible for operations and functions. It is revealed in advance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alculation circuit 130 described later may be common to the calculation circuit 330 .
  •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shown in FIG. 1 by way of example
  • FIG. 3 is a diagram referring to explaining a first capacity or more (in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of the battery
  • FIG. 4 is a diagram of the battery. Reference is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capacity anomaly (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 the battery B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200 , a cathode lead 210 , a cathode lead 220 and an exterior material 230 .
  •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an example of a parallel connection body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UC 1 to UC M , where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 the unit cell UC includes a separator 203 , a positive electrode plate 201 ,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202 insula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01 by the separator 203 .
  •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01 has a positive electrode tab 205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2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02 has a negative electrode tab 206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20. ) has
  •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accommodated in the exterior material 230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 the other end side of each of the positive lead 210 and the negative lead 2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230 is provided as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B.
  • more than the first capac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applied to the electrode tabs 205 and 206 of some unit cells UC 1 and UC 2 among the plurality of unit cells UC 1 to UC M .
  • This is a state in which contact resistances R 1 and R 2 between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and the electrode leads 210 and 220 vary widely and irregularly due to damage and/or in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 the cut parts of the electrode tabs 205 and 206 do not mainta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ion and separation between the cut parts occur flexibly according to the contraction-expansion of the battery B,
  • the contact area at the time of connection is also in a variable state.
  •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increases, and conversely, as the tensile force gradually decreases, the contact resistances (R 1 , R 2 ) of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decrease .
  • the second capacity or higher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a state in which some unit cells UC 1 and UC 2 among a plurality of unit cells UC 1 to UC M are irreversibly broken, that is, a unit Due to a 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of the cells UC 1 and UC 2 , the charge/discharge current path between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and the electrode leads 210 and 220 is irreversibly lost and equalized.
  • a 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is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tabs 205 and 206 or the electrode plates 201 and 202 of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are cut into multiple parts spaced apart to the extent that reconnection is impossible,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in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described above.
  • the reason why the second capacity abnormality by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occurred at a certain time during manufacture or use of the battery B is that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are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leads 210 and 220. This means that it is irretrievably lost. thus. From a specific time when the second capacity anomaly occurs,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do not contribute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B, so the capacity of the battery B is ) depends only on the capacity of the remaining unit cells (UC 3 ⁇ UC M ).
  • the arithmetic circuit 130 applies a capacity estimation model to the charge/discharge data to perform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n estimated capacity value representing the full charge capacity (FCC) of the battery periodically or repeat non-periodically. That is, the arithmetic circuit 130 monitors the temporal change of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 FCC full charge capacity
  • the capacity estimation model is a kind of algorithm that receives charge/discharge data and provides an estimated capacity value as a corresponding output, and is a combination of several functions.
  • the capacity estimation model includes (i) a first function for calculating a current integrated value of the charge/discharge current of the battery B over a certain period or a variable period in the past from the current time series of the battery B, ( ii) a second function that calculates the OCV (Open Circuit Voltage) of battery B over a certain or variable period in the past from the voltage time series and/or current time series of battery B, (iii) A third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SOC of battery B from the OCV of battery B using a pre-given OCV-State Of Charge (SOC) relationship table, and (iv) Current integration, each calculated for a common period A fourth function for calculating an estimation result of the full charge capacity of the battery B, that is, an estimated capacity value, from the ratio between the value and the SOC change value.
  • SOC OCV-State Of Charge
  • ⁇ Ah t1-t2 is the current integration value of the repeatedly measured charge/discharge current over the time range between two times t1 and t2
  • ⁇ SOC t1-t2 is the SOC change value over the time range between two times t1 and t2
  • FCC t2 is an estimated capacity value representing the full charge capacity at time t2.
  • Time t1 precedes time t2 and may be the most recent time at which it is satisfied that the absolute value of ⁇ Ah t1-t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andard integration value and/or that the absolute value of ⁇ SOC t1-t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hange value.
  • the reference integrated value and the reference change value may be predetermined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in accuracy of FCC t2 due to a very small absolute value of ⁇ Ah t1-t2 and/or ⁇ SOC t1-t2 .
  • the charge current may be set to a positive number and the discharge current to a negative number.
  • Time t2 is the calculation timing of the full charge capacity.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hen the full charge capacity is repeatedly calculated every first time interval, time t2 is shifted at the first time interval.
  •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of the full charge capacity is 125 Ah.
  •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of the full charge capacity is also 125 Ah.
  • the full charge capacity represents the maximum storable capacity of the battery B, that is,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B at SOC of 100%. It is normal for the full charge capacity to gradually decrease as battery B deteriorates.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decrease in the full charge capacity over a short time interval exceeds a certain level, it indicates that the first capacity or higher or the second capacity or higher has occurred.
  • 5 is an exemplary graph referred to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pacity abnormality and full charge capacity of a battery.
  • curve 500 illustrates the change over time in the full charge capacity of a healthy battery.
  • curve 500 is simplified to show that the full charge capacity of a normal battery decreases linearly with time.
  • the curve 510 illustrates the change over time of the full charge capacity of the battery B when the first capacity or more and the second capacity or more occur sequentially. Referring to the curve 510, as shown in FIG. 3, it represents the full charge capacity of the battery B in which the first capacity or more has occurred due to minute damage and/or in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of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
  • the full charge capacity gradually decreases from time ta (e.g., the time the battery is shipped) to time tb, then rapidly decreases from time tb to time tc, and then from time tc to time td.
  • the first dose or higher continues for a long time, it may develop (intensify) to the second dose or higher.
  • the full charge capacity rapidly decreases.
  • the curve 500 has a slope similar to that of the curve 500 without recovering the full charging capacity to a normal level even after the time tf at which the rapid decrease in the full charging capacity stopp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 this is a result of a 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of the unit cells UC 1 and UC 2 around time te, that is,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in the second capacity.
  • the arithmetic circuit 130 monitors the time-dependent change (time series) of the full charged capacity according to the curve 510, that is,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so that the first capacity or higher and/or the second capacity or higher of the parallel connector 200 is exceeded. determine whether or not That is, the battery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diagnosis logic for diagnosing whether or not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normal in units of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and specifically, based on the diagnosis logic,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It is possible to identify (or diagnose) whether or not the unit cell included in ) is abnormal.
  • the battery diagnosis apparatus diagnoses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based on the diagnosis log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detecting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including at least one abnormal unit cell or a critical number or more. can be identified, and consequently, the abnormal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or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can be diagnosed.
  • the arithmetic circuit 130 applies diagnostic logic to two estimated capacitance values at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which are shifted at a first time interval with a second time interva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to parallelize the parallelis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st capacitance and/or the second capacitance of the connection body 200 has occurred.
  • the second time is a time following the first time by a second time interval, and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may be set by the arithmetic circuit 130 to be increased by the first time interval at each first time interval.
  • the first time interval may be the same as the charge/discharge data collection cycle (or the calculation cycle of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may be an integer multiple (eg, 10 times) of the first time interval.
  • Diagnosis logic includes (i) a first routine for determining a threshold capacitance value for a second time instant that is less than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at the first time point, and (ii) setting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at the second time instant to a second time instant.
  • a second routine for comparison with a threshold capacitance value may be included.
  • the threshold capacity value for the second time is a result of subtracting the reference capacity value from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at the first time or a result of multiplying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at the first time by a reference factor less than 1.
  • the reference capacity value is determined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number (M)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UC 1 to UC M ) included in the battery (B) and the design capacity (full charge capacity in a new state) of the battery (B). It may be recorded in the memory 120 as a predetermined value.
  • the reference factor is a predetermined value (eg, (M-1)/M, (M-2)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number (M)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UC 1 to UC M ) included in the battery (B). /M) may be recorded in the memory 120.
  • the curve 520 of FIG. 5 illustrates the change over time of the threshold capacitance calculated by applying the first routine to the curve 510 .
  • the calculation circuit 130 determines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capacitance abnormality and the second capacitance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when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at the second time point is less than the threshold capacitance value for the second time point. can judge
  • the arithmetic circuit 130 may increase the diagnosis count by 1 whenever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at the second time point is less than the threshold capacitance value for the second time point.
  • the operation circuit 130 may reset the diagnostic count to an initial value (eg, 0) or decrease the diagnostic count by 1 whenever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at the second time poi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apacitance value for the second time point.
  • the arithmetic circuit 130 determines the type of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element 200.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dose.
  • the arithmetic circu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capacitance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or 200 has occurred in response to the diagnosis count reaching a critical count (eg, 5).
  • times ta+, tb+, tc+, td+, te+, and tf+ are times shifted in a positive direction by a second time interval from times ta, tb, tc, td, te, and tf, respectively.
  • curve 510 lies below curve 510 . Therefore, from time tx onwards to time ty, the diagnosis count increases by 1 at every first time interval.
  • the operation circuit 130 may activate a predetermined protection function related to the second capacity or higher of the battery B in response to the diagnostic count reaching the threshold count before time ty.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 the method of FIG. 6 may be repeatedly executed at a first time interval.
  • step S610 the data acquisition unit collects charge/discharge data of the battery B.
  • the sensing circuit 110 and the memory 120 correspond to a data acquisition unit.
  • the communication circuit 310 and the memory 320 correspond to a data acquisition unit.
  • step S620 the data processing unit determines an estimated capacity value indicating the full charge capacity of the battery B.
  • the arithmetic circuit 130 corresponds to a data processor.
  • the arithmetic circuit 330 corresponds to a data processing unit.
  • Step S620 may include steps S622 and S624.
  • the data processing unit inputs the charge/discharge data to the capacity estimation model to determine the integrated current value and SOC change value of the battery B.
  • step S624 the data processing unit determines an estimated capacity value representing the full charged capacity of battery B from the ratio between the integrated current value of battery B and the SOC change value. A time series of estimated capacitance values is recorded in the data acquisition unit.
  • step S630 the data processing unit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by monitoring a change in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over time.
  • Step S630 may include steps S632, S634, S636, S638, and S639.
  • the data processing unit determines a threshold capacitance value for the second time point that is smaller than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at the first time point.
  • the second time may be a timing at which the current estimated capacity value is calculated
  • the first time may be a timing at which an estimated capacity value 10 times before is calculated.
  • step S634 the data processing unit compares the estimated capacitance value at the second time point with the threshold capacitance value for the second time point.
  •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activate a predetermined protection function.
  • the protection function may be, for example,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turning off the relay 20, and the like.
  • the data processing unit obtains a plurality of unit cells (UC 1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umber of unit cells having an abnormality (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among UC M ). Among the plurality of unit cells (UC 1 to UC M ), the number of abnormal (complete disconnection failure) unit cells may be determined.
  • the number of ideal unit cells may be determined equal to a maximum integer not greater than ⁇ Ah max /(Ah p /M). Ah p is the estimated capacity value at the earlier time (te) of two times (eg, te, tf).
  • the warning message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bnormal battery (eg, B 1 ) among the plurality of batteries B 1 to B N .
  • the warning message may include data indicating the number of abnormal unit cells (eg, UC 1 and UC 2 ) included in the parallel connection body 200 of the abnormal battery (eg, B 1 ).
  •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devices and methods,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sensing circuit 120 memory
  • remote battery monitor another example of a "battery diagnosis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의 단위 셀의 병렬 접속체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진단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양단에 걸친 전압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압 시계열 및 상기 배터리를 통해 흐르는 충방전 전류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류 시계열을 포함하는 충방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취득부; 및 상기 충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추정 용량값의 경시적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팩, 전기 차량 및 배터리 진단 방법
본 출원은 2021년 09월 08일 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번호 제 10-2021-0120039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셀의 병렬 접속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의 경시적 변화로부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차량,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배터리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배터리는 니켈 계열의 배터리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배터리는, 전극 조립체를 전해질과 함께 외장재 내에 동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셀, 즉 복수의 단위 셀의 병렬 접속체이다. 여기서, 단위 셀은, 독립적으로 재충방전 가능한 축전 소자의 최소 단위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단위 셀은 모노 셀(mono-cell) 또는 바이 셀(bi-cel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풀 셀(full-cell)을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 제조상의 불량, 반복된 충방전에 의한 노후화, 외부 충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배터리 내에 배치되는 병렬 접속체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배터리의 용량 이상의 유형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 유형의 이상은, 병렬 접속체를 구성하는 몇몇 단위 셀의 연결부(예, 전극탭)에 미소 손상 및/또는 불완전 단선 고장이 생겨, 배터리의 충방전에 일시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이다. 두번째 유형의 이상은, 병렬 접속체를 구성하는 몇몇 단위 셀이 회복 불가하게 파단되어, 배터리의 충방전에 영구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게 되어 버린 상태이다.
특히, 배터리의 병렬 접속체가 두번째 유형의 이상을 가지는 경우, 첫번째 유형의 용량 이상에 비하여, 정상 단위 셀에 충방전이 집중되며, 결과적으로 배터리의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단위 셀의 병렬 접속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을 반복 결정하면서 만충전 용량의 경시적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배터리의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사전 검출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배터리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의 단위 셀의 병렬 접속체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진단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양단에 걸친 전압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압 시계열 및 상기 배터리를 통해 흐르는 충방전 전류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류 시계열을 포함하는 충방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취득부; 및 상기 충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추정 용량값의 경시적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충방전 데이터를 용량 추정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적산값 및 SOC 변화값을 결정하고, 상기 전류 적산값과 상기 SOC 변화값 간의 비율로부터 상기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제1 시간 간격 이상인 제2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쉬프트되는, 제1 시각과 제2 시각에서의 두 추정 용량값에 기초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보다 작게, 상기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을 상기 임계 용량값과 비교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에서 기준 용량값을 차감하여, 상기 임계 용량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에 1 미만의 기준 팩터를 곱하여, 상기 임계 용량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이 상기 임계 용량값 미만인 경우, 진단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진단 카운트가 임계 카운트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가 이상인 것으로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병렬 접속체가 이상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만충전 용량의 최대 감소가 나타나는, 상기 제2 시간 간격 이하의 시간 간격을 둔 과거의 두 시각에서의 두 추정 용량값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위 셀 중 이상인 단위 셀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진단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차량은 상기 배터리 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복수의 단위 셀의 병렬 접속체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진단 방법은, 상기 배터리의 양단에 걸친 전압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압 시계열 및 상기 배터리를 통해 흐르는 충방전 전류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류 시계열을 포함하는 충방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용량값의 경시적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방전 데이터를 용량 추정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적산값 및 SOC 변화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적산값과 상기 SOC 변화값 간의 비율로부터 상기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는 단계는, 제1 시간 간격 이상인 제2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쉬프트되는, 제1 시각과 제2 시각에서의 두 추정 용량값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보다 작게, 상기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을 상기 임계 용량값과 비교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 셀의 병렬 접속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을 반복 결정하면서 만충전 용량의 경시적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배터리의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병렬 접속체의 이상이 검출된 것에 응답하여 적절한 보호 조치를 취함으로써, 배터리의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미연에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배터리의 제1 용량 이상(불완전 단선 고장)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면 도면이다.
도 4는 배터리의 제2 용량 이상(완전 단선 고장)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면 도면이다.
도 5는 배터리의 용량 이상과 만충전 용량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예시적으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unit)>와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차량(1)은, 차량 컨트롤러(2), 배터리 팩(10) 및 전기 부하(30)를 포함한다. 배터리 팩(10)의 충방전 단자(P+, P-)는,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충전기(40)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충전기(40)는, 전기 차량(1)의 내부에 포함된 것이거나, 전기 차량(1) 외부의 충전 스테이션에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차량 컨트롤러(2)(예, ECU: Electronic Control Unit)는, 전기 차량(1)에 마련된 시동 버튼(미도시)이 사용자에 의해 ON-위치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키-온 신호를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차량 컨트롤러(2)는, 시동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OFF-위치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키-오프 신호를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충전기(40)는, 차량 컨트롤러(2)와 통신하여, 배터리 팩(10)의 충방전 단자(P+, P-)를 통해 정전류 또는 정전압의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그룹(CG), 릴레이(20)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을 포함한다.
배터리 그룹(BG)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B)를 포함한다. 배터리(B)는, 예컨대 리튬 이온 셀과 같이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것이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배터리 그룹(BG)이 복수의 배터리(B1~B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직렬 접속체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복수의 배터리(B1~BN)은, 서로 동일한 전기화학적 사양을 가지도록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배터리(B1~BN)에 공통된 내용을 설명함에서 있어서, 배터리에 대해 부호 'B'를 부여하였다.
릴레이(20)는, 배터리 그룹(BG) 및 인버터(31)를 연결하는 전력 경로를 통해, 배터리 그룹(BG)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도 1에서는, 릴레이(20)가 배터리 그룹(BG)의 양극 단자와 충방전 단자(P+) 사이에 연결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릴레이(2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 제어된다. 릴레이(20)는, 코일의 자기력에 의해 온오프되는 기계식 컨택터이거나,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과 같은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
전기 부하(30)는, 인버터(31) 및 전기 모터(32)를 포함한다. 인버터(31)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 또는 차량 컨트롤러(2)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배터리 팩(10)에 포함된 배터리 그룹(BG)으로부터의 직류 전류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도록 제공된다. 전기 모터(32)는, 인버터(31)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한다. 전기 모터(32)로는, 예컨대 3상 교류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센싱 회로(110), 메모리(120) 및 연산 회로(130)를 포함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 회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진단 디바이스」의 일 예이다.
센싱 회로(110)는, 배터리(B)로부터 관측 가능한 배터리 물리량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물리량은, 배터리(B)의 전압, 전류 및/또는 온도를 포함한다. 센싱 회로(110)와 메모리(120)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취득부」의 일 예이다. 센싱 회로(110)는, 전압 검출기(111) 및 전류 검출기(112)를 포함한다. 센싱 회로(110)는, 온도 검출기(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검출기(111)는, 배터리 그룹(BG)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B1~BN) 각각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연결되어, 복수의 배터리(B1~BN)의 양단에 걸친 전압인 배터리 전압(V1~VN)을 검출하고, 배터리 전압(V1~VN)의 전압값을 나타내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전류 검출기(112)는, 배터리 그룹(BG)과 인버터(31) 간의 전류 경로를 통해 배터리 그룹(BG)에 직렬로 연결된다. 전류 검출기(112)는, 배터리 그룹(BG)을 통해 흐르는 충방전 전류를 검출하고, 충방전 전류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배터리(B1~BN)는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배터리(B1~BN)에는 공통된 충방전 전류가 흐른다. 전류 검출기(112)는, 션트 저항, 홀 효과 소자 등과 같은 공지의 전류 검출 소자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온도 검출기(113)는, 배터리 그룹(BG)의 온도인 배터리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배터리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온도 검출기(113)는, 배터리 그룹(BG)의 실제 온도와 근접한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배터리 그룹(BG)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온도 검출기(113)는 배터리 그룹(B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B)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배터리(B)의 표면 온도를 배터리 온도로서 검출할 수 있다. 온도 검출기(113)는, 열전대, 서미스터, 바이메탈 등과 같은 공지의 온도 검출 소자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센싱 회로(110)에 의해 수집된 배터리 물리량들의 측정값들을 시간을 따라 정렬함으로써, 배터리(B)의 충방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충방전 데이터는, 배터리(B)의 양단에 걸친 배터리 전압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압 시계열 및 배터리(B)를 통해 흐르는 충방전 전류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류 시계열을 포함한다. 메모리(120)는, 연산 회로(130)에 의한 연산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배터리(B)의 제어, 관리 및 진단에 요구되는 여러 프로그램들, 알고리즘들, 진단 로직들, 및/또는 함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회로(140)는, 연산 회로(130)와 차량 컨트롤러(2) 간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유선 통신은 예컨대 캔(CAN: contoller area network) 통신일 수 있고, 무선 통신은 예컨대 지그비나 블루투스 통신일 수 있다. 물론, 연산 회로(130)와 차량 컨트롤러(2) 간의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라면, 통신 프토토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회로(140)는, 연산 회로(130) 및/또는 차량 컨트롤러(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예,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 회로(130)는, 릴레이(20), 센싱 회로(110) 및 통신 회로(140) 중 적어도 하나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두 구성이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것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두 구성이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연산 회로(130)는, '온-보드(On-Board) 컨트롤러'라고 칭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일 예이다.
연산 회로(130)는, 배터리 그룹(BG)의 충전, 방전 및/또는 휴지 중에, 전압 검출기(111)로부터의 전압 신호, 전류 검출기(112)로부터의 전류 신호, 및/또는 온도 검출기(113)로부터의 온도 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또는 불규칙한 시간 간격으로 비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즉, 연산 회로(130)는, 내부에 마련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이용하여, 검출기들(111, 112, 113)로부터 수집된 아날로그 신호들로부터 전압 검출값, 전류 검출값, 및/또는 온도 검출값을 취득하여 메모리(120)에 기록할 수 있다.
연산 회로(13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릴레이(20)가 턴 온되는 동안 전기 부하(30) 및/또는 충전기(3)가 동작하는 경우, 배터리 그룹(BG)은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가 된다. 릴레이(20)가 턴 오프되는 경우, 배터리 그룹(BG)은 휴지 모드로 전환된다.
연산 회로(130)는, 키-온 신호에 응답하여, 릴레이(20)를 턴 온시킬 수 있다. 연산 회로(130)는, 키-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릴레이(20)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 키-온 신호는, 휴지로부터 충전 또는 방전으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키-오프 신호는, 충전 또는 방전으로부터 휴지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대안적으로, 릴레이(20)의 온오프 제어는, 연산 회로(130) 대신 차량 컨트롤러(2)가 담당할 수 있다.
원격 배터리 감시기(300)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진단 디바이스」의 다른 예이며, 전기 차량(1)의 외부에 위치하는 클라우드 서버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원격 배터리 감시기(300)는, 통신 회로(310), 메모리(320) 및 연산 회로(330)를 포함한다. 통신 회로(310) 및 메모리(320)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취득부」의 다른 예이다. 연산 회로(330)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다른 예이며, '오프-보드(Off-Board) 컨트롤러'라고 칭할 수 있다. 통신 회로(31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의 통신 회로(140)와 유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접속되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배터리(B)의 충방전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충방전 데이터를 메모리(320)에 기록한다. 연산 회로(330)는, 배터리 그룹(BG)의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B)에 포함된 병렬 접속체(200)의 이상을 진단함에 있어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의 연산 회로(130)와 공통된 동작들 및 기능들을 담당한다. 후술된 연산 회로(130)에 대한 설명은 연산 회로(330)에 공통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배터리의 제1 용량 이상(불완전 단선 고장)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면 도면이고, 도 4는 배터리의 제2 용량 이상(완전 단선 고장)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면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B)는, 전극 조립체(200), 양극 리드(210), 음극 리드(220) 및 외장재(230)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200)는, 복수의 단위 셀(UC1~UCM, M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병렬 접속체의 일 예이다. 단위 셀(UC)은, 세퍼레이터(203), 양극판(201) 및 세퍼레이터(203)에 의해 양극판(201)과 절연되는 음극판(202)을 포함한다.
양극판(201)은 양극 리드(210)의 일 단부측에 접속되는 부분인 양극탭(205)을 가지고, 음극판(202)은 음극 리드(220)의 일 단부측에 접속되는 부분인 음극탭(206)을 가진다.
복수의 단위 셀(UC1~UCM)의 양극탭들(205)과 음극탭들(206)이 양극 리드(210) 및 음극 리드(220) 각각의 일 단부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극 조립체(200)가 전해질과 함께 외장재(230) 내에 수용된다. 외장재(230)의 외부로 노출된 양극 리드(210) 및 음극 리드(220) 각각의 타 단부측이 배터리(B)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로서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200)의 제1 용량 이상은, 복수의 단위 셀(UC1~UCM) 중 몇몇 단위 셀(UC1, UC2)의 전극탭(205, 206)에 미소 손상 및/또는 불완전 단선 고장이 발생되어, 단위 셀(UC1, UC2)과 전극 리드(210, 220) 간의 접촉 저항(R1, R2)이 큰 폭으로 불규칙하게 가변되는 상태이다. 불완전 단선 고장은, 전극탭(205, 206)의 절단된 부위들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되지 못하고, 배터리(B)의 수축-팽창에 따라 절단된 부위들 간의 접속과 이격이 유동적으로 발생하며, 접속 시의 접촉 면적 또한 가변적인 상태이다. 단위 셀(UC1, UC2)에서의 접촉 저항이 작게 유지되는 동안에는 모든 단위 셀(UC1~UCM)이 거의 균등하게 충방전되다가, 접촉 저항(R1, R2)이 증가할수록 단위 셀(UC1, UC2)이 나머지 단위 셀(UC3~UCM)로부터 탈락(단선)된 상태에 가까워지고, 그로 인해 배터리(B)의 용량은 단위 셀(UC1, UC2)의 접촉 저항(R1, R2)에 크게 의존하면서 급격히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거동을 불규칙하게 보이게 된다. 예컨대, 배터리(B)의 스웰링으로 인해 단위 셀(UC1, UC2)의 전극탭(205, 206)과 전극 리드(210, 220) 간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는 동안 단위 셀(UC1, UC2)의 접촉 저항(R1, R2)이 증가하고, 반대로 인장력이 점차 줄어들수록 단위 셀(UC1, UC2)의 접촉 저항(R1, R2)이 감소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200)의 제2 용량 이상은, 복수의 단위 셀(UC1~UCM) 중 몇몇 단위 셀(UC1, UC2)이 회복 블가하게 파단된 상태 즉, 단위 셀(UC1, UC2)의 완전 단선 고장으로 인해 단위 셀(UC1, UC2)과 전극 리드(210, 220) 간의 충방전 전류 경로가 비가역적으로 상실된 상태로 등가화된다. 완전 단선 고장은, 단위 셀(UC1, UC2)의 전극탭(205, 206)이나 전극판(201, 202)이 서로 재접속 불가한 정도로 이격된 다수의 부위들로 절단된 상태라는 점에서, 전술된 불완전 단선 고장과는 구별된다. 배터리(B)의 제조 또는 사용 중의 어떤 시각에 단위 셀(UC1, UC2)에 의한 제2 용량 이상이 발생된 것은, 단위 셀(UC1, UC2)이 전극 리드(210, 220)로부터 복구 불가능하게 탈락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용량 이상이 발생된 특정 시각부터는, 단위 셀(UC1, UC2)은 배터리(B)의 충방전에 어떠한 기여도 하지 못하므로, 배터리(B)의 용량은 단위 셀(UC1, UC2)이 제외된 나머지 단위 셀(UC3~UCM)의 용량에만 의존한다.
연산 회로(130)는, 충방전 데이터에 용량 추정 모델을 적용하여,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FCC: Full Charge Capacity, 완전 충전 용량, 풀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는 절차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즉, 연산 회로(130)는, 추정 용량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용량 추정 모델은, 충방전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출력으로서 추정 용량값을 제공하는 일종의 알고리즘으로서, 여러 함수들의 조합이다.
구체적으로, 용량 추정 모델은, (i)배터리(B)의 전류 시계열로부터, 과거의 일정 기간 또는 가변 기간에 걸친, 배터리(B)의 충방전 전류의 전류 적산값을 연산하는 제1 함수, (ii)배터리(B)의 전압 시계열 및/또는 전류 시계열로부터, 과거의 일정 기간 또는 가변 기간에 걸친, 배터리(B)의 OCV(Open Circuit Voltage, 개로 전압)를 연산하는 제2 함수, (iii)미리 주어진 OCV-SOC(State Of Charge) 관계 테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B)의 OCV로부터 배터리(B)의 SOC를 연산하는 제3 함수, 및 (iv)공통된 기간에 대해 각각 연산된, 전류 적산값과 SOC 변화값 간의 비율로부터 배터리(B)의 만충전 용량의 추정 결과 즉, 추정 용량값을 연산하는 제4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수식은 제4 함수의 일 예이다.
<수식>
Figure PCTKR2022013350-appb-img-000001
위 수식에서, ΔAht1-t2는, 두 시각 t1, t2 간의 시간 범위에 걸쳐 반복 측정된 충방전 전류의 전류 적산값, ΔSOCt1-t2는, 두 시각 t1, t2 간의 시간 범위에 걸친 SOC 변화값, FCCt2는 시각 t2에서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이다. 시각 t1는, 시각 t2에 앞서고, ΔAht1-t2의 절대값이 기준 적산값 이상인 것 및/또는 ΔSOCt1-t2의 절대값이 기준 변화값 이상인 것이 만족되는 최근의 시각일 수 있다. 기준 적산값과 기준 변화값은, ΔAht1-t2 및/또는 ΔSOCt1-t2의 절대값이 매우 작음으로 인한 FCCt2의 정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전류 적산값을 연산함에 있어서, 충전 전류는 양수로 방전 전류는 음수로 설정될 수 있다. 시각 t2는, 만충전 용량의 연산 타이밍이다. 만충전 용량을 제1 시간 간격마다 반복 연산하는 경우, 시각 t2는 제1 시간 간격으로 쉬프트됨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과거의 공통 기간에 걸친 전류 적산값과 SOC 변화값이 각각 +100 Ah[ampere-hour] 및 +80 %인 경우, 만충전 용량의 추정 용량값은 125 Ah이다. 다른 예로, 과거의 공통 기간에 걸친 전류 적산값과 SOC 변화값이 각각 -75 Ah[ampere-hour] 및 -60 %인 경우, 만충전 용량의 추정 용량값 또한 125 Ah이다.
만충전 용량은, 배터리(B)에 최대로 저장 가능한 용량 즉, SOC 100%에서의 배터리(B)의 잔존 용량을 나타낸다. 만충전 용량은, 배터리(B)가 퇴화됨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이 정상이다. 따라서, 짧은 시간 간격 동안의 만충전 용량의 감소량이 일정 수준을 웃도는 것은, 제1 용량 이상 또는 제2 용량 이상의 발생을 나타낸다.
도 5는 배터리의 용량 이상과 만충전 용량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예시적으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브(500)는 정상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의 경시적 변화를 예시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정상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커브(500)를 단순화하였다.
커브(510)는 제1 용량 이상과 제2 용량 이상이 순차 발생될 경우의 배터리(B)의 만충전 용량의 경시적 변화를 예시한다. 커브(510)를 살펴보면, 도 3에서와 같이 단위 셀(UC1, UC2)의 미소 손상 및/또는 불완전 단선 고장으로 인한 제1 용량 이상이 발생된 배터리(B)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낸다. 커브(510)에 있어서, 만충전 용량은, 시각 ta(예, 배터리의 출고 시각)에서 시각 tb에 걸쳐 완만하게 감소하다가, 시각 tb에서 시각 tc 사이에 걸쳐 급감소 후, 시각 tc에서 시각 td 사이에 걸쳐 급증가하고 있다. 즉, 시각 tb에서 시각 tc 사이에서의 만충전 용량의 감소분이 시각 tc에서 시각 td 사이에 걸쳐 대부분 회복되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 셀(UC1, UC2)의 접촉 저항 접촉 저항(R1, R2)이 시각 tb에서 시각 tc 사이에서 급증했다가 시각 tc에서 시각 td 사이에 걸쳐 정상 수준으로 복귀한 결과이다.
제1 용량 이상이 장기 지속될 경우 제2 용량 이상으로 발전(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커브(510)를 살펴보면, 시각 td 후, 시각 te에서 시각 tf에 걸쳐, 이전의 시각 tb에서 시각 tc에서와 유사하게, 만충전 용량의 급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시각 tc~td에서의 거동과는 대조적으로, 만충전 용량의 급감소가 멈춘 시각 tf 후에도 만충전 용량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한 채로, 커브(500)와 유사한 기울기를 가진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각 te 부근에서 단위 셀(UC1, UC2)의 완전 단선 고장 즉, 제2 용량 이상이 발생된 결과이다.
연산 회로(130)는, 커브(510)에 따른 만충전 용량 즉, 추정 용량값의 경시적 변화(시계열)를 모니터링하여, 병렬 접속체(200)의 제1 용량 이상 및/또는 제2 용량 이상의 발생 여부를 판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는, 병렬 접속체(200) 단위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 로직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진단 로직에 기반하여 병렬 접속체(200)에 포함된 단위 셀의 이상 여부를 식별(또는, 진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는, 본 발명의 진단 로직에 기반하여 병렬 접속체(200)를 진단함으로써 이상 단위 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또는 임계 개수 이상 포함하는 병렬 접속체(200)를 식별할 수 있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비정상인 병렬 접속체(200)(또는, 병렬 접속체(200)의 이상)를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산 회로(130)는, 제1 시간 간격 이상인 제2 시간 간격을 두고 제1 시간 간격으로 쉬프트되는, 제1 시각과 제2 시각에서의 두 추정 용량값에 진단 로직을 적용하여, 병렬 접속체(200)의 제1 용량 이상 및/또는 제2 용량 이상의 발생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2 시각은 제1 시각보다 제2 시간 간격만큼 뒷선 시각이며, 제1 시각과 제2 시각은 각각 제1 시간 간격마다 제1 시간 간격만큼씩 증가되도록 연산 회로(13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1 시간 간격은 충방전 데이터의 수집 주기(또는, 추정 용량값의 연산 주기)와 동일할 수 있고, 제2 시간 간격은 제1 시간 간격의 정수배(예, 10배)일 수 있다.
진단 로직은, (i)제1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보다 작게,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을 결정하는 제1 루틴 및 (ii)제2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을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과 비교하는 제2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루틴에 있어서,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은, 제1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에서 기준 용량값을 차감한 결과 또는 제1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에 1 미만의 기준 팩터를 곱한 결과와 동일할 수 있다. 기준 용량값은, 배터리(B)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셀(UC1~UCM)의 총 개수(M)와 배터리(B)의 설계 용량(신품 상태에서의 만충전 용량)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값으로 메모리(120)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기준 팩터는, 배터리(B)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셀(UC1~UCM)의 총 개수(M)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값(예, (M-1)/M, (M-2)/M)으로 메모리(120)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의 커브(520)는, 커브(510)에 제1 루틴을 적용하여 연산되는 임계 용량값의 경시적 변화를 예시하고 있다.
연산 회로(130)는, 제2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이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 미만인 경우, 병렬 접속체(200)에 제1 용량 이상과 제2 용량 이상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연산 회로(130)는, 제2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이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 미만일 때마다 진단 카운트를 1 증가시킬 수 있다. 연산 회로(130)는, 제2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이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 이상일 때마다, 진단 카운트를 초기값(예, 0)으로 리셋하거나 진단 카운트를 1 감소시킬 수 있다. 진단 카운트가 임계 카운트에 도달하기 전의 제2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이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 이상으로 회복되는 것에 응답하여, 연산 회로(130)는 병렬 접속체(200)의 이상 유형이 제1 용량 이상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연산 회로(130)는, 진단 카운트가 임계 카운트(예, 5)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병렬 접속체(200)의 제2 용량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시각 ta+, tb+, tc+, td+, te+ 및 tf+는 각각 시각 ta, tb, tc, td, te 및 tf로부터 제2 시간 간격만큼 양의 방향으로 쉬프트된 시각이다. 시각 tx과 시각 ty 사이의 시간 범위에 걸쳐 커브(510)가 커브(510)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 tx 이후부터 시각 ty까지, 진단 카운트는 제1 시간 간격마다 1씩 증가해간다. 연산 회로(130)는, 시각 ty 이전에 진단 카운트가 임계 카운트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배터리(B)가 제2 용량 이상에 연관된 소정의 보호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의 방법은 제1 시간 간격으로 반복 실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데이터 취득부는, 배터리(B)의 충방전 데이터를 수집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이 배터리 진단 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 센싱 회로(110) 및 메모리(120)가 데이터 취득부에 해당한다. 원격 배터리 감시기(300)가 배터리 진단 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 통신 회로(310) 및 메모리(320)가 데이터 취득부에 해당한다.
단계 S620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배터리(B)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이 배터리 진단 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 연산 회로(130)가 데이터 처리부에 해당한다. 원격 배터리 감시기(300)가 배터리 진단 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 연산 회로(330)가 데이터 처리부에 해당한다. 단계 S620는, 단계 S622 및 단계 S624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22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충방전 데이터를 용량 추정 모델에 입력하여, 배터리(B)의 전류 적산값 및 SOC 변화값을 결정한다. 단계 S624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배터리(B)의 전류 적산값과 SOC 변화값 간의 비율로부터 배터리(B)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한다. 추정 용량값의 시계열은 데이터 취득부에 기록된다.
단계 S630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추정 용량값의 경시적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병렬 접속체(200)의 이상을 검출한다. 단계 S630는, 단계 S632, S634, S636, S638, 및 단계 S639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32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제1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보다 작게,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을 결정한다. 일 예로, 제2 시각은 현회의 추정 용량값이 연산된 타이밍이고, 제1 시각은 10회 전의 추정 용량값이 연산된 타이밍일 수 있다. 단계 S634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제2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을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과 비교한다. 제2 시각에서의 추정 용량값이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 미만인 것은, 병렬 접속체(200)에 제1 용량 이상 및 제2 용량 이상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단계 S634의 값이 "예"인 경우, 단계 S636으로 진행된다. 그 외에는, 단계 S638로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636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진단 카운트를 1 증가시킨다. 단계 S638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진단 카운트를 리셋시킨다. 단계 S639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진단 카운트가 임계 카운트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39의 값이 "예"인 것은, 병렬 접속체(200)의 적어도 하나의 단위 셀(UC)이 완전 단선 고장인 제2 용량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진단되었음을 나타낸다.
단계 S640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소정의 보호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보호 기능은, 예컨대 경고 메시지의 출력, 릴레이(20)의 오프 등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추정 용량값의 최대 감소가 나타나는, 제2 시간 간격 이하의 시간 간격을 둔 과거의 두 시각(예, te, tf)에서의 두 추정 용량값으로부터, 복수의 단위 셀(UC1~UCM) 중 이상(완전 단선 고장)인 단위 셀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복 수의 단위 셀(UC1~UCM) 중 이상(완전 단선 고장)인 단위 셀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단위 셀의 개수는, ΔAhmax/(Ahp/M)보다 크지 않은 최대 정수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Ahp는 두 시각 (예, te, tf) 중 앞선 시각(te)에서의 추정 용량값이다. ΔAhmax는 병렬 접속체(200)의 이상이 검출된 타이밍 이전의 두 시각(예, te, tf)에 걸친 만충전 용량의 최대 감소량으로서, 앞선 시각(te)에서의 추정 용량값에서 뒷선 시각(tf)에서의 추정 용량값을 차감한 결과이다. 예컨대, Ahp = 122 Ah, ΔAhmax = 27 Ah, M = 10인 경우, 2 ≤ 27 Ah/(122 Ah/10) < 3이므로, 이상 단위 셀의 개수는 2로 결정된다. 경고 메시지는, 복수의 배터리(B1~BN) 중 이상 배터리(예, B1)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 메시지는, 이상 배터리(예, B1)의 병렬 접속체(200)에 포함된 이상 단위 셀(예, UC1, UC2)의 개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전기 차량 2: 차량 컨트롤러
10: 배터리 팩 20: 릴레이
30: 전기 부하 40: 충전기
100: 배터리 관리 시스템(「배터리 진단 디바이스」의 일 예)
110: 센싱 회로 120: 메모리
130: 연산 회로 140: 통신 회로
300: 원격 배터리 감시기(「배터리 진단 디바이스」의 다른 예)
310: 통신 회로 320: 메모리
330: 연산 회로

Claims (14)

  1. 복수의 단위 셀의 병렬 접속체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양단에 걸친 전압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압 시계열 및 상기 배터리를 통해 흐르는 충방전 전류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류 시계열을 포함하는 충방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취득부; 및
    상기 충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추정 용량값의 경시적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충방전 데이터를 용량 추정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적산값 및 SOC 변화값을 결정하고, 상기 전류 적산값과 상기 SOC 변화값 간의 비율로부터 상기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진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제1 시간 간격 이상인 제2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쉬프트되는, 제1 시각과 제2 시각에서의 두 추정 용량값에 기초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진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보다 작게, 상기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을 상기 임계 용량값과 비교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진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에서 기준 용량값을 차감하여, 상기 임계 용량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진단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에 1 미만의 기준 팩터를 곱하여, 상기 임계 용량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진단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이 상기 임계 용량값 미만인 경우, 진단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진단 카운트가 임계 카운트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가 이상인 것으로 진단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진단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병렬 접속체가 이상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만충전 용량의 최대 감소가 나타나는, 상기 제2 시간 간격 이하의 시간 간격을 둔 과거의 두 시각에서의 두 추정 용량값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위 셀 중 이상인 단위 셀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진단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배터리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0. 제9항에 따른 상기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전기 차량.
  11. 복수의 단위 셀의 병렬 접속체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양단에 걸친 전압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압 시계열 및 상기 배터리를 통해 흐르는 충방전 전류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전류 시계열을 포함하는 충방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용량값의 경시적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진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방전 데이터를 용량 추정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적산값 및 SOC 변화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적산값과 상기 SOC 변화값 간의 비율로부터 상기 추정 용량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진단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는 단계는,
    제1 시간 간격 이상인 제2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쉬프트되는, 제1 시각과 제2 시각에서의 두 추정 용량값에 기초하는 배터리 진단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보다 작게, 상기 제2 시각에 대한 임계 용량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추정 용량값을 상기 임계 용량값과 비교하여, 상기 병렬 접속체의 이상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진단 방법.
PCT/KR2022/013350 2021-09-08 2022-09-06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팩, 전기 차량 및 배터리 진단 방법 WO20230383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67667.2A EP4253972A1 (en) 2021-09-08 2022-09-06 Battery diagnosis device,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pack,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diagnosis method
JP2023528007A JP2023548898A (ja) 2021-09-08 2022-09-06 バッテリー診断装置、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バッテリーパック、電気車両及びバッテリー診断方法
CN202280008020.6A CN116583754A (zh) 2021-09-08 2022-09-06 电池诊断装置、电池管理系统、电池组、电动车和电池诊断方法
US18/269,315 US20240066993A1 (en) 2021-09-08 2022-09-06 Battery Diagnosis Device,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Pack,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Diagnosis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039 2021-09-08
KR1020210120039A KR20230036929A (ko) 2021-09-08 2021-09-08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팩, 전기 차량 및 배터리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398A1 true WO2023038398A1 (ko) 2023-03-16

Family

ID=8550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350 WO2023038398A1 (ko) 2021-09-08 2022-09-06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팩, 전기 차량 및 배터리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66993A1 (ko)
EP (1) EP4253972A1 (ko)
JP (1) JP2023548898A (ko)
KR (1) KR20230036929A (ko)
CN (1) CN116583754A (ko)
WO (1) WO202303839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2825A (ja) * 2012-08-02 2014-02-20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の状態推定装置
WO2014147973A1 (ja) * 2013-03-19 2014-09-25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電池パック
KR20150029204A (ko) * 2013-09-09 201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장치, 및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JP2015184194A (ja) * 2014-03-25 2015-10-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池の状態を判定する方法および電池の状態を判定するシステム
KR20200019083A (ko) * 2018-08-13 2020-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배터리의 내부단락 검출 방법
KR20210120039A (ko) 2019-01-25 2021-10-06 베이진 엘티디 B-raf 키나제 이합체 억제제의 안정적인 고체 분산액,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2825A (ja) * 2012-08-02 2014-02-20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の状態推定装置
WO2014147973A1 (ja) * 2013-03-19 2014-09-25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電池パック
KR20150029204A (ko) * 2013-09-09 201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장치, 및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JP2015184194A (ja) * 2014-03-25 2015-10-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池の状態を判定する方法および電池の状態を判定するシステム
KR20200019083A (ko) * 2018-08-13 2020-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배터리의 내부단락 검출 방법
KR20210120039A (ko) 2019-01-25 2021-10-06 베이진 엘티디 B-raf 키나제 이합체 억제제의 안정적인 고체 분산액,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929A (ko) 2023-03-15
CN116583754A (zh) 2023-08-11
JP2023548898A (ja) 2023-11-21
EP4253972A1 (en) 2023-10-04
US20240066993A1 (en)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49753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8124511A1 (ko)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0076127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3151355A1 (ko) 고장 자가 진단 기능을 구비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진단 방법
WO2018021661A1 (ko) 션트저항을 이용한 전류 측정 장치
WO2021006566A1 (ko) 배터리 셀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1002658A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WO2021020852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관리 방법
WO2014084628A1 (ko) 배터리 전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21125676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9107976A1 (ko) 배터리 팩
WO2021107323A1 (ko) 배터리 셀 이상 퇴화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2145830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진단 방법, 배터리 팩 및 전기 차량
JP3545367B2 (ja) 組電池の電圧検出装置
WO2022025725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배터리 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관리 방법
WO2022177291A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팩,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배터리 관리 방법
WO2020055162A1 (ko) 스위치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2149890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진단 방법
WO2019107978A1 (ko) 배터리 팩
WO2022065676A1 (ko) 배터리 저항 산출 장치 및 방법
KR20190075609A (ko) 전류 센서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2080709A1 (ko) 릴레이 진단 장치, 릴레이 진단 방법, 배터리 시스템, 및 전기 차량
WO2021230642A1 (ko) 배터리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21230533A1 (ko) 배터리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87180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팩, 전기 차량 및 배터리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76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28007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08020.6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69315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676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629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