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14176A1 -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14176A1
WO2023014176A1 PCT/KR2022/011675 KR2022011675W WO2023014176A1 WO 2023014176 A1 WO2023014176 A1 WO 2023014176A1 KR 2022011675 W KR2022011675 W KR 2022011675W WO 2023014176 A1 WO2023014176 A1 WO 20230141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nasal
nos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16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정호
김종완
유정희
정찬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김종완
유정희
정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김종완, 유정희, 정찬미 filed Critical 이정호
Publication of WO20230141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14176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6Arachnids, e.g. spiders, scorpions, ticks or m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6Aristolochiaceae (Birthwort family), e.g. heartleaf
    • A61K36/268Asarum (wild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the treatment of nasal diseas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the treatment of nose diseases containing a mixture of golden, sinyi, bingpyeon (yongnoe), thin hwanoe, etc.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nose is the first organ in the human body to receive air from outside.
  • the air is purified, humidified, warmed and converted into a state that can be used properly by the body. Therefore,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no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bnormality in the entire respiratory tract.
  • nasal valve the part that patients complain of the most discomfort is the nasal valve.
  • the nasal valve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nostril and is the narrowest part of the passage of breath. If there is a snot in this area or if it is slightly narrowed for other reasons, you feel uncomfortable breathing.
  • Turbines are often referred to as nasal conchas. Turbines are rich in blood vessels and have the ability to swell and shrink. When cold air comes in, it increases blood flow to warm the cold air. In addition, the turbinates divide the incoming air to create an orderly air flow that flows layer by layer.
  • the nasal septum is a structu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ose and serves to divide the nasal cavity, that is, the nostril into two.
  • aperiodicity a physiological phenomenon that the nostrils become blocked when they turn to one side at an interval of 6 hours. It is to have two hides and complement each other. In turn, it also gives the nasal mucosa a break.
  • the nostrils are divided into two, so they function very efficiently.
  • Sinusitis means ‘accumulation of pus’ and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pus accumulates due to inflammation in the sinuses. It is known that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he paranasal sinuses is to protect the face, especially the brain, from external shocks by arranging air pockets on the face. Air pockets are placed to efficiently perform the defense function without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face.
  • the air coming in through the nostrils communicates not only with the ears but also with the eyes, and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air to the eyes, it also serves as a radiator to cool the heat generated in the eyes. Therefore, when the passage connecting the nose and the eyes is partially or completely blocked, the eyes become dry or dim, and the function of the eyes rapidly deteriorates.
  • the total mucus secreted from the nose is more than 1,000cc per day.
  • This mucus is a glassy, transparent liquid that acts as a purifier in the nasal passages.
  • the mucus secreted from the mucous membranes in the nose is mixed in the air, so it traps fine dust, dust, and microorganisms, and discharges them as sputum or flows into the stomach to sterilize them.
  • the runny nose that comes out little by little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inside of the nose so that it is not too dry or too moist.
  • the main treatment method for nose disease is to make the passage in the nose communicate smoothly.
  • nasal decongestant medications are sprayed into the nostrils using a spray.
  • Nasal decongestants work by activating the sympathetic nerves to constrict dilated blood vessels, so using them immediately gives a feeling of clearing a stuffy nose.
  • the human body has a tendency to maintain homeostasis, and if this drug is used continuously, the parasympathetic nerve, which is the opposite of my body itself, is activated and the blood vessels try to dilate, and as a result, the symptoms worsen.
  • Patent No. 10-1417261 registered on July 1, 2014, relates to a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rhinitis and sinusitis. It is a spray formulation made of extracts extracted from peppermint leaves, changja, bamboo salt, licorice, gardenia, yugeunpi, cnidium, gilgyeong, etc. will be.
  • the herbal composition of this patent is made of a spray formulation of herbal medicines that have been taken orally in the past, so it is difficult to trust the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nasal disease treatme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ol the heat caused by the congestion of the microvessels in the nose by using oriental medicine, and at the same time to relieve the swelling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in the nose
  • an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nasal diseases which allows smooth passage of the nasal passages without side effect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nasal diseases, which improves and treats sensitive or allergic nasal diseases caused by abnormalities in the immune syste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herbal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gel type, spray type or ointment type for external use so that people suffering from nasal diseases can carry and use it conveniently.
  • the present inventors approached from this point of view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lowers the heat generated due to the congestion of microvesse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in the nose, allows the area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to sink, and sterilizes the inside of the nose It is to prevent the culture of bacteria in the body, and further promote the normalization of the immune system so that sensitive or allergic rhinitis can be treated.
  • gold which has pharmacological actions such as seontong bigyu ( ⁇ ), tonggyujitong ( ⁇ ), small seed drainage ( ⁇ ), headache rain color, and clear heat control ( ⁇ ), It is a mixture of Shinyi, Bingpyeon (Yongnoe), and thin noe, etc. as an active ingredient.
  • a nasal disease treatment agent contains a mixture of golden, shinyi, bingpyeon (yongnoe) and mint brain in the ratio shown in the table below as an active ingredient. 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is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golden extract.
  • the treatment for nose disea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ture of the four ingredients of the above embodiment, by adding 0.8- 1.2 parts by weight can be further mixed. From an oriental medicine point of view, the addition of these components can increase the effect of treating nasal diseases.
  • ingredients such as sesin, scorpion, ogong, aloe, and neck pain; In severe cases, add sessin and mokhyang ingredients. If the symptoms of the nose disease are complex or severe, all of the above ingredients can be mixed.
  • a conventional method for making a liquid mixture into a gel type or spray type may be applied.
  • 1,2-Hexanediol is added to a liquid mixture of extracts of each herb, and hydroxyethyl cellulose, Xanthan Gum or Carbomer ), etc. may be added to prepare a gel type or a spray type.
  • it can be prepared as an ointment type by adding beeswax and an olive emulsifier.
  •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eat nasal diseases by approaching the root cause of nasal diseases, using herbal medicines to treat nasal congestion, nasal congestion, rhinitis, allergic rhinitis and sinusitis with little side effects. It is to alleviate or treat disease symptoms, and it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external medicines, so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us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apeutic agent for nasal diseases containing a mixture of gold, sinyi, bingpyeon (yongnoe), and thin noe as an active ingredient.
  • yongnoe bingpyeon
  • thin noe thin noe
  • one or two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among gardenia, agaengin, seshin, baekji, musk, scorpion, gogong, wood tuber, aloe, and wood scent may be mixed.
  • Gold It is the roo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Lamiaceae family. It removes lung heat, eliminates dampness, stabilizes the fetus, and stops bleeding.
  • antipyretic action, anti-inflammatory action, choleretic action, diuretic action, gastric juice secretion inhibitory action, antibacterial action, etc. were revealed.
  • Shinyi Dried flower buds of Magnolia denudata Desrousseaux, a plant of the Magnolia family. It is used to get rid of wind cold and congestion, sinusitis, chronic rhinitis, allergic rhinitis, and hypertrophic rhinitis. In addition, it is effective in treating symptoms such as runny nose, inability to smell, headache or poor concentration, chills, fever, systemic pain, and cough with a lot of phlegm. As pharmacological actions, astringent action, capillary dilation action, anti-inflammatory action, blood pressure lowering action, analgesic action, sedation action, and skin fungus and staphylococcus inhibition action have been reported.
  • Bingpyeon (Yongnoe): Other names for Bingpyeon (Dryobalanops aromatica Gaertner/Bomeolum) are Yongnohyang, Yongnoe, and Borneol. Bingpyeon clears the mind, clears the mind, lowers fever and swelling, relieves pain, and is effective for high fever, convulsions, and children's games, and is effective for sore throat, stomatitis, eye disease, itching, congestion, ear and nose It is used for various types of inflammation such as inflammation. As pharmacological action, it has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on, and local analgesic action and antiseptic action have been reported.
  • Menthol has a strong direction and gives a refreshing feeling, and is also used for local pain relief or clearing.
  • Saesin Dried roots of Asiasarum heteretrepoides F. Schm. var. mandshuricum Kitag and A. sieboldii Miquel var. seoulense Nakai, a member of the bellflower family. It drives out wind and cold, removes the cold of Soeum-gyeong, cuts phlegm and stops pain. In pharmacological experiments, antipyretic, anti-allergic, local anesthetic, and antibacterial effects were found.
  • Baekji Dried roots of 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 a plant of the Apiaceae family. White paper removes cold and wind, promotes blood circulation, removes pus, makes new skin sprout, and stops pain.
  • soothing ( ⁇ ) action antispasmodic ( ⁇ ) action, antibacterial action were found. Sedation and antispasmodic action are shown by the coumarin component. It is used for wind-cold headache, toothache, sinusitis, mastopathy, carbuncle, ulcer, haemorrhage, intestinal bleeding, perianal fistula, and snakebite.
  • Scorpion Dried scorpion (Buthus martensii Karsch), a scorpion and animal. Scorpions soothe spasms and remove poison. In pharmacological experiments, it showed sedative and antispasmodic effects. It is used for convulsions, spans, shriveled limbs, tetanus, paralysis, inability to speak, scrofula, boils, etc.
  • Moktong Dried stems of Akebia quinata Decne, a plant of the Euleumvine family. Neck pain lowers heat, urine comes out well, menstruation is smooth, and milk secretion is promoted. In pharmacological experiments, diuretic action, cardiotonic action, blood pressure increasing action, anti-inflammatory action, gastric secretion suppression action, etc. were revealed. It is swollen for various reasons, such as dysuria, urinary symptoms, lack of milk secretion, amenorrhea, fever, stuffy chest, swelling, etc.
  • Aloe Vera is also known as a jelly-like substance, and its jelly-like substance is known as an excellent healing substance. It has an excellent effect on the treatment of tanned skin. It soothes tired skin from various external stimuli and at the same time makes the skin supple and moist.
  • Wood scent It is the root of wood scent (Aucklandia lappa Decaisne (Asteraceae Compositae)), with the rough bark removed. Mokhyang is used for abdominal pain caused by flatulence, flatulence, vomiting, and diarrhea. It is effective for chronic inflammation of the digestive tract and stomach pain because it makes the qi flow well, and it is used for dysentery and orchitis because it has antibacterial action. As a pharmacological action, it relieves bronchial and small intestine spasms,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blood pressure lowering action and antibacterial action.
  • extracts of gold, shin-yi, gardenia, aesophagus, sasin, baekji, musk, scorpion, ogong, wood tube, aloe, and wood scent For this purpose, a conventional method for oriental medicine is applied. can do.
  • a brief introduction to how to prepare the extract is as follows.
  • extraction methods such as purified water extraction and oil extraction may be applied.
  •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method is extracted by adding 20 to 30 parts by weight of dried herbs to 1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and decocted at a temperature of 70 to 120 degrees for 30 to 90 minutes.
  • 20 to 30 parts by weight of dry herbs a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and extracted by warming at a temperature of 60 to 90 degrees for 2 to 3 hours or cooling at room temperature for 7 days or more.
  • the extract can be applied to a method of filtering into a herbal medicine extraction nonwoven fabric.
  • the above method is an example of an extraction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herbal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the extracts of Hwanggeum and Shinyi of the present invention, Bingpyeon (Yongnoe) and Pakhwanoe.
  • a purified water extraction method was used.
  • the ratio of each component was slightly changed to prepare two compositions in the following ratio.
  • the first composition and the second composition were prepared in a spray type.
  • the first composition was applied to group A volunteers and the second composition was applied to group B volunteers. Volunteers in each group were asked to spray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ions of the spray type into the nostrils at least 5 times a day, and after 5 days, the state of improvement in nasal congestion was measured.
  • Tables 1 and 2 Same as Table 2.
  • an herbal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the first and second herbal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 1 with extracts of gardenia, apricot, sesame, baekji, musk, scorpion, gong, moktong, sloe, and xylem, respectively.
  • a purified water extraction method was used.
  • Second composition golden extract 1 part by weight Shinyi Extract 5 parts by weight Ice Piece (Dragon Brain) 0.1 part by weight peppermint brain 0.05 part by weight Additional Ingredients gardenia extract 1.2 parts by weight passerine extract 1.2 parts by weight seshin extract 1.2 parts by weight white paper extract 1.2 parts by weight musk extract 0.05 parts by weight scorpion extract 1.2 parts by weight Goku Extract 1.2 parts by weight neck pain extract 1.2 parts by weight aloe extract 1.2 parts by weight cedar extract 1.2 parts by weight
  • compositions were prepared in a spray type.
  • these compositions were applied to group C volunteers and group D volunteers with rather severe nasal disease conditions.
  • Composition 3 was applied to group C volunteers, and composition 4 was applied to volunteers in group D.
  • the symptoms of nasal conges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even though the third composition and the fourth composition were applied for only 5 days to patients with more or less severe nasal disease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symptoms of nasal diseases could be cured if these herbal compositions were used continuously for more than one month. On the other h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herbal composition and the fourth herbal composition.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ions, when the third and fourth compositions were applied, it was observed that the pus inside the nose of the patients wa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smell of pus felt inside the nose was greatly reduced as a characteristic phenomenon. .
  • the mixture of the nasal disease treatment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a gel type (cream type) and a spray type.
  • a gel type (cream type) and a spray type were prepared by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of carbomer or the like.
  • an ointment type was prepared by adding white beeswax and an olive emulsifier.
  • a gel type (cream type) for external use is prepared by mixing 18.3% of gold, 30% of god, 1.5% of bingpyeon (Yongnoe), 0.2% of thinning brain, and 10% each of gardenia, apricot, sesame, baekji, and neck pain. Apply inside the nose 3 times a day or whenever necessary. After 3 days, the nose started to clear, and after a month of use, nasal congestion and rhinitis were resolved to the extent that the use of nasal disease treatment was not necessary.
  • the treatment for nasal dise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in all symptoms caused by nasal diseases than conventional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신이 추출물 0.7-5 중량부, 빙편(용뇌) 0.05-0.1 중량부 및 박하뇌 0.01-0.0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본 발명은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황금, 신이, 빙편(용뇌), 박화뇌 등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코는 인체에서 외부 공기를 맞이하는 최초의 기관이다. 이 기관에서 공기가 정화되고, 가습되고, 데워져 우리 몸에 올바로 쓰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코에 이상이 생기면 호흡기관 전체에 걸쳐 이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코 질환에 관련하여, 환자들이 가장 불편을 호소하는 부위는 비밸브이다. 비밸브는 콧구멍의 입구 측에 있는 것으로 숨이 들어오는 경로 중 가장 협소한 부분이다. 이 부분에 코딱지가 생기거나 다른 원인으로 조금만 좁아져도 호흡에 불편함을 느낀다.
비밸브를 지나 코 안쪽으로 나타나는 부분이 비갑개이다. 비갑개는 흔히 콧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갑개에는 혈관이 풍부하여 조직이 부었다 줄었다 하는 기능이 있다. 찬 공기가 들어오면, 혈류를 증가시켜 찬 공기를 데우는 온열 기능을 한다. 또한 들어오는 공기를 비갑개가 갈라놓아 층층이 흘러가는 질서정연한 공기흐름을 만들어내는 역할도 한다.
한편, 비중격은 코 가운데 위치하는 구조물로 비강, 즉 콧구멍을 두 개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두 개의 콧구멍이 존재함으로써 얻는 이점은 많은데, 그 중 하나는 비주기라는 생리현상이다. 비주기라는 것은 콧구멍이 6시간 간격으로 한 쪽씩 돌아가면 막힌다는 것으로 정상적인 현상이다. 두 개의 숨길을 가지고 서로 보완하는 것이다. 돌아가면서 코 점막에 휴식을 주기도 한다. 또한 하나의 콧구멍인 경우에는 비강이 넓어져서 원하는 공기의 흐름이나 저항을 만들어내기 어렵다. 콧구멍이 두 개로 나누어져 있어, 매우 효율적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콧구멍을 통해 들어간 공기는 이마 부위 및 광대뼈 부분을 포함한 안면부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빈 공간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빈공간을 부비동이라 한다. 부비동은 얇은 통로로 코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곳이 막히면 금세 염증이 생기고 축농증이 발생한다. 축농증은 ‘농이 축적된다’는 뜻으로 부비동에 염증이 생겨 농이 쌓이는 질병을 의미한다. 부비동의 존재이유로는 안면부에 공기 주머니를 배치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얼굴부 특히 뇌를 보호하는 것이라 알려져 있다. 얼굴의 무게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방어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공기주머니가 배치된 것이다.
한편, 콧구멍을 통해 들어온 공기는 귀뿐만 아니라, 눈과도 통하고 있는데, 공기가 눈까지 순환하는 과정에서 눈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는 라디에이터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코와 눈을 연결하는 통로가 일부 또는 전부 막히게 되면, 눈이 건조해지거나 침침해지게 되면서 눈의 기능이 급속히 저하된다.
코의 구조가 위와 같이 되어 있기 때문에, 콧구멍으로 통해 들어온 공기가 제대로 순환이 되지 않는 경우, 코 막힘으로 호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두통이 생기고, 부비동에 농이 축적되어 축농증이 생기고, 눈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대로 식히지 못하여 눈이 나빠지게 된다.
한편, 코에서 분비되는 전체 점액은 하루에 1,000cc 이상이다. 이 점액은 유리처럼 투명한 액체로서 콧속 정화작용을 한다. 콧속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점액은 공기 중에 섞여 있어 미세한 먼지나 티끌, 미생물 따위를 붙잡아 가래로 내보내거나 위속으로 흘러 들여보내 살균시킨다. 또한 조금씩 나오는 콧물은 콧속을 너무 건조하지 않게 또는 너무 습하지 않게 조절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런데 콧속의 통로가 일부 또는 전부 막히게 되어 분비되는 점액이 일정 부위에 고이게 되면, 점액이 걸죽한 상태로 변하여 세균 배양의 온상이 되며, 이로 인해 비창(鼻瘡)이나 비염이 생기기도 한다.
코의 구조 및 그 기능으로부터 볼 때, 콧속의 통로가 원활히 소통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콧속 통로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면 코에 관련된 모든 병의 원인이 될 수 있고, 그 반대로 통로의 소통이 원활하면 모든 콧병이 자연 치유될 수 있다. 따라서 콧병의 주된 치료방법은 콧속 통로가 원활히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콧병에 접근하는 방법은 양의학과 한의학이 서로 다르다. 양의학에서는 콧속 통로가 좁아진 이유를 그 통로 내주면에 살이 찼기 때문으로 파악하고 외과적인 방법으로 그 살을 잘라내어 콧속 통로를 넓히거나, 몸 전체의 살을 빼게 하여 결과적으로 콧속 살도 빠지게 함으로써, 콧속 통로를 넓히는 방법을 사용한다. 반면에, 한의학에서는 콧속 통로가 좁아드는 것은 그 통로 내주면이 부어있기 때문이라 파악하고, 그 원인을 해소하여 붓기를 가라앉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양의학의 외과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환자가 수술에 따른 고통을 피할 수 없고, 그럼에도 재발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 한편, 양의학에서 비충혈제거 약재를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콧속에 분사하가도 한다. 비충혈제거제는 교감신경을 작동시켜 확장된 혈관을 수축시키는 것이어서, 이를 사용하면 즉시 막힌 코가 뻥 뚫린 느낌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몸은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어, 이 약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내 몸 자체적으로 그 반대인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어 혈관이 확장되려하고, 그 결과 오히려 증세가 악화되기도 한다.
양의학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기에, 코 막힘 증세를 한의학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2014. 7. 1. 등록된 특허 제10-1417261호는 비염 및 축농증 치료용 한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박하엽, 창이자, 죽염, 감초, 치자, 유근피, 천궁, 길경 등을 추출한 추출물을 스프레이제제로 만든 것이다. 그러나 이 특허의 한방 조성물은 종래 경구로 복용하던 한약재를 스프레이 제제로 만든 것이어서, 그 효과를 신뢰하기 어렵다.
그 이외에도 다수의 한방 치료제가 특허로 출원된 바 있으나, 대부분은 경구용으로 한약을 달여서 마시게 하는 것이어서, 과정의 번잡함과 장기 복용에 따른 인내력이 필요한 것이어서 환자들이 쉽게 수용하여 사용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코 질환 치료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방 약재를 사용하여 콧속 미세혈관의 충혈에 따른 열기를 식힘과 동시에, 콧속 통로의 내주면의 붓기를 가라앉게 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콧속 통로가 원활히 소통될 수 있게 하는, 코 질환 치료를 위한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역체계 이상으로 생기는 민감성 또는 알레르기성 코 질환을 개선 및 치료하는,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코 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겔 타입, 스프레이 타입 또는 연고 타입의 외용 약제 형태의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코 질환은 대부분 콧속 통로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음에서 비롯되는 것이고, 또한 콧속 통로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는 이유는, 한의학적 관점에서 보면, 콧속 통로의 미세혈관의 충혈로 열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콧속 내주면이 부어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그로 인해 콧속 점액이 일정 부위에 고이게 되면 그 부위가 세균 배양의 온상이 되어 세균에 의한 질병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는바, 본 발명은 콧속 통로에서 내주면의 미세혈관 충혈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내리고, 통로 내주면의 부위가 가라앉게 하는 한편, 살균작용을 하여 콧속에서 세균의 배양을 저지하고, 나아가 면역체계의 정상화를 도모하여 민감성 또는 알러지성 비염이 치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통비규(宣通鼻竅), 통규지통(通竅止痛), 소종배농(消腫排膿), 두통비색 그리고 청열조습(淸熱燥濕) 등의 약리작용을 갖는 황금, 신이, 빙편(용뇌), 박화뇌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질환 치료제는 황금, 신이, 빙편(용뇌) 및 박하뇌를 아래 표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혼합비율은 황금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Figure PCTKR2022011675-appb-I000001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 질환 치료제는 상기 실시예의 4가지 성분의 혼합물에, 치자, 행인, 세신, 백지 전갈, 오공, 목통, 노회 및 목향 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 성분의 추출물을 각각 0.8-1.2 중량부로 추가 혼합할 수 있다. 한의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성분들을 추가하면, 코 질환 치료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환자의 증상에 따라 이러한 성분들 중에서 취사선택이 필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상태가 축농증이 심한 경우에는 세신, 전갈, 오공, 노회 및 목통 성분을 추가하고, 비후성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치자, 행인, 세신, 백지 및 목향 성분을 추가하고, 알러지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세신 및 목향 성분을 추가한다. 코 질환의 증세가 복합적인 경우 또는 중증의 경우에는 상기 성분들을 모두 혼합할 수 있다.
한편, 이 혼합물에 사향을 0.01-0.05 중량부 추가 혼합할 수 있다. 사향은 정신을 맑게 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독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는 것이어서 이를 추가 혼합하는 경우, 가격이 워낙 비싼 것이 문제이긴 하나, 코 질환 치료 효과를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방 조성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액상의 혼합물을 젤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으로 만들기 위한 통상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일예로서, 각 약재의 추출물들이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에 헥산디올 (1,2-Hexanediol)을 첨가하고, 또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 (Hydroxyethyl Cellulose), 쟁탄검 (Xanthan Gum) 또는 카보머 (Carbomer) 등을 첨가하여 젤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밀납과 올리브 유화제를 첨가하여 연고 타입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코 질환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에 접근하여 코 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한방 약제를 사용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이, 코 막힘, 비창(鼻瘡), 비염, 알러지성 비염 그리고 축농증 등의 코 질환 증상을 완화 또는 치료하는 것이며, 또한 외용 약재 형태로 제조할 수 있어 휴대 및 사용의 편리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황금, 신이, 빙편(용뇌), 박화뇌 등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 질환 치료제이다. 한편, 상승된 효과를 위해, 치자, 행인, 세신, 백지, 사향, 전갈, 오공, 목통, 노회, 목향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추출물을 혼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 약재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1) 황금 :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의 뿌리이다. 폐열(肺熱)을 제거하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태아를 안정시키고 출혈을 멎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해열 작용 ·소염 작용 ·이담 작용 ·이뇨 작용 ·위액 분비 억제 작용 ·항균 작용 등이 밝혀졌다. 주요 성분인 바이칼린이 이담 작용을 나타내며 항알러지 작용도 한다.
(2) 신이 : 목련과 식물인 백목련(Magnolia denudata Desrousseaux)의 꽃봉오리를 말린 것이다. 풍한사(風寒邪)를 없애고 코막힘, 축농증, 만성 비염, 알러지성 비염, 비후성 비염 등에 쓴다. 또한 콧물이 흐르며 냄새를 맡지못하는 증상, 두통이나 집중력이 떨어지는 증상, 오한, 발열, 전신통을 치료하며 가래가 많이 나오는 기침 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수렴작용, 모세혈관 확장작용, 항염증작용, 혈압강하작용, 진통, 진정작용, 피부진균과 포도상구균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3) 빙편(용뇌) : 빙편(Dryobalanops aromatica Gaertner/Bomeolum)의 다른 이름은 용뇌향·용뇌·보르네올(borneol)이다. 빙편은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여 정신혼몽, 의식장애 등을 열과 부기를 내리고 통증을 완화시켜주며, 고열, 경련, 소아 경기에 효과가 있으며 인후염과 구내염, 눈병, 가려움증, 충혈, 귀와 코의 염증 등 각종 염증에 이용된다. 약리작용으로 항균, 항염증작용이 있으며, 국소적인 진통작용과 방부작용이 보고되었다.
(4) 박하뇌 : 박하뇌(Menthol)은 강한 방향성이 있으며 청량한 느낌을 주는 것으로, 국소의 진통작용 또는 청열하는 데에 사용되기도 한다.
(5) 치자 : 꼭두서니과 식물인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이다. 치자(ardenia jasminoides Ellis)는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낫게 하며 습열사(濕熱邪)를 없애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또한 출혈을 멈추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해독한다. 약리작용으로 항산화 작용, 항당뇨 및 인슐린 민감성의 개선, 항염증 작용, 면역 및 항알레르기 등이 보고 되었다.
(6) 행인 : 벚나무과 식물인 살구나무(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와 산살구나무(P. mandshurica Koehne)의 씨를 말린 것이다. 행인은 기침을 멎게 하고 천식을 진정시키며 대변이 잘 나오게 하고 땀이 나게 하며 해독한다. 성분 아미그달린이 지해(止咳)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실험에서 밝혀졌다.
(7) 세신 : 방울풀과 식물인 민족두리풀(Asiasarum heteretrepoides F. Schm. var. mandshuricum Kitag)과 족두리풀(A. sieboldii Miquel var. seoulense Nakai)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풍사(風邪)와 한사(寒邪)를 몰아내고 소음경(少陰經)의 한사를 없애며 가래를 삭이고 통증을 멎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해열 작용, 항알러지 작용, 국소 마취 작용, 항균 작용 등이 밝혀졌다.
(8) 백지 : 미나리과 식물인 구리때(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백지는 풍한사(風寒邪)를 없애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고름을 없애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진정(鎭靜) 작용 ·진경(鎭驚) 작용 ·항균 작용 등이 밝혀졌다. 진정작용과 진경 작용은 쿠마린성분에 의하여 나타난다. 풍한두통(風寒頭痛), 치통, 축농증, 유종(乳腫), 옹종(癰腫), 창양(瘡瘍), 대하증, 장출혈, 치루, 뱀에 물린 상처 등에 쓴다.
(9) 사향 : 사슴과 동물인 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L.) 수컷의 사향주머니 속에 들어있는 분비물을 말린 것이다. 사향은 정신을 맑게 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기생충을 구제하고 독을 제거하며 낙태(abortion)시킨다. 약리 실험에서 중추 신경 흥분 작용, 강심 작용, 소염 작용, 기관지 확장 작용, 항균 작용, 발한(發汗) 작용, 이뇨 작용 등이 밝혀졌다.
(10) 전갈 : 전갈과 동물인 전갈(Buthus martensii Karsch)을 말린 것이다. 전갈은 경련을 진정시키고 독을 제거한다. 약리 실험에서 진정(鎭靜) 작용과 진경(鎭驚) 작용을 나타냈다. 경풍(驚風), 경간,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데, 파상풍, 반신불수, 말을 못하는 데, 연주창, 헌데 등에 쓴다.
(11) 오공 : 지네과 동물인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L.) Koch)를 말린 것이다. 풍사(風邪)를 없애고 경련을 멎게 하며 해독한다. 약리 실험에서 진정(鎭靜) 작용, 항경련 작용, 소염 작용, 항균 작용 등이 밝혀졌다. 경풍(驚風), 파상풍, 경련 등에 쓰며 신경통,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안면 신경 마비증(facial hemiparalysis), 뱀에 물린 상처, 헌데, 연주창 등에도 쓴다.
(12) 목통 : 으름덩굴과 식물인 으름덩굴(Akebia quinata Decne)의 줄기를 말린 것이다. 목통은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월경을 순조롭게 하고 젖의 분비를 촉진한다. 약리 실험에서 이뇨 작용 ·강심(强心) 작용 ·혈압 상승 작용 ·소염 작용 ·위액분비 억제 작용 등이 밝혀졌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붓는 데, 배뇨 장애, 임증(淋證), 젖의 분비가 부족한 증, 무월경,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한 데, 부스럼 등에 쓴다.
(13) 노회 : 노회는 알로에베라(Aloe Vera)라고도 하며 젤리상의 물질은 뛰어난 치유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국소적으로 피부 재생을 촉진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좌상, 피부 궤양, 화상, 햇볕에 그을린 피부 등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각종 외부 자극을 받아 지친 피부를 진정시키고 동시에 피부를 유연하고 촉촉하게 보습한다.
(14) 목향 : 목향(木香)(Aucklandia lappa Decaisne(국화과 Compositae))의 뿌리로서 거친 껍질을 제거한 것이다. 목향은 복부가 차서 생기는 복통, 헛배 부른 증상, 구토, 설사에 사용하며, 기를 잘 통하게 해 소화기의 만성 염증, 위통에 효과가 있고, 항균작용이 있어서 이질과 고환염에 쓴다. 약리작용으로 기관지와 소장 경련을 풀어 주며 혈압강하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들 중에서, 황금, 신이, 치자, 행인, 세신, 백지, 사향, 전갈, 오공, 목통, 노회, 목향은 그 추출물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한방 약재에 관한 통상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추출물을 마련하는 방법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된 상태의 약재의 경우, 정제수 추출법과 및 오일 추출법 등의 추출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정제수 추출법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조 약재 20~30중량부 투입하여 70~120도의 온도에서 30~90분 달여 추출하는 것이고 오일추출법은 엑스트라버진 올리브 오일(Extra Virgin Olive Oil)을 사용하며, 오일 100 중량부에 건조 약재 20~30 중량부 투입하여 60~90도의 온도에서 2~3시간 온침, 또는 실온상태에서 7일 이상 냉침하여 추출한다.
추출물은 한약 추출 부직포에 넣고 필터링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은 추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설명한다.
[실험 대상자들의 선정]
먼저, 본 발명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실험 참가를 지원하는 대상자 20명을 선정하였다. 지원자 20명 중에서 10명은 이비인후과에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치료 중이거나, 정기적으로 내원 치료를 받지는 않지만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비충혈제거제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고, 나머지 10명은 코 막힘 증세를 앓고 있으나 아무런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사람들이었다.
이비인후과에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치료 중인 지원자 5명 중 4명이 치료효과가 없었고, 1명은 치료 받을 때 일시적으로 좋았다가 일정기간 뒤 다시 원상태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내원 치료를 받지는 않지만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비충혈제거제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지원자 5명의 경우 효과가 없었다고 하는 사람이 3명이었고 효과가 있었다고 하는 사람이 2명이었다. 효과가 있었다고 하는 사람 2명의 경우에는 코 막힘이 발생할 때 마다 휴대하고 있는 스프레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당시 코 막힘이 해소된 것으로 느꼈을 뿐, 실질적으로 코 막힘 증세가 치료된 것은 아니었다.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는 지원자는 만성 코 질환자로서 항상 코 막힘 증세가 있음에도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살고 있었다.
지원자 20명 중에서 10명은 코 막힘으로 다소 불편함은 있으나,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고, 나머지 10명은 비창이나 비염 등의 코 질환 증세가 상당히 심각한 상태이었다. 증세가 심각하지 않은 사람들 10명은 임의적으로 5명씩 둘로 나누어 A그룹과 B 그룹으로 구분하고, 증세가 심각한 사람들 10명 역시 임의적으로 5명씩 둘로 나누어 C그룹과 D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황금 및 신이의 추출물과, 빙편(용뇌) 및 박화뇌를 혼합한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성분의 추출물을 마련함에 있어서는 정제수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한의학적 관점에서 혼합되는 구성성분들의 관용성이 있는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구성성분들의 비율을 다소 달리하여 아래와 같은 비율로 2가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1 조성물 혼합비율
구성성분 비율
황금 추출물 1 중량부
신이 추출물 0.7 중량부
빙편(용뇌) 0.05 중량부
박하뇌 0.01 중량부
제2 조성물 혼합비율
구성성분 비율
황금 추출물 1 중량부
신이 추출물 5 중량부
빙편(용뇌) 0.1 중량부
박하뇌 0.05 중량부
상기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스프레이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한방 조성물들의 코 막힘 치료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지원자 그룹 중 A그룹 지원자들에게는 제1 조성물을 적용하고, B그룹 지원자들에게는 제2 조성물을 적용하였다. 각 그룹의 지원자들에게 스프레이 타입의 제1 및 제2 조성물을 하루에 5차례 이상 수시로 콧속에 분무하게 하고, 5일 경과 후에 코 막힘 증세의 개선상태를 측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2와 같다.
제1 조성물을 적용한 A그룹 적용 결과
효과 없음 상당한 효과 현저한 효과 치유
1 1 3 0 5
제2 조성물을 적용한 B그룹 적용 결과
효과 없음 상당한 효과 현저한 효과 치유
0 1 4 0 5
표 3 및 표 4에서 보듯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단지 5일 적용하였음에도, 코 막힘 증세가 상당히 개선되었다. 따라서 이 한방 조성물들을 한 달 이상 꾸준히 사용하면 코 막힘 증세가 치료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제1 한방 조성물과 제2 한방 조성물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제1 및 제2 한방 조성물에 각각 치자, 행인, 세신, 백지, 사향, 전갈, 오공, 목통, 노회, 목향 추출물을 혼합한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성분의 추출물을 마련함에 있어서는 정제수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한의학적 관점에서 혼합되는 구성성분들의 관용성이 있는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구성성분들의 비율을 다소 달리하여 아래와 같은 비율로 2가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구성성분 비율
제1 조성물 황금 추출물 1 중량부
신이 추출물 0.7 중량부
빙편(용뇌) 0.05 중량부
박하뇌 0.01 중량부
추가 성분 치자 추출물 0.8 중량부
행인 추출물 0.8 중량부
세신 추출물 0.8 중량부
백지 추출물 0.8 중량부
사향 추출물 0.01 중량부
전갈 추출물 0.8 중량부
오공 추출물 0.8 중량부
목통 추출물 0.8 중량부
노회 추출물 0.8 중량부
목향 추출물 0.8 중량부
제4 조성물 혼합비율
구분 구성성분 비율
제2 조성물 황금 추출물 1 중량부
신이 추출물 5 중량부
빙편(용뇌) 0.1 중량부
박하뇌 0.05 중량부
추가 성분 치자 추출물 1.2 중량부
행인 추출물 1.2 중량부
세신 추출물 1.2 중량부
백지 추출물 1.2 중량부
사향 추출물 0.05 중량부
전갈 추출물 1.2 중량부
오공 추출물 1.2 중량부
목통 추출물 1.2 중량부
노회 추출물 1.2 중량부
목향 추출물 1.2 중량부
상기 제3 조성물과 제4 조성물을 스프레이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한방 조성물들의 코 막힘 치료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코 질환 상태가 다소 중증인 C그룹 지원자들 및 D그룹 지원자들에게 이 조성물들을 적용하였다. C그룹 지원자들에게 제3 조성물을 적용하고, D그룹 지원자들에게는 제4 조성물을 적용하였다.
각 그룹의 지원자들에게 각각 스프레이 타입의 제3 및 제4 조성물을 하루에 5차례 이상 수시로 콧속에 분무하게 하고, 5일 경과 후에 코 막힘 증세의 개선상태를 측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하기 표3 및 표4와 같다.
제1 조성물을 적용한 C그룹 적용 결과
효과 없음 상당한 효과 현저한 효과 치유
0 2 3 0 5
제4 조성물을 적용한 D그룹 적용 결과
효과 없음 상당한 효과 현저한 효과 치유
0 1 4 0 5
표 7 및 표 8에서 보듯이, 제3 조성물과 제4 조성물을 코 질환이 다소 중증인 환자들에게 단지 5일 적용하였음에도, 코 막힘 증세가 상당히 개선되었다. 따라서 이 한방 조성물들을 한 달 이상 꾸준히 사용하면 코 질환의 증세가 치료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제3 한방 조성물과 제4 한방 조성물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1 및 제2 조성물과 대비하여, 제3 및 제4 조성물을 적용하였을 때 특징적인 현상으로, 환자들의 코 내부의 농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과 코 내부에서 느껴지는 고름 냄새가 많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코 질환 치료제의 혼합물을 젤 타입(크림타입)과 스프레이 타입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조성물에 통상의 방법에 따라, 헥산디올 (1,2-Hexanediol)과 같은 방부관련 재료를 첨가하고, 또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 (Hydroxyethyl Cellulose), 쟁탄검 (Xanthan Gum) 또는 카보머 (Carbomer) 등을 적절량 첨가하여 젤타입(크림 타입)과 스프레이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백밀납과 올리브 유화제를 첨가하여 연고타입으로도 제조하였다
이러한 젤 타입(크림 타입), 스프레이 타입 그리고 연고타입을 각각의 지원자들에게 사용토록 하고, 그 결과를 측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대동소이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 질환 치료제를 젤타입(크림타입), 스프레이 타입 또는 연고 타입으로 제조한다고 하여, 그 타입으로 인하여 치료 효과에 차이나 부정적인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적인 실제 임상 사례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임상예1>
(1) 환자 : 35세 여성
(2) 증상 : 만성 비염으로 인해 항상 코가 막혀있고 특히 아침 기상 후, 코가 막혀 있다가 맑은 콧물이 끊임없이 나와 30분 정도는 계속 뱉어내어야 하며 하루 일과 중 식사 중에도 코가 막혀있어 숨을 참으면서 식사를 하고 잠시 숨을 고르고 다시 식사하는 상황이었음. 이비인후과에서 정기적인 치료와 스프레이제제를 처방받아 사용하고 있으나 모든 것이 효과가 없는 상황이었음.
(3) 치료 : 황금 18.3% 신이 30% 빙편(용뇌) 1.5%, 박화뇌 0.2%, 치자, 행인, 세신, 백지, 목통 각각 10% 혼합한 혼합물을 외용 젤 타입(크림타입)으로 제조하여, 1일 3회 또는 필요시 수시로 코 내부에 도포하도록 함. 3일 뒤, 코가 뚫리기 시작하고 한달 사용 후, 코질환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코 막힘 및 비염이 해결됨.
<임상예2>
(1) 환자 : 55세 남성
(2) 증상 : 40년 축농증 병력, 축농증 초기엔 코 안에서 고름냄새가 진동하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좌측 코가 완전히 막히고 양쪽 코의 후각이 모두 상실된 상태임. 병원 진단결과 비중격이 휘어 왼쪽의 비강이 좁아져 있는 상태임.
(3) 치료: 황금 18.3% 신이 30% 빙편(용뇌) 1.5%, 박화뇌 0.2%의 혼합물에 치자, 행인, 세신, 백지 각 7% 사향 0.2%, 전갈, 오공 각 4.9%, 목통, 노회, 목향 각 4%를 혼합한 혼합물을 외용 젤타입(크림타입)으로 제조하여. 1일 3회 또는 수시로 도포하게 함. 3일 뒤, 코가 뚫리기 시작하여 막히다 뚫리다를 반복하다가 2주 쯤 경과 후에 완전히 코가 뚫리나, 고름 냄새를 다시 맡기 시작하였음. 고름 냄새가 지속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발생하는 빈도 또한 점차 줄어들다가 1개월이 넘어서자 없어짐. 2개월 적용 후, 코 막힘은 없어지고 경미한 증상이 남아 있어 계속적으로 약을 도포하게 함.
<임상예3>
(1) 환자: 15세 남성
(2) 증상: 양쪽 코가 막혀서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였더니 비치(鼻痔, 코내부 군살)가 있다고 함. 코를 뒤집고 보면 안에서 자란 비치가 육안으로 확인되었음.
(3) 치료: 황금 18.3% 신이 30% 빙편(용뇌) 1.5%, 박화뇌 0.2%의 혼합물에 치자, 행인, 세신, 백지 각 7% 사향 0.2%, 전갈, 오공 각 4.9%, 목통, 노회, 목향 각 4%를 혼합한 혼합물을 외용 젤타입(크림타입)으로 제조하여, 1일 3회 또는 수시로 도포하게 함. 적용 후, 바로 코가 뚫리기 시작하더니 숨쉬기가 편하다고 함. 15일 적용 후, 비치가 완전히 사라진 것을 육안으로 확인함
<임상예4>
(1) 환자 : 43세 남성
(2) 증상 : 평소에 맥주와 같은 찬 성분의 술을 많이 마시는 편으로 술을 연이어 3일 이상 마시면 코 내부에 비창이 생기고 코에 종통이 생기고 냄새나고 탁한 콧물이 나오며 통증이 극심함. 비창이 발생하면 7일 이상 최소한 지속된다고 함.
(3) 치료 : 황금 18.3% 신이 30% 빙편(용뇌) 1.5%, 박화뇌 0.2%, 치자, 행인, 세신, 백지, 목통 각 10%를 혼합한 혼합물을 외용 젤타입(크림타입)으로 제조하여 1일 3회 또는 필요시 수시로 코 내부에 도포하게 함. 적용 후, 바로 통증이 사라지고 1일 후, 비창이 완치됨.
상기 실시예들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코질환 치료제는 종래의 치료제들에 비하여 코질환에 따른 제반 증상에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본 발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황금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신이 추출물 0.7-5 중량부, 빙편(용뇌) 0.05-0.1 중량부 및 박하뇌 0.01-0.0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치자 추출물, 행인 추출물, 세신 추출물, 백지 추출물, 전갈 추출물, 오공 추출물, 목통 추출물, 노회 추출물 및 목향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각각 0.8-1.2 중량부 추가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향을 0.01-0.05 중량부 추가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스프레이 타입, 겔 타입 또는 연고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제조한,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스프레이 타입, 겔 타입 또는 연고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제조한,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PCT/KR2022/011675 2021-08-05 2022-08-05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WO202301417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3345 2021-08-05
KR10-2021-0103345 2021-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176A1 true WO2023014176A1 (ko) 2023-02-09

Family

ID=8515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1675 WO2023014176A1 (ko) 2021-08-05 2022-08-05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1417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06821A (zh) * 2005-01-20 2006-07-26 刘梅 一种治疗鼻炎的药物
CN101073616A (zh) * 2006-05-15 2007-11-21 郑昆芳 复方鼻炎康喷雾剂
CN101474256A (zh) * 2008-12-31 2009-07-08 四川禾邦阳光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苍耳子鼻炎软胶囊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398645A (zh) * 2014-11-14 2015-03-11 李建军 一种治疗鼻炎、鼻窦炎的中药组合物
CN108114220A (zh) * 2018-01-19 2018-06-05 成都风靡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鼻炎的胶囊剂药物及制备方法
CN110840955A (zh) * 2019-12-09 2020-02-28 史子玉 一种治疗鼻炎的中药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06821A (zh) * 2005-01-20 2006-07-26 刘梅 一种治疗鼻炎的药物
CN101073616A (zh) * 2006-05-15 2007-11-21 郑昆芳 复方鼻炎康喷雾剂
CN101474256A (zh) * 2008-12-31 2009-07-08 四川禾邦阳光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苍耳子鼻炎软胶囊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398645A (zh) * 2014-11-14 2015-03-11 李建军 一种治疗鼻炎、鼻窦炎的中药组合物
CN108114220A (zh) * 2018-01-19 2018-06-05 成都风靡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鼻炎的胶囊剂药物及制备方法
CN110840955A (zh) * 2019-12-09 2020-02-28 史子玉 一种治疗鼻炎的中药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01254B (zh) 一种鼻咽腔道用抗菌液及其制备方法
CN108992488A (zh) 一种治疗慢性鼻炎的中药及制备方法
CN103877288B (zh) 一种壳聚糖鼻咽生物医用膜及其制备方法
CN106581256B (zh) 一种用于治疗鼻窦炎的中药组合物、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10638915A (zh) 一种治疗慢性鼻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3014176A1 (ko) 코 질환 치료를 위한 외용 한방 조성물
CN108283708A (zh) 一种治疗急性鼻炎及慢性过敏性鼻炎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1251617A1 (ko) 비염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한방 약침액,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및 이를 이용한 약침 침술방법
CN111388571A (zh) 一种治疗鼻炎和感冒的复方精油
CN110638891A (zh) 一种止咳口服液
CN106728069B (zh) 一种治疗烫烧伤的祛腐生肌膏
CN111437309A (zh) 治疗鼻炎的壮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721303A (zh) 一种治疗过敏性鼻炎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14099579B (zh) 一种治疗腺样体肥大及其并发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456708B (zh) 一种用于治疗口唇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8403863A (zh) 一种治疗鼻炎的鼻速康制剂
CN109464562B (zh) 一种治疗鼻炎的中药组合物
CN113876848B (zh) 一种治疗鼻窦炎的中药组合物、贴敷剂及其制备方法
CN115337359B (zh) 一种治疗螨虫皮炎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245577B (zh) 一种烧伤止痛消肿生肌液膏及其制备方法
CN108186829B (zh) 一种治疗慢性鼻炎的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022936A (zh) 一种扁桃体保健贴及其制备方法
CN117752726A (zh) 鼻腔调理膏及其制备方法
CN104997949A (zh) 一种治疗鼻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057561A (zh) 一种治疗过敏性鼻炎的中药鼻喷雾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535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