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70866A1 -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및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 Google Patents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및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70866A1
WO2022270866A1 PCT/KR2022/008766 KR2022008766W WO2022270866A1 WO 2022270866 A1 WO2022270866 A1 WO 2022270866A1 KR 2022008766 W KR2022008766 W KR 2022008766W WO 2022270866 A1 WO2022270866 A1 WO 20222708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y
inner tray
during operation
sensor
objec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87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윤식
이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US18/030,00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73018A1/en
Priority to CN202280006905.2A priority patent/CN116348394A/zh
Priority to EP22828713.2A priority patent/EP4199209A4/en
Publication of WO20222708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708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21/2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alignment of 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an inner tray during operation and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 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battery and a prismatic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prismatic metal can, and a pouch-type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case mad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
  • the electrode assembly built into the battery case is a chargeable power generating device composed of a laminated structure of anode/separator/cathode, and is a jelly-roll type that is woun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long sheet-type cathode and anode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It is classified as a stack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anodes and cathode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 a mixture of an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plasticizer is applied to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separator to form a battery cell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case and sealed.
  • an activation process is necessarily performed before product shipment.
  • the activation process is a process of activating the battery and removing gas by repea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 a process of inserting battery cells into an activation tray as shown in FIG. 1 is performed, and after the activ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battery cells are taken out of the activation tray.
  • the activation tray is composed of an inner tray 20 on which battery cells are mounted and an outer tray 10 on which the inner tray is fixed.
  • the activation tray may be incorrectly assembled when assembling the inner tray 20 and the outer tray 10, and the inner tray 10 may be removed from the outer tray 20 during operation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Mistakes happe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capable of efficiently performing the detection method.
  •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including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during operation,
  • step (c)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step (b) with the distance to the steady-state reference plane where one side of the inner tr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uld be locat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ner tray is incorrectly assembled or warped during operation; including It provides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misalignment of the inner tray during operation.
  •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including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during operation,
  •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including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during operation,
  •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misalignment during operation of the inner tray is provided, wherein the incorrect assembly or misalignment during operation of the inner tray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two detection methods described above.
  • the tray includes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and contain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 two or more distance measuring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one side of the inner tr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in a spaced apart state
  • the two or more distance measurement sensors each measure the distance to one side of the inner tr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that determines whether the inner tray is misassembled or warped during operation by comparing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distance to a steady state reference plane where one side of the inner tr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uld be located.
  •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of the outer tray may be installed on top of the fence of the outer tray.
  •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may be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the like.
  • the tray includes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and contain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 an object detection sensor monitoring a space spaced a certain distance inward in parallel from the reference plane in a steady state where the longitudinal end surface of the inner tray should be located, or an object monitoring a space spaced a certain distance outward.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When an object detection sensor monitoring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by a certain distance is installed, whe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perates, if the inner tray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ner tray has been misassembled or distorted during operation, and the inner tray is If not detected, it provides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misassembly of the inner tray or distortion during operation does not occur.
  • both inner and outer object detection sensors may be provided in the outer tray.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n the outer tray may be installed on top of the fence of the outer tray.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may be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the like.
  • the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misalignment of the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iably and efficiently detects misassembly or misalignment of the inner tray during operation. It effectively solves the problem of appearance dents, scratches, cracks, etc. on the battery cell due to collision.
  • the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enables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method to be efficiently execut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 FIG. 2 is a view showing problems that occur when battery cells are inserted into an activation tray with an incorrectly assembled or distorted internal tray;
  •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hape of a battery cell mounted on an activation tray and a battery cell damaged in the process;
  • FIG. 4 is a plan view of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showing check points used in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an inn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misalignment of an inner tray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misalignment of an inner tray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misalignment of an inner tray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a case in which a battery cell is produced by applying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misalignment of an inn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 the activation tray is composed of an inner tray 20 on which battery cells are mounted and an outer tray 10 on which the inner tray is fixed.
  • the activation tray may be incorrectly assembled when assembling the inner tray 20 and the outer tray 10, and the inner tray 10 may be removed from the outer tray 20 during operation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Mistakes happen.
  • a method for detecting incorrect assembly or distortion of an inner tray during operation includes an outer tray 10 and an inner tray 2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10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
  •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including a it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20 during operation.
  • step (c)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in step (b) with the distance to the steady state reference plane where one side surface 22 of the inner tr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uld be located, misassembly of the inner tray 20 or distortion during operation can be determined. judgment step.
  • the method is related to the first check point in the plan view of the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shown in FIG. 4 . That is,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5,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30 is installed at a certain point of the outer tray 10, and the distance to one side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ray is 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a method of measuring and using more than one place.
  • a certain point of the outer tray 10 where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30 is install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even if a certain point is selected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30 is installed, if a steady-state reference distance from that point to one side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ray can be set,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the reference distance This is because erroneous 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
  • a certain point of the external tray 10 where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30 is installed may be, for example, a fence of the external tray (FIGS. 1 and 12).
  • the fence 12 may be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rnal tray 10 .
  • step (c) “the normal state reference plane on which one side surface 22 of the inner tr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uld be located” is the state in which the activation tray is normally assembled or not distorted during operation (normal state), that is, the design of the activation tray. It means the position of one side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inner tray 20 is positio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 the normal or abnormal determination may be set based on an allowable error range in the activation process,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t a more precise standard within the allowable error range. Since the tolerance rang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ctivation tray, etc.,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uniformly. Tak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e abnormal determination is that the measurement distance is ⁇ 2.5 mm of the normal distance, preferably ⁇ 1.5 mm. If it is out of range, it can be judged as abnormal.
  •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30 may use a sensor known in the ar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using ultrasound, laser, infrared, or the like may be used.
  • the detection method may als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measured distance values, and determine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based on the size of the displacement.
  • the displacement mean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alues when the distance is measured twice or more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That is, when the displacement increases or decreases over time, and the increased value continues to increase or the decreased value continues to decreas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ner tray 20 is distorted.
  • a detection method is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including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during misassembly or operation of the inner tray.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 monitoring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by a certain distance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perates, if the inner tray 20 is detec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inner tray has been misassembled or distorted during operation. and determining that the inner tray 20 is not detected when the inner tray is not misassembled or distorted during operation.
  • the method is related to the second check point in the plan view of the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shown in FIG. 4 . That is,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6,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 monitors a space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in parallel from the reference plane in the normal state where the longitudinal end surface 24 of the inner tray should be normally located. It i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ner tray is incorrectly assembled or distor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ner tray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 in the space.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 of the external tray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above functions.
  • laser, ultrasound, infrared rays, etc. pass through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in a normal state in parallel with the end face 2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ray, which should be normally positioned. It can be any point on the outer tray 10 that can send out the detection means of .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 may be installed on the fence 12 of the external tray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ence 12 may be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rnal tray 10 .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in a certain space, and a sensor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a sensor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an object detection sensor using ultrasound, laser, infrared, or the like may be used.
  • a certain distance in the “space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in parallel from the reference plane in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end face 24 of the inner tray should be normally located” is a certain distance to be allowed in case of incorrect 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I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sible error range. That is, the distance may be the distance to the nearest space outside the tolerance range. Since the tolerance rang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ctivation tray, etc.,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uniformly.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set to ⁇ 2.5 mm, preferably ⁇ 1.5 mm from the reference plane.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 may be installed both inside and outside,
  • step (b) if the inner tray 20 is detected by the inner object sensor and the inner tray 20 is not detected by the outer object sensor, the inner tray is misassembled or distorted during operation. judged not to have occurred,
  • the inner tray is detected by both the inner object detection sensor and the outer object detection sensor, it is determined that the inner tray has been misassembled or distorted during operation,
  • the inner tray is not detected by both the inner object sensor and the outer object senso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ner tray has been misassembled or distorted during operation.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including an outer tray 10 and an inner tray 2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10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wherein the inner tray As a method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distortion during assembly or operation of (20),
  • FIG. 7 it may be a method of determining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20 during operation by combining the methods described above (see FIGS. 5 and 6 ).
  • misassembly of the inner tray 20 or distortion during operation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which is preferable.
  • the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is a tray for activating the battery cell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 the tray includes an outer tray 10 and an inner tray 20 tha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10 and accommodat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 two or more distance measurement sensors 30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one side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ray are provided in a spaced apart state
  • the two or more distance measurement sensors 30 each measure the distance to one side 22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ner tray,
  • the measured distance is compared with the distance to the normal state reference plane where one side surface 22 of the inner tr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uld be loc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ner tray 20 is incorrectly assembled or warped during operation.
  • the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is a tray for activating the battery cell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 the tray includes an outer tray 10 and an inner tray 20 tha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ray 10 and accommodat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 an object detection sensor 40 for monitoring a space spaced a certain distance inward in parallel from the reference plane in the normal state where the longitudinal end surface 24 of the inner tray 20 should be located, or An object detection sensor 40 is provided to monitor a space spaced a certain distance outward,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When an object detection sensor monitoring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by a certain distance is installed, whe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operates, if the inner tray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ner tray has been misassembled or distorted during operation, and the inner tray is If not det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does not occur during operation.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 may be provided on both the inside and outside,
  • the inner tray 20 is detected by the inner object detection sensor, and the inner tray 20 is not detected by the outer object detection sensor, the inner tray is incorrectly assembled or twisted during operation. determine that this has not occurred,
  • the inner tray is detected by both the inner object sensor and the outer object sensor, it is determined that the inner tray has been misassembled or distorted during operation.
  • the inner tray is not detected by both the inner object sensor and the outer object senso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ner tray has been misassembled or distorted during operation.
  • FIG. 8 shows a case in which battery cells are produced by applying a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distortion of the inner tray during operation (see FIG. 5) by a distance sensor (trays 1 to 3) and when the detection method is not applied, It is shown by observing the defect occurrence state of the battery cell when the battery cell is produced in a state where the tray is misassembled or warped during operation (trays 4 to 6).
  • outer tray 12 outer tray fence
  • inner tray 22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r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에 대한 감지방법 및 상기 감지방법이 적용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및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본 출원은 2021년 6월 22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21-0080735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및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또한,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먼저 활물질과 바인더 및 가소제를 혼합한 물질을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고, 이를 분리막의 양측에 적층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전지셀을 형성한 다음에, 이 전지셀을 전지 케이스에 삽입하고 밀봉한다. 그리고, 이차전지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고 성능, 특히 수명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품 출하 전에 반드시 활성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활성화 공정은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여 전지를 활성화하고 가스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상기 활성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지셀들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활성화 트레이에 삽입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활성화 공정이 완료된 후 전지셀들은 상기 활성화 트레이로부터 취출된다.
상기 활성화 트레이는 전지셀이 거치되는 내부 트레이(20)와 상기 내부 트레이가 고정되는 외부 트레이(10)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활성화 트레이는 내부 트레이(20)와 외부 트레이(10)의 조립시 조립이 잘못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작동 중(활성화 공정 수행 중)에 내부 트레이(10)가 외부 트레이(20)에서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잘못 조립된 트레이 또는 활성화 공정 중에 내부 트레이가 틀어진 활성화 트레이에 전지셀을 삽입 및 취출하는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트레이와 전지셀이 충돌하여 전지셀에 외관 찍힘, 긁힘,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셀의 훼손은 전지셀의 품질 저하를 야기하며, 설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활성화 트레이의 오조립 및 작동 중 틀어짐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30089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활성화 트레이의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의 오조립 및 작동 중 내부 트레이의 틀어짐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지방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외부 트레이의 일정 지점에 거리측정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거리측정센서로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까지의 거리를 서로 이격된 2곳 이상에서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측정값들을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 기준면까지의 거리와 비교하여,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말단면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의 기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 또는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를 외부 트레이에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전술한 2가지 감지방법을 조합하여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셀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전지셀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레이(tray)로서,
상기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트레이에는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거리측정센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2개 이상의 거리측정센서는 각각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를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 기준면까지의 거리와 비교하여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판정하는 것인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의 거리측정센서는 외부 트레이의 펜스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셀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전지셀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레이(tray)로서,
상기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트레이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말단면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의 기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 또는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트레이에는 안쪽 및 바깥쪽에 물체감지센서가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에는 물체감지센서는 외부 트레이의 펜스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은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을 신뢰성 있게 효율적으로 감지하므로, 전지셀을 활성화 트레이로 삽입 또는 취출할 때, 전지셀이 내부 트레이와 충돌하여 전지셀에 외관 찍힘, 긁힘, 크랙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또한, 이러한 효과에 의해서 전지셀을 품질을 향상시키고, 다른 설비의 고장원인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는 상기와 같은 감지방법을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지셀을 내부 트레이가 오조립되거나 틀어진 활성화 트레이에 삽입시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는 활성화 트레이에 거치된 전지셀 및 그 과정에서 훼손된 전지셀의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틀어짐 감지방법에서 사용하는 체크 포인트를 나타낸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을 적용하여 전지셀을 생산한 경우의 실시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활성화 트레이는 전지셀이 거치되는 내부 트레이(20)와 상기 내부 트레이가 고정되는 외부 트레이(10)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활성화 트레이는 내부 트레이(20)와 외부 트레이(10)의 조립시 조립이 잘못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작동 중(활성화 공정 수행 중)에 내부 트레이(10)가 외부 트레이(20)에서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잘못 조립된 트레이 또는 활성화 공정 중에 내부 트레이가 틀어진 활성화 트레이에 전지셀을 삽입 및 취출하는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트레이와 전지셀이 충돌하여 전지셀에 외관 찍힘, 긁힘,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셀의 훼손은 전지셀의 품질 저하를 야기하며, 설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은, 외부 트레이(10)와 상기 외부 트레이(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20)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20)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감지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a) 상기 외부 트레이(10)의 일정 지점에 거리측정센서(30)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거리측정센서(30)로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22)까지의 거리를 서로 이격된 2곳 이상에서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측정값들을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22)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 기준면까지의 거리와 비교하여, 내부 트레이(20)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의 평면도에 있어서, 제1 체크 포인트와 관련된 방법이다. 즉, 도 5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거리측정센서(30)를 외부 트레이(10)의 일정 지점에 설치하고, 상기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22)까지의 거리를 서로 이격된 2곳 이상에서 측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거리측정센서(30)가 설치되는 외부 트레이(10)의 일정 지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어느 지점을 선택하여 거리측정센서(30)을 설치하더라도 그 지점에서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22)까지의 정상상태 기준거리가 설정될 수 있는 경우, 상기 거리 측정값과 상기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내부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틀어짐을 판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거리측정센서(30)가 설치되는 외부 트레이(10)의 일정 지점은, 예를 들어, 외부 트레이의 펜스(도 1, 12)가 될 수 있다. 상기 펜스(12)는 외부 트레이(10)의 외주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22)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 기준면”은 활성화 트레이가 정상 조립된 상태 또는 운전 중 틀어짐이 없는 상태(정상상태), 즉 활성화 트레이의 설계 재원에 맞게 내부 트레이(20)가 위치될 때 길이방향 일측면(22)의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방법에서 정상 또는 비정상 판정은 활성화 공정에서 허용될 수 있는 오차범위를 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허용오차범위 내에서 더 정밀하게 기준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허용오차범위는 활성화 트레이의 크기 등에 따라 변화되므로, 일률적으로 정하기는 어려우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로 들면, 상기 비정상 판정은 측정 거리가 정상 거리의 ±2.5 mm, 바람직하게는 ±1.5 mm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거리측정센서(30)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초음파, 레이저, 적외선 등을 이용하는 거리측정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방법은 또한, 측정된 거리 값들의 변위를 측정하고, 이 변위의 크기를 기준으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틀어짐을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변위란 활성화 공정 중 2회 이상 상기 거리를 측정한 경우, 그 값들 사이의 차이 값을 의미한다. 즉, 상기 변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며, 이들 증가된 값이 계속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된 값이 계속 감소하는 경우, 내부 트레이(20)의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감지방법은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말단면(24)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의 기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 또는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40)를 외부 트레이에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20)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2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40)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20)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2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의 평면도에 있어서, 제2 체크 포인트와 관련된 방법이다. 즉, 도 6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체감지센서(40)를 상기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말단면(24)이 정상적으로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의 기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공간에서 물체감지센서(40)에 의해서 감지되는 내부 트레이의 존부에 따라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틀어짐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상기 외부 트레이(10)의 물체감지센서(40)의 설치위치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말단면(24)이 정상적으로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의 기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통과하는 레이저, 초음파, 적외선 등의 검출수단을 송출할 수 있는 외부 트레이(10)의 어느 지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체감지센서(40)는 외부 트레이(10)의 펜스(12)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펜스(12)는 외부 트레이(10)의 외주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물체감지센서(40)는 일정한 공간에 물체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초음파, 레이저, 적외선 등을 이용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말단면(24)이 정상적으로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의 기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에서 일정 거리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틀어짐에 있어서 허용될 수 있는 오차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거리는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난 가장 인접한 공간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허용오차범위는 활성화 트레이의 크기 등에 따라 변화되므로, 일률적으로 정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로 들면, 상기 이격 거리는 기준면으로부터 ±2.5 mm, 바람직하게는 ±1.5 mm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물체감지센서(40)는 안쪽 및 바깥쪽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b) 단계에서는 안쪽 물체감지센서에 내부 트레이(20)가 감지되고,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내부 트레이(2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안쪽 물체감지센서 및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모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안쪽 물체감지센서 및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모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는 외부 트레이(10)와 상기 외부 트레이(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20)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20)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에서 설명된 방법(도 5 및 도 6 참조)을 조합하여 내부 트레이(20)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을 판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더 정확하게 내부 트레이(20)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 실시형태로서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는 복수의 전지셀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전지셀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레이(tray)로서,
상기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10)와 상기 외부 트레이(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2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트레이(10)에는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22)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거리측정센서(30)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2개 이상의 거리측정센서(30)는 각각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22)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를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22)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 기준면까지의 거리와 비교하여 내부 트레이(20)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내부 트레이(20)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발명에서 상기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관한 구성이 모두 설명되었으므로, 이 부분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는 복수의 전지셀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전지셀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레이(tray)로서,
상기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10)와 상기 외부 트레이(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2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트레이(10)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20)의 길이 방향 말단면(24)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의 기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40) 또는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40)가 구비되며,
상기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내부 트레이(20)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발명에서 상기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관한 구성이 모두 설명되었으므로, 이 부분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40)는 안쪽 및 바깥쪽에 모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안쪽 물체감지센서에 내부 트레이(20)가 감지되고,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내부 트레이(2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안쪽 물체감지센서 및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모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안쪽 물체감지센서 및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모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하기 도 8은 거리감지센서에 의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도 5 참조)을 적용하여 전지셀을 생산한 경우(트레이 1 내지 3)와 상기 감지방법을 적용하지 않아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상태에서(트레이 4 내지 6) 전지셀을 생산한 경우의 전지셀의 불량 발생 상태를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시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을 적용한 경우는 이 방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전지셀에 외관 찍힘, 긁힘, 크랙 등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외부 트레이 12: 외부 트레이 펜스
20: 내부 트레이 22: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
24: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말단면
26: 내부 트레이 고정부 28: 전지셀 삽입 공간
29: 전지셀 장착핀 30: 거리측정센서
40: 물체감지센서 100: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Claims (15)

  1.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외부 트레이의 일정 지점에 거리측정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거리측정센서로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까지의 거리를 서로 이격된 2곳 이상에서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측정값들을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 기준면까지의 거리와 비교하여,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의 일정 지점은 펜스 상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4.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말단면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의 기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 또는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를 외부 트레이에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물체감지센서가 안쪽 및 바깥쪽에 모두 설치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안쪽 물체감지센서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고,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안쪽 물체감지센서 및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모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안쪽 물체감지센서 및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모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펜스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8.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에 있어서,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항 및 제4항의 방법을 조합하여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9. 복수의 전지셀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전지셀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레이(tray)로서,
    상기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트레이에는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거리측정센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2개 이상의 거리측정센서는 각각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를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일측면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 기준면까지의 거리와 비교하여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발생을 판정하는 것인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의 거리측정센서는 외부 트레이의 펜스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12. 복수의 전지셀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전지셀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레이(tray)로서,
    상기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전지셀이 수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트레이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의 길이 방향 말단면이 위치하여야 하는 정상상태의 기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 또는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안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된 공간을 감시하는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가 안쪽 및 바깥쪽에 모두 구비되며,
    상기 물체감지센서 작동시, 안쪽 물체감지센서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고,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안쪽 물체감지센서 및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모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안쪽 물체감지센서 및 바깥쪽 물체감지센서에 모두 내부 트레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의 물체감지센서는 외부 트레이의 펜스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PCT/KR2022/008766 2021-06-22 2022-06-21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및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WO20222708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30,007 US20230273018A1 (en) 2021-06-22 2022-06-21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misalignment during operation of inner tray, and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CN202280006905.2A CN116348394A (zh) 2021-06-22 2022-06-21 在内部托盘的操作期间检测错误组装或者错位的方法和电池单体激活托盘
EP22828713.2A EP4199209A4 (en) 2021-06-22 2022-06-21 METHOD FOR DETECTING MIS-ASSEMBLY OR MIS-ALIGNMENT DURING OPERATION OF AN INTERNAL TRAY, AND BATTERY CELL ACTIVATION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735 2021-06-22
KR1020210080735A KR20220170111A (ko) 2021-06-22 2021-06-22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및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70866A1 true WO2022270866A1 (ko) 2022-12-29

Family

ID=8453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8766 WO2022270866A1 (ko) 2021-06-22 2022-06-21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및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73018A1 (ko)
EP (1) EP4199209A4 (ko)
KR (1) KR20220170111A (ko)
CN (1) CN116348394A (ko)
WO (1) WO2022270866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418A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장착 장치
KR20120132800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의 정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9248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JP6644230B1 (ja) * 2019-01-25 2020-02-12 株式会社ソフトエナジーコントロールズ 充放電試験機
KR20200104136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10030089A (ko)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성화 공정에서의 이차전지 셀 검사 방법 및 장치
KR20210080735A (ko) 2019-12-23 2021-07-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264B1 (ko) * 2016-02-25 2020-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 장치
CN109546246A (zh) * 2018-11-22 2019-03-29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软包动力电池放电能量回收化成分容设备
CN109617176A (zh) * 2018-12-27 2019-04-12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大容量方形动力电池的充放电方法及充电机
CN112490482A (zh) * 2020-11-17 2021-03-12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电芯防卡装置及电芯化成设备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418A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장착 장치
KR20120132800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의 정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9248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JP6644230B1 (ja) * 2019-01-25 2020-02-12 株式会社ソフトエナジーコントロールズ 充放電試験機
KR20200104136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10030089A (ko)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성화 공정에서의 이차전지 셀 검사 방법 및 장치
KR20210080735A (ko) 2019-12-23 2021-07-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99209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9209A1 (en) 2023-06-21
KR20220170111A (ko) 2022-12-29
EP4199209A4 (en) 2024-04-10
US20230273018A1 (en) 2023-08-31
CN116348394A (zh)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77288A1 (ko) 배터리 셀의 리크 검사 장치 및 리크 검사 방법
WO2020213846A1 (ko) 와전류를 이용한 전지셀 내부의 균열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WO2018139833A1 (ko) 이차 전지 평가 장치
WO2020171426A1 (ko)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231054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검사 방법
WO2022154354A1 (ko) 배터리 시스템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1034178A1 (ko) 크랙 검출력이 향상된 와전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와전류 검사 장치
WO2022014954A1 (ko) 전극리드의 절곡 및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리드의 용접 방법
WO2022145905A1 (ko) 전극시트의 불량 검출 시스템
WO2021112481A1 (ko)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그를 포함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22270866A1 (ko) 내부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틀어짐 감지방법 및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WO2021230536A1 (ko) 이차전지
WO2022260452A1 (ko) 원통형 이차전지용 용접 상태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WO2022265482A1 (ko)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의 오조립 또는 작동 중 트러짐 체크 장치 및 체크 방법
WO2023033522A1 (ko) Tdr을 이용한 전지셀의 내부 결함 검출장치 및 방법
WO2022055303A1 (ko)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1153922A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WO2022014895A1 (ko) 이차전지, 이차전지용 초음파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
WO2023158190A1 (ko) 단위셀용 적재장치 및 적재방법
WO2023003263A1 (ko) 전극 적층체 가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WO2023182784A1 (ko) 이차전지용 실링 갭 측정설비 및 측정방법
WO2022234956A1 (ko) 전지셀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
WO2022260268A1 (ko) 용접 상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WO2022158757A1 (ko) 배터리 시스템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2215879A1 (ko) 전극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287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287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317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