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65367A1 - 유착방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착방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65367A1
WO2022265367A1 PCT/KR2022/008430 KR2022008430W WO2022265367A1 WO 2022265367 A1 WO2022265367 A1 WO 2022265367A1 KR 2022008430 W KR2022008430 W KR 2022008430W WO 2022265367 A1 WO2022265367 A1 WO 20222653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il
adhesion
composition
polyoxyethylene sorbitan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84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성주
김동민
김지은
최연주
황용경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엘디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엘디,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씨앤엘디
Priority to CN202280005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942965A/zh
Priority to EP22818601.1A priority patent/EP4151246A1/en
Publication of WO20222653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653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05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adhesion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adhes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tissue adhesion occurring at a surgical si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dhesion generally occurs in the process of recovery after surgery, inflammation, wound, etc., and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organs and tissues around the wound are adhered. In detail, during wound healing, an inflammatory response and a coagulation cascade occur to produce fibrin. When the amount of fibrin produced is excessively secreted, fibroblasts are increased and new blood vessels are formed, resulting in adhesion between tissues. Adhesion occurs with a high probability of 60% to 93% between the abdominal wall and intestine of patients after surgery.
  • Adhesion causes serious problems.
  • the blood supply to the intestine may be cut off and may fall into ischemia, and if prompt surgical treatment is not performed, it may lead to intestinal necrosis.
  • it can cause problems such as intestinal dysfunction, chronic pain, and infertility.
  • anti-inflammatory drugs or physical barriers are currently used.
  • the previously invented anti-adhesion agent is sold in the form of a polymer membrane in the form of a film or fabric, or in the form of a liquid or hydrogel.
  • Film-type anti-adhesion agents include Genzyme's Seprafilm® cross-linked with hyaluronic acid and carboxymethyl cellulose, Johnson & Johnson Medical's Interceed® using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ORC), and Mast biosurgery's Surgiwrap using poly-lactic acid. ® is commercially available.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62068 i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issue adhes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 and hydroxyethyl starch or chitooligosaccharide, and is marketed under the trade name Medicurtain®.
  •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used in the patent is a gel formulation and is difficult to use topically due to lack of adhesive strength at the wound site.
  • the amount of anti-adhesion composition in Registered Patent No. 10-1062068 is 5 ml, which should be used in a very large amount compared to the local wound.
  • adhesion occurs due to insufficient anti-adhesion effect when 0.5 ml, which is an amount applied only to a local wound, is used.
  • the oi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known as a component that inhibits adhesion, but cannot show sufficient anti-adhesion effect because it cannot stay well in the wound. However, if water-soluble polymer and oil are appropriately emulsified, they stay on the wound for a long time and effectively inhibit adhesion.
  • the hydrophilic poly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of thickener that increases viscosity and i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 Since it has excellent biocompatibility, it is widely used in pharmaceutical products including syrups, suspensions, and tablet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issue adhesion including an aqueous phase component and an oil phase component including oil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and including a hydrophilic polymer, a surfactant and a co-surfactant (auxiliary solvent), preferably It is to provide an aqueous phase emulsion composition.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form a physical barrier at the surgical site by increasing physical viscoelasticity through a composition containing a hydrophilic polymer and oil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and sufficiently remain at the surgical site during the healing period to prevent adhes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ulation in the form of an emulsion and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surgical technique.
  •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drophilic polymer; Oils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Surfactants; And ethanol, glycerol,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carbonate, propylene glycol, 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 sulfoxide (DMSO), Dimethylamine (DMA), triacetin, N-methyl-2-pyrrolidone (NMP),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polyoxyl It may include a co-surfact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ide (polyoxylglycerid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oil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may range from 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 the hydrophilic polymer may range from 0.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 the surfactant can range from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 the cosurfactant may range from 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 the viscosity of the anti-adhesion agent composition may be 0 to 300000 mPa ⁇ s.
  • the hydrophilic polymer is starch, hyaluronic acid, sodium alginate, pectin,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dextran, pullulan, polyvinylpyrrolidone, Polyacrylic acid, polyvinylalcohol, polyethylene glycol, chitosan, gelatin, carrageenan, guar gum, locust bean gum, traga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agacanth, xanthan gum, gellan gum, agaros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oil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is squalene, lanolin, mineral oil, paraffin, vaseline, almond oil, corn Corn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peanut oil, safflower seed oil, grapeseed oil, sesame oil, soybean oil ), argan oil, canola oil, castor oil, coconut oil, sunflower seed oil, palm oil, avocado oil And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binations thereof.
  • the surfactant is polyoxyethylene-based fatty ethers derived from lauryl, cetyl, stearyl and oleyl alcohols, caprylo capro Caprylo caproyl macrogol glyceride, polyethoxylated caster oil, ethyl oxide/12-hydroxy stearic acid, sucrose fatty acid esters acid ester),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sorbitan ester, polyoxyethylene and polyoxypropylene block copolymer, sodium lauryl sulfate (sodium lauryl surfate), sodium oleate, sodium dioctylo sulfosuccinate, quaternary ammonium salt, imidazoline salt, ⁇ -tocopherol-polyethylene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ol-1000-succinate ( ⁇ -tocopherol-polyethylene glycol-1000-succinate), lecithin,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emulsion-type anti-adhesio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biocompatibility, persistence in the body, and tissue adhesion, and through this, it can ultimately exhibit an excellent anti-adhesion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ulation in the form of an emulsion and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surgical technique.
  • the following examples ar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 1 is a commercially available liquid type anti-adhesion agent, Shinpoong Pharmaceutical's Medicurtain® (left) and Hanmi Healthcare's Guardix®-sol (right) being applied to the rat abdominal wall.
  • FIG. 2 is a state in which the anti-adhesion agent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emul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at abdominal wall.
  • Figure 3 is the results of the formulation stability test of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s 1 to 5.
  •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formulations were phase separated, but in Examples 1 to 5, there was no change in the formulation.
  •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nti-adhesion efficacy test results of Control Examples 1 to 4 and Example 1 at the time of autopsy.
  • adheresion may refer to a phenomenon in which skin or membrane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dhere to each other.
  • tissue damage occurs after surgery or due to inflammation, foreign body, bleeding, infection, wound, friction, chemical treatment, etc., blood leaks out and coagulates during the healing process of the wound, thereby causing abnormal adhesion with surrounding tissues. do.
  • adhesions occur frequently, especially after surgery, and when adhesions occur in the pelvis, they can cause chronic pain and sexual dysfunction, and side effects such as chest pain and dysphagia occur due to adhesions after thyroid removal surgery. It is known that adhesions caused by surgery cause severe pain by compressing nerves, and adhesions in the uterus cause infertility, amenorrhea, and habitual miscarriage.
  •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hydrophilic polymer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so that it can adhere to the tissue surface without flowing down from the organ tissue even after sterilization.
  • the hydrophilic polymer is, for example, starch, hyaluronic acid, sodium alginate, pectin,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low-substituted hydroxyprop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dextrin, dextran, pullulan , polyvinylpyrrolidone, polyacrylic acid,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glycol, chitosan, gelatin, carrageenan, guar gum, locust bean gum, tragacanth, xanthan gum, gellan gum, agaros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be selected f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ydrophilic polymers are hydrophilic polymers whose viscosity increases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s, and preferably, the concentration of the hydrophilic polymer may be 0.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More preferably, the concentration of the hydrophilic polymer may be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 the hydrophilic polymer is less than 0.1% by weight, tissue adhesion is poor due to low viscosity, and when it is greater than 20% by weight, it is impossible to prepare a uniform anti-adhesion agent due to too high viscosity.
  • a surfactant suitable for forming an emulsion may be added.
  • Surfactants are, for example, polyoxyethylene based fatty ethers derived from lauryl, cetyl, stearyl and oleyl alcohols, caprylo caproyl macrogol glycerides, polyethoxylated castor oil, ethyloxide/12-hydride Roxy stearic acid, sucrose fatty acid ester,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sorbitan ester, block copolymer of polyoxyethylene and polyoxypropylene, sodium lauryl sulfate, sodium oleate, 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4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quaternary ammonium salts, imidazoline salts, ⁇ -tocopherol-polyethylene glycol-1000-succinate, lecithin,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rfactant may include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 the surfactant may include 0.1%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 an appropriate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for formulation stability.
  •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 the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is, for example, ethanol, glycerol,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carbonate, propylene glycol, dimethylformamide, dimethyl sulfoxide, dimethylamine, triacetin, N-methyl-2-pyrrolidone, di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polyoxylglycer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surfactant (co-solv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 the co-surfactant (co-solv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5% to 4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anti-adhesion composition. If the co-surfactant (co-solvent) is contained in less than 1% by weight, a stable formulation is not formed and phase separation occurs, and if it exceeds 50% by weight, the flowability of the composition is excessively increased, making it unsuitable for attachment to tissues. .
  •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oil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 the oil serves to keep it absorbed slowly by administering it to the body in an oily state, and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adhesions when applied to a wound in the abdominal cavity.
  • oils having an anti-adhesion effect include soybean oil, canola oil, and argan oil.
  • Oils derived from suitable animals, plants or minerals include, for example, squalane, lanolin, mineral oil, paraffin, vaseline, ceresin, almond oil, corn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peanut oil, safflower oil, grapeseed oil, sesame oil, soybean oil,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gan oil, canola oil, castor oil, coconut oil, sunflower oil, palm oil, avocado oil,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Oil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may have a range of 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 the oil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may have a range of 10%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If the oil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is less than 1% by weight, no emulsion is formed, and if it exceeds 50% by weight, the formulation is not stable and phase separation occurs.
  •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ffer solution.
  • the buffer solution serves to keep the pH of the anti-adhesion agent from rapidly changing, and preferred examples of the buffer solution include phosphate buffer solution, citrate buffer solution, histidine buffer solution, Tris buffer solution,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sotonic agent.
  • the isotonic agent reduces the difference in osmotic pressure between the body and the anti-adhesion agent when the anti-adhesion agent is administered into the body. Therefore, it serves to maintain the osmotic pressure of the anti-adhesion agent suitable for administration into the body.
  • isotonic agents include polyhydric alcohols, amino acids,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ppropriate viscosity capable of being adhered to the tissue surface without flowing down from the organ tissue.
  •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iscosity of preferably 0 to 300,000 mPa ⁇ s at a share rate of 1/s, a more preferred viscosity may be 1,000 to 250,000 mPa ⁇ s, and a more preferred viscosity may be 10,000 to 200,000 mPa ⁇ s.
  •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seudoplastic flow, the viscosity is temporarily lowered when applied to a wound site, so it is easy to apply to the wound site and has a feature that it is restored to a high viscosity after application. Therefore,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not leaving the wound. As a result, the anti-adhesion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only an excellent anti-adhesion effect, but also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used by unskilled users.
  • the contents of surgery to which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re not limited.
  • Surgery to which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may be surgery for the surface of a living organ.
  • the part to which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may also include a part where a wound is formed as a result of surgery, although it is not a direct target of surgery.
  • the type of anti-adhesion agent or the ratio of active ingredient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organ, tissue, condition and area of the trauma portion, and the like.
  • the contact amount of the anti-adhesion agent to the local organ surface may be such that it covers the local organ surface.
  •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powder, granule, gel, sol, emulsion, dispersion system, cream, solution and film formul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range of medical application. It can be.
  • an anti-adhesion agent in the form of an emulsion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an auxiliary surfactant and a hydrophilic polymer in an aqueous phase, adding a surfactant, stirring, and then uniformly mixing oil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with the mixture at high pressure.
  • the anti-adhes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emulsion formulation. Since the emulsion formulation has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exhibits similar behavior to living tissue in a state in which a large amount of water is absorbed, it can be widely applied clinically regardless of surgical technique.
  • anti-adhesion agents combining various bio-derived polymers and non-biologically-derived polymers.
  • an anti-adhesion agent is prepared by mixing a polymer known to have an anti-adhesion effect, the biocompatibility is excellent, but the expected effect in tissue adhesion, persistence in the body and anti-adhesion cannot be obtained, or the anti-adhesion effect is not to some extent.
  • it has low biocompatibility and causes side effects.
  • an anti-adhesion agent that exhibits excellent biocompatibility, tissue adhesion, persistence in the body, and particularly excellent anti-adhesion effect by selecting an appropriate bio-derived polymer and a non-biological derived polymer.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find a combination of materials that ultimately exhibit excellent anti-adhesion effects as well as excellent biocompatibility, tissue adhesion, and persistence in the body, and, as a result, hydrophilic polymers, derived from animals, plants, or minerals An anti-adhesion agent containing oil was developed.
  •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in which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glycerol,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and canola oil are mixed,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anti-adhesion agent (Control Example 2, Control Example 3, the anti-adhesion effect was confirmed by comparing with Control Example 4).
  •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n excellent anti-adhesion effect in the degree of adhesion measured based on the adhesion strength and adhesion area compared to commercially available anti-adhesion agents (FIG. 4). Therefore,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dhesion after surgery.
  •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600 mg was added to water (5150 mg) and dissolved by stirring at 60 ° C. for 3 hours,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mg) was added and stirred for 2 hours to prepare a homogeneous solution. .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1 shows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 Comparative Example 1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5150 51.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2 shows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 Table 3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 Example 1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4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 Example 2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propylene glyc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Example 3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PEG 200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6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4.
  • Example 4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PEG 400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7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5.
  • Example 5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8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6.
  • Example 6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9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7.
  • Example 7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ottonseed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10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8.
  • Example 8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olive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11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9.
  • Example 9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soybean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12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0.
  • Example 10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stor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squalene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13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1.
  • Example 11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squalene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hyaluronic acid 600mg was added and dissolved by stirring at 60°C for 3 hours.
  •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mg wa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it was stirred for 2 hours to prepare a homogeneous solution.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14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2.
  • Example 12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hyaluronic acid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15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3.
  • Example 13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PEG 20000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16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4.
  • Example 14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carrageenan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17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5.
  • Example 15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tarch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18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6.
  • Example 16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sodium alginat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19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7.
  • Example 17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gelatin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chitosan 600mg was added and dissolved by stirring at 60°C for 3 hours.
  •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mg wa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it was stirred for 2 hours to prepare a homogeneous solution.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20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8.
  • Example 18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chitosan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Table 21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9.
  • Example 19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pectin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xanthan gum 600mg was added and dissolved by stirring at 60°C for 3 hours.
  •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mg wa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it was stirred for 2 hours to prepare a homogeneous solution.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22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20.
  • Example 20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xanthan gum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a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canola oil (4000 mg) to the solution and homogenizing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at 13500 rpm and 60° C. for 15 minutes.
  • Table 23 shows the composition of Example 21.
  • Example 21 Kinds ingredient Weight (mg) Weight percent (wt%) hydrophilic polymer agarose 600 6 awards water 1700 17 Auxiliary surfactant (auxiliary solvent) glycerol 3450 34.5 Surfactant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250 2.5 Paid canola oil 4000 40 total amount 10000 100
  • a negative control group was set up in which physiological saline was treated at the site of friction damage.
  •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Guardix-sol, Hanmi Pharmaceutical) was used as an anti-adhesion agent composed of hyaluronic acid and carboxymethyl cellulose.
  • an anti-adhesion agent using alginate, calcium chloride, and poloxamer a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a commercially available anti-adhesion agent (Guardix®-SG), which is in a sol state at low temperatures and becomes a gel state at room temperature or higher, was used.
  • Guardix®-SG a commercially available anti-adhesion agent
  • hydroxyethyl starch with anti-inflammatory and anti-blood coagulant properties as an anti-adhesion agent composed of hyaluronic acid and hydroxyethyl starch.
  • Pharmacocurtain® of Shin Poong Pharmaceutical was used.
  • the formulation stability was tested by preparing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s 1 to 5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is as follows. 1g of the prepared formulation was put into an Eppendorf tube (1.5mL) in an amount of 1g. The tube containing the formulation was frozen at -20°C for 20 hours and stored at 60°C for 4 hours to thaw. After repeating the freezing (-20 °C) and thawing (60 °C) process three times, it was centrifuged for 15 minutes at a speed of 5000 rpm in a centrifuge. It was visually determined whether the centrifuged formulation was stable.
  • the negative control group was set as Control Example 1 in which physiological saline was treated in the area inducing adhesion
  • the positive control group was set in Control Examples 2 to 4 in which the area inducing adhesion was treat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anti-adhesion agent.
  •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adhesion efficacy of Example 1 and Examples 6 to 21 was evaluated. (Table 25)
  • th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1) mixed with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glycerol and canola oil was treated with physiological saline (Control Example 1) or Guardix®-sol of commercially available Hanmi Pharmaceutical (Comparative Example 2), Hanmi Pharmaceutical's Guardix®-SG (Comparative Example 3), and Shinpoong Pharmaceutical's Medicurtain® (Comparative Example 4)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adhesion in terms of adhesion degree, adhesion strength, and area to be adher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FIG. 4). Through Examples 6 to 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adhesion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oil phase was confirm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xamples 12 to 21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n excellent anti-adhesion effect (FIG. 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 동ㆍ식물 및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을 사용하여 기존 유착방지제의 문제점인 낮은 점도 및 낮은 강도를 개선하고, 생체 조직 간의 유착을 방지하는 유착방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착 방지용 조성물은 그 유착방지 효과에 있어서 물리적 장벽역할을 하는 고분자 물질 및 용매의 단순 혼합을 통해 물리적 장벽 기능을 수행하고, 일정시간 동안 체내에 머물러 있다가 분해, 흡수, 배설되며, 수술 후 상처가 치유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수술 부위에 적용이 편리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유착방지용 조성물
본 발명은 유착방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수술 부위에 발생하는 조직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한 유착방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착은 일반적으로 수술 후, 염증, 창상 등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상처 부위 주변 장기 및 조직이 들러붙는 현상을 말한다. 자세하게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 염증 반응 및 응고 캐스캐이드(coagulation cascade)가 일어나 섬유소가 생성된다. 생성된 섬유소의 양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증가시키고 새로운 혈관이 생겨 조직 간 유착이 발생한다. 유착은 수술 후 환자의 복벽과 장 간에 60~93%의 높은 확률로 발생한다.
유착 현상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복강 내 유착으로 인해 장의 일부가 조여질 때에는 장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허혈상태에 빠질 수 있으며, 신속한 수술적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장의 괴사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장기능 장애, 만성 통증, 불임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유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현재는 항염제를 사용하거나 물리적 장벽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에 발명된 유착방지제는 필름이나 직물 형태의 고분자 막 형태나 액제 또는 하이드로겔 형태로 판매되고있다. 막 형태의 유착방지제는 히알루론산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가교시킨 Genzyme사의 Seprafilm®, 산화 재생 셀룰로즈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ORC)를 이용한 Johnson & Johnson Medical사의 Interceed®, poly-lactic acid를 사용한 Mast biosurgery사의 Surgiwrap®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 제품들은 체내에 적용 시 장기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는 점, 체액과 접촉 시 필름이 말리는 점, 건조상태에서 기계적 내구성이 미흡한 점, 부착 이후 장기의 운동으로 인해 적용한 부위에서 뭉치거나 이탈하는 점, 체내에서 생분해가 너무 늦어 제거수술을 해야 하는 점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막 형태는 좁은 부위에 적용하기 어렵고 장기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으며 장기의 움직임으로 인해 서로 뭉쳐지는 문제점 때문에 유착방지 효과가 미흡하거나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액제 또는 하이드로겔 형태의 유착방지제는 물리적 장벽으로써의 기계적 내구성이 부족하고 상처 부위에 대한 부착력이 한계가 있다(도 1).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062068호는 히알루론산 및, 하이드록시에틸스타치(Hydroxyethyl starch) 또는 키토올리고당 (Chitooligosaccharide)을 포함하는 조직 유착방지용 조성물로 상품명 Medicurtain®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특허에서 사용되는 유착방지용 조성물은 겔 제형으로 상처부위에서의 점착력이 부족하여 국소적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62068호에서의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사용량은 5ml로 국소적인 상처부위에 비해 매우 많은 양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국소적인 상처부위에만 적용되는 양인 0.5ml를 사용할 경우 유착방지 효과가 부족하여 유착이 일어나는 것을 본 발명의 '대조예4'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일은 유착을 억제하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지만 상처 부위에서 잘 머무를 수 없어 충분한 유착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 하지만 수용성 고분자와 오일을 적절하게 유화시키면 상처부위에서 오래 머물러 유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친수성 고분자는 점도를 증가시키는 점증제의 일종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이다. 훌륭한 생체 적합성을 가지므로 시럽, 현탁액, 정제류 등을 포함한 제약 제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발명된 여러 형태의 유착방지제 단점인 상처 부위에 대한 부착력과 기계적 내구성을 보완하면서 효과적인 유착방지제를 연구한 결과로, 친수성 고분자와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을 사용한 신규한 제형의 유착방지제를 완성하였다(도 2).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 성분 및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포함하며, 친수성 고분자, 계면활성제 및 보조계면활성제(보조용매)를 포함하는 조직 유착방지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수상유형 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친수성 고분자와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통해 물리적 점탄성을 높여 수술 부위의 물리적 장벽을 효과적으로 형성해 상처가 치유되는 기간 동안 수술 부위에 충분히 잔존하여 유착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제 형태의 제형으로 특정 외과적 수술 기법에 제한되지 않고 다방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착 방지용 조성물은, 친수성 고분자;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 계면활성제; 및 에탄올(ethanol), 글리세롤(glycer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디메틸폼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디메틸아민(dimethylamine, DMA), 트리아세틴(triacetin),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폴리옥실글리세리드(polyoxylglyce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친수성 고분자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면활성제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계면활성제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착 방지제 조성물의 점도는 0 내지 300000 mPaㆍ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친수성 고분자는 전분(starch),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소듐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펙틴(pectin),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저치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덱스트란(dextran), 풀루란(pullulan),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에틸렌글리콜, 키토산(chitosan), 젤라틴(gelatin), 카라기난(carrageenan), 구아검(guar gum), 로커스트 콩 검(locust bean gum), 트라가칸타(tragacanth), 잔탄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아가로스(agaro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은 스쿠알렌(squalene), 라놀린(lanolin), 미네랄 오일(mineral oil), 파라핀(paraffin), 바셀린(vaseline), 아몬드유(almond oil), 옥수수유(corn oil), 면실유(cottonseed oil), 올리브유(olive oil), 낙화생유(peanut oil), 홍화씨유(safflower seed oil), 포도씨유(grapeseed oil), 참기름(sesame oil), 콩기름(soybean oil), 아르간오일(argan oil), 카놀라유(canola oil), 피마자유(castor oil), 코코넛유(coconut oil), 해바라기씨유(sunflower seed oil), 팜유(palm oil), 아보카드유(avocado oil)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 및 올레일 알코올로부터 유래된 폴리옥시에틸렌 기반 지방 에터(polyoxyethylene-based fatty ethers derived from lauryl, cetyl, stearyl and oleyl alcohols), 카프릴로 카프로일 마크로골 글리세라이드(caprylo caproyl macrogol glyceride), 폴리에톡실화 피마자유(polyethoxylated caster oil), 에틸옥사이드/12-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ethyl oxide/12-hydroxy stearic acid), 자당지방산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소르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블록공중합체(polyoxyethylene and polyoxypropylene block copolymer),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rfate), 소듐 올레에이트(sodium oleate),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o sulfosuccinate), 4급 암모늄염(quaternary ammonium salt), 이미다졸린염(imidazoline salt), α-토코페롤-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숙시네이트(α-tocopherol-polyethylene grycol-1000-succinate), 레시틴(lecithin)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제 형태의 유착방지용 조성물은 우수한 생체 적합성, 체내 지속성, 조직 부착성을 나타내고,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뛰어난 유착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제 형태의 제형으로 특정 외과적 수술 기법에 제한되지 않고 다방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로,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시판중인 액제 형태의 유착방지제, 신풍제약의 메디커튼®(왼쪽)과 한미헬스케어의 Guardix®-sol(오른쪽)을 랫트 복벽에 적용 중인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제 형태의 유착방지제를 랫트 복벽에 적용한 모습이다.
도 3은 비교예1,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5의 제형 안정성 시험 결과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는 제형이 상분리 되었으나 실시예 1 내지 5는 제형에 변화가 없다.
도 4는 부검 시 대조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의 유착방지 효능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부검 시 실시예 6 내지 21의 유착방지 효능 시험결과를 대표하는 사진이다.
이하는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착(adhesion)"이란 서로 떨어져 있는 피부나 막 등이 서로 들러붙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외과수술 후 혹은 염증, 이물, 출혈, 감염, 창상, 마찰, 화학적 치료 등으로 조직 손상이 발생하면 상처의 치유 과정에서 혈액이 유출되어 응고하고, 이에 의해 주변 조직과 비정상적 접합이 일어나는 유착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유착은 특히 수술 후에 빈번히 발생하며, 골반에 유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만성통증, 성기능 장애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갑상선 제거수술 후 유착으로 흉부의 통증, 연하곤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며, 척추 수술에 의한 유착이 발생하면 신경이 압박되어 심한 통증을 가져오며, 자궁 내 유착은 불임, 무월경, 습관성 유산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조성물은 멸균 후에도 장기 조직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조직 표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적절한 농도의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예를 들어 전분, 히알루론산, 소듐 알지네이트, 펙틴,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저치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덱스트린, 덱스트란, 풀루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키토산, 젤라틴, 카라기난, 구아검, 로커스트 콩 검, 트라가칸타, 잔탄검, 젤란검, 아가로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들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친수성 고분자들이며, 바람직하게 친수성 고분자의 농도는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20 중량% 함유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고분자의 농도는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0 중량% 함유 될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가 0.1 중량% 미만인 경우 낮은 점도로 조직부착성이 떨어지며, 20 중량% 초과인 경우 너무 높은 점도로 인해 균일한 유착방지제의 제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조성물은 유제 형성을 위해 적합한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 및 올레일 알코올로부터 유래된 폴리옥시에틸렌 기반 지방 에터, 카프릴로 카프로일 마크로골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톡실화 피마자유, 에틸옥사이드/12-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블록공중합체,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올레에이트,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4급 암모늄염, 이미다졸린염, α-토코페롤-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숙시네이트, 레시틴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는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는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유제가 형성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유화과정에서 과다한 기포가 발생하여 제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을 위해 적절한 보조계면활성제(보조 용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보조 용매)는 예를 들어 에탄올,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폼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민, 트리아세틴, N-메틸-2-피롤리돈,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폴리옥실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조계면활성제(보조용매)는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50 중량%가 함유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계면활성제(보조용매)는 전체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45 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보조계면활성제(보조용매)가 1 중량% 미만으로 함유할 경우 안정한 제형이 형성되지 않아 상분리가 일어나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의 흐름성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조직에 부착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는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유상으로 체내에 투여하여 천천히 흡수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강 내 상처부위에 적용 시 유착 발생을 억제시킨다. 유착방지효과가 있는 오일의 예로는 콩기름, 카놀라유, 아르간오일 등이 있다. 적절한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은 예를 들어 스쿠알렌, 라놀린, 미네랄 오일, 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아몬드유, 옥수수유, 면실유, 올리브유, 낙화생유, 홍화씨유, 포도씨유, 참기름, 콩기름, 아르간오일, 카놀라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해바라기씨유, 팜유, 아보카드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은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50 중량%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은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50 중량%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유제가 형성되지 않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적으로 안정하지 않아 상이 나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조성물은 완충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용액은 유착방지제의 pH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완충용액의 바람직한 예로는 인산 완충용액, 구연산 완충용액, 히스티딘 완충용액, 트리스 완충용액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조성물은 등장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는 유착방지제를 체내에 투여할 때, 체내와 유착방지제의 삼투압에 차이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체내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유착방지제의 삼투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등장화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다가알콜, 아미노산,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조성물은 장기 조직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조직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는 전단율(share rate)이 1/s에서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0,000 mPaㆍs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점도는 1,000 내지 250,000 mPaㆍs 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한 점도는 10,000 내지 200,000 mPaㆍs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는 유사소성 흐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처부위에 적용할 때에 점도가 일시적으로 낮아져 상처부위에 적용이 간편하고 적용 후에는 다시 높은 점도로 복원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는 상처부위에서 이탈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제는 우수한 유착방지 효과뿐만 아니라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가 적용 가능한 수술 내용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가 적용 가능한 수술은 생체 기관의 표면을 대상으로 한 수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가 적용 가능한 부분은 수술의 직접적인 대상은 아니나 수술의 결과 상처가 형성되는 부분도 포함할 수 있다. 기관 표면에 유착방지제를 접촉시킬 때, 유착방지제의 형태나 유효성분의 비율은 기관, 조직의 종류, 외상 부분의 상태, 면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유착방지제의 국소 기관 표면에의 접촉량은 국소 기관 표면을 덮을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는 분말, 과립, 겔, 졸, 유제, 분산계, 크림, 용액 및 필름 제형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의학적으로 적용되는 범위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다. 예컨대, 유제 형태의 유착방지제는 수상에 보조계면활성제와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한 다음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이의 혼합물에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을 고압 균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착방지 조성물은 유제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제 제형은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여 다량의 물을 흡수한 상태에서는 생체의 조직과 유사한 거동이 나타나기 때문에 수술 기법에 관계없이 임상에서 널리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수술 후 발생하는 유착 방지를 목적으로 다양한 생체 유래 고분자와 비생체 유래 고분자를 조합한 유착방지제를 제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유착방지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고분자를 혼합하여 유착방지제를 제조하는 경우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반면 조직부착성, 체내 지속성 및 유착방지에 있어 기대만큼의 효과를 얻을 수 없거나, 어느 정도의 유착방지 효과는 나타내는 반면 생체적합성이 낮아 부작용을 일으킨다. 따라서, 적절한 생체 유래 고분자와 비생체 유래 고분자를 선택하여 우수한 생체적합성, 조직 부착성, 체내 지속성 및 특히 우수한 유착방지 효과 모두를 나타내는 유착방지제의 개발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뛰어난 생체적합성, 조직 부착성, 체내 지속성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우수한 유착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조합을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친수성 고분자,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을 포함하는 유착방지제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글리세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및 카놀라유를 혼합한 조성물이며 시중에 판매 중인 유착방지제 (대조예2, 대조예3, 대조예4)과 비교하여 유착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부검 시 육안소견 및 조직학적 관찰에 의한 유착방지 동물실험 결과로,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는 시판 중인 유착방지제에 비해 유착 강도 및 유착 면적을 바탕으로 측정한 유착 정도에 있어 우수한 유착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도4). 따라서,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는 수술 후의 유착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비교예 1
물(5150mg)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을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은 비교예 1의 조성을 나타낸다.
비교예 1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5150 51.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비교예 2
물(650mg)과 글리세롤(300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5500mg)을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는 비교예 2의 조성을 나타낸다.
비교예 2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650 6.5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000 30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5500 55
총량 10000 100
실시예 1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3은 실시예 1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2
물(1700mg)과 프로필렌글리콜(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4는 실시예 2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프로필렌글리콜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3
물(1700mg)과 PEG(폴리에틸렌글리콜) 200(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PEG 200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4
물(1700mg)과 PEG 400(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6은 실시예 4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PEG 400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5
물(1700mg)과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3450mg)를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7은 실시예 5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5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6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8은 실시예 6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6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7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면실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9는 실시예 7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7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면실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8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올리브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0은 실시예 8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8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올리브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9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콩기름(4000mg)을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1은 실시예 9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9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콩기름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0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피마자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2는 실시예 10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0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피마자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1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스쿠알렌(4000mg)을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3은 실시예 11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1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스쿠알렌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2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히알루론산(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4는 실시예 12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2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히알루론산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3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PEG 20000(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을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5는 실시예 13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3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PEG 20000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4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카라기난(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한다. 그의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6은 실시예 14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4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카라기난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5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전분(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7은 실시예 15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5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전분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6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소듐 알지네이트(600mg)를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의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8은 실시예 16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6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소듐 알지네이트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7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젤라틴(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을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의 용액에 카놀라유(4000mg)을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9는 실시예 17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7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젤라틴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8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키토산(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의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0은 실시예 18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8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키토산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19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펙틴(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의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1은 실시예 19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9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펙틴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20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잔탄검(600mg)을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의 용액에 카놀라유(4000mg)을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2는 실시예 20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20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잔탄검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실시예 21
물(1700mg)과 글리세롤(3450mg)을 혼합한 후, 아가로스(600mg)를 넣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했다. 혼합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250mg)를 첨가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했다. 그의 용액에 카놀라유(4000mg)를 첨가하여 고압 균질기로 13500 rpm, 60℃ 조건으로 15분 동안 균질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3은 실시예 21의 조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21
종류 성분 중량(mg) 중량 퍼센트(wt%)
친수성 고분자 아가로스 600 6
수상 1700 17
보조계면활성제
(보조용매)
글리세롤 3450 34.5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250 2.5
유상 카놀라유 4000 40
총량 10000 100
대조예 1: 생리식염수
마찰 손상 부위에 생리 식염수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을 설정하였다.
대조예 2: 한미약품의 Guardix®-sol
히알루론산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유착 방지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Guardix-sol,한미약품)을 사용하였다.
대조예 3: 한미약품의 Guardix®-SG
알지네이트와 염화칼슘 그리고 온도 감응성 고분자인 폴록사머를 사용한 유착방지제로 저온에서는 졸 상태였다가 실온 이상에서는 겔 상태가 되는 특징을 가진 시판 중인 유착방지제(Guardix®-SG)를 사용하였다.
대조예 4: 신풍제약의 메디커튼®
히알루론산과 하이드록시에틸스타치로 이루어진 유착방지제로 항염증성 및 항혈액응고능을 가진 하이드록시에틸스타치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시판 중인 신풍제약의 메디커튼®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상기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내지 5를 제조하여 제형 안정성을 시험하였으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조한 제형을 에펜돌프 튜브(Eppendorf tube)(1.5mL)에 1g 정량하여 넣었다. 제형이 담긴 튜브를 -20℃에서 20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60℃에서 4시간 동안 보관하여 해동했다. 냉동(-20℃)과 해동(60℃)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원심분리기로 5000 rpm의 속도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했다. 원심분리한 해당 제형이 안정한지 육안으로 판단했다.
본 시험의 결과는 도 3에 도시된다. 비교예 1, 비교예 2는 상분리가 일어났으며 실시예 1 내지 5는 모두 제형적으로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교예 1과 같이 보조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비교예 2와 같이 오일을 과량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형적으로 안정한 상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유착방지제의 유착방지 효능 동물 실험 - 부검 시 육안 소견
부검 시 육안소견의 관찰을 통하여 유착방지 효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취 후 수술 부위에 제모를 실시하고, 포비돈으로 소독한 다음 복강의 정중선을 따라 4 ~ 5 cm 정도 절개하였다. 복강막에 1.5 × 1.5 cm 크기로 사포를 이용하여 찰과상을 내어 복벽과 조직의 유착을 유도하였다. 여기에 각각의 시험물질을 0.5mL 주입하였다. 시험종료일까지 생존한 동물에 대하여 CO2 가스 흡입법을 사용하여 안락사 시킨 후 부검하여 육안적 병리검사를 실시하고 개체별로 유착세기 및 유착면적을 토대로 유착정도를 평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유착을 유도한 부위에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대조예 1로 설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은 유착을 유도한 부위에 시판 중인 유착방지제를 처리한 대조예 2 내지 4로 설정하였으며, 본 발명의 예시인 실시예 1과 실시예 6 내지 21에 대한 유착방지 효능을 평가하였다. (표 25)
육안소견의 관찰에 의한 유착의 평가는 Ntourakis, Dimitrios 등 (Ntourakis, Dimitrios, Michail Katsimpoulas, Anna Tanoglidi, Calypso Barbatis, Panayotis E Karayannacos, Theodoros N Sergentanis, Nikolaos Kostomitsopoulos, and Anastasios Machairas. "Adhesions and Healing of Intestinal Anastomoses: The Effect of Anti-Adhesion Barriers." Surgical Innovation 23, no. 3 (2016): 266-76.))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착면의 유착 크기, 두께, 유착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에 따른 분류(0~4, 표 24)로 유착 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5에 나타내었다.
점수 설명
0 유착이 생성되지 않은 것
1 얇고, 필름과 같은 유착이 생기고 큰 힘이 필요없이 쉽게 분리되는 것
2 두껍고 유착을 분리하는데 팽팽하게 당겨질 정도로 힘이 조금 드는 것
3 두껍고 유착을 분리하는 것이 가위 없이는 불가능한 것 당기는 힘만으로는 분리할 수 없는 것
4 복강내 장기들과 뒤섞여 복잡한 유착을 형성하는 것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글리세롤 및 카놀라유를 혼합한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실시예 1)가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군(대조예 1)이나 시판 중인 한미약품의 Guardix®-sol(대조예 2), 한미약품의 Guardix®-SG(대조예 3), 신풍제약의 메디커튼®(대조예 4)에 비하여 유착 정도, 유착 강도 및 유착되는 면적 등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유착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4). 본 발명의 실시예 6 내지 11을 통해 유상의 종류에 따른 유착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2 내지 21이 뛰어난 유착 방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
시험군 No.1 No.2 No.3 유착 평가 평균점수 (n=3)
대조예 1 4 3 3 3.67
대조예 2 2 3 1 2
대조예 3 1 0 0 0.33
대조예 4 0 2 3 1.67
실시예 1 0 0 0 0
실시예 6 0 1 0 0.33
실시예 7 1 1 0 0.67
실시예 8 1 0 0 0.33
실시예 9 0 0 1 0.33
실시예 10 0 1 2 1
실시예 11 1 1 1 1
실시예 12 0 0 0 0
실시예 13 0 1 0 0.33
실시예 14 0 0 0 0
실시예 15 0 0 0 0
실시예 16 0 0 0 0
실시예 17 0 0 0 0
실시예 18 0 0 0 0
실시예 19 1 0 0 0.33
실시예 20 0 0 0 0
실시예 21 0 0 0 0

Claims (7)

  1. 유착방지용 조성물로서,
    친수성 고분자;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
    계면활성제; 및
    에탄올,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폼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민, 트리아세틴, N-메틸-2-피롤리돈,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폴리옥실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45 중량%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의 범위를 갖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를 갖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범위를 갖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용 조성물의 점도는 0 내지 300000 mPaㆍs인,
    유착 방지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전분, 히알루론산, 소듐 알지네이트, 펙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저치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덱스트란, 풀루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키토산, 젤라틴, 카라기난, 구아검, 로커스트 콩 검, 트라가칸타, 잔탄검, 젤란검, 아가로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ㆍ식물 또는 광물에서 유래된 오일은 스쿠알렌, 라놀린, 미네랄 오일, 파라핀, 바셀린, 아몬드유, 옥수수유, 면실유, 올리브유, 낙화생유, 홍화씨유, 포도씨유, 참기름, 콩기름, 아르간오일, 카놀라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해바라기씨유, 팜유, 아보카드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 및 올레일 알코올로부터 유래된 폴리옥시에틸렌 기반 지방 에터, 카프릴로 카프로일 마크로골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톡실화 피마자유, 에틸옥사이드/12-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블록공중합체,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올레에이트,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4급 암모늄염, 이미다졸린염, α-토코페롤-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숙시네이트, 레시틴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
PCT/KR2022/008430 2021-06-14 2022-06-14 유착방지용 조성물 WO20222653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05073.2A CN115942965A (zh) 2021-06-14 2022-06-14 抗粘着组合物
EP22818601.1A EP4151246A1 (en) 2021-06-14 2022-06-14 Anti-adhesio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56A KR102388506B1 (ko) 2021-06-14 2021-06-14 유착방지용 조성물
KR10-2021-0076956 2021-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367A1 true WO2022265367A1 (ko) 2022-12-22

Family

ID=8140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8430 WO2022265367A1 (ko) 2021-06-14 2022-06-14 유착방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151246A1 (ko)
KR (1) KR102388506B1 (ko)
CN (1) CN115942965A (ko)
WO (1) WO202226536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7701B2 (en) 2010-10-08 2024-01-0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nti-adhesive barrier membrane using alginate and hyaluronic acid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11890344B2 (en) 2010-10-08 2024-02-0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One-step processing of hydrogels for mechanically robust and chemically desired features
US11980700B2 (en) 2017-03-08 2024-05-14 Alafair Biosciences, Inc. Hydrogel medium for the storage and preservation of tissu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06B1 (ko) * 2021-06-14 2022-04-20 (주)씨앤엘디 유착방지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3942A (ja) * 2005-05-31 2006-12-14 National Cardiovascular Center 術後癒着防止剤
KR101062068B1 (ko) 2008-12-01 2011-09-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방지용 조성물
KR20130025337A (ko) * 2011-08-26 2013-03-11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유착방지재 및 유착방지 방법
JP2016040339A (ja) * 2013-05-01 2016-03-24 株式会社ファルネックス 癒着防止剤
JP2019507730A (ja) * 2016-01-20 2019-03-22 キョンブク ナショナル ユニバ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 コーオペ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生体適合性ナノ粒子及びその使用
JP2019193684A (ja) * 2016-09-05 2019-11-07 株式会社ファルネックス 油分を含むエマルションを用いた癒着防止剤
KR102388506B1 (ko) * 2021-06-14 2022-04-20 (주)씨앤엘디 유착방지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22567C (en) * 1995-06-07 2002-01-29 Southern Biosystems, Inc. High viscosity liquid controlled biologically active delivery system
US11872328B2 (en) * 2017-08-30 2024-01-16 Hadasit Medical Research Services And Development Ltd. Devices, kits and methods for reducing and/or preventing intra-abdominal adhesions
CN110038156B (zh) * 2019-04-19 2020-09-08 张家港蓝智生物科技有限公司 止血促创面愈合乳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3942A (ja) * 2005-05-31 2006-12-14 National Cardiovascular Center 術後癒着防止剤
KR101062068B1 (ko) 2008-12-01 2011-09-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방지용 조성물
KR20130025337A (ko) * 2011-08-26 2013-03-11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유착방지재 및 유착방지 방법
JP2016040339A (ja) * 2013-05-01 2016-03-24 株式会社ファルネックス 癒着防止剤
JP2019507730A (ja) * 2016-01-20 2019-03-22 キョンブク ナショナル ユニバ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 コーオペ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生体適合性ナノ粒子及びその使用
JP2019193684A (ja) * 2016-09-05 2019-11-07 株式会社ファルネックス 油分を含むエマルションを用いた癒着防止剤
KR102388506B1 (ko) * 2021-06-14 2022-04-20 (주)씨앤엘디 유착방지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TOURAKISDIMITRIOSNTOURAKISDIMITRIOSMICHAIL KATSIMPOULASANNA TANOGLIDICALYPSO BARBATISPANAYOTIS E KARAYANNACOSTHEODOROS N SERGENTA: "Adhesions and Healing of Intestinal Anastomoses: The Effect of Anti-Adhesion Barriers.", SURGICAL INNOVATION, vol. 23, no. 3, 2016, pages 266 - 7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7701B2 (en) 2010-10-08 2024-01-0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nti-adhesive barrier membrane using alginate and hyaluronic acid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11890344B2 (en) 2010-10-08 2024-02-0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One-step processing of hydrogels for mechanically robust and chemically desired features
US11980700B2 (en) 2017-03-08 2024-05-14 Alafair Biosciences, Inc. Hydrogel medium for the storage and preservation of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506B1 (ko) 2022-04-20
CN115942965A (zh) 2023-04-07
EP4151246A1 (en)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265367A1 (ko) 유착방지용 조성물
US9254263B2 (en) Thermogelling anaesthetic compositions
KR0138658B1 (ko) 생물학적활성폴리펩티드를포함하는질내투여용약제학적조성물
US6455067B1 (en) Transdermal patch f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WO2019022493A1 (ko)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22265368A1 (ko) 점막 부착성과 팽윤성이 우수한 필름 형태의 유착방지용 조성물
JP2001526246A (ja) 薬剤送達及び/又は癒着防止の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KR101452041B1 (ko) 유착방지재 및 유착방지 방법
RU2394558C2 (ru) Формирующийся in situ имплантат для животных
US201500106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Post-Surgical Adhesions
US80759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post-surgical adhesions
FI103868B (fi) Menetelmä farmaseuttisen koostumuksen valmistamiseksi fibriinin saostumisen tai kiinnikasvettumien estämiseksi
US6235796B1 (en) Use of fluorocarbons for the prevention of surgical adhesions
JP6916353B1 (ja) 癒着防止用高分子組成物
US20220202773A1 (en) Material and method for treating cancer
WO1998016252A1 (en) New pharmaceutical parenteral formulation of a thrombin inhibitor
US20240131232A1 (en) Anti-adhesion composition
WO2008132233A1 (en) Composition, methods and kits for prevention of adhesion
WO2019203543A1 (ko) 데옥시콜린산을 포함하는 피하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7330581A (ja) 埋込型徐放性免疫抑制剤
JPH07285861A (ja) 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011616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186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216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