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60296A1 -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60296A1
WO2022260296A1 PCT/KR2022/006855 KR2022006855W WO2022260296A1 WO 2022260296 A1 WO2022260296 A1 WO 2022260296A1 KR 2022006855 W KR2022006855 W KR 2022006855W WO 2022260296 A1 WO2022260296 A1 WO 20222602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fect
pellicle film
extreme ultraviolet
laser
ultraviolet lith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8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동영
권혁민
전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Publication of WO20222602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602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2Masks or mask blanks for imaging by radiation of 100nm or shorter wavelength, e.g. X-ray masks, extreme ultraviolet [EUV] masks;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2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ellicle film used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moving defects in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 photolithography In the case of patterning a semiconductor wafer or a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in the manufa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or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method called photolithography is used.
  • photolithography a mask is used as a patterning plate, and the pattern on the mask is transferred to a wafer or liquid crystal substrate. If dust adheres to the mask, light is absorbed or reflected due to the dust, so the transferred pattern is damag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performance or yield of a semiconductor device 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these operations are usually performed in a clean room, but since dust exists even in this clean room, a method of attaching a pellicle is being performed to prevent dust from adhering to the mask surface.
  • the dust is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ask, but is attached to the pellicle film, and during lithography, since the focus is aligned on the pattern of the mask, the dust on the pellicle is out of focus and does not transfer to the pattern.
  • Registered Patent No. 10-0935763 discloses a method for removing particles from the surface of a pellicle membrane using static electricity, which supplies power so that a pellicle frame and a pellicle membrane made of conductive material are electrically charged with positive (+) or negative (-)
  • a method for removing particles from the surface of a pellicle membrane comprising the steps of: supplying power to a collector so that it is electrically charged identically to that of the pellicle membrane, and passing the collector under the pellicle membrane.
  •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19515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 pellicle contaminan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attached to a pellicle membrane using an ionizer.
  • the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has a thickness of nanometers and is very easily damaged, it is difficult to remove particles using this metho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20172 discloses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ellicle film using an existing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n particular, a method for reducing the generation of particles during a trimming proces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defects such as particles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that cannot be clean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identifying the type of defect formed in the pellicle film, b) determining the specification of a laser for removing defects based on the type of defect, c) It provides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comprising the step of irradiating the defect removal laser to the defect to remove the defect.
  • the step a) provides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fect is an organic particle or an inorganic particle.
  • the defect is an organic particle, decomposing the organic particle with the defect removal laser to remove the defect; If the defect is an inorganic particle, forming a hole at the location where the inorganic particle is attached to the pellicle film with the defect removal laser to remove the defect.
  • the step of measuring the size of the defect attached to the pellicle film wherein the step b) is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the defect, the laser for removing the defect It provides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which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 the step a) provides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fect is damage to the pellicle film itself.
  • the step b) provides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which is a step of setting the power of the defect removal laser, the exposure time, the magnification of the objective le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efect and the optical system.
  • the size of the hole formed in the pellicle film is 2.5 times or more than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 and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is provided.
  •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further comprising acquiring an image of the hole and checking a profile of the hole through the image of the hole is provided.
  • the step a) provides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which is a step of irradiating a laser beam on a defect formed in the pellicle film and then analyzing the spectrum of the scattered light to determine the type of defect.
  • FIG. 1 is a flowchart of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pellicle for extreme ultraviolet rays.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a laser optical device for irradiating a laser for defect removal.
  • FIG. 1 is a flowchart of a defect removal method of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moving defects using a laser after analyzing the size and type of defects formed in a pellicle film.
  • the defect may be, for example, organic particles and inorganic particles attached to the pellicle film, or damage to the pellicle film itself.
  • a method for removing defects in a pellicle film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includes measuring the location and size of a defect formed in the pellicle film (S1), and measuring the defect formed in the pellicle film.
  •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ype (S2),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laser for defect removal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the defect (S3), and the step of irradiating the defect with the laser for removing the defect to remove the defect ( S4) is included.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pellicle for extreme ultraviolet rays.
  • the pellicle film 4 is attached to the pellicle frame 3 .
  • the pellicle 3 is attached to a mask (not shown) using an adhesive layer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llicle frame 5, or a stud attached to the mask and an engagement mechanism 6 coupled to the pellicle frame 5 ) can be combined with the mask.
  • the extreme ultraviolet pellicle film 4 includes a core made of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ilicon, graphene, or the like, and a capping layer to protect the core. Since this extreme ultraviolet pellicle film 4 can be easily damaged by impact, it is very difficult to remove particles attached to the pellicle film 4 .
  • the step of measuring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defect may be performed using a vision inspection device having an image acquisition means capable of obtaining an image of the pellicle film and an image signal processing means capable of analyzing the image.
  • the image acquiring means may be composed of one optical system capable of acquiring images of various resolutions, or may include two optical systems. That is, low-resolution image acquisition means for calibrating the position of the pellicle 3 and acquiring the coordinates of defects such as particles attached to the pellicle film 4 and high-resolution image acquisition for measuring the size of the defect of the pellicle film 4 Means may be provided separately.
  •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eans analyzes the image of the pellicle film 4 obtained in the process of scanning the pellicle film 4, and detects defects such as particles attached to the pellicle film 4.
  • a particle may be detected using a difference in brightness for each position of an acquired image.
  • a dark field method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obliquely and an image is acquired with reflected light, th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particles and the pellicle film 4 is transmitted, so the particles look bright, and conversely vertical transmission illumination
  • a coaxial illumination (bright field) method for acquiring an image using the particles appear dark.
  • This step is a step of finding out the type of defec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spectrum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defect.
  • Raman spectroscopy for example, Raman spectroscopy, IR spectroscopy, X-Ray analysis, and NMR analysis using magnetic field energy may be used. It is advantageous to use Raman spectroscopy in that a laser optical device used in Raman spectroscopy can be used even in a subsequent defect removal step using a laser.
  • the detected absorption or scattering spectrum is analyzed to confirm the type of defect. For example, by analyzing the spectrum of scattered light using Raman spectroscop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efect is due to damage to the pellicle film itself or whether organic or inorganic particles are attached thereto.
  • the laser is irradiated toward the defec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 the type of defect is identified by comparing the spectrum of scattered light from the defect with the spectrum of materials stored in the library and finding a matching material. If there is no matching material, a new spectrum can be registered as a reference in the library.
  • step (S3) of determin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laser for removing defects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the defects will be described.
  • the laser optical device 100 includes a light source 10, a beam expander 11, a Y scanning device 12, a first relay optical system 13, and a beam splitter. (14, beam splitter), an X scanning mirror (15, X scanning arrangement), a second relay optical system 16, an objective lens 17, and a stage 18.
  • the light source 10 may be a laser light source that emits monochromatic laser light.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is incident to the first relay optical system 13 after being magnified by the luminous flux expander 11 and changing the emission angle by the Y scanning device 12 .
  • Light from the first relay optical system 13 is incident to the beam splitter 14 .
  • the light reflected by the beam splitter 14 is incident on the X-scan mirror 15 .
  • a Raman spectrometer is used as a laser optical device, the remaining light split by the beam splitter 14 is incident to a spectrometer (not shown).
  • the X scanning mirror 15 scans light in the X direction.
  • the light scanned by the X scanning mirror 15 is incident on the second relay optical system 16 .
  • the light from the second relay optical system 16 is incident on the objective lens 17 .
  • the objective lens 17 condenses light and makes it incident onto the pellicle film 4.
  • the pellicle 3 is fixed to a stage 18 that can move in XYZ directions.
  • the distance between the pellicle film 4 and the objective lens 17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stage 18 in the Z direction.
  • the power of the light source 10 of the device and the time exposed to the laser are adjusted, and the magnification of the objective lens 17 is adjusted.
  • the specification of the laser irradiated to the pellicle film 4 is determined.
  • the laser power is set to a low value of about 5 mW.
  • the magnification of the objective lens 17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efect and the optical system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rganic particles. When the size of the organic particles is large, the magnification of the objective lens 17 is lowered, and when the size of the organic particles is small, the magnification of the objective lens 17 is increased.
  • the defect Since it is difficult to decompose the defect with a laser when the defect is an inorganic particle, the defect is removed by forming a hole in the pellicle film 4 where the inorganic particle is attached. Since it is known that holes of less than about 20 ⁇ m do not cause diffraction or interference problems in an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process, defects can be eliminated by forming holes in the pellicle film 4.
  • the size of the hole is preferably formed at least 2.5 times the size of the defect.
  • a hole three times the size of each inorganic particle may be formed. That is, when the inorganic particle size is 2 ⁇ m, a 6 ⁇ m hole may be formed, and when the inorganic particle size is 5 ⁇ m, a 15 ⁇ m hole may be formed.
  • the specifications of the laser for example, 2.5 ⁇ m, 7.5 ⁇ m, 12.5 ⁇ m set only three specifications for hole formation, and when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ess than 1 ⁇ m, a hole of 2.5 ⁇ m is formed, , In the case of 1 ⁇ m or more and less than 3 ⁇ m, a 7.5 ⁇ m hole is formed, and in the case of 3 ⁇ m or more and less than 5 ⁇ m, a 12.5 ⁇ m hole is formed to remove the inorganic particles.
  • the size of the formed hole can be roughly adjusted in a wide range using the magnification of the objective lens 17, and can be finely adjusted by adjusting the power while the magnification is fixed. Adjustment in a wider range than the method of adjusting the power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efect and the optical system.
  • the laser irradiation tim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ole size.
  • a 12.5 ⁇ m hole is formed under conditions of an objective lens magnification of 5x, a power of 10 mW, and an irradiation time of 5 seconds
  • a 7.5 ⁇ m hole is 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an objective lens magnification of 20x, a power of 20 mW, and an irradiation time of 5 seconds
  • a 2.5 ⁇ m hole The hole can be formed under conditions of 100x magnification of the objective lens, 25mW power, and 5 seconds of irradiation time.
  • each defect is removed using a laser specification determin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defec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efect and the type and size of the defect.
  • the stage 18 is moved on the XY plane so that the defect is located under the objective lens 17, and the defect is removed using a laser of a specification determined by the type and size of the defect.
  • the defect When the defect is an organic particle, the defect can be decomposed and removed by irradiating the defect with a low-power laser of about 5 mW.
  •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removed by irradiating a laser having a predetermined specification according to the size and forming a hole in the position of the pellicle film 4 to which the inorganic particles are attach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에 사용되는 펠리클 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결함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함 제거용 레이저의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결함 제거용 레이저를 상기 결함에 조사하여, 상기 결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이 불가능한 극자외선 리소그라용 펠리클 막의 파티클 등의 결함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본 발명은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에 사용되는 펠리클 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 또는 액정 표시판 등의 제조에서 반도체 웨이퍼 또는 액정용 기판에 패터닝을 하는 경우에 포토리소그라피라는 방법이 사용된다. 포토리소그라피에서는 패터닝의 원판으로서 마스크가 사용되고, 마스크 상의 패턴이 웨이퍼 또는 액정용 기판에 전사된다. 이 마스크에 먼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이 먼지로 인하여 빛이 흡수되거나, 반사되기 때문에 전사한 패턴이 손상되어 반도체 장치나 액정 표시판 등의 성능이나 수율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들의 작업은 보통 클린룸에서 행해지지만 이 클린룸 내에도 먼지가 존재하므로, 마스크 표면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펠리클을 부착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먼지는 마스크의 표면에는 직접 부착되지 않고, 펠리클 막 위에 부착되고, 리소그라피 시에는 초점이 마스크의 패턴 상에 일치되어 있으므로 펠리클 상의 먼지는 초점이 맞지 않아 패턴에 전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펠리클 막에 부착된 먼지도 영향이 있으므로, 제거할 수 있다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그런데 펠리클 막에 부착된 파티클 중에 펠리클 막의 마스크를 향하는 하면(안쪽 면)에 부착된 파티클은 리소그라피 공정에서 마스크 위에 떨어져서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극자외선 리소그라피 공정에서는 펠리클 막에 부착된 파티클도 웨이퍼 등에 전사된 패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펠리클 막에 부착된 파티클을 저감시키는 방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펠리클 막으로부터 파티클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10-0935763에는 정전기를 이용한 펠리클 멤브레인 표면의 파티클 제거방법으로써,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펠리클 프레임 및 펠리클 멤브레인에 전기적으로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컬렉터에 상기 펠리클 멤브레인과 전기적으로 동일하게 대전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컬렉터를 상기 펠리클 멤브레인 아래로 지나가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멤브레인 표면의 파티클 제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오히려 대전된 펠리클 막에 다시 다른 입자들이 부착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10-2119515에는 이오나이저를 이용하여 펠리클 막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펠리클 오염물질 제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은 막 두께가 나노미터 수준이어서, 매우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 파티클을 제거하기도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한국등록특허 10-1920172에는 기존의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펠리클 막을 제조하는 과정, 특히, 트리밍 과정에서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즉, 한국등록특허 10-1920172에는 펠리클 막이 형성된 기판의 백 에칭 후에 펠리클 막을 트리밍하는 대신에, 기판 위에 펠리클 막을 형성한 후 펠리클 막을 트리밍한 후에 펠리클 막으로부터 기판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막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펠리클 막을 제조하더라도, 펠리클 막에 파티클이 부착되는 것을 줄일 수는 있으나, 완전히 막을 수 없으며, 부착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도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 10-0935763
한국등록특허 10-2119515
한국등록특허 10-192017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정이 불가능한 극자외선 리소그라용 펠리클 막의 파티클 등의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결함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함 제거용 레이저의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결함 제거용 레이저를 상기 결함에 조사하여, 상기 결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결함이 유기물 입자인지 무기물 입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결함이 유기물 입자이면, 상기 결함 제거 레이저로 상기 유기물 입자를 분해하여 상기 결함을 제거하고; 상기 결함이 무기물 입자이면, 상기 결함 제거 레이저로, 상기 펠리클 막의 상기 무기물 입자가 부착된 위치에 홀을 형성하여 상기 결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펠리클 막에 부착된 상기 결함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결함의 종류 및 상기 결함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 제거용 레이저의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결함이 상기 펠리클 막 자체의 손상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결함 제거용 레이저의 파워, 노출 시간, 대물렌즈의 확대 배율, 결함과 광학계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펠리클 막에 형성된 홀의 크기는 상기 무기물 입자 크기의 2.5배 이상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 단계 후, 상기 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홀의 이미지를 통해 상기 홀의 프로파일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에 레이저를 조사한 후 산란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결함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이 불가능한 극자외선 리소그라용 펠리클 막의 파티클 등의 결함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극자외선용 펠리클의 일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결함 제거용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광학 장치의 일예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의 크기 및 종류를 분석한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함은, 예를 들어, 펠리클 막에 부착된 유기물 입자와 무기물 입자, 펠리클 막 자체의 손상 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은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의 위치 및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S1)와,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S2)와, 결함의 종류와 크기에 기초하여, 결함 제거용 레이저의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S3)와, 결함 제거용 레이저를 결함에 조사하여, 결함을 제거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우선,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의 위치 및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S1)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측정 대상인 펠리클 막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는 극자외선용 펠리클의 일예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리클 막(4)은 펠리클 프레임(3)에 부착되어 있다. 펠리클(3)은 펠리클 프레임(5)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제 층(미도시)을 이용하여 마스크(미도시)에 부착되거나, 마스크에 부착된 스터드와 펠리클 프레임(5)에 결합된 맞물림 기구(6)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마스크에 결합할 수 있다.
극자외선용 펠리클 막(4)은 종래의 수지 성분의 펠리클 막과 달리,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 그래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와, 코어를 보호하기 캐핑 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극자외선용 펠리클 막(4)은 충격에 의해서 쉽게 손상될 수 있으므로, 펠리클 막(4)에 부착된 입자들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결함의 위치 및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펠리클 막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 획득 수단과 영상을 분석할 수 있는 영상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한 비전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영상 획득 수단은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하나의 광학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두 개의 광학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펠리클(3)의 위치 보정 및 펠리클 막(4)에 부착된 입자와 같은 결함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저해상도의 영상 획득 수단과 펠리클 막(4)의 결함의 크기 측정을 위한 고해상도의 영상획득수단을 따로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 수단은 펠리클 막(4)을 스캔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펠리클 막(4)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펠리클 막(4)에 부착된 입자 등의 결함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획득된 이미지의 위치별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입자를 감지할 수 있다. 비스듬하게 빛을 조사하고, 반사광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사 조명(dark fiel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빛이 입자에서 반사되고, 펠리클 막(4)은 투과하기 때문에 입자가 밝게 보이며, 반대로 수직 투과조명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축 조명(bright fiel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자가 어둡게 보인다.
다음으로,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S2)를 설명한다.
본 단계는 결함을 구성하는 물질의 특성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결함의 종류를 알아내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광 에너지를 조사하는 라만 분광법, IR 분광법, X-Ray 분석법, 자기장 에너지를 조사하는 NMR 분석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에 진행되는 레이저를 이용한 결함 제거 단계에서도 라만 분광법에 사용되는 레이저 광학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라만 분광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단계에서는 결함에 광 에너지나, 자기장 에너지 등을 조사한 후 검출되는 흡수 또는 산란 스펙트럼 등을 분석하여, 결함의 종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여 산란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함으로써, 결함이 펠리클 막 자체의 손상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유기물이나 무기물 입자들이 부착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라만 분광법을 기준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단계에서는 전 단계에서 획득된 결함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결함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한다. 그리고 결함으로부터의 산란광의 스펙트럼을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 물질들의 스펙트럼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물질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결함의 종류를 확인한다. 일치하는 물질이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스펙트럼을 라이브러리에 레퍼런스로 등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결함의 종류와 크기에 기초하여, 결함 제거용 레이저의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S3)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결함 제거용 레이저를 조사하는데 사용되는 레이저 광학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결함 제거용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광학 장치의 일예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학 장치(100)는 광원(10), 광속 확대기(beam expander, 11), Y 주사 장치(12, Y scanning arrangement), 제1 릴레이 광학계(13), 빔 스플리터(14, beam splitter), X 주사 거울(15, X scanning arrangement), 제2 릴레이 광학계(16), 대물렌즈(17), 스테이지(18)를 포함한다.
광원(10)은 단색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일 수 있다. 광원(10)에서 출사된 광은 광속 확대기(11)에 의해서 확대된 후에 Y 주사 장치(12)에 의해서 출사각이 변화된 후에 제1 릴레이 광학계(13)로 입사된다.
제1 릴레이 광학계(13)로부터의 광은 빔 스플리터(14)로 입사된다. 빔 스플리터(14)에서 반사된 광은 X 주사 거울(15)로 입사된다. 라만 분광 장치를 레이저 광학 장치로 사용할 경우에는 빔 스플리터(14)에서 분할된 나머지 광은 분광기(미도시)로 입사된다.
X 주사 거울(15)은 광은 X 방향으로 주사한다. X 주사 거울(15)에 의해 주사된 광은 제2 릴레이 광학계(16)에 입사된다. 그리고 제2 릴레이 광학계(16)로부터의 광은 대물렌즈(17)로 입사된다. 대물렌즈(17)는 광을 집광하여 펠리클 막(4) 상으로 입사시킨다.
펠리클(3)은 XY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스테이지(18)에 고정된다. 스테이지(18)를 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펠리클 막(4)과 대물렌즈(17)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전 단계들에서 확인된 각각의 결함의 종류와 크기에 기초하여, 이러한 장치의 광원(10)의 파워, 레이저에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하고, 대물렌즈(17)의 확대 배율을 조절하고, 스테이지(18)를 이용하여 펠리클(3)과 대물렌즈(17)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펠리클 막(4)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사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결함이 유기물 입자일 경우에는 낮은 에너지의 레이저로 쉽게 분해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의 파워를 5mW 정도의 낮은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유기물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대물렌즈(17)의 확대 배율과 결함과 광학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유기물 입자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대물렌즈(17)의 확대 배율을 낮추며, 유기물 입자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대물렌즈(17)의 확대 배율을 높인다.
결함이 무기물 입자일 경우에는 레이저로 분해하기 어려우므로, 펠리클 막(4)의 무기물 입자가 부착된 위치에 홀을 형성하여 결함을 제거한다. 약 20㎛ 미만의 홀은 극자외선 리소그라피 공정에서 회절이나 간섭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므로, 펠리클 막(4)에 홀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결함을 제거할 수 있다.
충분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서, 홀의 크기는 결함의 크기의 2.5배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무기물 입자 크기의 3배인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무기물 입자 크기가 2㎛이면, 6㎛의 홀을 형성하고, 5㎛이면, 15㎛의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레이저의 사양을, 예를 들어, 2.5㎛, 7.5㎛, 12.5㎛ 홀 형성용으로 3개의 사양만 설정해놓고, 무기물 입자의 크기가 1㎛ 미만일 경우에는 2.5㎛의 홀을 형성하고, 1㎛ 이상 3㎛ 미만일 경우에는 7.5㎛의 홀을 형성하고, 3㎛ 이상 5㎛ 미만일 경우에는 12.5㎛의 홀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무기물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형성되는 홀의 크기는 대물렌즈(17)의 확대 배율을 이용하여 넓은 범위에서 대략 조절하고, 확대 배율을 고정한 상태에서, 파워를 조절하여 미세 조정할 수 있다. 파워를 조절하는 방법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조절은 결함과 광학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레이저가 조사되는 시간은 홀 크기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2.5㎛ 홀은 대물렌즈 확대 배율 5x, 파워 10mW, 조사 시간 5초의 조건으로 형성하고, 7.5㎛ 홀은 대물렌즈 확대 배율 20x, 파워 20mW, 조사 시간 5초의 조건으로 형성하고, 2.5㎛ 홀은 대물렌즈 확대 배율 100x, 파워 25mW, 조사 시간 5초의 조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함 제거용 레이저를 결함에 조사하여, 결함을 제거하는 단계(S4)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단계에서는 전 단계에서, 결함의 위치 및 결함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서 각각의 결함에 대응하여 정해진 레이저의 사양을 이용하여 각각의 결함을 제거한다.
대물렌즈(17) 아래에 결함이 위치하도록, 스테이지(18)를 XY 평면상에서 이동시키고, 결함의 종류와 크기에 의해서 정해진 사양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결함을 제거한다.
결함이 유기물 입자일 경우에는 5mW 정도의 낮은 파워의 레이저를 결함에 조사하는 방법으로 결함을 분해시켜 제거할 수 있다.
무기물 입자는 크기에 따라서 각각 정해진 사양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무기물 입자가 부착된 펠리클 막(4)의 위치에 홀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형성된 홀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서 형성된 홀의 프로파일을 확인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3: 펠리클
4: 펠리클 막
5: 펠리클 프레임
10: 광원
11: 광속 확대기
12: Y 주사 장치
13: 제1 릴레이 광학계
14: 빔 스플리터
15: X 주사 거울
16: 제2 릴레이 광학계
17: 대물렌즈
18: 스테이지

Claims (9)

  1. a)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결함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함 제거용 레이저의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결함 제거용 레이저를 상기 결함에 조사하여, 상기 결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결함이 유기물 입자인지 무기물 입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결함이 유기물 입자이면, 상기 결함 제거 레이저로 상기 유기물 입자를 분해하여 상기 결함을 제거하고,
    상기 결함이 무기물 입자이면, 상기 결함 제거 레이저로, 상기 펠리클 막의 상기 무기물 입자가 부착된 위치에 홀을 형성하여 상기 결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펠리클 막에 부착된 상기 결함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결함의 종류 및 상기 결함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 제거용 레이저의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결함이 상기 펠리클 막 자체의 손상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결함 제거용 레이저의 파워, 노출 시간, 대물렌즈의 확대 배율, 결함과 광학계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클 막에 형성된 홀의 크기는 상기 무기물 입자 크기의 2.5배 이상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상기 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홀의 이미지를 통해 상기 홀의 프로파일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펠리클 막에 형성된 결함에 레이저를 조사한 후 산란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결함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인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PCT/KR2022/006855 2021-06-10 2022-05-13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WO202226029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08A KR20220166494A (ko) 2021-06-10 2021-06-10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KR10-2021-0075308 2021-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296A1 true WO2022260296A1 (ko) 2022-12-15

Family

ID=8442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855 WO2022260296A1 (ko) 2021-06-10 2022-05-13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66494A (ko)
WO (1) WO202226029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654A (ja) * 1998-06-26 2000-01-14 Advantest Corp 表面検査装置および方法
US20080241711A1 (en) * 2007-03-30 2008-10-02 Yun Henry K Removal and prevention of photo-induced defects on photomasks used in photolithography
JP2008268041A (ja) * 2007-04-23 2008-11-06 Lasertec Corp 欠陥検査装置
KR20100067628A (ko) * 2008-12-11 2010-06-21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리페어 장치, 레이저 리페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KR20200074228A (ko) * 2017-11-15 2020-06-2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시트들 상의 표면 결함들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763B1 (ko) 2008-05-26 2010-01-0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정전기를 이용한 펠리클 멤브레인 표면의 파티클 제거방법
CN107003602B (zh) 2015-02-24 2021-03-12 三井化学株式会社 防护膜组件膜、防护膜组件框体、防护膜组件及其制造方法
KR102119515B1 (ko) 2018-05-25 2020-06-05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펠리클 오염물질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654A (ja) * 1998-06-26 2000-01-14 Advantest Corp 表面検査装置および方法
US20080241711A1 (en) * 2007-03-30 2008-10-02 Yun Henry K Removal and prevention of photo-induced defects on photomasks used in photolithography
JP2008268041A (ja) * 2007-04-23 2008-11-06 Lasertec Corp 欠陥検査装置
KR20100067628A (ko) * 2008-12-11 2010-06-21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리페어 장치, 레이저 리페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KR20200074228A (ko) * 2017-11-15 2020-06-2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시트들 상의 표면 결함들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94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6633B1 (en) Method of inspecting masks and apparatus thereof
US71335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icle inspection using aerial imaging
KR101735403B1 (ko) 검사 방법, 템플릿 기판 및 포커스 오프셋 방법
TWI618977B (zh) Mask inspection method and mask inspection device
CN101799433B (zh) 图案检查方法及装置、光掩模制造方法以及图案转印方法
WO2017164556A1 (ko) 펠리클의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JP2000180371A (ja) 異物検査装置および半導体工程装置
JP2008210951A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KR20030096400A (ko) 기판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8089409B (zh) 一种大面积超分辨光刻装置
WO2022260296A1 (ko) 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 막의 결함 제거방법
JPH1048144A (ja) ガラス基板検査装置
US6825924B2 (en) Dual peak wavelength tube, illuminator for inspection, inspec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23234637A1 (ko) 조명계 조절을 통한 euv 마스크 검사 장치 및 방법
WO2022050436A1 (ko) 레이저 가공 장치
TW200914817A (en) Pattern defect inspecting method and pattern defect inspecting apparatus
JPH03211812A (ja) 露光装置
US84566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fication of illumination non-uniformity in the mask plane of a lithographic exposure system
CN220773415U (zh) 光掩模检查设备
WO2017039184A1 (ko) 접착제 제거장치 및 방법
Lickteig et al. Optimization of an integrated and automated macro inspection system for the utilization of wafer color variation detection in a photolithography cluster
KR100807254B1 (ko) 결함 검사 장치
JP5601095B2 (ja) 検査条件の調整用パター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検査条件の調整方法
JPH01239922A (ja) パターン欠陥検査装置
JP3243822B2 (ja) マスクの検査方法及びレチクル・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204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