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60266A1 - 연교, 작약, 및 치자 추출물의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교, 작약, 및 치자 추출물의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60266A1
WO2022260266A1 PCT/KR2022/005530 KR2022005530W WO2022260266A1 WO 2022260266 A1 WO2022260266 A1 WO 2022260266A1 KR 2022005530 W KR2022005530 W KR 2022005530W WO 2022260266 A1 WO2022260266 A1 WO 20222602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ardenia
group
peony
yeongy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55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성규
홍세향
이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랩
Publication of WO20222602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602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2Prebiotics, ingredients ferment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beneficial microflo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8Fraction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biotics composition
  • a prebiotics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rilla, peony, and gardenia,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 feed compositio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and Quasi-drug and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intestinal function improvement u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r a fraction thereof, method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atopy , it is about how.
  • Probiotics are living microorganisms that can beneficially function by maintaining the balance of intestinal flora, and are known to have a variety of functions.
  • probiotics are known to have beneficial functions to the human body, such as inhibiting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through competition for intestinal nutrients and barrier attachment sites, activating immunity, and reducing lactose intolerance.
  • fructo-oligosaccharides are known.
  • Fructooligosaccharide is an oligosaccharide in the form of ⁇ -1, 2-linked fructose molecules to sugar and can be fermented by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a, so ingestion of FOS can increase Bifidobacterium and Lactobacillus species. It is known that it can
  • the present inventors discovere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biotics composition, and confirmed that the prebiotics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eat atopic dermatiti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biotics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r a fraction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containing one or more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to improve intestinal func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intestinal func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to a subje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r a fraction thereof, for use in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atop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 the prebiotics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mote intestinal health and improve atopy by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e and inhibiting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e.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animal model inhibiting intestinal microorganisms (ABX) and an animal model suppressing intestinal microorganisms accompanying atopic dermatitis (ABX+DNCB).
  • Figures 2 to 4 show the body weight of the normal group, the ABX group, the DNCB group, the ABX + DNCB group, and the yeon-kyo administration group (ABX + DNCB + yeon-kyo), the peony administration group (ABX + DNCB + peony), and the gardenia administration group (ABX + DNCB + Gardenia) And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dietary intake.
  • 5 to 10 are diagrams showing changes in blood and mucus levels in the feces of the normal group, the ABX group, the DNCB group, the ABX + DNCB group, the ABX + DNCB + Yeongyo group, the ABX + DNCB + Peony group, and the ABX + DNCB + Gardenia group. .
  • 11 to 16 are views showing changes in the length of the intestine in the normal group, the ABX group, the DNCB group, the ABX + DNCB group, the ABX + DNCB + Yeongyo group, the ABX + DNCB + peony group, and the ABX + DNCB + gardeniae group.
  • 17 is a diagram showing changes in the state of intestinal tissue in the normal group, the ABX group, the DNCB group, the ABX + DNCB group, the ABX + DNCB + Yeongyo group, the ABX + DNCB + peony group, and the ABX + DNCB + gardeniae group.
  • 18 is a diagram showing changes in intestinal microorganisms in the normal group, ABX group, DNCB group, ABX + DNCB group, ABX + DNCB + Yeongyo group, ABX + DNCB + peony group, and ABX + DNCB + gardeniae group.
  • 19 to 21 are diagrams showing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combined extracts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compared to the extracts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alone in terms of the growth rate of Lactobacillus Plantarum (skin beneficial bacteria).
  • 22 to 24 are diagrams showing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combined extracts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compared to the extracts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alone, as the growth rate of Lactobacillus Pentosus (skin beneficial bacteria).
  • 25 to 30 are normal group, ABX group, DNCB group, ABX + DNCB group, ABX + DNCB + Yeongyo group, ABX + DNCB + peony group, and ABX + DNCB + gardenia group skin tissue observation, back tissue thickness measurement, and It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CORAD).
  • 31 to 33 are views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number of immune-related cells in the normal group, the ABX group, the DNCB group, the ABX+DNCB group, the ABX+DNCB+Yeonkyo group, the ABX+DNCB+Peonyak group, and the ABX+DNCB+Gardenia group. .
  • 34 to 36 are diagrams showing the measurement results of immune-related cytokines in the normal group, the ABX group, the DNCB group, the ABX + DNCB group, the ABX + DNCB + Yeongyo group, the ABX + DNCB + Peony group, and the ABX + DNCB + Gardenia group. to be.
  • 3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ation of inflammatory mediating indicators and skin thickness in the normal group, ABX group, DNCB group, ABX+DNCB group, ABX+DNCB+Yeonkyo group, ABX+DNCB+Peonyak group, and ABX+DNCB+Gardenia group.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biotics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r a fraction thereof.
  • Formsythiae Fructus (Forsythia Fruit) is a medicine meaning the fruit or fruit of Forsythia, Forsythia spp . It may be deriv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aeoniae Radix (Peony Ro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inal material meaning the root of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Apiaceae family, Paeoniaceae spp. or Paeonia spp. It may be deriv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erm "Gardeniae Fructus (Gardenia Fr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inal material meaning a gardenia fruit, Gardenia spp. It may be deriv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nnual plant, peony, and gardenia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or harvested or cultivated in natur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rilla, peony, and gardenia, a diluted or concentrated solution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and the extract. It includes extracts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the extract itself and the extract, such as a crude product, a purified product, or a mixture thereof.
  • the extract is obtained by extracting Yeongyo, Peony, and Gardenia alone, mixing one or more single extracts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r extracting one or more mixtur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 its dilution or concentrate, dried products, crude products, purified products, mixtures thereof, etc. may all be included.
  • the annual extract, peony, gardenia,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extracted from various organs of natural, hybrid, and mutant plants, for example, roots, aerial parts, stems, leaves, flowers, fruit bodies, and fruit skins. However, it can be extracted from plant tissue culture.
  • the mixed extract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Yeongyo, Peony, and Gardenia at 0.5 to 1.5: 0.5 to 1.5: 0.5 to 1.5, 0.7 to 1.3: 0.7 to 1.3: 0.7 to 1.3: 0.7 to 1.3 , 0.7 to 1: 0.7 to 1: 1.1 to 10, 0.7 to 1: 1.1 to 10: 0.7 to 1, 1.1 to 10: 0.7 to 1: 0.7 to 1, 0.7 to 1: 0.7 to 1: 1.1 to 8, 0.7 to 1: 1.1 to 8: 0.7 to 1, 1.1 to 8: 0.7 to 1, 0.7 to 1: 0.7 to 1, 0.7 to 1: 0.7 to 1: 1.1 to 5, 0.7 to 1: 1.1 to 5: 0.7 to 1, 1.1 to 5 : 0.7 to 1, : 0.7 to 1: 0.7 to 1, 0.7 to 1: 0.7 to 1: 1.1 to 3, 0.7 to 1: 1.1 to 3: 0.7 to 1, 0.7 to 1: 0.7 to 1, 0.7 to 1
  • the mixed extract may have a higher weight ratio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ixed extract may have a higher weight ratio of peony compared to each of gardenia and yeongyo,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ixed extract may have a higher weight ratio of Yeongyo compared to each of Gardenia and Peon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ixed extract may have a higher weight ratio of gardenia compared to that of Yeongyo and Peon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ixed extract may have a higher weight ratio of each of Gardenia and Peony compared to that of Yeongyo,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ixed extract may have a higher weight ratio of each of gardenia and yeongyo compared to peon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ixed extract may have a higher weight ratio of Yeongyo and Peony compared to Gardeni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a mixture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with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mixed solvent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method for extracting the mix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xtract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method include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filtration method, a reflux extraction method, and the like, which may be perform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 the type of extraction solvent used to extract the mix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solvent may include wat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one or more, and specifically, water may be used.
  • alcohol is used as a solvent,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ay be specifically used.
  • fraction refers to a product obtained by performing fractionation in order to separate a specific component or a specific component group from a mixture containing various components.
  • a fractionation method for obtaining the f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fractionation method include a solvent fractionation method performed by treating various solvents, an ultrafiltration fractionation method performed by pas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and various chromatography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method that performs separation based on affinity), and a combination thereof.
  • a method of obtaining fractions from the extract by treating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the maple leav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redetermined solvent may be mentioned.
  • the type of fractionation solvent used to obtain the f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the fractionation solvent include polar solvents such as water and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non-polar solvents such as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or mixed solvents thereof.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one or mor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extract or fraction may be prepared and used in the form of a dry powder after ext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rebiotic or “Prebiotics” is used by microorganisms, including beneficial bacteria, to promote the growth or activity of microorganisms, thereby exhibiting beneficial effects on the health of the host. component can mean.
  • the prebiotic may be one that improves the intestinal microflora to exhibit a beneficial effect on the host's health, and reduces the level of blood in the stool, reduces the level of mucus, reduces the length of the intestine, and improves the intestinal microbiome by improving the intestinal tissue. It may be to improve the environ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mprovement of intestinal flora” may promote the growth or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e and inhibit the growth or growth of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e, and may mean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beneficial bacteria and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e.
  • intestinal beneficial bacteria may collectively refer to microorganisms that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human body while inhabiting the intestines.
  • intestinal beneficial bacteria may include probiotics.
  • the “probiotics” may refer to microorganisms that have a good effect on health in the body, Lachnospiraceae , Rikenellaceae, Prevotellaceae , Acetobacter family ( Acetobacteraceae ) , Lactobacillaceae ( Lactobacillaceae ) ) , Lactobacillus ( Lactobacillus ), Firmicutes ( Firmicutes ), Verruco Microbia ( Verrucomicrobia ), Bifidobacterium ( Bifidobacterium ), Akkermansia ( Akkermansia ), etc. may be exemplifi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robiotics may be Lactobacillus plantarum and/or Lactobacillus pentosu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intestinal harmful bacteria” may collectively refer to microorganisms that live in the intestine and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the human body , such as enteritis .
  • Erysipelotrichaceae ) Porphyromonasaceae ( Porphyromonadaceae ) , Bacteroides family ( Bacteroidaceae ) , Disulfo Vibrio family ( Desulfovibrionaceae ) , Pasteurella family ( Pasteurellaceae ) , Enterobacteriaceae ( Enterobacteriaceae ) Bacteroidetes ( Bacteroidetes ), Escherichia coli ( Escherichia coli ), Clostridium ( Clostridium ), Staphylococcus ( Staphylococcus ) and the like may be exemplifi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rebiotics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and the extract is included in 0.001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prebiotics composition.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function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the prebiotics are as described in other aspects.
  • improved intestinal function refers to any change in the state that improves or normalize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intestine, improves the intestinal flora, promotes the proliferation or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e, suppresses the proliferation or growth of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e, balances beneficial and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e It may contain any one or more of oils and fats.
  • Food-wise acceptable sal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ful acid addition salts formed from food-acceptable free acids or metal salts formed from bases.
  • inorganic acids and organic acids may be used as free acids.
  •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hydrobromic acid, sulfurous acid, or phosphoric acid may be used as the inorganic acid
  • citric acid, acet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gluconic acid, methanesulfonic acid,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organic acid.
  • an alkali metal salt or an alkaline earth metal salt,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 may be used as the metal sal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s such as pills, powders, granules, precipitates, tablets, capsules or liquids, and the food to which the composition can be added includes, for example, various foods, such as beverages, There are chewing gum, tea,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 ingredien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containing the prebio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ssential ingredient,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other ingredients, and, like conventional foods, various herbal extracts, food additives, or natural carbohydrates etc. can be contained as an additional component.
  •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improvement or therapeutic treatment).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include 0.00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001% to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food auxiliary additives may include food auxiliary additives common in the art, for example, flavoring agents,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fillers, stabilizers, and the like.
  • natural carbohydrates exampl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s, cyclodextrins, and the like,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s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 synthetic flavors sacharin, aspartame, etc.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fill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may be contained.
  • it may contain fruit flesh for the manufacture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health supplement may include health functional food and health foo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and is a medicine processed to efficiently display bioregulatory functions in addition to nutritional supply, and has high medical effect. means food.
  • “function (sex)” means to obtain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regulating nutrients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or physiological functions.
  • Food containing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during the preparation.
  • the formulation of the food may also be prepa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formulation is recognized as a foo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types of formulations, and unlike general drug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drugs for a long time by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and has excellent portability.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function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the prebiotics and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are as described in other aspects.
  • the term "feed composition”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one meal, etc., or a component of the one meal for animals to eat, ingest, and digest, or suitable therefor, and is well known in the art. It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shapes.
  • the type of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eed include vegetable feeds such as grains, root fruits, food processing by-products, algae, fibers, pharmaceutical by-products, oils and fats, starches, meal or grain by-products; Animal feed such as proteins, inorganic materials, oils, mineral oils, oils, single cell proteins, zooplankton, or food may b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animal is a concept including livestock and pets.
  •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inder, an emulsifier, a preservative, etc. added to prevent quality deterioration, and amino acids, vitamins, enzymes, probiotics, flavors, and non-protein nitrogen added to increase efficacy It may further include compounds, silicate agents, buffers, coloring agents, extractants, oligosaccharides, and the like, and may further include feed mixture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the prebiotics are a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 Atopic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AD) is a kind of autoimmune skin disease, and is a disease accompanied by swelling, eczema, and itching of the skin. It is known that both environmental factors and genetic factors are involved in the onset of atopy, but the exact pathogenesis has not been identified.
  • prevention refers to all activities that suppress or delay atopic dermatitis by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vity that improves or beneficially changes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by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issue As a result of administering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ntestinal microbial inhibition group, atopic dermatitis group, and intestinal microbial inhibition group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the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reducing thickness, reducing inflammation-mediated immune cells, and reducing inflammatory cytokines (FIGS. 25 to 37).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 carrier may include a non-naturally occurring carrier.
  • th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compositions may be formulat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intern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formulations, It can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transdermal absorbents, gels, lotions, ointments, creams, patches, cataplasmas, pastes, sprays, skin emulsions, skin suspensions, transdermal delivery patches, drug-containing bandages, or suppositories. .
  • Solid dosage form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 Such a solid preparation may be prepared by mixing at least one or more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may also be used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as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pap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may be used as a base for the suppository.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suspected of having atopic dermatiti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a step of administering to a subject suspected of having atopic dermatitis, excluding humans.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to a subject in an appropriate manner.
  • 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all ani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etc., including humans who have or may develop atopic dermatitis.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be mammals including human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dependent 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subject, age, sex, drug activity,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factors including sensitivity to the drug,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excretion rate, duration of treatment, drugs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may be administered at a dose of 0.01 to 500 mg/kg, specifically 10 to 100 mg/kg per day, wherein th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it can be single or multiple administration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the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ll the above factor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for example,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applied) depending on the desired method, and the dosage is dependent on the patient's condition, body weight, and disease.
  • parenterally for example,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applied
  • the dosage is dependent on the patient's condition, body weight, and disease.
  • drug form, administration route and time i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the prebiotics, atopic dermatitis, and prevention are a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 improvement refers to any activity that at least reduces the severity of a parameter, for example, a symptom, associated with a condition to be treated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quadsi-drugs refers to textiles, rubber products or similar products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mitigating,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of humans or animals, products that have weak effects on the human body or do not directly act on the human body, and devices or non-machines and similar items, products falling under one of the categories of agents used for sterilization, insecticidal, and similar purposes to prevent infection, which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reating, mitigating, treating, or preventing human or animal diseases It refers to items that are not instruments, machines, or devices, and items other than instruments, machines, or devices that are used for the purpose of pharmacologically affect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s or animals. Also includes supplies.
  • the prebiotics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biotics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o a quasi-drug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improving atopy, the prebiotics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quasi-drug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have.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quasi-drug composition include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external skin preparations, disinfectant cleaners, shower foams, wet tissues, detergent soaps, hand washes, masks or ointments.
  • the skin external prepara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specifically prepared and used in the form of ointments, lotions, sprays, patches, creams, powders, suspensions, gels or gels.
  • the personal hygiene produ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specifically soap, wet tissue, tissue paper, shampoo, toothpaste, hair care product, air freshener gel, or cleaning gel.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 prebiotics atopic dermatitis, prevention, improvement, food composition, etc. are a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r a fraction thereof, for improving intestinal function.
  • the extract, fraction,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etc. are a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 the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mprovement of intestinal flora.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intestinal func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rebiotics composition to a subject.
  • the prebiotics, intestinal function improvement, subject, administration, etc. are a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r a fraction thereof, for use in preventing or improving atopy.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or a fraction thereof,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y.
  • the extract, fraction, atopy, prevention, improvement, treatment, etc. are a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 Preparation Example Preparation and administration method of Yeongyo, peony, gardenia, and combinations thereof
  • Yeongyo, Peony, and Gardenia were purchased from Hanpoong Pharmaceutical Co. (Jeonju, Korea), and Yeongyo, Peony, Gardenia, and their combinations were each subjected to hot water extraction. Thereafter, all solvents were removed using a vacuum concentrator and freeze-dried to prepare an extract powder. The obtained powder was dissolved in drinking water at 200 mg/kg and then orally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 Example 1 Establishment of an animal model for inhibiting intestinal microorganisms (ABX) and an animal model for inhibiting intestinal microorganisms (ABX + DNCB)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 ABX model In order to establish an animal model (ABX model) for inhibiting intestinal microbes, ampicillin, metronidazole, vancomycin, and neo Four types of antibiotics containing neomycin sulfate were mixed and fed for 7 days, and then fed with plain water every 3 days. Four types of antibiotics were induced to suppress intestinal microorganisms by self-supplying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for 4 weeks.
  • ABX+DNCB model In order to establish an animal model (ABX+DNCB model) that inhibits intestinal microbes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antibiotics and water are fed as in the above-described ABX model construction method, while the back skin of the mouse is shaved and a 1 ⁇ 1 cm patch is applied.
  • Atopic dermatitis (AD) was induced by applying 100 ⁇ l of 2% DNCB (2,4-dinitrochlorobenzene) using
  • FIG. 1 feeding and application methods for constructing an animal model inhibiting intestinal microorganisms (ABX model) and an animal model inhibiting intestinal microorganisms accompanying atopic dermatitis (ABX + DNCB model) are shown in FIG. 1 .
  • Yeongyo, Peony, and Gardenia dissolved in drinking water, were orally administered daily at the same time for 2 weeks to a group (ABX+DNCB) with atopic dermatitis inhibiting intestinal microbes (ABX+DNCB+Yeonkyo, ABX+DNCB+ Peony, ABX+DNCB+Gardenia).
  • Example 3-1 Confirmation of bloody stool levels and condition improvement in the intestines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 the normal group (Normal),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BX),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ABX+DNCB), the group administered with Yeongyo, Peony, or Gardenia (ABX+DNCB+Yeonkyo, ABX+DNCB+ Peony, ABX+DNCB+Gardenia) were collected, and a Hemoccult kit was used to visually check the inflammation or blood level of the stool sample. At this time, when 2 drops of the Hemoccult kit solution were added to the stool sample, as the degree of blue color increased, the degree of inflammation or bloody stool was severe. In addition, stool consistency was used by more than 3 people to score the degree of viscosity and blood confirmation of mouse stool.
  • Example 3-2 Confirmation of the effect of reducing intestinal length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 the normal group (Normal),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BX),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ABX+DNCB), the group administered with Yeongyo, peony, or gardenia extract (ABX+DNCB+Yeonkyo, ABX+ DNCB + peony, ABX + DNCB + gardenia),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separated intestine was measured.
  • Example 3-3 Confirmation of intestinal tissue improvement effect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 the normal group (Normal), the intestinal microbiome suppression group (ABX), the intestinal microbiome suppression group with atopic dermatitis (ABX+DNCB), the group administered with Yeongyo, Peony, or Gardenia (ABX+ Part of the intestinal tissue was separated from DNCB+Yeonkyo, ABX+DNCB+Peonyak, ABX+DNCB+Gardenia),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PFA), and paraffin (Paraplast High Melt, Surgipath, Leica, Biosystem, The Netherlands). Paraffin sections were prepared using
  • Example 3-4 Confirmation of effect of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beneficial bacteria and reducing the proportion of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e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 the normal group (Normal),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BX),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ABX+DNCB),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Yeongyo, Peony, or Gardenia (ABX+DNCB+Yeonkyo, ABX+ Changes i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were observed through 16s rRNA metagenome sequencing in feces collected from DNCB+Peonyia, ABX+DNCB+Gardenia).
  • Yeongyo, Peony, and Gardenia reduced the number of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e that had been increased by inhibiting the microorganisms in the intestine, increased the number of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e, and restored the flora to a level similar to normal.
  • the intestinal microbial changes were examined more closely.
  • the beneficial bacteria Lactobacillus pentos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Yeongyo, Peony, Gardenia and combinations thereof to observe the number of beneficial bacteria, which was displayed by measuring the OD value at 600 nm.
  • Lactobacilli MRS broth (Difco, Franklin Lakes, NJ, USA) medium was used for the species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it was used as a seed culture medium for the main culture after culturing at 30 ° C. and 200 rpm until the stationary phase.
  • OD values for Lactobacillus plantarum are shown in FIGS. 19 to 21 as values for Yeongyo, Peony, and Gardenia mixed extracts (90 ⁇ g/ml) and contrast Yeongyo, Peony, and Gardenia extracts alone (45 ⁇ g/ml).
  • OD values for Lactobacillus pentosus are shown in Figures 22 to 24 as values for Yeongyo, Peony, and Gardenia mixed extract (90 ⁇ g/ml) and Yeongyo, Peony, and Gardenia extract alone (45 ⁇ g/ml)
  • Example 5 Confirmation of the atopic improvement effect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prebiotics
  • Example 5-1 Confirmation of Tissue Thickness Reduction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Prebiotics
  • the thickness of the back tissue also increases.
  • atopic improvement effect of prebiotics including Yeongyo, Peony, and Gardenia
  • the sensory evaluation method was scored by observing atopic dermatitis symptoms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such as skin psoriasis/erythema/edema/bleeding, and scored by averaging the scores of 3 or more people for objectivity.
  • the normal group (Normal),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BX), the atopic dermatitis group (DNCB),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ABX+DNCB),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Yeongyo, Peony, or Gardenia ( ABX + DNCB + Yeongyo, ABX + DNCB + Peony, ABX + DNCB + Gardenia) were shaved and visually observed, and some of their back tissues were separated and stored in 4% formaldehyde, using paraffin tissue section samples prepared The back tissue thickness was measured.
  • the back tissue of the atopic dermatitis group was thick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Normal) and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BX).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k tissue was thicker.
  • ABX + DNCB + Yeongyo, ABX + DNCB + Peony, ABX + DNCB + Gardenia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back tissue decreas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FIGS. 25 to 30) .
  • prebiotics including Yeongyo, Peony, and Gardenia had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creased tissue thickness due to atopy.
  • Example 5-2 Confirmation of inflammation-mediated immune cell reduction effect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probiotics
  • the normal group (Normal),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BX), the atopic dermatitis group (DNCB),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ABX+DNCB),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Yeongyo, Peony, or Gardenia ( ABX + DNCB + Yeongyo, ABX + DNCB + Peony, ABX + DNCB + Gardenia), whole blood samples from mice were collected from the heart and stored in a Vacutainer TM tube containing EDTA (BD science, NJ, USA).
  • ABX + DNCB + Yeongyo, ABX + DNCB + Peony, ABX + DNCB + Gardenia whole blood samples from mice were collected from the heart and stored in a Vacutainer TM tube containing EDTA (BD science, NJ, USA).
  • the number of each of the following 6 types of immune cells was analyzed using a HEMAVET 950 hemocytometer (Drew Scientific, Inc., Oxford, USA): WBC, lymphocytes, monocytes ( monocytes), eosinophils, basophils or neutrophils.
  • the number of 6 types of immune cells in the atopic dermatitis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Normal) and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BX). +DNCB) was confirmed to further increase the number of 6 types of immune cells.
  • DNCB + Yeongyo, ABX + DNCB + Peony, ABX + DNCB + Gardenia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immune cells decreas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FIGS. 31 to 33) .
  • prebiotics including Yeongyo, Peony, and Gardenia had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immune cells increased due to atopy.
  • Example 5-3 Confirm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reduction effects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prebiotics
  • atopy is the expression of high levels of IgE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blood. Accordingly, in order to confirm the atopic improvement effect of prebiotics including Yeongyo, Peony, and Gardenia, the levels of inflammatory mediating cytokines (IgE, IL-12, TNF- ⁇ , IL-6) were analyzed.
  • the normal group (Normal),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BX), the atopic dermatitis group (DNCB),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ABX+DNCB),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Yeongyo, Peony, or Gardenia ( ABX + DNCB + Yeongyo, ABX + DNCB + Peony, ABX + DNCB + Gardenia) targeting blood, and analyzing the expression level through sandwich ELISA using BD PharMingen mouse or human ELISA set (Pharmingen, San Diego, CA, USA) did The plate was coated with a capture antibody contained in an ELISA coating buffer (Sigma, Louis, MO, USA) and stored at 4° C.
  • ELISA coating buffer Sigma, Louis, MO, USA
  • TMB tetramethylbenzidine
  • the level of inflammatory mediating cytokines (IgE, IL-6, IL-12, and TNF- ⁇ ) increased in the atopic dermatitis group (DNCB)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nd the intestinal microbiome suppression group (ABX).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ABX+DNCB) increased to a level similar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atopic dermatitis group (DNCB).
  • prebiotics including Yeongyo, Peony, and Gardenia had an effect of reducing the level of inflammatory mediating cytokines increased due to atopy.
  • Example 5-4 Confirmation of atopic dermatitis alleviating effects of Yeongyo, Peony, and Gardenia prebiotics
  • inflammatory cells In order to confirm the atopic improvement effect of prebiotics including Yeongyo, Peony, and Gardenia, inflammatory cells, mast cells, TSLP, and skin epidermal thickness, which are inflammatory mediating indicators, were measured.
  • inflammatory cells stained through H&E staining in tissues such as paraffin tissue sections were observed, mast cells stained through Toluidun blue staining, and TSLP stained through TSLP staining. Skin epidermal thickness was measured from tissue staining photographs.
  • inflammatory cells, mast cells, and TSLP were observed at higher levels in the atopic dermatitis group (DNCB)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Normal) and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BX), and th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also increased.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kin was observed to result in cell proliferation for skin regeneration. In addition, in the intestinal microbial suppression group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ABX+DNCB), it was confirmed that inflammatory cells, mast cells, TSLP, and skin thickness all increased in the atopic dermatitis group (DNCB).
  • Yeongyo, Peony, and Gardenia are effective as prebiotics for improving the microbial environment in the intestine, and the prebiotics containing Yeongyo, Peony, and Gardeni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nd treat atopic dermatitis. confirmed that it ca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및 식품 조성물,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장 기능 개선 용도, 방법, 아토피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교, 작약, 및 치자 추출물의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및 식품 조성물,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장 기능 개선 용도, 방법, 아토피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장내 균 총의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로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영양소와 장벽 부착 부위에 관한 경쟁을 통해 유해균의 생장을 저해하고, 면역활성화 작용, 유당불내증의 경감 등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유익한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프로바이오틱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식 및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요 성분인 프리바이오틱스에 대한 연구도 지속되어 왔다. 프리바이오틱스의 대표적인 예로서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s, FOS)이 알려져 있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에 과당분자가 β-1, 2로 결합한 형태의 올리고당으로서,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아에 의해 발효가 가능하기 때문에, FOS를 섭취하면 비피도박테리움과 락토바실러스 종들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내 FOS의 대사가 가능한 유해균 및 프로바이오틱이 아닌 균주(non-probiotics)에 의해 역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알려져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증식 및 유지시킬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식물을 이용한 것으로서 포도씨 분말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가 연구되었으나(한국등록특허 제10-1973514호),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프리바이오틱스는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효과적인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발굴하고,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이 아토피 피부염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장 기능 개선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 기능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아토피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 증식 촉진 및 장내 유해균 억제를 통해 장 건강을 도모하고 아토피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장내 미생물 억제 동물 모델(ABX) 및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내 미생물 억제 동물모델(ABX+DNCB)을 구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정상군, ABX군, DNCB군, ABX+DNCB군, 및 연교 투여군(ABX+DNCB+연교), 작약 투여군(ABX+DNCB+작약), 및 치자 투여군(ABX+DNCB+치자)의 몸무게 및 식이량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정상군, ABX군, DNCB군, ABX+DNCB군, ABX+DNCB+연교군, ABX+DNCB+작약군, 및 ABX+DNCB+치자군의 대변에서 혈액 및 점액질 수준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정상군, ABX군, DNCB군, ABX+DNCB군, ABX+DNCB+연교군, ABX+DNCB+작약군, 및 ABX+DNCB+치자군의 장 길이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정상군, ABX군, DNCB군, ABX+DNCB군, ABX+DNCB+연교군, ABX+DNCB+작약군, 및 ABX+DNCB+치자군의 장 조직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정상군, ABX군, DNCB군, ABX+DNCB군, ABX+DNCB+연교군, ABX+DNCB+작약군, 및 ABX+DNCB+치자군의 장 내 미생물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연교, 작약, 및 치자 단독 추출물 대비 연교, 작약, 및 치자 혼합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Lactobacillus Plantarum(피부 유익균) 성장 증가율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연교, 작약, 및 치자 단독 추출물 대비 연교, 작약, 및 치자 혼합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Lactobacillus Pentosus(피부 유익균) 성장 증가율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 내지 도 30는 정상군, ABX군, DNCB군, ABX+DNCB군, ABX+DNCB+연교군, ABX+DNCB+작약군, 및 ABX+DNCB+치자군의 피부 조직을 관찰, 등 조직 두께 측정, 및 관능평가(SCORAD)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1 내지 도 33은 정상군, ABX군, DNCB군, ABX+DNCB군, ABX+DNCB+연교군, ABX+DNCB+작약군, 및 ABX+DNCB+치자군의 면역 관련 세포 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4 내지 도 36은 정상군, ABX군, DNCB군, ABX+DNCB군, 및 ABX+DNCB+연교군, ABX+DNCB+작약군, 및 ABX+DNCB+치자군의 면역 관련 사이토카인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7은 정상군, ABX군, DNCB군, ABX+DNCB군, ABX+DNCB+연교군, ABX+DNCB+작약군, 및 ABX+DNCB+치자군의 염증 매개 지표 및 피부 두께 관찰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한 일 양태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공통된 사항에 대하여 다른 양태의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더불어,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연교, 작약, 및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연교(Forsythiae Fructus, Forsythia Fruit)"는 개나리의 과실 또는 열매를 의미하는 약재로서, Forsythia spp. 유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작약(Paeoniae Radix, Peony Root)"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뿌리를 의미하는 약재로서, Paeoniaceae spp. 또는 Paeonia spp. 유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치자(Gardeniae Fructus, Gardenia Fruit)"는 치자나무 열매를 의미하는 약재로서, Gardenia spp. 유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교, 작약, 및 치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이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연교, 작약, 및 치자를 단독으로 추출하거나, 연교, 작약, 및 치자의 단독 추출물 하나 이상을 혼합하거나,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추출한 것, 이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건조물, 조정제물, 정제물, 이들의 혼합물 등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교, 작약, 치자, 또는 이들의 조합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연교, 작약, 및 치자의 혼합 추출물은 연교, 작약, 및 치자를 0.5 내지 1.5 : 0.5 내지 1.5 : 0.5 내지 1.5, 0.7 내지 1.3 : 0.7 내지 1.3 : 0.7 내지 1.3 : 0.7 내지 1.3, 0.7 내지 1: 0.7 내지 1: 1.1 내지 10, 0.7 내지 1: 1.1 내지 10 : 0.7 내지 1, 1.1 내지 10: 0.7 내지 1 : 0.7 내지 1, 0.7 내지 1: 0.7 내지 1: 1.1 내지 8, 0.7 내지 1: 1.1 내지 8 : 0.7 내지 1, 1.1 내지 8 : 0.7 내지 1 : 0.7 내지 1, 0.7 내지 1: 0.7 내지 1: 1.1 내지 5, 0.7 내지 1: 1.1 내지 5 : 0.7 내지 1, 1.1 내지 5 : 0.7 내지 1: 0.7 내지 1, 0.7 내지 1: 0.7 내지 1: 1.1 내지 3, 0.7 내지 1: 1.1 내지 3 : 0.7 내지 1, 1.1 내지 3 : 0.7 내지 1: 0.7 내지 1, 0.7 내지 1: 0.7 내지 1: 1.1 내지 2, 0.7 내지 1: 1.1 내지 2 : 0.7 내지 1, 1.1 내지 2 : 0.7 내지 1: 0.7 내지 1, 1 : 1 : 1, 2 : 1 : 1, 1 : 2 : 1, 또는 1 :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중량비가 더 높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치자 및 연교 각각에 대비하여 작약의 중량비가 더 높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치자 및 작약 각각에 대비하여 연교의 중량비가 더 높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연교 및 작약 각각에 대비하여 치자의 중량비가 더 높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연교에 대비하여 치자 및 작약 각각의 중량비가 더 높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작약에 대비하여 치자 및 연교 각각의 중량비가 더 높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치자에 대비하여 연교 및 작약 각각의 중량비가 더 높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연교, 작약, 및 치자의 혼합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연교, 작약, 및 치자의 혼합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프리바이오틱(Prebiotic)" 또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는 유익균을 포함하는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미생물의 생육이나 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숙주의 건강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은 숙주의 건강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도록,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으며, 혈변 수치 감소, 점액질 수준 감소, 장 길이 연장 감소, 및 장 조직 개선으로 장 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장내 균총 개선"은 장내 유익균의 증식 또는 생장은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증식 또는 생장은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며, 장내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장내 유익균"은 장내에 서식하고 있으면서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미치는 미생물을 총칭할 수 있다. 예컨대, 장내 유익균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체내에서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을 의미할 수 있는데, 라크노피라과(Lachnospiraceae), 리케넬라과(Rikenellaceae, 프레보텔라과(Prevotellaceae), 아세토박터과(Acetobacteraceae), 락토바실러스과(Lactobacillaceae),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피르미쿠테스(Firmicutes), 베루코마이크로비아(Verrucomicrobia),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아커만시아(Akkermansia)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 예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수스(Lactobacillus pentosu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장내 유해균"은 장내에서 서식하고 있으면서 장염 등과 같이 인체에 해로운 효과를 미치는 미생물을 총칭할 수 있으며, 클로스트리디움과 1(Clostridiaceae 1), 루미노코카세과(Ruminococcaceae), 에리시펠로트릭스과(Erysipelotrichaceae), 포르피로모나스과(Porphyromonadaceae), 박테로이데스과(Bacteroidaceae), 디설포비브리오과(Desulfovibrionaceae), 파스테우렐라과(Pasteurellaceae), 엔테로박테리아과(Enterobacteriaceae)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 대장균(Escherichia coli),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을 총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의 중량 대비 0.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장 내 미생물 억제군에 본 발명의 연교, 작약, 및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혈변 수치 감소, 점액질 수준 감소, 장 길이 연장 감소, 장 조직 개선, 장 내 유익균 증가, 및 유해균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도 18).
이는 본 발명의 연교, 작약, 및 치자 또는 이들의 조합 추출물이 장 내 균총 및 장 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시킴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는 다른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장 기능 개선"은 장의 전반적인 기능을 향상 또는 정상화하는 모든 상태 변화를 의미하며, 장내 균총 개선, 장내 유익균 증식 또는 생장 촉진, 장내 유해균의 증식 또는 생장 억제, 장내 유익균 및 유해균의 균형 유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유용하다. 하나의 예로,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푸마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는 성분으로는, 필수 성분으로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생약 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보조 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 보조 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 기능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및 장 기능 개선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 조성물"은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당업계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동물이란 가축 및 애완동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효용 증대를 위하여 첨가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생균제, 향미제, 비단백태 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착색제, 추출제, 올리고당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사료 혼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는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AD)은 자가면역 피부질환의 일종으로서, 피부의 부스럼, 습진, 간지러움을 동반하는 질병이다. 상기 아토피의 발병에는 환경적 요인 및 유전학적 요인 모두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발병기전은 규명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아토피 피부염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아토피 피부염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일 예로, 장 내 미생물 억제군, 아토피 피부염군,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에 본 발명의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조직 두께 감소, 염증 매개 면역세포 감소, 염증 사이토카인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5 내지 도 37).
이는 연교, 작약, 치자, 및 이의 혼합 추출물이 아토피를 현저히 개선시킴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경피흡수제, 겔제, 로션제, 연고제, 크림제, 첩부제, 카타플라스마제, 페이스트제, 스프레이, 피부 유화액, 피부 현탁액, 경피 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또는 좌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아토피 피부염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제외한 아토피 피부염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아토피 피부염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1일 0.01 내지 500 mg/kg으로,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아토피 피부염, 및 예방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피부 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아토피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피부외용제, 소독청결제, 샤워폼,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마스크 또는 연고제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비누, 물티슈, 휴지, 샴푸, 치약,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 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아토피 피부염, 에방, 개선, 식품 조성물 등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장 기능 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 분획물, 장 기능 개선 등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장 기능 개선은 장내 균총 개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 기능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장 기능 개선, 개체, 투여 등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 분획물, 아토피, 예방, 개선, 치료 등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연교, 작약, 치자, 및 이들의 조합의 제조 및 투여방법
연교, 작약, 및 치자는 한풍제약(Hanpoong Pharmaceutical Co., 전주, 한국)에서 구입하여, 연교, 작약, 치자, 및 이들의 조합을 각각 열수 추출 하였다. 이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하고 동결 건조하여 추출 분말을 제조하였다. 수득한 상기 분말은 200mg/kg로 음수에 녹인 후, 동물모델에 경구 투여하였다.
실시예 1: 장 내 미생물 억제 동물모델(ABX) 및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 동물 모델(ABX+DNCB) 구축
장 내 미생물 억제 동물모델(ABX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마우스를 대상으로 3% 수크로스 및 1% 글루코스를 용해시킨 식음수에 암피실린(ampicillin),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반코마이신(vancomycin), 및 네오마이신 설페이트(neomycin sulfate)를 포함하는 항생제 4종을 혼합하여 7일씩 급여한 후 3일씩 일반 물로 바꾸어 급여하였다. 항생제 4종은 4주동안 점차적으로 농도를 높이면서 자율 급수 방법으로 장 내 미생물을 억제하도록 유도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 동물 모델(ABX+DNCB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전술한 ABX 모델 구축 방식과 마찬가지로 항생제 및 물을 급여함과 동시에, 마우스의 등 피부를 면도하고 1Х1 cm의 패취를 이용하여 100 ㎕의 2% DNCB(2,4-dinitrochlorobenzene)를 도포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AD)을 유도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 내 미생물 억제 동물모델(ABX 모델) 및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 동물 모델(ABX+DNCB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급여 및 도포 방식을 도식화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연교, 작약, 및 치자의 독성 평가
연교, 작약, 및 치자의 섭취로 인한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전술한 제조예의 연교, 작약, 및 치자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 및 식이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에 식음수에 용해시킨 연교, 작약, 및 치자를 2주동안 동일한 시간에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
그 결과, 체중 및 식이 변화는 적정 오차 범위 내에서 약간의 차이만 있었으므로, 연교, 작약, 및 치자의 유의미한 독성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2 내지 도 4).
실시예 3: 연교, 작약, 및 치자 단독 추출물의 프리바이오틱스 효과 확인
실시예 3-1: 연교, 작약, 및 치자의 장 내 혈변 수치 및 상태 개선 확인
연교, 작약, 및 치자의 프리바이오틱스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장 내 혈변 수치 및 상태 개선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군(Normal),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 연교, 작약, 또는 치자 투여군(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의 대변을 채취하여, 대변 샘플의 염증 또는 혈액 수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Hemoccult kit를 사용하였다. 이 때, Hemoccult kit 용액을 상기 대변 샘플에 2방울 떨어뜨렸을 때에 파란색으로 변하는 정도가 증가할 수록 염증이나 혈변의 정도가 심한 것이며, 이를 객관화하기 위해 3인 이상 이를 점수화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3인 이상이 마우스 대변의 점도 및 혈액 확인 정도를 점수화하는 stool consistency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혈액과 점액질이 확인된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의 대변보다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의 대변에서 혈액과 점액질 수준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을 대상으로 연교, 작약, 또는 치자를 경구 투여한 결과(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 혈액 및 점액질 수준이 현저히 감소하여 장 내 미생물의 환경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도 10).
이에, 장 내 미생물 억제에 의해 증가된 대변 내 혈액 및 점액질 수준을 연교, 작약, 및 치자가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연교, 작약, 및 치자의 장 길이 연장 감소 효과 확인
장 내 미생물이 억제될 경우 장 세포의 기능 저하로 장의 길이가 연장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연교, 작약, 및 치자의 프리바이오틱스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장 길이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군(Normal),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 연교, 작약, 또는 치자 추출물 투여군(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으로부터 각각 분리된 장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Normal)에 비해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및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에서 모
두 장의 길이가 연장된 반면, 연교, 작약, 및 치자 추출물(이하, '추출물' 생략할 수 있다)을 투여하였을 때(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장의 길이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11 및 도 16).
이에, 장 내 미생물 억제에 의해 연장된 장 길이를 연교, 작약, 및 치자가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3: 연교, 작약, 및 치자의 장 조직 개선 효과 확인
연교, 작약, 및 치자의 프리바이오틱스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장 조직의 개선 여부를 확인하였다.
장의 형태 및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정상군(Normal),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 연교, 작약, 또는 치자 투여군(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으로부터 장 조직의 일부를 분리하여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PFA)로 고정한 후, 파라핀(Paraplast High Melt, Surgipath, Leica, Biosystem, The Netherlands)을 이용하여 파라핀 절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장 샘플을 대상으로, 조직학적 염색인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과 함께 ZO-1 항체를 이용한 immunofluorescence 염색 및 Occludin 항체를 이용한 immunofluorescence 염색을 수행하였다. ZO-1 및 Occludin은 장 세포간 밀착 접합(tight junction)을 구성하는 단백질이므로, 밀착 접합 붕괴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Normal)에 비해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및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에서 모두 장 내 미생물의 억제가 장 조직 내 융모(vilus) 및 샘(crypt)의 형태를 붕괴시키고 장 세포간 밀착 접합(tight junction)이 억제된 반면,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투여하였을 때(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에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융모 및 샘의 형태가 회복됨을 확인하였다(도 17).
이에, 장 내 미생물 억제에 의해 저하되었던 장 조직의 기능을 연교, 작약, 및 치자가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4: 연교, 작약, 및 치자 의 장 내의 유익균 비율 증가 및 유해균 비율 감소 효과 확인
연교, 작약, 및 치자의 프리바이오틱스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장 내 미생물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군(Normal),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 및 연교, 작약, 또는 치자 투여군(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에서 채취한 대변을 대상으로 16s rRNA metagenome sequencing을 통해 미생물 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미생물 수는 유익균(Lactobaciilacea, Lachnospiraceae, Rikenellaceae, Prevotellaceae, Acetobacteraceae) 및 유해균(Clostridiaceae 1, Ruminococcaceae, Erysipelotrichaceae, Porphyromonadaceae, Bacteroidaceae, Desulfovibrionaceae, Pasteurellaceae, Enterobacteriaceae)을 모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Normal)에 비해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및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에서 모두 전체적인 미생물의 수치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에서 염증과 관련된 미생물인 유해균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투여하였을 때(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미생물 균총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8).
이에, 연교, 작약, 및 치자가 장 내 미생물 억제에 의해 증가되었던 장 내 유해균의 수를 감소시키고, 감소되었던 장 내 유익균의 수를 증가시키며, 정상과 유사한 수준의 균총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연교, 작약, 및 치자 조합의 프리바이오틱스 시너지 효과 확인
연교, 작약, 및 치자 조합의 프리바이오틱스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장 내 미생물 변화를 보다 면밀하게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교, 작약, 치자, 및 이들의 조합을 유익균(Lactobacillus pentosus Lactobacillus plantarum)에 처리하여 상기 유익균의 수를 관찰하였고, 이는 600nm에서 OD 값을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유산균의 종 배양은 Lactobacilli MRS broth (Difco, Franklin Lakes, NJ, USA)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0℃, 200rpm 조건에서 정지기까지 배양 후 본배양을 위한 종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연교, 작약 및 치자를 최소배지 (peptone 1%, sodium chloride 1%)에 첨가하여 Autoclave로 멸균한 후 Lactobacillus pentosusLactobacillus plantarum의 종배양액이 생육곡선의 정지기에 도달한 유산균 배양액을 1% 접종하여 30℃, 200rpm의 조건에서 배양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OD값을 측정하여 생육도를 확인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에 대한 OD 값은, 연교, 작약, 및 치자 혼합 추출물(90 ㎍/ml) 및 대비 연교, 작약, 및 치자 단독 추출물(45 ㎍/ml)에 대한 값으로 도 19 내지 도 21에 각각 나타내었다(FPG=연교:작약:치자=1:1:1, FPG1=연교:작약:치자=2:1:1, FPG2=연교:작약:치자=1:2:1, 및 FPG3=연교:작약:치자=1:1:2 비율).
또한, 하기 표 1과 같이, 연교, 작약, 및 치자 각각은 45 ㎍/ml와 90 ㎍/ml에서 유사한 수준의 OD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0h 4h 10h 13h 16h 20h 23h
연교 45ug/ml 0.0775 0.1095 0.2807 0.3331 0.3612 0.3899 0.3899
연교 90ug/ml 0.1056 0.1123 0.2610 0.2845 0.3452 0.3572 0.4031
작약45ug/ml 0.0886 0.1542 0.3430 0.3875 0.4352 0.4605 0.4438
작약90ug/ml 0.1173 0.1552 0.3723 0.4046 0.4539 0.4517 0.4441
치자45ug/ml 0.0461 0.1394 0.2790 0.3247 0.3856 0.4540 0.4909
치자90ug/ml 0.0430 0.1518 0.3193 0.4029 0.4539 0.4890 0.5071
Lactobacillus pentosus에 대한 OD 값은, 연교, 작약, 및 치자 혼합 추출물(90 ㎍/ml) 및 연교, 작약, 및 치자 단독 추출물(45 ㎍/ml)에 대한 값으로 도 22 내지 도 24에 각각 나타내었다(FPG=연교:작약:치자=1:1:1, FPG1=연교:작약:치자=2:1:1, FPG2=연교:작약:치자=1:2:1, 및 FPG3=연교:작약:치자=1:1:2 비율).
또한, 하기 표 2와 같이 연교, 작약, 및 치자 각각은 45 ㎍/ml와 90 ㎍/ml에서 유사한 수준의 OD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0h 4h 10h 13h 16h 20h 23h
연교 45ug/ml 0.1055 0.1399 0.2804 0.3362 0.3447 0.3534 0.3692
연교 90ug/ml 0.1258 0.1570 0.3192 0.3446 0.3712 0.4365 0.4437
작약45ug/ml 0.0626 0.1546 0.3454 0.3914 0.4407 0.4600 0.4756
작약90ug/ml 0.1128 0.2306 0.3904 0.4425 0.4475 0.5086 0.4866
치자45ug/ml 0.0460 0.1350 0.2858 0.3444 0.3893 0.4604 0.4775
치자90ug/ml 0.0564 0.1454 0.3226 0.3829 0.4174 0.4759 0.4995
이에, 연교, 작약, 및 치자의 조합은 연교, 작약, 및 치자 단독에 비해서도 프리바이오틱스로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교, 작약, 및 치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함량이 더 높은 경우의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연교, 작약, 및 치자 프리바이오틱스의 아토피 개선 효과 확인
실시예 5-1: 연교, 작약, 및 치자 프리바이오틱스의 조직 두께 감소 확인
아토피가 있다면 등 조직의 두께도 증가되므로,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등 조직 두께를 측정하고, 관능평가 법(SCORAD)을 수행하였다. 관능평가 법은 피부 건선/홍반/부종/출혈 등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관찰해 점수화한 것으로서, 객관성을 위해 3인 이상의 점수를 평균화 하여 점수화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군(Normal),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아토피 피부염군(DNCB),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 및 연교, 작약, 또는 치자 투여군(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의 등을 면도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이들의 등 조직을 일부 분리하여 4% 포름알데하이드에 보관한 후 제작한 파라핀 조직 절편 샘플을 이용하여 등 조직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Normal) 및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에 비해 아토피 피부염군(DNCB)의 등 조직이 두꺼웠으며,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에서의 등 조직이 더 두꺼운 것을 확인하였다.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투여하였을 때(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등 조직의 두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25 내지 도 30).
이에,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아토피로 인해 증가된 조직 두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2: 연교, 작약, 및 치자 프바이오틱스의 염증 매개 면역세포 감소 효과 확인
아토피 피부염에 의해 면역 세포가 과 발현되기 때문에,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면역세포 감소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군(Normal),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아토피 피부염군(DNCB),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 및 연교, 작약, 또는 치자 투여군(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에서 마우스의 전체 혈액 샘플을 심장에서 채혈하였고, EDTA(BD science, NJ, USA)가 포함된 Vacutainer TM 튜브에 넣어 보관하였다. 채혈 및 보관한 혈액 샘플을 대상으로, 다음 면역 세포 6종 각각의 개수를 HEMAVET 950 혈구계산기(Drew Scientific, Inc., Oxford,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WBC, 림프구(lymphocytes), 단핵백혈구(monocytes), 호산구(eosinophils), 호염구(basophils) 또는 호중구(neutrophils).
그 결과, 정상군(Normal) 및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에 비해 아토피 피부염군(DNCB)의 면역세포 6종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보다도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에서의 면역세포 6종의 수가 더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투여하였을 때(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면역세포 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31 내지 도 33).
이에,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아토피로 인해 증가된 면역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3: 연교, 작약, 및 치자 프리바이오틱스의 염증 사이토카인 감소 효과 확인
아토피의 특징 중 하나는 혈중 IgE 및 염증 사이토카인이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이다. 이에,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 (IgE, IL-12, TNF-α, IL-6) 수준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군(Normal),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 아토피 피부염군(DNCB),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 및 연교, 작약, 또는 치자 투여군(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에서 채취한 혈액을 대상으로, BD PharMingen mouse 또는 human ELISA set(Pharmingen, San Diego, CA, USA)를 이용한 샌드위치 ELISA를 통해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ELISA 코팅 버퍼(sigma, Louis, MO, USA)에 포함된 포획 항체(capture antibody)로 플레이트를 코팅하였고, 4℃에서 하루 동안 보관하였다. 플레이트를 0.05%의 PBS-Tween 20로 헹구었고, 이어서 1시간 동안 20℃에서 10% FBS가 포함된 PBS로 블로킹하였다. 희석 버퍼(10% FBS가 포함된 PBS)에 단계 희석한 표준 항원 또는 샘플을 플레이트에 넣고, 20℃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비오틴-접합 항-마우스 IgE 및 SAv-HRP(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를 플레이트에 넣고, 20℃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마지막으로, TMB(tetramethylbenzidine) 기질 용액을 플레이트에 넣고, 암조건에서 15분 동안 배양하였으며, 2N H2SO4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하였다. ELISA reader(Versa Max,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광학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Normal) 및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에 비해 아토피 피부염군(DNCB)에서의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IgE, IL-6, IL-12, 및 TNF-α)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에서 아토피 피부염군(DNCB)과 유사한 수준 또는 더 높은 수준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투여하였을 때(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IgE, IL-6, IL-12, 및 TNF-α)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34 내지 도 36).
이에,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아토피로 인해 증가된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의 수준은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4: 연교, 작약, 및 치자 프리바이오틱스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 확인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 매개 지표인 염증 세포, 비만 세포(mast cell), TSLP, 및 피부 표피 두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파라핀 조직 절편 등 조직 내 H&E 염색을 통해 염색된 염증세포를 관찰하였고, Toluidun blue 염색을 통해 염색된 비만세포를 관찰했으며, TSLP 염색을 통해 염색된 TSLP를 관찰하였다. 피부 표피 두께는 조직 염색사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Normal) 및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에 비해 아토피 피부염군(DNCB)에서의 염증 세포, 비만 세포(mast cell), 및 TSLP이 더욱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며, 피부 표피의 두께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피부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은 피부 재생을 위한 세포 증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장 내 미생물 억제군(ABX+DNCB)에서는 염증 세포, 비만 세포, TSLP, 피부 두께 모두 아토피 피부염군(DNCB)에서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투여하였을 때(ABX+DNCB+연교, ABX+DNCB+작약, ABX+DNCB+치자), 염증 세포, 비만 세포, TSLP, 피부 두께 모두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37).
이에,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아토피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결과로부터, 연교, 작약, 및 치자는 장 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시키는 프리바이오틱스로의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연교, 작약, 및 치자를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아토피 피부염도 개선 및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연교, 작약, 및 치자의 혼합 추출물인 것인,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인,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중량비가 더 높은 것인,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연교, 작약, 및 치자를 0.5 내지 1.5 : 0.5 내지 1.5 : 0.5 내지 1.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교, 작약, 및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총 조성물의 중량 대비 0.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장 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인,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해균은 클로스트리디움과 1(Clostridiaceae 1), 루미노코카세과(Ruminococcaceae), 에리시펠로트릭스과(Erysipelotrichaceae), 포르피로모나스과(Porphyromonadaceae), 박테로이데스과(Bacteroidaceae), 디설포비브리오과(Desulfovibrionaceae), 파스테우렐라과(Pasteurellaceae), 엔테로박테리아과(Enterobacteriacea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장내 유익균은 락토바실러스과(Lactobaciilacea), 라크노스피라과(Lachnospiraceae), 리케넬라과(Rikenellaceae), 프로보텔라과(Prevotellaceae), 아세토박터과(Acetobacteracea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장 기능 개선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 기능 개선은 장내 균총 개선을 포함하는 것인, 장 기능 개선 용도.
  16. 제1항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 기능 개선 방법.
  17.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 용도.
  18. 연교, 작약,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 용도.
  19. 제11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
PCT/KR2022/005530 2021-06-10 2022-04-18 연교, 작약, 및 치자 추출물의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용 조성물 WO202226026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527 2021-06-10
KR20210075527 2021-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266A1 true WO2022260266A1 (ko) 2022-12-15

Family

ID=8442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5530 WO2022260266A1 (ko) 2021-06-10 2022-04-18 연교, 작약, 및 치자 추출물의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67244A (ko)
WO (1) WO202226026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881A (ko) * 2009-02-02 2010-08-1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생약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042649A (ja) * 2009-07-24 2011-03-03 Rohto Pharmaceutical Co Ltd 漢方エキス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KR20120039280A (ko) * 2010-10-15 2012-04-25 이정복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6004A (ko) * 2012-06-06 2015-04-07 상하이 지아오통 유니버시티 장내 미생물 개체군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881A (ko) * 2009-02-02 2010-08-1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생약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042649A (ja) * 2009-07-24 2011-03-03 Rohto Pharmaceutical Co Ltd 漢方エキス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KR20120039280A (ko) * 2010-10-15 2012-04-25 이정복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6004A (ko) * 2012-06-06 2015-04-07 상하이 지아오통 유니버시티 장내 미생물 개체군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 JU YEONG: "Atopic dermatitis 'improved' by controlling intestinal microbes", MEDICAL NEWS, 18 June 2020 (2020-06-18), XP093014259,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954> [retrieved on 202301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244A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26002A1 (ko)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kbl693 균주 및 그 용도
WO2016060525A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0087577A2 (ko) 스페니쉬 오레가노 추출물, 여름세이보리 추출물 또는 카바크롤의 대사성 질환 치료를 위한 용도
WO2020116962A1 (ko) 작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55188A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WO2022260454A1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노화 방지용 조성물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48934A1 (ko) 체지방 감소용 신규 유산균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플란타룸 sko-001 및 이의 용도
WO2019059668A2 (ko)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WO2022260266A1 (ko) 연교, 작약, 및 치자 추출물의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용 조성물
WO201516724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3106777A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20013672A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jlp475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jlp243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117486A1 (ko)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1074765A2 (ko) 한약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298A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93613A2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39514A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WO2018106009A1 (ko) 단풍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04479A1 (ko) 포도잎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맥순환 장애 개선용 조성물
WO2022015033A1 (ko) 페디오코쿠스 이노피나투스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WO2021002642A1 (ko)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388A1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52653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5105373A1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203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