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20416A1 -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20416A1
WO2022220416A1 PCT/KR2022/003559 KR2022003559W WO2022220416A1 WO 2022220416 A1 WO2022220416 A1 WO 2022220416A1 KR 2022003559 W KR2022003559 W KR 2022003559W WO 2022220416 A1 WO2022220416 A1 WO 20222204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touch input
application processor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35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곽상헌
고봉준
유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2204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204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Definitions

  •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cesses touch input data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cesses touch input data may be provided.
  • the electronic device analyzes the touch input data using the touch sensor IC instead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so that the touch input data can be analyzed even when the application processor enters the sleep state.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can be reduced.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 FIG 7A illustrates an example of touch input dat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 the display module 260 may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eg,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
  • the display module 26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a display, a hologram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rresponding device.
  • the display module 260 may include a touch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touch or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a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 the connection terminal 278 may include a connector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
  • the connection terminal 278 may include, for example, an HDMI connector, a USB connector, an SD card connector, or an audio connector (eg, a headphone connector).
  • the haptic module 279 ma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 mechanical stimulus (eg, vibration or movement) or an electrical stimulus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rough tactile or kinesthetic sense.
  • the haptic module 279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se communication modules is a first network 298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a second network 299 (eg, legacy It may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through a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 a first network 298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 a second network 299 eg, legacy It may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through a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 a cellular network e.g, a 5G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or the server 208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network 299 .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e applied to an intelligent service (eg, smart home, smart city, smart car, or health care) based on 5G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oT-related technology.
  • the pressure sensor may acquire pressure information related to a touch input through a part o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310 .
  • the touch sensor 351 or the sensor module 276 may be disposed between pixels of the pixel layer of the display 310 , or above or below the pixel layer.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ma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based on the second touch input data. Details regarding operation 420 may similarly apply to operation 440 .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checks an average of pixel values included in a row and a column of pixel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 input data and the second touch input data, respectively, and a pixel for a row and colum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fter chec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s of the values,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maximum value of the difference is less than a specific value (eg, 15),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second touch input data indicates a stable state. For example, when the first touch input data represents the pixel values 500a shown in FIG. 5A and the second touch input data represents the pixel values 500b shown in FIG.
  • a specific value eg, 15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confirms the average of the pixel values included in the rx0 column among the pixel values 500a, the rx1 column to the rx9 column, and the tx0 row to the tx17 row. have. Also, with respect to the pixel values 500b,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may check an average of pixel values for columns rx0 to rx9 and an average of pixel values for rows tx0 to tx17.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may confirm that the second touch input data indicates a stable state.
  • the stable state is checked based on two touch input data such as first touch input data and second touch input data, bu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is based on the stable state can be confirmed.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may transmit first information regarding the second touch input data to the touch sensor IC 353 in operation 460 .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 result of applying a classification model to the second touch input data.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 result of classifying the second touch input data and/or a feature map related to the second touch input data.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is not a valid input that causes one or more objects indicated by the second touch input data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to the touch sensor IC 353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but the touch sensor The IC 353 may indicate that it is an object to be ignored.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If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maintains the wake-up state while operations 470 and 480 are performed,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only maintains the wake-up state, does not receive third touch input data, and performs machine learning. Since it is checked whether the touch sensor IC 353 performs a preset function in a relatively simple manner without performing a classification operation based on it, the power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201 when operations 470 and 480 is performed is 420 It may be less than when performing operation 440 or operation 440 .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ouch input data indicates a stable state. For operation 820 , details of operation 450 of FIG. 4 may be applied. 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820 that the first touch input data does not indicate a stable state,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repeat operation 810 .
  • the touch sensor IC 353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touch input data indicates a stable state. For operation 1070 , details of operation 850 of FIG. 8 may be applied.
  • the touch sensor IC 353 may transmit,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 an image analysis result performed by itself based on the second touch input data together with the second touch input data in operation 1080 .
  • the image analysis result may include results of image classification, image recognition, object detection, and/or image segm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input data.
  • An arrow 1140 of FIG. 11 may indicate that the touch sensor IC 353 transmits,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 an image analysis result performed by itself in addition to the second touch input data and the wakeup signal.
  • the touch sensor IC 353 obtains fourth touch input data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the preset function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third touch input data, , based on the third touch input data and the fourth touch input data, determine whether the fourth touch input data indicates a stable state, and respond to confirming that the fourth touch input data indicates an unstable state to transmit the fourth touch input data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based on the fourth touch input data.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may generate a difference between pixel values indicated by the first touch input data and pixel values indicated by the second touch input data, and an object indicated by the first touch input data. a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 of ,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indicated by the second touch input data, or a difference between a result of classifying the first touch input data as a classification model and a result of classifying the second touch input data as a classification model and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touch input data indicates a stable state based on at least one.
  • the application processor 221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classification model by machine learning.
  •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fourth touch input data indicates a stable state in the touch sensor IC 353 may include pixel values indicated by the third touch input data and the fourth touch input data. the fourth touch input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fference between pixel values indicated by data, or a difference between a characteristic of an object indicated by the third touch input data and a characteristic of an object indicated by the fourth touch input data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indicates a stable state.
  • the electronic device may have various types of devices.
  •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portable medical device, a camera,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device.
  •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 a computer device e.g., a smart phone
  •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e.g., a portable medical device
  • a camera e.g., a portable medical device
  • a camera e.g., a portable medical device
  • a camera e.g., a portable medical device
  • a wearable device e.g., a smart bracelet
  • a home appliance device e.g., a home appliance
  • modul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is interchangeable with terms such as, for example,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formed part or a minimum unit or a part of the part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ar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ar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터치 센서를 통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IC는,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다양한 실시예는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 상의 특정 위치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싱글 터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터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100)의 예시가 도시된다. 픽셀값들(100)은 전자 장치의 터치 센서의 각 픽셀의 위치에서의 커패시턴스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픽셀값들(100)을 터치 입력 데이터로서 터치 센서 IC에 전달할 수 있다. 픽셀값들(100) 중 터치 입력이 일어난 위치 주변의 픽셀들(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의 픽셀값이 다른 픽셀들의 픽셀값에 비하여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는 픽셀값들(100) 전체를 터치 입력 데이터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100) 전체를 분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터치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순히 터치 입력이 일어난 좌표를 계산하는 것뿐 아니라, 터치 입력의 강도에 기초하여 포스 키 입력을 판단하거나,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하려는 의도 없이 단순히 전자 장치를 잡는 상황을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 입력이 일어나는 상황과 구분하거나,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전자 장치에 근접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분류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터치 입력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생성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꺼짐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에 진입하였을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터치 입력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할 수 없을 수 있다. 만약 터치 입력 데이터를 항상 분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상태로 유지한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계속 구동됨에 따라 전력 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꺼지거나 켜질 때 디스플레이의 밝기 변화가 터치 입력 데이터에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디스플레이가 꺼지거나 켜지는 시점을 전후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할 수 없음에 따라, 터치 입력 데이터의 분석 결과의 정확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적을 때, 즉,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낼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지 않고, 터치 센서 IC에서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터치 센서를 통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IC는,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 상기 터치 센서 IC에서,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터치 센서 IC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라서,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낼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대신 터치 센서 IC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에 진입하였을 때도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고, 소모되는 전력의 양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꺼질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바로 슬립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낼 때 슬립 상태로 전환하고, 터치 센서 IC에서 터치 입력 데이터가 불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가 켜지기 전에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시키므로, 디스플레이가 꺼지거나 켜질 때를 전후한 터치 입력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정확도로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 입력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입력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입력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입력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입력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입력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입력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터치 센서 IC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터치 센서 IC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200) 내의 전자 장치(201)의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200)에서 전자 장치(201)는 제 1 네트워크(2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2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2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204) 또는 서버(2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서버(208)를 통하여 전자 장치(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입력 모듈(250), 음향 출력 모듈(255), 디스플레이 모듈(260), 오디오 모듈(270), 센서 모듈(276), 인터페이스(277), 연결 단자(278), 햅틱 모듈(279), 카메라 모듈(280), 전력 관리 모듈(288), 배터리(289), 통신 모듈(290), 가입자 식별 모듈(296), 또는 안테나 모듈(2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2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276), 카메라 모듈(280), 또는 안테나 모듈(2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2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20)에 연결된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276) 또는 통신 모듈(2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2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2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2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메인 프로세서(2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2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가 메인 프로세서(221) 및 보조 프로세서(2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223)는 메인 프로세서(2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223)는 메인 프로세서(2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2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2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2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21)와 함께, 전자 장치(2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260), 센서 모듈(276), 또는 통신 모듈(2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280) 또는 통신 모듈(2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2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2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20) 또는 센서 모듈(2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휘발성 메모리(2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240)은 메모리(2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242), 미들 웨어(244) 또는 어플리케이션(2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전자 장치(2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2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전자 장치(2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270)은, 입력 모듈(2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전자 장치(2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276)은 전자 장치(2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7)는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2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2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2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2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88)은 전자 장치(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289)는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2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90)은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 전자 장치(204), 또는 서버(2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90)은 프로세서(2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90)은 무선 통신 모듈(2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2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2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2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가입자 식별 모듈(2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298) 또는 제 2 네트워크(2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전자 장치(2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2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2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2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298) 또는 제 2 네트워크(2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2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2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2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299)에 연결된 서버(208)를 통해서 전자 장치(201)와 외부의 전자 장치(2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202, 또는 204) 각각은 전자 장치(2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202, 204, 또는 2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2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2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2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204) 또는 서버(208)는 제 2 네트워크(2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260)의 블록도(300)이다. 도 3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260)는 디스플레이(3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3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330)는 인터페이스 모듈(331), 메모리(3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335), 또는 맵핑 모듈(3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3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331)을 통해 전자 장치 2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220)(예: 메인 프로세서(2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2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2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330)는 터치 회로(350) 또는 센서 모듈(2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3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3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3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3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3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337)은 이미지 처리 모듈(2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60)는 터치 회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350)는 터치 센서(3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3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3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3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353)는 디스플레이(3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3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2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3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3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30), 또는 디스플레이(3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2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2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60)는 센서 모듈(2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2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310) 또는 DDI(330)) 또는 터치 회로(3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2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2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3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2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2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3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351) 또는 센서 모듈(276)은 디스플레이(3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41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221))는 터치 센서 IC(예를 들어,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는 터치 센서(351)를 통하여 획득된, 터치 센서(351)에 포함되는 픽셀들에 대응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353)는 터치 센서(351)를 통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이 일어난 좌표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좌표를 터치 센서(351)에 포함되는 픽셀들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함께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포함시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353)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및/또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할 수 있다.
42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분류 모델을 생성하고,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분류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포스 키 입력을 판단하거나,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하려는 의도 없이 단순히 전자 장치를 잡는 상황을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전자 장치에 근접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터치 입력이 일어난 좌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이 일어난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42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포스 키 입력,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잡는 상황,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전자 장치에 근접한 상황, 및/또는 터치 입력의 좌표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황 및/또는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420 동작을 수행할 때, 머신 러닝을 이용한 분류 모델을 이용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포함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및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420 동작을 수행할 때 비교적 높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4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보다 나중에 획득된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하여 41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세부 사항들이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44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420 동작에 관한 세부 사항들이 440 동작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45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은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와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450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는 410 동작으로 되돌아가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01)는 410 동작 및 420 동작을 생략하고, 기존의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새로운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로 취급하고, 430 동작에서 새로운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여 440 동작 및 45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과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 사이의 차이가 일정 수준 이하일 때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할 수 있다.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안정 상태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기준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한다. 도 5a는 스크린이 켜져 있을 때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을 도시한다. 도 5b는 스크린이 켜져 있다가 꺼진 직후에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을 도시한다. 도 5c는 스크린이 켜져 있다가 꺼지고 나서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값들을 비교함으로써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5a에 도시된 픽셀값들(500a)을 나타내고,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5b에 도시된 픽셀값들(500b)을 나타낼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도 5a에 도시된 픽셀값들(500a)에 포함되는 픽셀들(예를 들어, 픽셀(501a))의 픽셀값과, 도 5b에 도시된 픽셀값들(500b) 중 위치상 대응되는 픽셀들(예를 들어, 픽셀(501b))의 픽셀값 사이의 차이를 각각 확인하고, 픽셀 개수(도 5a 및 도 5b의 예시에서는 180개)만큼의 차이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을 확인하고, 최댓값 및 최솟값의 절댓값이 각각 특정 값(예를 들어, 30) 미만인 경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의 예시에서는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값들 사이의 차이들 중 최댓값은 101이고, 최솟값은 67이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도 5b에 도시된 픽셀값들(500b)에 대응하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5b에 도시된 픽셀값들(500b)을 나타내고,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5c에 도시된 픽셀값들(500c)을 나타낼 때,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값들(예를 들어, 픽셀(501c)) 사이의 차이들 중 최댓값은 -10이고, 최솟값은 -21이다. 최댓값 및 최솟값의 절댓값이 특정 값(예를 들어, 30) 미만이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도 5c에 도시된 터치 입력 데이터가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일 때, 즉, 스크린이 켜져 있다가 꺼지고 나서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픽셀들의 행 및 열에 포함되는 픽셀값들의 평균을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확인하고, 대응되는 위치의 행 및 열에 대하여 픽셀값들의 평균의 차이를 확인한 후, 차이의 최댓값의 절댓값이 특정 값(예를 들어, 15) 미만인 경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5a에 도시된 픽셀값들(500a)을 나타내고,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5b에 도시된 픽셀값들(500b)을 나타낼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픽셀값들(500a) 중 rx0열에 포함된 픽셀값들의 평균을 확인하고, rx1열 내지 rx9열에 대해서도 각각 픽셀값들의 평균을 확인하고, tx0행 내지 tx17 행에 대해서도 각각 픽셀값들의 평균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픽셀값들(500b)에 대해서도 rx0열 내지 rx9열에 대한 픽셀값들의 평균 및 tx0행 내지 tx17 행에 대한 픽셀값들의 평균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픽셀값들(500a)에서 rx0열의 픽셀값들의 평균과 픽셀값들(500b)에서 rx0열의 픽셀값들의 평균 사이의 차이를 확인하고, rx1열 내지 rx9열 및 tx0행 내지 tx17 행에 대해서도 각각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픽셀값들의 평균들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의 예시에서, rx0열 내지 rx9열 및 tx0행 내지 tx17 행 중에서, rx8열의 평균 픽셀값의 차이가 95.2로 가장 크고, 이 값의 절댓값은 미리 설정된 값인 15를 초과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5b에 도시된 픽셀값들(500b)을 나타내고,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5c에 도시된 픽셀값들(500c)을 나타낼 때, rx0열 내지 rx9열 및 tx0행 내지 tx17 행 중에서, tx0 행의 평균 픽셀값의 차이가 -4.2로 가장 크고, 이 값의 절댓값인 4.2는 미리 설정된 값인 15보다 작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과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 사이의 차이가 일정 수준 이하일 때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특성에 기초하여 안정 상태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기준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 상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터치 입력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의 픽셀들(100)이 나타내는 픽셀값들은 도 1과 동일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픽셀값이 다른 픽셀들의 픽셀값에 비하여 높은 픽셀들(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의 영역을 오브젝트(610)로 정의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타원형의 오브젝트(610)를 정의하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타원형의 오브젝트(610)의 중심 위치, 장축(611)의 길이, 또는 단축(612)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오브젝트의 특성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와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 사이의 차이가 일정 수준 이하일 때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분류 모델은 420 동작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생성된 분류 모델일 수 있다.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에 기초하여 안정 상태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기준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한다. 도 7a 및 도 7b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귀가 터치 스크린에 근접하였을 때 터치 입력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7a에 도시된 픽셀값들(700a)을 나타내고,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도 7b에 도시된 픽셀값들(700b)을 나타낼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함으로써 제1 오브젝트(710a)를 확인하고, 제1 오브젝트(710a)의 위치, 제1 오브젝트(710a)가 귀 근접에 대응하는 것, 제1 오브젝트(710a)의 크기, 및 제1 오브젝트(710a)에 대응하는 귀와 터치 센서(예를 들어, 터치 센서(351)) 사이의 근접도, 및/또는 제1 오브젝트(710a)와 연관된 제2 오브젝트(720a)를 제1 오브젝트(710a)의 특성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함으로써 제1 오브젝트(710b)를 확인하고, 제1 오브젝트(710b)의 위치, 제1 오브젝트(710b)가 귀 근접에 대응하는 것, 제1 오브젝트(710b)의 크기, 및 제1 오브젝트(710b)에 대응하는 귀와 터치 센서(예를 들어, 터치 센서(351)) 사이의 근접도, 및/또는 제1 오브젝트(710b)와 연관된 제2 오브젝트(720b)를 제1 오브젝트(710b)의 특성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오브젝트(710a)의 특성과 제1 오브젝트(710b)의 특성 사이의 차이가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에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와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와 같이 두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정 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세 개 이상의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450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46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정보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분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정보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한 결과 및/또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특성 맵(feature map)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정보를 통하여 터치 센서 IC(353)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유효한 입력이 아니라, 터치 센서 IC(353)가 무시해야 할 오브젝트임을 알려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정보는 디스플레이의 상태, 온도 조건, 전자 장치(201)의 충전 상태, 통화 중인지 여부와 같이, 터치 입력 데이터에 노이즈를 줄 수 있는 전자 장치(201)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정보는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조도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7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는 터치 센서(351)를 통하여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48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는 제1 정보 및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35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353)는 머신 러닝을 이용하지 않고, 머신 러닝을 이용하는 것보다 데이터 연산량이 적은 방법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460 동작을 수행한 후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470 동작 및 480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01)의 배터리(289)의 잔량이 특정한 제1 레벨 이하로 떨어지거나, 전자 장치(201)가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01)의 배터리(289)의 잔량이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 이하로 떨어지거나, 전자 장치(201)가 초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470 동작 및 480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할 뿐,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받지 않으며,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연산을 수행하지도 않고, 터치 센서 IC(353)에서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므로, 470 동작 및 480 동작이 수행될 때 전자 장치(201)가 소모하는 전력은 420 동작 또는 440 동작을 수행할 때보다 적을 수 있다.
460 동작이 수행된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슬립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의 전력 소모가 감소함에 따라, 470 동작 및 480 동작이 수행될 때 전자 장치(201)가 소모하는 전력은 420 동작 또는 440 동작을 수행할 때보다 적을 수 있다.
48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는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로부터 획득한 제1 정보를 이용하므로,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만 의존하는 것에 비하여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터치 센서 IC의 동작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9의 91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연산을 수행하는 때를 도시하고, 920은 터치 센서 IC(353)가 연산을 수행하는 때를 도시한다.
81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221))는 터치 센서 IC(예를 들어,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획득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810 동작에서의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810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의 410 동작 내지 440 동작의 세부 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t1 구간이 810 동작이 일어나는 구간에 대응된다. t1 구간 내에서, 터치 센서 IC(353)는 터치 센서(351)를 통하여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하는 것이 도시된다. 도 9에서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되는 것이 화살표들(931, 932)로 표시된다.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획득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910의 t1 구간에 표시되었다.
82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820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의 450 동작의 세부 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다. 820 동작에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는 810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820 동작에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83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에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정보에 대해서는 도 4의 46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 있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제1 정보를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하는 것이 화살표(941)로 표시된다.
84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1 정보 및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840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보다 늦은 시점에서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일 수 있다. 840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의 470 동작 및 480 동작의 세부 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830 동작을 수행한 후 슬립 상태로 진입하거나, 840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도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830 동작이 수행된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슬립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의 전력 소모가 감소함에 따라, 840 동작이 수행될 때 전자 장치(201)가 소모하는 전력은 810 동작을 수행할 때보다 적을 수 있다. 840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받지 않으며,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연산을 수행하지도 않고, 터치 센서 IC(353)에서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므로, 840 동작이 수행될 때 전자 장치(201)가 소모하는 전력은 810 동작을 수행할 때보다 적을 수 있다.
85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353)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와 이전 시점에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의 차이 또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와 이전 시점에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들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상세한 방법들이 850 동작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t2구간에서 840 동작 및 850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850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경우, 터치 센서 IC(353)는 계속해서 84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850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경우, 터치 센서 IC(353)는 86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353)는 860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더하여, 840 동작에서 자체적으로 판단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분류, 이미지 인식, 오브젝트 검출, 및/또는 이미지 분할의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IC(353)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하는 것이 화살표(942)로 표시된다.
860 동작이 수행된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810 동작으로 돌아가, 전달받은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86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가 자체적으로 판단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분류, 이미지 인식, 오브젝트 검출, 및/또는 이미지 분할의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810 동작에서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적용한, 이미지 분류, 이미지 인식, 오브젝트 검출, 및/또는 이미지 분할의 결과를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할 수 있다. 810 동작을 수행한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 터치 입력 데이터가 확인될 때까지 820 동작 및 810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t3 구간에서 터치 센서 IC(353)가 터치 입력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하는 것이 화살표(951, 952)로 표시된다.
획득되는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 구간인 t1 및 t3 구간에서는 터치 센서 IC(353)가 터치 입력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반면, t1 구간에서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 후에는 t2 구간에 진입하여 터치 센서 IC(353)가 터치 입력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분석하고, t2 구간에서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t3 구간에 진입하여 다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는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낼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 대신 터치 센서 IC(353)에서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353)는 처리할 수 있는 연산량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보다 적으나,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낼 때만 터치 센서 IC(353)에서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므로 터치 입력 데이터의 분석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IC(35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로부터 전달받은 제1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므로 터치 입력 데이터에만 의존하는 것에 비하여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터치 센서 IC의 동작을 도시한다.
101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221))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60))가 켜진 상태에서,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획득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410 동작 내지 440 동작에 관한 세부 사항들이 1010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t1 이전의 구간이 1010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일 수 있다. 화살표들(1111, 1112, 1113)은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화살표(1114)는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로 확인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기능을 수행함에 따른 표시 내용이 디스플레이(260)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102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디스플레이 오프 조건이 만족되는 것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오프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6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획득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02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획득되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는 1010 동작에서 획득되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보다 나중에 획득되는 터치 입력 데이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102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260)가 오프 상태로 제어됨에도 불구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웨이크록(wakelock)을 이용하여 슬립 상태에 진입하지 않고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t1이 디스플레이(26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103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1020 동작에서 획득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450 동작에 관한 세부 사항들이 1030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확인될 때까지 1020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t1에서 t2 사이의 구간이 1020 동작 및 1030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화살표들(1121, 1122)은 102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1020 동작에서 획득된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104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에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의 460 동작에 관한 세부 사항들이 1040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살표(1130)는 제1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로부터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105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슬립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t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슬립 상태에 진입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106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1 정보 및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060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보다 늦은 시점에서 획득된 터치 입력 데이터일 수 있다. 1060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의 470 동작 및 480 동작의 세부 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다. 1060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슬립 상태에 있으며, 디스플레이(260)를 오프 상태로 제어되므로, 전자 장치(201)가 소모하는 전력은 1010 동작 내지 1040 동작을 수행할 때보다 낮을 수 있다.
107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070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의 850 동작의 세부 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경우, 터치 센서 IC(353)는 1060 동작으로 되돌아가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1 정보 및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며,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t2에서 t3 사이의 구간에서 터치 센서 IC(353)가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1 정보 및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며,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경우, 터치 센서 IC(353)는 1080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35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슬립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하거나,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할 수 있다. 1080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의 860 동작의 세부 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살표(1140)는 터치 센서 IC(353)가 제2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웨이크업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353)는 1080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와 함께,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수행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결과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분류, 이미지 인식, 오브젝트 검출, 및/또는 이미지 분할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화살표(1140)는 터치 센서 IC(353)가 제2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웨이크업 신호에 더하여, 자체적으로 수행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1085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온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온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슬립 상태에서 벗어나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고, 웨이크업 상태에서 108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t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108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센서 IC(353)에서 수행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전달받은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적용하여 획득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살표(115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적용하여 획득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적용하여 획득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11의 화살표(1150)는 생략될 수 있다.
1085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온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확인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1040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1040 동작 에서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를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정보로서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하고, 1050 동작에서 다시 슬립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1085 동작에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온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확인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109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260)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1010 동작에서 다시 터치 센서 IC(353)를 통하여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온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확인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머신 러닝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를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t4는 디스플레이(260)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화살표들(1161, 1162, 1163)은 1010 동작에서 다시 터치 센서 IC(353)를 통하여 획득된 새로운 터치 입력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260)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므로, 디스플레이(260)의 온/오프 전환에 따른 노이즈가 학습 대상이 되어 터치 입력 데이터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메인 프로세서(221)), 및 터치 센서를 통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센서 IC(예: 터치 센서 IC(353))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상기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IC(353)는,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IC(353)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불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 사이의 차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 사이의 차이, 또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와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 사이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상기 분류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생성된 분류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IC(353)는,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과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 사이의 차이, 또는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과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 사이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한 후 슬립 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디스플레이 오프 조건이 만족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IC(353)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불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슬립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웨이크업 신호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는,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생성된 분류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하고; 상기 슬립 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메인 프로세서(221)) 및 터치 센서 IC(예: 터치 센서 IC(353))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서,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서,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서,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불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 사이의 차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 사이의 차이, 또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와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 사이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상기 분류 모델을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생성된 분류 모델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서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과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 사이의 차이, 또는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과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 사이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한 후 슬립 상태에 진입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디스플레이 오프 조건이 만족되는 것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터치 센서 IC(353)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서,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불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가 슬립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웨이크업 신호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 전달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는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생성된 분류 모델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상기 터치 센서 IC(353)에 전달하는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슬립 상태에 진입하는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3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336) 또는 외장 메모리(3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3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3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터치 센서를 통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IC는,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IC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불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 사이의 차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 사이의 차이, 또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와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 사이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상기 분류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생성된 분류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IC는,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과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 사이의 차이, 또는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과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 사이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터치 센서 IC에 전달한 후 슬립 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오프 조건이 만족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IC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불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웨이크업 신호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생성된 분류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상기 터치 센서 IC에 전달하고;
    상기 슬립 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온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1.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 센서 IC로부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에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제1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
    상기 터치 센서 IC에서, 제3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터치 센서 IC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IC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터치 센서 IC에서, 상기 제3 터치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터치 센서 IC에서,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가 불안정 상태를 나타낸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4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픽셀값들 사이의 차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 사이의 차이, 또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와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를 분류 모델로 분류한 결과 사이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가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상기 분류 모델을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데이터에 머신 러닝에 의하여 생성된 분류 모델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포함하는, 방법.
PCT/KR2022/003559 2021-04-15 2022-03-15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WO202222041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81A KR20220142886A (ko) 2021-04-15 2021-04-15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1-0049481 2021-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416A1 true WO2022220416A1 (ko) 2022-10-20

Family

ID=8364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3559 WO2022220416A1 (ko) 2021-04-15 2022-03-15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42886A (ko)
WO (1) WO202222041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2020A1 (en) * 2013-08-30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processing of touch sensor data
KR20170036424A (ko) * 2015-09-24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속성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109626A (ko) * 2017-03-28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저전력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90142356A (ko) * 2017-04-21 2019-12-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10229A (ko) * 2017-04-12 2020-01-30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미디어 재생기 및 미디어 재생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2020A1 (en) * 2013-08-30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processing of touch sensor data
KR20170036424A (ko) * 2015-09-24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속성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109626A (ko) * 2017-03-28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저전력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0229A (ko) * 2017-04-12 2020-01-30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미디어 재생기 및 미디어 재생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KR20190142356A (ko) * 2017-04-21 2019-12-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86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457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refresh method thereof
WO2022169092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20416A1 (ko)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WO2022092580A1 (ko) 전자 장치 표면의 온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071708A1 (ko)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19442A1 (ko)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163341A1 (ko) 터치 입력의 인식 감도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3287057A1 (ko) 주변 장치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화면을 빠르게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WO2024101704A1 (ko) 터치 입력을 식별하는 웨어러블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22234984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3146108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탠드 모듈
WO2022114648A1 (ko) 배경 화면을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4019311A1 (ko)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외부 객체의 접촉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4096317A1 (ko) 디스플레이에게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2149908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동작 제어 방법
WO2022265280A1 (ko) 저조도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WO2024019295A1 (ko) 전원 공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2103010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3018202A1 (ko) 애니메이션 효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103156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WO2022164043A1 (ko) 터치 입력의 가속도 및/또는 각 가속도를 이용하여 예측 알고리즘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22356A1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커맨드들을 처리하는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163490A1 (ko) 터치 인식을 위한 인식 감도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2231168A1 (ko) 화면의 색상 반전을 통한 안면 인식 방법 및 장치
WO2023054913A1 (ko) 포스 터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882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882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