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03446A1 - 양친매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친매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03446A1
WO2022203446A1 PCT/KR2022/004217 KR2022004217W WO2022203446A1 WO 2022203446 A1 WO2022203446 A1 WO 2022203446A1 KR 2022004217 W KR2022004217 W KR 2022004217W WO 2022203446 A1 WO2022203446 A1 WO 20222034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keup
cosmetic
skin
cosmetic composi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42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전형준
권태근
신용원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2280024332.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098528A/zh
Priority to JP2023558874A priority patent/JP2024511182A/ja
Publication of WO20222034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034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mphiphilic polymer.
  • Cosmetics are known to exhibit various skin improvement effects such as moisturizing, whitening, skin wrinkle or elasticity improvement, and the like.
  •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purpose of cosmetics is to make the appearance more beautiful.
  • make-up lump, makeup collapse, and makeup uplift had a large effect on how much makeup improves appearance.
  • technologies for improving skin texture and technologies for increasing adhesion between skin and makeup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 adhesion The force that brings two objects into contact is called adhesion. To control this for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termolecular interactions. The more similar the surface energy of the two solid surfaces, the higher the affinity between the objects and the better the adhesion to each other. Van der Waals interactions affect the surface energy, but are less influential than covalent bonds or hydrogen bonds. Therefore, when there i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ovalent bonding or hydrogen bonding, the effect on the surface energy increase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van der Waals.
  • the surface energy of the skin is about 30-40 mJ/m 2 , and in general, the surface energy of the foundation cosmetic film is greater than the surface energy of the skin by about 15 mJ/m 2 or more.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difference in surface energy between the skin and the cosmetic film, the affinity between the two can be controlled.
  • an amphiphilic substan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fference in surface energy between the skin and the cosmetic film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kin and the cosmetic film is selected to improve affinit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ffinity between the skin and the makeup film to solve the clumping, lifting, and crumbling of makeup, and to increase consumer satisfaction with makeup.
  • the overall texture of the cosmetic film is analyzed through 3D non-contact atomic force microscope (AFM) analysis.
  • the agglomeration phenomenon is confirmed through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cosmetic film.
  • the collapse phenomenon is analyzed through a makeup film destruction experiment simulating muscle movement using a texture analyzer.
  • the cosmetic film can be objectively analyzed through physicochemical parameters related to actual phenomena.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objective research on consumers' cognitive efficacy and feeling of use.
  • Makeup clumping, lifting, and crumbling are three factors that determine how well a makeup is perform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bove three factors by improving the affinity between the skin and the cosmetic film by using an amphiphilic sub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that increases the skin adhesion of a makeup cosmetic comprising an amphiphilic polyurethane polymer.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that increases the skin adhesion of the above-mentioned makeup cosmetics;
  • It provides a method of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skin adhesion of a makeup cosmetic,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cosmetic film by applying the makeup cosmetic.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mphiphilic polyurethane polymer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that increases the skin adhesion of a makeup cosmetic.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 the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has an appropriate affinity for both the skin and the cosmetic film, so it can reduce the surface energy gap between the skin and the cosmetic film to increase the affinity of the makeup, and to help the cosmetic film to be better formed on the skin do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llapse, lift, and clumping of makeup, and to form a thinner and more uniform makeup film. Such an improvement effect can improve the final skin texture, and provide an effect that a makeup that consumers can feel is well received.
  • FIG. 1 is a cross-sectional SEM image (a), C element EDS image (b), Ti element EDS image (c), and a cross-sectional SEM image (d), C element EDS image (e) of the technology applied essence of the essence without technology applied; Ti element EDS image (f) is show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skin adhesion of a makeup cosmetic comprising an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skin adhesion of the makeup cosmet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 a hydrophilic polymer is used as a thickener and/or film former
  • a silicone or acryl-based lipophilic polymer is used as a film former.
  • the hydrophilic polymer has a low affinity with the color makeup film
  • the lipophilic polymer has a low affinity problem with the skin. Therefore, there is a risk that cosmetic lifting / collapsing / agglomeration phenomena occur.
  • the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has a suitable affinity with both the skin and the cosmetic membrane.
  • the affinity of the makeup cosmetic by reducing the surface energy gap between the skin and the cosmetic film, which can serve to reduce the aggregation of the makeup cosmetic to help the makeup film to be better formed on the skin. Therefore, by using an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smetic collapse, lifting, and agglomeration, and to form a thinner and more uniform cosmetic film.
  • Such an improvement effect can improve the final skin texture, and provide an effect that a makeup that consumers can feel is well received.
  • the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is one of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and polyurethane-15.
  •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and polyurethane-15 may be more than
  •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containing the PEG-240/H dii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and/or polyurethane-15 may be used.
  • the content of the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001 to 5% by weight, 0.001 to 2% by weight, 0.01 to 1% by weight, or 0.05 to 0.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increases the adhesion of the makeup cosmetic may be applied to the O/W formulation or the W/S formula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skin adhesion of the makeup cosmet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active principle).
  • active ingredients include natural extracts, oils, moisturizers, whitening agents, wrinkle improvement agents, acne relievers, atopic emollients, sunscreens, hair restorers, vitamins and derivatives, amino acids or polypeptides, anti-inflammatory agents, female hormones, keratin exfoliating agents, bactericides,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centa, allantoin, yeast extract, collagen, elastin, DHA, EPA, ceramide, fragrance, and mixtures thereof.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skin adhesion of the makeup cosmet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efore makeup. That is,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skin adhesion of the makeup cosmet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cosmetic composition used in the pre-makeup stage.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dhesion of the makeup to improve the lifting of makeup, collapsing of makeup, or clumping of makeup.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sic cosmetics, sun products, and makeup base products.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basic cosmetic, and then a makeup cosmetic may be applied after the basic cosmetic is applied to the skin.
  • the basic cosmetics may be emulsions, essences and creams.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sun product, and then a makeup cosmetic may be applied after the sun product is applied to the skin.
  • the sun products may be sun cream, sun lotion, sun milk, sun stick,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akeup base product, so that the makeup base product can be applied to the skin and then the makeup cosmetics can be applied.
  • the makeup base product may be a makeup base and a primer.
  • makeup cosmetics or color cosmetic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base makeup cosmetics used for skin and point makeup cosmetics used for eyes, eyebrows, and lips.
  • the base makeup cosmetics can decorate the entire face with a natural skin color with foundation, a touch of the cheek, etc. and produc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ransparency, and the point makeup cosmetics are eye shadow, mascara, artificial eyelashes, eyeliner, lipstick, etc. can do.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that increases the skin adhesion of the above-mentioned makeup cosmetics;
  • It relates to a method of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skin adhesion of a makeup cosmetic,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cosmetic film by applying the makeup cosmetic.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skin adhesion of the makeup cosmetic includes an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and the type and content of the amphipathic polyurethane-based polymer are as described above.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increases the skin adhesion of the makeup cosmetic is used before use of the makeup cosmetic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makeup cosmetic, thereby improving the lifting of the makeup, the collapse of the makeup, or the clumping of the makeup.
  • analysis of the cosmetic film may qualitativ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smetic film is formed by analyzing the surface, cross section, and fracture area of the cosmetic film.
  • the surface of the cosmetic film can be analyzed using an atomic force microscope (AFM, NX-10, Park system Co., Suwon, Korea) for three-dimensional (3D) surface analysi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peak among the roughness parameter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thin and uniform cosmetic film is formed through the Spk value and the maximum thickness - Rpv value indicating the minimum thickness.
  • AFM atomic force microscope
  • Such cross-sectional analysis can be performed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JSM-7001F, JEOL, Tokyo, Japan) for 2D cross-sectional analysis.
  •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the analysis of the surface and cross-section of the cosmetic film can determine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akeup, but is not suitable for evaluating the collapse of the cosmetic film.
  • the collapse of makeup is an important factor in an objective method of simulating muscle movement.
  • a target motion simulation can be achieved by repeatedly folding and unfolding a sample having a cosmetic film on artificial skin at the same speed and distance using a texture analyzer (TA XT plus, Stable Micro Systems, Cambridge, UK), and a constant force to simulate muscle movement.
  • the Rpv (Max - Min) value of the formed cosmetic film is 38% or more, 40 % or more, 45% or more, or 48% or more.
  • the Spk value of the cosmetic film is 35% or more, 38% or more, 40% or more , or 43% or more.
  • the thickness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smetic film is 45% or more, 50% or more, 52% or more or more, or a decrease of 54% or more.
  • the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is not included (corresponds to “no polymer included” in Experimental Example 1) ) compared to 230% or more, 250% or more, 280% or more, or 300% or more Rpv value improvement effect, and also 180% or more, 200% or more, 210% or more, or 220% or more Spk value improvement effect can ge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mphiphilic polyurethane polymer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that increases the skin adhesion of a makeup cosmetic.
  • liquid foundation liquid FD was applied using a puff the same number of times and with the same weight to form a cosmetic film.
  • Spk is a reduced peak height index, which means the average roughness of the peak part that is higher than the average thickness.
  • the Rpv value means the maximum thickness-minimum thickness of the cosmetic film. The smaller the Rpv value, the more uniform and thin the cosmetic film was, and the lower the Spk value, the more uniform and smooth the cosmetic film was finished.
  • the improvement rat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 Rpv improvement rate (%) (Rpv value of sample - Rpv value of "no application") / (Rpv value of "no polymer” - Rpv value of "no application”) X 100
  • Spk improvement rate (%) (Spk value of sample - Spk value of "no application") / (Spk value of "no polymer” - Spk value of "no application”) X 100
  • the mixed sample of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Polyurethane-15 and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and Polyurethane-15 was Rpv (Max-Min ),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is small.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texture of the cosmetic film.
  •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and Polyurethane-15 may have a synergistic effect on texture improvement.
  • the cross section was cut using a cross section polishing machine, and then analyzed by SEM analysis (FE-SEM, JSM-7001F, JEOL, Tokyo, Japan).
  • SEM analysis FE-SEM, JSM-7001F, JEOL, Tokyo, Japan.
  • EDS element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titanium (Ti) element content of the TiO 2 powder in the cosmetic film and the carbon (C) element content in the epoxy resin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more detail. did.
  • FIG. 1 is a cross-sectional SEM image (a), C element EDS image (b), Ti element EDS image (c), and a cross-sectional SEM image (d), C element EDS image (e) of the technology applied essence of the essence without technology applied; Ti element EDS image (f) is shown.
  • the material above and below the cosmetic film is a polymer transfer materia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rbon (C) element,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smetic film is formed on the indicated portion through the titanium (Ti) analysis.
  • the cosmetic clumping phenomenon can be confirmed in the essence without technology.
  • the polymer was not included in the formulation, but was dispersed in purified water (DI water) or D5 (silicone-based oil) at the same concentration, applied on artificial leather, and then foundation was applied to observe the formation state of the cosmetic film.
  • DI water purified water
  • D5 silicone-based oil
  • Polymers 1 to 3 used purified water as a solvent
  • Polymers 4 to 6 used D5 as a solvent, and each 1 wt% of the polymer was dispersed in the solvent to prepare Samples 3-1 to 3-6.
  • the second data were obtained by repeating the above method after simulating the motion using a texture analysis device (TA XT plus, Stable Micro Systems, Cambridge, UK).
  • Table 5 below shows the evaluation results of cosmetic uniformity in artificial leather according to the type of polymer.
  • the cosmetic improvement rat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 the amphiphilic polyurethane-based polymer increases the affinity between the skin and the cosmetic film, thereby affecting the actual formation of the cosmetic film.
  • the cosmetic film analysis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ables an objectiv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smetic film beyond the existing limitations, but also has a correlation with the efficacy perceived by consumer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cosmetic membrane analysis in the fu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는 피부와 화장 막 모두와 적당한 친화도를 가지고 있어, 피부와 화장 막 사이의 표면 에너지 갭을 줄여 메이크업의 친화력을 높일 수 있으며, 피부 위에서 화장 막이 더 잘 형성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화장의 무너짐, 들뜸 및 뭉침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보다 얇고 균일한 화장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효과는 최종 피부결 개선을 가져오며, 소비자가 체감 가능한 화장이 잘 받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친매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양친매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보습, 미백, 피부 주름 또는 탄력 개선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피부로의 유효 성분 침투 개선이나 피부 장벽 강화와 같은 효과들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목적은 외모를 더욱 아름답게 하는 것이다. 다양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메이크업이 얼마나 외모를 개선하는지는 메이크업 뭉침(make-up lump), 메이크업 무너짐(collapse) 및 메이크업 들뜸(uplift)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이런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피부결을 개선시키는 기술이나 피부와 메이크업간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기술들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두 물체를 접촉시키는 힘을 밀착(adhesion)이라고 한다. 이 힘을 제어하려면, 분자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고체 표면의 표면 에너지 크기가 유사할수록 물체간의 친화도가 높아지고 서로에 대한 밀착력이 좋아진다.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상호작용이 표면 에너지에 영향을 끼치지만 공유 결합이나 수소 결합보다는 그 영향력이 작다. 따라서, 공유 결합이나 수소 결합이 가능한 작용기가 있는 경우, 표면 에너지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반데르발스의 경우보다 훨씬 크다. 피부의 표면 에너지는 약 30~40 mJ/m2이고,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 화장 막의 표면 에너지는 상기 피부의 표면 에너지 약 15 mJ/m2 이상 크다. 그러므로, 피부와 화장 막 사이의 표면 에너지의 차이를 조절하면, 둘 사이의 친화력(affinity)을 조절할 수 있다.
화장 막의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동적 마찰계수 분석(dynamic friction coefficient analysis)을 통한 퍼짐성 분석(spreadability analysis), 인공 피지(artificial sebum)를 사용한 매몰 및 내구성 분석(burial and durability analysis)과 같은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석 방법들은 대부분 육안으로 메이크업의 뭉침, 들뜸 또는 무너짐을 평가하므로 화장 막에 대한 분석이 객관적이거나 정량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와 화장 막 사이의 계면에서 피부와 화장 막 사이의 표면 에너지 차이를 조절할 수 있는 양친매성 물질을 선별하여 친화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와 화장 막 사이의 친화력을 향상시켜 메이크업의 뭉침, 들뜸 및 무너짐을 해결하고 메이크업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 기존의 육안 분석 방법보다 더 적합한, 세 가지 현상과 관련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새로운 화장 막의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3D 비-접촉 원자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 분석을 통해 화장 막의 전체적인 질감을 분석한다. 화장 막의 단면 분석을 통해 뭉침 현상(agglomeration phenomenon)을 확인한다. 또한, 텍스처 분석기를 이용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모사한 화장 막 파괴 실험을 통해 무너짐 현상(collapse phenomenon)을 분석한다.
제안된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실제 현상과 관련된 물리화학적 매개변수를 통해 화장 막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인지효능, 사용감에 대한 객관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메이크업 뭉침, 들뜸 및 무너짐은 메이크업이 얼마나 잘 수행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세 가지 요소이다. 본 발명은 양친매성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와 화장 막 사이의 친화력을 향상시켜 상기 세 가지 요소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친매성 폴리우레탄 고분자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메이크업 화장료를 도포하여 화장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를 제조하기 위한, 양친매성 폴리우레탄 고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는 피부와 화장 막 모두와 적당한 친화도를 가지고 있어, 피부와 화장 막 사이의 표면 에너지 갭을 줄여 메이크업의 친화력을 높일 수 있으며, 피부 위에서 화장 막이 더 잘 형성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화장의 무너짐, 들뜸 및 뭉침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보다 얇고 균일한 화장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효과는 최종 피부결 개선을 가져오며, 소비자가 체감 가능한 화장이 잘 받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술 미적용 에센스의 단면 SEM 이미지(a), C element EDS 이미지(b), Ti element EDS 이미지(c), 및 기술 적용 에센스의 단면 SEM 이미지(d), C element EDS 이미지(e), Ti element EDS 이미지(f)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 제품인 O/W 제형에서는 점증제 및/또는 피막 형성제로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하며, 색조 제품인 W/S 제형에서는 피막 형성제로 실리콘 혹은 아크릴 계열의 친유성 고분자를 사용한다. 이 경우, 제형 안정성과 피부와의 밀착 측면, 색조 제형과의 친화도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친수성 고분자는 색조 화장 막과의 낮은 친화도를 가지며, 친유성 고분자는 피부와의 낮은 친화도 문제를 가지므로, 화장 들뜸/무너짐/뭉침 현상들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는 피부 및 화장 막 모두와 적당한 친화도를 가진다. 이에 의해, 피부와 화장 막 사이의 표면 에너지 갭을 줄여 메이크업 화장료의 친화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응집을 감소시켜 피부 위에서 화장 막이 더 잘 형성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화장의 무너짐, 들뜸 및 뭉침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보다 얇고 균일한 화장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효과는 최종 피부결 개선을 가져오며, 소비자가 체감 가능한 화장이 잘 받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는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및 폴리우레탄-15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 및/또는 폴리울레탄-15를 포함하는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체 조성물 대비 0.0001 내지 5 중량%, 0.001 내지 2 중량%, 0.01 내지 1 중량%, 또는 0.05 내지 0.5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메이크업 화장료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O/W 제형 또는 W/S 제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active principl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천연 추출물, 오일, 보습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여드름 완화제, 아토피 완화제, 자외선 차단제, 육모제, 비타민과 그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폴리펩타이드, 항염증제, 여성호르몬제, 각질박리용해제, 살균제, 플라센타, 알란토인, 효모추출물, 콜라겐, 엘라스틴, DHA, EPA, 세라마이드, 향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전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전 단계에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화장의 들뜸, 화장의 무너짐 또는 화장의 뭉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 화장품, 선 제품 및 및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 화장품에 적용되어, 상기 기초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한 다음에 메이크업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기초 화장품은 에멀젼, 에센스 및 크림 등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선 제품에 적용되어, 상기 선 제품을 피부에 도포한 다음에 메이크업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선 제품은 선크림, 선로션, 선밀크 및 선스틱 등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에 적용되어, 상기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을 피부에 도포한 다음에 메이크업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은 메이크업베이스 및 프라이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이크업 화장료 또는 색조 화장료는 피부에 사용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눈·눈썹·입술 등에 쓰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파운데이션, 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 투명감 등을 연출할 수 있으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이섀도, 마스카라, 인조속눈썹, 아이라인, 립스틱 등으로, 인상을 돋보이게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메이크업 화장료를 도포하여 화장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의 종류 및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메이크업 화장료의 사용 전에 사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화장의 들뜸, 화장의 무너짐 또는 화장의 뭉침을 개선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화장 막의 분석은 상기 화장 막의 표면, 단면 및 파단 부위(fracture area)를 분석하여 화장 막 형성 여부를 정성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먼저, 화장 막의 표면은 3차원(3D) 표면 분석을 위한 원자힘 현미경(AFM, NX-10, Park system Co., Suwon, Korea)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거칠기 매개변수 중 피크의 평균 값을 나타내는 Spk 값 및 최대 두께 - 최소 두께를 의미하는 Rpv 값을 통해 얇고 균일한 화장 막의 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피부는 곡선(curves)을 가지고 있으므로, 표면의 거칠기의 단독 측정만으로는 화장 막이 균일하다고 판단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실제 화장 막의 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면 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 분석은 2D 횡단면 분석을 위한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JSM-7001F, JEOL, Tokyo, Japan)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화장 막의 표면 및 단면 분석은 메이크업의 적용 특성을 결정할 수 있으나, 화장 막의 무너짐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다. 메이크업의 무너짐은 근육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는 객관적인 방법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텍스처 분석기(TA XT plus, Stable Micro Systems, Cardiff, UK)를 사용하여 동일한 속도와 거리로 인공 피부에 화장 막을 가지는 샘플을 반복적으로 접었다 펼침으로써 목표 모션 시뮬레이션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일정한 힘으로 근육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형성된 화장 막의 Rpv (Max - Min) 값이 38% 이상, 40% 이상, 45% 이상, 또는 48% 이상 감소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화장 막의 Spk 값이 35% 이상, 38% 이상, 40% 이상, 또는 43% 이상 감소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화장 막 단면의 두께가 45% 이상, 50% 이상, 52% 이상, 또는 54% 이상 감소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밀착력이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피부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메이크업 화장료를 도포한 경우(실험예 1의 "무도포"에 해당함)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상기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실험예 1의 "고분자 미포함"에 해당함)와 비교하여 230% 이상, 250% 이상, 280% 이상, 또는 300% 이상의 Rpv 값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180% 이상, 200% 이상, 210% 이상, 또는 220% 이상의 Spk 값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를 제조하기 위한, 양친매성 폴리우레탄 고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실험예 1. 화장 막의 결 개선 평가
(1) 방법
하기 표 1의 조성(wt%)으로 O/W 제형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대조군
시료
시료 1-1 시료 1-2 시료 1-3 시료 1-4 시료 1-5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 0.10 - 0.05 - -
polyurethane-15 - - 0.1 0.05 - -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 - - - 0.1 -
Acrylate/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 - - - - - 0.1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알코올 4.00 4.00 4.00 4.00 4.00 4.00
헥산다이올 1.50 1.50 1.50 1.50 1.50 1.5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4.00 4.00 4.00 4.00 4.00 4.00
글리세린 3.00 3.00 3.00 3.00 3.00 3.0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3.00 3.00 3.00 3.00 3.00 3.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1.00 1.00 1.00 1.00 1.00 1.00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0.30 0.30 0.30 0.30 0.30 0.3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0 5.00 5.00 5.00 5.00 5.00
중화제 0.22 0.22 0.22 0.22 0.22 0.22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바이오-스킨에 각 시료를 각각 도포한 후, 상온에서 약 20-30 분 동안 건조시켰다. 그 다음, 리퀴드 파운데이션(liquid FD)을 퍼프를 사용하여 동일 횟수 및 동일 무게로 도포하여 화장 막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원자힘 현미경(AFM)을 사용하여 화장 막의 3차원 표면 분석을 수행하였다.
한편, 바이오-스킨에 시료를 적용하지 않고,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경우를 "무도포"로 하였으며, 바이오-스킨에 대조군 시료를 도포한 다음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경우를 "고분자 미포함"으로 설정하였다.
(2) 결과
화장 막의 결을 분석한 결과를 하기 표 2 나타내었다.
표 2에서 Spk는 reduced peak height 지표로서, 평균 두께보다 높이 올라와있는 피크(peak) 부분의 평균 거칠기를 의미한다. 또한, Rpv 값은 화장 막의 최대 두께 - 최소 두께를 의미한다. Rpv 값이 작을수록 화장 막이 균일하고 얇은 막인 것으로 판단했으며, Spk값이 낮을수록 화장 막이 균일하고 매끄럽게 마무리되었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표 2에서 개선율은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식 1>
Rpv 개선율(%) = (시료의 Rpv 값 - "무도포"의 Rpv 값) / ("고분자 미포함"의 Rpv 값 - "무도포"의 Rpv 값) X 100
<식 2>
Spk 개선율(%) = (시료의 Spk 값 - "무도포"의 Spk 값) / ("고분자 미포함"의 Spk 값 - "무도포"의 Spk 값) X 100
화장 막 두께 화장 막 매끄러움
Rpv Rpv
개선율(%)
Spk Spk
개선율(%)
무도포 9.044 - 2.206 -
고분자 미포함 7.609 - 1.782 -
시료 1-1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4.382 324.9 0.935 299.8
시료 1-2 Polyurethane-15 4.661 305.4 1.235 229.0
시료 1-3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 Polyurethane-15 3.775 367.2 0.820 326.9
시료 1-4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5.765 228.5 1.462 175.5
시료 1-5 Acrylate/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 7.090 136.2 1.548 155.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Polyurethane-15 및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와 Polyurethane-15의 혼합 시료는 Rpv(Max-Min) 값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가 우수한 화장 막의 결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와 Polyurethane-15의 조합은 결 개선에 대해 상승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험예 2. 화장 막 단면 두께 평가
(1) 방법
하기 표 3의 조성(wt%)으로 기술 미적용 에센스 및 기술 적용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기술 미적용 에센스 기술 적용 에센스
카보머 0.10 -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 0.1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알코올 4.00 4.00
헥산다이올 1.50 1.5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4.00 4.00
글리세린 3.00 3.0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3.00 3.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1.00 1.00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0.30 0.3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0 5.00
중화제 0.22 0.22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바이오-스킨에 기술 미적용 에센스 및 기술 적용 에센스를 도포한 후, 상온에서 약 20-30 분 동안 건조시켰다. 그 다음,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퍼프를 사용하여 동일 횟수 및 동일 무게로 도포하여 화장 막을 형성하고, 화장 막 전사 물질을 도포하였다. 상기 화장 막 전사 물질(에폭시 수지)을 건조한 후 화장 막을 떼어내었다. 상기 떼어낸 화장 막의 반대 면(떼어내기 전 바이오-스킨과 밀착되어 있던 면)에 전사 물질(에폭시 수지)을 추가로 도포하였다. 건조하여 전사 물질/화장 막/전사 물질의 샌드위치 형태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단면 연마기(cross section polishing machine)를 사용하여 단면을 절단한 후, SEM 분석(FE-SEM, JSM-7001F, JEOL, Tokyo, Japa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데이터가 실제 조성물 층임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EDS 원소 분석을 수행했으며, 화장 막 내 TiO2 분말의 티타늄(Ti) 원소 함량과 에폭시 수지 내 탄소(C) 원소 함량을 측정하여 보다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도 1은 기술 미적용 에센스의 단면 SEM 이미지(a), C element EDS 이미지(b), Ti element EDS 이미지(c), 및 기술 적용 에센스의 단면 SEM 이미지(d), C element EDS 이미지(e), Ti element EDS 이미지(f)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소(C) 원소 분석을 통해 화장 막 위 아래의 물질이 고분자 전사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타이타늄(Ti) 분석을 통해 표시한 부분에 화장 막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술 미적용 에센스에서 화장 뭉침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기술 적용 에센스의 경우 기술 미적용 에센스보다 보다 얇고 균일한 화장 막이 형성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화장막 단면 두께를 측정했을 때 기술 미적용 에센스는 4.91 ㎛, 기술 적용 에센스는 2.27 ㎛ 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했을 때의 두께가 약 54%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고분자 종류에 따른 화장 막 평가_화장 균일도 평가
(1) 방법
본 실험예에서는 고분자를 제형에 포함시키지 않고 정제수(DI water) 또는 D5(실리콘 계열 오일)에 동일 농도로 분산시킨 후, 인조가죽 위에 도포한 다음 파운데이션을 도포하여 화장 막의 형성 상태를 관찰하였다.
먼저, 하기 표 4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료 3-1 내지 3-6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1 내지 3은 정제수를 용매로 하고, 고분자 4 내지 6은 D5를 용매로 하여, 상기 용매에 고분자를 각각 1 중량% 분산시켜 시료 3-1 내지 3-6을 제조하였다.
고분자명
고분자 1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고분자 2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고분자 3 Carbomer
고분자 4 Trimethylsiloxysilicate resin
고분자 5 Dimethicone Crosspolymer
고분자 6 Acrylates/Dimethicone Copolymer
실제 피부 상에 화장 필름(막)의 형성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색조 화장 조건의 평가에 많이 사용되는 인공스킨(인조가죽 또는 바이오-스킨)을 사용하였다. 인조 가죽(polyurethane synthetic leather fabric plain)은 색조-화장의 적용과 같은 평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스킨(Beaulax, Co. Ltd., Tokyo, surface free energy, γs = 31.5 mJ/m2)은 표면 에너지가 인간 피부의 표면 에너지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화장 균일도 평가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 인조가죽 표면을 에탄올로 세척하고 20 분 정도 건조한 후, 인조가죽에 각각의 시료를 0.1 g씩 도포하였다(도포 시 다른 인조가죽으로 문지르는 방식으로 표면에 골고루 도포하였다.).
2) 시료가 도포된 인조가죽을 충분히 건조시킨 후, 시료와 동일한 양의 리퀴드 파운데이션(liquid FD)을 퍼프를 이용하여 동일한 무게로 10회 도포하였다.
3) 리퀴드 파운데이션이 도포된 인조가죽을 충분히 건조시킨 후, 움직임 모사 전 임시 암막에서 동일 높이, 위치, 조명 조건에서 측정하여 1차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4) 사진 측정 후, 텍스처 분석 기기(TA XT plus, Stable Micro Systems, Cardiff, UK)를 이용하여 움직임 모사 후 위 방법을 반복하여 2차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5) 확보된 이미지 데이터를 Image Analysis Tool (Image P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일 면적을 동일 밝기 이하를 설정한 뒤, 화장 덜 발림/화장 무너짐을 어두운 면적 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결과
하기 표 5는 고분자 종류에 따른 인조가죽에서의 화장 균일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본 실험예에서는, 어두운 면적과 그렇지 않은 면적을 구분하기 위해, 칼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화장막을 벗겨냈을 때의 밝기를 측정하고, 상기 밝기 값보다 낮은 값을 가지는 경우를 "어두운 면적"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어두운 면적이 클수록 화장이 덜 발라졌거나, 화장이 무너졌음을 나타낸다. 이때, 화장 개선율은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식 3>
화장 개선율(%): (무도포 어두운 면적% - 시료 어두운 면적%) / 무도포 어두운 면적% X 100
화장 잘 발림(화장 막 형성 직후) 화장 무너짐 방지(움직임 모사 후)
어두운 면적(%) 화장 개선율(%) 어두운 면적(%) 화장 개선율(%)
무도포 21.92 - 35 -
시료 3-1 4.55 79.24 17.82 49.09
시료 3-2 16.15 26.32 28.48 18.63
시료 3-3 19.36 11.68 23.78 32.06
시료 3-4 13.72 37.41 31.28 10.63
시료 3-5 11.12 49.27 29.47 15.80
시료 3-6 18.67 14.83 36.71 -4.89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색조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디메티콘 계열의 레진과 기초 화장에서 피막 형성제 및 점증제로 사용되는 Carbomer(표면에너지: 50),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표면에너지: 33)와 비교하여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인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시료 3-1)는 화장 막 형성에 보다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모사 후,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인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시료 3-1)를 사용한 경우 화장막 유지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설문 조사(Questionnaire survey)
(1) 방법
설문조사는 20-49세 여성 지원자(n = 33, 20대: 10, 30대: 13, 40대: 10)를 대상으로 숙련된 설문조사 평가 전문가의 감독하에 가정용 사용자 테스트(home-user test)로 진행하였다. 지원자를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눈 후, 제1 그룹은 실험예 2의 기술 미적용 에센스 10 일, 실험예 2의 기술 적용 에센스 10 일을 진행하고, 제2 그룹은 실험예 2의 기술 적용 에센스 10 일, 실험예 2의 기술 미적용 에센스 10 일을 진행 한 후, 10 일째마다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때 모든 평가는 블라인드로 진행하였다. 테스트로 인해 얼굴 피부가 붉어지거나 가려움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지원자는 없었다.
(2) 결과
객관적이고 정량화 가능한 평과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인지된 효능이다. 실제로, 촉각 평가 결과와 객관적인 매개변수를 연결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실험예에서는 실험예 1 내지 3의 물리적 평가 결과와 소비자 체감 효능 평가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비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주 5일 이상 메이크업을 하는 20-40대 여성 33명을 대상으로 메이크업과 관련된 현상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22004217-appb-img-000001
먼저, 메이크업 만족도 평가 결과, 본 발명의 기술 적용 에센스를 사용했을 때의 만족도는 86%로, 기술 미적용 에센스와 비교했을 때 만족도는 약 72% 정도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화장 막의 표면, 단면 및 파단 부위 분석 결과와 관련된 메이크업의 밀착력 및 피부결(skin texture)을 평가하였다. 밀착력의 경우, 기술 적용 에센스를 사용했을 때의 만족도는 82.8%로, 기술 미적용 에센스와 비교하여 약 25.8% 증가한 것을 확인할수 있다. 마찬가지로, 피부가 부드러워졌을 때, 기술 적용 에센스를 사용했을 때의 만족도가 80%로 기술 미적용 에센스와 비교하여 39.8%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피부/화장 막의 친화력을 높이는 방법이 실제 소비자 경험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 막의 상태 분석 결과와 사용감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는 피부와 화장 막 사이의 친화력을 높여, 실제 화장 막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은 실시예의 표면 거칠기, 단면 SEM 이미지 분석, EDS 원소 분석, 및 파단 면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화장 막 분석 방법은 기존의 한계를 넘어 보다 화장 막에 대한 객관적인 정량적 분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인지하는 효능(efficacy)과도 상관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향후 화장 막 분석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는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및 폴리우레탄-15 중 하나 이상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내지 5 중량%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전에 사용되어, 메이크업 화장료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화장의 들뜸, 화장의 무너짐 또는 화장의 뭉침을 개선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제형은 기초 화장품, 선 제품 및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6. 양친매성 폴리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메이크업 화장료를 도포하여 화장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형성된 화장 막의 Rpv (Max - Min) 값이 38% 이상 감소하거나,
    화장 막의 Spk 값이 35% 이상 감소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화장 막 단면의 두께가 50% 이상 감소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방법.
PCT/KR2022/004217 2021-03-25 2022-03-25 양친매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2034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24332.6A CN117098528A (zh) 2021-03-25 2022-03-25 包含两亲性高分子的化妆材料组合物
JP2023558874A JP2024511182A (ja) 2021-03-25 2022-03-25 両親媒性高分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51 2021-03-25
KR20210039051 2021-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446A1 true WO2022203446A1 (ko) 2022-09-29

Family

ID=8339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4217 WO2022203446A1 (ko) 2021-03-25 2022-03-25 양친매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11182A (ko)
KR (1) KR20220133816A (ko)
CN (1) CN117098528A (ko)
WO (1) WO202220344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953A (ko) * 2011-01-03 2012-07-11 한국콜마 주식회사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70112194A (ko) * 2016-03-31 2017-10-12 (주)셀트리온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1370A (ko) * 2017-02-06 2018-08-16 코스맥스 주식회사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94279B1 (ko) * 2020-06-25 2020-12-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메이크업 밀착력 강화 및 묻어남 방지를 위한 양이온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8891A (ko) * 2019-09-05 2021-03-15 (주)아모레퍼시픽 내수성 및 내유성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1589A (ko) *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메이크업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화장 지속력을 올려주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953A (ko) * 2011-01-03 2012-07-11 한국콜마 주식회사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70112194A (ko) * 2016-03-31 2017-10-12 (주)셀트리온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1370A (ko) * 2017-02-06 2018-08-16 코스맥스 주식회사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8891A (ko) * 2019-09-05 2021-03-15 (주)아모레퍼시픽 내수성 및 내유성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1589A (ko) *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메이크업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화장 지속력을 올려주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4279B1 (ko) * 2020-06-25 2020-12-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메이크업 밀착력 강화 및 묻어남 방지를 위한 양이온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1182A (ja) 2024-03-12
CN117098528A (zh) 2023-11-21
KR20220133816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6040B2 (ja) 油性化粧料
DE69821180T2 (de) Stabile topische Zusammensetzungen mit einem festen elastomerischen Organopolysiloxan und sphärischen Partikeln
WO2017119612A1 (ko)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4157960A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7945A (ko) 방수성 메이크업 또는 케어 조성물에서의 친수성폴리유기실록산 입자의 용도
WO2020036432A1 (ko)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12424A1 (ko)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르가노겔 마스크 팩
WO2023113147A1 (ko) 다량의 펄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80348A1 (ko) 문신용 입술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03446A1 (ko) 양친매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rk et al. Two possible classifications of facial skin type by two parameters in Korean women: sebum excretion rate (SER) and skin surface relief (SSR)
KR0166631B1 (ko) 양친매성 지질계 다중 에멀젼 립스틱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7043774A1 (ko)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669522B (zh) 一种基于皮肤脂质组学制备适用于青年男女的仿生护肤组合物的方法
JP2000143445A (ja) 移らないメイクアップ方法並びに当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キット
JP4049414B2 (ja) 乳化組成物
JPH09143029A (ja) 化粧料
WO2019022425A2 (ko)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11180851A (ja) 皮膚化粧料
WO2021193999A1 (ko) 천연 무기분체 유래의 탄성을 가지는 화장용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JP3689381B2 (ja) 油性化粧料
WO2021040275A1 (ko)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및/또는 미세 먼지 차단용 세륨옥사이드 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866563B2 (ja) 化粧料
JP2002138019A (ja) アイメークアップ化粧料
WO2016088905A1 (ko)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761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58874

Country of ref document: JP

Ref document number: 202280024332.6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9/02/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