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97051A1 -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 Google Patents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97051A1
WO2022197051A1 PCT/KR2022/003554 KR2022003554W WO2022197051A1 WO 2022197051 A1 WO2022197051 A1 WO 2022197051A1 KR 2022003554 W KR2022003554 W KR 2022003554W WO 2022197051 A1 WO2022197051 A1 WO 20221970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ail
housing
guide
moving
glov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35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동일
최동용
박창복
Original Assignee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EP22771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09956A1/en
Publication of WO20221970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970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glov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 glove box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by being moved in a sliding manner on a dashboard.
  • a dashboard in which an instrument device, an operation switch, an audio, etc. are installed is provided in the front.
  • a glove box for storing small items us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oper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ashboard, that is, on the passenger seat side.
  • the glove box may be configured to largely include a housing mounted on the dashboard, an accommodating part built into the housing, and a front panel mounted on a front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 the accommodating part has a configuration that is opened or closed by turning in the housing.
  • the sliding glove box as described abov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ceiving part is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rail on the dashboard to open or close.
  • the receiving part flows in an up/down direction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receiving part from the housing or putting the receiving part into the housing.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ommodating part is shaken upward or downward in the process of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 the conventional sliding glove box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separate the receiving unit on the dashboard.
  • the existing sliding glove box has a problem in that since guide rai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unit to support the load of the receiving unit,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eiving unit is reduced by the volume occupied by the guide rail, There is an unsightly problem in that the rail is apparently exposed when the part is opened.
  •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glove box configured to connect only the bottom of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the rail so that the rail is not externally exposed when the accommodating part is withdrawn from the housing.
  • the glove box having the rail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interior space.
  • the receiving unit flows in the width direction There is this. That is, due to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guide rail is mounted only on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on part, when the accommodation part is linearly reciprocated,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it fl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noise.
  •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related prior art document, there is a 'operating device for an electric sliding glove box for a vehicl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82171.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glove box configured to allow the housing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without separating the housing from the dashboar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glove box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accommodating part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nd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part from f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same tim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glove box comprising a housing mounted on a dashboard, a pair of rail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receiving unit that is moved along the rail and can be pulled out in a sliding manner, wherein the rail
  • the unit may include: a fixed rail mounted to the housing; and a moving rail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xed rail and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fixed rail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art.
  • the fixed rail may include: a guide frame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moving rail is accommodated and moved; and a coupling frame provided on the guide frame and coupled to the housing.
  • the guide frame may include a pair of guide protrusion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moving rail, and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moving rail may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while being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guide frame; Includes; a moving member to which the plurality of wheels are rotatably mounted, wherein the plurality of wheels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y one of a pair of guide protrusions formed on the guide frame One guide projection may be in rolling contact.
  • the moving member may be coupled to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 a stopper for limi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ceiving par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fixed rail, and the stopper may be mounted on a connection piece provided at on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ail.
  • the stopper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member configured to connect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pair of fixed rails to each oth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 a blocking member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irst coupling member, the pair of fixed rails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block the moving rail from being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fixed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side; a second coupling memb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bottom-sid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upport member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second coupling member and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which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and opened.
  • connection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on hole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 a buffer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to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ing member when the receiving portion is slidably mov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the The wheel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guide protrusion after moving 0.1mm to 2mm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arranged from the rotation center A.
  • the sliding glov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ving rail composed of a plurality of wheels is stably moved linearly and reciprocally along the fixed rail, so that the receiving unit can be easily withdrawn from the housing, and the receiving unit can be subjected to external impact.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from vibration or vibration.
  • the sliding glov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unit is separable from the housing, the user can easily perform replacement or repair work.
  • the sliding glov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accommodating part is exposed from the housing and opened, the rail for drawing out the accommodating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can be maintained beautiful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glov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eiving unit is drawn out from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ar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sliding glove box shown in Figure 3;
  •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sliding glove box shown in Fig. 2;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sliding glov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removed.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heel and a guide protrus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of the rail shown in FIG. 10 as viewed from the front;
  • FIGS. 1 to 11 a sliding glov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
  •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liding glove box 100 includes a housing 110 mounted on a dashboard (not shown), and an inner side of the housing 110 . It may include a pair of rail units 120 provided on the , and a receiving unit 130 that is moved along the rail unit 120 and can be drawn out in a sliding manner.
  • the housing 110 may be a component mounted on the dashboard.
  •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130 can be accommodated. That is,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accommodating part 130 may be slidably moved on the housing 110 to be withdrawn.
  • the rail unit 120 may be a component that enables the accommodating unit 130 to slide and move on the housing 110 .
  • the rail unit 120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in the housing 110 .
  • the rail unit 120 includes, as shown in FIGS. 7 to 9 , a fixed rail 121 mounted on the housing 110; and a moving rail 122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xed rail 121 and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fixed rail 121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 have.
  • the fixing rail 121 is a component mounted on the housing 110 and maintains a fixed state regardless of the sliding movement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
  • the fixed rail 121 includes, as shown in FIGS. 7 and 8 , a guide frame 121a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moving rail 122 is accommodated and moved; and a coupling frame (121b) provided to b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guide frame (121a) and coupled to the housing (110).
  • the guide frame 121a may have a 'C'-shaped cross section.
  • the 'C'-shaped groove partitioned by the guide frame 121a can be said to be a space in which the moving rail 122 is accommodated and moved, as described above.
  • the guide frame 121a may include a pair of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guide frame 121a defining a 'C'-shaped groove. That is, any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121c among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frame 121a as shown in FIG. 8 . And, as shown in FIG. 8 , the other guide protrusion 121d may be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guide frame 121a.
  •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121a, and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as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inimizes the flow generated in the process in which the moving rail 1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linearly reciproc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121a, and, in addition, the The movable rail 122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shaped groove partitioning the guide frame 121a.
  • the coupling frame 121b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roove formed by the guide frame 121a.
  • the coupling frame 121b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guide frame 121a, and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121a.
  • the coupling frame (121b)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used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110).
  • the fixed rail 12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moving rail 122 and the receiving unit 130 to stably reciprocate in a straight line.
  • the moving rail 122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s 122a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121a while being disposed in a 'C'-shaped groove partitioned by the guide frame 121a; and a moving member 122b to which the plurality of wheels 122a are rotatably mounted.
  • the plurality of wheels 122a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122b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y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formed on the guide frame 121a. 121c, 121d) may be in rolling contact.
  • An annular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jections 121c and 121d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122a.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wo or four or more wheels 122a may be provided on the moving member 122b.
  • the plurality of wheels (122a) disposed on the moving member (122b) has a configuration in contact with a pair of guide projections (121c, 121d) formed on the guide frame (121a) alternately.
  • the wheel 122a dispos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122b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protrusion 121c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guide frame 121a, and disposed at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122b.
  • the wheel 122a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protrusion 121d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side of the guide frame 121a
  • the wheel 122a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middle of the moving member 122b is the guide frame 121a. It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protrusion 121c formed on the bottom side.
  • a plurality of wheels (122a), as shown in FIG. 9, is provided on the moving member (122b) with a different rotation center alternately.
  • the reason why only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among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makes rolling contact with the wheel 122a is to enable the moving rail 122 to move smoothly in a straight line. it is for
  • any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among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wheel 122a and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can be minimized while the receiving part 130 is moved.
  • (121c, 121d) and the wheel (122a) is preferably in rolling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moving member 122b may have a plate shape, and has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frame 121a.
  • the moving member 122b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3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while rotatab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wheels 122a. Accordingly, the accommodating part 130 may be slidably moved in the housing 110 by the rail part 12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 the degree to which the plurality of wheels 122a provided on the moving member 122b and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provided on the guide frame 12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has a very important effect on the mobility of the receiving unit 130 . inflicts For example, when the degre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wheel 122a and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is sm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ommodating part 130 is shaken in the process of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 the wheel 122a and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are closely attached in consideration of the mobility and fluidity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
  •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have a hemispherical cross section, and correspondingly, the annular groov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122a also has a hemispherical cross section.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122a dividing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and the annular groove may be in point or line contact.
  • the wheel 122a moves from the center of rotation 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are arranged by 0.1 mm to 2 mm and then the It is preferable to contact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 the wheel 122a and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urface contact state.
  • the wheel 122a mounted on the guide frame 121 has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of the wheel 122a and the wheel 122a. It is preferable to move 0.1mm to 2mm from the point of initial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to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protrusions 121c and 121d.
  • the accommodating part 130 is moved at an unintended speed or shake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ocess of movement is prevented can be
  • the sliding glove box 100 is provi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ail 121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ceiving unit 130 .
  • a stopper 200 may be included.
  • the stopper 200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connection piece 123 provided on one end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ail 121 .
  • the stopper 200 may have a plate shape connecting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fixing rails 1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one longitudinal end of the stopper 200 is connected to one fixed rail 121 among the pair of fixed rails 121 ,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thereof is the other fixed rail 121 among the pair of fixed rails 121 .
  • ) can be associated with
  • the stopper 200 includes a first coupling member 210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ece 123; I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irst coupling member 210 , and a pair of the fixing rails 121 exten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movable rail 122 is outside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rail 121 .
  • a blocking member 220 that blocks the separation into the;
  • a second coupling member 23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220 and coupled to the bottom-sid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 support member 240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0 and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tha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and opened.
  • the first coupling member 21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iece 123 using a known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a nut, or a screw. Accordingly, the first coupling member 210 and the connecting piece 123 are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into which the fastening means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 the connecting piece 123 i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roove formed by the guide frame (121a). That is, it is preferable to expose the connecting piece 123 to the outsid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fastening operation between the connecting piece 123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210 from the outside of the fixed rail 121 , In order to completely take out the receiving unit 130 from the housing 110 in order to replace or repair the payment unit 13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connection piece 123 at a posi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rail 122. .
  • the connecting piece 123 is formed to be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fixing rails 121 face each other, the operator has no choice but to perform the bolting operation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210 and the connecting piece 123 with difficulty. . This is because the connecting piece 123 is not exposed to the naked eye.
  • the connecting piece 123 is formed to be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fixed rails 121 face each other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ail 121 , the moving rail 122 is the length of the fixed rail 121 . Since separation to one end side in the direction is blocked, the operator cannot separate the accommodating part 130 on the housing 110 .
  • the connecting piece 123 is provided on the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fixing rails 121 do not face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fixing rail 1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moving rail 122 when the moving rail 122 is moved from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fixed rail 121 to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fixed rail 121 in order to open the receiving part 130, the moving rail 122 is a fixed rail It serves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shaped cross-section formed in the guide frame 121a of (121).
  • the blocking member 220 serves to prevent the moving rail 12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rail 121 when the receiving part 130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110 and maximally opened.
  •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110 to strengthen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locking member 220 . That is, it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by means of a fastening means. Accordingly, fastening holes into which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screws, can be inserted,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bottom front surfaces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0 and the housing 110 .
  • the support member 240 connects the second coupling members 230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air of fixed rails 121 to each other, and as shown in FIG. 3 , the receiving part 130 in the housing 110 is When it is opened, it serves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
  • the stopper 2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user needs to separate the receiving unit 130 from the housing 110 in order to replace or repair the receiving unit 130, the fixed rail 121 It can be separated by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fastening means at on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when the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connecting piece 123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21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iece 123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210 , the receiving part 130 is detachable from the housing 110 . becomes
  •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13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unit 130 and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122b of the fixed rail 122 may be provided as a pair.
  • the connecting member 131 is disposed
  • the receiving part 130 may be opened while only the undissolved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 At this time, even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30 is opened on the housing 110 due to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131 and the moving rail 122 , the rail part 2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a fixing pin 131a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131 .
  • the fixing pin 131a may be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ng hole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220 when the receiving part 130 is moved and opened on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S. 2 and 5 .
  • the fixing pin 131a and the flow prevention hole serve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part 130 from flowing from external shocks or shaking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30 is opened.
  •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rail 122 is a stopper.
  • the blocking member 220 of 2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and at this time, the fixing pin 131a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131 is blocked so that the receiving part 130 does not flow in the width direction. It may be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on hole formed in the member 220 .
  • the accommodating part 130 constituting the open stat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 the blocking member 220 of the stopper 200 serves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part 130 forming an open state from further advancing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events the flow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220 .
  • the fixing pin 131a formed in the hole and the connecting member 131 of the receiving part 130 serves to prevent the receiving part 130 in an open state from flowing along its width direction.
  • the stopper 200 limits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30 is moved and opened in the housing 110, its width It serves to prevent flow in the right direction.
  • the blocking member 220 is A buffer member 131b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may be provided.
  • the buffer member 131b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131 while being positioned abov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xing pin 131a, and when the fixing pin 131a is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on hole It may have a protruding length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ing member 220 .
  • the buffer member 131b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silicone,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blocking member 220 of the stopper 200 is relieved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blocking member 220 .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sold in the field of automobile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로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 상기 외측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수납부의 저부와 연결되는 내측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레일에는 상기 수납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본 발명은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대쉬보드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개방되거나 닫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전방에 계기장치나 조작스위치, 오디오 등이 설치되는 대쉬보드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대쉬보드의 일측, 즉, 조수석 측에는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되는 소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글로브 박스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글로브 박스는,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전면 패널을 크게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는 하우징에서 선회되어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실내공간이 넓어짐에 따라서 대쉬보드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직선왕복운동되어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구성의 글로브 박스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대쉬보드상에서 수납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이동되어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하우징에서 수납부를 꺼내거나 수납부를 하우징에 넣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수납부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납부가 직선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대쉬보드상에서 수납부를 완전히 분리시키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수납부를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대쉬보드에 장착된 하우징을 우선적으로 대쉬보드에서 분리시켜야 하는데, 상기 하우징이 대쉬보드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대쉬보드와 결합된 상태를 이루므로, 대쉬보드를 차체에서 우선적으로 분리하는 작업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작업과정을 일반인이 수행하기에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수납부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들여가며 숙련된 차량 정비사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기존의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수납부의 하중 지지를 위하여 수납부의 양측부에 가이드 레일을 각각 마련하였기 때문에 수납부의 내부 공간이 상기 가이드 레일이 차지하는 부피에 의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고, 수납부가 개방될 시에 레일이 외관상으로 노출되어 보기 흉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수납부의 길이방향 일측 저부만 레일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글로브 박스를 개발하여 하우징에서 수납부가 인출될 시에 상기 레일이 외관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위와 같이, 레일이 수납부의 저면과 장착된 글로브 박스는 차량 실내 공간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하우징에서 수납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킬 시에 수납부가 그 폭방향으로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이드 레일이 수납부의 하부에만 장착되는 관계로 인하여 수납부가 직선왕복 운동될 시에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소음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2171호의 '차량용 전동 슬라이딩 글로브박스의 작동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을 대쉬보드상에서 분리시키지 않고도 수납부를 하우징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수납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수납부의 폭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로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고정 레일; 및 상기 고정 레일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납부의 저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레일은, 상기 이동 레일이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이동 레일과 구름 접촉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기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다수개의 바퀴; 상기 다수개의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바퀴는, 서로 이격된 채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이드 돌기와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저부에 마련된 연결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레일에는 상기 수납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고정 레일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마련된 연결편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는, 한 쌍의 상기 고정 레일의 길이방향 선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연결편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제1결합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고정 레일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 레일이 상기 고정 레일의 길이방향 일단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부측 전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개방된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유동방지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납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될 때, 상기 차단부재의 후면과 접촉되는 완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에 형성된 환형홈에 가이드 돌기가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환형홈을 구획하는 바퀴의 내주면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되었을 때 상기 바퀴의 회전 중심을 A라고 가정하면, 상기 바퀴는 상기 회전 중심 A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배치된 방향을 항하여 0.1mm~2mm 이동된 후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다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이동 레일이 고정 레일을 따라서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고, 더불어, 수납부가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하우징상에서 수납부를 분리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교체 또는 보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노출되어 개방되어도, 수납부를 인출시키는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저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저부를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레일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레일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와 가이드 돌기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레일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100)는, 대쉬보드(미도시)에 장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120)와, 상기 레일부(120)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수납부(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다. 즉, 수납부(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120)는,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레일부(120)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부(12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고정 레일(121); 및 상기 고정 레일(1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 레일(1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레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1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수납부(130)의 슬라이딩 이동과 관계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 레일(121)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레일(122)이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프레임(121a);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121a)과 일체로 연결되게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121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21a)은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21a)에 의해 구획된 'ㄷ'자 형태의 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레일(122)이 수용되어 이동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21a)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는 'ㄷ'자 형태의 홈을 구획하는 가이드 프레임(121a)의 바닥면과 천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이드 돌기(121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21a)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 돌기(121d)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21a)의 천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는 가이드 프레임(1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반원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는, 후술할 이동 레일(122)이 가이드 프레임(1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최소화하고, 더불어, 상기 이동 레일(122)이 가이드 프레임(121a)에 구획하는 'ㄷ'자 형태의 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 프레임(121b)은, 가이드 프레임(121a)에 의하여 형성된 홈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121b)은 가이드 프레임(121a)과 일체로 연결되며, 가이드 프레임(1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결합 프레임(121b)에는 하우징(110)과 결합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 레일(121)은, 이동 레일(122)과 수납부(130)가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 레일(122)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121a)이 구획하는 'ㄷ'자 형의 홈에 배치된 채 상기 가이드 프레임(1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다수개의 바퀴(122a); 및 상기 다수개의 바퀴(122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재(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바퀴(122a)는, 서로 이격된 채 이동부재(122b)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가이드 프레임(121a)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이드 돌기(121c, 121d)와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바퀴(122a)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1c, 121d)가 삽입될 수 있는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퀴(12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재(122b)에 세 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바퀴(122a)는 이동부재(122b)에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부재(122b)에 배치된 다수개의 바퀴(122a)는, 가이드 프레임(121a)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에 교대로 접촉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이동부재(122b)의 길이방향 일단에 배치된 바퀴(122a)는 가이드 프레임(121a)의 바닥면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1c)와 구름 접촉되고, 이동부재(122b)의 길이방향 중단에 배치된 바퀴(122a)는 가이드 프레임(121a)의 천장면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1d)와 구름 접촉되고, 이동부재(122b)의 길이방향 중단에 배치된 바퀴(122a)는 가이드 프레임(121a)의 바닥면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1c)와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다수개의 바퀴(122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회전 중심을 달리 한 채 이동부재(122b)에 마련된다.
위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이드 돌기(121c, 121d)만 바퀴(122a)와 구름 접촉시키는 이유는, 이동 레일(122)이 원활하게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수납부(13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바퀴(122a)와 가이드 돌기(121c, 121d)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이드 돌기(121c, 121d)와 바퀴(122a)를 서로 구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퀴(122a)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1c, 121d)에 모두 구름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차량이 흔들리는 경우에 발생되는 하중이 수납부(130)와 이동부재(122b) 및 바퀴(122a)를 통하여 가이드 프레임(121a)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가이드 프레임(121a)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가이드 프레임(121a)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개의 바퀴(122a)와 가이드 돌기(121c, 121d)를 서로 구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122b)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121a)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동부재(122b)는 다수개의 바퀴(122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수납부(130)의 저부에 마련된 연결부재(13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13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레일부(120)에 의하여 하우징(110)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122b)에 마련된 다수개의 바퀴(122a)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121)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121c, 121d)가 서로 밀착되는 정도는 수납부(130)의 이동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예컨대, 바퀴(122a)와 가이드 돌기(121c, 121d)의 밀착 정도가 작으면 수납부(130)가 직선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바퀴(122a)와 가이드 돌기(121c, 121d)의 밀착 정도가 크면 수납부(130)가 바퀴(122a)와 가이드 돌기(121c, 121d) 간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수납부(130)의 직선 왕복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빡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퀴(122a)와 가이드 돌기(121c, 121d)는 수납부(130)의 이동성과 유동성을 고려하여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돌기(121c, 121d)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구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바퀴(122a)의 둘레면에 형성된 환형홈도 반구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바퀴(122a)에 형성된 환형홈에 가이드 돌기(121c, 121d)가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21c, 121d)와 상기 환형홈을 구획하는 바퀴(122a)의 내주면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되었을 때, 상기 바퀴(122a)의 회전 중심을 A라고 가정하면, 상기 바퀴(122a)는 상기 회전 중심 A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21c, 121d)가 배치된 방향을 항하여 0.1mm~2mm 이동된 후 상기 가이드 돌기(121c, 121d)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22a)와 가이드 돌기(121c, 121d)는 서로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21)에 장착되는 바퀴(122a)는, 상기 가이드 돌기(121c, 121d)가 바퀴(122a)의 환형홈에 삽입되어 바퀴(122a)의 내주면과 최초 접촉되는 지점에서부터 상기 가이드 돌기(121c, 121d)를 향하여 0.1mm~2mm 이동되어 가이드 돌기(121c, 121d)와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22b)에 장착된 다수개의 바퀴(122a)의 회전 중심은, 상기 이동부재(122b)의 폭방향 중심에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0.1mm~2mm 범위로 이동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위와 같이, 바퀴(122a)와 가이드 돌기(122c, 122d)가 0.1mm~2mm 정도 겹쳐지게 되면, 수납부(130)가 의도치 않은 속도로 이동되거나 또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마련되어 수납부(1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200)는,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마련된 연결편(12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스톱퍼(2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스톱퍼(200)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한 쌍의 고정 레일(121) 중에서 일측 고정 레일(121)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부는 한 쌍의 고정 레일(121) 중에서 타측 고정 레일(12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200)는, 상기 연결편(123)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210); 상기 제1결합부재(210)와 일체로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고정 레일(12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 레일(122)이 상기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220); 상기 차단부재(220)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저부측 전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230); 및 상기 제2결합부재(230)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개방된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10)는 볼트, 너트, 나사와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편(123)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210)와 연결편(123)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멍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참고로, 작업자가 스톱퍼(200)의 제1결합부재(210)와 연결편(123)을 용이하게 결합하고, 또한, 수납부(130)를 하우징(110) 상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편(123)을 가이드 프레임(121a)에 의하여 형성된 홈의 반대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가 고정 레일(121)의 외측에서 연결편(123)과 제1결합부재(210) 간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편(123)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납부(130)를 교체하거나 보수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상에서 수납부(130)를 완전히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편(123)을 이동 레일(122)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상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연결편(123)이 한 쌍의 고정 레일(12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지게 형성된다면, 작업자가 제1결합부재(210)와 연결편(123)의 볼팅 작업을 어렵게 수행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연결편(123)이 육안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연결편(123)이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한 쌍의 고정 레일(12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지게 형성된다면, 이동 레일(122)이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 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하우징(110) 상에서 수납부(130)를 분리시킬 수 없다.
따라서, 연결편(123)은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한 쌍의 고정 레일(121)이 서로 마주하지 않는 방향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재(220)는, 수납부(130)가 개방되기 위하여 이동 레일(122)이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타측에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될 시에, 이동 레일(122)이 고정 레일(121)의 가이드 프레임(121a)에 형성된 'ㄷ'자 단면의 홈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차단부재(220)는, 수납부(130)가 하우징(110) 상에서 인출되어 최대로 개방되었을 때, 이동 레일(122)이 고정 레일(1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230)는, 하우징(110)의 저부와 결합되어 차단부재(220)의 지지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체결수단에 의해 하우징(110)의 저부 저면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결합부재(230)와 하우징(110)의 저부 전면에는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멍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한 쌍의 고정 레일(121)에 각각 마련된 제2결합부재(230)를 서로 연결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서 수납부(130)가 개방되었을 때, 수납부(130)의 저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톱퍼(200)는, 사용자가 수납부(130)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하여 하우징(110) 상에서 수납부(130)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측에서 체결수단의 해제 작업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즉, 연결편(123)과 제1결합부재(21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연결편(123)과 제1결합부재(210) 상에서 분리하면,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레일(122)의 이동부재(122b)와 결합되는 연결부재(13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개방되기 위하여 이동 레일(122)이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1)가 배치되지 않은 부위만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채 수납부(13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31)와 이동 레일(122)의 배치 관계에 의하여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상에서 개방되어도 레일부(200)가 외부로 비노출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1)의 전면부에는 고정핀(131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31a)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상에서 이동되어 개방되면 상기 차단부재(220)에 형성된 유동방지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131a)과 유동방지구멍은, 수납부(130)가 개방되었을 때, 수납부(130)가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0)를 완전히 개방시키기 위하여 이동 레일(122)을 고정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 레일(122)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스톱퍼(200)의 차단부재(220) 후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수납부(130)가 그 폭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연결부재(131)의 전면부에 형성된 고정핀(131a)이 차단부재(220)에 형성된 유동방지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131a)이 차단부재(220)의 유동 방지구멍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수납부(130)가 그 폭방향(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톱퍼(200)의 차단부재(220)는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수납부(13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더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하고, 상기 차단부재(220)에 형성된 유동방지구멍과 수납부(130)의 연결부재(131)에 형성된 고정핀(131a)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수납부(130)가 그 폭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200)는, 수납부(130)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이동되어 개방되었을 때, 그 폭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납부(13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될 때, 상기 차단부재(220)의 후면과 접촉되는 완충부재(131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31b)는 상기 고정핀(131a)의 형성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된 채 상기 연결부재(131)의 전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131a)이 유동방지구멍에 삽입되면 차단부재(220)의 후면과 접촉되는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완충부재(131b)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 실리콘,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130)가 개방될 때, 스톱퍼(200)의 차단부재(220)에 전달되는 힘이 완화되어 차단부재(22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산업분야에 적용되어 판매될 수 있다.

Claims (10)

  1.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로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고정 레일; 및
    상기 고정 레일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납부의 저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은,
    상기 이동 레일이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이동 레일과 구름 접촉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기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다수개의 바퀴;
    상기 다수개의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바퀴는, 서로 이격된 채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이드 돌기와 구름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저부에 마련된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에는 상기 수납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고정 레일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마련된 연결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한 쌍의 상기 고정 레일의 길이방향 선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연결편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제1결합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고정 레일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 레일이 상기 고정 레일의 길이방향 일단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부측 전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개방된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유동방지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납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될 때, 상기 차단부재의 후면과 접촉되는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에 형성된 환형홈에 가이드 돌기가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환형홈을 구획하는 바퀴의 내주면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되었을 때 상기 바퀴의 회전 중심을 A라고 가정하면, 상기 바퀴는 상기 회전 중심 A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배치된 방향을 항하여 0.1mm~2mm 이동된 후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PCT/KR2022/003554 2021-03-17 2022-03-15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WO20221970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771717.0A EP4309956A1 (en) 2021-03-17 2022-03-15 Sliding-type glove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805 2021-03-17
KR1020210034805A KR102530050B1 (ko) 2021-03-17 2021-03-17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7051A1 true WO2022197051A1 (ko) 2022-09-22

Family

ID=8332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3554 WO2022197051A1 (ko) 2021-03-17 2022-03-15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09956A1 (ko)
KR (1) KR102530050B1 (ko)
WO (1) WO2022197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037A (ko) 2021-12-09 2023-06-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슬라이딩 글로브 박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937B1 (ko) * 2005-10-13 2007-03-12 정자훈 멀티미디어 기능 강의대용 커버개폐레일장치
JP2011201471A (ja) * 2010-03-26 2011-10-13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KR101209950B1 (ko) * 2010-10-22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자기기 수용 장치
EP2397370B1 (en) * 2010-06-17 2013-03-06 Iveco S.p.A. Guide for sliding glove box of a vehicle's dashboard
KR20140113417A (ko) * 2013-03-15 2014-09-24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
KR102082171B1 (ko) 2018-12-14 2020-02-27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 슬라이딩 글로브박스의 작동장치
KR20220014733A (ko) * 2020-07-29 2022-02-07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유동방지구조
US20220153203A1 (en) * 2020-11-18 2022-05-19 Kbi Dongkook Ind. Co., Ltd. Sliding type glove box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937B1 (ko) * 2005-10-13 2007-03-12 정자훈 멀티미디어 기능 강의대용 커버개폐레일장치
JP2011201471A (ja) * 2010-03-26 2011-10-13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EP2397370B1 (en) * 2010-06-17 2013-03-06 Iveco S.p.A. Guide for sliding glove box of a vehicle's dashboard
KR101209950B1 (ko) * 2010-10-22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자기기 수용 장치
KR20140113417A (ko) * 2013-03-15 2014-09-24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
KR102082171B1 (ko) 2018-12-14 2020-02-27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 슬라이딩 글로브박스의 작동장치
KR20220014733A (ko) * 2020-07-29 2022-02-07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유동방지구조
US20220153203A1 (en) * 2020-11-18 2022-05-19 Kbi Dongkook Ind. Co., Ltd. Sliding type glove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906A (ko) 2022-09-26
KR102530050B1 (ko) 2023-05-08
EP4309956A1 (en) 2024-01-24
KR102530050B9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97051A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WO2014065523A1 (ko) 서랍용 슬라이드 탈착장치
WO2016208918A1 (en)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display module
WO2019151820A1 (en) Refrigerator
WO2013154282A1 (en)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WO2013039326A1 (ko)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WO2011093615A2 (en) Refrigerator
WO2013047930A1 (ko)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WO2019139290A1 (ko)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WO2017069387A1 (ko)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WO2019146853A1 (ko) 종아리 안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마사지 장치
WO2022220374A1 (ko) 냉장고
WO2022220361A1 (ko) 안전 도어핸들
WO2022092696A1 (ko) 슬라이딩 장치
WO2022045529A1 (ko) 바퀴 장치
WO2014017775A1 (ko)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WO2023068625A1 (ko) 차량용 수납부의 슬라이딩 이송장치
WO2020246681A1 (ko) 고정력과 완충성을 구비한 오버슬램범퍼
WO2021085941A1 (en) Refrigerator
WO2010008128A1 (ko)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WO2015163613A1 (ko) 스테핑 모터
WO2020256192A1 (ko) 고정 어셈블리
WO2010093098A1 (ko)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WO2018101659A2 (ko) 사출 성형기의 형체장치
WO2021085839A1 (en)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717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550721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717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717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