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2546A1 -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2546A1
WO2022092546A1 PCT/KR2021/012000 KR2021012000W WO2022092546A1 WO 2022092546 A1 WO2022092546 A1 WO 2022092546A1 KR 2021012000 W KR2021012000 W KR 2021012000W WO 2022092546 A1 WO2022092546 A1 WO 20220925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mp10
brown
fat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fi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20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철수
엄지현
박시영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JP202257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48259A/ja
Publication of WO20220925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2546A1/ko
Priority to US18/072,750 priority patent/US2023012450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75Bone morphogenic factor;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inducing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bone-forming protein 10 as an active ingredient.
  • Obesity is caused by an imbalance in energy intake and consumption, and the extra energy is converted into fat cells and stored in the body. Free fatty acids and cytokines secreted from the accumulated fat cells induce insulin resistance and increase the inflammatory response, which is a direct caus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 Drugs that a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clude drugs such as fenfluramine and dexfenfluramine that inhibit the serotonin (5HT) nervous system according to each mechanism, drugs such as ephedrine and caffeine via the noradrenergic nervous system, and recently, drugs such as serotonin and noradrenergic nervous system simultaneously Drugs such as Sibutramine, which act to inhibit obesity, are on the market.
  • fenfluramine has recently been banned due to side effects such as primary pulmonary hypertension and heart valve lesions. Side effects such as incontinence and impaired absorption of fat-soluble vitamins have been reported.
  • other chemically synthesized drugs have problems such as blood pressure reduction or lactic acidosis, and thus cannot be used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or renal disease.
  • BMP10 did not increas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bone tissue formation was not observed in animal experiments.
  • BMP10 did not increas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bone tissue formation was not observed in animal experiments.
  • BMP proteins other than BMP10 can promote brown fat differentiation, but can also promote bone differentiation at the same tim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cting as a side effect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ing a treatment for obesity and diabetes.
  • Examples of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 development on the development of a treatment for promoting bone formation can be easily found, but the treatment for obesity using them is not confirm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contain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as an active ingredient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and dyslipidemi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 as an active ingredient.
  • BMP10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tabolic disease contain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 as an active ingredient.
  • BMP10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 brown fat differentiation was promoted in the mouse embryonic mesenchymal cell line C3H10T1/T2 cells treated with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 and brown fat was increased in stromal vascular fraction adipose stem cells isolated from subcutaneous adipose tissue. It was confirmed, and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loss, insulin resistance improvement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 change in an obese animal model induced by a high-fat diet were confirmed,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BMP10 as an active ingredient was metabolized including obesity, diabetes and dyslipidemia. It may be provided as a disease prophylaxis or therapeutic agent.
  • BMP10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 BMP10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 FIG. 3 shows the expression levels of brown fat markers in cells on the 4th and 8th days of differentiation induction after treatment with BMP7, BMP9, BMP10 and BMP11 in C3H10T1/T2 cells, a mouse embryonic mesenchymal cell line in which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induced. is the result of Western blot confirmation.
  • FIG. 4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browning effect of BMP10 on the fourth day of differentiation induction after treatment with BMP10 in adipose stem cells of a stromal vascular fraction (SVF) isolated from subcutaneous fat of a mouse.
  • SVF stromal vascular fraction
  • FIG. 5 is a Western blot result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 of brown fat markers in cells on the 4th day after differentiation induction after treatment with BMP9 and BMP10 in adipose stem cells of a stromal vascular fraction (SVF) isolated from subcutaneous fat of a mouse. .
  • SVF stromal vascular fraction
  •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is a protein expressed in the heart and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heart during the developmental stage.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BMP10 exhibits a promoting effect on adipose tissue differentiation, particularly brown adipogenesis and browning of white fat.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 as an active ingredient.
  • BMP10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 the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 is NCBI Entrez Gene number. It can be 27302.
  • the bone-forming protein 10 may induce differentiation of brown adipocytes.
  • the bone-forming protein 10 may induce brown fat in white fat.
  • the bone-forming protein 10 may increase the expression of Ucp1, a brown fat marker.
  • the metabolic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esity, diabetes and dyslipidemia.
  • the brown fats are brown in color and are adipose tissue distinct from white adipose tissue, which is generally a storage fat. ability is excellent
  • brown adipose tissue in which white adipose tissue is changed similarly to brown adipose tissue, increases energy consumption.
  • Exercise methods or drugs that can induce brow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brown fat formation induce an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and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treatment for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diabet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confirming that the differentiation capacity of brown adipocytes and the brown localization of white fat are effectively induced by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
  • BMP10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 FIG. 2 in the cell group treated with BMP10, an increase in cells differentiated into brown adipocytes was confirmed from the 4th day when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induced, FIG. 3 .
  • Ucp1 a major marker of brown fat, was greatly increased in expression in BMP10-treated cells.
  • adipose stem cells of the stromal vascular fraction are isolated from the subcutaneous fat of a mouse, and the isolated adipose stem cells are treated with BMP10 to achieve brown localization of BMP10.
  • FIG. 4 it was confirmed that the brown localization of the BMP10-treated stromal vascular fraction-derived adipose stem cells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a composition contain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 as an active ingredient can induce brow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brown fat in white fat, thereby converting it to brown fat having excellent lipolysis and fatty acid oxidation effects. Since effective fat reduction can be induced through localization, the BMP10 can be provid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 BMP10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9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the bone-forming protein 10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prepared by injection, granules, powders, tablets, pills, capsules, suppositories, gels,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spensions, emulsions, drops or solutions may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contain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as an active ingredient is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disintegrant, sweetener, coating agent, swelling agent,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ubricants, lubricants, flavoring agents, antioxidants, buffers, bacteriostatic agents,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and lubricants may be further included.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can be used, and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and capsules.
  • the solid preparation may be prepared by mixing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the composition.
  •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can also be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the like.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s the base material for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dministered intravenously, intraarterially, intraperitoneally, intramuscularly, intraarterially, intraperitoneally, intrasternally, transdermally, intranasally, inhalation, topical, rectal, oral, intraocular or intradermal
  • the route may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in a conventional manner.
  • a preferred dosage of the bone-forming protein 10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subject, the type and extent of the disease, the drug form, the rout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daily dose may be 0.01 to 200 mg/kg, specifically 0.1 to 200 mg/kg, and more specifically 0.1 to 100 mg/kg.
  •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thereby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bject' may be a mammal including a human, bu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ealth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tabolic disease contain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 as an active ingredient.
  • BMP10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 the health food is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additives other than the bone-forming protein 10,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ed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ts use, for example, prophylactic,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effective dose of the compound contained in the health food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effective dose of the therapeutic agent, but in the case of long-term intake for health and hygiene or health control,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above range, It is clear that the ingredient can be used in an amount beyond the above rang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 the type of health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 brown fat differentiation ability of proteins belonging to the BMP group including BMP10, stems from C3H10T1/T2 cells, a mouse embryonic mesenchymal cell, or stromal vascular fraction isolated from subcutaneous adipose tissue. Using the cells, the differentiation ability of brown adipocytes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 .
  • BMP proteins were treated 3 days before the induction of brown fat differentiation and continued to be treated until the end of differentiation.
  • 20 nM insulin, 1 nM T3, 5 ⁇ M dexamethasone, 0.5 mM isobutylmethylxantine, 0.125 ⁇ M indomethacin, 1 ⁇ M rosiglitazone ) was treated with a cocktail for differentiating brown fat from day 0 (D0) for 8 days.
  • D0 day 0
  •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and the expression of brown fat markers at each stage were confirmed by sampling on days 4 (D4) and 8 (D8), respectively, after differentiation induction.
  • Example 1 In order to confirm the ability of BMP10 to induce differentiation into brown adipocytes, as in Example 1, the cells on the 4th and 8th days of the differentiation induced were stained with Oil-Red O, and the differentiation status into brown adipocytes was confirmed.
  • BMP10 promotes brown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itial stage and exhibits brown adipocyte differentiation ability.
  • browning in which white adipose tissue changes similarly to brown adipose tissue, increases energy consumption during exercise or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 adipose stem cells of the stromal vascular fraction (SVF) were isolated from the subcutaneous fat of mice, and the adipose stem The effect of BMP10 on brown fat induction was confirmed using cells.
  • Brown fat was induced by the same process as in FIG. 1 .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brown fat differentiation by BMP10 increased from the 4th day in the previous experiment, the brown fat differentiation of BMP10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BMP10 not only promotes brown fat differentiation, but also promotes browning of white adipocytes.
  • BMP9 and BMP10 were treated in the stromal vascular fraction isolated from subcutaneous adipose tissue, and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brown fat marker was analyzed in real-time quantitative PCR (real-time quantitative PCR). ) was confirmed.
  • the expression of BMP10 mRNA was increased in the heart of the mouse that was exercised for 4 weeks, and the increase of the BMP10 protein was also confirmed in the blood of the mouse.
  • BMP10 which is increased in the blood during exercise, is secreted into the blood to promote brown adipogenesis and browning.
  • Recombinant BMP10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1.0 mg/kg, ip, qd) for 6 weeks once a week to mice subjected to a high-fat diet for 6 weeks, and the change in body weight was confirmed.
  • BMP10 can have an effect on improving obesity, diabetes, and dyslipide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docri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 형성 단백질 10(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BMP10이 처리된 생쥐 배아 중간엽세포주 C3H10T1/T2 세포의 갈색지방분화가 촉진되었으며, 피하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한 기질 혈관 분획 지방줄기세포의 갈색지방화가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모델의 체중감소, 인슐린 저항성 개선 및 혈중 지질 농도의 변화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비만, 당뇨병 및 이상지혈증을 포함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본 발명은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가 불균형을 이루어 초래되는 것으로, 여분의 에너지는 지방세포의 형태로 전환되어 체내에 저장되어진다. 축적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유리지방산과 사이토카인 등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고, 염증반응을 증가시켜 대사증후군, 당뇨병, 심장혈관질환 그리고 암 등의 만성질환 발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운동, 식이요법을 통한 식생활습관의 개선, 약물요법, 수술을 통한 치료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중 비만을 억제하는 항비만 약품의 개발은 미국에서 100 여종 이상의 치료약이 판매되고 있거나 개발 중에 있으며, 시장 규모가 점점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각각의 기전에 따라 세로토닌(5HT)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및 최근에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시부트라민(Sibutramine) 등의 약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판막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최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시부트라민은 혈압을 높이는 부작용이 있으며, 오를리스타트(Orlistat)는 소화기장애, 지방변, 배변 실금, 지용성 비타민 흡수 방해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다른 화학합성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BMP 단백질 패밀리에 속한 단백질들 (BMP2, BMP4, BMP6, BMP7, BMP9)이 뼈 형성 기능 외에 지방조직 분화에 대한 기능이 있다는 보고되고 있다. 특히 BMP8이나 BMP9은 갈색지방분화 촉진 및 갈색지방 활성화를 통한 에너지 대사량 상향 기능이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몇몇 연구 및 리뷰에서 BMP 단백질 패밀리 14종에 대한 뼈 분화 유도 기능을 조사한 결과, BMP2, BMP4, BMP6, BMP7, BMP9 단백질이 뼈 분화에 중요한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물실험에서도 상기 단백질들이 뼈조직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반면, 이들 논문에서 BMP10은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증가시키지 못했고, 동물실험에서도 뼈 조직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BMP10을 제외한 여러 BMP 단백질들이 갈색지방 분화를 촉진할 수 있으나, 동시에 뼈 분화도 촉진시킬 수 있어, 비만 및 당뇨 치료제 개발 관점에서 부작용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실제 BMP2나 BMP7을 활용한 뼈 형성 촉진 치료제 개발에 관한 논문 및 특허, 그리고 제품화 개발의 예는 쉽게 찾아볼 수 있으나, 이들을 이용한 비만 치료제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비만, 당뇨병 및 이상지혈증과 같은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뼈 형성 단백질 10(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뼈 형성 단백질 10(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뼈 형성 단백질 10 (BMP10)이 처리된 생쥐 배아 중간엽세포주 C3H10T1/T2 세포의 갈색지방분화가 촉진되었으며, 피하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한 기질 혈관 분획 지방줄기세포의 갈색지방화가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모델의 체중감소, 인슐린 저항성 개선 및 혈중 지질 농도의 변화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비만, 당뇨병 및 이상지혈증을 포함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뼈 형성 단백질 10(BMP10)의 갈색지방세포분화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 과정이다.
도 2는 지방세포 분화가 유도된 생쥐 배아 중간엽세포(Mouse embryonic mesenchymal cell)주인 C3H10T1/T2 세포에 BMP10 처리 후 분화유도 4일 및 8일째 세포에서 갈색지방세포분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지방세포 분화가 유도된 생쥐 배아 중간엽세포(Mouse embryonic mesenchymal cell)주인 C3H10T1/T2 세포에 BMP7, BMP9, BMP10 및 BMP11 처리 후 분화유도 4일 및 8일째 세포에서 갈색지방 마커들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웨스턴 블롯 결과이다.
도 4는 마우스의 피하지방으로부터 분리된 기질 혈관 분획(stromal vascular fraction; SVF)의 지방줄기세포에 BMP10을 처리한 후 분화 유도 4일째에 BMP10의 갈색지방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마우스의 피하지방으로부터 분리된 기질 혈관 분획(stromal vascular fraction; SVF)의 지방줄기세포에 BMP9 및 BMP10을 처리한 후 분화 유도 4일째 세포에서 갈색지방 마커들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웨스턴 블롯 결과이다.
도 6은 4주간 운동시킨 마우스의 심장 및 혈액에서 BMP10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재조합 BMP10의 대사성질환 개선 효과 확인한 결과로, 6주간 고지방식이를 실시한 마우스에 재조합 BMP10을 매주 1회, 6주간 복강 투여(1.0 mg/kg, ip, qd)하고 체중 변화, 당뇨개선 효과, 혈중 지질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뼈 형성 단백질 10 (BMP10)은 심장에서 발현되는 단백질로 발생단계에서 심장 발생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태어난 이후 혈중 농도가 급격히 줄어들며, 성체가 되면 거의 발현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BMP10이 지방조직 분화, 특히 갈색지방분화 (brown adipogenesis) 및 백색지방의 갈색지방화 (browning)에 대한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뼈 형성 단백질 10(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 (BMP10)은 NCBI Entrez Gene number. 27302 일 수 있다.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은 갈색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은 백색지방의 갈색지방화를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은 갈색지방화 마커인 Ucp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사성질환은 비만, 당뇨병 및 이상지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갈색지방(brown fats)은 갈색을 띠고 있어 일반적으로 저장지방인 백색지방조직과 구별되는 지방조직으로 미토콘드리아와 유적이 풍부한 세포로 구성되며, 교감신경섬유가 많아 대사활성, 특히 지방분해와 지방산 산화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백색지방조직이 갈색지방조직과 유사하게 변화되는 갈색지방화는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갈색지방세포분화능 및 갈색지방화를 유도할 수 있는 운동법이나 약물은 에너지 소비능 증가를 유도하여 비만 및 당뇨 등 대사성질환 치료법의 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은 뼈 형성 단백질 10(BMP10)에 의해 효과적으로 갈색지방세포분화능및 백색지방의 갈색지방화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한 기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시킨 생쥐 배아 중간엽줄기 세포에 BMP10을 처리하고 갈색지방세포 분화능을 확인한 결과, 도 2와 같이 BMP10이 처리된 세포군에서는 지방세포 분화가 유도된 4일째부터 갈색지방세포로 분화된 세포의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도 3과 같이 갈색지방의 주요 마커인 Ucp1은 BMP10이 처리된 세포에서 발현이 매우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우스의 피하지방으로부터 기질 혈관 분획(stromal vascular fraction; SVF)의 지방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지방줄기세포에 BMP10을 처리하여 BMP10의 갈색지방화 유도 효과를 확인한 결과, 도 4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BMP10이 처리된 기질 혈관 분획 유래 지방줄기세포의 갈색지방화가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뼈 형성 단백질 10(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갈색지방세포분화 및 백색지방의 갈색지방화를 유도하여 지방분해와 지방산 산화 효과가 우수한 갈색지방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갈색지방화를 통하여 효과적인 지방감소가 유도될 수 있으므로, 상기 BMP10은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뼈 형성 단백질 10(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은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치료제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BMP 단백질에 의한 갈색지방분화 유도
BMP10을 포함한 BMP 그룹에 속한 단백질들의 갈색지방 분화능을 평가하기 위해, 생쥐 배아 중간엽세포(Mouse embryonic mesenchymal cell)주인 C3H10T1/T2 세포 또는 피하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한 기질 혈관 분획(stromal vascular fraction)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도 1과 같은 과정으로 갈색지방세포 분화능을 평가하였다.
BMP 단백질들은 갈색지방분화 유도 3일 전부터 처리하여 분화 끝 과정까지 계속 처리하였다. 갈색지방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20 nM 인슐린(insulin), 1 nM T3, 5 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0.5 mM 이소부틸메틸젠틴(isobutylmethylxantine), 0.125 μM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 μM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으로 구성된 갈색지방분화용 칵테일을 0일(D0)부터 8일간 처리하였다. 분화 정도 및 각 단계의 갈색지방 마커의 발현은 분화 유도 이후, 4일(D4) 및 8일(D8)에 각각 샘플링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2> BMP10의 갈색지방세포분화능 촉진효과 확인
BMP10의 갈색지방세포분화 유도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과 같이분화 유도된 4일 및 8일 세포를 오일-레드 O로 염색하고 갈색지방세포로의 분화 상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BMP10이 처리된 세포군은 분화 유도 4일째부터 갈색지방세포로 빠르게 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지막 단계인 8일째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BMP10이 처리된 세포군에서 갈색지방 분화가 촉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BMP10은 갈색지방세포 분화를 초기 단계부터 촉진시키며, 갈색지방 분화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BMP10의 지방분화 마커 발현 유도 확인
앞선 실험에서 확인된 BMP10의 갈색지방분화 촉진능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갈색지방분화 마커의 발현 변화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과정으로 갈색지방분화가 유도된 4일 및 8일째 세포의 전체 단백질을 각각 분리하고 각 마커네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발현 수준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BMP10이 처리된 세포에서 4일째부터 각 마커의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갈색지방의 주요마커인 Ucp1의 발현은 BMP10 처리된 세포에서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BMP10은 갈색지방세포로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피하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한 기질 혈관 분획에서 BMP10의 갈색지방화 효과 확인
최근 운동이나 저온 환경에서 백색지방조직(white adipose tissue)이 갈색지방조직(brown adipose tissue)과 유사하게 변화되는 갈색지방화(browning)가 에너지 소비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짐에 따라, 앞선 실험에서 확인된 BMP10의 갈색지방세포 분화 유도능 역시 대사성 질환 치료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을지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의 피하지방으로부터 기질 혈관 분획(stromal vascular fraction; SVF)의 지방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상기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하여 BMP10 의 갈색지방화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1과 같은 과정으로 갈색지방화를 유도하였다. 앞선 실험에서 4일째부터 BMP10에 의한 갈색지방분화가 증가가 확인됨에 따라, BMP10의 갈색지방화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4일째 SVF 유래 지방줄기세포의 갈색지방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BMP10에 의해 촉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BMP10은 갈색지방분화 촉진뿐만 아니라,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화(browning) 역시 촉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피하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한 기질 혈관 분획에서 BMP10에 의한 갈색지방화(browning) 마커 발현 수준 확인
앞선 실험에서 확인된 BMP10의 갈색지방화 유도능을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BMP9과 BMP10을 피하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한 기질 혈관 분획에 처리하고 갈색지방화 마커의 발현 수준 변화를 실시간 정량적 PCR(real-time quantitative PCR)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BMP10이 처리된 실험군에서 갈색지방화 마커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갈색지방화의 주요 마커인 Ucp1 발현이 BMP9보다 BMP10에서 매우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BMP10의 갈색지방화 효과는 다른 BMP 그룹보다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4주간 운동시킨 마우스에서 BMP10 발현 수준 확인
최근 보고에 따르면, 운동에 의해 근육에서 분비되는 이리신(irisin)에 의해 백색지방(white adipose tissue)의 갈색지방화(browning)가 촉진된다고 알려졌다. 이에 따라, 심장에서의 BMP10의 발현 및 분비도 갈색지방화가 촉진되는 환경에서 증가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4주간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을 통한 지구력 운동(endurance test)을 시킨 57Bl/6J 마우스(12주령, 수컷)의 심장과 혈액에서 BMP10 발현 변화를 각각 실시간 정량적 PCR (real-time quantitative PCR)과 ELISA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4주간 운동을 시킨 마우스의 심장에서 BMP10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마우스의 혈중에서도 BMP10 단백질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운동시 혈중에 증가하는 BMP10은 혈중에 분비되어 갈색지방분화 (brown adipogenesis) 및 갈색지방화 (browning)를 촉진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재조합 BMP10의 대사성질환 개선 효과 확인
앞선 실험에서 확인된 갈색지방 분화 및 백색지방의 갈색지방화 현상 촉진과 운동에 의한 심장 및 혈액에서의 BMP10 증가 현상이 대사성질환 개선에는 어떠한 효능을 갖는 지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비만 및 당뇨 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6주간 고지방식이를 실시한 마우스에 재조합 BMP10을 매주 1회, 6주간 복강 투여(1.0 mg/kg, ip, qd)하고 체중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6주간 재조합 BMP10 투여 후에 전신 체지방 감소 경향이 나타났으며, 투여 전 대비 전신 체지방 증가도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재조합 BMP10 투여 기간동안 대조군 대비 식이섭취량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BMP10의 당뇨 개선 효능을 확인한 결과, 공복 혈당을 유의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당능 검사에서는 재조합 BMP10 투여군에 대조군과 내당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대조군 대비 인슐린이 유의적으로 낮게 분비되는 것으로 보아, BMP10이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6주간 투여 후의 혈중 지질 변화를 확인한 결과, 혈중 중성지방은 감소 경향을 나타냈고, 총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BMP10은 비만, 당뇨병 및 이상지혈증 개선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뼈 형성 단백질 10(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은 갈색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은 백색지방의 갈색지방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뼈 형성 단백질 10은 갈색지방화 마커인 Ucp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질환은 비만, 당뇨병 및 이상지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7. 뼈 형성 단백질 10(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BMP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PCT/KR2021/012000 2020-10-30 2021-09-06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20925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74331A JP2023548259A (ja) 2020-10-30 2021-09-06 骨形成タンパク質10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代謝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組成物
US18/072,750 US20230124505A1 (en) 2020-10-30 2022-12-01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 contain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708A KR102553476B1 (ko) 2020-10-30 2020-10-30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020-0142708 2020-10-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072,750 Continuation US20230124505A1 (en) 2020-10-30 2022-12-01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 contain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as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546A1 true WO2022092546A1 (ko) 2022-05-05

Family

ID=8138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2000 WO2022092546A1 (ko) 2020-10-30 2021-09-06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24505A1 (ko)
JP (1) JP2023548259A (ko)
KR (1) KR102553476B1 (ko)
WO (1) WO202209254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3590A2 (en) * 2004-05-12 2005-12-01 Acceleron Pharma Inc. Bmp10 propeptides and related methods
WO2007099345A1 (en) * 2006-03-02 2007-09-07 Betagenon Ab Medical use of bmp-2 and/ or bmp-4
WO2009084739A1 (ja) * 2007-12-28 2009-07-09 Kyowa Hakko Kirin Co., Ltd. Bmp10タンパク質を用いた癌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医薬組成物
CN105136781A (zh) * 2015-08-13 2015-12-09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瑞金医院 脂肪因子grem2在制备肥胖症治疗药物中的应用
JP2019210290A (ja) * 2018-06-08 2019-12-12 ファイザー・インク 代謝性疾患を処置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5359A2 (en) * 2005-03-30 2006-10-05 Wyeth Method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by administering bmps
KR101802411B1 (ko) 2015-02-17 2017-11-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am19a5 단백질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만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3590A2 (en) * 2004-05-12 2005-12-01 Acceleron Pharma Inc. Bmp10 propeptides and related methods
WO2007099345A1 (en) * 2006-03-02 2007-09-07 Betagenon Ab Medical use of bmp-2 and/ or bmp-4
WO2009084739A1 (ja) * 2007-12-28 2009-07-09 Kyowa Hakko Kirin Co., Ltd. Bmp10タンパク質を用いた癌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医薬組成物
CN105136781A (zh) * 2015-08-13 2015-12-09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瑞金医院 脂肪因子grem2在制备肥胖症治疗药物中的应用
JP2019210290A (ja) * 2018-06-08 2019-12-12 ファイザー・インク 代謝性疾患を処置する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NCAREVIC, A. ET AL.: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to Treating Obesity through Modulation of TGF beta Signaling", ENDOCRINOLOGY, vol. 153, 2012, pages 3133 - 3146, XP009164352, DOI: 10.1210/en.2012-1016 *
SCHULZ, T. J. ET AL.: "Emerging role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s in adipogenesis and energy metabolism", CYTOKINE & GROWTH FACTOR REVIEWS, vol. 20, 2009, pages 523 - 531, XP055533069, DOI: 10.1016/j.cytogfr.2009.10.019 *
TSENG, Y. H. ET AL.: "New role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7 in brown adipogenesis and energy expenditure", NATURE, vol. 454, 21 August 2008 (2008-08-21), pages 1000 - 1004, XP002528628, DOI: 10.1038/NATURE0722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24505A1 (en) 2023-04-20
KR102553476B1 (ko) 2023-07-11
KR20220057743A (ko) 2022-05-09
JP2023548259A (ja)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5766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reduction
WO2018084531A2 (ko) 골 질환,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221965A1 (en) Use of tgf beta and growth factors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s of the intestinal mucosa
WO2021201532A1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138224B2 (en) Nutritional or therapeu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oleuropeine or one of the derivatives thereof
WO2022092546A1 (ko) 뼈 형성 단백질 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05123058A1 (ja) 老化防止剤
WO2016167420A1 (ko) 5-(3&#39;,4&#39;-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39;,4&#39;-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US20060135444A1 (en) Combination of flavonoid and procyanidin for the reduction of the mammalian appetite
WO2015115865A1 (ko) 아르테수네이트 또는 감마리놀렌산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WO2018030650A1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21261855A1 (ko) 아연 트랜스포터 액티베이터 조성물
WO2021112615A1 (ko)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WO2012144854A2 (ko) 리코찰콘 a의 신규 용도
WO2012074184A1 (ko) 스핑고신-1-포스페이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220497A1 (ko) 폴리갈린 c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16137085A1 (ko) 홍화씨 추출물,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뼈 길이 성장 촉진용 및 골밀도 증가용 식품 조성물
EP3595632B1 (en)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endometriosis and symptoms associated with endometriosis
WO2020017921A1 (ko)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246671A1 (ko) 당근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00056367A (ko) 유파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0209674A1 (ko) 비글리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255583A1 (ko)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20391291A1 (en) Combination therapy of cycloserine and lithiu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WO2014178554A1 (ko) 아르기나아제 억제제를 함유하는 비만 및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65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74331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865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