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35060A1 -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35060A1
WO2022035060A1 PCT/KR2021/008922 KR2021008922W WO2022035060A1 WO 2022035060 A1 WO2022035060 A1 WO 2022035060A1 KR 2021008922 W KR2021008922 W KR 2021008922W WO 2022035060 A1 WO2022035060 A1 WO 202203506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eed
dispenser
water
cover frame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89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승진
박선자
Original Assignee
윤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진 filed Critical 윤승진
Publication of WO202203506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350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Automatic devices with doors or lids activated by the animals to access feeding place or tr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dispenser that contains feed and water and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o provide the built-in feed and water when a companion animal approaches.
  • the cover frame is automatically driven,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es, the cover frame opens to provide the built-in food and water. It relates to an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feed dispenser that can be closed to protect feed and water from foreign substances, thereby keeping feed and water and the inside of the dispenser clean.
  • a fixed amount of feed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to companion animals by automatically providing a fixed amount of feed from the storage unit.
  • the feeding unit provided with fee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external dust may be mixed with the feed, and if the companion animal remains in the feeding unit without eating all of the feed, there is a risk of contamination by mixing with other feed.
  • non-feed water it is more easily contaminated by dust or foreign substances, and it is difficult to use it fo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not only water or feed, but also the feeding part, which is the container in which the feed or water is accommodated, is also contaminated.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wash the dish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cover frame covering the main body frame of the dispenser is automatically drive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es, and the cover frame is opened when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es to provide the built-in feed and water.
  • the cover frame is automatically closed to protect the feed and water from foreign substances when the companion animal does not consume food or wat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feed dispenser that can be maintain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feed dispenser that can prevent being caught between them.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dispens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to prevent such.
  • the feed dispenser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o continuously provide feed to companion animals by automatically supplying feed to the serving bowl from the storage tank with the built-in feed. Its purpose is to provid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dispens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 a dispenser comprising a main frame in which a serving ball is provided, a cover fram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to open or close the serving ball through rotation, and the main body frame and the cover frame, A gear unit driven by a motor to rotate the cover frame, a sensing manipulation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frame to detect the approach of a companion animal, and a sensor value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manipulation unit to manipulate the gear unit to operate the companion animal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that opens and closes the dispenser according to whether the dispenser is approached.
  • one end of the gear unit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frame,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over frame, and a rotary rod passing through one end of the coupling gear built into the body frame and the rotary rod is rotated to rotate the Consists of a motor for rotating the cover frame, the rotating rod has a rotation guide through-coup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 the motor is provided, the rotation guide has a sectoral shape whose inner angle corresponds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cover frame, The outer side of the motor and the rotation guide are gear-coupled to rotate the rotation rod through the rotation guide when the motor is driven.
  • the sensing operation unit is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center of the dispenser, and an approach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companion animal,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moves away from the open dispenser, sequentially blink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the stomach. It includes a timer flashing light to guide the automatic closing time of the dishes and a manual switch operated by the user to directly open the dispenser.
  • the sensing oper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side into which the serving ball is introduced from the main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serving ball, and the weight sensing sensor transmits the sensed feed remaining amount to the control unit.
  • control unit includes a control module capable of adjusting whether the dispenser is opened or closed by controlling whether the gear unit is driven, a determination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enser is opened or closed based on a sensor value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operation unit, and a user;
  •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connected to a terminal and transmits the inner environment of the serving bow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nsing manipulation unit, and the determination module compares the sensor value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enser is opened or closed It is composed of a storage module in which a value is stored in advance, and when the sensor value exceeds the set value, the gear uni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to prevent the dispenser from being opened even when approaching a companion animal. there is.
  • a storage tank in which extra feed and water are stored inside the main frame is additionally provided, and the weight of the feed an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and the weight of the feed and water in the serving bowl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are described above.
  • the determination module compares, and when the weight of the feed and water in the serving bowl is less than the weight of the feed and water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the storage tank is driven to provide the feed and water stored in the serving bowl.
  • the determination module may receive the feed remaining amount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to determine the feed intak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the storage module You can directly change the setting values stored in the .
  • the cover frame that covers the main body frame of the dispenser is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es, the cover frame is opened to provide the built-in feed and water, When the companion animal does not consume food or water, the cover frame is automatically closed to protect the feed and water from foreign substances, which has the effect of keeping the feed and water and the inside of the dispenser clean. .
  • the user can directly identify and manage the amount of feed and water, and when the amount of feed and wate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decreases to less than the pre-stored values, the cover frame is automatically prevented from being opened to prevent overeating and obesity of companion animal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ack.
  • the feed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serving bowl from the storage tank with the built-in feed,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continuously providing feed to companion animals.
  • the daily feed intake of companion animals using the dispenser the amount of feed consum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it, and accordingly change the feed, fill in the feed and water, and manage the dispenser directly. have an effect that can be
  • FIG 1 and 1a show an example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fee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closed state of th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fee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eed dispenser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feed dispenser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shows a sensing op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5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nsing oper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shows an exampl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feed dispenser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nd 1a show an example of an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fee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hows a closed state of the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fee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the present invention
  • a front view of the feed dispenser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FIG. 4 is a side view of the feed dispenser that opens and clos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shows the sensing op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nsing oper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 FIG. 6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shows an exampl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feed dispenser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eed dispenser 1 that opens and clos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dispenser 100 , a gear unit 200 , a sensing operation unit 300 , and a control unit 400 .
  • the dispenser 100 is provided on the open upper surfac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10 to which the serving ball 111 provided with feed and water su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is introduced and fixed, and one side is provided on the open upper surface side of the serving ball 111 . It is composed of a cover frame 120 that is coupled to the body frame 110 and rotates.
  •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rame 110 is depres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ver frame 120 , and an inclined surface 110a having an inclination in which the depressed upper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is formed.
  • a ball inlet hole 110b into which the serving ball 111 can be introduced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10a, and a serving ball 111 including feed or wa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ball inlet hole 110b. .
  • the ball inlet hole 110b is vertically depressed with the inclined surface 110a, and a ball inlet hole 110b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inclination of the ball inlet hole 110b may be provided, but the serving ball 111 is When water, not feed, is contained, there is a risk that water may be poured out to the front side by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10a and the serving ball 111 .
  • the serving ball 111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sizes for feed and 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10a.
  • the ball inlet hole 110b and the serving ball 111 may be formed as a pair in the body frame 110, but may be formed as a single piece or may be formed of two or more. Therefore, the type of produc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rving balls 111 .
  •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serving ball 111 out of the ball inlet hole 110b for cleaning the serving ball 111 later (refer to FIG. 3 ).
  • a gear inlet hole 11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110a through which a coupling gear 21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rotated along the inside.
  • the gear inlet hole 112 is a space in which the coupling gear 210 of the gear unit 200 coupled to the cover frame 120 can rotate along the inside, and a rotation guide 221 provided inside the body frame 110 . ), the rotary rod 220 and the motor 230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gear inlet hole 112 , and the coupling gear 210 for rotating the rotary rod 220 has one end of the coupling provided inside the body frame 110 .
  • the gear 210, the rotary rod 220 and the motor 230 are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to the body frame 11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over frame 120 and the coupling gear 210 by rotation on the rotary rod 220.
  • the cover frame 120 is also rotated accordingly.
  • a magnet 113 capable of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the cover frame 1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110a.
  • the cover frame 1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110a by the companion animal is lifted up by the companion animal because the cover frame 120, the rea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gear 210, has a weak coupling force with the body frame 110 on the front side. Animals can be forced to consume feed.
  • the magnet 113 provided in the body frame 1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frame 120 are in close contact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ody frame 110 and the cover frame 120 .
  • the cover frame 1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can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gnet 113 , but a magnet is additionally built in the front inner side of the cover frame 120 to form the body frame 110 and the cover frame 120 . Magnet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in close contact.
  • the cover frame 1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110a of the body frame 110 so that the dispenser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rotation.
  • the cover frame 120 covers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erving ball 111 provided in the ball inlet hole 110b of the body frame 11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feed and water in the serving ball 111 .
  • the cover frame 120 is rotated to open the dispenser 100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consume feed and water.
  • the cover frame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frame 110, and when the dispenser 100 is closed, a projection window 12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serving ball 111 when the cover frame 120 is closed.
  • the projection window 12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acrylic, so that the inside of the serving bowl 111 is visible. Users and companion animals can check the inside, and by rotating the cover frame 120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amount of feed and water from the outside without the need to open the dispenser 100 .
  • the feed and water stored in the dispenser 100 are directly identified and induced to be adjacent to the dispenser 100 , and through this, the sensing operation unit 300 detects the companion animal close to the dispenser 100 . It detects and rotates the cover frame 120 to open the dispenser 100 .
  • a contact packing 12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serving bowl 11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120 , that is, the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10a.
  • the close contact packing 122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when the cover frame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10a of the body frame 110, the close contact packing 1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serving ball 111, so that the body frame It is provided in a gap between the 110 and the cover frame 120 .
  • the above-described projection window 121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lose contact packing 122 to prevent the close contact packing 122 from being seen through the projection window 121, and feed or water provided inside the serving ball 111 is provided. Make it easy to check with the naked eye.
  • a battery 130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drive the gear unit 200 , the sensing manipulation unit 300 , and the control unit 40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enser 100 .
  • the battery 130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 use of the battery is completed later by using the battery to continuously drive power.
  • the battery 130 can be charged with a lithium battery, etc. in addition to batteries, so that it can be directly charged with a USB, DC adapter, 220V cable terminal, etc., and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is.
  • the gear unit 200 is built into the body frame 110 and is coupled to the body frame 110 and the cover frame 120 to rotate the cover frame 120 around the body frame 110 to rotate the dispenser 100 .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 the gear unit 200 includes a coupling gear 210 , a rotating rod 220 , and a motor 230 .
  • one end of the coupling gear 210 is coupled to the rotating rod 220 and the motor 230 built into the body frame 110 , and the other end protrudes into the gear inlet hole 112 to the body frame. It is coupled to the cover frame 1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110 .
  •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gear 210 is separated on both sides to be coupled to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cover frame 120, and the rear edge of the cover frame 120 is fitt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separated coupling gear 210 to be coupled.
  • a plurality of coupling gears 210 may be formed, but may also be formed of a single coupling gear 210 .
  • the gear unit 200 when the gear unit 200 is made of a single piece as shown in FIG. 1A , the gear unit 200 stably rotates the cover frame 120 so that the coupling gear ( 210) is preferably provided.
  • each coupling gear 210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upling gears 210 as shown in FIG. 1 ,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120 among the other ends of each coupling gear 210 is connected to each other (see FIG. 2 ), and the cover frame 120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of the cover frame 120 and distribute the load of the cover frame 120 so that it can be rotated stably.
  • the rotary rod 220 passe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gear 210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gear 210 , and can be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motor 230 , through which the rotary rod 220 is coupled It serves to rotate the coupling gear 210 and the cover frame 120 .
  • one end of the engaging gear 210 is bent and ben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rod 220 on the inside, and the rotating rod 22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curved engaging gear 210 as shown in FIG. are combined
  • the rotary rod 220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gears 210 as shown in FIG. 1 , one rotary rod 220 passes through each coupling gear 21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ears 210 are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rod 220 . to rotate together.
  • the rotating rod 220 may be shaft-coupled to the motor 230, but since it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110,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motor 230, and when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230, frequent vibration, etc. Due to this, there is a fear that the rotating rod 220 cannot be easily rotated. Furthermore, when the rotating rod 220 rotates in the same way,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the cover frame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frame 110 when the cover frame 120 is rotated more than a required rotation angle.
  • a rotation guide 221 is additionally provi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tably rotate the rotation rod 220 and the coupling gear 210 coupled to the rotation rod 220 and the cover frame 120 .
  • the rotation guide 221 has a sectoral shape having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adius, and the edge of the rotation guide 221 , that is, the outer side corresponding to the arc is closely coupled with the motor 230 to drive the motor 230 . When the rotation guide 221 is rotated togethe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tor (230).
  • the rotating rod 220 can be rotated by the motor 230 only in a situation where the motor 230 and the rotation guide 221 are in close contact, and the end of the arc forming the rotation guide 221 by rotat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more and the motor ( When in contact with the 230), the motor 230 is stopped to prevent the cover frame 120 from rotating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rotation guide 221 and the motor 230 are provided in a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rotating rod 220 and the motor 230 built in the upper side of the body frame 110 through the above-described rotation guide 221 . ) so that the rotating rod 220 can be easily rotated through the coupling.
  • the motor 23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30 and can be driven to rotate the rotating rod 220 , and the driving and rotating direction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400 .
  • the motor 230 is provided with a speed reducer and can prevent the cover frame 120 from rotating rapidly, the outer sid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on guide 221 , and can be engaged by gear coupling to rotate the rotation guide 221 . there is.
  • the gear unit 200 receives power through the battery 130 , and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400 .
  • the dispenser 100 When approaching the dispenser 100, it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serving bowl 111 in normal times, and the companion animal can check feed and water through the projection window 121, There is a need to be opened only when approaching the dispenser 100 to eat it.
  • the sensing operation unit 300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effects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100, and the sensing operation unit 300 includes an approach detection sensor 310, a timer flashing light 320, and a manual switch 330. ) may be included.
  •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310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the companion animal, and may identify the companion animal close to the dispenser 100 through ultrasound or the like. Such an approach sensor 310 is made up of a pair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op surface of the dispenser 100 so that even if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es from the side rather than the center, the approach sensor 310 can easily grasp it.
  •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es or moves away from the food dispenser 100 through the approach sensor 310, and transmits the sensor value generated from the approach sensor 310 to the control unit 400 to detect the approach sensor ( 310)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ispenser 100 through the sensor value.
  • a timer flashing light 32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s 310 .
  • the timer flashing light 320 maintains an open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over frame 120 is closed, and the cover frame 120 is automatically rot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o close the dispenser 10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remaining time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blinking of the timer blinking lamp 320 for this time.
  • a predetermined time is counted before the companion animal moves away from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310 and closes.
  • the timer flashing light 320 gradually flashes to indicate the count time,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draws attention to whether the timer flashing light 320 flashes or not.
  • the above-described timer flashing lights 32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counted tim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iting time for closing is set to 8 seconds, and in accordance with this, four timer flashing lights 320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nsing operation unit 300 .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vided manual switch 330, so that each timer flashing light 320 blinks every 2 seconds, so that it can be visually identified that the time decreases.
  • the user can directly open and close the dispenser 100 through the manual switch 330 to wash the dispenser 100 or supplement feed and water. That is, by operating the manual switch 330, the user directly drives the control unit 400 to rotate the cover frame 120 to open the dispenser 100, thereby performing a desired action.
  • This sensing operation unit 30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dispenser 100 and is located on the neck side when eating the feed and water in the serving bowl 111 after the cover frame 120 is opened to continuously position the companion animal. By detecting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ver frame 120 from automatically closing when the companion animal consumes feed or water.
  • control unit 400 made of a PCB substrate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300a of the sensing operation unit 300, and in the sensing operation unit frame 300a, the LED of the timer flashing light 320 and the corresponding place A blinking transmission window 320a capable of e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timer blinking lamp 320 to the outside is form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timer blinking lamp 320 penetrates the blinking transmission window 320a and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do.
  • a spring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ing manipulation unit frame 300a corresponding to the manual switch 330 , and when the manual switch 330 is pressed, the control unit 400 located at the lower side is pressed to facilitat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frame 120 . to make it happen
  • a control unit 400 for driving the gear unit 200 so that the dispenser 100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when a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nsing operation unit 300 is additionally provided.
  •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control module 410 , and the control module 41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gear unit 200 through the sensor value transmitted from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310 of the sensing operation unit 300 . make it possible
  • a companion animal approaching the dispenser 100 is detected through the gear unit 200, the sensing operation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400, and through this, the dispenser 100 is automatically opened to facilitate the companion animal.
  • the dispenser 100 In order to be able to consume this feed or water, and to prevent the feed and water contained in the serving bowl 111 from being contaminated by automatically closing the dispenser 100 when the companion animal moves away from the dispenser 100 , do.
  • the user can directly grasp the amount of feed and water in the dispenser 100 through the projection window 121, but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check this every time.
  • a weight sensor 34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sensing operation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amount of feed and water intake of the companion animal.
  • the weight sensor 340 is built in the body frame 110, and is provided adjacent to the ball inlet hole 110b as shown in FIG. 1 .
  • the weight sensor 3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rving bowl 111 with an extended upper end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serving ball 111 .
  • the determination module 420 in the control unit 400 to determine the eating pattern, feed intake, and intake time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sensor value transmitted from the weight sensor 340, and to guide the user through this.
  • a communication module 430 and a storage module 44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 the determination module 420 determines whether the dispenser 100 is opened or closed by comparing the sensor value received from the weight sensor 340 with a preset valu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40 .
  • the companion animal compares the set value stored directly in the storage module 440 by the user, for example, the daily feed intake and the sensor value transmitted from the weight sensor 340, that is, the decrease in feed, to determine the feed intake of the companion animal.
  • the control module 410 can prevent the dispenser 100 from being opened even when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es by determining it and judging it as overeating when the preset value is exceeded.
  • the determination module 42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in proximity by also determining the sensor value provided from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310 .
  • the sensor value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module 420 and the companion animal's excessive consumption of feed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module 42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terminal 2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30 .
  • the communication module 430 transmits the daily feed intake, the feed intake within a certain time, the drinking water, etc. to the terminal 2 through the sensing operation unit 300 and the determination module 420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it, and accordingly It identifies feed change, feed and water filling, and the like, and enables direct management of the dispenser 100 .
  • the communication module 43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by a wireless remote communication method to enable the terminal 2 to check the feed intak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an application linked with the dispenser 100 .
  • the storage module 440 is a place where the daily feed intake amount, the feed intake amount over time, etc. are stored in advance. A set value may be provided to the determination module 420 for comparison.
  • the setting value pre-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40 may be directly changed or adjust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2 .
  • the companion animal detects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ing the food dispenser 1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nsing operation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400, and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accordingly, as well as the amount of feed and water consumed by the companion animal.
  • the companion animal's feed intake pattern, feed intake habits, etc. can be directly identified by the terminal 2 .
  • a storage tank 140 capable of storing feed or water in the dispenser 1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 the storage tank 140 is provided at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ody frame 110, feed or water is stored therein, and a transfer pipe 141 connecting the storage tank 140 and the inner upper end of the ball inlet hole 110b is provided. Feed an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40 are introduced into the upper end inside the ball inlet hole 110b through the transfer pipe 141, and the feed or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ransfer pipe 141 is fed through the ball inlet hole ( 110b) may fall into the serving ball 111 along the inner side to supplement the serving ball 111 inside.
  • the transfer pipe 141 may be made of a rail or a rubber hose, and the transfer pipe 141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separate motor so that the transfer pipe 141 can see feed or water in the storage tank 140 . To be able to move toward the inlet hole (110b).
  • the weight sensor 340 detects the weight of the feed/water stored in the serving bowl 111, and determines the weight (hereinafter, set value) of the feed/water pre-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40 with this weight ( 420), and when the weight decreases below the set value, the determination module 420 transmits the determination value to the control module 410 to indicate that the feed/water contained in the serving bowl 111 is insufficient, and the control module 410 ) drives the transfer pipe 141 so that the feed/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40 is replenished with the serving ball 111 in the ball inlet hole 110b.
  • the storage tank 140 with feed and water automatically supplies feed and water to the serving bowl 111 to continuously feed the companion animal. have an effect that can provide
  • the storage tank 140 may be formed as a pair to store feed and water, respectively.
  • dispenser 110 body frame
  • coupling gear 220 rotating rod
  • control module 420 judgment modu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와 물을 내장하여 반려동물 접근시 내장된 사료와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접근유무에 따라 배식기 본체프레임을 덮는 커버프레임이 자동으로 구동되며, 반려동물 접근시 커버프레임이 개방되어 내장된 사료와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방되고, 반려동물이 사료나 물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커버프레임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사료 및 물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료 및 물과 배식기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본 발명은 사료와 물을 내장하여 반려동물 접근시 내장된 사료와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접근유무에 따라 배식기 본체프레임을 덮는 커버프레임이 자동으로 구동되며, 반려동물 접근시 커버프레임이 개방되어 내장된 사료와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방되고, 반려동물이 사료나 물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커버프레임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사료 및 물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료 및 물과 배식기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이를 통해 최근 증가하는 1인 가구 또는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로 인해 반려동물을 키우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직장 등으로 인해 외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집을 비우는 경우 반려동물에게 사료를 급여하는 데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외출하거나 휴가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 반려동물에게 사료를 제때 급여하지 못할 경우 반려동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려동물을 애견호텔 등에 맡기는 경우 적합한 수용시설을 찾아야하며, 수탁비용으로 많은 금액을 필요로하고, 각 반려동물마다 식성이나 식사습성이 다르기 때문에 애견호텔에서도 각 반려동물의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1044호에는 "애완 동물용 자동급식기(이하, 선행기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저장부로부터 사료가 자동으로 정량제공되어 반려동물에게 일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사료가 구비되는 급식부는 외부와 연통되기 때문에 외부먼지 등이 사료와 섞일 수 있고, 반려동물이 사료를 다 먹지 않고 급식부에 잔존할 경우 다른 사료와 섞여 오염될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사료가 아닌 물의 경우 보다 먼지나 외부 물질 등으로 인해 보다 쉽게 오염되며, 단순히 물이나 사료 뿐만 아니라 사료나 물이 수용되는 그릇인 급식부 또한 오염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이 어려우며, 매번 급식부와 같은 그릇을 세척해줘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공급시간 및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으나 반려동물이 직접 사료를 먹으려고 하는 때가 아닌 정해진 시간에 정량이 제공되기 때문에 반려동물이 실제로 사료 및 물의 섭취를 원하는 때에는 미처 섭취하지 못할 수 있고, 정시에 물이나 사료가 나온다 하더라도 반려동물이 이를 인지하지 못하면 제때를 놓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의 접근유무에 따라 배식기 본체프레임을 덮는 커버프레임이 자동으로 구동되며, 반려동물 접근시 커버프레임이 개방되어 내장된 사료와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방되고, 반려동물이 사료나 물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커버프레임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사료 및 물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료 및 물과 배식기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접근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반려동물이 사료 및 물을 직접 원하는 때에 먹을 수 있고, 자동으로 커버프레임 폐쇄시 반려동물의 입이나 발 등이 커버프레임과 배식기 본체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료량 및 물의 양을 사용자가 직접 파악 및 관리할 수 있고, 일정 시간 내 사료량 및 물의 양이 기저장된 수치 이하로 줄어들 경우 자동으로 커버프레임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려동물의 과식, 비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료량 및 물의 양을 파악하여 일정량 이하로 감소할 경우 사료가 내장된 저장탱크에서 자동으로 배식볼에 사료를 공급하여 반려동물에게 지속적으로 사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식기를 이용하는 반려동물의 일일사료섭취량, 일정시간 내 사료섭취량, 음수량 등을 단말기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이를 파악하게 하고, 이에 따라 사료변경, 사료 및 물 충전 등을 파악하며, 배식기를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려동물 접근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에 있어서,
사료가 구비되는 배식볼이 내장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배식볼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커버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배식기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커버프레임를 결합시키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커버프레임를 회전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본체프레임 정면측 상면에 구비되어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조작부 및 상기 감지조작부로부터 전달된 센서값을 통해 상기 기어부를 조작하여 반려동물이 상기 배식기로 접근여부에 따라 상기 배식기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기어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프레임에 내장되어 결합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기어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내장된 상기 결합기어의 일단을 관통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켜 상기 커버프레임을 회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봉에는 상기 모터가 구비되는 곳에 회전가이드가 수평방향으로 관통결합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는 내각이 상기 커버프레임의 회동반경에 대응되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터의 외측과 상기 회전가이드가 기어결합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상기 회전가이드를 통해 상기 회전봉이 회전된다.
또한, 감지조작부는 상기 배식기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와, 개방된 상기 배식기에 반려동물이 멀어지면 일정시간동안 순차적으로 점멸되어 상기 배식기의 자동 폐쇄시간을 안내하는 타이머점멸등 및 사용자가 직접 상기 배식기를 개방시키도록 조작되는 수동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감지조작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배식볼이 인입되는 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식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감지된 사료잔존량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기어부의 구동여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식기의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모듈과, 상기 감지조작부로부터 전달받은 센서값을 통해 상기 배식기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과,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감지조작부를 통해 상기 배식볼 내부환경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배식기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조작부로부터 전달된 센서값과 비교하는 설정값이 기저장되는 저장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센서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반려동물에 접근에도 상기 배식기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기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체프레임 내부에 여분의 사료와 물이 내장되는 저장탱크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저장모듈에 기저장된 사료와 물의 무게와 상기 무게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배식볼 내 사료와 물의 무게를 상기 판단모듈이 비교하고, 상기 배식볼 내 사료와 물의 무게가 상기 저장모듈에 기저장된 사료와 물의 무게보다 감소시 상기 저장탱크가 구동되어 상기 배식볼측으로 내장된 사료와 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무게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사료잔존량을 수신받아 반려동물의 사료섭취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저장모듈에 기저장되는 설정값을 직접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접근유무에 따라 배식기 본체프레임을 덮는 커버프레임이 자동으로 구동되며, 반려동물 접근시 커버프레임이 개방되어 내장된 사료와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방되고, 반려동물이 사료나 물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커버프레임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사료 및 물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료 및 물과 배식기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접근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반려동물이 사료 및 물을 직접 원하는 때에 먹을 수 있고, 자동으로 커버프레임 폐쇄시 반려동물의 입이나 발 등이 커버프레임과 배식기 본체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사료량 및 물의 양을 사용자가 직접 파악 및 관리할 수 있고, 일정 시간 내 사료량 및 물의 양이 기저장된 수치 이하로 줄어들 경우 자동으로 커버프레임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려동물의 과식, 비만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사료량 및 물의 양을 파악하여 일정량 이하로 감소할 경우 사료가 내장된 저장탱크에서 자동으로 배식볼에 사료를 공급하여 반려동물에게 지속적으로 사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배식기를 이용하는 반려동물의 일일사료섭취량, 일정시간 내 사료섭취량, 음수량 등을 단말기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이를 파악하게 하고, 이에 따라 사료변경, 사료 및 물 충전 등을 파악하며, 배식기를 직접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의 개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의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감지조작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감지조작부와 제어부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와 단말기의 통신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및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의 개방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의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감지조작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감지조작부와 제어부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와 단말기의 통신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1)는 배식기(100), 기어부(200), 감지조작부(300) 및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배식기(100)는 반려동물에게 공급되는 사료와 물이 구비되는 배식볼(111)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본체프레임(110)과, 배식볼(111)의 개방된 상면측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본체프레임(110)과 결합되어 회동되는 커버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프레임(110)은 상면에는 커버프레임(120)의 형상과 대응되게 함몰되되, 함몰된 상면이 정면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가진 경사면(110a)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10a)에는 배식볼(111)이 인입될 수 있는 볼인입홀(110b)이 형성되고, 상기 볼인입홀(110b) 내측으로 사료나 물을 포함한 배식볼(1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볼인입홀(110b)은 경사면(110a)과 수직함몰되며, 이러한 볼인입홀(110b) 내측 경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볼인입홀(110b)이 구비될 수 있으나, 배식볼(111)에 사료가 아닌 물이 담기는 경우 경사면(110a) 및 배식볼(111)의 기울어짐에 의해 물이 정면측으로 쏟아져 나올 수 있을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배식볼(111)은 경사면(110a)을 고려하여 사료용과 물용의 크기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볼인입홀(110b) 및 배식볼(111)은 본체프레임(110)에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단일개로도 이루어질 수 있고,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배식볼(111)의 개수에 따라 제품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후에 배식볼(111) 세척을 위해 쉽게 배식볼(111)을 볼인입홀(110b) 밖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경사면(110a)의 상단에는 후술된 결합기어(210)가 내측을 따라 회동될 수 있는 기어인입홀(112)이 형성된다.
기어인입홀(112)은 커버프레임(120)과 결합된 기어부(200) 중 결합기어(210)가 내측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본체프레임(110)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221), 회전봉(220) 및 모터(230)는 기어인입홀(112)과 인접한 곳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봉(220)을 회전시키는 결합기어(210)는 일단은 본체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된 결합기어(210), 회전봉(220) 및 모터(230)에 결합되어 본체프레임(110)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커버프레임(120)과 결합되어 회전봉(220)에 회전에 의해 결합기어(210)가 기어인입홀(112) 내측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 이에 따라 커버프레임(120)도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경사면(110a)의 상면 정면방향에는 커버프레임(120)과 자성결합될 수 있는 마그넷(11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후측이 결합기어(210)와 연결된 커버프레임(120)은 정면측에는 본체프레임(110)과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반려동물에 의해 경사면(110a) 상측에 구비된 커버프레임(120)이 들려 반려동물이 강제로 사료를 섭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체프레임(110)에 구비된 마그넷(113)과 커버프레임(120)의 정면이 밀착되어 본체프레임(110)과 커버프레임(12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프레임(120)은 금속재질로 제작되어 마그넷(113)과 자성결합될 수 있으나, 커버프레임(120) 정면 내측에 마그넷을 추가로 내장하여 본체프레임(110)과 커버프레임(120)의 정면측에 각각 구비된 마그넷끼리 서로 자성결합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프레임(120)은 본체프레임(110)의 경사면(110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회동을 통해 배식기(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체프레임(110)의 볼인입홀(110b)에 구비된 배식볼(11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프레임(120)이 덮어 외부 이물질이 배식볼(111) 내 사료와 물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감지조작부(300)를 통해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면 커버프레임(120)이 회전되어 배식기(100)를 개방함으로써 반려동물이 사료 및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프레임(120)에는 본체프레임(110)과 밀착되어 배식기(100)가 폐쇄시 배식볼(111)의 상측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투영창(121)이 구비될 수 있다.
투영창(121)은 유리나 아크릴 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배식볼(111) 내부가 보이도록 하는 구성으로, 투영창(121)을 통해 배식기 본체프레임(110)에 구비된 배식볼(111)의 내부를 사용자 및 반려동물이 확인할 수 있고, 커버프레임(120)을 별도로 회동시켜 배식기(100)를 개방시킬 필요없이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사료 및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반려동물의 경우 배식기(100)에 내장되는 사료와 물을 직접 식별하여 배식기(100)에 인접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감지조작부(300)가 배식기(100)에 근접한 반려동물을 감지하여 커버프레임(120)을 회동시켜 배식기(10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체프레임(110)과 커버프레임(120)이 밀착되더라도 약간의 틈새가 발생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배식기(100)가 흔들릴 경우 물이 배식볼(111) 밖으로 쏟아질 수 있고, 미세한 틈새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배식볼(111) 내 사료나 물에 유입되어 오염시킬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커버프레임(120)의 하면, 즉 경사면(110a)과 밀착되는 면에는 배식볼(111)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밀착패킹(122)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밀착패킹(122)은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커버프레임(120)이 본체프레임(110)의 경사면(110a)과 밀착될 경우 밀착패킹(122)은 배식볼(111)의 가장자리 상측과 밀착되어 본체프레임(110)과 커버프레임(120)간의 틈새에 구비된다.
따라서, 밀착패킹(122)을 통해 본체프레임(110)과 커버프레임(120)간의 틈새를 폐쇄하여 배식볼(111)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된 투영창(121)은 밀착패킹(122)의 내측에 구비되어 투영창(121)으로 밀착패킹(122)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식볼(111) 내부에 구비된 사료나 물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식기(100)의 후면측에는 기어부(200), 감지조작부(300) 및 제어부(400)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130)가 구비된다.
배터리(130)는 건전지를 사용하여 추후 건전지 사용이 완료되면 쉽게 교체하여 전력을 지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30)는 건전지 외에도 리튬 배터리 등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USB, DC 어댑터, 220V 케이블 단자 등으로 직접 충전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장기간 여러번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기어부(200)는 본체프레임(110)에 내장되어 본체프레임(110) 및 커버프레임(120)과 결합되어 커버프레임(120)을 본체프레임(11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배식기(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어부(200)는 결합기어(210), 회전봉(220) 및 모터(230)로 구성된다.
먼저, 결합기어(2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일단은 본체프레임(110)에 내장된 회전봉(220) 및 모터(230)와 결합되고, 타단은 기어인입홀(11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본체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커버프레임(120)과 결합된다.
이때, 결합기어(210)의 타단은 양측으로 분리되어 커버프레임(120)의 하면 및 상면과 결합되고, 분리된 결합기어(210) 타단의 내측에 커버프레임(120)의 후측가장자리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결합기어(210)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단일개의 결합기어(210)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1a와 같이 기어부(200)가 단일개로 이루어질 경우 기어부(200)가 안정적으로 커버프레임(120)을 회전시키도록 본체프레임(110) 및 커버프레임(120)의 중앙에 결합기어(2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과 결합기어(210)가 다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각 결합기어(210)의 타단 중 커버프레임(120)의 상면과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도 2 참조) 커버프레임(12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커버프레임(120)의 하중을 분산하여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봉(220)은 결합기어(210)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기어(210)의 일단과 결합되고, 모터(230)를 통해 회전력을 전가받아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봉(220)과 결합된 결합기어(210) 및 커버프레임(12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4와 같이 결합기어(210)의 일측 말단은 굽어져 내측에 회전봉(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지고, 이와같이 굴곡진 결합기어(210)의 일측 말단에 회전봉(220)이 끼워져 관통결합된다.
회전봉(220)은 도 1과 같이 결합기어(210)가 다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각 결합기어(210) 하나의 회전봉(220)이 관통하여 상기 회전봉(220)의 회전으로 다수개의 결합기어(21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봉(220)은 모터(230)와 축결합될 수 있으나 본체프레임(110)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모터(230)가 구비되기 어렵고, 모터(2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경우 잦은 진동 등으로 인해 회전봉(220)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없을 우려가 존재한다. 더 나아가 회전봉(220)과 동일하게 회전할 경우 커버프레임(120)이 필요한 회전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경우 본체프레임(110)과 분리될 우려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봉(220) 및 상기 회전봉(220)과 결합된 결합기어(210)와 커버프레임(120)을 회동시키기 위해 회전가이드(221)가 추가로 구비된다.
회전가이드(221)는 내각이 회전반경과 대응되는 각도를 갖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회전가이드(221)의 가장자리, 즉 호에 해당되는 외측은 모터(230)와 밀착결합되어 모터(230)가 구동될 때 회전가이드(221)는 모터(230)의 외측면을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230)와 회전가이드(221)가 밀착되는 상황에서만 모터(230)에 의해 회전봉(220)이 회전될 수 있고, 일정간격 이상 회전하여 회전가이드(221)를 이루는 호의 끝단과 모터(230)과 맞닿게 되면 모터(230) 구동을 멈춰 일정간격 이상으로 커버프레임(12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된 회전가이드(221)를 통해 본체프레임(110) 상단측에 내장되는 회전봉(220)과 모터(230)간의 이격된 공간에 회전가이드(221)를 구비하여 회전가이드(221)와 모터(230)간의 결합을 통해 회전봉(220)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모터(230)는 배터리(130)와 연결되어 회전봉(2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될 수 있고, 제어부(400)를 통해 구동 및 회전방향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모터(230)에는 감속기를 구비하고 커버프레임(120)이 빠르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측이 회전가이드(221)와 밀착될 수 있고, 기어결합으로 맞물려 회전가이드(2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어부(200)는 전력을 배터리(130)를 통해 제공받고, 제어부(400)를 통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배식기(100)는 단순히 개폐되는 것이 아닌 반려동물이 배식기(100)에 접근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외부 이물질이 배식볼(11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이 투영창(121)을 통해 사료 및 물을 확인하고, 이를 먹기위해 배식기(100)에 접근할 경우에만 개방될 필요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된 효과를 수행할 수 있는 감지조작부(300)가 배식기(100) 상면에 구비되며, 이러한 감지조작부(300)는 접근감지센서(310), 타이머점멸등(320) 및 수동스위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310)는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로, 초음파 등을 통해 배식기(100)에 근접한 반려동물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감지센서(31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배식기(100)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반려동물이 중앙이 아닌 측면측으로 접근하더라도 이를 접근감지센서(310)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접근감지센서(310)를 통해 반려동물이 배식기(100)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접근감지센서(310)로부터 발생된 센서값을 제어부(400)로 전달하여 접근감지센서(310)의 센서값을 통해 배식기(10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접근감지센서(310)간의 이격된 공간 중앙에는 타이머점멸등(320)이 구비된다.
타이머점멸등(320)은 커버프레임(120)이 폐쇄시 일정시간동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일정시간 뒤에 자동으로 커버프레임(120)이 회전되어 배식기(100)가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을 타이머점멸등(320)의 점멸을 통해 육안으로 남은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반려동물이 사료나 물을 먹다가 잠시 주의가 딴데로 돌아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접근감지센서(310)로부터 반려동물이 멀어져 폐쇄되기 전 일정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따라서, 배식기(100)가 일정시간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타이머점멸등(320)이 점차 점멸되어 카운트시간을 표시하게 되고, 타이머점멸등(320)의 점멸여부에 반려동물이 주의를 끌 경우 다시 배식기(100)로 접근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충분히 배가 부른 반려동물은 배식기(100)로부터 멀어져 휴식공간이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타이머점멸등(320)에 주의를 끌지않아 일정시간 카운트되는 동안 반려동물은 배식기(100)에 접근하지 않게 된다.
상술된 타이머점멸등(320)은 카운트되는 시간에 맞춰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폐쇄시 기다리는 시간을 8초로 설정하였고, 이에 맞춰 4개의 타이머점멸등(320)이 감지조작부(300) 중앙에 구비되는 수동스위치(3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2초마다 각 타이머점멸등(320)이 점멸하여 육안으로 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반려동물의 접근 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배식기(100)를 세척하거나 사료 및 물을 보충하기 위해 수동스위치(330)를 통해 배식기(100)를 직접 개폐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동스위치(330)를 조작함으로써 직접 제어부(400)를 구동시켜 커버프레임(120)을 회동시켜 배식기(100) 개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하는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감지조작부(300)를 통해 배식기(100)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할 수 있고, 개방된 배식기(100)가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하면 일정시간을 가져 자동으로 폐쇄될 때 이를 외부로 알릴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수동스위치(330)를 조작하여 배식기(10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감지조작부(300)는 배식기(100)의 정면측 상면 중앙에 구비되어 커버프레임(120) 개방 후 배식볼(111)에 있는 사료 및 물을 먹을 때 목측에 위치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반려동물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반려동물이 사료나 물 섭취시 커버프레임(120)이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a와 같이 감지조작부(300)의 프레임(300a) 하측에 PCB기판으로 이루어진 제어부(400)가 구비될 수 있고, 감지조작부 프레임(300a)에서 타이머점멸등(320)의 LED와 대응되는 곳에 타이머점멸등(320)에서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점멸투과창(320a)이 형성되어 타이머점멸등(320)에서 발광되는 빛이 점멸투과창(320a)을 관통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동스위치(330)에 해당되는 감지조작부 프레임(300a) 하면 중앙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수동스위치(330)를 누르면 하측에 위치한 제어부(400)가 가압되어 커버프레임(120)의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감지조작부(300)를 통해 반려동물이 접근을 감지하면 배식기(10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기어부(2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400)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부(400)에는 제어모듈(410)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모듈(410)은 감지조작부(300)의 접근감지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센서값을 통해 기어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어부(200), 감지조작부(300) 및 제어부(400)를 통해 배식기(100)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자동으로 배식기(100)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반려동물이 사료나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반려동물이 배식기(100)와 멀어지면 자동으로 배식기(100)를 폐쇄하여 배식볼(111)에 수용된 사료 및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투영창(121)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배식기(100) 내 사료와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으나, 이를 매번 확인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반려동물은 배식기(100)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파악하면 적정량 이상으로 사료를 과다섭취하여 반려동물의 과식, 급체, 비만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사료 및 물의 섭취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감지조작부(300)에 무게감지센서(3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340)는 본체프레임(110)에 내장되되, 도 1과 같이 볼인입홀(110b)과 인접한 곳에 구비된다.
이러한 무게감지센서(340)는 상단이 확장된 배식볼(111)과 밀착되어 상기 배식볼(111)의 무게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게감지센서(340)로부터 전달받은 센서값을 통해 반려동물의 식습관패턴, 사료 섭취량 및 섭취시간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제어부(400)에는 판단모듈(420), 통신모듈(430) 및 저장모듈(44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판단모듈(420)은 무게감지센서(340)로부터 전달받은 센서값을 통해 저장모듈(440)에 기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배식기(100)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반려동물이 사용자가 저장모듈(440)에 직접 저장한 설정값, 예를 들어 일일사료섭취량과 무게감지센서(340)로부터 전달된 센서값, 즉 사료감소량을 비교판단하여 반려동물의 사료섭취량을 판단하고, 기저장된 설정값 초과시 과식으로 판단하여 제어모듈(410)이 반려동물의 접근으로도 배식기(10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420)은 접근감지센서(310)로부터 제공받은 센서값 또한 판단하여 반려동물의 근접여부도 함께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420)을 통해 일정시간 내 반려동물의 사료섭취량을 판단할 수 있고, 저장모듈(440)에 저장된 시간대비 사료섭취량을 초과할 경우에도 배식기(100)가 개방되는 것을 판단모듈(420) 및 제어모듈(410)을 통해 방지함으로써 짧은 시간내 반려동물이 과도한 양의 사료를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려동물의 급체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판단모듈(420)로 전달된 센서값과, 판단모듈(420)이 판단한 반려동물의 사료 과섭취를 통신모듈(43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2)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모듈(430)은 감지조작부(300) 및 판단모듈(420)을 통해 일일사료섭취량, 일정시간 내 사료섭취량, 음수량 등을 단말기(2)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이를 파악하게 하고, 이에 따라 사료변경, 사료 및 물 충전 등을 파악하고, 배식기(100)를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통신모듈(430)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원격통신방법으로 연결되어 단말기(2)에 상기 배식기(100)와 연동된 어플 등을 통해 반려동물의 사료섭취현황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모듈(440)은 일일사료섭취량, 시간대비 사료섭취량 등이 기저장되는 곳으로, 판단모듈(420)이 감지조작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센서값과 저장모듈(440)에 기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도록 판단모듈(420)에 설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440)에 기저장된 설정값은 사용자가 단말기(2)를 통해 직접 변경,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감지조작부(300) 및 제어부(400)를 통해 배식기(100)로 접근한 반려동물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이 섭취한 사료 및 물의 양을 비롯하여, 반려동물의 사료섭취패턴, 사료섭취습관 등을 직접 단말기(2)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정사료섭취량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배식기(10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려동물의 과식, 비만 또한 함께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한편, 사용자가 장기간 부재시 배식기(100)에 내장된 사료 및 물이 반려동물의 섭취로 인해 모두 소진될 경우 반려동물에게 용이하게 사료 및 물을 공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같이 배식기(100) 내부에 사료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1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저장탱크(140)는 본체프레임(1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사료나 물이 내장되고, 이러한 저장탱크(140)와 볼인입홀(110b) 내측 상단을 연결하는 이송관(141)이 구비되어 저장탱크(140)에 내장된 사료 및 물이 이송관(141)을 통해 볼인입홀(110b) 내측 상단으로 유입되며, 이송관(141)을 통해 배출된 사료나 물은 볼인입홀(110b) 내측을 따라 배식볼(111) 내부로 낙하하여 배식볼(111) 내부를 보충시킬 수 있다.
이때, 이송관(141)은 레일이나 고무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이송관(141)은 별도의 모터가 추가로 구비되어 이송관(141)이 저장탱크(140) 내 사료나 물을 볼인입홀(110b)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무게감지센서(340)는 배식볼(111)에 내장된 사료/물의 무게를 감지하고, 이러한 무게를 저장모듈(440)에 기저장된 사료/물의 무게(이하, 설정값)를 판단모듈(420)에서 비교하며, 설정값 이하로 무게가 감소하는 경우 배식볼(111)에 내장된 사료/물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모듈(420)이 제어모듈(410)로 판단값을 전달하여 제어모듈(410)이 이송관(141)을 구동시킴으로써 저장탱크(140)에 내장된 사료/물이 볼인입홀(110b) 내 배식볼(111)로 보충되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으로 사료량 및 물의 양을 파악하여 일정량 이하로 감소할 경우 사료 및 물이 내장된 저장탱크(140)에서 자동으로 배식볼(111)에 사료 및 물을 공급하여 반려동물에게 지속적으로 사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이때, 저장탱크(140)는 사료와 물을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2: 단말기
100: 배식기 110: 본체프레임
110a: 경사면 110b: 볼인입홀
111: 배식볼 112: 기어인입홀
113: 마그넷 120: 커버프레임
121: 투영창 122: 밀착패킹
130: 배터리 140: 저장탱크
141: 이송관 200: 기어부
210: 결합기어 220: 회전봉
221: 회전가이드 230: 모터
300: 감지조작부 300a: 감지조작부 프레임
310: 접근감지센서 320: 타이머점멸등
320a: 점멸투과창 330: 수동스위치
340: 무게감지센서 400: 제어부
410: 제어모듈 420: 판단모듈
430: 통신모듈 440: 저장모듈

Claims (7)

  1. 반려동물 접근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에 있어서,
    사료가 구비되는 배식볼이 내장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배식볼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커버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배식기;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커버프레임를 결합시키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커버프레임를 회전시키는 기어부;
    상기 본체프레임 정면측 상면에 구비되어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조작부; 및
    상기 감지조작부로부터 전달된 센서값을 통해 상기 기어부를 조작하여 반려동물이 상기 배식기로 접근여부에 따라 상기 배식기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프레임에 내장되어 결합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기어;
    상기 본체프레임에 내장된 상기 결합기어의 일단을 관통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켜 상기 커버프레임을 회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봉에는 상기 모터가 구비되는 곳에 회전가이드가 수평방향으로 관통결합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는 내각이 상기 커버프레임의 회동반경에 대응되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터의 외측과 상기 회전가이드가 기어결합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상기 회전가이드를 통해 상기 회전봉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조작부는,
    상기 배식기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
    개방된 상기 배식기에 반려동물이 멀어지면 일정시간동안 순차적으로 점멸되어 상기 배식기의 자동 폐쇄시간을 안내하는 타이머점멸등; 및
    사용자가 직접 상기 배식기를 개방시키도록 조작되는 수동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조작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배식볼이 인입되는 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식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감지된 사료잔존량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부의 구동여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식기의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모듈;
    상기 감지조작부로부터 전달받은 센서값을 통해 상기 배식기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감지조작부를 통해 상기 배식볼 내부환경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배식기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조작부로부터 전달된 센서값과 비교하는 설정값이 기저장되는 저장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센서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반려동물에 접근에도 상기 배식기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기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 내부에 여분의 사료와 물이 내장되는 저장탱크;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저장모듈에 기저장된 사료와 물의 무게와 상기 무게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배식볼 내 사료와 물의 무게를 상기 판단모듈이 비교하고,
    상기 배식볼 내 사료와 물의 무게가 상기 저장모듈에 기저장된 사료와 물의 무게보다 감소시 상기 저장탱크가 구동되어 상기 배식볼측으로 내장된 사료와 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무게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사료잔존량을 수신받아 반려동물의 사료섭취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저장모듈에 기저장되는 설정값을 직접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PCT/KR2021/008922 2020-08-12 2021-07-13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WO202203506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331 2020-08-12
KR1020200101331A KR102214688B1 (ko) 2020-08-12 2020-08-12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5060A1 true WO2022035060A1 (ko) 2022-02-17

Family

ID=7456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8922 WO2022035060A1 (ko) 2020-08-12 2021-07-13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4688B1 (ko)
WO (1) WO2022035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688B1 (ko) * 2020-08-12 2021-02-10 윤승진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020A (ja) * 2003-03-25 2004-10-21 Doggy Man H A Co Ltd ペット用餌容器
KR101321953B1 (ko) * 2012-09-26 2013-10-28 박두환 애완동물용 사료 및 간식 자동급식장치
KR20140024522A (ko) * 2012-08-20 2014-03-03 서휘 애완동물 자동먹이 공급장치
US20190029222A1 (en) * 2017-07-27 2019-01-31 WAGZ,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nd feeding a pet
KR102087420B1 (ko) * 2018-08-01 2020-04-23 주식회사 써랜라잇 주식 또는 간식의 선택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급식기
KR102214688B1 (ko) * 2020-08-12 2021-02-10 윤승진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044Y1 (ko) 2002-07-11 2002-10-04 김재환 애완 동물용 자동급식기
KR20090080836A (ko) 2008-01-22 2009-07-27 김병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급식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020A (ja) * 2003-03-25 2004-10-21 Doggy Man H A Co Ltd ペット用餌容器
KR20140024522A (ko) * 2012-08-20 2014-03-03 서휘 애완동물 자동먹이 공급장치
KR101321953B1 (ko) * 2012-09-26 2013-10-28 박두환 애완동물용 사료 및 간식 자동급식장치
US20190029222A1 (en) * 2017-07-27 2019-01-31 WAGZ,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nd feeding a pet
KR102087420B1 (ko) * 2018-08-01 2020-04-23 주식회사 써랜라잇 주식 또는 간식의 선택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급식기
KR102214688B1 (ko) * 2020-08-12 2021-02-10 윤승진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688B1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35060A1 (ko) 자동으로 개폐되는 사료배식기
US4248175A (en) Automatic dog or cat feeder
WO2013112007A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WO2020166917A1 (ko) 중력 작용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
WO2014069896A1 (ko)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및 시스템
WO2012177007A2 (ko) 골프공자동공급장치
WO2018124433A1 (ko) 전자식 급이기의 물에 빠진 사료 해결방법
WO2017039076A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18221757A1 (ko)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WO2021040123A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leaner
WO2018155842A1 (ko) 스마트 살균 수저통
WO2017124354A1 (zh) 牲畜自动饲喂系统及牲畜饲喂方法
WO2021033905A1 (ko)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오스크
WO2023140451A1 (ko) 자동 파종장치
WO2017135512A1 (ko) 전위차를 이용한 액상급이기의 물 자동 공급장치
WO2013137651A1 (ko)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20138742A1 (ko)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공급방법
WO2019103257A1 (ko)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102247566B1 (ko) 이물질 투입방지가 가능한 사료배식기
WO2020060249A1 (ko) 반려동물 급수기
WO2014104458A1 (ko)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
WO2021242077A1 (ko)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86016A1 (ko) 내부 확인 가능한 화장실 커버 및 변기 잔류물 경보 장치
WO2022019556A1 (ko) 자동 곡물세척 및 요리 장치
GB2451804A (en) Pet dish with animal detection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560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560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