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10172A1 - 청소기용 걸레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10172A1
WO2022010172A1 PCT/KR2021/008295 KR2021008295W WO2022010172A1 WO 2022010172 A1 WO2022010172 A1 WO 2022010172A1 KR 2021008295 W KR2021008295 W KR 2021008295W WO 2022010172 A1 WO2022010172 A1 WO 20220101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leaner
unit
floor
mop
st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82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재원
이민우
김영빈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837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76792A1/en
Priority to CN202180048487.9A priority patent/CN115884704A/zh
Publication of WO20220101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101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p for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p for a cleaner that is attached to a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to clean a floor surface.
  • a robot cleaner including a motor, various senso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etc. may be configured to clean an area requiring cleaning while driving by itself.
  • AI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robot vacuum cleane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sucking dust or the like by vacuum, sweeping up the dust, or wiping the cleaning surface using a rag.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613446 discloses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main body, a driving unit, a first rotating member,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 the robot cleaner of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first cleaner and a second cleaner made of cloth, rag, nonwoven fabric, brush, etc., and the first cleaner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 Patent Document 1 As the first and second cleaners rotate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members,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floor can be removed through friction with the floor surface, , when a frictional force with the floor is generated, the frictional force can be used as a power to move the robot cleaner. That is, Patent Document 1 describes that, when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are rotated, the cleaning of the floor and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may be performed together.
  •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ar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and are configured to wipe the floor while rotating. There is an impossible problem. That is, when cleaning while moving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since the cleaner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as the cleaner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wall surface is not cleane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10829 discloses a 'cleaning pad for a vacuum cleaner using water or a liquid cleaning solvent'.
  • the cleaning pad according to Patent Literature 2 further includes a twisted fiber part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leaning layer, and is disclosed so as to be able to clean the corners of interior walls or furniture.
  • the twisted fiber portion is fastened in parallel with the cleaning layer whil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cleaning layer.
  • the cleaning layer wipes the floor surface
  • the twist-bonded fiber portion is arranged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is deteriorated because th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is not made well.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further provides a side cleaning unit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loo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floor to extend the cleaning area inside and outside the vacuum cleaner. Its purpose is to provid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p for a cleaner capable of improving cleaning performance by the side cleaning unit by obliquely fastening the side cleaning unit toward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side cleaning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p for a cleaner that can improve the cleaning performance by the side cleaning unit by having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stacked on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rranged in multiple stag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p for a cleaner that can improve cleaning performance by disposing the cleaning members stacked in multiple step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ore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cleaning object is widened. has its purpose in
  • the mop for a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side cleaning unit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loo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floor to expand the cleaning area.
  • the mop for a cleaner relates to a mop for a cleaner attached to a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to clean the floor, wherein the mop for cleaner includes: a floor cleaning unit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i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long the perimeter of the floor sweeper, the end portion is arranged to droop down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floor cleaner; made including;
  • the mop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cleaning unit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 side cleaning unit protruding out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loor cleaning unit and inclined toward the floor surface.
  • the side cleaning unit may include a cleaning member stacked on each other and formed in two stages.
  • the stacked cleaning member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outside, and the cleaning members disposed at the lower end may be arranged to droop downward so that the end is located below the floor cleaning uni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performance by the side cleaning unit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arranged in multiple stages.
  • the mop for a cleaner includes a floor cleaning unit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 absorption unit stacked on the floor cleaning unit, absorbing the supplied water and supplying it to the floor cleaning unit; a supply unit stacked on the absorption unit, absorbing water supplied from the cleaner and supplying it to the absorption unit; an attachment part stacked on the supply part and attached to the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a coupling part provided in a ring shape, one side surrounding the floor cleaning part, and the other side surrounding the attachment part; and a side cleaning part stack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loor surface and fastened by stitching, and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oor cleaning part;
  • the side cleaning part may be made to be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by stitching.
  • the mop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to improve cleaning performance by the side cleaning unit by obliquely fastening the side cleaning unit toward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side cleaning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 the side cleaning unit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loor by optimizing the positioning of the stitching when the side cleaning unit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 the stitching may include: first stitching for coupling the side cleaning part,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the floor cleaning part, the absorption part, the supply part, the attachment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art; and second stitching for coupling the side cleaning unit, the floor cleaning unit, the absorption unit, the supply unit, the attachment unit, and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unit.
  • the floor cleaning unit may be made of microfiber, and a central opening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may be formed.
  • the absorption unit may have a central opening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and may be made of polyurethane (PU) to be coupled to the floor cleaning unit by thermal fusion.
  • PU polyurethane
  • the absorbing part may include a stitching area covered by the coupling part; and a cleaning area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stitching area and pressing the floor cleaning unit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 the supply unit may be made of microfiber, and a central opening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may be formed.
  • the attachment part may be made of Velcro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 the attachment part may be formed such that a central opening passing through the center is formed, and a diameter larger than the central opening formed in the supply part is formed.
  • water supplied from the cleaner may be supplied to the exposed supply unit through the central opening of the attachment unit.
  • the side cleaning part of the mop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member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stack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and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faste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member.
  • the side cleaning unit, the base member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by stitching, the cleaning member may be made to be inclined to the floor surface.
  • the base member may include: a first base portion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by the first stitching; and a second base portion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ase port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base portion in a radial direction, and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by the second stitching.
  • the side cleaning unit, the cleaning members are stacked on each other may be made to be fastened to the base member in multiple stages.
  • the side clean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such that the stacked clean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member so that the spacing becomes larger.
  • the supply unit, the absorption unit, and the floor cleaning unit may be additionally fastened by first auxiliary stitching in the central region.
  • the first auxiliary stitching may be formed along a periphery of a central opening formed in the supply unit, the absorption unit, and the floor cleaning unit.
  • the attachment part may be further fastened by second auxiliary stitching in the central region.
  • the second auxiliary stitching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opening of the attachment part and formed to penetrate the supply part, the absorption part, and the floor cleaning part.
  • a side cleaning unit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perimeter of the floo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floor is further provided to expand the cleaning area inside and outside the cleaner to improve cleaning performance.
  • the mop for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leaning performance by the side cleaning unit by fastening the side cleaning unit inclined toward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side cleaning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 the side cleaning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stacked on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rranged in multiple stage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leaning performance by the side cleaning unit.
  • the cleaning members stacked in multiple stages are arranged so that th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comes larger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cleaning object is widened, thereby improving cleaning performance can ge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bot cleaner to which a cleaning mop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ure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tary plate and a mop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p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p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n by cutting the region II' of FIG. 4;
  • FIG. 7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rea A of FIG. 6 ;
  •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cleaning unit is fastened by stitch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y extracting area A of FIG. 6;
  •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cleaning unit is fastened by stitch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y extracting area A of FIG. 6 .
  •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the term “and/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 the mop for a cleaner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a cleaner, and may be used by being attached to a robot cleaner or a stick-type cleaner directly operated by a user.
  • FIG.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bot cleaner to which a cleaning mop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rotating plate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n by separating the mop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xample.
  •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 body 100 , a first rotating plate 10 , a second rotating plate 20 , and a cleaning mop 300 .
  • the robot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a bumper 190 , a first sensor 200 , and a second sensor 210 for automatic driving.
  •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actuator 160 and the second actuator 170 to be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preset information or real-time information.
  • the robot cleaner 1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robot cleaner 1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to the robot cleaner 1, information output from the robot cleaner 1, and the like.
  • the bumper 190 is coupled along the rim of the body 100 , and is made to move relative to the body 100 .
  • the bumper 19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to be reciprocally movable along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enter of the body 100 .
  • the bumper 190 may be coupled along a portion of the rim of the body 100 , or may be coupled along the entire rim of the body 100 .
  • the bumper 190 may be lower than or the same height as the body 100 . Accordingly, when an obstacle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collides with the bumper 190 , the obstacle may be detected by the bumper 190 .
  • the first sensor 20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movement (relative movement) of the bumper 190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
  • the first sensor 200 may be formed using a microswitch, a photo interrupter, or a tact switch.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1 so that the bumper 190 of the robot cleaner 1 can move by avoiding it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n obstacle, and according to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nsor 200, the first actuator ( 160 ) and/or second actuator 170 .
  • the contact position of the bumper 190 may be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200 ,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ntact pos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60 and/or the second actuator 170 so as to escape.
  • the second sensor 21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and configured to detect a relative distance to an obstacle.
  • the second sensor 210 may be a distance sensor.
  •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ensor 21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obot cleaner 1 and the obstac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is switched, or the robot cleaner 1 is the obstacle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60 and/or the second actuator 170 .
  • the body 100 may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obot cleaner 1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rame.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 and som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may be accommodated in the body 100 .
  • the body 100 can be divided into a lower body 100a and an upper body 100b, and the parts of the robot cleaner 1 are provided in a space in which the lower body 100a and the upper body 100b are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 the body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or diame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axis and Y-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 the body 100 may provide a structure advantageous for avoiding obstacles, helping to stably operate during movement (driving) by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bot cleaner 1 .
  • the body 100 When viewed from above or below, the body 1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oval, or a square.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is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r a flat frame.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be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in a state coupled to the body 100, or may form an inclination with the floor surface.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be form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s a whole.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include a first central plate 11 , a first outer plate 12 , and a first spoke 13 .
  • the first central plate 1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00 while forming the center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 the first center plate 1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0 , and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enter plate 11 fac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
  • the rotation shaft 15 of the first rotation plate 10 may be formed along a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central plate 11 .
  • the rotation shaft 15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be form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surface, or may achie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oor surface.
  • the first outer plate 12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central plate 1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entral plate 11 .
  • the first spokes 13 connect the first central plate 11 and the first outer plate 12 , and are provided in plurality and are repeated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entral plate 11 .
  • the first spokes 13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holes 14 penetrating up and down between the first spokes 13 are provided, and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tube 24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water) may be transferred toward the mop 300 for a cleaner through the hole 14 .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is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r a flat frame.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is generally laid horizontally, and thus, the horizontal width (or diameter)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vertical height.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coupled to the body 100 may be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or may form an inclination with the floor surface.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form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s a whole.
  •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may include a second center plate 21 , a second outer plate 22 , and a second spoke 23 .
  • the second center plate 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00 while forming the center of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
  • the second center plate 2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0 , and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enter plate 21 fac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
  • the rotation shaft 25 of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may be formed along a direction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second central plate 21 .
  • the rotation shaft 25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form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surface, or may achie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oor surface.
  • the second outer plate 22 is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central plate 2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entral plate 21 .
  • the second spokes 23 connect the second center plate 21 and the second outer plate 22 , and are provided in plurality and are repeated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enter plate 21 .
  • the second spokes 23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holes 24 penetrating up and down between the second spokes 23 are provided, and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tube 240 to be described later. (Water) may be transferred toward the mop 300 for a cleaner through this hole 24 .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formed identically to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or may be symmetrically formed. If the first rotating plate 1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moves,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obot cleaner 1, and in this cas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mop 300 for a cleaner has a bottom surface facing the floo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mop 300 for a cleaner has a flat shape.
  • the mop 300 for a cleaner is formed in a form whose horizontal width (or diameter)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vertical height.
  •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300 for cleaner may be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or may form an inclination with the floor surface.
  •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300 for a cleaner may form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 the mop 300 for a cleaner may be form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s a whole.
  • the mop 300 for a cleaner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wiping the floor while in contact with the floor.
  •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300 for a cleaner may be made of a cloth made of woven or knitted fabric, a non-woven fabric, and/or a brush having a predetermined area.
  • the mop 300 for a clean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lates 10 and 20,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lates 10 and 20 to first and second It is mad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s (10, 20).
  • the cleaning mop 300 may be close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plates 12 and 22 , and the first and second center plates 11 and 21 and the first and second outer plates 12 . , 22) may be close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 the mop 300 for a cleane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10 and 20 using various devices and methods.
  • at least a portion of the mop 300 for a clean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10 and 20 in a manner such as being caught i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10 and 20, fitting, etc. .
  • a separate device such as a clamp for coupling the cleaner mop 300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10 and 20 may be provided.
  • a pair of fastening devices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may be used, and the other side may be fixed to the cleaning mop 300 and the other side may b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10 and 20.
  • the cleaner mop 300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ry plates 10 and 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overlapping form. There, the cleaner mop 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10 and 20 so that the center of the cleaner mop 300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plates 10 and 20 . .
  • the robot cleaner 1 may be made to go straight along the floor surface.
  • the robot cleaner 1 may go straight forward (X-axis direction) when cleaning, or may go straight backwards when it is necessary to avoid an obstacle or a cliff.
  • the robot cleaner 1 may move while rot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by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10 and 20 . That is, if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rotation plate 10 is fast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or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does not rotate while the first rotation plate 10 rotates, the robot cleaner (1) It can move while rotating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moves. Alternatively, if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is fast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rotation plate 10, or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does not rotate while the first rotation plate 10 rotates, the robot cleaner (1) It can move while rotating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moves.
  •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 first actuator 160 , a second actuator 170 , a battery 220 , a water tank 230 , and a water supply tube 240 .
  • the first actuator 16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 the first actuator 160 may include a first case 161 , a first motor 162 , and one or more first gears 163 .
  • the first case 161 supports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irst actuator 160 ,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body 100 .
  • the first motor 162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motor.
  • the plurality of first gears 16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rotate, connect the first motor 162 and the first rotation plate 10 , and us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irst motor 162 to the first rotation plate 10 . transmit Accordingly, when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motor 162 rotates, the first rotation plate 10 rotates.
  • the second actuator 17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o rotate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 the second actuator 170 may include a second case 171 , a second motor 172 , and one or more second gears 173 .
  • the second case 171 supports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cond actuator 170 ,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body 100 .
  • the second motor 172 may be an electric motor.
  • the plurality of second gears 17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rotate, connect the second motor 172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 and us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econd motor 172 to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 transmit Accordingly, when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motor 172 rotates,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rotates.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cleaner mop 300 may rotat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60
  • the second rotating plate may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tuator 170 .
  • (20) and the mop 300 for a cleaner can rotate.
  • the first actuator 160 may be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actuator 160 to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In addition, by applying the load of the first actuator 160 toward the first rotating plate 10, the mop 300 for a cleaner may sufficiently rub against the floor to make mopping.
  • the second actuator 170 may be disposed directly above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power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ctuator 170 to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In addition, by applying a load of the second actuator 170 towar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the mop 300 for a cleaner may sufficiently rub against the floor while mopping may be performed.
  • the second actuator 170 may form a symmetry (left and right symmetry) with the first actuator 160 .
  • the battery 22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o supply power to 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
  • the battery 220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actuator 160 and the second actuator 170 .
  •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motor 162 and the second motor 172 .
  • the battery 220 may be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for this purpose,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22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or the battery 220 itself.
  • the battery 2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
  • the bucket 230 is made in the form of a container having an internal space so that a liquid such as water is stored therein.
  • the bucket 23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ody 100 ,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body 100 .
  • the water supply tube 240 is made in the form of a tube or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30 so that the liquid inside the water tank 230 can flow through the inside.
  • the water supply tube 240 is made such that the opposite e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30 is located above the first rotary plate 10 and the second rotary plate 20, so that the liquid inside the water tank 230 is a cleaner To be supplied toward the mop 300 for use.
  • the water supply tube 24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one tube is branched into two, at this time, one branched end is located abov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other branched one is located abov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the end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located above the.
  • a separate pump may be provided to move the liquid through the water supply tube 240 .
  • the robot cleaner 1 sprays the liquid stored in the water tank 230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plates 20 through the water supply tube 240 , the first and second rotary plates 10 and 20 ) through the holes 14 and 24 formed in the vacuum cleaner mop 300 can be supplied with a liquid.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periodically supplying a liquid so that the mop 300 for a cleaner does not dry out.
  • the mop 300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the rotating plate of the robot cleaner described above.
  • the robot cleaner disclosed above is an example, and it can be used by being attached to various devices that can perform cleaning, such as a stick-type cleaner directly operated by a user.
  • FIG.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p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ea II' of FIG. 7 to 9 are enlarged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rea A of FIG. 6 .
  • the mop 300 for a cleaner includes a floor cleaning unit 310, an absorption unit 320, a supply unit 330, and an attachment unit 340, It includes a coupling part 350 , and a side cleaning part 360 .
  • the floor cleaning unit 3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o clean the floor surface.
  • the floor cleaning unit 31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a central opening 311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may be formed.
  • the floor cleaner 310 may be made of microfiber to effectively wipe the floor.
  • the absorption unit 320 may be stacked on the floor cleaning unit 310 , and may be configured to absorb water supplied from the cleaner and supply it to the floor cleaning unit 310 .
  • the absorber 32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a central opening 321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may be formed.
  • the absorbent unit 320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floor cleaning unit 310 and may be stacked to overlap each other.
  • the absorption unit 320 may be made of polyurethane (PU) and may be coupled to the floor cleaning unit 310 by thermal fusion.
  • PU polyurethane
  • the absorbent part 320 can absorb and hold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has elasticity so that the floor cleaning part 31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 the absorption part 320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stitching area 322 and the stitching area 322 wrapped by the coupling part 350, and the floor cleaning unit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It can be divided into a cleaning area 323 that is pressurized.
  • the stitching area 322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because it must be laminated with other components and fastened by stitching.
  • the cleaning area 323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stitching area 322 by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Through this, the cleaning area 323 may absorb and hold a larger amount of water, and the cleaning surface of the floor cleaning unit 310 may be maintained flat without being distorted.
  • the supply unit 330 may be stacked on the absorption unit 320 , and may absorb water supplied from the cleaner and supply it to the absorption unit 320 .
  • the supply unit 33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a central opening 331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may be formed.
  • the supply unit 330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absorption unit 320 and may be stacked to overlap each other.
  • the supply unit 33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loor cleaning unit 310 .
  • the supply unit may be made of microfibers.
  • the material of the supply unit 3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absorb water supplied from the cleaner and supply it to the absorption unit 320 .
  • the attachment part 340 may be stacked on the supply part 330 and attached to the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 the attachment part 34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a central opening 341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may be formed.
  • the attachment part 340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supply part 330 and may be stacked to overlap each other.
  • a central opening 341 passing through the center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central opening 331 formed in the supply part 330 . This is to allow water supplied from the cleaner to be directly supplied to the exposed supply unit 330 through the central opening 341 of the attachment unit 340 .
  • the attachment part 340 may be made of Velcro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 a hook portion of a pair of Velcro is fastened to the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and the attachment part 340 may be manufactured as a portion of a pair of Velcro in which a hook is formed.
  • a portion having a hooking ring among a pair of velcro is fastened to the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and the attachment part 340 may be manufactured as a portion having a hook among a pair of velcro.
  • the attachment part 340 is not limited to being made of Velcro, and may be formed in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can be detached from the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 the coupling part 35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one side 351 may surround the floor cleaning unit 310 , and the other side 352 may surround the attachment part 340 .
  • the coupling part 350 may have both ends bent inward, that is, a cross-section may be formed in a 'C' shape.
  • the coupling unit 35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stacked floor cleaning unit 310 , the absorption unit 320 , the supply unit 330 , and the attachment unit 340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is time, one side 351 of the coupling part 350 is disposed to overlap a predetermined area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outer end of the floor cleaning unit 310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352 of the coupling part 350 is the attachment part 340 . ) may be arranged to overlap a predetermined area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outer end of the radial direction.
  • the coupling unit 350 is a floor cleaning unit 310, the absorption unit 320, the supply unit 330, the attachment unit 340 stacked on the inside of the coupling unit 350 together with the side cleaning unit 360 to be described below. ) and stitching.
  • the coupling part 350 ma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ny material as long as it is fastened with other components stacked by stitching to maintain a certain strength.
  •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art 350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central area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P in the floor cleaning part 310, ,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caused by abrasion of stitching due to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 the supply unit 330 , the absorption unit 320 , and the floor cleaning unit 310 may be additionally fastened by the first auxiliary stitching 373 in the central region.
  • the first auxiliary stitching 373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openings 331 , 321 , and 311 formed in the supply unit 330 , the absorption unit 320 , and the floor cleaning unit 310 .
  • the supply unit 330, the absorption unit 320, and the floor cleaning unit 310 are fastened by stitching by the coupling unit 350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dial direction, but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central region, so that at the time of rotational driving Rotational friction or torsion may occur between each component. Accordingly, by additionally fastening the components in the central region by the first auxiliary stitching 373 ,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mponents may be improved.
  • attachment part 340 may also be additionally fastened by the second auxiliary stitching 374 in the central region.
  • the second auxiliary stitching 374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opening 341 of the attachment part 340 , and penetrates the supply part 330 , the absorption part 320 , and the floor cleaning part 310 . can be
  • the attachment part 34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otating plate of the cleaner, and since the detachment process is performed periodically, a repeated load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part 340 during the detachment process.
  • the second auxiliary stitching 374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 the second auxiliary stitching 374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attachment part 340 , the supply part 330 , the absorption part 320 , and the floor cleaning part 310 to be fastened together.
  • the side cleaning unit 360 may be stacked on one side 351 of the coupling unit 350 and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oor cleaning unit. Since the side cleaning unit 36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loor cleaning unit 31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lean a corner formed by the floor surface and the side wall or furniture.
  • the side cleaning unit 360 may be fastened to the coupling unit 350 by stitching.
  • the stitching may be formed in plurality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stitching may be formed by two rows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first stitching 371 formed on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second stitching 372a and 372b formed on the inside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first stitching 371 is a side cleaning part 360, one side 351 of the coupling part 350, a floor cleaning part 310, an absorption part 320, a supply part 330, an attachment part 340, and It may be formed to couple the other side 352 of the coupling part 350 together.
  • the second stitching 372a and 372b may be formed in two embodiments.
  • the second stitching 372a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to couple the side cleaning unit 360 , the floor cleaning unit 310 , the absorption unit 320 , the supply unit 330 , and the attachment unit 340 .
  • the second stitching 372a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350 so as not to be sewn.
  • the inner end of the side cleaning unit 360 is inserted higher in the height direction because the thickness becomes relatively thin compared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stitching 371 is coupled while being inserted higher in the height direction.
  • the side cleaning unit 36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loor surface. Through this, the side cleaning unit 360 can be eff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hereby increasing cleaning efficiency.
  • the second stitching 372b of the second embodiment referring to FIG. 9 , a side cleaning unit 360, a floor cleaning unit 310, an absorption unit 320, a supply unit 330, an attachment unit 340, and a coupling unit ( It may be formed to couple the other side 352 of the 350).
  • the inner end of the side cleaning unit 360 is inserted higher in the height direction because the thickness becomes relatively thin compared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stitching 371 is coupled while being inserted higher in the height direction.
  • the side cleaning unit 360 may be disposed more inclined to the floor surface. Through this, the side cleaning unit 360 can be eff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hereby increasing cleaning efficiency.
  • the second stitching 372c is the same as the first stitching 371 with the side cleaning part 360 , one side 351 of the coupling part 350 , the floor cleaning part 310 , absorption
  • the side cleaning part 360 will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P).
  •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art 350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loor surface P, when the side cleaning part 36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P in the stat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350, the floor Since the contact with the surface (P) is not made well, the cleaning efficiency is reduced.
  • the side cleaning unit 360 through the second stitching 372a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stitching 372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nclined to the bottom surface (P). Since it can be disposed, the side cleaning unit 360 can be eff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P, thereby increasing cleaning efficiency.
  • the side cleaning unit 360 is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base member 361 stacked on one side 351 of the coupling unit 350 and a plurality of faste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member 361 provided in a ring shape. It may be made of a cleaning member (362). That is, the side cleaning unit 360 may be formed by radially fastening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362 of the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ing-shaped base member 361 . At this time, the base member 361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350 by stitching, and the cleaning member 362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surface (P).
  • the base member 361 may be divided into two regio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to be formed of a first base portion 361a and a second base portion 361b.
  • first base part 361a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350 by first stitching 371
  • second base part 361b is provided insid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base part 361a. and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350 by second stitching 372a and 372b.
  • the second base portion 361b may have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first base portion 361a. Therefore, when the second base part 361b is fastened by the second stitching 372a and 372b, the second base part 361b is form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first base part 361a, so that the second base part 361b ) can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base portion 361a while being pulled by the second stitching (372a, 372b), so that the cleaning member 362 can be more easily inclined to the bottom surface (P).
  •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362 may be provided, stacked on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and fastened to the base member 361 in multiple stages.
  • the cleaning member 362 may be formed in two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 the second stitching (372a, 372b) as the floor cleaning unit 310 is disposed inclined to the floor (P), the stacked cleaning member 362 toward the away from the base member (361)
  • th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arranged to become larger.
  • the side cleaning unit 36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loor cleaning unit 310 to expand the cleaning area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lean corners and crevices, thereby improving cleaning performance.
  • the side cleaning unit 360 is arrang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loor surface in a state in which it is fastened to the coupling unit 350, so that the side cleaning unit can effectively adhere to the floor surface, resulting in higher adhesion It can clean effectively and improve the cleaning performanc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어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용 걸레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청소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에 적층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바닥 청소부에 공급하는 흡수부와, 상기 흡수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흡수부에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감싸고 타측은 상기 부착부를 감싸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적층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포함하여 청소 면적을 확장하여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용 걸레
본 발명은 청소기용 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어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용 걸레에 관한 것이다.
모터, 각종센서 및 인공지능(AI)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봇청소기는, 청소가 필요한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청소기는 진공에 의해 먼지 등을 흡입하거나, 먼지를 쓸어 담거나, 또는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면을 닦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청소기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61344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는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 구동부,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로봇 청소기는, 천, 걸레, 부직포, 브러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클리너 및 제2 클리너를 포함하고, 제1 클리너는 제1 회전 부재의 제1 고정 부재에 결합하고, 제2 클리너는 제2 회전 부재의 제2 고정 부재에 결합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1 클리너와 제2 클리너가 회전함에 따라 바닥면과의 마찰을 통해 바닥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바닥면과의 마찰력이 생성되면 그 마찰력은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동력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특허문헌 1은, 제1 클리너 및 제2 클리너의 회전시, 바닥의 청소 및 로봇 청소기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로봇 청소기는 제1 클리너 및 제2 클리너가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바닥을 닦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내의 벽면 또는 가구 등이 배치된 영역의 모서리 부분은 청소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실내의 벽면을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경우, 클리너는 본체의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클리너가 벽면과 이격되므로, 벽면의 모서리 부분은 청소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선행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2010829호(이하, '특허문헌 2'라 지칭)에는 '물 또는 액상 청소용제를 이용하는 청소기용 청소패드'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른 청소패드는 청소층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꼬임결합 섬유부를 더 포함하고 있어, 실내의 벽면 또는 가구 등의 모서리 부분을 청소할 수 있도록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의 청소패드는 상기 꼬임결합 섬유부가 상기 청소층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청소층과 평행하게 체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청소층이 바닥면을 닦을 때 상기 꼬임결합 섬유부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바닥면과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청소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더 구비하여 청소기 내외측의 청소 면적을 확장할 수 있는 청소기용 걸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측면 청소부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측면 청소부를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체결하여, 측면 청소부에 의한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기용 걸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 청소부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청소부재를 구비하여 측면 청소부에 의한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기용 걸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적층된 청소부재가 외측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는 간격이 더 커지도록 배치되어 청소 대상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기용 걸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걸레는, 바닥면을 청소하는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더 구비하여 청소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어 바닥면을 청소하는 청소기용 걸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청소기용 걸레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청소부; 및 상기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바닥 청소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아래로 처지게 배치된 측면 청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청소부; 및 상기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측면 청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서로 적층되어 2단으로 형성된 청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적층된 상기 청소부재는 외측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단에 배치된 청소부재는 단부가 상기 바닥 청소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아래로 처지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청소부재를 구비하여 측면 청소부에 의한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에 적층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바닥 청소부에 공급하는 흡수부; 상기 흡수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흡수부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는 부착부; 링 형태로 마련되고, 일측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감싸고, 타측은 상기 부착부를 감싸는 결합부; 및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적층되어 스티칭으로 체결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결합부에 스티칭으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는, 측면 청소부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측면 청소부를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체결하여, 측면 청소부에 의한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면 청소부를 상기 결합부에 체결시 스티칭의 위치 선정을 최적화하여 측면 청소부가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상기 부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1 스티칭; 및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그리고 상기 부착부을 결합하는 제2 스티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티칭은,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상기 부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1 스티칭; 및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상기 부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2 스티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 청소부는, 극세사로 제조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수부는,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고, 폴리우레탄(PU)로 제작되어 상기 바닥 청소부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수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감싸지는 스티칭 영역; 및 상기 스티칭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를 바닥면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청소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극세사로 제조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탈착되게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는,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공급부에 형성된 중앙 개구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청소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부착부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공급부로 공급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의 상기 측면 청소부는, 링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적층되는 베이스부재; 및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체결된 청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스티칭으로 체결되고, 상기 청소부재는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1 스티칭으로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작은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티칭으로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청소부재가 서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측면 청소부는, 적층된 상기 청소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되는 간격이 더 커지도록 배치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는 중심 영역에서 제1 보조 스티칭에 의해 추가로 체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스티칭은,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에 형성된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중심 영역에서 제2 보조 스티칭에 의해 추가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보조 스티칭은, 상기 부착부의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에 따르면, 바닥면을 청소하는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더 구비하여 청소기 내외측의 청소 면적을 확장하여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에 따르면, 측면 청소부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측면 청소부를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체결하여, 측면 청소부에 의한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에 따르면, 측면 청소부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청소부재를 구비하여 측면 청소부에 의한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에 따르면, 다단으로 적층된 청소부재가 외측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는 간격이 더 커지도록 배치되어 청소 대상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가 부착되는 로봇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에서 회전판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I-I'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확대도,
도 8은 도 6의 A 영역을 발췌하여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티칭으로 측면 청소부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는 도 6의 A 영역을 발췌하여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티칭으로 측면 청소부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는 청소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로봇 청소기 또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스틱형 청소기 등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가 부착되는 로봇청소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가 부착되는 로봇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에서 회전판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는, 바디(100), 제1 회전판(10), 제2 회전판(20), 청소기용 걸레(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1)는 자동 주행을 위하여 제어부(미도시), 범퍼(190), 제1 센서(200) 및 제2 센서(2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정보 또는 실시간 정보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액추에이터(160) 및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를 위하여 로봇 청소기(1)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로 입력되는 정보, 로봇 청소기(1)에서 출력되는 정보 등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로봇 청소기(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범퍼(190)는, 바디(1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되, 바디(100)를 상대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범퍼(190)는, 바디(100)의 중앙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범퍼(190)는 바디(100)의 테두리 일부를 따라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바디(100)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범퍼(190)는 바디(100)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는 장애물이 범퍼(190)와 부딪히면 범퍼(190)에 의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20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바디(100)를 상대로 한 범퍼(190)의 움직임(상대이동)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200)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 포토인터럽터(photo interrupter), 또는 택트스위치(Tact Switch)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의 범퍼(190)가 장애물과 접촉한 경우 회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로봇 청소기(1)를 제어할 수 있고, 제1 센서(200)에 의한 정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16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범퍼(190)가 장애물에 접촉한 경우, 제1 센서(200)에 의해 범퍼(190)가 접촉한 위치가 파악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러한 접촉 위치를 벗어나도록, 제1 액추에이터(16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센서(21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장애물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210)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센서(210)에 의한 정보에 따라, 로봇 청소기(1)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주행방향이 전환하거나, 로봇 청소기(1)가 장애물과 멀어지도록, 제1 액추에이터(16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바디(100)는, 로봇 청소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거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에는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각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고,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일부 부품들은 바디(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바디(100)는 하부바디(100a)와 상부바디(100b)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바디(100a)와 상부바디(100b)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공간상에 로봇 청소기(1)의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바디(100)는 상하방향(Z축 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X축 및 Y축 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0)는, 로봇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을 낮게 위치시켜 이동(주행) 시에 안정되게 동작하도록 돕고, 장애물을 회피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위 또는 아래에서 바라볼 때, 바디(100)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납작한 판 또는 납작한 프레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회전판(10)은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회전판(1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제1 중앙판(11), 제1 외곽판(12) 및 제1 스포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중앙판(11)은 제1 회전판(10)의 중심을 이루면서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중앙판(11)은 바디(1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중앙판(11)의 상면이 바디(100)의 저면을 향하면서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의 회전축(15)은 제1 중앙판(11)의 중앙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판(10)의 회전축(15)은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소정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1 외곽판(12)은 제1 중앙판(11)과 이격되게 제1 중앙판(11)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스포크(13)는 제1 중앙판(11)과 제1 외곽판(12)을 연결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중앙판(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다. 제1 스포크(13)는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스포크(13)들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구멍(14)이 구비되며, 후술할 물공급튜브(240)에서 토출되는 액체(예컨대, 물)가 이러한 구멍(14)을 통하여 청소기용 걸레(300)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납작한 판 또는 납작한 프레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회전판(20)은 대체로 가로로 눕혀지고, 이에 따라, 상하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디(100)에 결합된 제2 회전판(20)은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회전판(2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제2 중앙판(21), 제2 외곽판(22) 및 제2 스포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중앙판(21)은 제2 회전판(20)의 중심을 이루면서 바디(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중앙판(21)은 바디(1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중앙판(21)의 상면이 바디(100)의 저면을 향하면서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의 회전축(25)은 제2 중앙판(21)의 중앙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판(20)의 회전축(25)은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소정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2 외곽판(22)은 제2 중앙판(21)과 이격되게 제2 중앙판(21)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스포크(23)는 제2 중앙판(21)과 제2 외곽판(22)을 연결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2 중앙판(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다. 제2 스포크(23)는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2 스포크(23)들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구멍(24)이 구비되며, 후술할 물공급튜브(240)에서 토출되는 액체(물)가 이러한 구멍(24)을 통하여 청소기용 걸레(300)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제2 회전판(20)은 제1 회전판(10)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이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는 전방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는 것이라면 제2 회전판(20)는 로봇청소기(1)의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은 서로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바닥을 향하는 저면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청소기용 걸레(300)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상하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청소기용 걸레(300)가 바디(100)쪽에 결합됨에 있어서 청소기용 걸레(300)의 저면은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바닥과 접촉하면서 바닥을 닦을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청소기용 걸레(300)의 저면은, 직물 또는 편물로 이루어지는 천, 부직포 및/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브러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청소기용 걸레(300)는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의 저면에 탈부착되고,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회전판(10, 20)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제1 및 제2 외곽판(12, 22)의 저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중앙판(11, 21) 및 제1 및 제2 외곽판(12, 22)의 저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다양한 장치 및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용 걸레(30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걸림, 끼움 등의 방식으로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청소기용 걸레(300)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을 결합시키는, 클램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한 쌍을 이루며 서로 결합되고 분리되는 체결장치(체결장치의 구체적인 예로서,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석,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벨크로(velcro), 또는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단추(암단추와 수단추) 등이 사용될 수 있다)의 한쪽이 청소기용 걸레(30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고정될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결합됨에 있어서,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청소기용 걸레(300)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이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용 걸레(300)의 중심이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청소기용 걸레(300)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결합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바닥면을 따라 직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는 청소 시 앞(X축 방향)을 향하여 직진할 수 있고, 또는 장애물 또는 낭떠러지의 회피가 필요한 경우 뒤를 향하여 직진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판(10)의 회전 속도를 제2 회전판(20)의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하거나, 제1 회전판(10)은 회전하면서 제2 회전판(20)이 회전하지 않으면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2 회전판(20)의 회전 속도를 제1 회전판(10)의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하거나, 제2 회전판(20)은 회전하면서 제1 회전판(10)이 회전하지 않으면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제1 액추에이터(160), 제2 액추에이터(170), 배터리(220), 물통(230) 및 물공급튜브(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액추에이터(16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제1 회전판(10)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1 액추에이터(160)는, 제1 케이스(161), 제1 모터(162), 하나 이상의 제1 기어(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161)는, 제1 액추에이터(160)를 이루는 구성들을 지지하고, 바디(100)에 고정 결합된다.
제1 모터(162)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기어(163)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 모터(162)와 제1 회전판(10)을 연결하며, 제1 모터(162)의 회전동력을 제1 회전판(10)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1 모터(162)의 회전축의 회전 시 제1 회전판(10)이 회전한다.
제2 액추에이터(17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제2 회전판(20)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2 액추에이터(170)는, 제2 케이스(171), 제2 모터(172), 하나 이상의 제2 기어(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케이스(171)는, 제2 액추에이터(170)를 이루는 구성들을 지지하고, 바디(100)에 고정 결합된다.
제2 모터(172)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기어(173)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모터(172)와 제2 회전판(20)을 연결하며, 제2 모터(172)의 회전동력을 제2 회전판(20)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2 모터(172)의 회전축의 회전 시 제2 회전판(20)이 회전한다.
이처럼 로봇 청소기(1)에서, 제1 액추에이터(16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회전판(10) 및 청소기용 걸레(300)가 회전할 수 있고,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에 의하여 제2 회전판(20) 및 청소기용 걸레(300)가 회전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160)는 제1 회전판(10)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1 액추에이터(160)로부터 제1 회전판(10)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추에이터(160)의 하중을 제1 회전판(10) 쪽으로 가하여 청소기용 걸레(300)가 바닥과 충분히 마찰하면서 걸레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170)는 제2 회전판(20)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2 액추에이터(170)로부터 제2 회전판(20)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170)의 하중을 제2 회전판(20) 쪽으로 가하여 청소기용 걸레(300)가 바닥과 충분히 마찰하면서 걸레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170)는 제1 액추에이터(160)와 대칭(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배터리(22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220)는 제1 액추에이터(160) 및 제2 액추에이터(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제1 모터(162)와 제2 모터(172)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22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바디(100)의 일측, 또는 배터리(220) 자체에는 배터리(220)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배터리(220)는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물통(230)은, 그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가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통(230)은 바디(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바디(100)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공급튜브(240)는, 튜브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를 통하여 물통(230) 내부의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물통(230)과 연결된다. 물공급튜브(240)는, 물통(230)과 연결되는 반대쪽 단부가 제1 회전판(10) 및 제2 회전판(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물통(230) 내부의 액체가 청소기용 걸레(300)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로봇 청소기(1)에서 물공급튜브(240)는 하나의 관이 2개로 분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분기된 어느 하나의 단부는 제1 회전판(10) 상측에 위치하고, 분기된 다른 하나의 단부는 제2 회전판(20)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물공급튜브(240)를 통한 액체의 이동을 위하여, 별도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로봇 청소기(1)는 물통(230)에 저장된 액체를 물공급튜브(240)를 통하여 제1 및 제2 회전판(20)의 상측에서 분사하면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형성된 구멍(14, 24)을 통하여 청소기용 걸레(300)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액체를 공급함에 따라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3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로봇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물론, 상기에 개시된 로봇 청소기에 적용되는 것은 일 예에 해당하고,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스틱형 청소기 등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I-I'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A 영역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300)는 바닥 청소부(310)와, 흡수부(320)와, 공급부(330)와, 부착부(340)와, 결합부(350), 그리고 측면 청소부(360)를 포함한다.
바닥 청소부(310)는 바닥면에 접촉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 청소부(31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 청소부(310)는 바닥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도록 극세사(microfiber)로 제조될 수 있다.
흡수부(320)는 바닥 청소부(310)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바닥 청소부(310)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흡수부(32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수부(320)는 바닥 청소부(310)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흡수부(320)는 폴리우레탄(PU)로 제작되어 바닥 청소부(310)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흡수부(320)가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면 일정량의 물을 흡수하여 머금고 있을 수 있고, 탄성력이 있어 바닥 청소부(310)를 바닥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수부(320)는, 도 8을 참조하면, 결합부(350)에 의해 감싸지는 스티칭 영역(322)과, 스티칭 영역(322)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바닥 청소부(310)를 바닥면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청소 영역(32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스티칭 영역(322)은 다른 구성들과 적층되어 스티칭에 의해 체결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청소 영역(323)은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스티칭 영역(322)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청소 영역(323)에서는 보다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하여 머금고 있을 수 있고, 바닥 청소부(310)의 청소면이 뒤틀리지 않고 평편하게 유지될 수 있다.
공급부(330)는 흡수부(320)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흡수부(320)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급부(33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3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급부(330)는 흡수부(320)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부(330)는 상기 바닥 청소부(31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급부는 극세사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공급부(33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흡수부(320)로 공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부착부(340)는 공급부(330)에 적층되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34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41)가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340)는 공급부(330)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부착부(340)는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41)가 공급부(330)에 형성된 중앙 개구(33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청소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부착부(340)의 중앙 개구(341)를 통하여 노출된 공급부(330)로 바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부착부(340)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탈착되게 벨크로(velcro)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청소기의 회전판에 한쌍의 벨크로 중에서 갈고리가 형성된 부분이 체결되어 있고, 부착부(340)는 한쌍의 벨크로 중에서 걸림고리가 형성된 부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청소기의 회전판에 한쌍의 벨크로 중에서 걸림고리가 형성된 부분이 체결되어 있고, 부착부(340)는 한쌍의 벨크로 중에서 갈고리가 형성된 부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부착부(340)가 벨크로로 제작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탈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350)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351)은 바닥 청소부(310)를 감싸고, 타측(352)은 부착부(340)를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350)는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즉,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결합부(350)는 적층된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를 둘레를 따라 모두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50)의 일측(351)은 바닥 청소부(310)의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면적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결합부(350)의 타측(352)은 부착부(340)의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면적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35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측면 청소부(360)와 함께 결합부(350)의 내측에 적층된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와 스티칭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50)는 부직포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티칭에 의해 적층된 다른 구성들과 체결되어 일정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수부(320)의 청소 영역(323)이 돌출 형성됨에 따라 결합부(350)의 위치가 바닥 청소부(310)에서 바닥면(P)과 접촉하는 중앙 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바닥면과의 마찰로 인한 스티칭의 마모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는 중심 영역에서 제1 보조 스티칭(373)에 의해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조 스티칭(373)은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에 형성된 중앙 개구(331, 321, 3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는 반경 방향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결합부(350)에 의해 스티칭으로 체결되지만, 중심 영역에서는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회전 구동시에 각 구성 간에 회전 마찰이 발생하거나 비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 스티칭(373)에 의해 중심 영역에서 추가로 구성들을 체결하여 구성 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340) 또한 중심 영역에서 제2 보조 스티칭(374)에 의해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조 스티칭(374)은 부착부(340)의 중앙 개구(3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340)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탈착되는 구성이고, 주기적으로 탈착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탈착과정에서 부착부(340)에 반복하중이 인가된다.
따라서, 주기적인 반복하중에 의해 부착부(340)가 결합부(350)에서 탈락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제2 보조 스티칭(37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체결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제2 보조 스티칭(374)은 부착부(340)와,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를 관통하여 함께 체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청소부(360)는 결합부(350)의 일측(351)에 적층되고, 바닥 청소부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청소부(360)는 바닥 청소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바닥면과 측벽 또는 가구 등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측면 청소부(360)는 결합부(350)에 스티칭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스티칭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티칭은 반경 방향으로 2열 즉, 반경 방향의 외측에 형성된 제1 스티칭(371)과, 반경 방향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스티칭(372a, 372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티칭(371)은 측면 청소부(360), 결합부(350)의 일측(351),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 그리고 결합부(350)의 타측(352)을 함께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티칭(372a, 372b)은 두 가지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
첫번째 실시예의 제2 스티칭(372a)은, 도 8을 참조하면, 측면 청소부(360),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그리고 부착부(340)를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스티칭(371)과는 달리 결합부(350)에는 봉제되지 않도록 제2 스티칭(372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티칭(372a)을 형성하게 되면, 제1 스티칭(371)되는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되므로 측면 청소부(360)의 내측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더 높이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측면 청소부(360)가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측면 청소부(360)를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두번째 실시예의 제2 스티칭(372b)은, 도 9를 참조하면, 측면 청소부(360),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 그리고 결합부(350)의 타측(352)을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티칭(372b)을 형성하게 되면, 제1 스티칭(371)되는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되므로 측면 청소부(360)의 내측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더 높이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측면 청소부(360)가 바닥면으로 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측면 청소부(360)를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제2 스티칭(372c)을 제1 스티칭(371)과 동일하게 측면 청소부(360), 결합부(350)의 일측(351),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 그리고 결합부(350)의 타측(352)을 함께 결합하게 되면, 측면 청소부(360)는 바닥면(P)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350)의 위치가 바닥면(P)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측면 청소부(360)가 결합부(350)에 체결된 상태에서 바닥면(P)과 평행하게 배치되면 바닥면(P)과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청소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실시예의 제2 스티칭(372a)과 두번째 실시예에 의한 제2 스티칭(372b) 위치를 통하여 측면 청소부(360)를 바닥면(P)으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측면 청소부(360)를 바닥면(P)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측면 청소부(360)는 링 형태로 마련되어 결합부(350)의 일측(351)에 적층되는 베이스부재(361)와,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베이스부재(361)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체결된 청소부재(3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측면 청소부(360)는 고리 형태의 청소부재(362)가 링 형태의 베이스부재(361)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로 체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재(361)가 결합부(350)에 스티칭으로 체결되고, 청소부재(362)는 바닥면(P)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부재(361)는 두께가 서로 다른 두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1 베이스부(361a)와 제2 베이스부(36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부(361a)는 제1 스티칭(371)으로 결합부(350)에 체결되고, 제2 베이스부(361b)는 제1 베이스부(361a)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구비되고 제2 스티칭(372a, 372b)으로 결합부(350)에 체결된다.
이때, 제2 베이스부(361b)는 제1 베이스부(361a)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티칭(372a, 372b)에 의해 제2 베이스부(361b)를 체결시 제2 베이스부(361b)가 제1 베이스부(361a)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어 제2 베이스부(361b)가 제2 스티칭(372a, 372b)에 의해 당겨지면서 제1 베이스부(361a)보다 더 높이 위치시킬 수 있어 청소부재(362)를 바닥면(P)으로 더 쉽게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청소부재(362)가 복수로 마련되고, 높이 방향으로 서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베이스부재(361)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부재(362)가 높이 방향으로 2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제2 스티칭(372a, 372b)에 의해 바닥 청소부(310)가 바닥면(P)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적층된 청소부재(362)가 베이스부재(3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는 간격이 더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하로 적층된 청소부재(362)의 간격이 커짐에 따라 바닥면(P)과 벽면 또는 가구 등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청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300)를 사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하면 바닥 청소부(3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측면 청소부(360)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청소 면적을 확장하고, 특히 모서리 부분, 틈새 부분 등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스티칭 위치를 설정하여 측면 청소부(360)가 결합부(350)에 체결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하여, 측면 청소부가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보다 높은 밀착력으로 효과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23)

  1.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청소부; 및
    상기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측면 청소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걸레.
  2. 제1항에 있어서,
    링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결합부에 적층되어 스티칭으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 상기 바닥 청소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1 스티칭; 및
    상기 측면 청소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결합하는 제2 스티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링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적층되는 베이스부재; 및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체결된 청소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스티칭으로 체결되고, 상기 청소부재는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1 스티칭으로 체결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작은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티칭으로 체결되는 제2 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청소부재가 서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청소부재가 서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적층된 상기 청소부재 간의 이격되는 간격이 더 커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 상기 바닥 청소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1 스티칭; 및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2 스티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부에 적층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바닥 청소부에 공급하는 흡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상기 바닥 청소부와 함께 상기 결합부에 감싸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티칭으로 함께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흡수부에 공급하는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상기 흡수부와 함께 상기 결합부에 감싸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티칭으로 함께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감싸지는 스티칭 영역; 및
    상기 스티칭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를 바닥면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청소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는 부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공급부와 함께 상기 결합부에 감싸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티칭으로 함께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부에 적층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바닥 청소부에 공급하는 흡수부;
    상기 흡수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흡수부에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는 부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는 중심 영역에서 제1 보조 스티칭에 의해 추가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스티칭은,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에 형성된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중심 영역에서 제2 보조 스티칭에 의해 추가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스티칭은,
    상기 부착부의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서로 적층되어 2단으로 형성된 청소부재를 포함하고,
    적층된 상기 청소부재는 외측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단에 배치된 청소부재는 단부가 상기 바닥 청소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아래로 처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23.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청소부; 및
    상기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바닥 청소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아래로 처지게 배치된 측면 청소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걸레.
PCT/KR2021/008295 2020-07-06 2021-06-30 청소기용 걸레 WO202201017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37073.2A EP4176792A1 (en) 2020-07-06 2021-06-30 Floor cloth for vacuum cleaner
CN202180048487.9A CN115884704A (zh) 2020-07-06 2021-06-30 吸尘器用抹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55 2020-07-06
KR1020200082655A KR20220005172A (ko) 2020-07-06 2020-07-06 청소기용 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0172A1 true WO2022010172A1 (ko) 2022-01-13

Family

ID=7934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8295 WO2022010172A1 (ko) 2020-07-06 2021-06-30 청소기용 걸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76792A1 (ko)
KR (1) KR20220005172A (ko)
CN (1) CN115884704A (ko)
TW (1) TWI803897B (ko)
WO (1) WO2022010172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708A (ja) * 2001-10-05 2003-04-15 Yamazaki Corp 乾拭き用清掃布
JP3147252U (ja) * 2008-06-16 2008-12-25 成蔵 西村 自動床洗浄機用マイクロファイバーフロアパッド
KR200475723Y1 (ko) * 2013-03-09 2014-12-26 홍광희 청소용패드의 벨크로와 바이어스구조
KR20150065366A (ko) * 2013-12-05 2015-06-15 (주)대고 탈부착이 용이한 청소용구
KR101613446B1 (ko) 2015-02-06 2016-04-19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0829B1 (ko) 2019-03-11 2019-08-14 (주)대고 물 또는 액상 청소용제를 이용하는 청소기용 청소패드
KR20200007987A (ko) * 2020-01-09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걸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120136A1 (it) * 2012-05-04 2013-11-05 T T S S R L Tecno Trolley System Mop per pulizi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708A (ja) * 2001-10-05 2003-04-15 Yamazaki Corp 乾拭き用清掃布
JP3147252U (ja) * 2008-06-16 2008-12-25 成蔵 西村 自動床洗浄機用マイクロファイバーフロアパッド
KR200475723Y1 (ko) * 2013-03-09 2014-12-26 홍광희 청소용패드의 벨크로와 바이어스구조
KR20150065366A (ko) * 2013-12-05 2015-06-15 (주)대고 탈부착이 용이한 청소용구
KR101613446B1 (ko) 2015-02-06 2016-04-19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0829B1 (ko) 2019-03-11 2019-08-14 (주)대고 물 또는 액상 청소용제를 이용하는 청소기용 청소패드
KR20200007987A (ko) * 2020-01-09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걸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84704A (zh) 2023-03-31
TWI803897B (zh) 2023-06-01
TW202216036A (zh) 2022-05-01
EP4176792A1 (en) 2023-05-10
KR20220005172A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60662A1 (ko) 로봇청소기 및 로봇청소기의 제어방법
AU2018312743B2 (en) Cleaner
WO2021002625A1 (en) Robot cleaner station
EP3701199A1 (en) Air cleaner
WO2016129770A1 (ko) 청소 로봇 및 그 제어방법
WO2018124543A1 (ko) 청소기
WO2021054568A1 (ko) 청소기
WO2013051843A1 (en) Robot cleaner
WO2017007152A1 (ko)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WO2021060661A1 (ko) 로봇 청소기
WO2017014575A1 (en) Dishwasher
EP3764862A1 (en) Cyclone type dust collecto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6208943A1 (ko)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EP3893709A1 (en) Robot cleaner
WO2019093655A1 (ko) 청소기
WO2021210928A1 (ko)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WO2019231214A1 (en) Cleaner stand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2010172A1 (ko) 청소기용 걸레
WO2021040160A1 (ko) 인공지능 로봇청소기 및 그를 포함하는 로봇 시스템
WO2022010029A1 (ko) 로봇 청소기
WO2021187697A1 (ko) 청소기
AU2017422304B2 (en) Autonomous cleaner
WO2019146955A1 (en) Robot cleaner
WO2021215592A1 (en) Robot cleaner
WO2022015023A1 (ko) 로봇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370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370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