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172A - 청소기용 걸레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172A
KR20220005172A KR1020200082655A KR20200082655A KR20220005172A KR 20220005172 A KR20220005172 A KR 20220005172A KR 1020200082655 A KR1020200082655 A KR 1020200082655A KR 20200082655 A KR20200082655 A KR 20200082655A KR 20220005172 A KR20220005172 A KR 20220005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er
mop
cleaning
st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원
이민우
김영빈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172A/ko
Priority to PCT/KR2021/008295 priority patent/WO2022010172A1/ko
Priority to EP21837073.2A priority patent/EP4176792A1/en
Priority to CN202180048487.9A priority patent/CN115884704A/zh
Priority to TW110124387A priority patent/TWI803897B/zh
Publication of KR20220005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어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용 걸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청소기용 걸레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청소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에 적층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바닥 청소부에 공급하는 흡수부와, 상기 흡수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흡수부에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링 형태로 마련되고 일측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감싸고 타측은 상기 부착부를 감싸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적층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바닥면을 청소하는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더 구비하여 청소 면적을 확장하여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용 걸레{MOP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용 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어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용 걸레에 관한 것이다.
모터, 각종센서 및 인공지능(AI)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봇청소기는, 청소가 필요한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청소기는 진공에 의해 먼지 등을 흡입하거나, 먼지를 쓸어 담거나, 또는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면을 닦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청소기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61344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는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 1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 구동부,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로봇 청소기는, 천, 걸레, 부직포, 브러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클리너 및 제2 클리너를 포함하고, 제1 클리너는 제1 회전 부재의 제1 고정 부재에 결합하고, 제2 클리너는 제2 회전 부재의 제2 고정 부재에 결합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1 클리너와 제2 클리너가 회전함에 따라 바닥면과의 마찰을 통해 바닥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바닥면과의 마찰력이 생성되면 그 마찰력은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동력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특허문헌 1은, 제1 클리너 및 제2 클리너의 회전시, 바닥의 청소 및 로봇 청소기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로봇 청소기는 제1 클리너 및 제2 클리너가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바닥을 닦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내의 벽면 또는 가구 등이 배치된 영역의 모서리 부분은 청소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실내의 벽면을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경우, 클리너는 본체의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클리너가 벽면과 이격되므로, 벽면의 모서리 부분은 청소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613446호(2016.04.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더 구비하여 청소 면적을 확장할 수 있는 청소기용 걸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걸레는, 바닥면을 청소하는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더 구비하여 청소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에 적층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바닥 청소부에 공급하는 흡수부; 상기 흡수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흡수부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는 부착부; 링 형태로 마련되고, 일측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감싸고, 타측은 상기 부착부를 감싸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적층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결합부에 스티칭으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는, 측면 청소부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측면 청소부를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체결하여, 측면 청소부에 의한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면 청소부를 상기 결합부에 체결시 스티칭의 위치 선정을 최적화하여 측면 청소부가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상기 부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1 스티칭; 및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그리고 상기 부착부을 결합하는 제2 스티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티칭은,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상기 부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1 스티칭; 및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상기 부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2 스티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 청소부는, 극세사로 제조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수부는,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고, 폴리우레탄(PU)로 제작되어 상기 바닥 청소부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수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감싸지는 스티칭 영역; 및 상기 스티칭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를 바닥면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청소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극세사로 제조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탈착되게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는,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공급부에 형성된 중앙 개구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청소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부착부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공급부로 공급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의 상기 측면 청소부는, 링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적층되는 베이스부재; 및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체결된 청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스티칭으로 체결되고, 상기 청소부재는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1 스티칭으로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작은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티칭으로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청소부재가 서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측면 청소부는, 적층된 상기 청소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되는 간격이 더 커지도록 배치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는 중심 영역에서 제1 보조 스티칭에 의해 추가로 체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스티칭은,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에 형성된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중심 영역에서 제2 보조 스티칭에 의해 추가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보조 스티칭은, 상기 부착부의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에 따르면, 바닥면을 청소하는 바닥 청소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 청소부를 더 구비하여 청소 면적을 확장하여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에 따르면, 측면 청소부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측면 청소부를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체결하여, 측면 청소부에 의한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가 부착되는 로봇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에서 회전판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I-I'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확대도,
도 8은 도 6의 A 영역을 발췌하여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티칭으로 측면 청소부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는 도 6의 A 영역을 발췌하여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티칭으로 측면 청소부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는 청소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로봇 청소기 또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스틱형 청소기 등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가 부착되는 로봇청소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가 부착되는 로봇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에서 회전판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는, 바디(100), 제1 회전판(10), 제2 회전판(20), 청소기용 걸레(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1)는 자동 주행을 위하여 제어부(미도시), 범퍼(190), 제1 센서(200) 및 제2 센서(2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기설정된 정보 또는 실시간 정보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액추에이터(160) 및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를 위하여 로봇 청소기(1)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로 입력되는 정보, 로봇 청소기(1)에서 출력되는 정보 등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로봇 청소기(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범퍼(190)는, 바디(1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되, 바디(100)를 상대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범퍼(190)는, 바디(100)의 중앙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범퍼(190)는 바디(100)의 테두리 일부를 따라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바디(100)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범퍼(190)는 바디(100)보다 낮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는 장애물이 범퍼(190)와 부딪히고 범퍼(190)에 의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20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바디(100)를 상대로 한 범퍼(190)의 움직임(상대이동)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200)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 포토인터럽터(photo interrupter), 또는 택트스위치(Tact Switch)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의 범퍼(190)가 장애물과 접촉한 경우 회피기동할 수 있도록 로봇 청소기(1)를 제어할 수 있고, 제1 센서(200)에 의한 정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16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범퍼(190)가 장애물에 접촉한 경우, 제1 센서(200)에 의해 범퍼(190)가 접촉한 위치가 파악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러한 접촉 위치를 벗어나도록, 제1 액추에이터(16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센서(21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장애물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210)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센서(210)에 의한 정보에 따라, 로봇 청소기(1)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주행방향이 전환하거나, 로봇 청소기(1)가 장애물과 멀어지도록, 제1 액추에이터(16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바디(100)는, 로봇 청소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거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에는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각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고,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일부 부품들은 바디(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바디(100)는 하부바디(100a)와 상부바디(100b)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바디(100a)와 상부바디(100b)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공간상에 로봇 청소기(1)의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바디(100)는 상하방향(Z축 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X축 및 Y축 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0)는, 로봇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을 낮게 위치시켜 이동(주행) 시에 안정되게 동작하도록 돕고, 장애물을 회피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위 또는 아래에서 바라볼 때, 바디(100)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납작한 판 또는 납작한 프레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회전판(10)은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회전판(1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제1 중앙판(11), 제1 외곽판(12) 및 제1 스포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중앙판(11)은 제1 회전판(10)의 중심을 이루면서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중앙판(11)은 바디(1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중앙판(11)의 상면이 바디(100)의 저면을 향하면서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의 회전축(15)은 제1 중앙판(11)의 중앙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판(10)의 회전축(15)은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소정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1 외곽판(12)은 제1 중앙판(11)과 이격되게 제1 중앙판(11)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스포크(13)는 제1 중앙판(11)과 제1 외곽판(12)을 연결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중앙판(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다. 제1 스포크(13)는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스포크(13)들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구멍(14)이 구비되며, 후술할 물공급튜브(240)에서 토출되는 액체(예컨대, 물)가 이러한 구멍(14)을 통하여 청소기용 걸레(300)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납작한 판 또는 납작한 프레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회전판(20)은 대체로 가로로 눕혀지고, 이에 따라, 상하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디(100)에 결합된 제2 회전판(20)은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회전판(2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제2 중앙판(21), 제2 외곽판(22) 및 제2 스포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중앙판(21)은 제2 회전판(20)의 중심을 이루면서 바디(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중앙판(21)은 바디(1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중앙판(21)의 상면이 바디(100)의 저면을 향하면서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의 회전축(25)은 제2 중앙판(21)의 중앙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판(20)의 회전축(25)은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소정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2 외곽판(22)은 제2 중앙판(21)과 이격되게 제2 중앙판(21)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스포크(23)는 제2 중앙판(21)과 제2 외곽판(22)을 연결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2 중앙판(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다. 제2 스포크(23)는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2 스포크(23)들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구멍(24)이 구비되며, 후술할 물공급튜브(240)에서 토출되는 액체(물)가 이러한 구멍(24)을 통하여 청소기용 걸레(300)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제2 회전판(20)은 제1 회전판(10)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전판(10)이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는 전방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는 것이라면 제2 회전판(20)는 로봇청소기(1)의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은 서로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바닥을 향하는 저면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청소기용 걸레(300)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상하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청소기용 걸레(300)가 바디(100)쪽에 결합됨에 있어서 청소기용 걸레(300)의 저면은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바닥과 접촉하면서 바닥을 닦을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청소기용 걸레(300)의 저면은, 직물 또는 편물로 이루어지는 천, 부직포 및/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브러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청소기용 걸레(300)는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의 저면에 탈부착되고,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회전판(10, 20)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제1 및 제2 외곽판(12, 22)의 저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중앙판(11, 21) 및 제1 및 제2 외곽판(12, 22)의 저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는, 다양한 장치 및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용 걸레(30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걸림, 끼움 등의 방식으로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청소기용 걸레(300)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을 결합시키는, 클램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한 쌍을 이루며 서로 결합되고 분리되는 체결장치(체결장치의 구체적인 예로서,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석,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벨크로(velcro), 또는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단추(암단추와 수단추) 등이 사용될 수 있다)의 한쪽이 청소기용 걸레(30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고정될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결합됨에 있어서,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청소기용 걸레(300)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이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용 걸레(300)의 중심이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청소기용 걸레(300)가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결합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바닥면을 따라 직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는 청소시 앞(X축 방향)을 향하여 직진할 수 있고, 또는 장애물 또는 낭떠러지의 회피가 필요한 경우 뒤를 향하여 직진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판(10)의 회전 속도를 제2 회전판(20)의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하거나, 제1 회전판(10)은 회전하면서 제2 회전판(20)이 회전하지 않으면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2 회전판(20)의 회전 속도를 제1 회전판(10)의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하거나, 제2 회전판(20)은 회전하면서 제1 회전판(10)이 회전하지 않으면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제1 액추에이터(160), 제2 액추에이터(170), 배터리(220), 물통(230) 및 물공급튜브(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액추에이터(16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제1 회전판(10)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1 액추에이터(160)는, 제1 케이스(161), 제1 모터(162), 하나 이상의 제1 기어(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161)는, 제1 액추에이터(160)를 이루는 구성들을 지지하고, 바디(100)에 고정결합된다.
제1 모터(162)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기어(163)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 모터(162)와 제1 회전판(10)을 연결하며, 제1 모터(162)의 회전동력을 제1 회전판(10)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1 모터(162)의 회전축의 회전시 제1 회전판(10)이 회전한다.
제2 액추에이터(17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제2 회전판(20)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2 액추에이터(170)는, 제2 케이스(171), 제2 모터(172), 하나 이상의 제2 기어(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케이스(171)는, 제2 액추에이터(170)를 이루는 구성들을 지지하고, 바디(100)에 고정결합된다.
제2 모터(172)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기어(173)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모터(172)와 제2 회전판(20)을 연결하며, 제2 모터(172)의 회전동력을 제2 회전판(20)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2 모터(172)의 회전축의 회전시 제2 회전판(20)이 회전한다.
이처럼 로봇 청소기(1)에서, 제1 액추에이터(16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회전판(10) 및 청소기용 걸레(300)가 회전할 수 있고,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에 의하여 제2 회전판(20) 및 청소기용 걸레(300)가 회전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160)는 제1 회전판(10)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1 액추에이터(160)로부터 제1 회전판(10)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추에이터(160)의 하중을 제1 회전판(10) 쪽으로 가하여 청소기용 걸레(300)가 바닥과 충분히 마찰하면서 걸레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170)는 제2 회전판(20)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2 액추에이터(170)로부터 제2 회전판(20)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170)의 하중을 제2 회전판(20) 쪽으로 가하여 청소기용 걸레(300)가 바닥과 충분히 마찰하면서 걸레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170)는 제1 액추에이터(160)와 대칭(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배터리(22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220)는 제1 액추에이터(160) 및 제2 액추에이터(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특히, 제1 모터(162)와 제2 모터(172)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22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바디(100)의 일측, 또는 배터리(220) 자체에는 배터리(220)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배터리(220)는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물통(230)은, 그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가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통(230)은 바디(100)에 고정결합될 수 있고, 또는 바디(100)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공급튜브(240)는, 튜브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를 통하여 물통(230) 내부의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물통(230)과 연결된다. 물공급튜브(240)는, 물통(230)과 연결되는 반대쪽 단부가 제1 회전판(10) 및 제2 회전판(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물통(230) 내부의 액체가 청소기용 걸레(300)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로봇 청소기(1)에서 물공급튜브(240)는 하나의 관이 2개로 분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분기된 어느 하나의 단부는 제1 회전판(10) 상측에 위치하고, 분기된 다른 하나의 단부는 제2 회전판(20)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물공급튜브(240)를 통한 액체의 이동을 위하여, 별도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로봇 청소기(1)는 물통(230)에 저장된 액체를 물공급튜브(240)를 통하여 제1 및 제2 회전판(20)의 상측에서 분사하면 제1 및 제2 회전판(10, 20)에 형성된 구멍(14, 24)을 통하여 청소기용 걸레(300)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청소기용 걸레(300)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액체를 공급함에 따라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3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로봇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물론, 상기에 개시된 로봇 청소기에 적용되는 것은 일 예에 해당하고,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스틱형 청소기 등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I-I'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A 영역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300)는 바닥 청소부(310)와, 흡수부(320)와, 공급부(330)와, 부착부(340)와, 결합부(350), 그리고 측면 청소부(360)를 포함한다.
바닥 청소부(310)는 바닥면에 접촉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 청소부(31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 청소부(310)는 바닥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도록 극세사(microfiber)로 제조될 수 있다.
흡수부(320)는 바닥 청소부(310)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바닥 청소부(310)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흡수부(32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수부(320)는 바닥 청소부(310)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흡수부(320)는 폴리우레탄(PU)로 제작되어 바닥 청소부(310)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흡수부(320)가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면 일정량의 물을 흡수하여 머금고 있을 수 있고, 탄성력이 있어 바닥 청소부(310)를 바닥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수부(320)는, 도 8을 참조하면, 결합부(350)에 의해 감싸지는 스티칭 영역(322)과, 스티칭 영역(322)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바닥 청소부(310)를 바닥면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청소 영역(32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스티칭 영역(322)은 다른 구성들과 적층되어 스티칭에 의해 체결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청소 영역(323)은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스티칭 영역(322)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청소 영역(323)에서는 보다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하여 머금고 있을 수 있고, 바닥 청소부(310)의 청소면이 뒤틀리지 않고 평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공급부(330)는 흡수부(320)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흡수부(320)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급부(33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3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급부(330)는 흡수부(320)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부(330)는 상기 바닥 청소부(31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급부는 극세사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공급부(33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흡수부(320)로 공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부착부(340)는 공급부(330)에 적층되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34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41)가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340)는 공급부(330)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부착부(340)는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341)가 공급부(330)에 형성된 중앙 개구(33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청소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부착부(340)의 중앙 개구(341)를 통하여 노출된 공급부(330)로 바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부착부(340)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탈착되게 벨크로(velcro)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청소기의 회전판에 한쌍의 벨크로 중에서 갈고리가 형성된 부분이 체결되어 있고, 부착부(340)는 한쌍의 벨크로 중에서 걸림고리가 형성된 부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청소기의 회전판에 한쌍의 벨크로 중에서 걸림고리가 형성된 부분이 체결되어 있고, 부착부(340)는 한쌍의 벨크로 중에서 갈고리가 형성된 부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부착부(340)가 벨크로로 제작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탈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350)는 링 형태로 마련되고, 일측(351)은 바닥 청소부(310)를 감싸고, 타측(352)은 부착부(340)를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350)는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즉,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결합부(350)는 적층된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를 둘레를 따라 모두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50)의 일측(351)은 바닥 청소부(310)의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면적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결합부(350)의 타측(352)은 부착부(340)의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면적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35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측면 청소부(360)와 함께 결합부(350)의 내측에 적층된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와 스티칭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50)는 부직포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티칭에 의해 적층된 다른 구성들과 체결되어 일정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수부(320)의 청소 영역(323)이 둘출 형성됨에 따라 결합부(350)의 위치가 바닥 청소부(310)에서 바닥면(P)과 접촉하는 중앙 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바닥면과의 마찰로 인한 스티칭의 마모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는 중심 영역에서 제1 보조 스티칭(373)에 의해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조 스티칭(373)은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에 형성된 중앙 개구(331, 321, 3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는 반경 방향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결합부(350)에 의해 스티칭으로 체결되지만, 중심 영역에서는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회전 구동시에 각 구성간에 회전 마찰이 발생하거나 비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 스티칭(373)에 의해 중심 영역에서 추가로 구성들을 체결하여 구성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340) 또한 중심 영역에서 제2 보조 스티칭(374)에 의해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조 스티칭(374)은 부착부(340)의 중앙 개구(3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340)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탈착되는 구성이고, 주기적으로 탈착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탈착과정에서 부착부(340)에 반복하중이 인가된다.
따라서, 주기적인 반복하중에 의해 부착부(340)가 결합부(350)에서 탈락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제2 보조 스티칭(37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체결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제2 보조 스티칭(374)은 부착부(340)와, 공급부(330)와, 흡수부(320)와, 바닥 청소부(310)를 관통하여 함께 체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청소부(360)는 결합부(350)의 일측(351)에 적층되고, 바닥 청소부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청소부(360)는 바닥 청소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바닥면과 측벽 또는 가구 등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측면 청소부(360)는 결합부(350)에 스티칭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스티칭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티칭은 반경 방향으로 2열 즉, 반경 방향의 외측에 형성된 제1 스티칭(371)과, 반경 방향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스티칭(372a, 372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티칭(371)은 측면 청소부(360), 결합부(350)의 일측(351),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 그리고 결합부(350)의 타측(352)을 함께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티칭(372a, 372b)은 두 가지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
첫번째 실시예의 제2 스티칭(372a)은, 도 8을 참조하면, 측면 청소부(360),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그리고 부착부(340)를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스티칭(371)과는 달리 결합부(350)에는 봉제되지 않도록 제2 스티칭(372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티칭(372a)을 형성하게 되면, 제1 스티칭(371)되는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되므로 측면 청소부(360)의 내측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더 높이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측면 청소부(360)가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측면 청소부(360)를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두번째 실시예의 제2 스티칭(372b)은, 도 9를 참조하면, 측면 청소부(360),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 그리고 결합부(350)의 타측(352)을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티칭(372b)을 형성하게 되면, 제1 스티칭(371)되는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되므로 측면 청소부(360)의 내측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더 높이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측면 청소부(360)가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측면 청소부(360)를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제2 스트칭(372c)을 제1 스티칭(371)과 동일하게 측면 청소부(360), 결합부(350)의 일측(351), 바닥 청소부(310), 흡수부(320), 공급부(330), 부착부(340), 그리고 결합부(350)의 타측(352)을 함께 결합하게 되면, 측면 청소부(360)는 바닥면(P)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350)의 위치가 바닥면(P)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측면 청소부(360)가 결합부(350)에 체결된 상태에서 바닥면(P)과 평행하게 배치되면 바닥면(P)과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청소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실시예의 제2 스티칭(372a)과 두번째 실시예에 의한 제2 스티칭(372b) 위치를 통하여 측면 청소부(360)가 바닥면(P)으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측면 청소부(360)를 바닥면(P)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측면 청소부(360)는 링 형태로 마련되어 결합부(350)의 일측(351)에 적층되는 베이스부재(361)와,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베이스부재(361)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체결된 청소부재(3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측면 청소부(360)는 고리 형태의 청소부재(362)가 링 형태의 베이스부재(361)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로 체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재(361)가 결합부(350)에 스티칭으로 체결되고, 청소부재(362)는 바닥면(P)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부재(361)는 두께가 서로 다른 두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1 베이스부(361a)와 제2 베이스부(36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부(361a)는 제1 스티칭(371)으로 결합부(350)에 체결되고, 제2 베이스부(361b)는 제1 베이스부(361a)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구비되고 제2 스티칭(372a, 372b)으로 결합부(350)에 체결된다.
이때, 제2 베이스부(361b)는 제1 베이스부(361a)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티칭(372a, 372b)에 의해 제2 베이스부(361b)를 체결시 제2 베이스부(361b)가 제1 베이스부(361a)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어 제2 베이스부(361b)가 제2 스티칭(372a, 372b)에 의해 당겨지면서 제1 베이스부(361a)보다 더 높이 위치시킬 수 있어 청소부재(362)를 바닥면(P)으로 더 쉽게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청소부재(362)가 복수로 마련되고, 높이 방향으로 서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베이스부재(361)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부재(362)가 높이 방향으로 2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제2 스티칭(372a, 372b)에 의해 바닥 청소부(310)가 바닥면(P)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적층된 청소부재(362)가 베이스부재(3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는 간격이 더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하로 적층된 청소부재(362)의 간격이 커짐에 따라 바닥면(P)과 벽면 또는 가구 등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청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걸레(300)를 사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하면 바닥 청소부(3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측면 청소부(360)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청소 면적을 확장하고, 특히 모서리 부분, 틈새 부분 등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스티칭 위치를 설정하여 측면 청소부(360)가 결합부(350)에 체결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하여, 측면 청소부가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보다 높은 밀착력으로 효과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로봇 청소기 100 : 바디
10 : 제1 회전판 20 : 제2 회전판
300 : 청소기용 걸레 310 : 바닥 청소부
320 : 흡수부 330 : 공급부
340 : 부착부 350 : 결합부
360 : 측면 청소부 361 : 베이스부재
362 : 청소부재 371 : 제1 스티칭
372a, 372b : 제2 스티칭 373 : 제1 보조 스티칭
374 : 제2 보조 스티칭

Claims (20)

  1.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에 적층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바닥 청소부에 공급하는 흡수부;
    상기 흡수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흡수부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적층되고, 청소기의 회전판에 부착되는 부착부;
    링 형태로 마련되고, 일측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감싸고, 타측은 상기 부착부를 감싸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적층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측면 청소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걸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결합부에 스티칭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상기 부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1 스티칭; 및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그리고 상기 부착부을 결합하는 제2 스티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상기 부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1 스티칭; 및
    상기 측면 청소부, 상기 바닥 청소부, 상기 흡수부, 상기 공급부, 상기 부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제2 스티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부는,
    극세사로 제조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고, 폴리우레탄(PU)로 제작되어 상기 바닥 청소부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감싸지는 스티칭 영역; 및
    상기 스티칭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 청소부를 바닥면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청소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극세사로 제조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청소기의 회전판에 탈착되게 벨크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중심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공급부에 형성된 중앙 개구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1. 제10항에 있어서,
    청소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부착부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공급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2.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링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적층되는 베이스부재; 및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체결된 청소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스티칭으로 체결되고, 상기 청소부재는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1 스티칭으로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작은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티칭으로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2 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상기 청소부재가 서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청소부는,
    적층된 상기 청소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되는 간격이 더 커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는 중심 영역에서 제1 보조 스티칭에 의해 추가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스티칭은,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에 형성된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중심 영역에서 제2 보조 스티칭에 의해 추가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스티칭은,
    상기 부착부의 중앙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와, 상기 흡수부와, 상기 바닥 청소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걸레.
KR1020200082655A 2020-07-06 2020-07-06 청소기용 걸레 KR20220005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55A KR20220005172A (ko) 2020-07-06 2020-07-06 청소기용 걸레
PCT/KR2021/008295 WO2022010172A1 (ko) 2020-07-06 2021-06-30 청소기용 걸레
EP21837073.2A EP4176792A1 (en) 2020-07-06 2021-06-30 Floor cloth for vacuum cleaner
CN202180048487.9A CN115884704A (zh) 2020-07-06 2021-06-30 吸尘器用抹布
TW110124387A TWI803897B (zh) 2020-07-06 2021-07-02 用於清掃機的拖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55A KR20220005172A (ko) 2020-07-06 2020-07-06 청소기용 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72A true KR20220005172A (ko) 2022-01-13

Family

ID=7934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655A KR20220005172A (ko) 2020-07-06 2020-07-06 청소기용 걸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76792A1 (ko)
KR (1) KR20220005172A (ko)
CN (1) CN115884704A (ko)
TW (1) TWI803897B (ko)
WO (1) WO202201017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446B1 (ko) 2015-02-06 2016-04-19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4726B2 (ja) * 2001-10-05 2004-06-07 山崎産業株式会社 乾拭き用清掃布
ITPD20120136A1 (it) * 2012-05-04 2013-11-05 T T S S R L Tecno Trolley System Mop per pulizie
KR200475723Y1 (ko) * 2013-03-09 2014-12-26 홍광희 청소용패드의 벨크로와 바이어스구조
KR20150065366A (ko) * 2013-12-05 2015-06-15 (주)대고 탈부착이 용이한 청소용구
KR102010829B1 (ko) 2019-03-11 2019-08-14 (주)대고 물 또는 액상 청소용제를 이용하는 청소기용 청소패드
KR102180679B1 (ko) * 2020-01-09 2020-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걸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446B1 (ko) 2015-02-06 2016-04-19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84704A (zh) 2023-03-31
TWI803897B (zh) 2023-06-01
TW202216036A (zh) 2022-05-01
EP4176792A1 (en) 2023-05-10
WO2022010172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4782A1 (en) Autonomous floor cleaner
KR102155000B1 (ko) 로봇 청소기
US20160331200A1 (en) Rotary type dusting device
CN107397506B (zh) 吸尘器
US715006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EP2449937B1 (en) Bare floor vacuum cleaner
US20220369889A1 (en) Cleaner
KR20210029697A (ko) 바닥 청소기용 가장자리 청소 브러시
CN216417086U (zh) 升降拖地装置、主机以及清洁机器人
JP7008126B2 (ja) ロボット掃除機
CN114401659B (zh) 清洁器
KR200485334Y1 (ko) 물걸레 전기 청소기의 걸레 착탈 구조
KR20150101857A (ko) 원심브러쉬를 가진 청소기
KR200441509Y1 (ko) 청소기
KR20210018117A (ko) 진공 청소기 액세서리 툴
EP4176791A1 (en) Robot vacuum
KR20220005172A (ko) 청소기용 걸레
US20230292974A1 (en) Robot cleaner
KR20210116165A (ko) 청소기
KR101724153B1 (ko) 걸레청소용 로봇청소기
CN111372503B (zh) 表面清洁设备
TWI798611B (zh) 清掃機
KR200336735Y1 (ko) 스팀 걸레겸용 진공청소기
KR20050032699A (ko) 스팀 걸레겸용 진공청소기
KR101737485B1 (ko) 로봇 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