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165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165A
KR20210116165A KR1020200083447A KR20200083447A KR20210116165A KR 20210116165 A KR20210116165 A KR 20210116165A KR 1020200083447 A KR1020200083447 A KR 1020200083447A KR 20200083447 A KR20200083447 A KR 20200083447A KR 20210116165 A KR20210116165 A KR 20210116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plate
cleaner
rib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장재원
김영빈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판에 걸레가 부착되어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청소기는 바디와, 바닥과 마주하는 걸레가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 그리고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바디와 회전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방지부에 의해 바디와 회전판 사이의 틈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와 회전판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바닥의 이물질을 닦아냄으로써 청소하는 기기이다. 최근에는, 걸레질을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기기이다.
도 1은 종래의 로봇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로봇 청소기(1)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회전판(3)이 바디(2)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회전판(3)에 걸레(미도시)가 부착되어 바닥을 닦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판(3)은 샤프트(4)에 체결되어 샤프트(4)에 의해 회전 동력을 전달받고, 샤프트(4)는 베어링(5)을 통하여 바디(1)에 회전되게 지지된다. 샤프트(4)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회전판(3)과 바디(2)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판(3)은 회전하는 구성이므로 바디(2)의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회전판(3)과 바디(2)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회전판(3)과 바디(2)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면, 로봇 청소기(1)가 청소를 수행하면서 주위의 액체, 머리카락, 미세입자 등과 같은 이물이,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판(3)과 바디(2)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65477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는 스팀청소 겸용 진공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도 몸체에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부착판이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걸레부착판의 상측면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상기 걸레부착판의 노출된 상측면을 통하여 걸레부착판과 몸체의 사이로 액체, 머리카락, 미세입자 등과 같은 이물이 쉽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디와 회전판 사이로 머리카락, 미세입자 등과 같은 이물이 유입되면, 머리카락은 회전판의 회전축에 감기게 되어 모터에 회전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고, 미세입자가 회전판과 바디 사이에 끼이게 되면 회전판의 회전에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 저항은 모터에 부하로 작용하여 모터 고장을 유발할 수 있고, 유입된 액체는 샤프트를 통하여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어 전자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바디와 회전판 사이에 끼인 미세입자에 의해 바디 또는 회전판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65477호(2008.07.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바디와 회전판 중 적어도 일측에 리브를 형성하여 바디와 회전판 사이의 틈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바디에 회전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판에 걸레가 부착되어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 방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기는, 바디; 바닥과 마주하는 걸레가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 및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바디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중앙판; 내경이 상기 중앙판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판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외곽판; 및 상기 중앙판과 상기 외곽판을 연결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중앙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관통홀을 형성하는 스포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지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틈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지부는, 상기 회전판을 감싸도록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게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외측 리브; 및 상기 외측 리브와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내측 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회전판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판의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리브는, 돌출높이가 상기 회전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회전판과 일정 영역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리브는, 유입된 이물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측 리브는, 상기 중앙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돌출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내측 리브는,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돌출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지부는, 상기 외측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중앙 리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 리브는, 상기 외곽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돌출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리브는, 돌출높이가 상기 내측 리브의 돌출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방지부는, 상기 회전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중앙 리브; 및 상기 바디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판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보조 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리브는, 상기 중앙 리브와 접촉하지 않는 최소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중앙 리브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지부는, 상기 중앙 리브와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내측 리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내측 리브는, 상기 중앙판 또는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돌출 형성되어, 유입된 이물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지부는, 상기 회전판을 감싸도록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게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외측 리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회전판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판의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돌출높이는 상기 회전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회전판과 일정 영역 겹쳐지도록 배치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판에 체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체결되는 베어링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는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되도록 상기 베어링 체결부에서 상기 회전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링 측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 커버부는, 상기 베어링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판 측으로 돌출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어링의 하측면을 적어도 일부 커버하도록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상기 회전판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방지부는 상기 바디와 복수개의 상기 회전판 사이에 각각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에 따르면, 바디와 회전판 중 적어도 일측에 리브를 형성하여 바디와 회전판 사이의 틈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와 회전판 사이의 틈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 저항에 의한 모터의 고장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와 회전판 사이의 틈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 저항에 의한 바디와 회전판의 파손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및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에서 회전판과 걸레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에서 걸레가 제거된 바디의 바닥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에서 걸레가 제거된 바디의 바닥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에서 하부바디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에서 회전판과 베어링과 샤프트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5의 I-I'영역을 절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주요 특징은 방지부 및 베어링 커버부에 있고, 이러한 방지부 및 베어링 커버부는 바디와 회전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로봇 청소기 또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스틱형 청소기 등에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방지부 및 베어링 커버부가 로봇 청소기에 적용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물론, 본 발명의 특징인 방지부 및 베어링 커버부의 구성이 로봇 청소기에 적용된 것은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이고, 스팅형 청소기 등 바디와 회전판이 상대 회전하는 어떠한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청소기에서 회전판과 걸레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상기 청소기에서 걸레가 제거된 바디의 바닥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청소기에서 하부바디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청소기에서 회전판과 베어링과 샤프트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0)는, 바디(100), 회전판(300), 걸레(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소기(10)는 일 예로 자동 주행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10)의 자동 주행을 위하여 제어부(미도시), 범퍼(190), 제1 센서(200) 및 제2 센서(2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기설정된 정보 또는 실시간 정보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액추에이터(160) 및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를 위하여 청소기(10)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는, 청소기(10)로 입력되는 정보, 청소기(10)에서 출력되는 정보 등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청소기(1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범퍼(190)는, 바디(1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되, 바디(100)를 상대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범퍼(190)는, 바디(100)의 중앙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범퍼(190)는 바디(100)의 테두리 일부를 따라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바디(100)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범퍼(190)는 바디(100)보다 낮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는 장애물이 범퍼(190)와 부딪히고 범퍼(190)에 의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20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바디(100)를 상대로 한 범퍼(190)의 움직임(상대이동)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200)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 포토인터럽터(photo interrupter), 또는 택트스위치(Tact Switch)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청소기(10)의 범퍼(190)가 장애물과 접촉한 경우 회피기동할 수 있도록 청소기(10)를 제어할 수 있고, 제1 센서(200)에 의한 정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16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10)가 주행하면서 범퍼(190)가 장애물에 접촉한 경우, 제1 센서(200)에 의해 범퍼(190)가 접촉한 위치가 파악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러한 접촉 위치를 벗어나도록, 제1 액추에이터(16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센서(21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장애물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210)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센서(210)에 의한 정보에 따라, 청소기(10)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청소기(10)의 주행방향이 전환하거나, 청소기(10)가 장애물과 멀어지도록, 제1 액추에이터(16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바디(100)는, 청소기(1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거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에는 청소기(10)를 이루는 각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10)를 이루는 일부 부품들은 바디(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바디(100)는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20)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20)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공간상에 청소기(10)의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바디(100)는 상하방향(Z축 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X축 및 Y축 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0)는, 청소기(10)의 무게 중심을 낮게 위치시켜 이동(주행) 시에 안정되게 동작하도록 돕고, 장애물을 회피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위 또는 아래에서 바라볼 때, 바디(100)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판(30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납작한 판 또는 납작한 프레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판(300)은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회전판(300)은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전판(30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회전판(300)은,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판(300)은, 중앙판(310), 외곽판(320) 및 스포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판(310)은 회전판(300)의 중심을 이루면서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중앙판(310)은 바디(1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중앙판(310)의 상면이 바디(100)의 저면을 향하면서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판(300)의 회전축은 중앙판(310)의 중앙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판(300)의 회전축은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소정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외곽판(320)은 중앙판(310)과 이격되게 중앙판(310)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스포크(330)는 중앙판(310)과 외곽판(320)을 연결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중앙판(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다. 스포크(330)는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스포크(330)들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홀(340)이 구비되며, 후술할 물공급튜브(240)에서 토출되는 액체(예컨대, 물)가 이러한 관통홀(340)을 통하여 걸레(20)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판(3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로 마련되어 청소기(10)가 주행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회전판(300)은 서로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걸레(20)는 바닥을 향하는 저면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걸레(20)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레(20)는, 상하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레(20)가 바디(100)쪽에 결합됨에 있어서 걸레(20)의 저면은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걸레(2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걸레(20)는,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레(20)는 바닥과 접촉하면서 바닥을 닦을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걸레(20)의 저면은, 직물 또는 편물로 이루어지는 천, 부직포 및/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브러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10)에서, 걸레(20)는 회전판(300)의 저면에 탈부착되고, 회전판(300)에 결합되어 회전판(3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걸레(20)는 외곽판(320)의 저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고, 중앙판(310) 및 외곽판(320)의 저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걸레(20)는, 다양한 장치 및 방식을 이용하여, 회전판(3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레(20)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판(300)에 걸림, 끼움 등의 방식으로 회전판(3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걸레(20)와 회전판(300)을 결합시키는, 클램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한 쌍을 이루며 서로 결합되고 분리되는 체결장치(체결장치의 구체적인 예로서,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석,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벨크로(velcro), 또는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단추(암단추와 수단추) 등이 사용될 수 있다)의 한쪽이 걸레(2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회전판(300)에 고정될 수 있다.
걸레(20)가 회전판(300)에 결합됨에 있어서,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걸레(20)와 회전판(300)이 결합될 수 있고, 걸레(20)의 중심이 회전판(30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걸레(20)가 회전판(300)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바닥면을 따라 직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10)는 청소시 앞(X축 방향)을 향하여 직진할 수 있고, 또는 장애물 또는 낭떠러지의 회피가 필요한 경우 뒤를 향하여 직진할 수 있다.
청소기(10)는, 좌우로 나란하게(Y축 방향) 배치된 한쌍의 회전판(300)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달리하여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210)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준으로, 왼쪽의 회전판(300)의 회전 속도를 오른쪽의 회전판(300)의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하거나, 왼쪽의 회전판(300)은 회전하면서 오른쪽 회전판(300)이 회전하지 않으면 청소기(10)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오른쪽의 회전판(300)의 회전 속도를 왼쪽의 회전판(300)의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하거나, 오른쪽의 회전판(300)은 회전하면서 왼쪽의 회전판(300)이 회전하지 않으면 청소기(10)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청소기(10)는, 제1 액추에이터(160), 제2 액추에이터(170), 배터리(220), 물통(230) 및 물공급튜브(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액추에이터(16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회전판(300)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1 액추에이터(160)는, 제1 케이스(161), 제1 모터(162), 하나 이상의 제1 기어(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161)는, 제1 액추에이터(160)를 이루는 구성들을 지지하고, 바디(100)에 고정결합된다.
제1 모터(162)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기어(163)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 모터(162)와 회전판(300)에 체결된 샤프트(400)를 연결하며, 제1 모터(162)의 회전동력을 샤프트(400)에 전달하여 회전판(30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 모터(162)의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판(300)이 회전한다.
제2 액추에이터(17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제2 회전판(20)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2 액추에이터(170)는, 제2 케이스(171), 제2 모터(172), 하나 이상의 제2 기어(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케이스(171)는, 제2 액추에이터(170)를 이루는 구성들을 지지하고, 바디(100)에 고정결합된다.
제2 모터(172)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기어(173)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모터(172)와 회전판(300)에 체결된 샤프트(400)를 연결하며, 제2 모터(172)의 회전동력을 샤프트(400)에 전달하여 회전판(30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2 모터(172)의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판(300)이 회전한다.
이처럼 청소기(10)에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160, 170)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판(300) 및 걸레(20)가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160, 170)는 회전판(300)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160, 170)로부터 회전판(300)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160, 170)의 하중을 회전판(300) 쪽으로 가하여 걸레(20)가 바닥과 충분히 마찰하면서 걸레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160, 170)는 서로 대칭(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샤프트(400)는 하부바디(110)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제1 액추에이터(160) 및 제2 액추에이터(17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판(300)을 회전시키도록 제공된다.
샤프트(400)는 기어 체결부(410), 베어링 체결부(420), 회전판 체결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400)는 회전판(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핀(440)에 의하여 회전판(300)과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기어 체결부(410)는 샤프트(400)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제1 기어(163) 또는 제2 기어(173)가 끼움 체결된다. 그리고, 제1 기어(163) 또는 제2 기어(173)와의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기어(163) 또는 제2 기어(173)와 평면으로 접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판 체결부(430)는 샤프트(400)의 타측단에 형성되고, 회전판(300)에 끼움 체결된다. 그리고, 회전판(300)과의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판(300)과 평면으로 접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베어링 체결부(420)는 샤프트(400)에서 기어 체결부(410)와 회전판 체결부(430) 사이에 형성되고, 베어링(500)의 내경에 삽입되어 끼움 체결된다. 그리고, 베어링(500)의 외경은 하부바디(110)에 형성된 베어링 체결부(130)에 끼움 체결된다.
체결핀(440)은 샤프트(400)의 회전판 체결부(430)가 회전판(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판(300)에 형성된 체결홀(312)을 통하여 삽입되어 샤프트(400)를 회전판(300)에 체결 고정한다.
이러한, 체결핀(440)은 샤프트(400)에 가압력으로 끼움 체결되거나, 샤프트(400)에 삽입되는 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샤프트(400)에 나사 체결되는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샤프트(400)에 체결될 수 있다.
배터리(22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청소기(10)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220)는 제1 액추에이터(160) 및 제2 액추에이터(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특히, 제1 모터(162)와 제2 모터(172)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22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바디(100)의 일측, 또는 배터리(220) 자체에는 배터리(220)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청소기(10)에서 배터리(220)는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물통(230)은, 그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가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통(230)은 바디(100)에 고정결합될 수 있고, 또는 바디(100)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공급튜브(240)는, 튜브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를 통하여 물통(230) 내부의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물통(230)과 연결된다. 물공급튜브(240)는, 물통(230)과 연결되는 반대쪽 단부가 회전판(3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물통(230) 내부의 액체가 회전판(300)의 관통홀(340)을 통과하여 걸레(20)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청소기(10)에서 물공급튜브(240)는 하나의 관이 2개로 분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분기된 한쌍의 관의 단부는 한쌍의 회전판(300) 상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청소기(10)에서, 물공급튜브(240)를 통한 액체의 이동을 위하여, 별도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청소기(10)는 물통(230)에 저장된 액체를 물공급튜브(240)를 통하여 회전판(300)의 상측에서 분사하면 회전판(300)에 형성된 관통홀(340)을 통하여 걸레(20)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걸레(20)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는 바디와 회전판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5의 I-I'영역을 절단하여 상기 청소기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0)의 바디(100)는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20)로 구성되고(도 3 참고), 회전판(300)과 방지부는 하부바디(110)에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하부바디(1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0)는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한다. 즉, 방지부는 하부바디(110) 및/또는 회전판(300)에 구비되어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에 형성된 틈에서 차단막으로 기능하여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는, 외측 리브(610)와 내측 리브(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리브(610)는 회전판(300)을 감싸도록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게 하부바디(110)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 리브(610)는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 리브(610)는, 회전판(300)과 접촉하지 않도록 회전판(300)의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판(300)의 외측 단부가 외측 리브(610)와 접촉하고 있으면 회전판(300)이 회전하는 경우에 외측 리브(610)에 의해 접촉 저항이 발생하여 회전판(300)이 원하는 회전력을 발생할 수 없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모터에 부하로 작용하여 에너지 효율 저하 및 모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리브(610)는 회전판(300)의 외측 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회전판(300)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도록 일정 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외측 리브(610)는, 돌출높이가 회전판(300)의 두께 방향으로 회전판(300)과 일정 영역 겹쳐지는 영역(A)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리브(610)의 돌출높이가 회전판(300)의 두께 방향으로 회전판(300)의 외측을 완전히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면, 회전판(300)에 부착되는 걸레와 접촉 저항을 발생시켜 회전판(300)의 회전력에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리브(610)의 돌출높이가 회전판(300)의 두게 방향으로 회전판(300)과 겹쳐지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돌출되면,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 리브(610)와 회전판(300)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틈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리브(610)는, 회전판(300)의 두께 방향으로 회전판(300)과 일정 영역 겹쳐지는 영역(A)이 생기는 돌출높이로 형성되어, 걸레와의 접촉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으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이물이 유입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 리브(620)는 외측 리브(610)와 회전판(300)의 회전축 사이에서 회전판(30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리브(620)는 회전판(300)의 회전축 인근에 형성되어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더라도 회전판(300)의 회전축 즉, 샤프트(400)와 베어링(5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리브(620)는 돌출된 단부가 회전판(300)의 상측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되, 회전판(300)의 상측면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내측 리브(620)가 회전판(300)의 상측면과 접촉하면 회전판(300)의 회전력에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리브(620)는, 유입된 이물이 회전판(300)에 형성된 관통홀(34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내측 리브(6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의 중앙판(31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내측 리브(6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의 관통홀(34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1차적으로 외측 리브(610)가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액체, 먼지, 머리카락 등과 같이 미세한 물질은 회전판(300)과 외측 리브(610)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이물이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의 틈을 따라 회전판(300)의 회전축 즉, 샤프트(400)와 베어링(50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이물은 베어링(500)에 유입되어 회전에 저항으로 작용하거나 베어링(500)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리브(620)는 회전판(300)의 중앙판(310) 또는 관통홀(34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어, 외측 리브(610)를 통과하여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어도, 유입된 이물이 베어링(500)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차단된 이물이 회전판(300)의 관통홀(340)로 낙하하도록 가이드하여 유입된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는, 외측 리브(610)와 내측 리브(620)의 사이에서 회전판(30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중앙 리브(6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 리브(630)는 외측 리브(610)와 내측 리브(620) 사이의 중심 영역 인근에 형성되어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더라도 회전판(300)의 회전축 즉, 샤프트(400)와 베어링(500) 측으로 유입되는 속도를 지연할 수 있다.
도면에는, 중앙 리브(630)를 하나만 도시하였지만, 외측 리브(610)와 내측 리브(620)의 사이에서 하부바디(110)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로 형성된 중앙 리브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중앙 리브(630)는 돌출높이가 내측 리브(620)의 돌출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중앙 리브(630)는 유입된 이물이 회전판(3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아니고 이동 속도를 지연할 수 있는 저항으로 기능하도록 형성된다.
만약, 중앙 리브(630)가 내측 리브(620)의 돌출높이와 유사한 높이로 형성되어 이물이 회전판(3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면, 중앙 리브(630)와 외측 리브(610) 사이에서 이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저장되므로, 일정량 이상이 저장되면 회전판(300)의 회전력에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리브(630)는 유입된 이물의 이동 속도를 지연시키되, 유입된 이물이 회전판(300)의 관통홀(3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입된 이물의 이동은 허용하는 돌출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는 회전판(300)의 최외측에서 외측 리브(610)를 통하여 1차적으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만약 유입된 이물이 있더라도, 중앙 리브(630)를 통하여 유입된 이물의 이동 속도를 저지하면서, 내측 리브(620)가 유입된 이물을 회전판(300)의 관통홀(340)로 가이드하여 유입된 이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이 샤프트(400) 또는 베어링(500) 측으로 유입되어 회전에 저항력으로 작용하거나 부품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단면도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을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는 중앙 리브(630)와 보조 리브(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 리브(630)는 회전판(30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중앙 리브(630)는 회전판(300)의 외곽판(320)의 상측에서 외곽판(32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리브(630)는 돌출된 단부가 회전판(300)의 상측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되, 회전판(300)의 상측면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중앙 리브(630)가 회전판(300)의 상측면과 접촉하면 회전판(300)의 회전력에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보조 리브(640)는 하부바디(110)를 향하도록 회전판(300)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리브(640)는 회전판(300)의 외곽판(320)에서 하부바디(110)를 향하도록 외곽판(32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리브(640)는 돌출된 단부가 하부바디(110)의 하측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되, 하부바디(110)의 하측면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보조 리브(640)가 하부바디(110)의 하측면과 접촉하면 회전판(300)의 회전력에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리브(640)는, 중앙 리브(630)와 접촉하지 않는 최소 간격을 유지하면서 중앙 리브(630)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보조 리브(640)가 중앙 리브(630)와 접촉하고 있으면 회전판(300)이 회전하는 경우에 중앙 리브(630)에 의해 접촉 저항이 발생하여 회전판(300)이 원하는 회전력을 발생할 수 없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리브(640)와 중앙 리브(630)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는 경우 차단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보조 리브(640)와 중앙 리브(630)의 간격을 서로 접촉하지 않는 최소 간격으로 형성하여 이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경우, 입자가 작은 미세한 이물이 회전판(300)과 중앙 리브(63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도, 보조 리브(64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어 이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는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의 사이에 요철 형태의 틈을 가지도록 중앙 리브(630)와 보조 리브(640)를 구비하여 이물이 회전판(3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는, 도 12를 참조하면, 중앙 리브(630)와 회전판(300)의 회전축 사이에서 회전판(30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내측 리브(6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리브(620)는 회전판(300)의 회전축 인근에 형성되어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더라도 회전판(300)의 회전축 즉, 샤프트(400)와 베어링(5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리브(620)는 돌출된 단부가 회전판(300)의 상측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되, 회전판(300)의 상측면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내측 리브(620)가 회전판(300)의 상측면과 접촉하면 회전판(300)의 회전력에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리브(620)는, 유입된 이물이 회전판(300)에 형성된 관통홀(34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내측 리브(6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의 중앙판(31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내측 리브(620)는 회전판(300)의 관통홀(34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1차적으로 중앙 리브(630) 및 보조 리브(640)가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액체, 먼지 등과 같이 미세한 물질은 중앙 리브(630)와 보조 리브(640)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이물이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의 틈을 따라 회전판(300)의 회전축 즉, 샤프트(400)와 베어링(50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이물은 베어링(500)에 유입되어 회전에 저항으로 작용하거나 베어링(500)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리브(620)는 회전판(300)의 중앙판(310) 또는 관통홀(340)을 향하도록 하부바디(1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어, 중앙 리브(630)와 보조 리브(640)를 통과하여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어도, 유입된 이물이 베어링(500)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차단된 이물이 회전판(300)의 관통홀(340)로 낙하하도록 가이드하여 유입된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는, 도 13을 참조하면, 회전판(300)을 감싸도록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게 하부바디(110)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외측 리브(6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외측 리브(610)는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외측 리브(610)는, 회전판(300)과 접촉하지 않도록 회전판(300)의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판(300)의 외측 단부가 외측 리브(610)와 접촉하고 있으면 회전판(300)이 회전하는 경우에 외측 리브(610)에 의해 접촉 저항이 발생하여 회전판(300)이 원하는 회전력을 발생할 수 없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리브(610)는 회전판(300)의 외측 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회전판(300)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도록 일정 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외측 리브(610)는, 돌출높이가 회전판(300)의 두께 방향으로 회전판(300)과 일정 영역 겹쳐지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리브(610)의 돌출높이가 회전판(300)의 두께 방향으로 회전판(300)의 외측을 완전히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면, 회전판(300)에 부착되는 걸레와 접촉 저항을 발생시켜 회전판(300)의 회전력에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리브(610)의 돌출높이가 회전판(300)의 두게 방향으로 회전판(300)과 겹쳐지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돌출되면,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 리브(610)와 회전판(300)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틈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리브(610)는, 회전판(300)의 두께 방향으로 회전판(300)과 일정 영역 겹쳐지는 영역이 생기는 돌출높이로 형성되어, 걸레와의 접촉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판(300)의 반경 방향으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이물이 유입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지부는 회전판(300)의 최외측에서 외측 리브(610)를 통하여 1차적으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만약 유입된 이물이 있더라도, 중앙 리브(630)와 보조 리브(640)를 통하여 유입된 이물을 이동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중앙 리브(630)와 보조 리브(640)를 통과한 이물은 내측 리브(620)에 의해 회전판(300)의 관통홀(340)로 가이드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이 샤프트(400) 또는 베어링(500) 측으로 유입되어 회전에 저항력으로 작용하거나 부품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0)는 베어링(500)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 커버부(8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바디(110)에는 회전판(300)에 체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400)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베어링(500)이 체결되는 베어링 체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커버부(800)는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되도록 베어링 체결부(130)에서 회전판(300) 측으로 돌출되어 베어링(500) 측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예로 베어링 커버부(800)는 지지부(810)와 커버부(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810)는 베어링 체결부(130)에서 연장되고, 회전판(300) 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부(810)는 하부바디(110)에 형성된 베어링 체결부(130)에 연장하여 회전판(30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8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측 리브(620)와 유사한 돌출높이로 돌출되어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유입된 이물을 반경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820)는 지지부(810)에서 회전판(300)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베어링(500)의 하측면을 적어도 일부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820)는 지지부(810)의 단부에서 베어링(500)의 바닥면을 감싸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베어링(500)의 바닥면을 커버하여, 이물이 베어링(500)의 바닥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지지부(810)는 베어링(500)의 측면을 커버하고, 커버부(820)는 베어링(500)의 바닥면을 커버하고 있어, 하부바디(110)와 회전판(300) 사이로 유입된 이물이 회전판(300)의 관통홀(340)로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 이물이 베어링(500) 측으로 이동하여도, 베어링 커버부(800)의 지지부(810)와 커버부(820)에 의해 이물이 베어링(5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는 방지부와 베어링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어, 바디와 회전판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부가 1차적으로 차단하고, 일부 이물이 베어링 측으로 이동하여도, 베어링 커버부가 2차적으로 차단하여 베어링과 샤프트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청소기 20 : 걸레
100 : 바디 110 : 하부바디
120 : 상부바디 130 : 베어링 체결부
300 : 회전판 310 : 중앙판
320 : 외곽판 330 : 스포크
340 : 관통홀 400 : 샤프트
500 : 베어링 610 : 외측 리브
620 : 내측 리브 630 : 중앙 리브
640 : 보조 리브 800 : 베어링 커버부
810 : 지지부 820 : 커버부

Claims (20)

  1. 바디;
    바닥과 마주하는 걸레가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 및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바디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중앙판;
    내경이 상기 중앙판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판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외곽판; 및
    상기 중앙판과 상기 외곽판을 연결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중앙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관통홀을 형성하는 스포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회전판을 감싸도록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게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외측 리브; 및
    상기 외측 리브와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내측 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회전판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판의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브는,
    돌출높이가 상기 회전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회전판과 일정 영역 겹쳐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브는,
    유입된 이물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브는,
    상기 중앙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브는,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외측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중앙 리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리브는,
    상기 외곽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리브는,
    돌출높이가 상기 내측 리브의 돌출높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회전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중앙 리브; 및
    상기 바디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판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보조 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브는,
    상기 중앙 리브와 접촉하지 않는 최소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중앙 리브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중앙 리브와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내측 리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브는,
    상기 중앙판 또는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돌출 형성되어, 유입된 이물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회전판을 감싸도록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게 상기 바디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외측 리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회전판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판의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돌출높이는 상기 회전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회전판과 일정 영역 겹쳐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판에 체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체결되는 베어링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되도록 상기 베어링 체결부에서 상기 회전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링 측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커버부는,
    상기 베어링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판 측으로 돌출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어링의 하측면을 적어도 일부 커버하도록 형성된 커버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방지부는 상기 바디와 복수개의 상기 회전판 사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200083447A 2020-03-16 2020-07-07 청소기 KR20210116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90060P 2020-03-16 2020-03-16
US62/990,060 2020-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165A true KR20210116165A (ko) 2021-09-27

Family

ID=7792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447A KR20210116165A (ko) 2020-03-16 2020-07-07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1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37A1 (ko) * 2022-03-23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477A (ko) 2007-01-09 2008-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477A (ko) 2007-01-09 2008-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37A1 (ko) * 2022-03-23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000B1 (ko) 로봇 청소기
EP4201292A1 (en)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robot system
WO2021196759A1 (zh) 清洁设备
KR101634905B1 (ko)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US20220369889A1 (en) Cleaner
JP2020529897A (ja) ロボット掃除機
AU2020354043A1 (en) Robot vacuum
AU2020348105A1 (en) Cleaner
WO2020078441A1 (zh) 齿轮箱和智能清洁设备
KR20210116165A (ko) 청소기
EP4085811A1 (en) Charging station for robot cleaner
TWI787897B (zh) 清掃機器人
KR20210086457A (ko) 로봇청소기의 충전대
EP4122371A1 (en) Cleaner
US20230292974A1 (en) Robot cleaner
EP4085809A1 (en) Robot vacuum charging station
CN108903838B (zh) 具有转动限位结构的擦地装置
KR20220005172A (ko) 청소기용 걸레
KR101961092B1 (ko) 로봇 청소기
US20230284855A1 (en) Robot cleaner
US20240099538A1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mopping cloth of self-propelled cleaning apparatus
CN211432713U (zh) 吸尘器的地刷及吸尘器
KR102264605B1 (ko) 물걸레 청소기
KR20110047597A (ko) 진공청소기
KR20220084857A (ko) 로봇 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