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605B1 -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4605B1 KR102264605B1 KR1020190084759A KR20190084759A KR102264605B1 KR 102264605 B1 KR102264605 B1 KR 102264605B1 KR 1020190084759 A KR1020190084759 A KR 1020190084759A KR 20190084759 A KR20190084759 A KR 20190084759A KR 102264605 B1 KR102264605 B1 KR 102264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hole
- water
- rotating plate
- water inlet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하우징의 저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물걸레가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및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회전플레이트에는, 하우징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부와, 물유입부의 외측 단부에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물유입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여 물걸레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걸레를 이용한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이고, 바닥, 벽, 틈새 등에 있는 먼지,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이를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봇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수동 청소기로서 무선 타입의 청소기(이하, 무선 청소기)가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청소기를 통해 먼지를 흡입할 뿐 아니라, 바닥에 쌓인 분진이나 오물을 닦을 수 있도록 물걸레가 설치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는 무선 물걸레 청소기에 대한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물걸레 청소기는 물걸레를 지지하면서 회전되는 플레이트에 일정한 형상의 홀을 형성하여 주입되는 물이 홀을 통해 물걸레로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고속 회전이 요구되는 플레이트의 회전 강성이 홀로 인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단순히 고속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걸레로 물을 골고루 전달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물걸레를 물에 충분히 적시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물걸레에 물을 골고루 전달할 수 있어, 원활한 바닥 청소가 가능한 물걸레 청소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물걸레가 부착되는 회전플레이트의 충분한 강성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빠른 물 배출이 가능한 물걸레 청소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물걸레가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부와, 상기 물유입부의 외측 단부에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여 상기 물걸레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수홀이 형성된 청소기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홀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배수홀; 및 상기 제1 배수홀보다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수홀과 상기 제2 배수홀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동심원을 따라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수홀의 면적과 상기 제2 배수홀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 일 축에는, 상기 제1 배수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일 측이 일정한 형상으로 함몰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배수홀측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의 일 측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수홀을 향해 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 배수홀을 향해 테이퍼지는 제2 배수홀측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유입부는, 상기 제1 배수홀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물유입부와, 상기 제2 배수홀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물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물유입부의 일 단에는, 상기 각 배수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홀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배수홀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 일 측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을 향해 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배수홀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이루어지는 배수홀측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유입부의 일 단에는, 상기 각 배수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중심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영역을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에 의하면, 하우징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물유입부를 향해 유입되는 물이 회전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배수홀로 흘러나가도록 이루어져, 물걸레에 물을 골고루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때, 하우징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에는 배수홀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동심원을 따라 각각 복수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하나의 동심원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각 배수홀을 통해 회전플레이트의 하부에 부착되는 물걸레에 물을 보다 원활히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회전플레이트의 상면부에는, 일정한 형상으로 연장되는 리브와 가이드부들이 형성되어 배수홀들을 향해서 또는 배수홀들 사이에서 물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면서도, 구동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의 충분한 강성 확보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청소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회전플레이트의 전후면에 고정플레이트와 물걸레가 각각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의 상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의 저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를 확대한 도면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제2 배수홀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제1 배수홀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회전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회전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는, 회전플레이트의 전후면에 고정플레이트와 물걸레가 각각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의 상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의 저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를 확대한 도면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제2 배수홀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제1 배수홀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회전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회전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청소기(100)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청소기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여,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거나, 바닥, 벽면 및 창 등의 물걸레 청소에 활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 측에 설치되는 물걸레(160)를 이용하여, 바닥에 접촉시켜 바닥에 쌓인 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물걸레'란, 브러쉬, 솔, 헝겊 등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채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 및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물걸레(160)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 측에 고정되어 결합되거나, 청소기 본체(1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청소기(100)는, 손잡이부(111)와 연장관(112) 및 상기 연장관(112)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면 또는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기 본체(11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청소기(100)의 구조, 즉, 손잡이부(111), 연장관(112), 및 청소기 본체(110)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11)를 파지하여 청소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1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11)의 일 측에는 청소기(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111a)과, 청소기(100)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되어, 청소기(100)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을 통해,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청소기 본체(110)의 일 측에는, 하우징(120), 회전플레이트(140, 240), 구동부(130) 및 물걸레(160)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청소기 본체(11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구동부(130) 및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저장용기는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저장용기가 외부로 노출된 형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하우징(120)은 내측에 경계벽(148)이 설치되어, 경계벽(148)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부공간(S1)이, 하측에는 하부공간(S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는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하우징(120)의 상부공간(S1)에 설치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상부 일 측에 설치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마개(121)를 통해, 물을 공급 받을 수 있게 된다.
구동부(130)는, 하우징(120)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140, 2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130)가 회전플레이트(140, 24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플레이트(140, 240)에 부착된 물걸레(160)로 물이 골고루 공급되고, 회전플레이트(140, 240)에 부착된 물걸레(160)가 회전하면서 바닥을 닦게 된다.
구동부(130)는, 모터(134), 제1 회전기어(131), 제2 회전기어(132) 및 제3 회전기어(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4)는 하우징(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모터케이스(130a)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한 전원이 공급되면,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자(미도시)가 회전하면서 일 단에 형성된 모터축을 통해 외부로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제1 회전기어(131)는, 모터(134)의 축과 일 단이 연결되어, 모터(134)로부터 형성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제1 회전기어(131)는 서로 교차된 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어를 통해, 하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기어(13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1 회전기어(131)는 상부공간(S1)에 설치되는 모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회전기어(132)는, 제1 회전기어(13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 회전기어(131)의 회전축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기어(132)는, 일 측이 서로 연결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게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음으로써, 각 제2 회전기어(132)와 연결되는 제3 회전기어(133)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3 회전기어(133)는, 제2 회전기어(132)와 일 측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며, 회전플레이트(140, 240)에 형성되는 중심축(145)이 제3 회전기어(133)의 중심부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회전플레이트(140, 240)의 일 방향 회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 회전기어(133)는 상기 각 제2 회전기어(132)와 연결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40, 240)는 하우징(120)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제3 회전기어(133)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40, 240)의 회전 중심은 제3 회전기어(133)의 회전 중심과 중첩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40, 240)의 상측에는 고정플레이트(1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플레이트(140, 240)의 중심축(145)은 고정플레이트(15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150)의 상 측에는 급수홀(151)이 형성되고, 급수홀(151)은 하우징(120)에 수용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인 연결배관(17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2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은 급수수단의 작동으로 연결배관(172)을 거쳐, 고정플레이트(150)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회전플레이트(140, 240)의 저면부에는 물걸레(160)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150)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회전플레이트(140, 240)에 형성되는 배수홀들(141, 142, 241)을 거치면서, 회전플레이트(140, 240)의 하면부에 부착되는 물걸레(16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3 회전기어(133)와 함께 회전플레이트(140, 240)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플레이트(140, 240)와 함께 물걸레(160)가 회전되므로, 물걸레(160)는 바닥과 접촉하면서 바닥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닦아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2는, 청소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140)의 전후면에 고정플레이트(150)와 물걸레(16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에서는, 도 3의 회전플레이트(140)가 적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후술할 도 8의 회전플레이트(240)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3의 회전플레이트(140)가 적용된 구조를 도면에 도시하였다.
회전플레이트(14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20)의 저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150)가 위치되고, 하부에는 물걸레(160)가 위치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150)는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150)는, 중심부에 중심홀(152)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150)의 저면 둘레에는 회전플레이트(140)를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가이드(153)가 형성되어, 회전플레이트(140)에 고정플레이트(150)가 결합되는 경우, 결합가이드(153)는 후술할 회전플레이트(140)의 외측면에 형성된 플랜지부(146)와 인접하게 위치될 것이다.
이때, 결합가이드(153)는 플랜지부(146)와 서로 맞닿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가이드(153)의 저면과 플랜지부(146)의 상면은 일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플레이트(140)의 고정플레이트(150)에 대한 상대 회전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회전플레이트(140)에 고정플레이트(150)가 결합되면, 고정플레이트(150)의 저면부와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면부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결합가이드(153)의 높이는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면에 형성된 리브(143)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결합가이드(153)와 리브(143)의 높이는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리브(143)의 형성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회전플레이트(14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심축(145)이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중심축(145)은 앞서 제3 회전기어(133)와 연결되어, 제3 회전기어(13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회전플레이트(140)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수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들은 일정한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20)으로부터 투입된 물을 물걸레(16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수홀들(141, 142)은, 회전플레이트(1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배수홀(141)과, 제1 배수홀(141)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배수홀(141)보다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더 긴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배수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면에는, 일정한 연장되는 리브(143)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143)는 회전플레이트(140)의 중심축(145)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리브(143)는 상면부를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 물유입부 등의 각 영역을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리브(143)는 회전플레이트(140)의 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리브(143)의 폭과 두께, 두께 및 길이는 회전플레이트(140)의 강성 확보, 고정플레이트(150)의 결합가이드(153)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회전플레이트(140)의 저면부에는 물걸레(16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걸레(160)는 회전플레이트(140)의 저면부에 벨크로 형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40)의 저면부에 물걸레(160)가 부착되면, 물걸레(160)는 회전플레이트(140)와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물걸레(160)는, 브러쉬, 솔, 헝겊 등 다양한 소재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플레이트(140)의 저면부에 형성된 걸레고정부(149)에 벨크로 형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3과, 회전플레이트(140)의 저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인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회전플레이트(140)에는, 회전플레이트(140)를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수홀들(141, 142)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들(141, 142)을 통해, 하우징(120)으로부터 투입된 물을 물걸레(160)를 적시는데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배수홀들(141, 142)은 회전플레이트(1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배수홀(141)과, 제1 배수홀(141)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배수홀(141)보다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더 긴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배수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은, 회전플레이트(140)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동심원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의 중앙은, 상기 가상의 동심원과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은, 상기 각 동심원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배수홀(141)은 중심이 회전플레이트(140)의 중심축(145)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동심원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제1 배수홀(141)은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제2 배수홀(142)은 중심이 회전플레이트(140)의 중심축(145)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동심원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제2 배수홀(142)은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거리보다 제2 거리가 더 큰 값을 가질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은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제1 배수홀(141)은 중심축(145)을 기준으로 대략 9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홀(141)의 내측에는 경계벽(148)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각 제1 배수홀(141)은 서로 다른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배수홀(142)은, 중심축(145)을 기준으로 대략 9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배수홀(141)은, 서로 다른 제2 배수홀(142)의 사이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배수홀(142)은, 서로 다른 각 제1 배수홀(141)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회전플레이트(14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원심력에 의해 물의 움직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된 물은 제1 배수홀(141) 뿐만 아니라, 제1 배수홀(141)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형성되는 제2 배수홀(142)을 통해서도 보다 원활히 이동할 수 있으므로, 회전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위치되는 물걸레(160)의 보다 넓은 영역으로 물이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140)의 후면부에는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이 각각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제1 배수홀(141)의 외측으로 각 제2 배수홀(142)이 형성되는 사이의 영역에는 물걸레(160)가 부착되기 위한 걸레고정부(14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회전플레이트(140)의 후면부의 서로 다른 개소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레고정부(149)에는 물걸레(160)가 부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회전플레이트(140)의 일 측에는 물유입부(144, 147)가 형성될 수 있다. 물유입부(144, 147)는 제1 및 제2 배수홀(141, 142)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면부 일 측을 의미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플레이트(150)의 급수홀(151)을 통해, 하우징(120)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경우, 물은 고정플레이트(150) 하측으로 낙하하면서, 제1 배수홀(141)을 직접 향하거나, 회전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물유입부(144, 147)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물유입부(144, 147)에 유입된 물은, 회전플레이트(140)가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을 통해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물유입부(144, 147)는 제1 배수홀(141)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물유입부(147)와, 상기 제2 배수홀(142)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물유입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유입부(147)와 제2 물유입부(144)는 외측에 리브(14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50)로부터 물이 낙하되는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도 3의 A를 확대한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회전플레이트(140)의 제2 배수홀(142)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회전플레이트(140)에는, 회전플레이트(140)를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수홀(141)과 제2 배수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배수홀은, 하우징(120)으로부터 투입된 물을 상기 물걸레(160)를 적시는데 이용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플레이트(150)의 급수홀(151)을 통해 공급된 물은, 고정플레이트(150) 하측으로 낙하하면서 회전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물유입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낙하된 물은 제2 물유입부(144)로 유입된 후, 제2 물유입부(144)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제2 배수홀(142)을 지나면서 회전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걸레(16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면에는, 제2 배수홀(142)을 향해 투입된 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2 배수홀(142)의 양 측을 따라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배수홀측 가이드부(14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수홀측 가이드부(143a)는 리브(143)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물을 모아주는 역할을 해야 하므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2 배수홀측 가이드부(143a)는 제2 물유입부(144)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이동을 보다 원활히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5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2 물유입부(144)에 수용된 물은, 제2 배수홀측 가이드부(143a)를 따라 제2 배수홀(142)로 안내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물유입부(144)의 일 단부에는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물이 제2 배수홀(142)을 따라 보다 원활히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경사부(144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44a)는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경사부(144a)는 회전플레이트(14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원심력에 의해 제2 배수홀(142)을 향해 이동하는 물의 이동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게 된다.
제2 경사부(144a)는 일정한 단차를 가지도록 다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이 제2 배수홀(142)을 향해 보다 원활히 낙하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7은, 회전플레이트(140)의 제1 배수홀(141)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140)에는 회전플레이트(140)를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수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수홀(141)을 통해, 유출되는 물은 회전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걸레(160)를 적시는데 이용될 수 있게 된다.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플레이트(150)의 급수홀(151)을 통해 공급된 물은, 고정플레이트(150) 하측으로 낙하하면서 회전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물유입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낙하된 물은 제1 물유입부(147)로 유입된 후, 제1 물유입부(147)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제1 배수홀(141)을 지나면서 회전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걸레(16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회전플레이트(140)의 상면에는, 제1 배수홀(14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제1 배수홀측 가이드부(14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수홀측 가이드부(144b)는 리브(143)의 일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1 물유입부(147)를 통해 유입된 물의 이동을 제1 배수홀(141)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배수홀측 가이드부(144b)는, 회전플레이트(140)의 회전에 따라, 제1 배수홀(141)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1 배수홀측 가이드부(144b)의 측면에 부딪혀 비산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일 측이 일정한 형상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홀(141)은 내측에 경계벽(148)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경계벽(148)에 의해 제1 배수홀(141)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경계벽(148)의 일 측도 상기 제1 배수홀측 가이드부(144b)와 대응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수홀측 가이드부(144b)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경계벽(148)에 각각 형성되는 함몰부는, 회전플레이트(14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플레이트(150)를 통해, 제1 물유입부(147)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인접한 제1 배수홀(141)을 통해, 물이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물이 이동하면서 부딪혀 비산되는 양을 줄일 수 있어, 물걸레(160)에 보다 효과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물유입부(147)의 단부에는 제1 배수홀(141)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져, 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경사부(147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부(147a)는 물이 제1 배수홀(141)을 통해 보다 잘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경사부(147a)는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경사부(147a)는 회전플레이트(14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원심력에 의해, 제1 배수홀(141)을 향해 이동하는 물의 이동을 보다 원활히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경사부(147a)는 일정한 단차를 가지도록 다단 형상으로 이루어져, 물이 제1 배수홀(141)을 향해 보다 원활히 낙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변형된 구조의 회전플레이트(240)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회전플레이트(240)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회전플레이트(240)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되, 회전플레이트(240)의 청소기 내의 배치구조와 기본적인 기능은 앞서 설명한 회전플레이트(14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범위에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회전플레이트(24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20)의 저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240)의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150)가 위치되고, 하부에는 물걸레(160)가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회전플레이트(240)의 저면부에는 물걸레(160)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하우징(120)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회전플레이트(240)에 형성되는 배수홀(241)을 통해 회전플레이트(240)의 하면부에 부착되는 물걸레(16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회전플레이트(24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심축(245)이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중심축(245)은 제3 회전기어(133)와 연결되어, 제3 회전기어(13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회전플레이트(240)에는, 회전플레이트(2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수홀(241, 이하 제3 배수홀이라 칭함)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수홀(241)은 일정한 형상을 갖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20)으로부터 투입된 물을 상기 물걸레(16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배수홀(241)은, 회전플레이트(2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배수홀(241)은, 회전플레이트(24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홀(241)은 회전플레이트(24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동심원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수홀(241)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축(245)을 기준으로 45도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각 제3 배수홀(241)의 각 면적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플레이트(240)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충분한 강성의 확보와 함께 양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배수홀(241)의 형상, 면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플레이트(240)의 일 측에는 물유입부(244, 이하 제3 물유입부라 칭함)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물유입부(244)는 제3 배수홀(241)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배수홀(241)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24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플레이트(150)의 급수홀(151)을 통해, 하우징(120)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경우, 물은 고정플레이트(150) 하측으로 낙하하면서, 회전플레이트(240)에 형성되는 제3 물유입부(244)를 향해 분사된다.
제3 물유입부(244)에 유입된 물은, 회전플레이트(24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제3 배수홀(241) 향해 이동한 후 제3 배수홀(241)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제3 배수홀(24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회전플레이트(2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걸레(160)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회전플레이트(240)의 상면에는, 일정하게 돌출 연장되는 리브(243)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243)는 회전플레이트(240)의 중심축(245)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24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243)는 상면부를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복수개의 제3 배수홀(241)과 제3 물유입부(244)의 각 영역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리브(243)는 회전플레이트(240)의 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브(243)의 폭과 두께, 두께 및 길이는 회전플레이트(240)의 강성 확보, 고정플레이트(150)의 결합가이드(153)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에서 보듯이, 회전플레이트(240)의 저면부에는 물걸레(160)가 결합되도록 걸레고정부(249)가 형성될 수 있다. 걸레고정부(249)는 중심축(245)을 기준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동심원을 따라 형성된 제3 배수홀(241)의 외측에 형성된다. 제3 배수홀(241)과 걸레고정부(249)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걸레고정부(249)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걸레(160)는 걸레고정부(249)에 벨크로 형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240)의 저면부의 서로 다른 개소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레고정부(249)에 물걸레(160)가 부착되면, 물걸레(160)는 회전플레이트(240)와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9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인 도 11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물유입부(244)에 유입된 물은, 회전플레이트(24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제3 배수홀(241)을 향해 이동한 후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제3 배수홀(24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회전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걸레(160)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플레이트(240)의 상면에는, 제3 배수홀(241)을 향해 투입된 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3 배수홀(241)의 양 측을 따라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홀측 가이드부(243a)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측 가이드부(243a)는 리브(243)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물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배수홀측 가이드부(243a)는 제3 물유입부(244)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3 물유입부(244)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배수홀측 가이드부(243a)에 의해 제3 배수홀(241)로 보다 원활히 안내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 물유입부(244)의 일 단부에는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제3 물유입부(244)로부터 제3 배수홀(241)을 향해 물을 보다 원활히 이동시키기 위한 제3 경사부(244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경사부(244a)는 제3 배수홀(241)을 향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경사부(244a)는 회전플레이트(240)의 회전으로 인해 형성된 원심력에 의해 제3 배수홀(241)을 향해 이동하는 물을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3 경사부(244a)는 제3 배수홀(241)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차를 갖는 다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이 제3 배수홀(241)을 향해 보다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청소기;
110: 청소기 본체;
120: 하우징;
130: 구동부;
140, 240: 회전플레이트;
150: 고정플레이트;
160: 물걸레
110: 청소기 본체;
120: 하우징;
130: 구동부;
140, 240: 회전플레이트;
150: 고정플레이트;
160: 물걸레
Claims (8)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물걸레가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부와,
상기 물유입부의 단부 외측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여 상기 물걸레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수홀과,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되 상기 물유입부로부터 상기 배수홀을 향해 상기 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부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배수홀을 향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배수홀; 및
상기 제1 배수홀보다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홀과 상기 제2 배수홀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동심원을 따라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홀의 면적과 상기 제2 배수홀의 면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배수홀을 둘러싸고, 일 측이 일정한 형상으로 함몰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배수홀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배수홀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배수홀을 향해 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 배수홀을 향해 테이퍼지는 제2 배수홀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입부는, 상기 제1 배수홀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물유입부와, 상기 제2 배수홀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물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3086 | 2019-04-12 | ||
KR20190043086 | 2019-04-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0459A KR20200120459A (ko) | 2020-10-21 |
KR102264605B1 true KR102264605B1 (ko) | 2021-06-15 |
Family
ID=7303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759A KR102264605B1 (ko) | 2019-04-12 | 2019-07-12 | 물걸레 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460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7028B2 (ja) * | 1991-07-06 | 2000-03-27 |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製造装置 |
KR200195057Y1 (ko) * | 2000-03-30 | 2000-09-01 | 김종빈 | 물걸레 자동 청소기 |
KR200317941Y1 (ko) * | 2003-03-20 | 2003-06-27 | 박동항 |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
JP2018000304A (ja) * | 2016-06-28 | 2018-01-11 | アマノ株式会社 | 床面洗浄機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7028U (ja) * | 1995-10-05 | 1996-07-30 | 古見 安一 | 床面洗浄機 |
-
2019
- 2019-07-12 KR KR1020190084759A patent/KR1022646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7028B2 (ja) * | 1991-07-06 | 2000-03-27 |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製造装置 |
KR200195057Y1 (ko) * | 2000-03-30 | 2000-09-01 | 김종빈 | 물걸레 자동 청소기 |
KR200317941Y1 (ko) * | 2003-03-20 | 2003-06-27 | 박동항 |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
JP2018000304A (ja) * | 2016-06-28 | 2018-01-11 | アマノ株式会社 | 床面洗浄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0459A (ko) | 2020-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662658B (zh) | 一种清洁机器人 | |
CN114468876B (zh) | 基站、清洁机器人和清洁机器人系统 | |
CN106725135B (zh) | 基站和清洁机器人系统 | |
KR100404113B1 (ko) | 세척수 순환식 진공청소기 | |
JP2721280B2 (ja) | 真空清掃機 | |
KR102266928B1 (ko) | 걸레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 | |
CN100446710C (zh) | 表面清洁设备 | |
JP7008126B2 (ja) | ロボット掃除機 | |
CN113208503B (zh) | 地面清扫装置 | |
WO2014073625A1 (ja) | 湿式吸引アタッチメント | |
CN114641231B (zh) | 吸尘器 | |
KR101472770B1 (ko) | 청소장치 | |
KR100761762B1 (ko) | 로봇청소기 | |
KR100565262B1 (ko) |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 |
TWI766785B (zh) | 清掃機 | |
KR100608666B1 (ko) | 건/습식 겸용 청소기 | |
KR102264605B1 (ko) | 물걸레 청소기 | |
KR20060037185A (ko) |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 |
CN218943243U (zh) | 一种气液分离效果好的表面清洁装置 | |
TW201803509A (zh) | 用於濕式清潔設備之清潔裝置 | |
KR200381912Y1 (ko) | 로봇청소기 | |
KR20170050373A (ko) | 로봇 청소기 | |
KR20160061624A (ko) | 차량용 진공청소기 | |
TW201803510A (zh) | 用於濕式清潔設備之清潔裝置 | |
CN216439147U (zh) | 一种可降低噪声的基站及清洁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