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56816A1 -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56816A1
WO2021256816A1 PCT/KR2021/007444 KR2021007444W WO2021256816A1 WO 2021256816 A1 WO2021256816 A1 WO 2021256816A1 KR 2021007444 W KR2021007444 W KR 2021007444W WO 2021256816 A1 WO2021256816 A1 WO 20212568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oor
pad
installation
robot
access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74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복명수
설동문
유달순
조재현
김영호
김진수
박시영
강동희
전혜문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826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66733A1/en
Priority to CN202180040991.4A priority patent/CN115702281A/zh
Priority to US18/010,890 priority patent/US20230220686A1/en
Publication of WO20212568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568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single elements, e.g. flooring cramps ; flexible we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9End effectors other tha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7Assembly, peg and hole, palletising, straight line, weaving pattern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using a pad installation robot, a floor installation robot, and a bolting robot having a unique structure for access floor construction so that the access floor can be constructed without the provision of manpower. It relates to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and an access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Access floor is a compound word of ACCESS (access, in computer terminology, inserting or extracting information into or out of a computer system) and floor (FLOOR: floor). Accordingly, it is also called a raised floor, a double floor, or an O/A floor.
  • the access floor refers to a raised floor that has been proposed to secure a more comfortable and efficient office space in the information age when the use of computers is increasing.
  • clean or super-clean conditions such as semiconductor fab, TFT-LCD fab or PDP fab, pharmaceutical or food manufacturing plants, or workshops and operating rooms that produce or assemble optical products, printing or precision machinery, etc.
  • fine or ultrafine dust or mist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product, so it is strictly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control.
  • a clean room with a raised floor is provided to prevent vibration.
  • An access floor means creating another floor by placing a space at a certain height on a flat floor to satisfy the above needs. And it is formed so that the cable can be placed in the space and the floor can be opened and closed as needed for the rearrangement of the cables.
  • an installation frame For the construction of an access floor, it is common to form an installation frame and an operator to form a pad and a floor on the installation frame.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access floor construction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n automated robot to install a mat and a floor without an operator performing a dangerous floor installation task, thereby causing a workplace safety accid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that can prev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enabling the floor installation location selection and level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quickly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he mat and the floor by a robot, and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an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 floor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guarantee construction quality above a certain level by constructing most of the access floors using a robot.
  • an unmanned construction system of an access floor including an installation frame 10 , a pad 20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frame 10 , and a floor 30 coupled to the pad 20 .
  • the pad installation robot 100 includes a first detection sensor 110 for sens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11 of the pad 20 on the installation frame 10; a first installation arm 120 for moving the pad 20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11; and a first transportation means 130 for moving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
  • It may be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a.
  • the adhesive providing unit 140 for providing an adhesi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d 20;
  • It may be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may include a first gripper 121 for adsorbing the pad 20; and a second gripper 122 surrounding the side and lower surfaces of the pad 20 adsorbed to the first gripper 121 .
  • the first gripper 121 is a vacuum suction type
  • the second gripper 122 includes a first guide part 122a protruding downward (a) from an end of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 and a second guide part 122b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first guide part 122a, wherein the first guide part 122a is hinge drive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
  • It may be an access floor unmanned constr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 the second guide part 122b is hinge-driven toward the inner side b when the pad 20 is adsorbed to the first gripper 121 , and the pad 20 is moved to the first gripper 121 .
  • it may be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is driven toward the outside (c).
  • the pad installation robot 100 further includes a main body 150 on which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is mounted, wherein the adhesive providing unit 140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50 , and the The adhesive providing unit 140 may be an unmanned constr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hole 141 through which the adhesive is discharged is formed.
  • the floor installation robot 200 a transport unit 210 for transporting the floor 30 in a loaded state; and an installation unit 220 for mounting the floor 30 on the transport unit 210 to the pad 20; it may be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a.
  • the installation unit 220 includes a second detection sensor 221 for sensing the mounting position 12 of the floor 30; a second installation arm 222 for moving the floor 30 to the mounting position 12; and a second transportation means 230 for moving the second installation arm 222; may be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a.
  • the bolting robot 300 includes a third detection sensor 310 for sensing the insertion hole 13 into which the coupling means 40 is to be inserted; a third installation arm 320 for moving the coupling means 40 to the insertion hole 13; and a third transportation means 330 for moving the third installation arm 320; may be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a.
  • the coupling means 40 is a bolt 41
  • the insertion hole 13 is formed in the pad 20 and the floor 30
  • the bolt 4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 .
  • It may be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olting unit 340 for coupling.
  • the construction robot may be an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a.
  • It may b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ccess floor characterized by it.
  •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stallation frame, a lift facility, and a peripheral slab in an access floor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installation arm of the pad install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second installation arm of the floor install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third installation arm of the bolt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robot enters the peripheral slab through the elevating means.
  •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robot is arranged near the installation fram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ccess floor.
  • FIG 8 to 11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pad installation robot adheres the pad to the installation frame.
  • FIGS. 12 to 20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floor installation robot mounts the floor on top of the pad.
  • 21 to 22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bolting robot combines the pad and the floor using a coupling means.
  • FIG. 23 is a plan view of a pad used for unmanned construction of an access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coupling” does not mean only when there is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each component in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so that the component is in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sed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even the cases in which each is in contac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at allow an access floor to be constructed unattended.
  • the access floor constructed by the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is an installation frame 10 , a pad 20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frame 10 , and a floor 30 coupled to the pad 20 .
  • the installation frame 10 is a basic frame that allows the floor 30 to be install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and forms a lower space under the floor 30 to allow installation of various equipment and construction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to form
  • the pad 20 is mainly bonded to the installation frame 10 to be installed, and one corner of the floor 30 is mounted on the top. In general, the four corners of the floor 30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20 for construction.
  • the pad 20 includes a mounting part 21 on which the edge of the floor 30 is mounted, a guide part 22 that divides the edge of the neighboring floor 20 , and a bolt coupling the floor 20 and the pad 20 .
  • (41)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through hole 23 is inserted (FIG. 23).
  • the pad 20 serves to couple the floor 30 to the installation frame 10 and to specif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loor 10 .
  • the entire process of installing the pad 20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ccess floor, mounting the floor 30 and combining the pad 20 and the floor 30 are performed using an unmanned robot.
  • the unmanned construction system includes a control server 1 and a construction robot connected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construction robot is an object that constructs an access floor, and is operated and operated by the control server 1 .
  • the control server 1 includes an operation module for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1 may be mounted on the construction robot itself.
  • the construction robot is a pad installation robot 100 that attaches the pad 20 to the installation frame 10, a floor installation robot 200 that mounts the floor 30 on the pad 20, and the pad 20 and the floor 30 ) may include a bolting robot 300 for coupling using the coupling means 40 (FIG. 5).
  • the pad installation robot 100 is a construction robot that attaches the pad 20 to the installation frame 10 ( FIGS. 8 to 11 ),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11 of the pad 20 on the installation frame 10 is
  •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0 for sensing,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for moving the pad 20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11, the first transportation means 130 for moving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and the pad It may include an adhesive providing unit 140 that provides an adhesi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20 (FIG. 2).
  •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0 includes a configuration such as a vision sensor.
  •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is configured to grip the pad 20 and transport it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11 , and a first gripper 121 and a first gripper 121 for adsorbing and gripping the pad 20 .
  • the first gripper 121 grips one surface of the pad 20 by vacuum adsorption.
  • the second gripper 122 serves as a safety device surrounding the pad 20 so that the pad 20 adsorbed to the first gripper 121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when the pad 20 is detached due to an impact or error.
  • the second gripper 122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122a protruding downward (a) from an end of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and a first guide portion 122a extending inwardly from the first guide portion 122a (b). It may include two guide parts (122b).
  • the first guide part 122a may be hinge drive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
  • the second guide part 122b is hinged toward the inner side b to surround the pad 20 adsorbed to the first gripper 121 .
  • take shape in a state in which the pad 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ripper 121 , the hinge is driven toward the outside c so that the pad 20 separated from the first gripper 121 is moved from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 to allow it to escape.
  • the pad installation robot 100 may further include a body 150 on which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is mounted.
  • the adhesive providing unit 140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150 , and a discharge hole 141 through which the adhesive is discharged may be formed in the adhesive providing unit 140 .
  •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grips the pad 20 loaded on the pad loading unit 150 to bring the pad 20 into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141 so that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ad 20 . .
  • the first installation arm 120 transports the pad 20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ad 2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position 11 .
  • the floor installation robot 200 serves to mount the floor 30 on the pad 20 ( FIGS. 12 to 20 ). In general, the edge of the floor 3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pad 20 .
  • the floor installation robot 200 includes a transport unit 210 that transports the floor 30 in a loaded state and an installation unit 220 that mounts the floor 30 on the transport unit 210 to the pad 20. may be included (FIG. 6).
  • the floor 30 is a large construction material with a high weight, when it is loaded and transported by one construction robot,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robot increases and the construction efficiency may be lowered.
  • a transport unit 210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the floor 30 is separately provided to perform a role of loading and transporting the floor 30 in the vicinity of the installation unit 220 .
  • transport unit 210 and the installation unit 22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unit.
  • the installation unit 220 includes a second detection sensor 221 for sensing the mounting position 12 of the floor 30 , a second installation arm 222 for moving the floor 30 to the mounting position 12 , and a second It may include a second vehicle 230 for moving the installation arm 222 (FIG. 3).
  •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ipper 121 and the second gripper 122 of the pad installation robot 100 described above is also form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arm 222 of the installation unit 220,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The object is changed from the pad 20 to the floor 30 .
  • the bolting robot 300 serves to couple the floor 30 mounted on the pad 20 using the coupling means 40 ( FIGS. 21 to 22 ).
  • the bolting robot 300 includes a third detection sensor 310 that senses the insertion hole 13 into which the coupling means 40 is inserted, and a third installation arm that moves the coupling means 40 to the insertion hole 13 . It may include a third vehicle 330 for moving the 320 and the third installation arm 320 (FIG. 4).
  • the coupling means 40 is a bolt 41
  • the insertion hole 13 is formed in the pad 20 and the floor 30 .
  • the bolting robot 300 may include a bolting unit 340 for coupling the bolt 41 to the insertion hole 13 .
  • the construction robot including the pad installation robot 100 , the floor installation robot 200 , and the bolting robot 300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410 and a distance sensor 420 , respectively.
  • the access floor unmanned construc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construction robots, the position, distance and corresponding positions of individual construction robots through the position sensor 410 and the distance sensor 420 mounted on each construction robo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tents of the work to be performed.
  • the oper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ontrol server 1 defines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construction robot u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osition sensor 410 and the distance sensor 420 of the construction robot.
  •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 access floor includes the first step (S100) of constructing the installation frame 10, the lifting facility 50 and the peripheral slab 60 and the peripheral slab 60 using the lifting facility 50 ) in the second step (S200) of moving the construction robot to the third step (S300) of attaching the pad 20 to the frame 10 using the pad installation robot 100, using the floor installation robot 200
  • the fourth step (S400) is an alignment step (S410) of bringing the transport unit 210 and the installation unit 220 close to the mounting position 12, and the floor 30 loaded on the transport unit 210 is removed. 2 It may include a mounting step (S420) of lifting to the mounting position 12 by lifting with the installation arm 222.
  • the minimum construction of only the periphery slab 60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elevator facility 50 and the installation frame 10 for movement of the construction robot is performed by inputting manpower, and then the access floor
  • the construction for the formation is performed through a construction robo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the access floor construction, and has the effect of remarkably reducing the risk of worker injury or safety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프레임(10), 상기 설치 프레임(10)에 부착된 패드(20) 및 상기 패드(20)와 결합되는 플로어(30)를 포함하는 액세스플로어의 무인 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 서버(1)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시공로봇;을 포함하되, 상기 시공로봇은, 상기 설치 프레임(10)에 상기 패드(20)를 부착하는 패드 설치로봇(100); 상기 패드(20)에 상기 플로어(30)를 거치시키는 플로어 설치로봇(200); 및 상기 패드(20)와 상기 플로어(30)를 결합수단(4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볼팅 로봇(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위험한 플로어 설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자동화된 로봇이 매트 및 플로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장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로봇에 의한 매트 및 플로어 설치를 통해 플로어 설치 위치 선정 및 레벨링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본 발명은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세스플로어 시공을 위한 특유의 구조를 갖는 패드 설치로봇, 플로어 설치로봇 및 볼팅 로봇을 이용하여 인력의 제공없이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세스플로어란 액세스(ACCESS: 접근, 컴퓨터용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정보를 넣거나 빼내는 일)와 플로어(FLOOR:마루, 바닥)의 합성어이다. 이에 따라, 이중마루, 이중바닥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라고도 한다.
액세스플로어는 컴퓨터의 활용이 증대되는 정보화시대에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사무공간 확보를 위해 제안된 이중마루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팹이나 TFT-LCD 팹 또는 PDP 팹,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제조 공장, 또는 광학 제품이나 인쇄 또는 정밀기계 등을 생산 또는 조립하는 작업장 및 수술실 등 청정 또는 초청정(super-clean) 상태를 요하는 곳에서는 미세 또는 초미세 먼지나 미스트(mist) 등은 제품의 품질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외부와 엄밀히 차단함과 아울러, 항온 및 항습 제어를 통하여 온도 및 습도를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하고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올림 바닥(raised floor)의 클린룸이 제공되고 있다.
액세스플로어는 위와 같은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평탄한 바닥 위에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두어 바닥을 하나 더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공간에 케이블을 배치하고 케이블의 재배치를 위해 필요에 따라 바닥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액세스플로어의 시공을 위해서는 설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작업자가 설치 프레임 상부에 패드 및 플로어를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설치 프레임의 높이가 3 ~ 9m 이르므로, 작업자 낙하사고의 위험이 있어 액세스플로어 시공은 전문 기술인이 기피하는 작업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숙련된 전문 작업인의 육성이 힘든 실정이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안전망이나 생명줄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안전 확보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있다. 더하여, 플로어는 무게가 20kg 정도인 중량물이므로 이를 설치하는 작업자의 근골격게 질환이 상존하고, 중량물인 플로어의 레벨링 작업의 작업 난이도가 매우 높아 전체적인 공정이 장기화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액세스플로어 시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위험한 플로어 설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자동화된 로봇이 매트 및 플로어를 설치하도록 하여 작업장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봇에 의한 매트 및 플로어 설치를 통해 플로어 설치 위치 선정 및 레벨링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봇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시공품질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 프레임(10), 상기 설치 프레임(10)에 부착된 패드(20) 및 상기 패드(20)와 결합되는 플로어(30)를 포함하는 액세스플로어의 무인 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 서버(1)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시공로봇;을 포함하되, 상기 시공로봇은, 상기 설치 프레임(10)에 상기 패드(20)를 부착하는 패드 설치로봇(100); 상기 패드(20)에 상기 플로어(30)를 거치시키는 플로어 설치로봇(200); 및 상기 패드(20)와 상기 플로어(30)를 결합수단(4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볼팅 로봇(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패드 설치로봇(100)은 상기 설치 프레임(10) 상의 상기 패드(20)의 설치위치(11)를 센싱하는 제1 탐지센서(110); 상기 패드(20)를 상기 설치위치(11)까지 이동시키는 제1 설치 암(120); 및 상기 제1 설치 암(120)을 이동시키는 제1 운송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20)의 하면에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제 제공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설치 암(120)은, 상기 패드(20)를 흡착하는 제1 그리퍼(121); 및 상기 제1 그리퍼(121)에 흡착된 상기 패드(20)의 측면 및 하면을 둘러싸는 제2 그리퍼(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리퍼(121)는 진공흡착 방식이며, 상기 제2 그리퍼(122)는 상기 제1 설치 암(120)의 단부에서 하향(a) 돌출된 제1 가이드부(122a); 및 상기 제1 가이드부(122a)에서 내측(b)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부(122b)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부(122a)는 상기 제1 설치 암(120)에 대하여 힌지구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22b)는, 상기 패드(20)가 상기 제1 그리퍼(121)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내측(b)을 향하여 힌지구동 되며, 상기 패드(20)가 상기 제1 그리퍼(12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외측(c)을 향하여 힌지구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설치로봇(100)은 상기 제1 설치 암(120)이 장착된 본체(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착제 제공부(140)는 상기 본체(15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접착제 제공부(140)는 접착제가 토출되는 토출공(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어 설치로봇(200)은, 상기 플로어(30)를 적재한 상태에서 운송하는 운송유닛(210); 및 상기 운송유닛(210) 상의 상기 플로어(30)를 상기 패드(20)에 거치시키는 설치유닛(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유닛(220)은 상기 플로어(30)의 거치위치(12)를 센싱하는 제2 탐지센서(221); 상기 플로어(30)를 상기 거치위치(12)까지 이동시키는 제2 설치 암(222); 및 상기 제2 설치 암(222)을 이동시키는 제2 운송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팅 로봇(300)은, 상기 결합수단(40)이 삽입될 삽입홀(13)을 센싱하는 제3 탐지센서(310); 상기 결합수단(40)을 상기 삽입홀(13)까지 이동시키는 제3 설치 암(320); 및 상기 제3 설치 암(320)을 이동시키는 제3 운송수단(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40)은 볼트(41)이며, 상기 삽입홀(13)은 상기 패드(20) 및 상기 플로어(30)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41)를 상기 삽입홀(13)에 결합시키는 볼팅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로봇은, 위치센서(410); 및 거리센서(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10), 승강시설(50) 및 주변부 슬래브(60)를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승강시설(50)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부 슬래브(60)까지 상기 시공로봇을 이동시키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단계(S200) 이후에, 상기 패드 설치로봇(100)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20)를 상기 프레임(10)에 부착시키는 제3 단계(S300); 상기 플로어 설치로봇(200)을 이용하여 상기 플로어(30)를 상기 패드(20)에 거치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상기 볼팅 로봇(300)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홀(13)에 상기 볼트(41)를 인입시켜 상기 플로어(30)와 상기 패드(20)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단계(S400)는, 상기 운송유닛(210)과 상기 설치유닛(220)을 상기 거치위치(12)로 근접시키는 정렬 단계(S410); 및 상기 운송유닛(210)에 적재된 상기 플로어(30)를 상기 제2 설치 암(222)으로 리프팅하여 상기 거치위치(12)에 거치시키는 거치 단계(S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위험한 플로어 설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자동화된 로봇이 매트 및 플로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장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에 의한 매트 및 플로어 설치를 통해 플로어 설치 위치 선정 및 레벨링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시공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플로어 시공 과정에서의 설치 프레임, 승강시설 및 주변부 슬래브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설치로봇의 제1 설치 암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설치로봇의 제2 설치 암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볼팅 로봇의 제3 설치 암의 상세도.
도 5는 승강수단을 통해 시공로봇이 주변부 슬래브로 인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액세스플로어의 시공을 위해 시공로봇이 설치 프레임 근처로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패드 설치로봇이 설치 프레임에 패드를 접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 내지 도 20은 플로어 설치로봇이 플로어를 패드 상부에 거치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1 내지 22은 볼팅 로봇이 패드와 플로어를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에 사용되는 패드의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액세스플로어를 무인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에 의해 시공되는 액세스플로어는 설치 프레임(10), 설치 프레임(10)에 부착된 패드(20) 및 패드(20)와 결합되는 플로어(30)를 포함한다.
설치 프레임(10)은 저면에서 플로어(30)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기본 골조로서, 플로어(30) 하부의 하부공간을 형성하여 각종 장비의 설치 및 공조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패드(20)는 설치 프레임(10)에 주로 본딩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플로어(30)의 일 모서리가 상부에 거치된다. 일반적으로 플로어(30)의 네 모서리가 패드(20) 상면에 거치되어 시공된다.
패드(20)에는 플로어(30)의 모서리가 거치되는 거치부(21), 이웃하는 플로어(20)의 모서리를 구획하는 가이드부(22) 및 플로어(20)와 패드(20)를 결합시키는 볼트(41)가 삽입되는 관통구멍(23)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도 23).
패드(20)는 플로어(30)를 설치 프레임(10)과 결합시킴과 아울러 플로어(10)의 설치 위치를 특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인력에 의해 패드(2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플로어(30)의 정확한 레벨링 및 위치 설정이 어려우므로 가 설치 후 다시 플로어(30)를 제거하고 패드(20)을 본딩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플로어의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작업자의 플로어(30)를 두 번씩 설치해야 하므로 안전사고 발생 및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가 오는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액세스플로어 시공에 필요한 패드(20)설치, 플로어(30) 거치 및 패드(20)와 플로어(30)의 결합의 전 과정을 무인로봇을 사용해 수행토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시공 시스템은 컨트롤 서버(1)와 및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시공로봇을 포함한다.
시공로봇은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객체이며, 컨트롤 서버(1)에 의해 조작 및 운행이 이루어진다. 컨트롤 서버(1)에는 시공로봇의 운행 및 동작을 위한 조작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컨트롤 서버(1)는 시공로봇 자체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다.
시공로봇은 설치 프레임(10)에 패드(20)를 부착하는 패드 설치로봇(100), 패드(20)에 플로어(30)를 거치시키는 플로어 설치로봇(200) 및 패드(20)와 플로어(30)를 결합수단(4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볼팅 로봇(300)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구체적으로 패드 설치로봇(100)은 패드(20)를 설치 프레임(10)에 부착시키는 시공로봇으로서(도 8 내지 도 11), 설치 프레임(10) 상의 패드(20)의 설치위치(11)를 센싱하는 제1 탐지센서(110), 패드(20)를 설치위치(11)까지 이동시키는 제1 설치 암(120), 제1 설치 암(120)을 이동시키는 제1 운송수단(130) 및 패드(20)의 하면에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제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제1 탐지센서(110)는 비젼센서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제1 설치 암(120)은 패드(20)를 그리핑하여 설치위치(11)까지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패드(20)를 흡착하여 그리핑하기 위한 제1 그리퍼(121) 및 제1 그리퍼(121)에 흡착된 패드(20)의 측면 및 하면을 둘러싸는 제2 그리퍼(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리퍼(121)는 진공흡착 방식으로 패드(20)의 일면을 흡착하여 그리핑한다.
제2 그리퍼(122)는 제1 그리퍼(121)에 흡착된 패드(20)가 충격이나 오류로 인하여 분리되는 경우 제1 설치 암(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패드(20)를 감싸는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2 그리퍼(122)는 제1 설치 암(120)의 단부에서 하향(a) 돌출된 제1 가이드부(122a) 및 제1 가이드부(122a)에서 내측(b)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a)는 제1 설치 암(120)에 대하여 힌지구동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가이드부(122b)는 패드(20)가 제1 그리퍼(121)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내측(b)을 향하여 힌지구동 되어 제1 그리퍼(121)에 흡착된 패드(20)를 감싸는 형태를 취한다. 이와 비교하여 패드(20)가 제1 그리퍼(12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외측(c)을 향하여 힌지구동 되어 제1 그리퍼(121)에서 분리된 패드(20)가 제1 설치 암(12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패드 설치로봇(100)은 제1 설치 암(120)이 장착된 본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 제공부(140)는 본체(150) 상에 구비되고, 접착제 제공부(140)에는 접착제가 토출되는 토출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설치 암(120)은 패드 적재부(150)에 적재된 패드(20)를 그리핑하여 패드(20)의 접착면에 접착제가 발라지도록 토출공(141)에 패드(20)를 접촉시킨다.
이후 제1 설치 암(120)는 패드(20)의 접착면이 설치위치(11)에 접촉될 수 있도록 패드(20)를 이송한다.
플로어 설치로봇(200)은 플로어(30)를 패드(20)의 상부에 거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도 12 내지 도20). 일반적으로는 플로어(30)의 모서리를 패드(20)의 거치부(21)에 거치시킨다.
이를 위해 플로어 설치로봇(200)은 플로어(30)를 적재한 상태에서 운송하는 운송유닛(210) 및 운송유닛(210) 상의 플로어(30)를 패드(20)에 거치시키는 설치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6).
*플로어(30)는 고중량의 대형 건축자재이므로 하나의 시공로봇에 적재되어 운송되는 경우 시공로봇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시공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플로어(30)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운송유닛(210)을 따로 두어 설치유닛(220) 근방에서 플로어(30)를 적재 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운송유닛(210)과 설치유닛(220)은 단일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설치유닛(220)은 플로어(30)의 거치위치(12)를 센싱하는 제2 탐지센서(221), 플로어(30)를 거치위치(12)까지 이동시키는 제2 설치 암(222) 및 제2 설치 암(222)을 이동시키는 제2 운송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상술된 패드 설치로봇(100)의 제1 그리퍼(121), 제2 그리퍼(122)에 대응되는 구성이 설치유닛(220)의 제2 설치 암(222)에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설치 대상이 패드(20)에서 플로어(30)로 변경된다.
볼팅 로봇(300)은 패드(20)에 거치된 플로어(30)를 결합수단(4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도 21 내지 도 22).
이를 위해 볼팅 로봇(300)은 결합수단(40)이 삽입될 삽입홀(13)을 센싱하는 제3 탐지센서(310), 결합수단(40)을 삽입홀(13)까지 이동시키는 제3 설치 암(320) 및 제3 설치 암(320)을 이동시키는 제3 운송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일반적으로 결합수단(40)은 볼트(41)이며, 삽입홀(13)은 패드(20) 및 상기 플로어(30)에 형성된다. 이 경우 볼팅 로봇(300)은 볼트(41)를 삽입홀(13)에 결합시키는 볼팅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설치로봇(100), 플로어 설치로봇(200) 및 볼팅 로봇(300)을 포함하는 시공로봇은 각각 위치센서(410) 및 거리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은 복수의 시공로봇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시공로봇에 장착된 위치센서(410) 및 거리센서(420)를 통해 개별 시공로봇의 위치, 거리 및 해당 위치에서의 수행하여야 할 작업 내용들을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 서버(1)에는 포함된 조작 모듈은 시공로봇의 위치센서(410) 및 거리센서(420)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시공로봇의 작동 내용을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은 설치 프레임(10), 승강시설(50) 및 주변부 슬래브(60)를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및 승강시설(50)을 이용하여 주변부 슬래브(60)까지 시공로봇을 이동시키는 제2 단계(S200), 패드 설치로봇(100)을 이용하여 패드(20)를 프레임(10)에 부착시키는 제3 단계(S300), 플로어 설치로봇(200)을 이용하여 플로어(30)를 패드(20)에 거치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볼팅 로봇(300)을 이용하여 삽입홀(13)에 볼트(41)를 인입시켜 플로어(30)와 패드(20)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내지 도 22).
이 경우 제4 단계(S400)는 운송유닛(210)과 설치유닛(220)을 상기 거치위치(12)로 근접시키는 정렬 단계(S410) 및 운송유닛(210)에 적재된 플로어(30)를 제2 설치 암(222)으로 리프팅하여 거치위치(12)에 거치시키는 거치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은 시공로봇의 이동을 위한 승강시설(50) 및 설치 프레임(10) 주변부에 형성된 주변부 슬래브(60)만의 최소 시공을 인력을 투입하여 수행하고, 이후 액세스플로어 형성을 위한 시공은 시공로봇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액세스플로어 시공의 효율 및 품질을 높이고, 작업자의 부상이나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현저하게 감소시킨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액세스플로어의 시공에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인정된다.
10 : 설치 프레임
20 : 패드
30 : 플로어
100 : 패드 설치로봇
200 : 플로어 설치로봇
300 : 볼팅 로봇

Claims (15)

  1. 설치 프레임(10), 상기 설치 프레임(10)에 부착된 패드(20) 및 상기 패드(20)와 결합되는 플로어(30)를 포함하는 액세스플로어의 무인 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 서버(1)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시공로봇;을 포함하되,
    상기 시공로봇은,
    상기 설치 프레임(10)에 상기 패드(20)를 부착하는 패드 설치로봇(100);
    상기 패드(20)에 상기 플로어(30)를 거치시키는 플로어 설치로봇(200); 및
    상기 패드(20)와 상기 플로어(30)를 결합수단(4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볼팅 로봇(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설치로봇(100)은
    상기 설치 프레임(10) 상의 상기 패드(20)의 설치위치(11)를 센싱하는 제1 탐지센서(110);
    상기 패드(20)를 상기 설치위치(11)까지 이동시키는 제1 설치 암(120); 및
    상기 제1 설치 암(120)을 이동시키는 제1 운송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0)의 하면에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제 제공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 암(120)은,
    상기 패드(20)를 흡착하는 제1 그리퍼(121); 및
    상기 제1 그리퍼(121)에 흡착된 상기 패드(20)의 측면 및 하면을 둘러싸는 제2 그리퍼(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리퍼(121)는 진공흡착 방식이며,
    상기 제2 그리퍼(122)는
    상기 제1 설치 암(120)의 단부에서 하향(a) 돌출된 제1 가이드부(122a); 및
    상기 제1 가이드부(122a)에서 내측(b)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부(122b)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부(122a)는 상기 제1 설치 암(120)에 대하여 힌지구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122b)는,
    상기 패드(20)가 상기 제1 그리퍼(121)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내측(b)을 향하여 힌지구동 되며,
    상기 패드(20)가 상기 제1 그리퍼(12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외측(c)을 향하여 힌지구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설치로봇(100)은
    상기 제1 설치 암(120)이 장착된 본체(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착제 제공부(140)는 상기 본체(15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접착제 제공부(140)는
    접착제가 토출되는 토출공(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시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설치로봇(200)은,
    상기 플로어(30)를 적재한 상태에서 운송하는 운송유닛(210); 및
    상기 운송유닛(210) 상의 상기 플로어(30)를 상기 패드(20)에 거치시키는 설치유닛(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유닛(220)은
    상기 플로어(30)의 거치위치(12)를 센싱하는 제2 탐지센서(221);
    상기 플로어(30)를 상기 거치위치(12)까지 이동시키는 제2 설치 암(222); 및
    상기 제2 설치 암(222)을 이동시키는 제2 운송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팅 로봇(300)은,
    상기 결합수단(40)이 삽입될 삽입홀(13)을 센싱하는 제3 탐지센서(310);
    상기 결합수단(40)을 상기 삽입홀(13)까지 이동시키는 제3 설치 암(320); 및
    상기 제3 설치 암(320)을 이동시키는 제3 운송수단(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0)은 볼트(41)이며,
    상기 삽입홀(13)은 상기 패드(20) 및 상기 플로어(30)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41)를 상기 삽입홀(13)에 결합시키는 볼팅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로봇은,
    위치센서(410); 및
    거리센서(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13. 제12항의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10), 승강시설(50) 및 주변부 슬래브(60)를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승강시설(50)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부 슬래브(60)까지 상기 시공로봇을 이동시키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 이후에, 상기 패드 설치로봇(100)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20)를 상기 프레임(10)에 부착시키는 제3 단계(S300);
    상기 플로어 설치로봇(200)을 이용하여 상기 플로어(30)를 상기 패드(20)에 거치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상기 볼팅 로봇(300)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홀(13)에 상기 볼트(41)를 인입시켜 상기 플로어(30)와 상기 패드(20)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S400)는,
    상기 운송유닛(210)과 상기 설치유닛(220)을 상기 거치위치(12)로 근접시키는 정렬 단계(S410); 및
    상기 운송유닛(210)에 적재된 상기 플로어(30)를 상기 제2 설치 암(222)으로 리프팅하여 상기 거치위치(12)에 거치시키는 거치 단계(S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방법.
PCT/KR2021/007444 2020-06-16 2021-06-15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WO20212568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26104.8A EP4166733A1 (en) 2020-06-16 2021-06-15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and access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CN202180040991.4A CN115702281A (zh) 2020-06-16 2021-06-15 接入踏板无人施工系统以及利用此接入踏板的施工方法
US18/010,890 US20230220686A1 (en) 2020-06-16 2021-06-15 Unmanned access floor construction system and access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148 2020-06-16
KR1020200073148A KR102372504B1 (ko) 2020-06-16 2020-06-16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6816A1 true WO2021256816A1 (ko) 2021-12-23

Family

ID=7917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7444 WO2021256816A1 (ko) 2020-06-16 2021-06-15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20686A1 (ko)
EP (1) EP4166733A1 (ko)
KR (1) KR102372504B1 (ko)
CN (1) CN115702281A (ko)
WO (1) WO2021256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782B1 (ko) 2023-06-13 2024-05-03 주식회사 라노스 하울링 방지 기능을 갖는 세라믹 식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05A (ja) * 1992-07-10 1994-02-01 Fujitsu Ltd フロアパネル着脱装置およびフロアパネル
KR101454705B1 (ko) * 2013-05-23 2014-10-27 주식회사 해광 다이캐스팅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23645A (ja) * 2017-02-03 2018-08-09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天井ボード施工支援システム
US20200024853A1 (en) * 2016-09-30 2020-01-23 Eth Singapore Sec Ltd System for placing objects on a surface and method thereof
CN110905177A (zh) * 2019-12-12 2020-03-24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一种瓷砖夹持机构及瓷砖铺贴机器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05A (ja) * 1992-07-10 1994-02-01 Fujitsu Ltd フロアパネル着脱装置およびフロアパネル
KR101454705B1 (ko) * 2013-05-23 2014-10-27 주식회사 해광 다이캐스팅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024853A1 (en) * 2016-09-30 2020-01-23 Eth Singapore Sec Ltd System for placing objects on a surface and method thereof
JP2018123645A (ja) * 2017-02-03 2018-08-09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天井ボード施工支援システム
CN110905177A (zh) * 2019-12-12 2020-03-24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一种瓷砖夹持机构及瓷砖铺贴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504B1 (ko) 2022-03-08
KR20210155652A (ko) 2021-12-23
US20230220686A1 (en) 2023-07-13
EP4166733A1 (en) 2023-04-19
CN115702281A (zh)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05081A1 (ko) 액세스플로어 시공용 무인로봇 제어시스템
WO2021256816A1 (ko)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WO2019083199A1 (en) MERCHANDISE TRANSFER SYSTEM USING PICKUP ROBOT
WO2018190491A1 (ko) 공기유입밸브가 구비된 먼지 흡입 에어 매트
WO2021015448A1 (ko) 상용차 타이어 허브 드럼 탈착장치
WO2018124462A1 (ko) 웨이퍼 가공 설비용 버퍼 챔버 유닛
WO2022149839A1 (en) Depalletiz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WO2011096611A1 (ko) 로봇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내지 필름 이송 및 타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005078A1 (ko) 무인로봇을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WO2018117615A1 (ko) 지게차용 사이드 도어
WO2024090887A1 (ko) 정렬 플레이트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무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WO2019172586A1 (ko) 건설기계의 캐노피 조립체
WO2023063745A1 (ko) 단적재 리프트 장치
CN112400145A (zh) 生产线及生产线的制造方法
WO2014142374A1 (ko) Smd 릴 저장 장치 및 smd 릴 저장 방법
TW517328B (en) Vehicle for transporting a semiconductor device carrier to a semiconductor processing tool
TW202027204A (zh) 搬運裝置及控制方法
WO2021251740A1 (ko) 볼팅 그리퍼, 이를 포함하는 볼트 체결 장치 및 볼트 체결 방법
WO2021162458A1 (ko) 전자 장치의 제조 장치
WO2021107357A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WO2020213880A1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의 스태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WO2020213878A1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의 스태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WO2021107356A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WO2022005025A1 (ko) 수직 배열 구조를 갖는 기판 처리 시스템
WO2023022474A1 (ko) 전지모듈 이송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61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261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116